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306A -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306A
KR20210062306A KR1020190150357A KR20190150357A KR20210062306A KR 20210062306 A KR20210062306 A KR 20210062306A KR 1020190150357 A KR1020190150357 A KR 1020190150357A KR 20190150357 A KR20190150357 A KR 20190150357A KR 20210062306 A KR20210062306 A KR 20210062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vertaking
rear vehicle
area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준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0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2306A/ko
Publication of KR20210062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6Special anti-blinding beams, e.g. a standard beam is chopped or moved in order not to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3Driving situation
    • B60Q2300/338Overt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 차량의 전방에 전방 차량이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전방 차량 검출부; 주행 차량의 후측방에 후측방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후측방 차량 검출부; 상기 후측방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후측방 차량의 추월 가능성을 판단하는 연산부; 및 상기 전방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방 차량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후측방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후측방 차량의 상기 추월 가능성에 대한 정보에 따라 광 조사영역을 조절하여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사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 차량을 추월하는 차량의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AMP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전조등의 전방 ADB 시스템과 보완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차량에 대한 추월이 진행되는 동안 추월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조등은 야간 운행 등의 환경 하에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존재를 알리는 역할을 하는 조명장치이다. 전조등은 상향등과 하향등을 포함한다.
상향등은 전방 100m 거리에 있는 물체를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가지며 조명거리가 긴 상황에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향등은 대향 차량 또는 선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할 수 있다. 하향등은 30m 정도의 단거리에 있는 물체를 확인할 때 사용된다. 상향등과 하향등은 사용효과가 상이하므로, 차량 운행 환경에 맞게 상향등과 하향등의 광 조사 방향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등을 잘못 사용하면 대향 차량 또는 선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여 안전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DB(Adaptive Driving Beam) 시스템을 구비한 전조등이 제안되었다.
ADB 시스템은 대향 차량 또는 선행 차량이 감지되면, 광원의 조사 각도, 조사 영역, 광도 등을 자동을 조정함으로써, 대향 차량 또는 선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추월 차량(2)이 ADB 시스템에 의해 선행 차량(1)이라고 인식되기 전까지는, 추월 차량(2)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유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월 차량(2)이 주행 차량(1)의 전방으로 이동하며 추월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추월 차량(2)의 전측이 전조등의 조사 영역 내부로 진입하여 추월 차량(2) 운전자가 눈부심을 느낄 수 있다. 이는 카메라의 촬영 영역 내부로 추월 차량(2)의 후측이 진입하지 아니하여 ADB 시스템은 추월 차량(2)을 선행 차량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따라서 자동으로 전조등의 조사 범위가 조절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주행 차량(1)이 ADB 시스템을 구비하더라도, 주행 차량(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추월 차량(2)이 추월을 하는 동안, 추월 차량(2)의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015108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방 ADB 시스템과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하여 추월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은 주행 차량의 전방에 전방 차량이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전방 차량 검출부; 주행 차량의 후측방에 후측방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후측방 차량 검출부; 상기 후측방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후측방 차량의 추월 가능성을 판단하는 연산부; 및 상기 전방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방 차량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후측방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후측방 차량의 상기 추월 가능성에 대한 정보에 따라 광 조사영역을 조절하여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주행 차량에 대한 상기 후측방 차량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 검출부; 상기 상대속도를 기초로 상기 후측방 차량의 상기 주행 차량에 대한 추월 가능성을 판단하는 추월 판단부; 및 상기 광 조사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암영대로 형성하는 시점 및 상기 암영대의 범위를 연산하는 암영대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월 판단부는, 상기 후측방 차량이 상기 후측방 차량 검출부의 감지 영역을 벗어나는 순간, 상기 주행 차량에 대한 상기 후측방 차량의 상대속도가 양의 값을 가질때, 상기 후측방 차량의 상기 주행 차량에 대한 추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영대 결정부는, 상기 후측방 차량이 상기 후측방 차량 검출부의 감지 영역을 벗어나는 순간의 상기 상대속도를 고려하여 암영대의 범위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측방 차량 검출부에 의해 상기 후측방 차량의 존재가 감지된 후 제1 시간이 경과한 때, 상기 광 조사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암영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때는, 상기 후측방 차량이 감지 영역을 벗어나 상기 감지 영역의 전방으로 이동한 직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때는, 상기 후측방 차량이 상기 주행 차량을 추월한 후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측방 차량의 전측이 상기 조사장치의 조사 영역 내부로 진입할 때를 연산한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장치는, 상기 연산부에서 상기 후측방 차량의 추월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광 조사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암영대를 형성하고, 상기 암영대는 상기 후측방 차량의 주행이 예상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조사영역에 상기 암영대가 형성된 이후 제2 시간이 경과한 때에는, 상기 조사장치는 상기 전방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방 차량에 대한 정보에 따라 광 조사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시간이 