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453B1 - 칼라 및 개별적인 사전-부착식 클립을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 - Google Patents

칼라 및 개별적인 사전-부착식 클립을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453B1
KR102374453B1 KR1020170028961A KR20170028961A KR102374453B1 KR 102374453 B1 KR102374453 B1 KR 102374453B1 KR 1020170028961 A KR1020170028961 A KR 1020170028961A KR 20170028961 A KR20170028961 A KR 20170028961A KR 102374453 B1 KR102374453 B1 KR 102374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clip
branch
clamping system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406A (ko
Inventor
시릴 보스주아
파브리스 쁘레보
니꼴라 리골레
파트리크 굴레
Original Assignee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까이요 filed Critical 까이요
Publication of KR20170104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클램핑 시스템은 2개의 플랭크부(flanks)(13A, 13B)를 가지는 밴드부를 갖는 칼라(10)를 포함하고, 이 플랭크부 사이에는 함께 조립될 2개의 튜브(1, 2)의 돌출하는 클램핑 표면(1A, 2A)을 수용하는 내측 홈부(14)가 형성된다. 클램핑 시스템은, 제1 플랭크부(13A) 주위에 분포되는 복수의 유지 클립(20)을 포함하며, 각각의 클립은 서로 마주하는 내측 가지부(branch)(30) 및 외측 가지부(32)를 가지며, 그 사이에는 제1 플랭크부가 끼워지며, 유지부(34)는, 사전-부착 상태에서,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내측 가지부 및 외측 가지부 중 하나는 상기 칼라의 축선(A)을 향하는 칼라의 제1 지지표면(13'A)과 상호작용하는 제1 지지구역(36)을 지닌다.

Description

칼라 및 개별적인 사전-부착식 클립을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 {A CLAMPING SYSTEM COMPRISING A COLLAR AND INDIVIDUAL PRE-ATTACHMENT CLIPS}
본 개시는, 2개의 튜브를 밀봉 방식으로 함께 연결하기 위한 클램핑 시스템으로서, 2개의 튜브의 마주하는 단부는 상기 튜브의 원통형 외측표면에 비해 돌출하는 클램핑 표면을 가지며, 상기 클램핑 시스템은 상기 클램핑 표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밴드부(band) 및 상기 밴드부를 조이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칼라(collar)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부는 클램핑 표면을 수용할 수 있는 내측 홈부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플랭크부(flank)와 제2 플랭크부를 갖는다.
이러한 타입의 클램핑 시스템은 유럽특허 EP 1 451 498호에 개시되어 있다. 칼라의 밴드부의 단면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V-형상 또는 U-형상을 가져, 그러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가지부(branches)가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에 대항하여 그리고 제2 튜브의 클램핑 표면에 대항하여 각각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칼라를 조이는 것은 튜브들 중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하여 결합한 상태로 튜브들을 유지하도록 한다. V-형상 단면은, 칼라가 조여질 때, 튜브들을 함께 가압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어, 칼라의 밴드부를 조이기 위한 수단은 너트-및-볼트 시스템을 포함한다. 따라서, 밴드부의 단부는, 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한 지지 탭부(bearing tabs)를 형성하도록 휘어진다. 볼트의 머리부는 하나의 상기 탭부에 대해 유지되는 한편, 너트는 다른 하나의 탭부에 대해 유지되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볼트 및 너트는 밴드부의 조임을 야기시킨다. 그렇지만, 예를 들어 후크에 의해 동작하는 타입의 다른 조임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타입의 조임수단은 밴드부에 대해 휘어지는 후크 및 밴드부에 대해 역시 휘어지는 러그(lug)를 포함하고, 후크는 조임 상태로 칼라를 유지하도록 러그의 뒤쪽에 걸린다. EP 1 451 498호에 있어서, 클램핑 시스템은 칼라에 고정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며, 이 와셔는 와셔 상에 제공된 탭부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칼라에 고정되고, 또한 와셔는, 칼라가 상기 제1 튜브의 단부에 사전-부착되어 있을 때, 제1 튜브에 유지되기에 적합한 탭부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전-부착"이라는 용어는, 상기 칼라가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튜브가 칼라에 단순히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튜브의 단부 주위에 사전-부착된 상태로 칼라를 유지하는 것은, 2개의 튜브를 함께 맞대기(butting) 전에 그리고 함께 조립된 단부들 주위에서 칼라의 밴드부를 조이기 전에, 준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유럽특허 EP 2 598 785호에는, 제1 및 제2 튜브에 대해 칼라를 사전-부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사전-부착 수단을 갖춘 시스템을 장비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으며, 여기서 튜브들은 칼라 내에서 함께 결합된다. 이것은 2개의 튜브들을 정위치에 유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밴드부를 조일 수 있도록 한다. 이 유럽특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사전-부착 수단은, 칼라의 밴드부에 의해, 특히 제1 플랭크부(flank)에 의해 지지되는 단일의 와셔에 형성되거나, 아니면 2개의 와셔, 즉 유럽특허 EP 1 451 498호에 개시된 시스템의 와셔와 유사하고 제1 플랭크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와셔, 및 제2 플랭크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와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장치들은 전체적으로 만족스럽지만, 사전-부착을 성취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와셔를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들 와셔는 칼라의 내주와 유사한 내주를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재료를 필요로 한다. 게다가, 그 기하학적인 형상은, 전체 외주에 걸쳐 칼라의 밴드부에 대해 정확하게 유지되는 것뿐만 아니라, 각각의 튜브의 단부를 칼라에 대해 정확하게 상호작용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게다가, 어떤 상황에서는, 와셔는 사전-부착 기능 이외의 기능, 예컨대 밀봉 기능을 또한 구비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상황 하에서, 그 기능은 와셔가 정밀한 두께를 가져야만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사전-부착 탭부가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가져야 하는 탄력성과 언제나 양립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특히, 동일한 재질의 스트립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기 탭부는 와셔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볼 조인트에 의해 함께 조립되는 튜브의 특정 상태에 있어서, 미국특허 US 7 770 937호에는, 사전-부착을 성취하기 위하여, 칼라의 밴드부에 대해 유지되는 축선방향 브래킷에 튜브들 중 하나를 용접하거나, 상기 밴드부의 외주 일부에 걸쳐서 연장하고 튜브들 중 하나의 클램핑 표면의 뒤에 걸리는 핑거(fingers)를 가지는 클립에 칼라의 밴드부를 용접하는 것이 또한 개시되어 권고되고 있다. 또한 이 특허는, 상기 밴드부의 가장자리부에 대해 연장하고 튜브의 클램핑 표면 상에 걸릴 수 있는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밴드부에 대해 고정되는 개별적인 핑거를 이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한 개별적인 핑거는, 단지 밴드부 외측에 제공되고, 클립과 비슷하게, 밴드부의 외주에 용접된다. 따라서, 미국특허 US 7 770 937호에서 제안하는 사전-부착 수단은, 칼라 외측의 용적이 상대적으로 크고, 칼라의 외주에, 또는 튜브들 중 하나에, 용접 작업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그러한 작업은, 칼라가 제조되는 생산 라인에서, 또는 칼라가 튜브와 조립되는 조립 라인에서, 적절한 재료가 사용 가능할 것을 요구한다. 