KR20210065639A -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639A
KR20210065639A KR1020190154628A KR20190154628A KR20210065639A KR 20210065639 A KR20210065639 A KR 20210065639A KR 1020190154628 A KR1020190154628 A KR 1020190154628A KR 20190154628 A KR20190154628 A KR 20190154628A KR 20210065639 A KR20210065639 A KR 20210065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camera
area
image
e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346B1 (ko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넥서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서스텍(주) filed Critical 넥서스텍(주)
Priority to KR1020190154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3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6Recognition of special voice characteristics, e.g. for use in lie detectors; Recognition of animal vo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감시구역내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를 구비하는 경우 평상시는 촬상 동작을 하지 않고 있다가 움직임이 발생되는 조건하에서는 움직임이 발생된 지역의 근방에 위치하는 감시 카메라가 모션 대상을 추적하며 촬상 감시하고 음향 감지 센서를 통해 격앙된 음향이 발생되면 모션 대상을 촬상 가능한 구역내 모든 카메라가 움직임 대상을 추적 촬상 감시하도록 함으로써 범죄 예방 및 감시 구역내 감시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CCTV SYSTEM USING SENSOR OF MOTION AND SENSITIVITY AND FOR THE SAM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감시구역내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를 구비하는 경우 평상시는 촬상 동작을 하지 않고 있다가 움직임이 발생되는 조건하에서는 움직임이 발생된 지역의 근방에 위치하는 감시 카메라가 모션 대상을 추적하며 촬상 감시하고 음향 감지 센서를 통해 격앙된 음향이 발생되면 모션 대상을 촬상 가능한 구역내 모든 카메라가 움직임 대상을 추적 촬상 감시하도록 함으로써 범죄 예방 및 감시 구역내 감시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elevision 시스템은 폐회로 시스템(Closed Circuit System)과 개회로 시스템(Open Circuit System)으로 분류되는데, 후자는 화상 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보통 우리가 말하는 TV 방송이 여기에 속한다. 이에 반해 전자인 폐회로 시스템은 화상 정보를 특정의 목적으로 특정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CCTV(Close Circuit TeleVision)라 칭한다.
이와 같이 CCTV는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화상을 전송하기 때문에 주로 공공기관이나 공장 등에 설치되어 도난 및 각종 범죄, 기계의 오작동 여부 등을 감시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CCTV의 특성상 장시간에 걸쳐 영상을 기록하여야 하기 때문에 CCTV 시스템에서의 저장 장치는 일반 VCR과는 달리 테이프상에서 기록하는 시간 간격을 길게 하여 테이프의 사용시간을 늘려주는 방식인 타임랩스 VCR (Time Laps VCR)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감시용이라는 그 특성상 한정된 범위를 집중하여 촬영하기 때문에 영상은 대부분 정지영상이고 움직임의 정도는 미미하므로 장시간에 걸쳐 영상을 녹화하는 것에 비하여 테이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녹화를 위해 촬영 도중 움직임이 있는 경우를 포착하고,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에만 영상을 저장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영상재생시 움직임이 있는 부분을 추적(tracking)하며 재생하면, 변화 없는 정지영상을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보다 감시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영상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동영상의 모션 벡터 양자화 방법이 있다. 즉, 동영상의 모션 벡터를 양자화 시키고 각 양자화 구간에 맵핑되는 모션 벡터의 개수를 검출하여 모션 벡터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한 후,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영상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 검출성능에 비해 처리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다. 동작 검출을 위하여 영상을 프레임(frame) 단위로 저장하고 소정의 프레임 수 기간 동안 지연시켜 출력하여 각 프레임을 화소 단위로 비교하는 동작검출기법을 이용하는 방법 역시 각 프레임을 화소 단위로 비교하기 때문에 처리속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제0235249호 (발명의 명칭 : 캐릭터 제너레이터를 이용한 화상변화 검출장치 및 방법)에서는 동작검출을 위하여 캐릭터 제너레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화면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곳을 미리 설정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결국, 종래의 동작검출기법을 이용하여 CCTV 시스템을 운용하는 경우 저장 공간의 활용도 및 시스템의 부하를 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통상적으로 고정된 영역을 촬상하는 고정식 카메라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건 사고의 발생시 카메라의 사각지역에서 많이 발생되는 점을 미루어 볼 때 증거자료로서의 활용 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상술한 종래의 동작검출기법을 이용하여 CCTV 시스템에 화상 취직 영역을 가변 할 수 있는 가변식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모션 검출 하나의 기준만으로는 번잡한 시간(예를 틀어, 출되근 시간)에는 오동작의 확률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감시구역내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를 