경과한 때는, 상기 후측방 차량이 상기 주행 차량을 추월한 후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측방 차량에 구비된 한 쌍의 후미등이 상기 전방 차량 검출부에서 인식될 때를 연산한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장치는, 차량의 일 측에 배치되는 외곽영역; 및 상기 외곽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중심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측방 차량이 상기 주행 차량을 추월하면, 상기 외곽영역에 대응되는 광 패턴의 적어도 일부가 암영대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곽영역에 대응되는 광 패턴 중 암영대로 변경되는 부분의 범위는 상기 연산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 제어 방법은 주행 차량의 후측방에 형성되는 감지 영역의 내부로 후측방 차량이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후측방 차량 검출 단계; 상기 주행 차량에 대한 상기 후측방 차량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 연산 단계; 상기 후측방 차량이 상기 감지 영역을 벗어나 상기 감지 영역의 전방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추월 판단 단계; 조사장치의 암영대 형성시점을 연산하는 암영대 형성 시점 연산 단계; 및 상기 암영대의 범위를 결정하는 암영대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월 판단 단계는, 상기 상대속도가 양의 값을 가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후측방 차량이 상기 감지 영역 내부에서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추월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예방할 있다. 아울러 추월을 시도하는 후측방 차량이 추월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전조등이 소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주행 차량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월 차량의 위치별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추월 차량이 주행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조등의 점등 및 소등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식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은 주행 차량(10)의 전조등의 구동(즉,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며, 주행 차량(10)의 후측면에 위치한 추월 차량(20)이 주행 차량(10)의 전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추월 차량(20)에 탑승한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전조등의 일부 영역을 소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을 구비한 차량을 '주행 차량'이라 칭한다. 아울러, 주행 차량(10)의 후방 또는 후측방에 위치한 차량을 '추월 차량' 또는 '후측방 차량'이라고 칭한다. 추월 차량 또는 후측방 차량(20)은 주행 차량(10)의 후측방에서 주행하며 주행 차량(10)에 대한 추월을 시도한 차량 즉, 주행 차량(10)의 전방으로 이동한 차량(주행 차량의 추월에 성공한 차량) 및 주행 차량(10)의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은 차량(주행 차량의 추월에 실패한 차량)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주행 차량(10)의 '후측방'은 후방 및 후측방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추월 차량이 주행 차량을 '추월한 경우'나, 주행 차량에 대하여 '추월을 완료한 경우' 또는'추월에 성공한 경우'는 모두 추월 차량의 후측이 주행 차량의 전측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아울러, 주행 차량(10)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뿐 아니라 전방 ADB 시스템도 함께 구비하고 있다. 전방 ADB 시스템은 전방 차량의 주행을 감지하여 차량용 램프의 점등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은 후방 차량의 주행을 감지하여 차량용 램프의 점등 상태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은 전방 ADB 시스템과의 차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후방 ADB 시스템으로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과 전방 ADB 시스템은 상호 보완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월 차량(20)이 감지되기 전이나, 추월 차량(20)에 의한 추월이 완료된 후에는 전방 ADB 시스템에 의해 전조등의 점등이 제어되고, 추월 차량(20)이 감지되어 추월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에 의해 전조등의 점등이 제어될 수 있다. 전방 ADB 시스템이 구동되는 시점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은 주행 차량(10)의 전방에 전방 차량이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전방 차량 검출부, 주행 차량(10)의 후측방에 후측방 차량(20)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 상기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후측방 차량(20)의 추월 가능성을 판단하는 연산부(120), 상기 전방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방 차량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상기 후측방 차량(20)의 상기 추월 가능성에 대한 정보에 따라 광 조사영역을 조절하여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사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차량 검출부는 차량의 전방에서 주행 중인 전방 차량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방 차량 검출부는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방 차량 검출부는 차량 전방을 일정 범위(FOV) 내에서 촬영하는 카메라로 가정한다.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을 구비한 주행 차량(10)의 후측방에 접근하는 추월 차량(20)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는 레이다(Radar), 라이다(Lidar), 초음파, 카메라, 원적외선, 근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후측방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에 사용되는 센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행 차량(10)의 후측방으로 접근하는 추월 차량(20)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가 후측방 차량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영역을 감지 영역(BSD)이라 칭한다.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는 주행 차량(10)의 좌측 및 우측으로 접근하는 추월 차량을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 도 5 및 도 6에서는 주행 차량(10)의 우측에 구비된 후측방 차량 검출부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이에 의해 후측방 차량 검출부의 설치 개수나 설치 방향 등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는 후술할 연산부(120)와 하나의 모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가 감지 영역(BSD) 내부에 추월 차량(20)이 진입한 사실을 감지하면 연산부(120)가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을 벗어나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 및 전조등의 소등 시간 및 소등 영역을 계산할 수 있다.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을 벗어나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추월 차량(20)의 후측이 감지 영역(BSD)을 벗어나서 감지 영역(BSD)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황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와 같은 상황을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한 것으로 서술하겠다.