용접은 칼라를 제조하거나 칼라와 튜브를 조립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다른 작업들과는 매우 구별되는 작업이며, 해당 부품들의 표면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종래기술의 전술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2개의 튜브를 밀봉 방식으로 함께 연결하기 위한 클램핑 시스템으로서, 2개의 튜브의 마주하는 단부는 상기 튜브의 원통형 외측표면에 비해 돌출하는 클램핑 표면을 가지며, 상기 클램핑 시스템은 상기 클램핑 표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밴드부(band) 및 상기 밴드부를 조이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칼라(collar)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부는 상기 클램핑 표면을 수용할 수 있는 내측 홈부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플랭크부(flank)와 제2 플랭크부를 가지는 클램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시스템은 상기 제1 플랭크부 주위에 분포되는 복수의 클립을 포함하며, 각각의 클립은 서로 마주하는 내측 가지부(branch) 및 외측 가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1 플랭크부는 상기 내측 가지부와 상기 외측 가지부 사이에 끼워지며, 각각의 클립은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유지부를 더 가지며, 상기 유지부가,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튜브에 사전-부착되는 사전-부착 상태로 상기 칼라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을 구비하는 상기 제1 튜브의 자유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제1 튜브에 대한 칼라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칼라의 축선을 향하여 상기 클립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 가지부 및 상기 외측 가지부 중 하나는 상기 칼라의 축선을 향하는 상기 칼라의 제1 지지표면과 상호작용하는 제1 지지구역을 가지는 클램핑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개시에 있어서 사전-부착은, 각각의 클립이 상기 제1 플랭크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칼라의 제1 플랭크부에 끼워지고, 사전-부착을 성취하기 위해 제1 튜브 상의 클램핑 표면과 상호작용하는 유지부를 갖는 개별적인 클립에 의해서 성취된다. 그러므로, 제1 플랭크부 상에서 개별적인 클립을 제자리에 위치시키는 것은, 매우 간단하고, 어떠한 용접 작업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상기 클립은 탄성적으로 변경 가능하며, 제1 플랭크부에 끼움으로써 클립을 끼우는 방식으로 클립이 기능하도록, 이러한 삽입이 일어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클립의 내측 가지부 및 외측 가지부 사이에 제1 플랭크부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1 플랭크부에 클립을 위치시킴으로써, 클립은 간단히 설치된다. 일단 클립이 제1 플랭크부 상에 정위치되면, 제1 튜브의 단부는 클램핑 시스템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클립을 가압하고, 클립이 부분적으로 수축되어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이 지나갈 수 있도록 허용한다. 그렇지만, 칼라의 제1 지지표면과 상호작용하는 제1 지지구역에 의해서, 수축된 클립은 사전-부착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하며, 여기서 클립은 칼라의 축선을 향하여 다시 가압되어, 유지부는 칼라를 사전-부착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1 튜브 상의 클램핑 표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복수의 클립은 제1 플랭크부 주위에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분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립은 2개, 3개, 혹은 4개가 제공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치된 여러 클립의 유지부는, 칼라의 축선을 향하여, 제1 플랭크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비해 돌출한다. 클립이 휴지(rest)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유지부는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의 최대 직경방향 치수보다 작은 직경방향 치수를 형성한다. 유지부는 제1 튜브의 단부가 칼라 내로 삽입될 때 칼라의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다음에 클립은 사전-부착 직경을 형성하도록 제1 플랭크부의 가장자리부에 비해 유지부가 축선을 향하여 충분히 돌출하는 위치까지 복귀하며, 여기서 사전-부착 직경은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의 최대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복수의 클립을 이용함으로써, 클립 대신에 사전-부착와셔가 사용되는 상황에 비해 재료의 양은 감소된다. 게다가, 클램핑 시스템이 예를 들어 밀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와셔를 포함한다면, 밀봉 기능 및 사전-부착 기능은 분리되고, 와셔 및 클립에 대하여 상이한 두께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특히, 충분히 강한 클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밀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와셔를 또한 가지도록 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제1 튜브에 칼라를 사전-부착하기 위하여 클립을 이용할 수 있는 한편, 제2 튜브에 칼라를 사전-부착하기 위하여 와셔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와셔는, 예를 들어, 2개의 기능, 즉 (제1 튜브에 대한 사전-부착보다 기계적으로 덜 요구될 수 있는) 제2 튜브에 대한 사전-부착 기능 및 튜브들 사이의 연결을 밀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칼라의 제1 지지표면은 상기 제1 플랭크부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클램핑 시스템의 칼라는 표준 칼라일 수 있으며, 클립은 내측 가장자리부에 대항하여 지지되기만 하면 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클립에 대하여, 상기 제1 지지구역은 내측 가지부 및 외측 가지부 중 하나로부터 절취되는 지지 혀부(bearing tongue)에 형성된다.
이러한 절취는, 절취부 내에 혀부를 남겨두고, 어떠한 재료도 제거되지 않는 상태로 또는 약간의 재료가 제거되는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단순한 작업이며, 여기서 혀부는 제1 지지구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접힐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 혀부는, 외측 가지부로부터 절취되고, 적어도 자유단부를 통하여,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 사이의 클립의 내측공간 내로 돌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 혀부는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 부근에서 외측 가지부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 혀부는,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연결구역에서 외측 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구역으로부터 상기 연결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연장부 및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 사이의 상기 클립의 내측공간 내로 꺾이는 단부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 혀부는, 내측 가지부로부터 절취되고, 적어도 자유단부를 통하여,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 사이의 상기 클립의 내측공간 내로 돌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 혀부의 자유단부는, 내측 가지부를 향하여 만곡되어, 외측 가지부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내측 가지부의 표면으로부터 이어지는 표면을 경유하여 칼라의 제1 지지표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실시형태들이 지지 혀부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는 한편, 클립이 약간의 재료만이 요구되는 매우 간단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칼라의 제1 지지표면과 상호작용하는, 전술한 타입의 제1 지지구역을 가지는 클립에 대하여, 내측 가지부는, 내측으로 만곡되어, 내측 가지부의 외측표면을 경유하여, 밴드부의 내측 홈부의 단부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제1 지지구역을 형성하며, 상기 단부벽 상에는 상기 칼라의 제1 지지표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클립은 2개의 지지구역을 갖는다. 특히, 제1 지지구역이 전술한 타입일 때, 그리고 칼라의 제1 지지표면이 제1 플랭크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될 때, 칼라는 표준 타입일 수 있으며, 제2 지지구역은 밴드부 내의 내측 홈부의 단부벽과 단순히 상호작용한다.
그렇지만, 만곡되는 자유단부를 갖는 내측 가지부는 제1 지지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내측 가지부는, 내측으로 만곡되어, 내측 가지부의 외측표면을 경유하여, 밴드부의 내측 홈부의 단부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제2 지지구역을 형성하는 자유단부를 가지며, 상기 단부벽 상에는 상기 칼라의 제2 지지표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클립은 전술한 타입의 지지 혀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지지구역은 거의 자유단부에 의해 형성되고, 이 자유단부는 밴드부 내의 내측 홈부의 단부벽과 상호작용하며, 칼라는 표준 칼라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외측 가지부는, 내측으로 만곡되어 밴드부의 제1 플랭크부와 제2 플랭크부가 만나는 연결구역을 덮을 수 있는 자유단부를 갖는다.
