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951A - 클램핑 칼라 - Google Patents

클램핑 칼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951A
KR20210061951A KR1020200155578A KR20200155578A KR20210061951A KR 20210061951 A KR20210061951 A KR 20210061951A KR 1020200155578 A KR1020200155578 A KR 1020200155578A KR 20200155578 A KR20200155578 A KR 20200155578A KR 20210061951 A KR20210061951 A KR 20210061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retaining
strip
clamping system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노 쟈끌렝
크리스토프 샤농
Original Assignee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까이요 filed Critical 까이요
Publication of KR20210061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4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 F16L33/06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in which the threaded pin is rigid with the hose-encircl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pipe ends abutt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0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a material other than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돌출하는 클램핑 표면(1A, 2A)을 갖는 2개의 튜브(1, 2)를 연결하기 위한 클램핑 시스템. 이 시스템은 클램핑 표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스트립(12)을 갖는 칼라(10)를 포함한다. 스트립은 클램핑 표면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오목부(14)가 그 사이에서 획정되는 제1 및 제2 플랭크(13A, 13B)를 갖는다. 이 시스템은,
내부 오목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횡단-부재(22)와, 플랭크(13A, 13B)를 덮음으로써 횡단-부재에 비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날개부(24A, 24B)와, 적어도 하나의 유지 러그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유지부(26A, 26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클립(20)을 포함한다. 횡단-부재는 변형되어 내부 오목부 내로 침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램핑 칼라 {CLAMPING COLLAR}
본 발명은, 2개의 튜브를 연결하기 위한 클램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들 튜브의 마주하는 단부는 상기 튜브의 원통형 외부표면에 비해 돌출하는 클램핑 표면을 가지며, 클램핑 시스템은 상기 클램핑 표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스트립을 갖는 칼라를 포함하며, 칼라는 스트립의 직경에 있어서의 감소에 의해 조여질 수 있으며, 스트립은 클램핑 표면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오목부를 그들 사이에서 획정하는 제1 플랭크와 제2 플랭크를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클램핑 시스템은 유럽 특허문헌 EP 1 451 498에 공지되어 있다. 칼라의 스트립의 단면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V-형상 또는 U-형상을 가져서, 이 단면에서 볼 때 날개부는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 및 제2 튜브의 클램핑 표면 상에 각각 지지된다. 따라서, 칼라의 조임은 튜브들을 서로에 대항하여 클램핑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V-형상 단면은, 칼라의 조임시, 튜브들을 서로 더욱 가까워지도록 하는 한에 있어서는 흥미롭다.
예를 들어, 칼라는 나사 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여진다. 따라서, 스트립의 단부는, 나사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는 지지 러그들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솟아오를 수 있다. 나사의 머리부는 이들 러그 중 하나에 대해 유지되는 한편, 너트는 다른 러그에 대해 유지되어서, 나사와 너트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은 스트립의 직경에 있어서의 감소에 의해 칼라의 조임을 야기시킨다. 그렇지만, 스트립의 직경에 있어서의 이러한 감소는, 특히 스트립으로부터 솟아올라 있는 후크 및 스트립으로부터 역시 솟아올라 있는 러그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스트립의 일단이 타단에 걸림으로써, 상이하게 성취될 수 있으며, 여기서 후크는 조임 상태로 칼라를 유지하기 위해 러그의 뒤에 걸려 있다.
문헌 EP 1 451 498에 있어서, 클램핑 시스템은 와셔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이 와셔는 와셔가 포함하는 고정 러그에 의해서 칼라에 체결되어 있고, 이 와셔는 또한 칼라가 제1 튜브의 단부에 사전-장착될 때 이 제1 튜브를 파지할 수 있는 러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전-장착(pre-mounted)"이란, 칼라가 조여짐 없이, 칼라의 내측에 단순히 끼워져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튜브의 단부 주위에 사전-장착된 상태로 칼라를 유지한다는 것은, 2개의 튜브를 맞대기 전에 그리고 조립된 단부 주위에 칼라의 스트립을 조이기 전에, 칼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럽 특허문헌 EP 2 598 785는, 일단 제1 및 제2 튜브가 서로 더욱 가까워지고 칼라에 끼워지면, 제1 및 제2 튜브에 칼라를 사전-장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사전-장착 수단을 시스템에 장착하는 부품을 제안한다. 이는 2개의 튜브를 제자리에 유지시키지 않고도 칼라의 조임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특허문헌에서, 제1 및 제2 사전-장착 수단은, 특히 제1 플랭크에 의해, 칼라의 스트립에 의해 운반(carried)되는 단일의 와셔, 또는, 2개의 와셔 즉 특허문헌 EP 1 451 498의 시스템의 와셔와 유사한, 제1 플랭크에 의해 운반되는 제1 와셔 및 제2 플랭크에 의해 운반되는 제2 와셔에 형성될 수 있다.
유럽 특허문헌 EP 3 217 059는 전술한 유형의 칼라, 와셔, 및 사전-장착 클립을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을 제안한다. 와셔는 칼라에 대해 유지되고 튜브들 중 하나의 클램핑 표면에 사전-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러그를 구비한다. 사전-장착 클립은 개별 클립으로서, 플랭크들 중 하나에 핀칭 가공됨으로써 스트립에 대해 유지되고, 튜브들 중 다른 하나의 클램핑 표면에 사전-장착된다.
