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925A -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 Google Patents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925A
KR20210062925A KR1020190151176A KR20190151176A KR20210062925A KR 20210062925 A KR20210062925 A KR 20210062925A KR 1020190151176 A KR1020190151176 A KR 1020190151176A KR 20190151176 A KR20190151176 A KR 20190151176A KR 20210062925 A KR20210062925 A KR 20210062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se
drying rod
drying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961B1 (ko
Inventor
김도용
남상용
Original Assignee
(주)아르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르펠 filed Critical (주)아르펠
Priority to KR102019015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9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봉의 상승에 의해 빨래건조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천장에 설치되고 내부에 하방 개구된 수용공간부를 갖는 베이스; 상기 수용공간부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결합된 커버; 상기 베이스의 수용공간부에 설치된 보빈; 상기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고, 빨래가 널리게 되는 건조봉; 상기 보빈에 감기고, 일단이 상기 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건조봉에 연결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보빈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보빈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건조봉을 승강 동작시키게 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건조봉이 상기 커버에 근접할 때에 이를 감지하여 건조봉의 상승동작을 위한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상승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Electric clothes dryer with cover safety function}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봉의 상승에 의해 빨래건조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3868호(2007.10.31. 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천정설치형 전동식 세탁물건조대 및 그 설치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천정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프레임의 내부양측에는 설치프레임의 하방에 수평으로 현수되는 옷걸이봉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옷걸이봉을 각각 독립적으로 승하강시키게 되는 승강장치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각각 고정설치되며 내부중앙에는 승강조작용 리모콘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장치부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는 리모콘수신부가 구비된 컨트롤부와 전원공급부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설치프레임의 하부에는 커버가 결합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하면부일측에는 승강장치부에 의해 각각 승하강하게 되는 옷걸이봉이 내부에 각각 수납되는 옷걸이봉수납부가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설치형 전동식 세탁물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인 구성이 대폭 간소화되어 경량화 및 슬림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자 혼자서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사용시에는 세탁물을 걸어두는 한 쌍이 옷걸이봉을 승강조작용 리모콘을 이용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되어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후에는 옷걸이봉을 설치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된 커버내부로 완전히 수납시킬 수 있게 되어 더욱 더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773868호(2007.10.31. 등록)
본 발명은 상승한 상태의 건조봉이 커버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건조봉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건조봉이 커버에 근접하도록 상승하면 건조봉의 상승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는, 천장에 설치되고, 내부에 하방 개구된 수용공간부를 갖는 베이스; 상기 수용공간부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결합된 커버; 상기 베이스의 수용공간부에 설치된 보빈; 상기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고, 빨래가 널리게 되는 건조봉; 상기 보빈에 감기고, 일단이 상기 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건조봉에 연결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보빈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보빈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건조봉을 승강 동작시키게 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건조봉이 상기 커버에 근접할 때에 이를 감지하여 건조봉의 상승동작을 위한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상승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건조봉은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길이가 단축된 건조봉이 진입하게 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승감지부는 길이가 단축된 건조봉이 상승할 때에는 상기 건조봉이 상기 안착홈으로 진입한 것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고, 길이가 연장된 건조봉이 상승할 때에는 상기 건조봉이 상기 커버와 접촉된 후 커버가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승감지부는, 상기 커버의 안착홈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단이 상기 안착홈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단이 상기 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공간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으로 진입한 건조봉에 의해 상승 동작하게 되는 푸시버튼; 및 상기 베이스의 수용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버튼의 상하 변위에 의해 개폐동작하게 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를 향해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는 상방 개방된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부와 마주하도록 돌출된 대응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대응지지부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부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대응지지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이 끼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의 내측 양단부에는 베이스와 커버의 간격 유지를 위한 간격유지구가 설치되되, 상기 간격유지구는, 상기 베이스와 접하게 되는 상판과, 상기 커버와 접하게 되는 하판과, 상기 상판의 일단과 하판의 일단을 연결하는 측판을 포함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유지구에는 상기 상판을 상하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간격유지구를 고정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의 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커버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베이스의 걸림부와 마주하도록 돌출된 대응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하강 시 상기 걸림부와 대응걸림부가 상호 접하여 걸리는 것에 의해 하강 구간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는, 필요 시 건조봉을 연장하여 더욱 많은 빨래를 널 수 있음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빨래를 널지 않을 때에 건조봉을 커버의 안착홈에 배치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며, 특히 건조봉이 커버에 근접하도록 상승하면 상승감지부에 의해 구동모터의 작동이 정지되어 건조봉의 상승이 정지됨으로써 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에서 상승감지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상승감지부 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건조봉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에서 건조봉의 길이가 연장되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에서 상승감지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상승감지부 부위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건조봉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 건조봉의 길이가 연장되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이하, '빨래건조대'라고 함)는 크게 베이스(100), 커버(200), 보빈(300), 건조봉(400), 와이어(500), 구동모터(600) 및 상승감지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100)는 빨래건조대가 설치된 곳의 천장에 설치된다. 베이스(100)는 하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베이스(100)의 내부에는 하방 개구된 수용공간부(110)가 형성된다.
