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494A -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494A
KR20210063494A KR1020190150883A KR20190150883A KR20210063494A KR 20210063494 A KR20210063494 A KR 20210063494A KR 1020190150883 A KR1020190150883 A KR 1020190150883A KR 20190150883 A KR20190150883 A KR 20190150883A KR 20210063494 A KR20210063494 A KR 20210063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sensor
air purifi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3787B1 (ko
Inventor
서동진
오용주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로
Priority to KR102019015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787B1/ko
Priority to PCT/KR2019/016075 priority patent/WO2021100921A1/ko
Publication of KR2021006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는 본체부, 오염된 공기가 양방향으로 흡입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공기흡입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부로 흡입되어 정화된 공기를 일방향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 공기배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부로 흡입되어 정화된 공기를 방향성을 가지도록 배출시키기 위한 제2 공기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AIR CLEANER WITH DUAL AIR DISCHARGING STRUCTURE}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청정기에 이중 구조의 공기 배출부가 형성되며 IoT 모듈과 연동 가능한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는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일방향, 즉 상방으로만 배출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공기 청정기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공기 청정기로부터 다소 이격된 공간까지는 정화된 공기를 유동시키지 못하여 공기 청정 기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다방향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3937호(2019.01.24)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청정기의 상부에 이중 구조의 공기 배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일방향으로 배출되거나 지향하는 방향성을 가지며 배출되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무선칩을 통해 주변의 IoT 모듈과 연동하여 지능형 동작을 할 수 있는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는 본체부;
오염된 공기가 양방향으로 흡입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공기흡입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부로 흡입되어 정화된 공기를 일방향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 공기배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부로 흡입되어 정화된 공기를 방향성을 가지도록 배출시키기 위한 제2 공기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는 상기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 및 상기 정화된 공기를 가열하여 데우기 위한 온열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는 필터 및 상기 온열장치를 커버하기 위한 본체커버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필터 및 상기 온열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슬라이딩 방식 또는 끼움 결합 방식으로 장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소정 크기의 홀 또는 슬릿 형태의 유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공기배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 테두리부분에 일부가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배출케이스, 상기 배출케이스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흐름을 유도하는 서큘레이터 팬, 및 외부로 노출된 상기 배출케이스의 둘레면에 상기 배출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출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배출슬릿이 상기 배출케이스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정화된 공기는 방향성을 가지며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공기배출부는 상기 배출케이스의 일단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서큘레이터 팬을 커버하기 위한 팬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기 청정기의 외부 또는 내부의 환경조건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리모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리모콘은 상기 배출케이스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며 외측면에 소정 크기의 홈이 구비되는 센서몸체, 상기 센서몸체의 홈에 설치되며 외부 또는 공기 청정기 내부의 온습도 환경을 감지하는 온습도 센서, 외부 공기질의 환경을 감지하는 먼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온습도 센서 및 상기 먼지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선 리모콘은 상기 센서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센서덮개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온습도 및 공기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감지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기 청정기의 상부에 이중 구조의 공기 배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일방향으로 배출되거나 지향하는 방향성을 가지며 배출되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무선칩을 통해 주변의 IoT 모듈과 연동하여 지능형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가 일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가 일방향 및 다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이중 구조의 공기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의 내측에 필터 및 온열장치가 장착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의 내측에 필터 및 온열장치가 장착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큘레이터 팬이 배출케이스에 탈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모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리모콘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가 일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가 일방향 및 다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이중 구조의 공기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의 내측에 필터 및 온열장치가 장착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의 내측에 필터 및 온열장치가 장착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큘레이터 팬이 배출케이스에 탈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10)는 본체부(100), 공기흡입부(200), 제1 공기배출부(300) 및 제2 공기배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10)는 본체부(100)에 2가지 구조의 공기배출부가 구비되어 정화된 공기를 사용환경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체부(100)는 공기 청정기(10)를 구성하는 하우징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기둥 형태로 구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기둥, 다각기둥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220) 및 정화된 공기를 가열하여 데우기 위한 온열장치(230)가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온열장치(230)는 PTC 히터일 수 있다.