전술한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만족스럽지만, 튜브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전-장착이 수행되도록 하나 또는 2개의 와셔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들 와셔는 칼라의 내주와 유사한 내주를 가지며, 비교적 많은 양의 재료를 나타낸다. 게다가, 둘레 전체에 걸쳐 칼라의 스트립에 대해 올바르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상호작용하는 각각의 튜브의 단부를 칼라에 대해 올바르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교적 복잡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더욱이, 몇몇 경우에 있어서, 와셔는 사전-장착의 기능 외의 기능, 예를 들어 밀봉 기능을 수행해야만 한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기능은 와셔가 정확한 두께를 가지는 경우에만 보장될 수 있는데, 이는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 사전-장착 러그가 가져야하는 탄성과 항상 호환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러그는 동일한 스트랩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와셔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와셔 및 개별 클립의 조합은 2개의 튜브의 클램핑 표면에 대한 사전-장착을 수행하는 것에 대하여는 흥미롭지만, 여전히 튜브들 중 하나에 대한 사전-장착을 위하여 복잡한 형상의 와셔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상이한 공정에 따라서 다양한 요소들을 장착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는 2개의 튜브를 연결하기 위한 클램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들 튜브의 마주하는 단부는 상기 튜브의 원통형 외부표면에 비해 돌출하는 클램핑 표면을 가지며, 상기 클램핑 시스템은 상기 클램핑 표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스트립을 갖는 칼라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는 상기 스트립의 직경에 있어서의 감소에 의해 조여질 수 있으며, 상기 스트립은 클램핑 표면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오목부가 그 사이에서 획정되는 제1 및 제2 플랭크를 가지며, 상기 클램핑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유지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 클립은:
- 상기 내부 오목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횡단-부재와,
- 상기 제1 및 제2 플랭크를 각각 덮음으로써 상기 횡단-부재에 비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날개부와,
- 상기 횡단-부재에 비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러그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횡단-부재는 상기 칼라의 조임시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횡단-부재가 칼라의 조임시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은, 칼라의 조임시, 횡단-부재의 배열(configuration)이 변화하여 이 횡단-부재가 그러한 조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횡단-부재는 변형 및/또는 파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횡단-부재는, 상기 날개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선택적으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유지 러그는 상기 날개부의 내부 가장자리부에 부착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트립은 상기 제1 및 제2 플랭크 사이에서 연장되는 환형 리지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 클립은 상기 환형 리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리지 러그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상기 환형 리지부는 상기 리지 러그가 상호작용하는 웨지부를 가지며, 상기 웨지부는 상기 리지 러그가 침입하는 구멍 또는 함몰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칼라의 비-조임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는 간극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플랭크를 각각 덮는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부 오목부 내로 침입하기 위한 상기 횡단-부재의 변형을 용이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는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서 결합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날개부들은 반경방향 외측 단부들의 공간(spacing)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횡단-부재는 만입부를 갖는 내측으로 절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부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상기 만입부는 2개의 림 부분 사이에서 획정되는 노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림 부분 중 하나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탭-형상 부분을 선택적으로 갖는다.
대안적으로, 클램핑 시스템은, 상기 스트립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지 클립과 상호작용하는 환형 시일을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유지 클립은 플레이트, 예를 들어 스트랩으로부터 절단 및 절첩되는 금속 부품의 형태로, 일체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웨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횡단-부재의 양쪽에 위치되는 2개의 유지 러그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클램핑 시스템은 각도 간격을 두고 분포된 복수의 유사한 유지 클립들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횡단-부재는 변형되어 상기 내부 오목부 내로 침입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유지 클립은, 간단한 구성의 단일 요소로, 2개의 튜브의 클램핑 표면에 대한 사전-장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스트립 둘레의 소망하는 위치에 유지 클립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각도 간격을 두고 분포된 여러 개의 유지 클립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또는 각각의 유지 클립은 2개의 튜브에 대해 사전-장착을 단독으로 수행한다. 클립과 클램핑 표면 사이의 결합 영역은 클립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규정되며, 이는 사전-장착의 유지력 분포를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결합 영역은 축선방향으로 정렬된다.
클램핑 시스템이 시일을 더 포함하는 경우, 사전-장착을 수행하는 시스템 부분, 즉, 본 경우에 있어서 사전-장착 클립(들)과는 비상관화(decorrelated)될 수 있으므로, 시일의 재질과 형상에 대해 큰 자유도를 갖는다. 시일은 특히 다층 또는 복합(예를 들어 운모-계) 시일일 수 있고/있거나 표면 처리를 받은 스테인리스강 타입의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나타낸 일 실시형태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본 개시는 더욱 잘 이해될 것이고 그 이점은 더욱 잘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클램핑 시스템 및 2개의 튜브의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 시스템을 이들 단부에 조립하기 전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클램핑 시스템의 유지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 III에서의 단면도로서, 2개의 튜브의 단부가 클램핑 시스템과 사전-장착되어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칼라의 축선(A)에 직각인 평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3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6은 이 변형예에 사용되는 유지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유지 클립과 시일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3 및 5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9는 이 다른 변형예에 사용되는 유지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1은 이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3, 5 및 8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2는 이 또 다른 변형예에 사용되는 유지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이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유지 클립과 시일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칼라가 조임 상태일 때를 도시한 도 8 및 9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3, 5, 8 및 11과 유사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클램핑 시스템의 칼라는, 예를 들어, 문헌 EP 1 451 498, EP 2 598 785, 및 EP 3 217 059에 기재된 것과 일반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특히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칼라(10)는 제1 플랭크(flank)(13A) 및 제2 플랭크(13B)를 갖는 스트립(12)을 포함하며, 이들 플랭크 사이에는 내부 오목부(14)가 획정된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칼라의 축선(A)(즉 칼라의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 링의 축선(A))을 향하여 배향되는 요소, 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들에 비해 이 축선(A)에 가까운 요소는 "내부(inner)" 요소라고 언급될 것이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외부(outer)" 요소라고 언급될 것이며, 또한 이 "외부" 요소는 축선(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것이다.