여기서 외측 가지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 사이에 제1 플랭크부를 끼우는 것에 더하여, 칼라의 밴드부에 클립을 고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단을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외측 가지부에 연결되는 곳으로부터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내측 가지부는 외측 가지부를 향하여 꺾이는 집게부(pinching portion)를 갖는다.
여기서 끼움(pinching)은 내측 가지부로부터 시작하는 집게부와 외측 가지부와의 사이에서 성취된다. 따라서, 내측 가지부에 있어서 집게부 이외의 부분은, 제1 플랭크부의 내측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는 한편, 끼움이 효과적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집게부는, 내측 가지부로부터 절취되어, 칼라의 제1 지지표면이 형성되는 제1 플랭크부의 내측표면과 상호작용하는 제1 지지구역을 형성하는 집게 혀부(pinching tongue)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서 집게 혀부는, 특히, 칼라의 축선으로부터 먼 쪽을 향한다.
따라서 집게 혀부는, 칼라의 제1 플랭크부에 클립을 유지하도록 기능하는 끼움을 성취하기 위해, 또한, 칼라의 제1 지지표면과의 반작용으로, 칼라가 제1 튜브에 사전-부착될 수 있도록 칼라의 축선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유지부를 가압하는 제1 지지구역을 형성하기 위해, 작용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유지부는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에 형성된다.
유지부는, 특히,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에서 클립을 접음으로써 영향을 받은 가공경화로 인하여, 기계적으로 강성이다. 이러한 유지부는 클리어-컷 에지(clear-cut edge)가 없는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칼라가 상기 제1 튜브 주위에 결합되어 있는 동안에 제1 튜브의 자유단부를 지나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을 손상시킴 없이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유지부는 내측 가지부에 형성되어 칼라의 축선을 향하여 절첩되는 유지 혀부(retaining tongue)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유지부는 칼라의 축선을 향하여 절첩되는 것으로 인하여 기계적으로 더욱 강하게 만들어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클램핑 시스템은, 칼라가 제1 튜브에 사전-부착되는 사전-부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튜브의 자유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제1 튜브에 대한 칼라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작용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자유단부는 상기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을 구비한다.
그러한 수단은 여러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 시스템은 제2 플랭크부에 지지되는 움직임-제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움직임-제한 부재는 제2 튜브에 칼라를 사전-부착하도록 작용할 수도 있다. 이 부재는, 특히, 와셔일 수 있다. 제1 튜브에 대한 사전-부착과 관련하여, 개별적인 클립은 소정의 기계적인 강도를 제공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제2 튜브에 대한 사전-부착과 관련하여, 와셔는 밀봉 기능과 같은 또 다른 기능도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튜브에 대한 사전-부착은 선택적으로 제1 튜브에 대한 사전-부착보다 낮은 파열 강도(tear-off strength)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 시스템은, 상기 제1 튜브에 합체되도록 제1 튜브에 대해 미리 사전-부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클램핑 시스템은 매우 높은 파열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을 수 있는 반면, 제2 튜브에 대한 사전-부착은 단지 조립시에만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다 낮은 파열 강도만으로 충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내측 가지부는 칼라의 축선을 향하여 돌출하는 횡단 플랜지를 갖는다.
이 경우에, 클램핑 시스템이 와셔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혹은 칼라의 제2 플랭크부와 상호작용하는 특정 움직임-제한 부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제1 튜브의 자유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제1 튜브에 대한 칼라의 움직임은 제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내측 가지부는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 사이의 클립의 내측공간 내로 돌출하는 유지 스퍼(holding spur)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와셔, 예컨대 밀봉 기능도 갖는 와셔에 의해서 제2 튜브에 대한 사전-부착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설명에서 설명된 클립들과 유사하고 칼라의 제2 플랭크부에 위치되는 게별적인 클립들을 이용함으로써 제2 튜브에 대한 사전-부착을 성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종래기술의 전술한 문제점들이 개선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시된 실시형태들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수 있다. 명세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은, 클램핑 시스템과, 상기 클램핑 시스템으로 조립되기 전의 2개의 튜브의 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여기서 클램핑 시스템은 제1 측면으로부터 보여진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II를 따라 본, 제2 측면으로부터 본 클램핑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조립되기 전의, 클램핑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2개의 튜브의 단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절단면 IV-IV 상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절단면 V-V 상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b 및 5c는, 각각, 도 5a의 단면도에서 본 클립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d는, 상기 클립의 변형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클립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5a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6b 및 6c는, 각각, 도 6a에 도시된 클립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a는, 클립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5a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7b 및 7c는, 각각, 도 7a에 도시된 클립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8a는, 클립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5a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8b 및 8c는, 각각, 도 8a에 도시된 클립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9a는, 클립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5a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9b 및 9c는, 각각, 도 9a에 도시된 클립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0은, 함께 조립된 튜브의 단부 상에 배치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클램핑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여기서 클램핑 시스템은 제1 측면으로부터 보여진다.
도 11은, 도 10의 화살표 XI을 따라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과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본, 도 10 및 11에 도시된 클램핑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절단면 XIII-XIII 상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a 및 14b는, 도 13의 클립의 2개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의 클램핑 시스템(clamping system)의 칼라(collar)는, 예를 들어, 문헌 EP 1 451 498 및 EP 2 598 785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특히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라(10)는 제1 플랭크부(flank)(13A) 및 제2 플랭크부(13B)를 갖는 밴드부(band)(12)를 가지며, 제1 및 제2 플랭크부 사이에는 내측 홈부(14)가 형성된다.
이어지는 설명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내측"이라는 용어는, 칼라의 축선(A)을 향하는 요소들, 또는, "외측"이라고 언급되는 다른 요소들에 비해 축선(A)에 가까운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외측" 요소들은 축선(A)으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것이기도 하다.
클램핑 시스템은 2개의 튜브를 그 단부를 경유하여 함께 연결하기 위해 기능한다. 따라서 도 1은, 각각 원통형 외측표면에 비해 돌출하는 제1 클램핑 표면(1A) 및 제2 클램핑 표면(2A)을 각각 가지는 제1 튜브(1) 및 제2 튜브(2)를 도시한다. 튜브(1 및 2)들을 함께 조립하기 위하여, 클램핑 시스템은 함께 조립된 튜브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어, 클램핑 표면(1A 및 1B)은 밴드부(12) 내의 홈부(14)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플랭크부(13A 및 13B)는 각각의 클램핑 표면(1A 및 2A)과 각각 상호작용하여, 칼라의 조임이 2개의 튜브의 단부들을 함께 유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밴드부(12)는 단면이 V-형상이어서, 플랭크부(13A 및 13B)는 축선(A)을 향하는 한편, 각각의 내측 단부(13'A 및 13'B)를 향해 갈수록 서로로부터 점진적으로 더욱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클램핑 표면(1A 및 2A)은, 예컨대, 원추형으로, 마주하는 튜브의 자유단부를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함께 조립될 튜브의 단부 상에서 칼라를 조이는 것은, 상기 단부들을 함께 더욱 가까워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튜브(1)의 자유단부는 단부 스커트(1B)를 가지며, 이 단부 스커트는 클램핑 표면(1A)의 정점으로부터 시작하여, 튜브의 축선에 점진적으로 가까워지도록 테이퍼진다. 특히, 이 단부 스커트(1B)는 제2 튜브의 클램핑 표면(2A)의 내주면과 정합하는 원추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조립을 수행하기 위하여, 튜브(1 및 2)의 축선은 서로 정렬되며, 이는 칼라의 축선(A)과 동축이다.