이때, 필터(220)와 온열장치(230)는 모듈 형태로 구현되어 본체부(10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220)와 온열장치(230)가 본체부(100)의 내측에 슬라이드 결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220)와 온열장치(230)가 본체부(100)의 내측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필터(220)와 온열장치(230)가 본체부(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성체를 이용한 마그넷 결합 방식 등의 다양한 결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일측면에는 필터(220) 및 온열장치(230)를 커버하기 위한 본체커버(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4a에 관한 실시예의 경우, 본체커버(210)는 후술하고자 하는 공기흡입부(200)가 형성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배치된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 도 4b에 관한 실시예의 경우, 본체커버(210)는 후술하고자 하는 공기흡입부(200)가 형성된 방향에 배치된 본체부(1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흡입부(200)는 본체부(100)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양방향으로 흡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공기흡입부(200)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소정 크기의 홀 또는 슬릿 형태의 유입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본체부(100)의 둘레면에 IoT(internet of things) 모듈과 연동 가능한 칩이 장착되기 위한 슬롯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슬롯부(110)에 장착되는 칩은 무선칩으로서 AI 스피커, 스마트기기 등의 IoT 모듈과 무선으로 연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공기 청정기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공기 청정기의 배터리 잔여 시간을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 슬롯부(500)에 장착된 무선칩과 AI 스피커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해당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공기배출부(300)는 이중 구조의 공기배출부 중 하나로서 본체부(100)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공기흡입부(200)로 흡입되어 정화된 공기를 일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제1 공기배출부(300)는 정화된 공기를 본체부(100)의 상부를 향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공기배출부(300)는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출슬릿(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기배출부(400)는 이중 구조의 공기배출부 중 다른 하나로서 본체부(100)의 상부 일측을 따라 구비되며, 공기흡입부(200)로 흡입되어 정화된 공기를 방향성을 가지도록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제2 공기배출부(400)는 정화된 공기를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비스듬한 방향을 향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공기배출부(400)는 배출케이스(410), 서큘레이터 팬(420) 및 복수의 배출슬릿(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출케이스(410)는 소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본체부(100)의 상부 일측 테두리부분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즉, 배출케이스(410)의 둘레 일부가 본체부(100)의 상부 일측 테두리를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 팬(420)은 배출케이스(41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며,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큘레이터 팬(420)은 배출케이스(41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소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배출케이스(4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순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배출슬릿(430)은 외부를 향하는 상기 배출케이스(410)의 둘레면에 배출케이스(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배출슬릿(430)이 배출케이스(41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됨에 따라, 정화된 공기는 방향성을 가지며 배출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배출슬릿(430)은 외부로 노출된 배출케이스(410)의 둘레면의 원호를 따라 구비될 수 있어, 정화된 공기가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이 아닌 소정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공기배출부(400)를 동작시키지 않는 경우, 배출케이스(410)에는 서큘레이터 팬(420) 및 복수의 배출슬릿(430)을 외부 충격 또는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배출덮개(44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덮개(440)는 외부로 노출된 배출케이스(410)에 개폐 가능한 슬라이드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공기배출부(400)는 배출케이스(410)의 일단에 탈착 가능하며 서큘레이터 팬(420)을 커버하기 위한 팬커버(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팬커버(450)는 배출케이스(410)의 일단에 대하여 밀거나 잡아당기는 푸쉬 앤 풀(push and pull) 결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푸쉬 방식을 통해 팬커버(450)를 배출케이스(410)의 일단에 결합시킬 수 있고, 풀 방식을 통해 팬커버(450)를 배출케이스(410)의 일단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팬커버(450)와 배출케이스(410)의 일단 간에 서로 다른 자성체를 구비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케이스(410)에 삽입된 서큘레이터 팬(420)을 배출케이스(41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팬커버(450)를 잡아당겨 배출케이스(410)의 일단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케이스(410)에 삽입된 서큘레이터 팬(420)을 회전시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서큘레이터 팬(420)을 