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882A -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 Google Patents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882A
KR20210061882A KR1020190149936A KR20190149936A KR20210061882A KR 20210061882 A KR20210061882 A KR 20210061882A KR 1020190149936 A KR1020190149936 A KR 1020190149936A KR 20190149936 A KR20190149936 A KR 20190149936A KR 20210061882 A KR20210061882 A KR 20210061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type sliding
sliding door
corn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455B1 (ko
Inventor
신칠호
Original Assignee
신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칠호 filed Critical 신칠호
Priority to KR102019014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45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6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05Y2900/212Doors disappearing in pockets in the furnitur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미닫이 및 여닫이 도어에서 탈피하고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도입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면서, 셔터식 미닫이 도어의 작동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수납장의 전후좌우 너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저렴한 제조 단가로 쉽게 생산할 수 있는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은, 전면 개구부가 형성된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전면측 제1 직선부와 측면측 제2 직선부와 상기 제1, 제2 직선부를 연결하는 모서리 곡선부로 이루어진 가이드부; 및 서로 인접한 수직바들이 내측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직선부 사이에 상기 모서리 곡선부를 갖는 코너 연결구가 조립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STORAGE}
본 발명은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미닫이 및 여닫이 도어에서 탈피하고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도입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면서, 셔터식 미닫이 도어의 작동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수납장의 전후좌우 너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저렴한 제조 단가로 쉽게 생산할 수 있는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등에 설치되는 수납장은 평판의 패널을 소정 치수로 절단하고, 내부 공간에 칸막이 등을 설치하여 세면도구나 수건, 휴지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납장은 전면부에 내부를 은폐하기 위한 도어가 다양한 열림 구조로 설치되며, 도어의 개폐 방식에 따라 통상적으로 여닫이식 수납장과 미닫이식 수납장으로 구분된다.
이중 미닫이식 수납장은 도어 개폐에 필요한 전후좌우 공간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대부분 욕실에 미닫이식 수납장을 설치하는 것이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미닫이식 수납장은 물건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칸막이를 통해 여러 층으로 구획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수납공간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이때 종래의 미닫이식 수납장은 슬라이딩 도어들이 서로 중첩되는 형태로 개방되기 때문에 수납장의 전면부를 완전하게 개방할 수 없어, 수납장에 수납 가능한 물품의 종류(또는 크기)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참고로 미닫이식 수납장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594141호 등이 있으며, 셔터식 미닫이식 도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 제20-0485308호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체의 전면부를 완전하게 개방하여 보다 많은 종류(크기)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하며, 셔터식 미닫이 도어의 작동 안정성을 높이면서, 'ㄴ'자형 가이드부의 규격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쉽게 생산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은,
전면 개구부가 형성된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전면측 제1 직선부와 측면측 제2 직선부와 상기 제1, 제2 직선부를 연결하는 모서리 곡선부로 이루어진 가이드부; 및
서로 인접한 수직바들이 내측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직선부 사이에 상기 모서리 곡선부를 갖는 코너 연결구가 조립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은,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및 모서리 곡선부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코너 연결구는 상기 내부패널의 모서리부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서리 곡선부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제1 바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각각의 내벽면과 외벽면을 구비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코너 연결구는 레일들 사이의 모서리부에 결합되며 상기 모서리 곡선부의 내벽면과 외벽면을 구비한 제2 바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에서,
상기 셔터식 미닫이 도어는 수직바들 중 하나의 상단 또는 하단에 힌지 결합되되 양단이 인접한 다른 수직바의 상단 또는 하단을 지지하도록 연결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와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은,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통해 본체의 전면부를 완전하게 개방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크기)의 물품을 자유롭게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의 모서리 곡선부로 셔터식 미닫이 도어의 작동 안정성을 높이고,
특히 가이드부의 모서리 곡선부를 구비한 코너 연결구를 별도로 제작하여 전면측 제1 직선부와 측면측 제2 직선부 사이에 조립하여 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수납장의 전후좌우 너비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생산할 수 있으면서,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부의 저면도와 바닥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와, 바닥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전면 개구부(11)가 형성된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10);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전면측 제1 직선부(21)와 측면측 제2 직선부(22)와 상기 직선부(21)(22)들 사이를 연결하는 모서리 곡선부(23)로 이루어진 가이드부(20A)(20B); 및
서로 인접한 수직바(31)들이 내측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20A)(20B)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셔터식 미닫이 도어(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전면 개구부(11)와 후면부(12), 바닥부(13A)와 천장부(13B) 및 좌우 측면부(14)를 구비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본체(10)는 후면부(12), 바닥부(13A), 천장부(13B) 및 좌우 측면부(14)에 대응하는 평판 형상의 패널을 소정 치수로 재단하여 박스 형상으로 조립하여 제작되며, 이때 좌우 측면부(14) 내측으로 이동되는 셔터식 미닫이 도어(30)의 안내 및 은폐가 이루어지도록, 전면 개구부(11)의 양측에는 개구부(11)의 양측 일부 영역을 덮으면서 결합되는 전면 세로판(11A)이 결합되고, 전면 개구부(11)의 상하측에는 개구부(11)의 상하측 일부 영역을 덮으면서 결합되는 전면 가로판(11B)이 결합된다.