구체적으로, 연산부(120)는 상대속도 검출부(121), 추월 판단부(122), 암영대 결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속도 검출부(121)는 주행 차량(10)에 대한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를 연산한다. 서로 다른 물체 A, B에 대하여, A에 대한 B의 상대속도는 아래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식]
VAB=VB-VA
여기서, VAB는 A에 대한 B의 상대속도, VA는 A의 속도, VB는 B의 속도이다.
주행 중인 추월 차량(20)의 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두 차량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대속도를 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대속도 검출부(121)는 감지 영역(BSD) 내로 진입한 추월 차량(20)과 주행 차량(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리 측정은 주기적으로 이루어 진다. 추월 차량(20)과 주행 차량(10) 사이의 거리 측정은, 감지 영역(BSD) 내에 추월 차량(20)이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계속된다.
구체적으로, 주행 차량(10)과 추월 차량(20) 사이의 거리를 s, 거리 s의 측정의 주기를 T라 할 때, Δs/T를 통해 주행 차량(10)에 대한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를 구할 수 있다.
상대속도 검출부(121)에서 구한 주행 차량(10)에 대한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가 양의 값을 가지면, 추월 차량(20)이 주행 차량(10)보다 빠른 속도로 주행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추월 판단부(122)는 상대속도 검출부(121)에서 연산한 주행 차량(10)에 대한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를 기초로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를 통해 감지된 추월 차량(20)이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의 감지 영역(BSD)을 벗어나는 것은 두가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첫번째는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한 경우 즉, 추월 가능성이 있는 경우이다. 두번째는 추월 차량(20)이 주행 차량(10)의 후방으로 이동한 경우 즉, 추월 차량(20)이 추월에 실패한 경우이다.
추월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에 의해 감지된 추월 차량(20)이 더 이상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에 감지되지 않을 것, 추월 차량(20)이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의 감지 영역(BSD)을 벗어하는 순간 주행 차량(10)에 대한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가 양의 값을 가질 것의 두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한다.
이 두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즉, 추월 차량이 감지 영역의 전방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추월 차량이 추월에 성공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실제로 감지 영역의 전방으로 이동한 추월 차량이 추월에 성공하지 않더라도, 추월 판단부(122)는 추월 차량(20)이 추월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월 차량(20)이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에 의해 더 이상 감지되지 않더라도, 추월 차량(20)의 속도가 주행 차량(10)의 속도보다 느린 경우는, 추월 차량(20)이 주행 차량(10)의 후방으로 이동한 것이다. 이 경우는 후술할 암영대(SZ)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만약 추월 차량(20)이 추월을 실패한 경우에도 일부 광원을 소등하여 암영대(SZ)를 형성한다면, 주행 차량(10)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고 이는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은,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에 의해 감지되던 추월 차량(20)이 사라진 경우 일률적으로 추월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지 않고, 상대속도를 고려하여 추월에 성공한 경우 및 실패한 경우를 구분하여 판단함으로써, 주행 차량(10)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암영대 결정부(123)는 조사장치(130)의 조사 영역(LZ) 중 소등해야하는 암영대(SZ)의 범위를 연산할 수 있다. 조사장치(130)가 점등되는 경우 도로 상에 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사 영역(LZ)이라 칭한다. 조사장치(130)에 구비된 모든 광원이 점등된 경우, 추월 차량(20)이 주행 차량(10)의 전방으로 이동해 조사 영역(LZ) 내부로 진입하면, 추월 차량(20) 운전자의 눈부심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추월 차량(20)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사 영역(LZ) 중 일부 영역은 조사장치(13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거해야한다. 이처럼 광원이 모두 점등 되었을 경우의 조사 영역(LZ) 중 조사장치(130)로부터의 광이 제거된 부분을 암영대(SZ)라 칭한다. 암영대(SZ)의 형성은 조사장치(130)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 중 일부 광원을 소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암영대 결정부(123)는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한 경우에만 암영대(SZ)의 범위를 연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월 차량(20)이 주행 차량(10)의 후방으로 다시 이동한 경우 즉, 추월에 실패한 경우에는 주행 차량(10)의 전조등에 의한 추월 차량(20)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를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암영대 결정부(123)에 의한 암영대(SZ) 범위의 연산에 대하여 살펴본다.