클램핑 시스템은 2개의 튜브를 그 단부에서 연결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도 1은 제1 튜브(1) 및 제2 튜브(2)를 도시하며, 이는 각각의 원통형 외부표면에 비해 돌출하는 제1 클램핑 표면(1A) 및 제2 클램핑 표면(2A)을 각각 갖는다. 튜브(1 및 2)들의 조립을 위하여, 클램핑 시스템은 클램핑 표면(1A 및 2A)들이 스트립(12)의 오목부(14) 내에 위치되도록 조립될 튜브의 단부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플랭크(13A 및 13B)들은 클램핑 표면(1A 및 2A)과 각각 상호작용하여, 칼라의 클램핑이 이들 2개의 단부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트립(12)은 실질적으로 U자-형상 또는 V자-형상을 갖는다. 본 경우에 있어서, 스트립이 상대적으로 넓은 환형 리지부(ridge portion)(13C) (스트립의 폭은 축선(A)에 평행한 치수임)를 가지기 때문에 단면 형상은 U자 및 V자 형상을 조합한 혼합 유형을 갖는 한편, 플랭크(13A 및 13B)들은, 축선(A)을 향하여 배향됨과 함께 각각의 내부 가장자리(13'A 및 13'B)를 향해 갈수록 서로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V자 형상의 가지부(branches)처럼 경사져 있다. 나아가서, 본 경우에 있어서 플랭크(13A 및 13B)는 축선(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될 때까지 내부 가장자리(13'A 및 13'B)에서 약간 구부러져 있다.
이들 부분에 대하여, 클램핑 표면(1A 및 2A)들은 서로 마주하는 튜브의 자유단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가져, 예를 들어 절두원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조립될 튜브의 단부의 클램핑 표면에 대한 칼라의 조임은, 이들 단부를 서로 더욱 가까워지도록 하는 경향을 갖는다. 본 경우에 있어서, 제1 튜브(1)의 자유단부는, 클램핑 표면(1A)의 상단으로부터, 튜브의 축선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도록 반경방향 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단부 표면(1B)을 갖는다. 특히, 이러한 단부 표면(1B)은 제2 튜브의 클램핑 표면(2A)의 내주에 알맞은 절두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조립시, 튜브(1 및 2)의 축선은 명백히 정렬되며 칼라의 축선(A)과 동축이다.
칼라(10)를 조이면, 스트립(12)의 직경은 감소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스트립(12)은, 지지 러그를 형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솟아오르는 단부(각각 12A 및 12B)를 갖는다. 이들 러그를 통하여 나사(16)의 로드(16A)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이들 러그는 구멍을 갖는다.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나사의 머리부는 러그(12A)에 대해 유지될 수 있는 한편, 너트(18)는 러그(12B)와 상호작용해서, 나사결합 방향으로의 나사와 너트의 상대 회전은 지지 러그(12A 및 12B)들을 서로 더욱 가까워지게 하며, 그에 따라 감겨진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 링의 내부직경을 감소시키며, 이는 칼라를 조이도록 한다. 또한 이 나사는 2개의 너트와 상호작용하는 나사산을 갖춘 로드일 수도 있다.
클램핑 시스템은 튜브(1 및 2)의 단부에 이 사전-장착된 시스템을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클립(20)을 포함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클램핑 시스템은 칼라의 원주를 따라서 각도를 두고 분포되어 있는 복수의 유지 클립을 포함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시스템은 4개의 유지 클립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그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유지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클립(20)은, 유지 클립이 칼라 상에서 정위치될 때, 오목부의 내측에서 이 내부 오목부(14)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횡단-부재(22)를 포함한다. 유지 클립은 횡단-부재(22)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날개부(각각 24A 및 24B)를 더 포함한다. 유지 클립이 스트립 상에서 정위치될 때, 날개부(24A 및 24B)들은 제1 플랭크(13A)와 제2 플랭크(13B)를 각각 덮는다.
날개부(24A 및 24B)가 횡단-부재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는 것은 이들 날개부가 횡단-부재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날개부들은 엄격하게 반경방향 평면에서 연장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본 경우에 있어서, 날개부(24A 및 24B)는 클램핑 시스템의 축선(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로 더욱 가까워지게 경사져 있다. 각각의 날개부(24A 또는 24B)는 각각의 플랭크(13A 또는 13B)와 국부적으로 중첩됨으로써 이 플랭크의 외측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날개부는 칼라의 스트립 일부가 위치되는 일종의 하우징을 획정한다.
또한 유지 클립은 제1 및 제2 유지부(각각 26A 및 26B)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유지부(26A 및 26B)는, 튜브의 단부 상에서 이 시스템을 사전-장착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1A) 및 제2 튜브의 클램핑 표면(2A)과 각각 상호작용한다. 각각의 유지부는 횡단-부재(22)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러그를 포함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유지부(26A 및 26B)는 횡단-부재(22)에 비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2개의 유지 러그(각각 27A, 28A 및 27B, 28B)를 포함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날개부(24A 또는 24B)에 대하여, 유지부(26A 또는 26B)는 횡단-부재(22)의 양쪽에서 연장되는 2개의 유지 러그(각각 27A, 28A 및 27B, 28B)를 포함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유지 러그는, 축선(a)에 접근함에 따라, 축선(A)에 대해 직각인 칼라의 중간 반경방향 평면(P)에 더욱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유지 러그의 자유단부는 이 반경방향 평면을 향하여 그리고 축선(A)을 향하여 배향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날개부의 측부에 위치된 유지 러그, 예를 들어 날개부(24A)의 측부에 위치된 유지 러그(27A)는, 그 자유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다른 날개부의 측부에 위치된 유지 러그, 예를 들어 날개부(24B)의 측부에 위치된 유지 러그(27B)에 더욱 가까워진다.