한편 수납장이 세면대나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 천장부(13B)가 생략되고 수납장 상부 구조물의 바닥부가 본체(10)의 천장부를 대신할 수도 있다.
또한 좌우 측면부(14) 상으로 이동하여 수납된 셔터식 미닫이 도어(30)가 수납공간 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좌우 측면부(14)의 내측에는 제2 직선부(22)(및 모서리 곡선부(23))를 가리는 내부 측판(1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0A)(20B)는 본체(10)의 전면 개구부(11)에서 좌우 측면부(14)를 향해 'ㄴ'자 형으로 절곡하여 연결된 것으로써, 셔터식 미닫이 도어(30)의 하단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하측 제1 가이드부(20A)와, 셔터식 미닫이 도어(30)의 상단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측 제2 가이드부(20B)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하측 제1 가이드부(20A)에 적용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상측 제2 가이드부(20B)에 적용되어, 제1, 제2 실시예가 혼합 적용된 수납장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서는 도면에 기초하여 제1, 제2 실시예를 상, 하 구분하여 설명하나, 이러한 제1, 제2 실시예는 서로 반대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다음으로 상기 셔터식 미닫이 도어(30)는 일반 셔터와 같이 도어 자체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접힘) 가능한 것으로써, 다수개의 수직바(31)들은 다양한 힌지(링크) 구조로 연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셔터식 미닫이 도어(30)는 수직바(31)들의 배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시트지(32)를 부착해 고정시켜, 수직바(31)들의 연결 및 절곡이 가능하게 하여 제조 단가의 절감 및 제조의 용이성을 도모한다.
이러한 시트지(32)는 수직바(31)들이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보장하면 족하고, 그 재질에 제한이 없다.
아울러 상기 셔터식 미닫이 도어(30)는 수직바(31)들 중 하나의 상단 또는 하단에 힌지 결합되되 인접한 다른 수직바(31)의 상단 또는 하단을 지지하도록 연결된 지지부재(33)와, 상기 지지부재(33)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20A)(20B)와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33)는 수평방향으로 수직바(31)의 좌우 너비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중단부가 3개의 수직바(31)들 중 가운데 수직바(31)의 끝단부 중앙에 힌지 결합되며, 양측 단부가 3개의 수직바(31)들 중 양측 수직바(31)의 끝단부 내측단을 지지하여, 수직바(31)의 지지에 필요한 지지부재(33)와 이동부재의 개수를 최소화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지지부재(33)는 접힘 가능한 관절 구조로 연결된 분체들로 구성되면서, 각 분체가 수직바(31)들에 일대일로 힌지 결합되어, 수직바(31)들이 모서리 곡선부(23)를 지날 때 수직바(31)들의 절곡에 구조에 대응하여 지지부재(33) 자체의 각도 변경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셔터식 미닫이 도어(30)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면서, 가이드부(20A)(20B)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여 셔터식 미닫이 도어(30)의 개폐 이동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써, 각종 롤러나 베어링, 마찰 면적을 줄여주는 돌기 구조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셔터식 미닫이 도어(30)는 전면측 제1 직선부(21)와 측면측 제2 직선부(22) 사이에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부재(33)의 중앙에 구비되며 전방향 자유 회전이 가능한 볼캐스터(34)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볼캐스터(34)는 상기 지지부재(33)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 고정되고 하측 노출공을 갖는 하우징(34a)과, 상기 하우징(34a)에 내장되어 하단 일부가 상기 노출공으로 노출되며 하우징(34a) 내에서 전후좌우 전(全) 방향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볼부재(34b)로 구성된다.