암영대(SZ)의 범위는 추월 차량(20)이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의 감지 영역(BSD)을 벗어나는 순간, 주행 차량(10)에 대한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순간, 주행 차량(10)에 대한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에 따라 암영대(SZ)의 범위가 달라진다.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순간 주행 차량(10)에 대한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가 클수록 암영대(SZ)의 범위는 넓게 형성되고, 상대속도가 작을수록 암영대(SZ)의 범위는 좁게 형성된다. 이처럼 암영대 결정부(123)에 의해 결정된 암영대(SZ)의 면적을 반영하여 후술하는 조사장치(130)의 소등 영역이 결정될 수 잇다.
암영대 결정부(123)에 의해 암영대(SZ)의 범위가 연산되는 시점은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순간, 추월 차량(20)의 전측이 조사 영역(LZ)에 진입하는 순간 또는 양자 사이의 일 순간으로 특정될 수 있다. 이는 조사장치(1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등되는 시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암영대 결정부(123)는 암영대(SZ)를 형성하는 시점, 즉 조사장치(130)의 일부 영역을 소등하는 시점을 연산할 수 있다. 조사장치(130)가 소등되는 시점은 추월 차량이 주행 차량(10)의 감지 영역(BDS)을 벗어나 주행 차량(10)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시점에서, 주행 차량(10)에 대한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를 기초로 연산하는 가상의 시점이다. 조사 장치(130)가 소등되는 시점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사장치(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구비할 수 있다. 조사장치(130)에 구비된 광원은 픽셀 타입(pixel type), 매트릭스 타입(matrix type), DMD(Digital Micro mirror Devic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의 조사장치(130)는 매트릭스 타입의 광원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조사장치(130)에 구비된 광원의 종류는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조사 영역(LZ)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는 모든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을 구비한 주행 차량(10)은 전측에 한 쌍의 조사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주행 차량(10)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좌측에 구비된 조사장치(이하, '좌측 조사장치'라 칭함)(131) 및 우측에 구비된 조사장치(이하, '우측 조사장치'라 칭함)(132)를 도시하고 있다.
조사장치(130)는 차량의 일 측방에 배치되는 외곽영역과(131b, 132b) 외곽영역(131b, 132b)의 내측에 배치되는 중심영역(131c, 132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조사장치(130)는 외곽영역(131b, 132b)과 중심영역(131c, 132c)으로 구분되며, 외곽영역(131b, 132b)은 차량의 일 측에 배치되는 영역이고 중심영역(131c, 132c)은 외곽영역(131b, 132b)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한다.
좌측 조사장치(131)에 있어서는 차량의 좌측에 배치되어, 차량의 좌측 전방을 조사하는 부분이 외곽영역(131b)이고, 외곽영역(131b)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중심영역(131c)이다. 우측 조사장치(132)에 있어서는 차량의 우측에 배치되어, 차량의 우측 전방을 조사하는 부분이 외곽영역(132b)이고, 외곽영역(132b)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중심영역(132c)이다. 중심영역(131c, 132c)는 차량의 전방을 조사한다.