횡단-부재(22)는 내부 가장자리(각각 24'A 및 24'B)에 부착됨으로써 날개부(24A 및 24B) 사이에서 연장된다. 노치부(25)는 횡단-부재와 각각의 유지 러그와의 사이를 획정하며, 이는 유지 러그의 변형 및 움직임 그리고 횡단-부재(22)의 변형 및 움직임이 서로 관련되지 않도록 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유지 러그(27A, 28A, 27B, 28B)는 또한 날개부의 내부 가장자리(24'A, 24'B)에 부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의 비-조임 상태에서, 유지 클립은 스트립에 장착되어 있고, 횡단-부재(22)는 내부 오목부(14)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다시 말해서 횡단-부재는 이 오목부에 대하여 내부 다리 형상을 어느 정도 형성한다. 사전-장착 단계에 있어서, 튜브(1 및 2)의 클램핑 표면(1A 및 2A)의 상단부는 횡단-부재(22)의 내측부 상에 위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부재와 접촉될 수 있다. 칼라의 조임시, 스트립의 직경은 감소되고 플랭크(13A 및 13B)들은 각각 클램핑 표면(1A 및 2A)에 대항하여 위치된다. 이것은 클램핑 표면이 오목부(14) 내로 침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허용하기 위해, 횡단-부재(22)는,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오목부의 내부 벽에 대항하여 가압될 때까지 변형됨으로써, 또는 파괴됨으로써, 제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칼라의 스트립(12)은 제1 및 제2 플랭크(13A 및 13B) 사이에서 연장되는 환형의 리지부(13C)를 갖는다. 이러한 리지부는 플랭크(13A 및 13B)들이 만나는 영역이다. 유지 클립은 환형의 리지부(13C)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경우에 있어서, 유지 클립(20)은 환형의 리지부(13C)를 부분적으로 덮는 리지 러그(각각 30A, 30B)들을 갖는다. 본 경우에 있어서, 리지 러그(30A 및 30B)들은 날개부(24A 및 24B)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24"A 및 24"B)로부터 연장된다. 리지 러그(30A 및 30B)들은 서로를 향하여 배향되어 있다. 본 경우에 있어서, 리지 러그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배향된, 후크식으로 만곡되는 단부(각각 30'A 및 30'B)를 포함하며, 스트립의 웨지부와 상호작용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웨지부는 리지 러그의 후크식 단부가 침입하는, 환형 리지부의 구멍(13'C)을 포함한다. 따라서 리지 러그 및 구멍(13'C)은 칼라의 스트립(12)에 대해 유지 클립(20)을 끼워넣도록 작용한다. 또 다른 끼워맞춤 구성이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리지 러그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길게 연장되지 않고 후크 식으로 만곡될 수 있으며, 구멍은 이들 만곡된 단부가 침입하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내려가는 함몰부로 대체될 수 있거나, 또는 날개부나 리지 러그와 상호작용하는 돌출부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칼라의 조임 상태에서, 날개부(24A 및 24B)가 시기적으로 부적절하게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경향을 가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리지 러그와 웨지부 사이의 상호작용은 반경방향 외측 단부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에 대항하여 날개부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지만, 유지 클립이 정위치에 있지 않거나 이러한 상호작용이 중단될 때 날개부는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유지 클립이 칼라의 스트립 상에서 정위치에 있고 사전-장착이 수행되고 있을 때, 클램핑 표면(1A 및 2A)은 칼라와 각각의 클램핑 표면과의 사이의 상대적인 축선방향 이동의 끝에서 횡단-부재(22)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맞물리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축선방향 이동 동안에, 클램핑 표면(1A 및 2A)의 반경방향 상단부는 유지 러그(27A, 28A 및 27B, 28B)와 각각 상호작용해서, 해당 클램핑 표면이 중간 반경방향 평면(P)에 대한 접근 방향으로 움직여 이들 러그의 자유단부를 넘어설 때까지 이들 러그는 일시적으로 후퇴될 수 있다. 이러한 후퇴시, 레버 효과로 인해 날개부(24A 및 24B)가 서로 약간 멀어지도록 움직일 수 있는데, 이는 자연적인 탄성 및/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지 러그를 스트립에 연결하는 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날개부를 함께 연결하는 웨지부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일단 해당 클램핑 표면(1A 또는 2A)이 해당 유지 러그(27A, 28A 또는 27B, 28B)의 자유단부를 넘어 중간 반경방향 평면(P)에 도달하면, 이들 유지 러그는 자연스럽게 초기 자세로 복구될 수 있어서, 유지 러그의 각각의 자유단부는 각각의 클램핑 표면(1A, 2A)에 대항하여 지지되게 된다.
더욱이, 본 경우에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웨지부는 스트립의 원주를 따라서 유지 클립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의 비-조임 상태에서, 제1 및 제2 날개부(24A, 24B)는 간극을 갖고 제1 및 제2 플랭크(13A, 13B)를 각각 덮으며, 해당 날개부의 내부표면과 해당 플랭크의 외부표면과의 사이에는 공간부(E)가 획정되어 있다. 이러한 간극은 날개부에 대한 변위 및 유지 러그에 대한 변위에 있어서 어느 정도 자유도를 부여하며, 스트립에 대한 유지 클립의 장착 및 전술한 사전-장착 도중의 유지 러그의 후퇴를 용이하게 한다.