구비하는 경우 평상시는 촬상 동작을 하지 않고 있다가 움직임이 발생되는 조건하에서는 움직임이 발생된 지역의 근방에 위치하는 감시 카메라가 모션 대상을 추적하며 촬상 감시하고 음향 감지 센서를 통해 격앙된 음향이 발생되면 모션 대상을 촬상 가능한 구역내 모든 카메라가 움직임 대상을 추적 촬상 감시하도록 함으로써 범죄 예방 및 감시 구역내 감시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의 특징은, 감시 영역 내에 구비되어 관할 영역내에 움직이는 물제가 존재하는 가를 감지하는 다수의 모션감지부와; 기 설정된 특정 패턴의 고주파 신호들을 저장하고 있는 패턴 저장부와; 감시 영역 내에 구비되며 취득되는 음향신호와 상기 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비교하여 긴급상황의 발생 여부를 인식하는 다수의 감성감지부와; 감시 영역 내에 구비되며 관할 영역내에 영상을 취득하는 다수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일대일로 대응하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회동시키며 카메라 초점을 제어하는 카메라 구동부와;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및 감시 영역내 구비되는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를 통해 관할 영역내 화상을 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지 않으면서 취득하다가, 상기 모션감지부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움직임이 발생된 지역의 근방에 위치하는 카메라가 해당 물체를 추적하며 상기 영상 저장부에 영상을 저장하는 촬상모드에서 감시하고, 상기 감성감지부를 통해 격앙된 음향이 발생되면 모션 대상을 촬영 가능한 구역내 모든 카메라가 움직임 대상을 추적 촬상모드로 감시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카메라 구동부는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를 상하 운동시키는 틸트 구동부; 및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의 초점을 줌인/줌아웃 시키는 줌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감성 감지부는 음향신호를 취득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서 취득되어진 음향신호에서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하는 고주파 필터; 및 상기 패턴 저장부에 저장되어진 특정 패턴의 고주파 신호들과 상기 고주파 필터를 통해 필터링되어진 신호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 오차범위 안에 포함되는 가를 판단하는 비교분석부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비교분석부는 스펙트럼 분석 방식을 사용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패턴 저장부는 비명, 도움 요청, 추돌 혹은 접촉사고 등의 음향에 대한 패턴들을 저장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운영 방법의 특징은, 비명, 도움 요청, 추돌 혹은 접촉사고 등의 음향에 대한 고주파 패턴들을 취합하여 저장하는 제 1과정과; 감시 영역 내에 다수개 구비되어진 모션감지부를 통해 움직이는 물제가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움직임이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감시 영역 내에 다수개 구비되어진 감성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 1과정에 저장된 고주파 패턴들과 유사한 고주파 패턴의 음향이 발생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 3과정; 및 상기 제 3과정을 통해 감성 음향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감시 영역 내에 다수개 구비되어진 카메라 중 감성 음향이 발생한 위치를 촬상 가능한 모든 카메라를 통해 감성 음향이 발생한 위치의 영상을 취득하여 저장하는 제 4과정을 포함하는 데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동작검출기법을 통한 장점을 유지하면서 사건 사고로 인해 발생되는 격앙된 음향을 기준으로 해당 모션과 음향이 발생되는 지점을 다수의 카메라가 촬상하도록 함으로써 취득 영상의 사각을 없애 증거자료로써의 효용성을 극대화 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의 구성 블록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의 제어 운영 흐름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의 구성 블록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의 제어 운영 흐름 예시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음향 없이 단순히 카메라에서 취득되는 데이터를 화상이라 정의하며, 화상과 오디오가 모두 존재하는 데이터를 영상이라 정의한다. 또한 촬상이란 용어는 화상을 얻어 저장하는 양태를 의미한다.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은 감시 영역 내에 구비되어 관할 영역내에 움직이는 물제가 존재하는 가를 감지하는 다수의 모션감지부(10)와, 기 설정된 특정 패턴의 고주파 신호들을 저장하고 있는 패턴 저장부(20)와, 감시 영역 내에 구비되며 취득되는 음향신호와 상기 패턴 저장부(20)에 저장된 신호를 비교하여 긴급상황의 발생 여부를 인식하는 다수의 감성감지부(30)와, 감시 영역 내에 구비되며 관할 영역내에 영상을 취득하는 다수의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카메라와 일대일로 대응하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회동시키며 카메라 초점을 제어하는 카메라 구동부(40)와,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50), 및 감시 영역내 구비되는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를 통해 관할 영역내 화상을 상기 영상 저장부(50)에 저장하지 않으면서 취득하다가, 상기 모션감지부(10)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움직임이 발생된 지역의 근방에 위치하는 카메라가 해당 물체를 추적하며 상기 영상 저장부(50)에 영상을 저장하는 촬상모드에서 감시하고, 상기 감성감지부(20)를 통해 격앙된 음향이 발생되면 모션 대상을 촬영 가능한 구역내 모든 카메라가 움직임 대상을 추적 촬상모드로 감시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부(40)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6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 구동부(40)는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를 상하 운동시키는 틸트 구동부, 및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의 