추월 차량(20)이 주행 차량(10)을 추월하면 조사장치(130)의 외곽영역에 배치된 광원이 소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월 차량(20)이 진행하는 일 측 외곽 영역이 소등될 수 있다. 만약 추월 차량(20)이 주행 차량(10)의 좌측으로 운행한다면 좌측 조사장치(131)의 외곽영역(131b)이 소등되고, 만약 추월 차량(20)이 주행 차량(10)의 우측으로 운행한다면 우측 조사장치(132)의 외곽영역(132b)이 소등될 수 있다. 만약 주행차량(20)의 양측에서 추월에 발생한다면, 좌측 조사장치(131) 및 우측 조사장치(132)의 외곽영역(131b, 132b)가 모두 소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외곽영역의 소등을 설명할 때는 어느 일 측 조사장치의 외곽영역이 소등한 것을 가정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외곽영역의 소등은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외곽영역의 범위는 연산부(120)에서 결정한 암영대(SZ)의 범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좌측 조사장치(131) 및 우측 조사장치(132) 각각에서 좌측 2열 및 우측 2열이 외각영역(131b, 132b)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외곽영역의 범위는 주행 차량(10)에 대한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암영대(SZ)의 범위를 반영하여 더 증가할 수도 있고, 더 감소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월 차량의 위치별 차량용 램프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추월 차량(2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조사장치(130)의 소등시간을 중심으로 구동시스템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도 5에서는 주행 차량(10)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촬영 영역(FOV)과 조사장치(130)의 조사 영역(LZ)을 동일하게 도시(음영처리된 부분을 포함한 삼각형 영역)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 영역(FOV)과 조사 영역(LZ)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주행 차량(10)의 후방에서 운행되는 차량(20a)이 주행 차량(10)의 감지범위 내에 진입(20b)한 시점(tb, 이하 '감지시점'이라 칭함)에, 주행 차량(10)의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는 추월 차량(20b)를 감지하기 시작하며 추월 시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시점(tb)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조사장치(130)의 외곽영역은 소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사장치(130)의 외곽영역이 소등되는 시점을 '소등시점'이라 칭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등시점은 암영대 결정부(123)에 의해서 연산되는 가상의 시점이다. 이하에서는 소등시점의 개념에 대하여 관념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등시점은 추월 차량(20c)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한 직후(tc)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등시점은, 추월 차량(20d)이 주행 차량(10)을 추월한 후 주행 차량(1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추월 차량(20d)의 전측이 조사장치(130)의 조사 영역(LZ) 내부로 진입하는 시점(td)을 의미할 수 있다.
추월 차량(20c)이 주행 차량(10)을 추월하더라도, 추월 차량(20c)의 전측이 조사장치(130)의 조사 영역(LZ) 내부로 진입하기 전까지는 조사장치(130)에 의한 눈부심이 유발되지 않는다. 따라서 추월 차량(20c)의 전측이 조사 영역(LZ) 내부로 진입하기 전까지는 종전의 조사 영역(LZ)을 그대로 유지하고, 추월 차량(20d)이 조사 영역(LZ) 내부로 진입한 후에 비로소 암영대(SZ)를 형성하도록 조사장치(130)의 외곽영역을 소등함으로써, 주행 차량(10) 운전자의 전방 시야확보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추월 차량(20c)의 전측이 조사 영역(LZ) 내부로 진입하는 시점은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를 기초로 암영대 결정부(123)에서 연산한 가상의 시점이므로, 실제로 추월 차량(20c)의 전측이 조사 영역(LZ) 내부로 진입하는 시점과는 상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사장치(130)의 소등시점은,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한 직후(tc)에서 추월 차량(20)의 전측이 조사 영역(LZ) 내부로 진입한 시점(td) 사이의 일 시점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조사장치(130)의 소등 범위는 암영대 결정부(123)에 의해 결정되는 암영대(SZ)의 범위를 반영하여 결정되는바, 암영대(SZ) 결정은 조사장치(130)의 소등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암영대(SZ) 결정시점은 늦어도 추월 차량(20)의 전측이 조사 영역(LZ) 내부로 진입한 시점(td) 이전이 되어야 한다. 아울러, 암영대(SZ) 결정은 추월 차량(20)이 주행 차량(10)을 추월하지 못한 경우는 수행될 필요가 없는바,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한 시점(tc) 이후에 암영대(SZ) 범위가 결정되면 족하다. 따라서, 암영대 결정부(123)에 의해 암영대(SZ)의 범위가 연산되는 시점은, 조사장치(130)의 소등시점과 마찬가지로,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한 직후(tc), 추월 차량(20)의 전측이 조사 영역(LZ) 내부로 진입하는 시점(td) 또는 양자 사이의 일 순간(tc~td)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소등시점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조사장치(130)의 점등은 주행 차량(10)의 전방 ADB 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소등 시점 이후 조사장치(130)의 제어가 다시 전방 ADB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시점을 '모드변경시점'이라 칭한다.