날개부(24A 및 24B)는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서 결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날개부는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서 서로로부터 멀어질 수 있는 반면, 날개부는 횡단-부재(22)를 통하여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 클립은 스트립의 내측을 통하여 스트립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클립을 스트립 아래로 하여, 날개부(24A 및 24B)들을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해서, 날개부들 사이에 존재하는 내부 공간 내로 스트립을 삽입하고, 날개부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플랭크(13A 및 13B)를 덮도록 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또한 리지 러그를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가져와,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4A 및 24B)는 리지 러그(30A, 30B)가 연장되는 반경방향 외측 단부(24"A, 24"B)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다. 특히 도 2에서, 횡단-부재(22)는 만입부(indentation)를 갖고 내측으로 절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첩 가장자리부를 갖는다. 본 경우에 있어서, 도 2는 축선(A)을 가로지르는 횡단-부재(22)의 하나의 가장자리부(22')를 도시한다. 이러한 가장자리부(22')는 내측으로 절첩된 림(rim) 부분(각각 23A 및 23B)을 가지며, 그 사이에 노치부(23C)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횡단-부재(22)의 반대쪽 가장자리부(22")는, 축선(A)에 직각이고 횡단-부재(22)의 중심선(LM)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유사하며, 이 중심선은 횡단-부재(22)의 폭의 중간을 통과하며, 이 폭은 축선(A)에 평행하게 측정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가장자리부(22' 및 22")의 만입부는, 내측으로 절첩되는 2개의 림 부분 사이에서 획정되는 노치를 포함한다. 림 부분(23B)은 내측으로 더욱 연장되는 탭-형상 부분(23'B)을 갖는다. 도 3 및 4A를 참조하면, 튜브의 단부에 대한 클램핑 시스템의 사전-장착 상태에서, 클램핑 표면(1A 및 2A)의 상단부는 림 부분(23A 및 23B)의 자유 가장자리부와 접촉할 수 있으며, 클램핑 시스템에 대한 튜브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튜브에 대한 클램핑 시스템의 고정을 촉진한다. 림 부분(23A 및 23B)은 클램핑 시스템 내로 튜브의 클램핑 표면을 삽입하기에 충분한 직경 치수를 형성하기 위해 외측으로 절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클램핑 시스템은 튜브들 사이에 밀봉 와셔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전-장착 상태에서, 튜브(1)의 단부 표면(1B)과 튜브(2)의 클램핑 표면(2A)의 내부면과의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한다. 횡단-부재의 가장자리부(22' 및/또는 22")의 탭-형상 부분(23C)(이하, 단순히 '탭'이라고도 함)은 이러한 간격 내에 끼워맞춰지고, 그에 따라 튜브에 대한 클램핑 시스템의 정확한 위치결정에 기여한다. 특히, 탭은, 해당 튜브의 클램핑 표면 반대쪽에 클램핑 시스템을 끼움으로써, 튜브들 중 하나에 대한 초기 재장착(initial remounting)에 기여할 수 있다. 이 탭은 튜브의 단부에 대한 클램핑 표면의 삽입시 지대주(abutment)로서 기능한다.
클램핑시, 전술한 바와 같이, 횡단-부재(22)는 스트립의 오목부(14)의 내부 벽에 대항하여 가압되도록 변형되고, 탭(23C)은 튜브의 단부가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제거된다.
사전-장착을 위하여, 여러 유지 클립이 스트립 상에 먼저 위치된다. 그 다음, 클램핑 시스템은 유지 러그(27A, 28A 또는 27B, 28B)에 의해 튜브들 중 하나의 튜브의 클램핑 표면(1A 또는 2A)에 유지될 때까지 이 하나의 튜브의 단부로 이동하고, 그런 다음 유지 러그(27B, 28B 또는 27A, 28A)에 의해 튜브들 중 다른 하나의 튜브의 클램핑 표면(2A 또는 1A)에 유지될 때까지 이 다른 하나의 튜브의 단부로 이동한다.
