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647A -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647A
KR20210061647A KR1020190149452A KR20190149452A KR20210061647A KR 20210061647 A KR20210061647 A KR 20210061647A KR 1020190149452 A KR1020190149452 A KR 1020190149452A KR 20190149452 A KR20190149452 A KR 20190149452A KR 20210061647 A KR20210061647 A KR 20210061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vehicle
communication protocol
image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진
박재복
유승목
이경희
조창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49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1647A/ko
Publication of KR20210061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는, 차량의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기록부, 사고 이벤트를 수신하는 근거리통신부, 상기 사고 이벤트를 송신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식별부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고 이벤트에 상응하는 사고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APPARATUS OF RECORDING VIDEO FOR VEHICLE AND METHOD OF SHARING RECORDED VIDEO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주변 차량으로부터 차량 사고 영상을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간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과실비율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증거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증거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차량에 블랙박스 즉, 영상 기록 장치를 설치하여 상시적으로 영상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영상 기록 장치는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에 원하는 화각으로 하나 이상 설치하고, 상기 화각에 상응하는 영상만을 기록할 수 밖에 없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전면을 바라보는 카메라와 후면을 바라보는 카메라를 설치하여, 사고 당시의 전면 및 후면의 영상만을 확보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다른 시점에서의 사고 영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주변 차량의 블랙박스 영상이나 건물의 CCTV 영상 등을 확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4756호에서는 다시점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교통사고 분석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차량 또는 공간적으로 인접한 다수의 차량에서 블랙박스를 통해 촬영된 주변 영상들을 브로커 서버를 통해 수집한 후에 정합하고, 사고 상황의 3차원 영상기반 모델링 및 영상기반 렌더링을 거쳐 다시점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교통사고를 분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선행기술에서도 여전히 사고 당시의 영상을 사용자가 직접 확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4756호, 2018년 03월 08일 등록(명칭: 다시점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교통사고 분석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타 차량의 사고 발생사실을 수신받은 경우, 촬영된 사고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되지 않은 무작위의 타 차량에 사고 발생사실을 전달하여, 타 차량에서 촬영된 사고 영상을 제공받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 차량에서 촬영된 사고 영상을 제공받기 위해, 사고 발생사실을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목적이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는, 차량의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기록부, 사고 이벤트를 수신하는 근거리통신부, 상기 사고 이벤트를 송신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식별부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고 이벤트에 상응하는 사고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통신부를 포함한다.
이 때,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사고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사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고 이벤트는 사고발생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사고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자에 기반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SNS 아이디 정보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락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 영상을 상기 연락 가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사고발생판단부 및 상기 사고에 기반하여 수신받는 제1 사고 이벤트와 구분되는 제2 사고 이벤트를 생성하는 사고이벤트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통신부를 통하여 제2 사고 이벤트를 무작위로 송신하고, 상기 영상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사고 이벤트에 상응하는 사고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고발생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ECU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의 에어백 개폐여부로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차량의 운동량 변화를 감지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근거리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제2 사고 이벤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사고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사고 발생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사고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고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사고 이벤트에 상응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고 이벤트에 상응하는 사고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등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SNS 아이디 정보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락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 영상을 상기 연락 가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은, 사고 발생 사실을 감지하고, 상기 사고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고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고 이벤트를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주변 차량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등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식별자는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SNS 아이디 정보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락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의 ECU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의 에어백 개폐여부로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는 차량의 운동량 변화를 감지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 차량의 사고 발생사실을 수신받은 경우, 촬영된 사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되지 않은 무작위의 타 차량에 사고 발생사실을 전달하여, 타 차량에서 촬영된 사고 영상을 제공받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타 차량에서 촬영된 사고 영상을 제공받기 위해, 사고 발생사실을 감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들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이벤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영상을 추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의 사용상태도이다.