이러한 볼캐스터(34)는 수직바(31)들의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부재(33)에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33)는 내측면에서 돌출되되 끝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작아지는 첨단부(33a)를 구비하여, 상기 첨단부(33a)가 상기 가이드부(20A)(20B)의 내벽면에 선(線) 접촉 또는 점(點) 접촉된다.
이러한 첨단부(33a)는 셔터식 미닫이 도어(30)가 가이드부(20A)(20B) 상에서 전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볼캐스터(34)는 하우징(34a) 내부에 볼부재(34b)의 상단 일부를 구름 지지하는 베어링이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볼캐스터(34)는 볼부재(34b)가 모서리 곡선부(23)를 지날 때 이동 방향에 따라 방향 전환이 자유로워 셔터식 미닫이 도어(30)의 개폐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인 가이드부(20A)(20B)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부(20A)(20B)는 일반적인 수납장 형태에서 바닥부(13A) 및 천장부(13B)에 구비되는데, 세면대나 싱크대 하부 수납장의 경우 천장부(13B)가 생략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후술하는 제2 실시예의 레일(134A)(135B)이 전면 가로판(11B)과 양 측면부(14)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측 가이드부(20A)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바닥부(13A) 및 천장부(13B)가 구비된 수납장을 대표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상기 제1, 제2 직선부(21)(22) 사이에 상기 모서리 곡선부(23)를 갖는 코너 연결구(133)가 조립되어 상기 가이드부(20A)(2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가이드부(20A)(20B)가 하나로 일체화되어 패널에 결합되지 않고, 제1, 제2 직선부(21)(22)와 모서리 곡선부(23)가 별도의 부재로 개별 제작된 후, 서로 조립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닥부(13A) 또는 바닥부(13A)와 천장부(13B)는, 상기 제1 직선부(21)와 제2 직선부(22)를 구비하는 외부패널(131A)(131B)과, 상기 외부패널(131A)(131B)의 모서리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서리 곡선부(23)를 형성하는 코너 연결구(133)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패널(131A)(131B)은 바닥부(13A) 또는 천장부(13B)의 외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수납장의 전후좌우 사이즈에 맞춰 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재단되며, 세면대나 싱크대 등의 구조물 하부에 수납장이 설치될 경우에는 천장부(13B)의 외부 패널이 생략되고, 구조물의 바닥판이 천장부(13B)를 대신할 수 있다.
상기 코너 연결구(133)는 외부패널(131A)(131B)의 전단 양측 모서리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전면측 제1 직선부(21)와 측면측 제2 직선부(22)를 라운드지게 연결하여 셔터식 미닫이 도어(30)의 방향 전환을 가이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써,
상기 가이드부(20A)(20B)는 상기 제1 직선부(21)와 제2 직선부(22) 및 모서리 곡선부(23)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패널(132)을 포함하며,
상기 코너 연결구(133)는 상기 내부패널(132)의 모서리부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서리 곡선부(23)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제1 바디(133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패널(132)은 상기 외부패널(131A)(131B)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면서 외부패널(131A)(131B)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결합되어, 테두리 끝단부가 상기 전면측 제1 직선부(21)와 측면측 제2 직선부(22) 및 모서리 곡선부(23)의 내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바디(133A)는 상기 외부패널(131A)(131B)의 모서리 내측에서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모서리 곡선부(23)의 외벽면을 형성한다.
바닥부(13A)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부(20A)를 대표하여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내부패널(132)은 평판 형상의 전면 양측 모서리부가 사선형으로 모따기된 형태로써, 후단부가 제1 외부패널(131A)의 후단부에 맞춰져 제1 외부패널(131A)의 중앙에 결합된다.
이러한 내부패널(132)은 전단측 제1 직선 테두리부(132a)와, 측면측 제2 직선 테두리부(132b) 및 전단 양측 모따기 테두리부(132c)가 각각, 제1 직선부(21)와, 제2 직선부(22) 및 모서리 곡선부(23)의 내벽면으로 기능하여, 셔터식 미닫이 도어(30)(보다 엄밀하게는 볼캐스터(34))의 이동 및 방향 전환을 안내한다.