이하,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르면, 클램핑 시스템은 튜브(1 및 2)의 마주하는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40) 특히 밀봉 와셔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와셔는, 예를 들어, 튜브의 마주하는 표면과 밀봉식으로 접촉하기 위해서 튜브의 클램핑 동안에 압축되어 변형될 수 있는 절두원추형 링 형상을 갖는다. 유지 클립(20)은 이전의 도면에 도시된 것과 실제로 동일할 수 있다. 유지 클립은 횡단-부재(22)의 절첩 가장자리부(22' 및 22")의 만입부의 형태에서 상이할 수 있다. 실제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 가장자리부(22')의 만입부는 2개의 림 부분(123A, 123B)과 그 사이에 배열된 노치부(123C)를 가지지만, 이 림 부분은 전술한 림 부분(23b)과는 달리 탭-형상으로 연장된 부분을 갖지 않는다. 림 부분(123A 및 123B)은 전술한 림 부분(23A 및 23B)과 마찬가지로 튜브의 클램핑 표면의 상단부와 접촉한다. 노치부(123C)는 밀봉 와셔(40)의 환형상 외부 가장자리(40')를 수용하며 그에 따라 밀봉 와셔를 축선방향으로 끼워맞춘다. 따라서, 여러 유지 클립들이 칼라의 스트립에 우선 배치되고, 그 다음 밀봉 와셔가 칼라 내에 "내장(embedded)" 됨으로써 여러 유지 클립의 노치부(123C)에 의해 유지되도록 클램핑 시스템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클램핑 시스템은, 유지 러그(27A, 28A) 또는 유지 러그(27B, 28B)에 의해 클램핑 표면(1A 또는 2A)에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튜브들 중 하나의 단부에 사전-장착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다른 유지 러그(27B, 28B 또는 27A, 28A)에 의해 클램핑 표면(2A 또는 1A)에 사전-장착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다른 하나의 튜브의 단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 다른 형태의 시일을 사용하는 다른 변형예가 설명된다. 이 다른 변형예에서, 유지 클립(20)은 이전에 설명된 것과 거의 동일하다. 클램핑 시스템은,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운모와 같은 더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예를 들어 비드(bead) 등과 같은 환형 시일(140)을 포함한다. 도 8에서 이러한 환형 시일이 본 장치를 사용하여 조립되는 튜브(101 및 102)의 마주하는 표면 사이에 배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튜브는 이전에 설명한 것과 약간 상이하다. 이것들은 전술한 클램핑 표면(1A 및 2A)과 유사한 클램핑 표면(101A 및 102A)을 갖지만, 그것들의 마주하는 표면은 시일(140)을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101'A)을 획정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하우징(101'A)은 튜브(101)의 단부에서 환형 홈에 의해 만들어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클립(20)의 횡단-부재(22)의 가장자리부의 만입부는 이전에 설명된 것과 약간 상이하다. 본 경우에 있어서, 이들 만입부는, 각각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2개의 림 부분(223A 및 223B) 사이에 배열된 노치부(223C)를 포함한다. 림 부분(23A 및 23B) 사이에서 측정된 노치부(223C)의 폭은 시일(140)의 두께를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도 8에서 시일(140)이 림 부분(223A 및 223B) 사이에 끼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일은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핑 시스템에 내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13을 참조하여 또 다른 변형예가 설명된다. 이들 도면에서, 도 1 내지 7에 대응하는 요소는 300을 더한 부재번호가 부여된다.
도 10은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클램핑 표면(301A 및 302A)을 갖는 2개의 튜브(301 및 302)를 도시한다. 클램핑 표면(301A)을 넘어서, 튜브(301)는 슬리브(301C)에 의해 연장되고, 표면(301B)은 클램핑 표면(301A)과 슬리브(301C) 사이에 배열되고 튜브의 자유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축선(A)에 접근한다. 튜브(202)의 단부는 슬리브(301C)를 수용하는 플레어 부분을 갖는다. 이것은 단지 예일 뿐이며, 튜브는 이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클램핑 시스템은 칼라(310)를 포함하며, 본 경우에 있어서 칼라는, 클램핑 러그(312A 및 312B) 사이에 위치된 내부 공간을 잇기(bridge) 위해 스트립의 단부들 중 하나를 연장시킨 플랜지(312')를 포함한 스트립(312)을 포함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은 V자-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플랭크(313A 및 313B) 사이에서 연장되는 환형의 리지부(313C)는 축선(A)에 평행하게 측정되는 작은 폭을 갖는다.
유지 클립(320)은 이전에 설명된 클립(20)과 약간 상이하다. 유지 클립(320)은 날개부(324A, 324B)와 유지부(326A 및 326B)를 포함하며, 이 유지부는 유지 러그(327A, 328A 및 327B, 328B)를 포함한다. 또한 유지 클립(320)은 이전에 설명된 횡단-부재(22)와 유사한 횡단-부재(322)를 갖는다. 횡단-부재(322)의 가장자리부는 림 부분(323A 및 323B) 사이에 배치되는 노치부(323C)를 포함하는 만입부를 갖는다.
한편 본 변형예는 칼라의 스트립과 유지 클립 사이에 웨지부의 형태가 이전의 것과는 상이하다. 본 경우에 있어서, 날개부(324A 및 324B)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는 리지 러그(각각 330A 및 330B)에 의해 연장된다. 이들 러그는 유지 클립(320)의 길이를 따라 오프셋되며, 이 길이는 본 경우에 있어서 칼라의 스트립의 원주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리지 러그(각각 330'A 및 330'B)의 자유단부는 내측으로 절첩되어 후크를 형성한다. 이전의 변형예와는 달리, 이들 러그는 스트립에 형성된 웨지부 내로 걸리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의 날개부에 제공된 러그는 다른 날개부에 걸린다. 따라서, 날개부(324B)는 리지 러그(330A)의 단부(330'A)를 위한 걸림 부분(325B)을 포함하고, 마찬가지로 날개부(324A)은 리지 러그(330B)의 단부(330'B)를 위한 걸림 부분(325A)을 포함한다. 이것은, 2개의 날개부(324A 및 324B)를 서로에 대해 유지하면서 반경방향 외측 단부(각각 324"A 및 324"B)가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경향을 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걸림 부분(325A 및 325B)은 날개부 내의 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물론 이는 예를 들어 함몰부와 같은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날개부는 반경방향 외측 단부의 공간(spacing)에 대해 유지될 수 있지만, 리지 러그들이 이 공간을 허용하기 위해 걸림해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유지는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클립을 칼라의 스트립에 위치시키기 위해, 리지 러그의 단부가 걸림 형태에 비해 결합해제되어, 날개부들을 서로 이격시키고 스트립(312)이 날개부(324A 및 324B) 사이에 배열된 공간에 수용될 때까지 내부를 통해 클립을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그런 다음 이들 날개부는 리지 러그를 걸림 부분에 거는 것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변형예는 유지 클립에 대한 시일(340)의 각도 설정을 허용한다는 사실에서 이전의 것과는 상이하다. 실제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환형 시일(340)의 가장자리부(340')는 클립(320)의 횡단-부재(322)가 수용되는 노치부(340A)를 갖는다. 물론 클립만큼 많은 노치부(340A)가 존재한다.