커버(200)는 베이스(100)의 수용공간부(110)를 덮도록 베이스(100)의 하부에 결합된다.
커버(200)는 그 테두리가 베이스(10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됨으로써 베이스(100)에 승강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커버(200)가 하강하면서 베이스(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측면 하단부에는 커버(200)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150)가 형성되고, 커버(200)의 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걸림부(150)와 마주하도록 돌출된 대응걸림부(240)가 형성된다.
결국, 커버(200)는 하강 시 상기 걸림부(150)와 대응걸림부(240)가 상호 접하여 걸리는 것에 의해 하강 구간이 제한되어 베이스(10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200)의 하면에는 건조봉(4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진입하여 수용될 수 있는 안착홈(210)이 형성된다.
보빈(300)은 베이스(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설치된다. 보빈(300)은 구동모터(600)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500)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게 된다.
건조봉(400)은 빨래를 널어두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200)의 하측에 배치된다. 건조봉(400)은 직경이 다른 둘 이상의 파이프가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건조봉(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직경의 파이프로 된 주건조봉(410)과, 상기 주건조봉(410)의 양측에 각각 삽입된 작은 직경의 파이프로 된 두 보조건조봉(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두 보조건조봉(420)이 상기 주건조봉(410)의 내부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것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건조봉(400)은 길이가 단축된 상태에서만 커버(200)의 안착홈(210)에 진입할 수 있게 구성된다.
와이어(500)는 보빈(300)에 감기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일단이 커버(200)를 통과하여 건조봉(400)에 연결된다.
구동모터(600)는 보빈(300)과 연결되도록 베이스(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설치된다. 구동모터(600)는 와이어(500)가 보빈(300)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보빈(300)을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500)에 연결된 건조봉(400)을 승강 동작시키게 된다.
상승감지부(700)는 건조봉(400)이 상승하여 커버(200)에 근접하게 될 때에 이를 감지하여 건조봉(400)의 상승 동작을 위한 구동모터(600)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버튼(710) 및 스위치(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푸시버튼(710)은 커버(200)의 안착홈(210)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푸시버튼(710)은 그 하단이 커버(200)의 안착홈(210) 하측으로 돌출되고, 그 상단이 커버(200)를 통과하여 베이스(100)의 수용공간부(110)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푸시버튼(710)은 커버(200)의 안착홈(210)으로 진입한 건조봉(400)에 의해 상승 동작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720)는 베이스(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튼(710)의 상하 변위에 의해 개폐동작하게 된다. 스위치(7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마이크로 스위치나 리밋 스위치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근접 스위치 등 비(非)접촉식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푸시버튼(710)의 상하 변위라 함은 푸시버튼(710)이 커버(200)에 대해서 승강 동작하는 것에 의한 변위뿐만 아니라, 커버(200)가 베이스(100)에 대해서 승강 동작하는 것에 의한 푸시버튼(710)의 변위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즉, 푸시버튼(710)은 커버(200)에 대해 승강 동작하는 것에 의해 스위치(720)를 개폐동작시키게 되고, 또한 커버(200)와 함께 베이스(100)에 대해 승강 동작하는 것에 의해서도 스위치(720)를 개폐동작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상승감지부(700)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단축된 상태의 건조봉(400)이 상승할 때에는 건조봉(400)이 커버(200)의 안착홈(210)으로 진입하는 것에 의해 푸시버튼(710)이 상승하여 스위치(720)를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구동모터(60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연장된 건조봉(400)이 상승할 때에는 건조봉(400)이 커버(200)와 접촉된 후 커버(200)가 상승하는 것에 의해 푸시버튼(710)이 커버(200)와 함께 상승하여 스위치(720)를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구동모터(60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빨래건조대에는 커버(200)가 평소에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승한 커버(200)가 다시 원활하게 하강 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커버복귀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복귀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의 상면에는 베이스(100)를 향해 돌출 형성된 지지부(220), 상기 지지부(220)의 내측에 상방 개방되게 형성된 삽입공(230), 베이스(100)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220)와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된 