모드변경시점은 암영대 결정부(123)에서 연산되는 가상의 시점이다. 모드변경시점의 연산은, 조사장치(130)의 소등시점과 마찬가지로, 추월 차량(20)이 주행 차량(10)의 감지 영역(BDS)을 벗어나 주행 차량(10)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시점에 있어서, 주행 차량(10)에 대한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를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드변경시점의 개념에 대하여 관념적으로 설명하겠다.
전방 ADB 시스템은 주행 차량(10)의 전면에 대향 차량 또는 선행 차량이 감지되면 조사장치(130)에서 조사되는 광의 각도, 광도, 조사 영역(LZ)의 형태나 넓이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대향 차량 또는 선행 차량의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한다.
특히 전방 ADB 시스템에 의한 선행 차량의 인식은, 주행 차량(10)의 전방 카메라에 촬영되는 선행 차량의 후미등의 거동을 분석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전방 ADB 시스템이 선행 차량의 주행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선행 차량에 구비된 한 쌍의 후미등이 주행 차량(10)의 전방 카메라에 촬영될 것을 요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이 작동하지 않는 시점에 있어서, 주행 차량(10)의 조사장치(130)의 점등 제어는 전방 ADB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추월 차량(20)의 추월이 완료되어, 추월 차량(20)이 주행 차량(10)의 전방에서 운행되는 경우 즉, 추월 차량(20)이 선행 차량으로 변경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에 의한 조사장치(130)의 제어는 완료되고, 전방 ADB 시스템에 의한 조사장치(130)의 제어가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ADB 시스템의 구동 원리를 고려할 때, 상술한 모드변경시점은 주행 차량(10)에 구비된 전방 카메라에 추월 차량(20e)에 구비된 한 쌍의 후미등이 인식될 때가 될 수 있다. 이는 주행 차량(10)에 구비된 카메라의 촬영 영역(FOV) 내부로 추월 차량(20e)에 구비된 한 쌍의 후미등이 모두 진입한 시점(te)을 의미한다.
상술한 추월 차량(20e)의 후미등이 촬영 영역(FOV) 내부에 진입한 시점은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를 기초로 암영대 결정부(123)에서 연산한 가상의 시점이므로, 실제로 추월 차량(20)의 후미등이 촬영 영역(FOV) 내부에 진입한 시점과는 상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ADB 시스템이 가동되는 경우, 전방 차량과의 거리, 상대속도 등을 고려하여 조사장치(130)는 전(全) 영역이 다시 점등될 수도 있고, 소등 영역이 다시 조정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전방 ADB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이 작동하기 전에도 조사 장치(13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측방 차량 검출부(110)에 의해 추월 차량(20)이 감지되기 전이나 또는 추월 차량(20)이 추월에 성공하여 조사장치(130)의 소등시점이 도래하기 전에는 전방 ADB 시스템에 의해 조사 장치가 점등될 수 있다.
지금까지 주행 차량(10)을 추월하는 차량이 한 대인 경우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의 제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추월 차량(20)이 복수인 경우 특히, 두 대의 추월 차량(21, 22)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추월 차량이 주행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조사장치의 점등 및 소등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그래프에 도시된 on은 조사장치(130)의 외곽영역이 점등된 것을, off는 조사장치(130)의 외곽영역이 소등된 것을 의미한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조사장치(130)가 전방 ADB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조사장치(130)의 외곽영역이 점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해당할 뿐, 전방 ADB 시스템에 의한 조사장치(130)의 점등은 선행 차량의 주행 거동에 따라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의 단순화를 위하여 조사 영역(LZ) 및 음영대의 표시는 생략하였다.
제1 추월 차량(21)이 주행 차량(10)의 감지 영역(BSD)으로 진입하는 순간(210, t1) 조사장치(130)는 점등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상대속도 검출부(121) 및 추월 판단부(122)를 통해 제1 추월 차량(21)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추월 차량(21)이 주행 차량(10)의 감지 영역(BSD)을 벗어나 주행 차량(10)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순간(220, t2) 조사장치(130)는 점등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제1 추월 차량(21)의 전측이 주행 차량(10)의 조사 영역(LZ) 내부로 진입하는 순간(230, t3), 조사장치(130)의 외곽영역은 소등될 수 있다. 이때 t4는 주행 차량(10)에 대한 제1 추월 차량(21)의 상대속도 등을 고려할 때, 다시 전방 ADB 시스템에 의해 조사장치(130)가 점등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 즉, 제1 추월 차량(21)에 의한 모드변경시점이다.