칼라(10)는 밴드부(12)를 조이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2)는, 지지 탭부(tabs)를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접히는 단부(각각, 12A 및 12B)를 갖는다. 이들 지지 탭부는 볼트(16)의 몸통부(16A)가 상기 지지 탭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을 구비한다.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볼트의 머리부(16B)(도 12 참조)는 지지 탭부(12A)에 대해 유지될 수 있는 반면, 너트(18)는 지지 탭부(12B)와 상호작용하여, 조임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볼트 및 너트는 서로를 향하여 지지 탭부(12A 및 12B)들을 가압하고, 그에 따라 칼라의 내경을 감소시키고, 다시 말해서 밴드부를 조일 수 있게 한다.
또한 클램핑 시스템은 제1 플랭크부(13A) 주위에 간격을 두고 분포되는 복수의 클립(20)을 포함한다.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클립은 집게(pinching clip) 방식으로 플랭크부(13A) 상에 유지되고, 다시 말해서 플랭크부는 클랩의 내측 가지부(branches)와 외측 가지부 사이에 끼워진다(pinched).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램핑 시스템은 제2 플랭크부(13B)에 지지되는 와셔(2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 와셔는 문헌 EP 1 451 498에 개시된 클램핑 시스템의 와셔(28, 128)와 유사하다.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클립(20)은, 상기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1A)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제1 튜브에 사전-부착되는 사전-부착 상태로 클램핑 시스템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한편, 와셔는, 클램핑 표면(2A)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제2 튜브에 사전-부착되는 사전-부착 상태로 본 시스템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튜브의 단부가 서로 가까워져 있는 동안 2개의 클램핑 표면(1A 및 2A)은 밴드부(12) 내의 홈부(14) 내에 위치된다.
특히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와셔(22)는,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인 링(23)을 가지며, 이 링은, 2개의 튜브가 함께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튜브(2)의 클램핑 표면(2A)의 내주와 튜브(1)의 단부 스커트(1B)의 외주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링은, 조임시 변형되는 파도형상을 가질 수 있어, 상호작용하는 튜브의 표면들 사이에서 밀봉을 제공한다.
와셔(22)는 밴드부(12)의 플랭크부(13B)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칼라(10)에 대해 유지된다. 이를 위해, 와셔는, 예를 들어, 상이한 타입을 갖는 고정 탭부(fastening tabs)를 구비한다. 특히, 이들 고정 탭부는, 칼라가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제2 플랭크부(13B)의 내측표면에 대항하여 지지되는 내측 탭부(24), 상기 내측 탭부보다 길고 제2 플랭크부(13B)의 내측 가장자리부(13'B)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축선(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타입의 외측 탭부(26), 그리고 후크-형상의 자유단부(28A)를 경유하여 제2 플랭크부(13B)의 외주와 상호작용하는 제2 타입의 외측 탭부(28)를 포함한다. 제2 타입의 외측 탭부의 중간부(28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표면(2A) 상에 유지되는 혀부(tongues)(28C)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중간부는, 튜브(2)의 자유단부가 와셔(22)의 링(23)을 지나서 칼라의 밴드부 내의 홈부(14) 내에 삽입될 때, 클램핑 표면(2A) 상에 유지되는 경사진 축선방향 가장자리부(28D)를 갖는다.
특히 도 3, 5a, 5b 및 5c를 참조하여, 각각의 클립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5a를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클램핑 시스템이 사전-부착되어 있는 튜브의 단부들 사이의 공간은 과장되어 있다. 각각의 클립(20)은 서로 마주하는 내측 가지부(30) 및 외측 가지부(32)를 갖는다. 특히, 이들 가지부는 축선방향으로 서로 마주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의 밴드부(12)의 플랭크부(13A)는, 상기 내측 가지부와 상기 외측 가지부 사이에 끼워진다. 클립(20)은 내측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부(34)를 가지며, 외측 가지부(3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의 제1 지지표면과 상호작용하는 지지구역(36)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지표면은 플랭크부(13A)의 내측 가장자리부(13'A)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립(20)이 제1 플랭크부(13A)에 끼워질 때, 내측 가장자리부(13'A)는 지지구역(36) 상에 지지되고, 그에 따라 칼라의 축선을 항하여 유지부(34)를 가압하게 된다. 이것은, 유지부(34)가 제1 플랭크부(13A)의 내측 가장자리부(13'A)에 대해 소정 거리에 유지되는 것, 다시 말해서, 제1 플랭크부 주위에 분포되는 여러 클립(20)의 유지부(34)가 클램핑 표면(1A)의 정점의 반경(R2)보다 약간 작은 소정의 반경방향 치수를 형성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그렇지만, 칼라의 축선(A)을 향하여 가압되는 유지부(34)는 탄성적인 복귀(resilient return)에 의해 성취된다. 따라서, 클램핑 시스템이 제1 튜브 상에서 정위치 될 때, 상기 제1 튜브의 자유단부는 밴드부 내의 내측 홈부(14) 내로 삽입될 수 있고, 그 후 클램핑 표면(1A)의 정점은 탄성적으로 그리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클립(20)을 가압하도록 유지부(34)와 상호작용하고, 그 후 클램핑 표면의 정점이 일단 홈부(14) 내에 위치되면, 클립은 탄성적으로 사전-부착 유지위치로 복귀하며, 여기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클립의 유지부(34)는 반경(R2)보다 작은 반경방향 치수(R1)를 형성한다. 따라서 칼라(10)는 제1 튜브에 사전-부착된 사전-부착 상태로 유지되며, 다시 말해서, 제1 튜브의 자유단부를 향해 가는 방향(F)으로의 제1 튜브에 대한 칼라의 움직임은 제1 클램핑 표면(1A)과 상호작용하는 유지부에 의해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부(34)는 내측 및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에 형성된다.