대응지지부(120), 상기 대응지지부(120)의 하면에 상기 지지부(220)의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130), 그리고 상기 지지부(220)와 상기 대응지지부(12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삽입돌기(130)의 외측에 끼워진 코일스프링(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커버복귀수단에 의하면, 상기 코일스프링(800)이 커버(200)가 상승한 상태에서 압축 변형되었다가 구동모터(600)의 작동이 정지하게 되면 커버(200)를 하측으로 밀어냄으로써 커버(200)가 하강한 상태로 원활하게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복귀수단은 베이스(100) 및 커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빨래건조대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와 커버(200)의 간격 유지를 위한 간격유지구(9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구(900)는, 베이스(100)와 접하게 되는 상판(910)과, 커버(200)와 접하게 되는 하판(920)과, 상기 상판(910)의 일단과 하판(920)의 일단을 연결하는 측판(930)을 포함하는 'ㄷ'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져 베이스(100)의 커버(200)의 내측 양단부 각 모서리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구(900)에는 상판(910)을 상하 관통하는 결합공(940)이 형성되고, 베이스(100)에는 상기 결합공(940)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40)가 형성되어, 간격유지구(900)가 베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간격유지구(900)는 상기 커버복귀수단과 함께 커버(200)를 원활하게 복귀시킬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커버(200)의 양단부에 각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커버(200)가 작은 외력에도 쉽게 유동되어 소음이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베이스 110 : 수용공간부
120 : 대응지지부 130 : 삽입돌기
140 : 결합돌기 150 : 걸림부
200 : 커버 210 : 안착홈
220 : 지지부 230 : 삽입공
240 : 대응걸림부 300 : 보빈
400 : 건조봉 410 : 주건조봉
420 : 보조건조봉 500 : 와이어
600 : 구동모터 700 : 상승감지부
710 : 푸시버튼 720 : 스위치
800 : 코일스프링 900 : 간격유지구
910 : 상판 920 : 하판
930 : 측판 940 : 결합공

Claims (6)

  1. 천장에 설치되고, 내부에 하방 개구된 수용공간부(110)를 갖는 베이스(100);
    상기 수용공간부(110)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100)의 하부에 결합된 커버(200);
    상기 베이스(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설치된 보빈(300);
    상기 커버(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빨래가 널리게 되는 건조봉(400);
    상기 보빈(300)에 감기고, 일단이 상기 커버(200)를 통과하여 상기 건조봉(400)에 연결된 와이어(500);
    상기 와이어(500)가 상기 보빈(300)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보빈(30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건조봉(400)을 승강 동작시키게 되는 구동모터(600); 및
    상기 건조봉(400)이 상기 커버(200)에 근접할 때에 이를 감지하여 건조봉(400)의 상승동작을 위한 구동모터(60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상승감지부(70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200)는 상기 베이스(100)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건조봉(400)은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커버(200)의 하면에는 길이가 단축된 건조봉(400)이 진입하게 되는 안착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상승감지부(700)는 길이가 단축된 건조봉(400)이 상승할 때에는 상기 건조봉(400)이 상기 안착홈(210)으로 진입한 것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60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고, 길이가 연장된 건조봉(400)이 상승할 때에는 상기 건조봉(400)이 상기 커버(200)와 접촉된 후 커버(200)가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60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감지부(700)는
    상기 커버(200)의 안착홈(210)에 승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단이 상기 안착홈(210)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단이 상기 커버(200)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공간부(11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210)으로 진입한 건조봉(400)에 의해 상승 동작하게 되는 푸시버튼(710); 및
    상기 베이스(100)의 수용공간부(110)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버튼(710)의 상하 변위에 의해 개폐동작하게 되는 스위치(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의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100)를 향해 돌출된 지지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20)의 내측에는 상방 개방된 삽입공(230)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00)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부(220)와 마주하도록 돌출된 대응지지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대응지지부(120)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부(220)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3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130)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부(220)와 상기 대응지지부(120)의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800)이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커버(200)의 내측 양단부에는 베이스(100)와 커버(200)의 간격 유지를 위한 간격유지구(900)가 설치되되,