이때 전면 개구부(11)의 상하좌우 테두리를 따라 각각 전면 세로판(11A)과 전면 가로판(11B) 및 좌우 측면부(14)가 직각으로 결합되어, 전면 세로판(11A)과 전면 가로판(11B) 및 좌우 측면부(14)가 내부패널(132)의 제1, 제2 직선 테두리부(132a)(132b)와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제1, 제2 직선부(21)(22)의 외벽면으로 기능하며, 내부 측판(15)은 내부패널(132)의 제2 직선 테두리부(132b)에 수직하게 직각으로 결합되어 제2 직선부(22)가 수납공간 상으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상기 제1 바디(133A)는 제1 외부패널(131A)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직각 연결된 2개의 외측면을 가지면서, 외측면의 양측 끝단부가 오목하게 라운드진 제1 라운드부(133a)로 연결되어, 제1 라운드부(133a)가 모따기 테두리부(132c)와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모서리 곡선부(23)의 외벽면으로 기능한다.
즉, 전면 세로판(11A)과 전면 가로판(11B)과 측면부(14) 및 제1 라운드부(133a)가 내부패널(132)의 테두리부(132a)(132b)(132c)들로부터 외측으로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제1 외부패널(131A)의 상면에는 내부패널(132)의 둘레 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오목하게 연결된 제1 가이드부(20A)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바디(133A)는 직각 연결된 외측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연결된 제1 체결부(133b)를 더 구비하여, 전면 세로판(11A) 및 좌우 측면부(14)가 코너 연결구(133)의 제1 체결부(133b)에 볼트로 결합되게 하여, 본체(10)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한다.
즉, 전면 세로판(11A)과 전면 가로판(11B) 및 좌우 측면부(14)는 제1 외부패널(131A)의 테두리에 직각으로 볼트 결합되는데, 이때 코너 연결구(133)의 제1 체결부(133b)가 전면 세로판(11A) 및 좌우 측면부(14)의 내측면에 볼트 결합되게 하여, 제1 외부패널(131A) - 전면 세로판(11A) - 좌우 측면부(14) - 코너 연결구(133)가 서로 볼트로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바닥부(13A)를 형성하는 패널에 제1 가이드부(20A)를 위한 홈 가공이 불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제1 외부패널(131A) 및 내부패널(132)을 단순 재단하고, 코너 연결구(133)로 사용되는 제1 바디(133A)를 규격화하여 제작한 후 제1 바디(133A)를 다양한 사이즈의 제1 외부패널(131A)에 결합하여 바닥부(13A)를 조립함으로써, 바닥부(13A)에 제1 가이드부(20A)를 일체형으로 가공하는 방식에 비해, 수납장의 전후좌우 사이즈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맞춤 제작이 가능하면서, 이에 따른 제조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일반 미닫이 도어의 대안으로써 셔터식 미닫이 도어(30)를 도입하면, 도어가 본체(10)의 측면부(14) 상으로 은폐되어 개방되는 방식이 고려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가이드부가 바닥부(13A)의 테두리를 따라 'ㄴ'자형으로 절곡하여 구비되어야 하는 바, 수납장의 사이즈에 맞춰 바닥부(13A)에 가이드부의 홈 가공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설치 장소에 맞춰 수납장의 사이즈를 변경하여 제작할 경우 그에 따라 소모되는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홈 형태의 가이드부 가공은 CNC 선반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수납장의 사이즈에 따라 가이드부의 가공 수치를 매번 변경하게 되면 대량 생산이 불가능함은 물론, 그만큼 제조 단가가 증가하게 되어, 수납장을 맞춤 생산 방식으로 제작하지 못하고 통일된 규격으로 생산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곡선 형태를 갖는 홈의 가공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1 외부패널(131A)과 내부패널(132)을 단순하게 재단하여 가공할 수 있고, 통일된 규격의 코너 연결구(133)를 제작 후, 수납장의 제작 사이즈에 맞춰 조립하는 것만으로 홈 형태의 제1 가이드부(20A)를 형성할 수 있어,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을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맞춤 생산하여 보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써,
상기 가이드부(20A)(20B)는 상기 제1 직선부(21)와 제2 직선부(22) 각각의 내벽면과 외벽면을 구비한 레일(134A)(134B)을 포함하며,
상기 코너 연결구(133)는 레일(134A)(134B)들 사이의 모서리부에 결합되며 상기 모서리 곡선부(23)의 내벽면과 외벽면을 구비한 제2 바디(133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134A)(134B)은 각각 전면 개구부(11)의 상, 하측 단부와, 측면부(14)의 내측에 구비되어, 각 레일(134A)(134B)이 상기 제1 직선부(21)와 제2 직선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바디(133B)는 전면 개구부(11)의 모서리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모서리 곡선부(23)를 형성한다.