지지구역(36)은 외측 가지부(32)로부터 절취되어 내측 가지부(30)와 외측 가지부(32) 사이에 형성되는 클립의 내측공간(21) 내로 돌출하는 지지 혀부(bearing tongue)(37) 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혀부(37)는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 부근에서 외측 가지부(3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클립(20)의 외측 가지부(32)는 클립의 내측공간(21) 내로 돌출하는 유지 스퍼부(holding spur)(38)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유지 스퍼부는 밴드부(12)의 제1 플랭크부(13A)의 외측표면과 상호작용하여, 칼라의 축선(A)을 향하는 제1 플랭크부(13A)에 대한 클립의 움직임에 대항함으로써 상기 밴드부 상에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유지 스퍼부(38)는, 클립이 상기 제1 플랭크부에 끼워질 때 제1 플랭크부(13A)의 외측표면과 접촉하도록 위치되는 방식으로,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로부터 소정거리에, 예를 들어, 외측 가지부의 자유단부 부근에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 스퍼부(38)는 외측 가지부(32)로부터 절취되어 축선(A)을 향하여 내측으로 절첩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혀부(37) 및 유지 스퍼부(38)는 외측 가지부(32)로부터 절취된 개구부(40)의 2개의 마주하는 가장자리부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외측 가지부는 상기 개구부(40)의 양쪽에서 2개의 연속된(uninterrupted) 주변부(marginal portions)를 갖는다. 역으로 반대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가장자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지지 혀부(37)를 형성하도록 절첩되는 내측 가장자리부와, 유지 스퍼부(38)를 형성하도록 절첩되는 외측 가장자리부를 가지는 노치부(notch)를 구비하는 상태로, 연속된 중심부를 가지도록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 혀부(37)가 개구부의 내측 가장자리부 상에 또는 노치부의 내측 가장자리부 상에 위치되는 상태로, 그리고 유지 스퍼부(38)가 개구부의 외측 가장자리부 상에 또는 노치부의 외측 가장자리부 상에 위치되는 상태로, 하나 이상의 측면 노치부를 가지도록, 클립이 개구부(40)와 동일한 타입의 개구부를 가지도록 준비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d는 클립(20)의 변형예로서의 클립(20')을 도시하며, 여기서 클립(20')은 지지 혀부(37') 이외에는 전체적으로 클립(20)과 유사하며, 지지구역(36')을 형성하는 외측표면은 더욱 긴 길이방향 가장자리부(37")를 가지며, 개구부(40')의 내측 가장자리부는, 내측 가지부(30') 내에 위치되기만 한다면, 내측 가지부(30')와 외측 가지부(32')가 만나는 연결부에 위치된다. 그렇지만, 지지 혀부(37')의 단부, 즉 지지구역(36')을 형성하는 외측표면은, 외측 가지부(32')로부터 시작하여 클립의 내측공간 내로 돌출한다. 또한 클립(20')의 유지부(34')는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에 위치된다.
이하, 도 6a 내지 6c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지며, 여기서의 클립은 이전 도면에 도시된 클립과는 약간 상이하다. 도 6a 및 6b에 있어서, 이 클립은 부재번호 120으로 표시되며, 다른 요소들은 이전 도면에서와 동일하되 100을 더한 부재번호로 표시된다. 이 클립(120)은 내측 가지부(130)와 외측 가지부(132)를 갖는다. 유지부(134)는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에, 다시 말해서, 이전 도면들에 도시된 클립과 마찬가지로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 사이의 절첩구역에 형성된다.
또한 지지구역(136)은 클립의 내측공간(121) 내로 절첩되는 지지 혀부(137)의 외측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 클립에 있어서, 이 지지 혀부(137)는,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 부근에서, 내측 가지부(130)로부터 시작하여 절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혀부(137)의 만곡된 자유단부만이 내측공간(121) 내로 돌출하며, 지지 혀부의 나머지 부분은 실질적으로 내측 가지부(130)의 평면 내에 놓여있다.
이 클립은, 내측 가지부 내에 있기만 한다면 자유단부 부근에 존재하는 외측 가지부의 구역으로부터 연장하는 개구부(140)를 구비한다. 내측 가지부(130)에 부착되는 곳으로부터 시작하여, 유지부(134)를 향해 가는 동안에는 지지 혀부(137)는 실질적으로 상기 내측 가지부의 평면 내에서 연장하고, 그 다음에, 클립의 내측공간(121) 내로 절첩되도록 만곡되어,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로부터 후퇴된다. 지지 혀부(137)가 내측 가지부에 부착되어 있는 곳 부근에서, 상기 지지 혀부의 가장자리부(137")는, 상기 지지 혀부에 대하여 비교적 큰 탄력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내측 가지부의 길이의 대략 1/3의 길이에 걸쳐서 내측 가지부로부터 절취된다. 또한 클립(120)은, 예를 들어, 외측 가지부(132)의 자유단부에 가까운 개구부(14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유지 스퍼부(138)를 갖는다. 도 5b 및 5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가지부 내의 측면 노치부 내에 형성되도록, 지지 혀부(137)에 대한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유지 스퍼부(138)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짐으로써, 형상은 뒤집어질 수 있다.
이하, 도 7a 내지 7c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지며, 여기서 클립(220)의 형상만이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클립과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클립(220)은, 외측 가지부(232)의 자유단부의 형상 이외에는, 전술한 클립(20)과 동일하다. 특히, 이 클립은, 내측 가지부(230) 및 외측 가지부(232)와, 지지구역을 형성하는 외측표면(236)을 갖춘 지지 혀부(237)와, 개구부(40)와 유사한 개구부(240)와, 유지 스퍼부(238)와, 유지부(234)를 가짐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외측 가지부(232)는 클립(20)의 외측 가지부에 비해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 외측 가지부는 칼라의 밴드부(12)의 제1 및 제2 플랭크부(13A 및 13B)가 만나는 연결구역(13')을 덮도록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는 자유단부(232')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커버 즉 자유단부는 칼라의 축선(A)을 향한 상기 클립의 움직임에 대항함으로써 제1 플랭크부(13A)에 클립이 끼워질 때 클립을 유지하기 위해 공헌한다. 물론, 도 5a 내지 5d 및 6a 내지 6c에 도시된 클립에 있어서도 외측 가지부의 그러한 만곡 연장이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도 8a 내지 8c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지며, 여기서 클립(320)의 형상만이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클립과 상이하다. 이 클립은, 칼라의 밴드부의 플랭크부(13A)가 끼워지는 내측 가지부(330) 및 외측 가지부(332)와, 2개의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에 형성되는 유지부(334)와, 클립의 내측공간(321) 내로 돌출하는 지지 혀부(337) 상에 형성된 지지구역(336)을 갖는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혀부(337)는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연결구역(337A)에서 외측 가지부에 연결된다. 이 지지 혀부는, 연결구역(337A)으로부터 연결부(334)를 향하여 연장하는 연장부(337B)와, 클립의 내측공간(321) 내로 절첩되는 단부(337C)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혀부의 연장부(337B)는 외측 가지부(332)에 비해 약간 상승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연장부에 대하여 증가된 탄력성이 부여된다. 이상과 같이, 지지구역(336)에 대항하여 지지되는 칼라의 제1 플랭크부(13A)의 지지표면은, 제1 플랭크부(13A)의 내측 가장자리부(13'A)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립의 외측 가지부(332)는, 칼라의 밴드부의 제1 및 제2 플랭크부(13A 및 13B)가 만나는 연결구역(13')을 덮도록 만곡되는 자유단부(332')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립은, 예를 들어, 지지 혀부(337)가 절취되는 개구부(340)의 다른 쪽에서, 클립의 외측 가지부의 주변부 상에 형성되는, 전술한 타입의 유지 스퍼부(38, 138 및 238)와 같은 유지 스퍼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하, 도 9a 내지 9c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지며, 여기서 클립의 형상만이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클립과 상이하다. 이 클립(420)은, 밴드부의 제1 플랭크부(13A)가 끼워지는 내측 가지부(430) 및 외측 가지부(432)를 갖는다. 그렇지만, 지지구역은 전술한 클립과는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구역(436)은 내측 가지부(430)의 자유단부에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 내측 가지부는, 칼라의 밴드부의 제1 및 제2 플랭크부(13A 및 13B) 사이에 제공되는 홈부(14)의 단부벽(end-wall)(14A)까지 연장하고, 그에 따라 상기 단부벽에 대항하여 지지되는 자유단부(430')를 갖는다. 내측 가지부의 자유단부(430')는 내측으로 만곡되며, 지지구역(436)은, 홈부(14A)의 단부벽과 접촉하는, 만곡된 상기 자유단부(430')의 외측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 가지부(432)는 연속된 밴드부이다. 그렇지만, 전술한 지지구역(436)에 더하여, 이 클립은 전술한 지지구역(36, 136, 236 및 336)과 동일한 타입의 지지구역을 가질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클립(420)의 외측 가지부(432)가 개구부(40)와 유사한 개구부(440) 및 지지 혀부(36)와 유사한 지지 혀부(436')를 가지는 예를 도 9c에 점선으로 표시한다.