직선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배출케이스(4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배출케이스(410)로부터 서큘레이터 팬(420)만을 분리시켜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에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구조의 공기배출부 중 제1 공기배출부(300)와 제2 공기배출부(400)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각 공기배출부 중 하나의 공기배출부만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평상 시에는 정화된 공기가 위쪽 방향으로만 배출되도록 제1 공기배출부(300)만 동작시키다가, 외부 공기질이 급격히 나빠지는 경우에 정화된 공기가 보다 넓은 면적으로 배출되도록 제2 공기배출부(400)를 추가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리모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리모콘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의 외부 또는 내부의 환경조건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리모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리모콘은 공기 청정기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의 배출케이스(410)에 장착되어 사용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의 배출케이스(410)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참고로, 무선 리모콘은 공기 청정기의 배출케이스(410)에 장착되는 경우 케이스로부터 충전 가능하며, 분리되는 경우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 또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무선 리모콘은 센서몸체(460), 센서부(47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몸체(460)는 배출케이스(410)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며 외측면에 소정 크기의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배출케이스(410)의 타단은 팬커버(450)가 탈착되는 배출케이스(410)의 일단과 반대되는 방향의 끝단을 의미한다.
센서부(470)는 센서몸체(460)의 홈에 설치되며 외부 또는 공기 청정기 내부의 온습도 환경을 감지하는 온습도 센서, 외부 공기질의 환경을 감지하는 먼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조도 센서 등의 다양한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센서몸체(46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온습도 센서 및 먼지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먼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외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공기 청정기의 필터 성능이 강하게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는 센서몸체(460) 내에서 센서부(4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공기 청정기의 외부와 연결되거나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슬롯부(110)에 장착되는 무선칩과 전술한 온습도 센서 및 먼지 센서가 서로 연동됨에 따라, 제어부 이외에 IoT 모듈을 통해서도 센서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습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는 실내 습도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를 조작하여 공기 청정기의 제습 성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보다 높은 습도의 환경을 원하는 경우, 스마트기기를 조작하여 무선 연동되는 습도 센서가 보다 강한 제습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는 센서덮개(480)와 디스플레이부(4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덮개(480)는 센서몸체(46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센서부(47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센서덮개(480)는 센서몸체(460)의 일단에 대하여 밀거나 잡아당기는 푸쉬 앤 풀(push and pull) 결합 방식 또는 자성체를 이용한 마그넷 결합 방식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도 6a를 참조하면, 센서덮개(480)는 센서몸체(460) 내 센서부(470)가 공기 청정기의 외부 환경조건을 감지하기 위해 관통 형성된 소정 크기의 관통홀(47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470)는 관통홀(475)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대하여 공기 청정기 외부의 온습도, 먼지 농도, 조도 등의 외부 환경조건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90)는 센서부(470)에 의해 감지된 온습도 및 공기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감지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는 본체부(100)의 하부면에 다수의 바퀴(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기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공기 청정기
100 : 본체부
110 : 슬롯부
200 : 공기흡입부
210 : 본체커버
220 : 필터
230 : 온열장치
300 : 제1 공기배출부
400 : 제2 공기배출부
410 : 배출케이스
420 : 서큘레이터 팬
430 : 배출슬릿
440 : 배출덮개
450 : 팬커버
460 : 센서몸체
470 : 센서부
475 : 관통홀
480 : 센서덮개
490 : 디스플레이부
500 : 바퀴

Claims (9)

  1. 본체부;
    오염된 공기가 양방향으로 흡입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공기흡입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부로 흡입되어 정화된 공기를 일방향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 공기배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공기흡입부로 흡입되어 정화된 공기를 방향성을 가지도록 배출시키기 위한 제2 공기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는 상기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 및 상기 정화된 공기를 가열하여 데우기 위한 온열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는 필터 및 상기 온열장치를 커버하기 위한 본체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및 상기 온열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슬라이딩 방식 또는 끼움 결합 방식으로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소정 크기의 홀 또는 슬릿 형태의 유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배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 일측 테두리부분에 일부가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배출케이스;