영상 기록 장치(100)는 센서 또는 영상 인식 등을 이용하여 사고 등의 중요한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사고 발생여부를 포함하는 사고 이벤트(71)를 주변 차량의 영상 기록 장치(100)로 전달한다. 주변 영상 기록 장치(100)는 수신된 사고 이벤트(71)에 기반하여 기록된 사고 영상(21)을 사고가 발생한 영상 기록 장치(100)에 상응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고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영상 기록 장치(100)는 사전에 해당 차량 사용자의 식별자(72)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72)는 다양한 형태의 연락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SNS 아이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기록 장치(100)는 사고 등의 중요한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사고발생에 기반하고 상기 사고에 상응하는 식별자(72)를 포함하는 사고 이벤트(71)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사고 이벤트(71)를 주변 영상 기록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사고 이벤트(71)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을 통하여 주변 영상 기록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사고 이벤트(71)는 특정되지 않은 무작위의 주변 영상 기록 장치(100)로 전달되어야 하므로, 와이파이를 통하는 경우에는 Discovery 신호에 담겨 전달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를 통하는 경우에는 BLE 신호에 담아 전달될 수 있다. 정리하며, 상기 사고 이벤트(71)는 무선 신호장치의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Service Discovery Protocol, SDP) 즉,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사고 이벤트(71)를 전달하는 방식은 상술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무선 신호장치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달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사고 등 중요한 이벤트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감지하는 방법은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에어백이 전개되었는지 등으로 파악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는 차량의 운동량 변화를 측정하여 이를 통해 파악하는 방법일 수 있다.
주변 영상 기록 장치(100)는 상기 사고 이벤트(71)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고 이벤트(71)에 포함된 식별자(72)와 사고장소, 시간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영상 기록 장치(100)는 상기 식별자(72)를 통해 사용자를 확인하고, 차후 인터넷에 연결되면 사고 이벤트(71)에 상응하는 사고 영상(21)을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설정을 통해 자동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자(72)에 포함된 사용자의 연락 가능한 정보가 이메일인 경우,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에 따라 전송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인 경우,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자(72)에 포함된 연락 가능한 정보가 SNS 아이디 정보 등 별도의 아이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100)는, 영상촬영부(10), 영상기록부(20), 근거리통신부(30), 사용자식별부(40) 및 영상통신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촬영부(10)는 차량의 주변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영상촬영부(10)는 실시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기록부(20)는 상기 영상촬영부(10)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영상촬영부(10)에서 촬영된 영상의 포맷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파일형태로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부(30)는 사고 이벤트(71)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고 이벤트(71)는 사고발생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사고에 상응하는 식별자(72)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후술하는 사용자식별부(40)가 상기 식별자(72)에 기반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근거리통신부(30)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사고 이벤트(71)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이 와이파이인 경우, Discovery 신호에 의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인 경우에는 BLE 신호에 담아 수신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Service Discovery Protocol, SDP) 즉,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무선 신호장치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식별부(40)는 상기 사고 이벤트(71)를 송신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식별자(72)는 상기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SNS 아이디 정보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락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후술하는 사용자식별부(40)가 상기 사고 이벤트(71)를 송신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영상통신부(5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고 이벤트(71)에 상응하는 사고 영상(21)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고 영상(21)은 해당 사용자의 식별자(72)에 포함된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SNS 아이디 정보 등 연락 가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연락 가능한 정보가 이메일 주소인 경우,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에 따라 전송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인 경우,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SNS 아이디 정보 등 별도의 아이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서버에 전송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영상통신부(50)는 상기 사고 영상(21)을 제공하면서, 상기 사고 이벤트(71)에 상응하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고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으로써, 사고 당사자가 정확한 사고 위치 및 시간을 추출하지 못한 경우에도, 사고 영상(21)을 제공하면서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정확한 상황 판단을 돕고자 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영상통신부(50)는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사고 영상(21)을 제공할 수 있다. 