전술한 클립들과 마찬가지로, 유지부(434)는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에 위치된다.
전술한 여러 구성들에 있어서, 외측 가지부에 연결되는 곳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클립의 내측 가지부는 외측 가지부를 향하는 집게부(pinching portion)를 갖는다. 예를 들어, 클립(20)의 내측 가지부(30)는 절첩구역(31)을 가지며, 상기 내측 가지부의 단부(31')는 내측으로 꺾이는 상기 절첩구역을 지나서 연장한다. 내측으로 만곡되는 자유단부(430')와 절첩구역(431) 사이에서 외측 가지부를 향하는 집게부(431')가 연장하는 도 9a 내지 9c에 도시된 클립을 제외하고, 동일한 형상을 다른 도면의 클립에서도 볼 수 있다.
또한, 내측 가지부로부터 절취된 집게 혀부(pinching tongue)에 의해 형성되는, 또한 칼라의 지지표면과 상호작용하는 지지구역을 형성하는 집게부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도 10 내지 14b에 도시되며, 이하 설명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이전의 도면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튜브가 반대로 되어 있으며, 클램핑 표면(1'A)을 경유하여 클립(520)과 상호작용하는 제1 튜브(1')는 이전 도면에서의 튜브(2)와 유사하고, 클램핑 표면(2'A) 및 스커트(2'B)를 갖춘 튜브(2')는 이전 도면에서의 튜브(1)와 유사하다.
우선, 도 10 내지 12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칼라는, 이전 도면에 도시된 칼라와 유사하며, 따라서 동일한 부재번호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클램핑 시스템은 이전 도면들에 도시된 와셔(22)를 구비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러한 와셔는 본 실시형태와 양립될 수 있으므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0 및 11은 함께 조립된 2개의 튜브의 단부에 사전-부착된 클램핑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2는 클램핑 시스템만을, 다시 말해서, 클립(520)을 장비한 칼라를 도시한다. 더욱 상세하게 도 13, 14A 및 14B를 참조하면, 클립(520)은 내측 가지부(530) 및 외측 가지부(532)를 가지며, 칼라의 밴드부(12)의 제1 플랭크부(13A)는 상기 내측 가지부와 상기 외측 가지부 사이에 끼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끼움을 성취하기 위해서, 외측 가지부(532)는 제1 플랭크부(13A)의 외측표면에 대항하여 연장하고, 내측 가지부 상에서, 클립은, 내측 가지부(530)로부터 절취되어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 사이에서 클립의 내측공간(521) 내로 상승되는 집게 혀부(531')에 의해 형성되는 집게부를 구비한다. 도 13은, 클립이 제1 플랭크부(13A)에 조립되어 있을 때, 집게 혀부(531')의 자유단부가 제1 플랭크부(13A)의 내측표면에 대항하여 유지되는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이 제1 플랭크부는 상기 자유단부와 상기 외측 가지부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끼움 혀부(531')는, 제1 플랭크부(13A)의 내측표면과 상호작용하는 지지구역을 형성하는 한편 칼라의 축선(A)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클립의 유지부(534)를 가압하는 경향을 갖는다. 특히, 집게 혀부(531')는 내측 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531'A)로부터 클립의 내측공간(521) 내로 상승하며, 이 연결부는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구역(533)으로부터 이격된 소정 거리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클립의 유지부(534)는, 내측 가지부(530)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특히, 상기 내측 가지부의 측면 가장자리(535)에 연결되며, 칼라의 축선을 향하여 절첩되는 2개의 유지부(534)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부(534)의 자유 가장자리부는, 상기 튜브가 밴드부(12) 내의 홈부(14)에 삽입될 때, 상기 클램핑 표면(1'A)에 대해 사전-부착된 상태로 칼라를 유지하도록, 튜브(1)의 클램핑 표면(1'A) 상에 지지된다. 이러한 사전-부착 상태에서 튜브(1')의 자유단부가 홈부 내로 진행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서, 클립(520)은 칼라의 축선을 향하여 돌출하는 횡단 플랜지(550)를 갖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전-부착 상태에서, 클램핑 표면(1'A)의 자유 가장자리부는 횡단 플랜지(550)의 배면에 대항하여 접촉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클립(520)의 외측 가지부(532)의 자유단부(532')는, 내측으로 만곡됨으로써, 제1 플랭크부(13A)와 제2 플랭크부(13B)가 만나는 연결부(13')를 덮도록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축선(A)을 향해 가는 방향으로의 제1 플랭크부(13A)에 대한 클립의 지나친 움직임에 대항하도록 공헌한다.