제1 추월 차량(21)에 의한 소등시점(t3)부터 모드변경시점(t4) 사이에, 제2 추월 차량(22)이 주행 차량(10)의 감지 영역(BSD) 내부로 진입(t5)하고, 감지 영역(BSD)을 벗어나 주행 차량(10)의 전방으로 이동(t6)하는 경우(240)에도, 주사장치의 외곽영역은 계속 소등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추월 차량(22)의 전측이 조사 영역(LZ) 내부로 진입(250)하여 조사장치(130)의 외곽영역이 소등되어야 하는 시점(t7)이 도래한 경우, 제2 추월 차량(22)에 의한 영역의 소등시점(t7)이 제1 추월 차량(21)에 의한 소등시점(t3)과 모드변경시점(t4) 사이에 존재하면 조사장치(130)는 외곽영역의 소등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추월 차량(22)에 의한 모드변경시점(t8)이 제1 추월 차량(21)에 의한 모드변경시점(t4) 이후이므로, 조사장치(130)의 외곽부분이 점등되는 시점은 t4에서 t8으로 연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차량용 램프 시스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시스템 제어 방법은, 주행 차량(10)의 후측방에 접근하는 추월 차량(20)의 존재를 감지하는 후측방 차량 검출 단계(s11), 상기 주행 차량(10)에 대한 상기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 연산 단계(s12), 상기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추월 판단 단계, 조사장치(130)의 암영대 형성 시점을 연산하는 암영대 형성 시점 연산 단계(s15) 및 암영대(SZ)의 범위를 결정하는 암영대(SZ) 결정 단계(s1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측방 차량 검출 단계(s11)는 후측방 차량 감지 영역(BSD) 내부로 추월 차량(20)이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후측방 차량 검출 단계(s11)에서 감지 영역(BSD) 내부로 진입한 추월 차량(20)을 감지한 경우, 상대속도 연산 단계(s12)로 진입한다. 상대속도 연산 단계(s12)에서는 주행 차량(10)에 대한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를 연산한다. 이와 같은 상대속도 연산은 주기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상대속도를 연산한 후에는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추월 판단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추월 판단 단계는 주행 차량(10)에 대한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가 양의 값을 가지는지 판단하는 단계(s13) 및 추월 차량(20)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추월 차량(20)이 주행 차량(10)보다 더 빠른 속도를 가질 것,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을 벗어날 것의 두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월 차량(20)의 상대속도를 판단한 후 추월 차량(20)의 감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반대의 순서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두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추월 차량(20)의 주행 차량(10)에 대한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단계(s12)를 수행한다.
추월 판단 단계에서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조사장치(130)가 암영대(SZ)를 형성하는 시점 또는 조사장치(130)가 소등되는 시점을 연산할 수 있다(s15). 소등 시점 연산 단계(s15)는 추월 차량(20)이 감지 영역(BSD)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순간 추월 차량(20)의 주행 차량(10)에 대한 상대속도를 기초로 소등 예상 시점을 연산할 수 있다. 소등 예상 시점은, 전술한 차량용 램프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소등시점을 산술적으로 계산한 시점을 의미한다.
암영대(SZ) 결정 단계(s16)는 조사 영역(LZ) 중 광의 조사가 제거되어야 하는 암영대(SZ)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암영대(SZ)의 범위는 추월 차량(20)이 주행 차량(10)을 추월하는 순간 추월 차량(20)의 주행 차량(10)에 대한 상대속도를 기초로 연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주행 차량
20: 추월 차량
110: 후측방 차량 검출부
120: 연산부
121: 상대속도 검출부
122: 추월 판단부
123: 암영대 결정부
130: 조사장치
BSD: 감지 영역
FOV: 촬영 영역
LZ: 조사 영역
SZ: 암영대

Claims (15)

  1. 주행 차량의 전방에 전방 차량이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전방 차량 검출부;
    주행 차량의 후측방에 후측방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후측방 차량 검출부;
    상기 후측방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후측방 차량의 추월 가능성을 판단하는 연산부; 및
    상기 전방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방 차량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후측방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후측방 차량의 상기 추월 가능성에 대한 정보에 따라 광 조사영역을 조절하여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사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주행 차량에 대한 상기 후측방 차량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 검출부;
    상기 상대속도를 기초로 상기 후측방 차량의 상기 주행 차량에 대한 추월 가능성을 판단하는 추월 판단부; 및
    상기 광 조사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암영대로 형성하는 시점 및 상기 암영대의 범위를 연산하는 암영대 결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월 판단부는, 상기 후측방 차량이 상기 후측방 차량 검출부의 감지 영역을 벗어나는 순간, 상기 주행 차량에 대한 상기 후측방 차량의 상대속도가 양의 값을 가질때, 상기 후측방 차량의 상기 주행 차량에 대한 추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암영대 결정부는, 상기 후측방 차량이 상기 후측방 차량 검출부의 감지 영역을 벗어나는 순간의 상기 상대속도를 고려하여 암영대의 범위를 연산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방 차량 검출부에 의해 상기 후측방 차량의 존재가 감지된 후 제1 시간이 경과한 때, 상기 광 조사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암영대로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때는, 상기 후측방 차량이 감지 영역을 벗어나 상기 감지 영역의 전방으로 이동한 직후인, 차량용 램프 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때는, 상기 후측방 차량이 상기 주행 차량을 추월한 후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측방 차량의 전측이 상기 조사장치의 조사 영역 내부로 진입할 때를 연산한 시점인, 차량용 램프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장치는,