초점을 줌인/줌아웃 시키는 줌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감성 감지부(30)는 음향신호를 취득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서 취득되어진 음향신호에서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하는 고주파 필터, 및 상기 패턴 저장부에 저장되어진 특정 패턴의 고주파 신호들과 상기 고주파 필터를 통해 필터링되어진 신호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 오차범위 안에 포함되는 가를 판단하는 비교분석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비교분석부는 스펙트럼 분석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턴 저장부(20)는 비명, 도움 요청, 추돌 혹은 접촉사고 등의 음향에 대한 다양한 패턴들을 기 저장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CCTV의 기본적인 구성 예를 들어 관리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원격지의 경찰서등에 통지하는 기능의 구성은 생략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의 제어 동작을 살펴보면,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스텝 S101에서 모션감지부(10)를 통해 움직임이 검출되는 가를 확인하게 되는데, 움직임 검출이 없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2로 진행하여 연결 구비되어진 카메라들의 감시 영역을 초기화하고 해당 영역에 대한 화상을 영상 저장부(50)에 저장하지 않으면서 취득하게 된다(스텝 S103).
만약 상기 스텝 S101의 과정에서 움직임이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4로 진행하여 움직임이 검출된 영역을 관할하고 있는 카메라 혹은 가장 금점 거리에 위치하는 카메라의 카메라 구동부(40)를 제어하여 움직임이 존재하는 물체의 화상을 선명하게 얻기 위한 초점을 맞추어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는 스텝 S105의 과정을 통해 감성 감지부(30)에서 격앙된 감정이 감지되었는가를 판단하는데, 격앙된 감정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6으로 진행하여 상기 스텝 S104에서 움직임 물체에 초점이 맞추어진 카메라의 카메라 구동부(40)를 제어하여 움직임이 존재하는 물체를 추적하며 얻어진 화상을 영상 저장부(50)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화상은 단위시간 예를 들어 1초 이내의 간격을 갖는 정지화상으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상기 스텝 S105의 과정을 통해 감성 감지부(30)에서 격앙된 감정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60)는 격앙 감정을 감지한 센서의 위치를 스텝 S107의 과정을 통해 확인하고, 스텝 S108의 과정을 통해 상기 스텝 S107의 과정에서 확인되어진 격앙 감정 발생 지역을 촬상 가능한 카메라를 확인한다.
즉, 카메라 구동부(40)의 제어에도 불구하고 격앙 감정 발생 지역의 화상을 얻을 수 없는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카메라는 제외되는 것이다.
이후 스텝 S109의 과정을 통해 상기 스텝 S108의 과정에서 확인되어진 촬상 가능한 카메라는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해당 카메라 구동부(40)가 구동하여 격앙 감정 발생 지역의 화상과 음향을 취득하여 영상 저장부(50)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스텝 S110의 과정에서 관리자 혹은 원격지의 경찰서에 사고 발생을 통지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 모션감지부
20 : 패턴 저장부
30 : 감성감지부
40 : 카메라 구동부
50 : 영상 저장부
60 : 시스템 제어부

Claims (6)

  1. 감시 영역 내에 구비되어 관할 영역내에 움직이는 물제가 존재하는 가를 감지하는 다수의 모션감지부와;
    기 설정된 특정 패턴의 고주파 신호들을 저장하고 있는 패턴 저장부와;
    감시 영역 내에 구비되며 취득되는 음향신호와 상기 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비교하여 긴급상황의 발생 여부를 인식하는 다수의 감성감지부와;
    감시 영역 내에 구비되며 관할 영역내에 영상을 취득하는 다수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일대일로 대응하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회동시키며 카메라 초점을 제어하는 카메라 구동부와;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및
    감시 영역내 구비되는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를 통해 관할 영역내 화상을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하지 않으면서 취득하다가, 상기 모션감지부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움직임이 발생된 지역의 근방에 위치하는 카메라가 해당 물체를 추적하며 상기 영상 저장부에 영상을 저장하는 촬상모드에서 감시하고, 상기 감성감지부를 통해 격앙된 음향이 발생되면 모션 대상을 촬영 가능한 구역내 모든 카메라가 움직임 대상을 추적 촬상모드로 감시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구동부는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를 상하 운동시키는 틸트 구동부; 및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의 초점을 줌인/줌아웃 시키는 줌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감지부는 음향신호를 취득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에서 취득되어진 음향신호에서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하는 고주파 필터; 및
    상기 패턴 저장부에 저장되어진 특정 패턴의 고주파 신호들과 상기 고주파 필터를 통해 필터링되어진 신호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임계 오차범위 안에 포함되는 가를 판단하는 비교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분석부는 스펙트럼 분석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저장부는 비명, 도움 요청, 추돌 혹은 접촉사고 등의 음향에 대한 패턴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6. 비명, 도움 요청, 추돌 혹은 접촉사고 등의 음향에 대한 고주파 패턴들을 취합하여 저장하는 제 1과정과;