이전 실시형태들과 마찬가지로, 칼라가 클램핑 표면(1'A) 상에 결합될 때, 상기 클램핑 표면은 클립을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도록 유지부(534)와 상호작용하며, 상기 클립은 칼라의 축선(A)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표면에 사전-부착된 칼라를 유지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유지부가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의 최대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형성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14B에 도시된 클립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내측 가지부(530)는 탄성적으로 가요성이며, 제1 지지구역을 형성하는 집게 혀부(531')에 의해 축선(A)을 향하여 가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0 내지 14b에 도시된 클램핑 시스템은 이전 도면들에 도시된 와셔(22)를 가지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제1 플랭크부(13A)는 내측 홈부(14) 내에 사전-부착 상태로 튜브(1)를 유지하도록 기능하는 와셔나 클립을 가지지 않는다. 물론, 와셔(22)와 유사한 와셔를 갖춘, 또는 특히 도 1 내지 9c를 참조하여 전술한 클립과 유사한 클립을 갖춘 상기 제1 플랭크부(13B)를 장비하도록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임시, 2개의 튜브는 함께 가압되며, 클립(520)의 내측 가지부(530)는 소성 변형에 의해 제1 플랭크부(13A)의 내측표면에 대항하여 절첩되며, 그에 따라 절첩된 가장자리부 즉 횡단 플랜지(550)는 제2 튜브(2')를 향한 제1 튜브(1')의 전진을 더 이상 방해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9c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와셔(22)는 제2 튜브에 대한 사전-부착을 성취하기 위해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튜브의 자유단부로부터 멀어져 가는 방향으로의 제1 튜브(1)에 대한 칼라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서도 기능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클립은, 특히 금속으로, 즉, 절첩될 수 있는, 또한 필요시 절취될 수 있는, 간단한 금속 스트립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칼라 및 와셔가 제공될 경우, 이것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1; 1': 제1 튜브
2; 2': 제2 튜브
1A, 2A; 1'A, 2'A: 클램핑 표면
10: 칼라(collar)
12: 밴드부(band)
13A: 제1 플랭크부(flank)
13B: 제2 플랭크부
14: (내측) 홈부
20; 20'; 120; 220; 320; 420; 520: 클립
30; 30'; 130; 230; 330; 430; 530: 내측 가지부(branch)
32; 32'; 132; 232; 332; 432; 532: 외측 가지부
34; 34'; 134; 234; 334; 434; 534: 유지부
36; 36'; 136; 236; 336; 436; 436'; 531': (제1) 지지구역

Claims (21)

  1. 2개의 튜브(1, 2; 1', 2')를 밀봉 방식으로 함께 연결하기 위한 클램핑 시스템으로서, 2개의 튜브의 마주하는 단부는 상기 튜브의 원통형 외측표면에 비해 돌출하는 클램핑 표면(1A, 2A; 1'A, 2'A)을 가지며, 상기 클램핑 시스템은 상기 클램핑 표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밴드부(band)(12) 및 상기 밴드부를 조이기 위한 수단(12A, 12B, 16, 18)을 가지는 칼라(collar)(10)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부는 상기 클램핑 표면을 수용할 수 있는 내측 홈부(14)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플랭크부(flank)(13A)와 제2 플랭크부(13B)를 가지는 클램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시스템은 상기 제1 플랭크부 주위에 분포되는 복수의 클립(20; 20'; 120; 220; 320; 420; 520)을 포함하며,
    각각의 클립은 서로 마주하는 내측 가지부(branch)(30; 30'; 130; 230; 330; 430; 530) 및 외측 가지부(32; 32'; 132; 232; 332; 432; 532)를 가지며,
    상기 제1 플랭크부는 상기 내측 가지부와 상기 외측 가지부 사이에 끼워지며,
    각각의 클립은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유지부(34; 34'; 134; 234; 334; 434; 534)를 더 가지며,
    상기 유지부가, 제1 튜브(1; 1')의 클램핑 표면(1A; 1'A)과 접촉하여 상기 튜브에 사전-부착되는 사전-부착 상태로 상기 칼라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1 튜브의 자유단부를 향하는 방향(F)으로의 제1 튜브에 대한 칼라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칼라의 축선(A)을 향하여 상기 클립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 가지부 및 상기 외측 가지부 중 하나는 상기 칼라의 축선을 향하는 상기 칼라의 제1 지지표면(13'A; 14'A)과 접촉하는 제1 지지구역(36; 36'; 136; 236; 336; 436; 436'; 531')을 가지며,
    상기 제1 튜브의 자유단부는 상기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라(10)의 제1 지지표면(13'A)은 상기 제1 플랭크부(13A)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립(20; 20'; 120; 220; 320; 420)에 대하여, 상기 제1 지지구역(36; 36'; 136; 236; 336; 436'; 531')은 내측 가지부 및 외측 가지부 중 하나로부터 절취되는 지지 혀부(bearing tongue)(37; 37'; 137; 237; 337)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 혀부(37; 37'; 137; 237; 337)는, 외측 가지부로부터 절취되고, 적어도 자유단부를 통하여,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 사이의 클립의 내측공간 내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 혀부(37; 37'; 237)는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 부근에서 외측 가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 혀부(337)는, 내측 가지부(330)와 외측 가지부(332)가 만나는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연결구역(337A)에서 외측 가지부(332)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구역(337A)으로부터 상기 연결부(334)를 향하여 연장하는 연장부(337B) 및 상기 클립의 내측공간(321) 내로 꺾이는 단부(337C)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 혀부(137)는, 내측 가지부(130)로부터 절취되고, 적어도 자유단부를 통하여,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 사이의 상기 클립(120)의 내측공간(121) 내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 혀부(137)의 자유단부는, 내측 가지부(130)를 향하여 만곡되어, 외측 가지부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내측 가지부의 표면으로부터 이어지는 표면을 경유하여 칼라의 제1 지지표면(13'A)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립(420)의 내측 가지부(430)는, 내측으로 만곡되어, 내측 가지부의 외측표면을 경유하여, 밴드부의 내측 홈부(14)의 단부벽(14A)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제1 지지구역(436)을 형성하며, 상기 단부벽 상에는 상기 칼라의 제1 지지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가지부(430)는, 내측으로 만곡되어, 내측 가지부의 외측표면을 경유하여, 밴드부의 내측 홈부(14)의 단부벽(14A)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제2 지지구역(436)을 형성하는 자유단부를 가지며, 상기 단부벽 상에는 상기 칼라의 제2 지지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립(220; 320; 520)의 외측 가지부(232; 332; 532)는, 내측으로 만곡되어 밴드부(12)의 제1 플랭크부(13A)와 제2 플랭크부(13B)가 만나는 연결구역(13')을 덮을 수 있는 자유단부(232; 332; 53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측 가지부(32; 432)에 연결되는 곳으로부터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의 클립(20; 420)의 내측 가지부(30; 430)는 외측 가지부를 향하여 꺾이는 집게부(pinching portion)(31'; 43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내측 가지부(530)로부터 절취되어, 칼라의 제1 지지표면이 형성되는 제1 플랭크부(13A)의 내측표면과 상호작용하는 제1 지지구역을 형성하는 집게 혀부(pinching tongue)(53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립의 유지부(34; 134; 234; 334; 434)는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가 만나는 연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립(520)의 유지부(534)는 내측 가지부(530)에 형성되어 칼라의 축선(A)을 향하여 절첩되는 유지 혀부(retaining tongue)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534)는 내측 가지부의 측면 가장자리(53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시스템은, 칼라(10)가 제1 튜브(1; 1')에 사전-부착되는 사전-부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튜브의 자유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제1 튜브에 대한 칼라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작용하는 수단(22; 550)을 가지며, 상기 자유단부는 상기 제1 튜브의 클램핑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시스템은, 상기 제2 플랭크부(13B)에 지지되는 움직임-제한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제한 부재는 와셔(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립(520)의 내측 가지부는 칼라의 축선(A)을 향하여 돌출하는 횡단 플랜지(55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클립(20; 20'; 120; 220)의 내측 가지부(32; 132; 232)는 내측 가지부와 외측 가지부 사이의 클립의 내측공간 내로 돌출하는 유지 스퍼(holding spur)(38; 138; 2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시스템.