    상기 간격유지구(900)는, 상기 베이스(100)와 접하게 되는 상판(910)과, 상기 커버(200)와 접하게 되는 하판(920)과, 상기 상판(910)의 일단과 하판(920)의 일단을 연결하는 측판(930)을 포함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900)에는 상기 상판(910)을 상하 관통하는 결합공(940)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0)에는 상기 결합공(940)에 삽입되어 상기 간격유지구(900)를 고정하는 결합돌기(1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의 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커버(200)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200)의 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베이스(100)의 걸림부(150)와 마주하도록 돌출된 대응걸림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200)는 하강 시 상기 걸림부(150)와 대응걸림부(240)가 상호 접하여 걸리는 것에 의해 하강 구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KR1020190151176A 2019-11-22 2019-11-22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KR102271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176A KR102271961B1 (ko) 2019-11-22 2019-11-22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176A KR102271961B1 (ko) 2019-11-22 2019-11-22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925A true KR20210062925A (ko) 2021-06-01
KR102271961B1 KR102271961B1 (ko) 2021-07-02

Family

ID=7637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176A KR102271961B1 (ko) 2019-11-22 2019-11-22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9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680U (ko) * 1991-08-02 1993-03-20 정태헌 엔진열을 이용한 자동차의 흡수식 냉방장치
JPH08112495A (ja) * 1994-10-14 1996-05-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物干し装置
KR200268732Y1 (ko) * 2001-12-28 2002-03-18 주식회사 대연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의 와이어 엉킴 방지구조
KR200332501Y1 (ko) * 2003-07-15 2003-11-05 (주)우리기술 보조 걸이대를 구비한 빨래 건조대
KR100773868B1 (ko) 2006-12-12 2007-11-06 주식회사 대영 천정설치형 전동식 세탁물건조대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680U (ko) * 1991-08-02 1993-03-20 정태헌 엔진열을 이용한 자동차의 흡수식 냉방장치
JPH08112495A (ja) * 1994-10-14 1996-05-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物干し装置
KR200268732Y1 (ko) * 2001-12-28 2002-03-18 주식회사 대연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의 와이어 엉킴 방지구조
KR200332501Y1 (ko) * 2003-07-15 2003-11-05 (주)우리기술 보조 걸이대를 구비한 빨래 건조대
KR100773868B1 (ko) 2006-12-12 2007-11-06 주식회사 대영 천정설치형 전동식 세탁물건조대 및 그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961B1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334B1 (ko)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0988762B1 (ko) 무대장비 승강기용 안전장치
KR102271961B1 (ko) 커버 안전기능이 구비된 전동식 빨래건조대
KR20200050555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EP3310986B1 (en) Door curtains with position sensor switches
US11142430B2 (en) Attic lift system
JPH08112495A (ja) 物干し装置
WO2015107505A2 (en) Elevator
CN209906249U (zh) 下降遇阻保护机构和动力模块及晾衣机
JPWO2018229905A1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装置
CN109750465A (zh) 晾杆上升遇阻保护装置和运行方法及晾衣机
JPWO2007039931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843325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개폐장치
JP6190719B2 (ja) 防水扉の動作制御装置及び防水扉
KR20170135756A (ko)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
EP2333230A1 (en) Hoist mechanism with slack rope switch for a vertically movable door
JP2899745B2 (ja) 電動シャッターにおける安全装置
JP4325528B2 (ja) 昇降物干し装置
KR200471349Y1 (ko) 전동식 빨래 건조대
KR200430678Y1 (ko) 동력 케이블 보호장치
JPS5925060Y2 (ja) 昇降装置
KR101992636B1 (ko) 캔버스도어의 문 추락방지 장치
JPH0519829Y2 (ko)
JP4634989B2 (ja) 照明器具
JPH11333197A (ja) 天井物干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