천장부(13B)에 구비되는 제2 가이드부(20B)를 대표하여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레일(134A)(134B)은 하면이 개구된 'ㄷ'자 단면을 갖는 바(bar) 타입의 부재로써, 제2 외부패널(131B)의 전단측 테두리 및 좌우측 테두리의 상면에 각각 제1, 제2 레일(134A)(134B)이 결합되어, 각 레일(134A)(134B) 자체가 제1, 제2 직선부(21)(22)로 기능한다.
이때 천장부(13B)로 사용되는 별도의 패널이 없으면(즉, 수납공간의 상면이 개구된 형태의 수납장이면), 각 레일(134A)(134B)은 전면 가로판(11B) 및 양측 측면부(14)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 역시, 내부 측판(15)을 통해 제2 레일(134)이 수납공간 상으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상기 제2 바디(133B)는 제2 외부패널(131B)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직각 연결된 2개의 외측면을 가지면서, 제1, 제2 레일(134A)(134B)의 끝단부를 라운드지게 연결하도록 하면이 개구된 'ㄷ'자 단면을 갖는 원호 형상의 모서리 곡선부(23)를 구비한다.
즉, 모서리 곡선부(23)의 입, 출구가 제1, 제2 레일(134A)(134B)의 입, 출구에 직접 연결되어, 셔터식 미닫이 도어(30)의 방향 전환을 안내한다.
이때 모서리 곡선부(23)의 외벽면은 원호 형상의 제2 라운드부(133c)로 형성되는데 반하여, 모서리 곡선부(23)의 내벽면은 제1, 2 레일(134A)(134B)을 사선 방향으로 직선 연결하는 사선부(133d)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라운드부(133a)와 모따기 테두리부(132c)로 형성된 제1 가이드부(20A)의 모서리 곡선부(23)와, 제2 라운드부(133c)와 사선부(133d)로 형성된 제2 가이드부(20B)의 모서리 곡선부(23)는, 모서리 곡선부(23)의 입구와 출구 사이의 폭 너비가 협(狹) - 광(廣) - 협(狹)의 크기 관계를 갖도록 연결된다.
이를 통해 수직바(31)들이 벌어지면서 절곡 각도가 커지는 모서리 곡선부(23)의 내부공간을 입, 출구보다 넓게 하여, 수직바(31)들의 방향 전환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바디(133B)는 직각 연결된 외측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연결된 제2 체결부(133e)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2 체결부(133e)는 상기 제2 외부패널(131B)의 전단 양측 모서리가 끼워져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체결부(133b)와 마찬가지로 전면 세로판(11A) 및 좌우 측면부(14)가 코너 연결구(133)에 볼트로 결합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홈 형태의 가이드부 가공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제1, 제2 레일(134A)(134B)을 도입하고, 코너 연결구(133)로 사용되는 제2 바디(133B)를 규격화하여 제작함으로써,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납장의 맞춤 제작을 유리하게 하면서,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 제2 바디(133A)(133B)는 직각으로 연결된 외측면들과 라운드부(133a)(133c)를 갖는 몸통부의 상면 또는 하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개구된 면의 반대편)에는 볼트 결합공이 구비된다.
즉, 제1, 제2 바디(133A)(133B)의 상면 또는 하면이 살빼기 형태로 형성되어 공간부를 가지면서, 공간부의 일면을 밀폐하는 바닥면에 볼트 결합공이 구비된다.