KR1020170028961A 2016-03-07 2017-03-07 칼라 및 개별적인 사전-부착식 클립을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 KR102374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1881 2016-03-07
FR1651881A FR3048468B1 (fr) 2016-03-07 2016-03-07 Systeme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et des clips individuels de pre-mont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406A KR20170104406A (ko) 2017-09-15
KR102374453B1 true KR102374453B1 (ko) 2022-03-15

Family

ID=5580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961A KR102374453B1 (ko) 2016-03-07 2017-03-07 칼라 및 개별적인 사전-부착식 클립을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228084B2 (ko)
EP (1) EP3217059B1 (ko)
JP (1) JP6846236B2 (ko)
KR (1) KR102374453B1 (ko)
CN (1) CN107166114B (ko)
BR (1) BR102017004288B1 (ko)
ES (1) ES2715038T3 (ko)
FR (1) FR3048468B1 (ko)
RU (1) RU2721346C2 (ko)
TR (1) TR201903058T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9997B1 (fr) * 2016-04-12 2018-05-04 Etablissements Caillau Dispositif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de serrage et un manchon
GB2550933B (en) * 2016-06-01 2019-01-16 Taylor Kerr Couplings Ltd Self-aligning pipe coupling
FR3057047B1 (fr) * 2016-10-04 2019-05-10 Etablissements Caillau Systeme de serrage a position angulaire controlee pour le raccordement de deux tubes
DE102017121994A1 (de) * 2017-09-22 2019-03-28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mit Dichtelement
CN108061206B (zh) * 2017-12-20 2019-05-21 乐清市东博机电有限公司 定位防错卡箍
CN108437732B (zh) * 2018-04-13 2023-07-04 无锡市东鹏金属制品有限公司 汽车避震悬架器卡箍铸件
DE102018114087A1 (de) 2018-06-13 2019-12-19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CN112752920A (zh) 2018-09-28 2021-05-04 泰康尼克斯有限公司 夹持设备及其使用方法
FR3087868B1 (fr) * 2018-10-25 2021-05-07 Airbus Operations Sas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deux conduits d’une canalisation comportant un jeu de collerettes tronconiques et canalisation comprenant ledit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102019112884B3 (de) * 2019-05-16 2020-03-26 Norma Germany Gmbh Vorrichtung zum Vorpositionieren einer Profilschelle und Verbindungssystem
FR3098881B1 (fr) 2019-07-15 2021-07-23 Caillau Collier de serrage à doigts de retenue
DE102019126484A1 (de) * 2019-10-01 2021-04-01 Norma Germany Gmbh Profilschelle mit Verrastlasche
FR3103233B1 (fr) 2019-11-20 2021-11-26 Caillau Collier de serrage
FR3108961B1 (fr) * 2020-04-03 2022-08-26 Caillau Systè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de tubes, comprenant un collier et un joint d’étanchéité
ES2937419T3 (es) * 2020-04-03 2023-03-28 Caillau Sistema de ajuste para la conexión de tubos, que comprende una abrazadera y una arandela que lleva patillas de soporte
WO2022204136A1 (en) * 2021-03-22 2022-09-29 Maclean-Fogg Company Clamp assembly
GB2608686B (en) 2021-05-28 2024-02-14 Caillau Mounting assembly comprising two end pieces held fitted by a belt
FR3123406B1 (fr) 2021-05-28 2023-06-02 Caillau Ensemble de montage comprenant deux embouts maintenus emmanchés par une ceinture
FR3133423A1 (fr) 2022-03-10 2023-09-15 Caillau Collier de serrage pour tubes et systè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de tubes, comprenant un collier
DE102022113803A1 (de) 2022-06-01 2023-12-07 Norma Germany Gmbh Montagering und Rohrverbindungssystem
CN116085566A (zh) * 2023-01-10 2023-05-09 安耐特流体输送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性高的大口径弯头管道连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5841A1 (en) 2007-02-04 2008-08-07 Breeze-Torca Products, Llc Stepped ball joint pipe clamp and pre-attachment components therefor
US20090189389A1 (en) 2006-08-25 2009-07-30 Contitech Mgw Gmbh System for pre-positioning a hose clamp on a hose en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5109A (en) * 1978-01-03 1979-08-21 Federal Hose Manufacturing Corp. Wide-band compression coupling
US4453289A (en) * 1980-04-04 1984-06-12 Dayco Corporation Hose clamp structure and hose construction employing same
JPH0893976A (ja) * 1994-09-22 1996-04-12 Toyota Motor Corp 管の継ぎ手装置
DE19838588C2 (de) * 1998-08-25 2000-11-30 Valeo Klimatech Gmbh & Co Kg Rohrverbindung zwischen einem Sammler eines Kraftfahrzeugwärmetauschers und einer Rohrleitung sowie Verbindungsschelle für eine solche Rohrverbindung
DE19907412C2 (de) * 1999-02-20 2000-12-21 Karl Weinhold Kupplung für Stahlwendelschläuche
US6832786B2 (en) * 2001-10-16 2004-12-21 D.J. Mielke, Inc. Tubular member coupling device
FR2833065B1 (fr) * 2001-12-05 2004-09-03 Caillau Ets Syste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etanche de deux tubes ayant des surfaces d'appui
KR20080014734A (ko) * 2005-03-04 2008-02-14 브리즈-토르카 프로덕츠 엘엘씨 V-링 인서트를 가진 파이프 클램프 조립체
FR2902175B1 (fr) * 2006-06-09 2016-02-19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FR2963404B1 (fr) * 2010-07-27 2014-02-07 Caillau Ets Systeme de serrage pour le raccordement et le pre-montage d'un premier et d'un deuxieme tube
CN202580384U (zh) * 2011-12-01 2012-12-05 阿特拉斯·科普柯空气动力股份有限公司 用于连接两个管端部的连接器
FR3049997B1 (fr) * 2016-04-12 2018-05-04 Etablissements Caillau Dispositif de serrage comprenant un collier de serrage et un manch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9389A1 (en) 2006-08-25 2009-07-30 Contitech Mgw Gmbh System for pre-positioning a hose clamp on a hose end
US20080185841A1 (en) 2007-02-04 2008-08-07 Breeze-Torca Products, Llc Stepped ball joint pipe clamp and pre-attachment component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66114A (zh) 2017-09-15
JP2017161071A (ja) 2017-09-14
RU2721346C2 (ru) 2020-05-19
FR3048468A1 (fr) 2017-09-08
JP6846236B2 (ja) 2021-03-24
BR102017004288B1 (pt) 2022-04-19
FR3048468B1 (fr) 2018-04-06
TR201903058T4 (tr) 2019-06-21
RU2017107130A (ru) 2018-09-06
US20170254454A1 (en) 2017-09-07
US10228084B2 (en) 2019-03-12
BR102017004288A2 (pt) 2017-09-12
EP3217059A1 (fr) 2017-09-13
CN107166114B (zh) 2020-11-24
RU2017107130A3 (ko) 2020-03-25
ES2715038T3 (es) 2019-05-31
KR20170104406A (ko) 2017-09-15
EP3217059B1 (fr)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453B1 (ko) 칼라 및 개별적인 사전-부착식 클립을 포함하는 클램핑 시스템
US10612705B2 (en) Clamping device comprising a clamping collar and a sleeve
JP5222305B2 (ja) 段付きボールジョイントパイプクランプおよびその予め取り付ける構成部品
KR101553914B1 (ko) 사전 위치 설정부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US9273706B2 (en) Hinged clamping collar
US9016731B2 (en) Clamping system for connecting together and for pre-fitting a first tube and a second tube
KR102451029B1 (ko) 2개의 튜브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조절식 각도 위치결정부를 갖춘 클램핑 시스템
US10563799B2 (en) System for coupling two tubes
KR102212313B1 (ko) 밀봉 요소를 가진 프로파일 클램프
KR20050044634A (ko) 두 개의 튜브를 기밀하게 연결시키는 클램핑 시스템
JPH0776596B2 (ja) 締付けバンド
EP2682656B1 (en) Pipe clip with spring washer
JP2019190663A (ja) チューブを接続するための折り畳みタブを有するクランピングシステム
JP2021014918A (ja) 保持フィンガーを有するクランプカラー
US6584654B1 (en) T-bolt hose clamp
JP2015511301A (ja) 管継手
US11746938B2 (en)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