    감시 영역 내에 다수개 구비되어진 모션감지부를 통해 움직이는 물제가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움직임이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감시 영역 내에 다수개 구비되어진 감성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 1과정에 저장된 고주파 패턴들과 유사한 고주파 패턴의 음향이 발생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 3과정; 및
    상기 제 3과정을 통해 감성 음향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감시 영역 내에 다수개 구비되어진 카메라 중 감성 음향이 발생한 위치를 촬상 가능한 모든 카메라를 통해 감성 음향이 발생한 위치의 영상을 취득하여 저장하는 제 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90154628A 2019-11-27 2019-11-27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330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628A KR102330346B1 (ko) 2019-11-27 2019-11-27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628A KR102330346B1 (ko) 2019-11-27 2019-11-27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639A true KR20210065639A (ko) 2021-06-04
KR102330346B1 KR102330346B1 (ko) 2021-11-29

Family

ID=7639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628A KR102330346B1 (ko) 2019-11-27 2019-11-27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5749A (ko) * 2022-04-11 2023-10-18 주식회사 스마트아이캠 저전력을 사용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감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979B1 (ko) * 2006-01-24 2007-02-26 (주) 하나계전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687296B1 (ko) * 2016-07-07 2016-12-16 에코아이넷 주식회사 음향 및 행동 패턴 인식 기반의 하이브리드 패턴 분석이 가능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객체 추적 방법
KR101864388B1 (ko) * 2018-03-29 2018-06-04 주식회사 경림이앤지 Cctv 카메라 시스템에서 어레이 마이크를 사용한 소음의 노이즈가 상쇄된 이상 음원 탐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979B1 (ko) * 2006-01-24 2007-02-26 (주) 하나계전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687296B1 (ko) * 2016-07-07 2016-12-16 에코아이넷 주식회사 음향 및 행동 패턴 인식 기반의 하이브리드 패턴 분석이 가능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객체 추적 방법
KR101864388B1 (ko) * 2018-03-29 2018-06-04 주식회사 경림이앤지 Cctv 카메라 시스템에서 어레이 마이크를 사용한 소음의 노이즈가 상쇄된 이상 음원 탐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5749A (ko) * 2022-04-11 2023-10-18 주식회사 스마트아이캠 저전력을 사용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감시장치
WO2023200159A1 (ko) * 2022-04-11 2023-10-19 주식회사 스마트아이캠 저전력을 사용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감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346B1 (ko)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4275B2 (en) Image monitoring system and surveillance camera
US7940432B2 (en) Surveillance system having a multi-area motion detection function
KR100834465B1 (ko) 움직임감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및 방법
US7609290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CN101640788B (zh) 一种监控控制方法、装置及监控系统
US20070296813A1 (en)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3681152B2 (ja) テレビカメラの制御方法及びテレビカメラ
WO2020057353A1 (zh) 基于高速球的物体跟踪方法、监控服务器、视频监控系统
JP4912184B2 (ja) 映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映像監視方法
KR101442669B1 (ko) 지능형 객체감지를 통한 범죄행위 판별방법 및 그 장치
CN1072882C (zh) 自动监视系统
JP2005510148A (ja) エッジ検出を介した警報発生方法および保安システム
KR102330346B1 (ko) 모션과 감성 감지를 통한 cctv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589823B1 (ko) 이벤트 상황을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가변형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하는 cctv모니터링 시스템
KR20080045318A (ko) 카메라들을 상호 보완적으로 연동제어하는 감시시스템
US20120075467A1 (en)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 for tracking moving object using the same
CN116017136A (zh) 拍摄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1666812B1 (ko) 가상라인을 이용하여 방향별 발생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 cctv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3752B1 (ko) 정지영상 저장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KR20220088183A (ko) 실시간 영상 분석을 통한 이벤트 발생 감지 및 안내 정보 제공 방법
JP2008219452A (ja) カメラ監視装置
KR20000004436A (ko) 씨씨티브이 시스템의 움직임 추적 감시 방법
KR100307658B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 분할 감시 시스템
KR20060112719A (ko) 영상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3456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모션 검출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