도 3, 5, 8 및 11은, 유지 클립의 횡단-부재가 스트립의 오목부 내에서 이어지는 사전-장착 상태의 클램핑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러한 사전-장착 상태에서, 튜브의 클램핑 표면의 상단부는 스트립의 오목부 내로 침입하지 않고 이 횡단-부재의 내부면에 대항하여 위치된다. 도 14는, 도 8 및 9의 변형예에서, 칼라가 튜브 상에서 조여진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횡단-부재(22)는 스트립의 오목부(14)의 내부면으로 가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유지 클립의 날개부(24A 및 24B)의 이격을 야기시킨다. 리지 러그(30A 및 30B)는 따라서 구멍(13'C)으로부터 걸림해제된다. 동시에, 유지 러그는 클램핑 표면(101A 및 102A)에 대항하여 가압되어 있다. 변형에 의해, 횡단-부재가 제거되고 클램핑이 허용된다. 횡단-부재를 제거하는 다른 방법, 예를 들어 파열 등이 개발될 수 있다.
특히, 상이한 변형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유지 클립은, 예를 들어 0.2 내지 0.6mm로 이루어지는 얇은 금속판 또는 스트랩으로부터 절단 및 절첩되는 금속 부품의 형태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시스템은 사전-장착된 상태로 배송될 수 있으며, 유지 클립은 칼라의 스트립 상에서 정위치에 있으며, 또한 시일이 제공되는 경우 예를 들어 이 시일은 전술한 바와 같은 만입부의 노치 내에 유지됨으로써 정위치에 있을 수 있다.
1, 2; 101, 102; 301, 302: 튜브, 1A, 2A; 101A, 102A; 301A, 302A: 클램핑 표면, 10; 310: 칼라, 12; 312: 스트립, 13A, 13B; 313A, 313B: 플랭크, 14; 314: (내부) 오목부, 20; 320: 유지 클립, 22; 322: 횡단-부재, 24A, 24B; 324A, 324B: 날개부, 26A, 26B; 326A, 326B: 유지부, 27A, 28A, 27B, 28B; 327A, 328A, 327B, 328B: 유지 러그.

Claims (17)

  1. 2개의 튜브(1, 2; 101, 102; 301, 302)를 연결하기 위한 클램핑 시스템으로서,
    이들 튜브의 마주하는 단부는 상기 튜브의 원통형 외부표면에 비해 돌출하는 클램핑 표면(1A, 2A; 101A, 102A; 301A, 302A)을 가지며, 상기 클램핑 시스템은 상기 클램핑 표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스트립(12; 312)을 갖는 칼라(10; 310)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는 상기 스트립의 직경에 있어서의 감소에 의해 조여질 수 있으며, 상기 스트립은 클램핑 표면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오목부(14; 314)가 그 사이에서 획정되는 제1 및 제2 플랭크(flank)(13A, 13B; 313A, 313B)를 가지며,
    상기 클램핑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유지 클립(20; 320)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 클립은:
    - 상기 내부 오목부(14; 314)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횡단-부재(22; 322)와,
    - 상기 제1 및 제2 플랭크(13A, 13B; 313A, 313B)를 각각 덮음으로써 상기 횡단-부재(22; 322)에 비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날개부(24A, 24B; 324A, 324B)와,
    - 상기 횡단-부재(22; 322)에 비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러그(27A, 28A, 27B, 28B; 327A, 328A, 327B, 328B)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유지부(26A, 26B; 326A, 326B)
    를 포함하며,
    상기 횡단-부재(22; 322)는 상기 칼라의 조임시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단-부재(22; 322)는, 상기 날개부의 내부 가장자리부(24'A, 24'B; 324'A, 324'B)에 선택적으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24A, 24B; 324A, 324B) 사이에서 연장되는 클램핑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 러그(27A, 28A, 27B, 28B; 327A, 328A, 327B, 328B)는 상기 날개부의 내부 가장자리부(24'A, 24'B; 324'A, 324'B)에 부착되어 있는 클램핑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12; 312)은 상기 제1 및 제2 플랭크(13A, 13B; 313A, 313B) 사이에서 연장되는 환형 리지(ridge)부(13C; 313C)를 가지며, 상기 유지 클립(20; 320)은 상기 환형 리지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리지 러그(30A, 30B; 330A, 330B)를 가지는 클램핑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환형 리지부(13C)는 상기 리지 러그(30A, 30B)가 상호작용하는 웨지(wedging)부(13'C)를 가지는 클램핑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웨지부는 상기 리지 러그(30A, 30B)가 침입하는 구멍(13'C) 또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라(10; 310)의 비-조임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24A, 24B; 324A, 324B)는 간극(E)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플랭크(13A, 13B; 313A, 313B)를 각각 덮는 클램핑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24A, 24B; 324A, 324B)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부 오목부(14; 314) 내로 침입하기 위한 상기 횡단-부재(22; 322)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클램핑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24A, 24B)는 반경방향 외측 단부(24"A, 24"B)에서 결합해제(disjoined)되도록 구성되는 클램핑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4A, 24B; 324A, 324B)들은 반경방향 외측 단부들의 공간(spacing)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클램핑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단-부재(22; 322)는 만입부(23A, 23B, 23C; 123A, 123B, 123C; 223A, 223B, 223C; 323A, 323B, 323C)를 갖는 내측으로 절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부를 가지는 클램핑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는 2개의 림(rim) 부분(23A, 23B; 123A, 123B; 223A, 223B; 323A, 323B) 사이에서 획정되는 노치부(23C; 123C; 223C; 323C)를 포함하며, 상기 림 부분 중 하나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탭-형상 부분(23'B)을 선택적으로 가지는 클램핑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12; 312)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지 클립(20; 320)과 상호작용하는 환형 시일(40, 140, 340)을 더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 클립(20; 320)은 일체로 형성되는 클램핑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지부(26A, 26B; 326A, 326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횡단-부재의 양쪽에 위치되는 2개의 유지 러그(27A, 28A, 27B, 28B; 327A, 328A, 327B, 328B)를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각도 간격을 두고 분포된 복수의 유지 클립(20; 320)을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단-부재(22; 322)는 변형되어 상기 내부 오목부(14; 314) 내로 침입하도록 구성되는 클램핑 시스템.
