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807A - 현수 클램프 - Google Patents
현수 클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1807A KR20210061807A KR1020190149791A KR20190149791A KR20210061807A KR 20210061807 A KR20210061807 A KR 20210061807A KR 1020190149791 A KR1020190149791 A KR 1020190149791A KR 20190149791 A KR20190149791 A KR 20190149791A KR 20210061807 A KR20210061807 A KR 202100618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mp
- fastened
- base flange
- electric wire
- pyl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41000208202 Li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04431 Linum usitatissi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953555 Theam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탑에 설치된 송전선로의 전선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현수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현수 클램프는 일측단은 상기 철탑에 체결되고 타측단에는 전선이 안착되게 안착부가 형성된 클램프 몸체와, 상기 클램프 몸체의 타측단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안착부에 전선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몸체에 체결되어 상기 전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프 커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간단한 구조를 통한 제조비 절감 및 간편하게 전선을 설치할 수 있어 작업 공정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수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의 설치 및 고정이 간편한 현수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복합가공지선(optical ground wire)은 송전선로를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송전철탑 상부에 설치한 가공지선 내에 광섬유 케이블을 내장하여 통신기능을 겸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광통신을 공급함에 있어, 송전선로의 최상단 지지물에 광섬유복합가공지선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고정장치는 현수형 고정장치와 내장형 고정장치로 구분된다.
상기 현수형 고정장치는 현수형 철탑에서 광섬유복합가공지선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철탑최상단에 수직방향으로 제공되어 광섬유복합가공지선을 지지하며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철탑과의 전기적 기계적 연결 접속을 위한 클램프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압축형 인류클램프와 현수 클램프로 구분된다.
상기 현수형 고정장치는 광섬유복합가공지선을 안정적으로 클램핑하여 광통신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주기능으로 하며, 현수형 철탑에서는 현수 클램프가, 내장형 철탑에서는 내장 클램프가 전선을 지지한다.
이중, 현수 클램프는 현수형 철탑에서 광섬유복합가공지선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 I련형, V련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철탑완금에 수직방향으로 철탑과 광섬유복합가공지선 사이에 연결시키는 금구로써, 광섬유복합가공지선과의 지지점을 중심축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현수 클램프를 이용한 광섬유복합가공지선 고정방법은 현수 지지점에서 미풍진동현상 등에 의해 광섬유복합가공지선의 휨강도가 커서 광섬유복합가공지선내 광코어의 단선 및 소손이 발생할 수 있는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미풍진동에 의해 광섬유복합가공지선의 곡변형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포싱로드(reinforcing rods)와 아마로드(amour rods)를 이용한 아마그립형 현수 클램프가 제공되었다.
상기 레인포싱로드는 광섬유복합가공지선을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아마로드(6)는 광섬유복합가공지선 표면에 레인포싱로드를 시공 후 고무 시공 시 고정 및 광섬유복합가공지선의 보호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전선(5)은 광섬유복합가공지선에 레인포싱로드가 감싸진 상태인 것이다.
바람에 의해 전선(5)이 진동을 하면, 아마로드(6)도 전선(5)의 진동에 따라 진동을 하면서 아마로드(6) 자체 무게에 의한 에너지 소비와, 아마로드(6) 소선 간의 마찰에너지 소비가 발생되는데 이것이 전선(5) 진동의 감쇠 역할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때, 아마로드(6)의 꼬임방향은 전선(5)의 최외층 꼬임방향과 같아야 한다.
아마로드 그립형 현수클램프를 이용한 전선(5) 고정 작업은, 현수형 철탑에 U크레비스, 직각 체인링크를 취부하고, 현수 클램프(2)에 전선(5)을 취부하기 전에 상기 전선(5)에 고무러버와 아마로드(6)를 감는다.