전송하는 신호의 종류 및 목적이 서로 상이하여 사고 이벤트(71)를 전송하는 제1 통신 프로토콜과는 상이한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사고 영상(21)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100)는, 영상촬영부(10), 영상기록부(20), 근거리통신부(30), 사용자식별부(40), 영상통신부(50), 사고발생판단부(60) 및 사고이벤트생성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촬영부(10), 영상기록부(20) 및 사용자식별부(40)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사고발생판단부(60)는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100)가 탑재된 차량의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으나, 이는 사고 당시의 사용자에게 부담을 주는 것으로 다소 바람직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때, 상기 사고발생판단부(60)는 상기 차량의 ECU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의 에어백 개폐여부로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부(30) 또는 영상통신부(50) 등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ECU와 통신을 하고, 상기 차량의 에어백의 개폐여부를 확인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고발생판단부(60)는 상기 차량의 운동량 변화를 감지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 운동량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여, 가속도 센서를 통한 충격량을 분석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자이로 센서를 통해 차량의 전복에 의한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이를 혼용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사고이벤트생성부(70)는 상기 사고에 기반하여 수신받는 제1 사고 이벤트(71-1)와 구분되는 제2 사고 이벤트(71-2)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부(30)는 타 차량으로부터 제1 사고 이벤트(71-1)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자 차량에서 생성된 제2 사고 이벤트(71-2)를 타 차량으로 전송하는 것으로써, 타 차량으로부터 제공받는 제1 사고 이벤트(71-1)와 구분되는 제2 사고 이벤트(71-2)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근거리통신부(30)는 제2 사고 이벤트(71-2)를 무작위로 송신하고, 상기 영상통신부(50)는 상기 제2 사고 이벤트(71-2)에 상응하는 사고 영상(21)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제2 사고 이벤트(71-2)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자(72)는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SNS 아이디 정보 등 연락 가능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근거리통신부(30)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제2 사고 이벤트(71-2)를 송신하고, 상기 영상통신부(50)는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사고 영상(21)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식별자(72)에 상응하는 사용자는는 상기 사고 영상(21)을 해당 사용자의 식별자(72)에 포함된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SNS 아이디 정보 등 연락 가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연락 가능한 정보가 이메일 주소인 경우,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에 따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전화번호인 경우,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의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SNS 아이디 정보 등 별도의 아이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서버에 전송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해당 서버를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고 이벤트(71)는 특정되지 않은 무작위의 주변 영상 기록 장치(100)로 전달되어야 하므로, 와이파이를 통하는 경우에는 Discovery 신호에 담겨 전달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를 통하는 경우에는 BLE 신호에 담아 전달될 수 있다. 정리하며, 상기 사고 이벤트(71)는 무선 신호장치의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Service Discovery Protocol, SDP) 즉,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사고 이벤트(71)를 전달하는 방식은 상술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무선 신호장치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달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이벤트(71)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고 이벤트(71)는 사고 발생에 기반하여 생성되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72)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72)에는 사고 영상(21)을 제공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는 연락 가능한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영상(21)을 추출하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영상기록부(20)가 상기사고 이벤트(71)에 상응하는 사고 영상(21)을 추출할 때, 상기 사고 이벤트(71)를 수신받는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만을 추출할 수 있다. 이는 촬영된 영상을 전부 제공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이 때, 상기 영상기록부(20)는 촬영되는 영상을 시간의 중단없이 연속하게 기록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방식은 사고가 발생한 시점의 영상만을 추출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인코딩 동작이 필요하여 다소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영상기록부(20)는 촬영되는 영상을 일정한 타임테이블별로 기록하고, 상기 사고 이벤트(71)를 수신받는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범위만을 추출하는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근거리통신부(30)는 사고 이벤트(71)를 수신받을 때 수신 받는 시간정보도 함께 수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기록부(20)는 사고 이벤트(71)를 수신받는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일정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a)에서 x1과 x2는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사고 발생 이후의 정보보다는 사고발생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고 발생 이전의 정보가 보다 중요하므로, x1이 x2보다 크게 설정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면, x1을 3으로 설정하고(임의의 변수를 정수로 표현하였으나, 시간의 간격을 표현하는 어떠한 구성도 포함될 수 있다.), x2가 2로 설정된 경우, 추출될 사고 영상(21)은 사고 이벤트(71)를 수신받는 시점 T(a)를 기준으로 T(a-3)부터 T(a+2)까지의 영상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 영상(21)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통신부(50)는 사고 이벤트(71)를 수신받는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범위의 사고 영상(21)을 상기 영상기록부(20)에서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식별자(72) 즉, 연락 가능한 정보로 상기 사고 영상(21)을 제공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a)는 일반적인 도로에서 주행하는 상황을 표현한 내용이다. 각각의 차량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100)가 탑재되어 주행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가 발생한 차량에 탑재된 영상 기록 장치(100)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72)를 포함하는 사고 이벤트(71)를 생성하여 주변에 있는 다수의 차량에 탑재된 영상 기록 장치(100)에 송신하며, 주변 차량의 영상 기록 장치(100)는 상기 사고 이벤트(71)를 수신한다.