KR1020200155578A 2019-11-20 2020-11-19 클램핑 칼라 KR202100619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12959A FR3103233B1 (fr) 2019-11-20 2019-11-20 Collier de serrage
FR1912959 2019-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951A true KR20210061951A (ko) 2021-05-28

Family

ID=6946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578A KR20210061951A (ko) 2019-11-20 2020-11-19 클램핑 칼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549624B2 (ko)
EP (1) EP3825594B1 (ko)
JP (1) JP2021099157A (ko)
KR (1) KR20210061951A (ko)
CN (1) CN112824728A (ko)
BR (1) BR102020021663A2 (ko)
ES (1) ES2920499T3 (ko)
FR (1) FR3103233B1 (ko)
MX (1) MX20200124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8961B1 (fr) * 2020-04-03 2022-08-26 Caillau Systè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de tubes, comprenant un collier et un joint d’étanchéité
ES2937419T3 (es) * 2020-04-03 2023-03-28 Caillau Sistema de ajuste para la conexión de tubos, que comprende una abrazadera y una arandela que lleva patillas de soporte
DE102021102524A1 (de) * 2021-02-03 2022-08-04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Flanschverbindung und Turbolader hiermit
GB2608686B (en) * 2021-05-28 2024-02-14 Caillau Mounting assembly comprising two end pieces held fitted by a belt
FR3123406B1 (fr) * 2021-05-28 2023-06-02 Caillau Ensemble de montage comprenant deux embouts maintenus emmanchés par une ceintur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9947A (en) * 1958-05-12 1962-10-23 Aeroquip Corp Ventilated band clamp
US4655481A (en) * 1985-06-14 1987-04-07 The Dow Chemical Company Pipe aligning and joining
FR2833065B1 (fr) 2001-12-05 2004-09-03 Caillau Ets Syste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etanche de deux tubes ayant des surfaces d'appui
DE102004050300B4 (de) * 2004-10-15 2009-02-12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FR2963404B1 (fr) 2010-07-27 2014-02-07 Caillau Ets Syste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et le pre-montage d'un premier et d'un deuxieme tube
DE102016103703A1 (de) * 2016-03-02 2017-09-07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FR3048468B1 (fr) 2016-03-07 2018-04-06 Etablissements Caillau Systeme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et des clips individuels de pre-montage
FR3049997B1 (fr) * 2016-04-12 2018-05-04 Etablissements Caillau Dispositif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de serrage et un manchon
ES2937419T3 (es) * 2020-04-03 2023-03-28 Caillau Sistema de ajuste para la conexión de tubos, que comprende una abrazadera y una arandela que lleva patillas de sopor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03233A1 (fr) 2021-05-21
US11549624B2 (en) 2023-01-10
ES2920499T3 (es) 2022-08-04
CN112824728A (zh) 2021-05-21
FR3103233B1 (fr) 2021-11-26
US20210148498A1 (en) 2021-05-20
EP3825594A1 (fr) 2021-05-26
JP2021099157A (ja) 2021-07-01
EP3825594B1 (fr) 2022-04-27
MX2020012405A (es) 2021-05-21
BR102020021663A2 (pt)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1951A (ko) 클램핑 칼라
US9273706B2 (en) Hinged clamping collar
KR102374453B1 (ko) 칼라 및 개별적인 사전-부착식 클립을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
KR100897459B1 (ko) 두 개의 튜브를 기밀하게 연결시키는 클램핑 시스템
RU2738985C2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труб с регулируемым угловым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ем
US7178206B2 (en) Fastener element for connecting a structural part to a support part
JP3586770B2 (ja) 2つの構成部材の間に取り外し可能な連結部を形成させ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連結システム
US9651179B2 (en) Profile clamp
US6749232B2 (en) Pipe clamp, in particular, pipe coupling
CN101115947B (zh) 具有改进紧固件的管箍
KR102212313B1 (ko) 밀봉 요소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RU2700954C2 (ru) Соединение, содержащее застопоренную крепежную шпильку
KR20090027626A (ko) 클램핑 고리
CZ372399A3 (cs) Trubní objímka
US6199921B1 (en) Pipe lap joint with bridged slot
EP2682656B1 (en) Pipe clip with spring washer
JP2015511301A (ja) 管継手
US11098760B2 (en) Self-positioning screw joint
JP2021519897A (ja) クランプ
CN218625884U (zh) 安装组件
CN113039385A (zh) 具有改进的张紧系统的管联接件
BRPI0513822B1 (pt) Grampo para mangueira
HU185949B (hu) Csavarkapcsolat
AU6067799A (en) Connection assembly for coupling to a pi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