아마로드(6) 작업 완료후 전선(5)을 이동시켜 철탑 최상단 가공암 하단의 현수클램프(2) 위치에 전선(5)이 위치하도록 하고 취부시킨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아마그립형 현수클램프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은 전선에 고무를 설치하고, 상기 고무의 둘레에 아마로드를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이 고난이도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전선에 수작업으로 고무와 아마로드를 설치 후 조립하여 현수클램프에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현수클램프가 기울어진 경우 기울임 수정을 위해서는 보수 및 수정을 위한 작업시간이 다수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선에 고무 및 아마로드의 설치 없이 간편하게 전선을 설치할 수 있는 현수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수 클램프는, 철탑에 설치된 송전선로의 전선을 고정하는 현수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일측단은 상기 철탑에 체결되고, 타측단에는 전선이 안착되게 안착부가 형성된 클램프 몸체; 및 상기 클램프 몸체의 타측단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안착부에 전선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몸체에 체결되어 상기 전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프 커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램프 몸체는, 상기 클램프 커버가 체결되는 베이스 플랜지; 상기 베이스 플랜지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철탑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베이스 플랜지의 타측에서 상기 베이스 플랜지와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내측에 전선이 안착되는 상기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랜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중심 영역에 상기 클램프 커버가 체결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철탑에 형성된 플랜지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체결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철탑에 형성된 플랜지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철탑에 형성된 플랜지와 체결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클램프 커버가 상기 베이스 플랜지에 체결될 때, 상기 클램프 커버가 위치하도록 중심 영역에 커버 삽입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안착부는, 전선이 안착되는 방향의 양측단부에서 자중에 의해 처지는 전선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양측단이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프 커버는, 일측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의 타측단부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에 형성된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슬릿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 플랜지에 상기 클램프 커버가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랜지의 체결홀과 상기 클램프 커버의 체결슬릿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 클램프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통한 제조비 절감 및 간편하게 전선을 설치할 수 있어 작업 공정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아마로드를 이용한 현수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수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수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수 클램프에 전선이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수 클램프에 전선이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수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수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수 클램프에 전선이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수 클램프에 전선이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현수 클램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수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상기 현수 클램프에 전선이 배치된 상태 및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현수 클램프(100)는 철탑에 설치된 송전선로의 전선(10)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전선(5)은 광섬유복합가공지선(optical ground wire)에 레인포싱로드(reinforcing rods)가 감싸진 상태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현수 클램프(100)는 일측단은 상기 철탑에 체결되고 타측단에는 전선(10)이 안착되게 안착부(230)가 형성된 클램프 몸체(200)와, 상기 클램프 몸체(200)의 타측단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안착부(230)에 전선(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몸체(200)에 체결되어 상기 전선(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프 커버(300)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전선을 감싸도록 전선에 고무를 체결하고, 그 위에 아마로드를 감아서 설치한 후 아마로드가 설치된 전선을 현수 클램프에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종래의 아마그립형 현수 클램프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은 전선에 고무를 설치하고, 상기 고무의 둘레에 아마로드를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이 고난이도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전선에 수작업으로 고무와 아마로드를 설치 후 조립하여 현수 클램프에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현수클램프가 기울어진 경우 기울임 수정을 위해서는 보수 및 수정을 위한 작업시간이 다수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현수 클램프(100)는 클램프 몸체(200)에 회전되게 체결된 클램프 커버(300)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몸체(200)에 형성된 안착부(230)에 전선(10)을 안착시킨 후 상기 클램프 커버(300)를 회전시켜 상기 클램프 몸체(200)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어, 종래의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해소하였다. 즉, 전선의 별도의 고무와 아마로드를 조립할 필요 없이, 전선을 그래도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어 종래의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를 해소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클램프 몸체(200)는 상기 클램프 커버(300)가 체결되는 베이스 플랜지(210)와,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철탑에 체결되는 체결부(220),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의 타측에서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와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내측에 전선(10)이 안착되는 상기 안착부(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타측에는 상기 안착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30)에는 전선(10)이 안착되므로,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전선(10)을 지지하도록 타측으로 갈수록 즉, 상기 안착부(230) 측이 보다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는 중심 영역에 상기 클램프 커버(300)가 체결되도록 체결홀(2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부(230)에 전선(10)이 안착된 후 상기 클램프 커버(300)를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와 마주보게 배치시킨 후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에 형성된 체결홀(211)에 볼트(B)를 삽입하여 너트(N)를 통해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20)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철탑에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철탑에 형성된 플랜지(P)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1 체결부(220)와, 상기 제1 체결부(22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체결부(220)와 평행하게 배치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철탑에 형성된 플랜지(P)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2 체결부(220), 그리고 상기 철탑에 형성된 플랜지(P)와 체결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220)와 상기 제2 체결부(220)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223, 224)을 포함한다.