    상기 연산부에서 상기 후측방 차량의 추월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광 조사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암영대를 형성하고,
    상기 암영대는 상기 후측방 차량의 주행이 예상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영역에 상기 암영대가 형성된 이후 제2 시간이 경과한 때에는, 상기 조사장치는 상기 전방 차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전방 차량에 대한 정보에 따라 광 조사 영역을 조절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이 경과한 때는,
    상기 후측방 차량이 상기 주행 차량을 추월한 후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측방 차량에 구비된 한 쌍의 후미등이 상기 전방 차량 검출부에서 인식될 때를 연산한 시점인, 차량용 램프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장치는,
    차량의 일 측에 배치되는 외곽영역; 및
    상기 외곽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중심영역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방 차량이 상기 주행 차량을 추월하면, 상기 외곽영역에 대응되는 광 패턴의 적어도 일부가 암영대로 변경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영역에 대응되는 광 패턴 중 암영대로 변경되는 부분의 범위는 상기 연산부에 의해 결정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14. 주행 차량의 후측방에 형성되는 감지 영역의 내부로 후측방 차량이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후측방 차량 검출 단계;
    상기 주행 차량에 대한 상기 후측방 차량의 상대속도를 연산하는 상대속도 연산 단계;
    상기 후측방 차량이 상기 감지 영역을 벗어나 상기 감지 영역의 전방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추월 판단 단계;
    조사장치의 암영대 형성시점을 연산하는 암영대 형성 시점 연산 단계; 및
    상기 암영대의 범위를 결정하는 암영대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제어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월 판단 단계는,
    상기 상대속도가 양의 값을 가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후측방 차량이 상기 감지 영역 내부에서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90150357A 2019-11-21 2019-11-21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62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357A KR20210062306A (ko) 2019-11-21 2019-11-21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357A KR20210062306A (ko) 2019-11-21 2019-11-21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306A true KR20210062306A (ko) 2021-05-31

Family

ID=7615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357A KR20210062306A (ko) 2019-11-21 2019-11-21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23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1085A1 (en) 2003-12-18 2010-06-17 Gabriel Martinez Navarro Egg-product preparation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1085A1 (en) 2003-12-18 2010-06-17 Gabriel Martinez Navarro Egg-product preparation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8646B2 (en) Driving support apparatus for vehicle
JP453846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6048199B2 (ja) 車両用照明装置
EP1970249A2 (en) Vehicle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system
US20140355280A1 (en) Light distribution control system for vehicle
US9193297B2 (en) Vehicle light distribution control device and vehicle light distribution control method
JP2008189276A (ja) 車両用ランプシステム
US8564204B2 (en) Vehicle headlam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436696B2 (ja) 自動車の周囲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2011037342A (ja)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CN112896035A (zh) 车辆用投光控制装置及方法、车辆用投光系统
US10279729B2 (en) Light control device and light control program
JP2009096249A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07038878A (ja) 報知装置
KR102397537B1 (ko) 차량용 램프
CN109798491B (zh) 车辆用灯具
JP7081934B2 (ja) 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装置、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方法、車両用灯具システム
JP2012196999A (ja) 車両用照明装置及び方法
KR20210062306A (ko) 차량용 램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5167B1 (ko) 차량의 헤드램프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5033954A (ja) 車両用前照灯の点灯制御装置、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WO2013137324A1 (ja) 車載用照明装置
JP2004161082A (ja) 配光制御装置
JP2017177941A (ja) 車両の配光制御装置
JP5857760B2 (ja) 前照灯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