상기 볼트 결합공은 제1, 제2 체결부(133b)(133e)와 별개로 바닥부(12A) 또는 천장부(12B)를 형성하는 외부패널(131A)(131B)(상면이 개구된 수납장의 경우 상부 구조물의 바닥판)에 제1, 제2 바디(133A)(133B)가 볼트 결합되게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제2 바디(133A)(133B)는 외측면들의 모서리부에 직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133f)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 세로판(11A)은 상기 걸림홈(133f)에 끼워지도록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조립돌기(11a)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홈(133f)과 조립돌기(11a)는 전면 세로판(11A)과 바디(133A)(133B)들의 조립을 견고하게 하며, 조립돌기(11a)를 통해 측면부(14)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전면 개구부
11A : 전면 세로판 11B : 전면 가로판
12 : 후면부 13A : 바닥부
13B : 천장부 14 : 측면부
15 : 내부 측판
20A, 20B : 가이드부 21 : 제1 직선부
22 : 제2 직선부 23 : 모서리 곡선부
30 : 셔터식 미닫이 도어 31 : 수직바
32 : 시트지 33 : 지지부재
34 : 볼캐스터
130 : 코너 연결구
131A, 131B : 외부패널 132 : 내부패널
133 : 코너 연결구 133A, 133B : 바디
134A, 134B : 레일

Claims (4)

  1. 전면 개구부가 형성된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전면측 제1 직선부와 측면측 제2 직선부와 상기 제1, 제2 직선부를 연결하는 모서리 곡선부로 이루어진 가이드부; 및
    서로 인접한 수직바들이 내측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직선부 사이에 상기 모서리 곡선부를 갖는 코너 연결구가 조립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및 모서리 곡선부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내부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코너 연결구는 상기 내부패널의 모서리부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서리 곡선부의 외벽면을 형성하는 제1 바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각각의 내벽면과 외벽면을 구비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코너 연결구는 레일들 사이의 모서리부에 결합되며 상기 모서리 곡선부의 내벽면과 외벽면을 구비한 제2 바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식 미닫이 도어는 수직바들 중 하나의 상단 또는 하단에 힌지 결합되되 양단이 인접한 다른 수직바의 상단 또는 하단을 지지하도록 연결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와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KR1020190149936A 2019-11-20 2019-11-20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KR102321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936A KR102321455B1 (ko) 2019-11-20 2019-11-20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936A KR102321455B1 (ko) 2019-11-20 2019-11-20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882A true KR20210061882A (ko) 2021-05-28
KR102321455B1 KR102321455B1 (ko) 2021-11-04

Family

ID=7614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936A KR102321455B1 (ko) 2019-11-20 2019-11-20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4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137U (ko) * 1990-07-25 1992-02-24 김태호 전자계를 이용한 원적외선 치료기
KR100195627B1 (ko) * 1995-05-08 1999-06-15 인천성 장롱 및 절첩식 도어용 튜브부재
KR200369569Y1 (ko) * 2004-09-24 2004-12-09 이승철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티브이 보관함
KR100748220B1 (ko) * 2006-05-12 2007-08-09 주식회사 아이파워 수배전반의 슬라이딩 도어장치
US20140311689A1 (en) * 2013-04-22 2014-10-23 Ashraf Gomaa Drive assisted roller assembly for rolling do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137U (ko) * 1990-07-25 1992-02-24 김태호 전자계를 이용한 원적외선 치료기
KR100195627B1 (ko) * 1995-05-08 1999-06-15 인천성 장롱 및 절첩식 도어용 튜브부재
KR200369569Y1 (ko) * 2004-09-24 2004-12-09 이승철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티브이 보관함
KR100748220B1 (ko) * 2006-05-12 2007-08-09 주식회사 아이파워 수배전반의 슬라이딩 도어장치
US20140311689A1 (en) * 2013-04-22 2014-10-23 Ashraf Gomaa Drive assisted roller assembly for rolling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455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5737A (en) System of modular building elements for display fixtures
US5125201A (en) Joints and connector mechanisms for wall systems
US20080006594A1 (en) Pocket door system
US11346144B2 (en) Modular glass door assembly
EP3075940B1 (en) Corner connection device of shower door track,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US20070145864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20210061882A (ko) 셔터식 미닫이 도어를 구비한 수납장
US20060230705A1 (en) Framestructure for partition walls of building rooms
JP6120719B2 (ja) トイレブースのパネル体取り付け構造
KR20200135017A (ko) 학습용 부스
KR20080057962A (ko) 조립식 가구 시스템
KR200398589Y1 (ko) 조립식 책꽂이의 구조
KR200423248Y1 (ko) 사물함
KR200211411Y1 (ko) 조립식 수납구겸 책장
JP4879422B2 (ja) 収納棚
JP7155828B2 (ja) 収納システム
JP6256823B2 (ja) 収納装置
KR200289799Y1 (ko) 칸막이
KR102290652B1 (ko) 상하부패널 및 몰딩부가 개선된 욕실 구조체
JP6172696B1 (ja) 間仕切り、引き戸および袖壁
KR200246385Y1 (ko) 붙박이장의 개량 구조
KR950009899Y1 (ko) 조립식 방
KR0138956Y1 (ko) 조립식 가구
JP2017046787A (ja) キャビネット
JP3478421B2 (ja) 収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