즉, 상기 플랜지(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체결부(220)와 상기 제2 체결부(22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후, 상기 제1 체결부(220)에 형성된 관통홀(223)과 상기 제2 체결부(220)에 형성된 관통홀(224)을 통과하도록 볼트(B)를 삽입한 후 너트(N)를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다. 몰론, 별도의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두개의 관통홀(223, 224) 중 어느 하나에 나사산이 형성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안착부(230)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의 타측에서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와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내측에 전선(10)이 안착된다. 즉, 상기 안착부(230)는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측을 통하여 전선(10)을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30)에는 상기 클램프 커버(300)가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에 체결될 때, 상기 클램프 커버(300)가 위치하도록 중심 영역에 커버 삽입홀(231)이 형성된다. 즉, 상기 클램프 커버(300)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에 회전되게 체결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230)에 전선(10)이 안착되면 상기 클램프 커버(300)는 회전되어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에 체결되므로, 이때 상기 안착부(230)가 상기 클램프 커버(30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 삽입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230)는 전선(10)이 안착되는 방향의 양측단부(232)에서 자중에 의해 처지는 전선(10)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양측단부(232)가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다. 예를 들어, 안착부가 곡선 형태가 아닌 직선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안착부(230)에 설치된 전선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처질 때 안착부의 단부에서 전선이 꺾이게 되어 전선에 응력이 집중되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230)를 양측단부(232)가 하향 경사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하면 전선이 자중에 의해 처지게 되어도 상기 안착부(230)의 양측단부(232)에서 꺾이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전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커버(300)는 일측단부(310)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의 타측단부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에 형성된 체결홀(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슬릿(3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슬릿(320)은 볼트(B)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커버(300)의 몸체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클램프 커버(300)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에 회전되어 체결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의 체결홀(211)에 볼트(B)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B)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가 회전되어 체결 또는 이탈되도록 상기 체결슬릿(32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안착부(230)에 전선(10)을 안착한 후 상기 클램프 커버(300)를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와 상기 클램프 커버(300)를 마주보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랜지(210)의 체결홀(211)과 상기 클램프 커버(300)의 체결슬릿(320)에 볼트(B)를 삽입한 후 너트(N)를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현수 클램프
200 : 클램프 몸체
210 : 베이스 플랜지
220 : 체결부
230 : 안착부
300 : 클램프 커버
200 : 클램프 몸체
210 : 베이스 플랜지
220 : 체결부
230 : 안착부
300 : 클램프 커버
Claims (8)
- 철탑에 설치된 송전선로의 전선을 고정하는 현수 클램프에 있어서,
일측단은 상기 철탑에 체결되고, 타측단에는 전선이 안착되게 안착부가 형성된 클램프 몸체; 및
상기 클램프 몸체의 타측단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안착부에 전선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몸체에 체결되어 상기 전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프 커버;
를 포함하는 현수 클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몸체는,
상기 클램프 커버가 체결되는 베이스 플랜지;
상기 베이스 플랜지의 일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철탑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베이스 플랜지의 타측에서 상기 베이스 플랜지와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내측에 전선이 안착되는 상기 안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클램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랜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중심 영역에 상기 클램프 커버가 체결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클램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철탑에 형성된 플랜지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체결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철탑에 형성된 플랜지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철탑에 형성된 플랜지와 체결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클램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클램프 커버가 상기 베이스 플랜지에 체결될 때, 상기 클램프 커버가 위치하도록 중심 영역에 커버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클램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전선이 안착되는 방향의 양측단부에서 자중에 의해 처지는 전선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저감하도록 양측단이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클램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커버는,
일측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의 타측단부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에 형성된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클램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랜지에 상기 클램프 커버가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랜지의 체결홀과 상기 클램프 커버의 체결슬릿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클램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9791A KR20210061807A (ko) | 2019-11-20 | 2019-11-20 | 현수 클램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9791A KR20210061807A (ko) | 2019-11-20 | 2019-11-20 | 현수 클램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1807A true KR20210061807A (ko) | 2021-05-28 |
Family
ID=7614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9791A KR20210061807A (ko) | 2019-11-20 | 2019-11-20 | 현수 클램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61807A (ko) |
-
2019
- 2019-11-20 KR KR1020190149791A patent/KR2021006180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3253B1 (ko) | 직선철탑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전선을 고정하는 현수형 고정장치 및 폴리머 절연암의 현수형 고정장치를 이용한 송전선로 설치공법 | |
KR100864963B1 (ko) | 가공송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구조 | |
CN105048386B (zh) | 一种导线支撑固定金具及其间隔棒支架 | |
KR20130046859A (ko) |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횡진 제한 장치 | |
WO2024192938A1 (zh) | 一种横担组件及输电塔 | |
KR20210061807A (ko) | 현수 클램프 | |
KR102025261B1 (ko) | 섬유강화 복합소재심 전선용 압축형 인류클램프 | |
CN106448952B (zh) | Y型耐张绝缘子串及耐张塔 | |
JP5519042B1 (ja) | 支持碍子装着部用アダプタ及びこれを用いた懸垂碍子の取り付け方法 | |
JPH0833136A (ja) | 懸垂支持物における電線吊り上げ方法 | |
JP2004171946A (ja) | 碍子装置の全部または一部分の交換方法およびこの交換方法に使用する支持具 | |
JPH0833169A (ja) | 懸垂支持物及び該懸垂支持物への架線作業方法 | |
JP5794902B2 (ja) | 鉄塔周辺の工事ユニット及び工事方法 | |
KR102397071B1 (ko) | 송전 철탑의 전력 케이블 설치 장치 | |
KR101115177B1 (ko) | 조가선 교체 방법 | |
CN111276924B (zh) | 一种能够自适应的杆塔导地线张力释放装置 | |
JP2011234475A (ja) | 共架金物およびケーブル共架方法 | |
JP2013141332A (ja) | ジャンパ線の振動抑止装置 | |
KR20100062001A (ko) | 유형케이블행거 | |
CN110994515A (zh) | 一种耐张引流线支撑调距线夹 | |
KR20130041646A (ko) |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행거장치 | |
CN110994511A (zh) | 一种耐张引流线支撑调距线夹 | |
JP2012009224A (ja) | 避雷装置 | |
KR100901475B1 (ko) | 각도 보정용 점퍼 크램프 지지 장치 | |
CN212847901U (zh) | 一种具有定位机构的复合绝缘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