    상기 배출케이스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흐름을 유도하는 서큘레이터 팬; 및
    외부로 노출된 상기 배출케이스의 둘레면에 상기 배출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배출슬릿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슬릿이 상기 배출케이스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정화된 공기는 방향성을 가지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배출부는
    상기 배출케이스의 일단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서큘레이터 팬을 커버하기 위한 팬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외부 또는 내부의 환경조건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무선 리모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리모콘은
    상기 배출케이스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며 외측면에 소정 크기의 홈이 구비되는 센서몸체;
    상기 센서몸체의 홈에 설치되며 외부 또는 공기 청정기 내부의 온습도 환경을 감지하는 온습도 센서, 외부 공기질의 환경을 감지하는 먼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온습도 센서 및 상기 먼지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리모콘은
    상기 센서몸체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센서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센서덮개;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온습도 및 공기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감지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KR1020190150883A 2019-11-22 2019-11-22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KR102313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883A KR102313787B1 (ko) 2019-11-22 2019-11-22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PCT/KR2019/016075 WO2021100921A1 (ko) 2019-11-22 2019-11-22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883A KR102313787B1 (ko) 2019-11-22 2019-11-22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494A true KR20210063494A (ko) 2021-06-02
KR102313787B1 KR102313787B1 (ko) 2021-10-20

Family

ID=7597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883A KR102313787B1 (ko) 2019-11-22 2019-11-22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3787B1 (ko)
WO (1) WO202110092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847B1 (ko) * 2006-03-20 2007-06-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 온풍기
KR20120025689A (ko) * 2010-09-08 2012-03-16 이달주 스탠드형 공기 조화기
KR20180018628A (ko) * 2018-02-07 2018-02-21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101943937B1 (ko) 2016-06-08 2019-01-30 탁승호 공기 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800B1 (ko) * 2005-09-12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1240536B1 (ko) * 2011-12-08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847B1 (ko) * 2006-03-20 2007-06-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 온풍기
KR20120025689A (ko) * 2010-09-08 2012-03-16 이달주 스탠드형 공기 조화기
KR101943937B1 (ko) 2016-06-08 2019-01-30 탁승호 공기 청정기
KR20180018628A (ko) * 2018-02-07 2018-02-21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0921A1 (ko) 2021-05-27
KR102313787B1 (ko)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US20210001261A1 (en) Air purifier with hinged filter frame
CA2522095C (en) Air cleaner
KR20210059139A (ko) 호환 가능한 하부바디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장치
CN108291728B (zh) 空气净化器
KR101948003B1 (ko) 공기청정 환기 장치
US10940422B2 (en) Air purifier
KR100948967B1 (ko)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KR2017005117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2149879A (ja) 空気処理装置とその方法
KR101457444B1 (ko) 플라즈마 공기 청정장치
KR2017005117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70721B1 (ko) 공기정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102313787B1 (ko) 이중 공기 배출구조의 공기 청정기
KR101990836B1 (ko) 분리 환기형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ES2748565T3 (es) Grupo para el análisis y control de la ventilación de un entorno interno o primer entorno
KR20170131734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2345233B1 (ko) 다기능 공기 청정기
KR102147799B1 (ko) 천장 매립형 공기청정기
KR20210093643A (ko) 매립형 공기청정장치
KR20170077660A (ko) 공기조화장치
KR20160027292A (ko) 공기청정기
KR20220089826A (ko)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
KR20210051764A (ko) 스마트 환기시스템
JP2004060938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