이 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고 이벤트(71)를 수신한 주변 차량의 영상 기록 장치(100)는 식별자(72)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 사고가 난 순간의 전후 일정분량의 사고 영상(21)을 상기 식별자(72)에 해당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고 영상(21)을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사고 이벤트(71)를 수신받은 즉시 제공하거나, 또는 해당 차량의 소유자가 전송을 선택한 경우에 인터넷 망 또는 전화 통신망 등을 통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사고 차량의 사용자는 식별자(72)에 자신이 설정한 이메일 주소 혹은 전화번호 등으로 사고 영상(21)을 제공받아 사고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은 먼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사고 발생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사고에 상응하는 식별자(72)를 포함하는 사고 이벤트(71)를 수신한다(S2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은 상기 식별자(72)에 기반하여 상기 사고 이벤트(71)에 상응하는 사용자를 식별한다(S220).
이 때, 상기 식별자(72)는 상기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SNS 아이디 정보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락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고 이벤트(71)에 상응하는 사고 영상(21)을 제공한다(S230).
상기 사고 영상(21)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사고 이벤트(71)를 기준으로 일정범위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등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이 와이파이인 경우, Discovery 신호에 의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인 경우에는 BLE 신호에 담아 수신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Service Discovery Protocol, SDP) 즉,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무선 신호장치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단계(S230)는 상기 사고 영상(21)을 상기 식별자(72)에 포함된 연락 가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연락 가능한 정보가 이메일 주소인 경우,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에 따라 전송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인 경우,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SNS 아이디 정보 등 별도의 아이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서버에 전송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은 먼저 사고 발생 사실을 감지하고, 상기 사고에 상응하는 식별자(72)를 포함하는 사고 이벤트(71)를 생성한다(S310).
이 때, 상기 단계(S310)는 차량의 ECU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의 에어백 개폐여부로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계(S310)는 차량의 운동량 변화를 감지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 운동량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여, 가속도 센서를 통한 충격량을 분석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자이로 센서를 통해 차량의 전복에 의한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이를 혼용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식별자(72)는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SNS 아이디 정보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락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차량에서 생성된 사고 이벤트(71)를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자(72)에 포함된 연락 가능한 정보로 주변 차량에서 촬영된 사고 영상(21)을 제공받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은 상기 사고 이벤트(71)를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주변 차량들로 송신한다(S320).
이 때, 상기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등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되지 않은 다수의 주변 영상 기록 장치(100)에 상기 사고 이벤트(71)를 무작위로 송신해야 하므로, 상기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이 와이파이인 경우, Discovery 신호에 의하여 송신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인 경우에는 BLE 신호에 담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Service Discovery Protocol, SDP) 즉,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무선 신호장치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100)은 버스(11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10), 메모리(1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150) 및 스토리지(1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100)은 네트워크(11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1130)나 스토리지(11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130) 및 스토리지(11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1131)이나 RAM(11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이나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될 때,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한 가지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실실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영상촬영부
20 : 영상기록부
21 : 사고 영상
30 : 근거리통신부
40 : 사용자식별부
50 : 영상통신부
60 : 사고발생판단부
70 : 사고이벤트생성부
71 : 사고 이벤트
72 : 식별자
100 : 영상 기록 장치

Claims (18)

  1. 차량의 주변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영상기록부;
    사고 이벤트를 수신하는 근거리통신부;
    상기 사고 이벤트를 송신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식별부;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고 이벤트에 상응하는 사고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통신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사고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사고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고 이벤트는 사고발생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사고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자에 기반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SNS 아이디 정보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락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 영상을 상기 연락 가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사고발생판단부; 및
    상기 사고에 기반하여 수신받는 제1 사고 이벤트와 구분되는 제2 사고 이벤트를 생성하는 사고이벤트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통신부를 통하여 제2 사고 이벤트를 무작위로 송신하고, 상기 영상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사고 이벤트에 상응하는 사고 영상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고발생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ECU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의 에어백 개폐여부로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고발생판단부는 상기 차량의 운동량 변화를 감지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부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제2 사고 이벤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사고 영상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11.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사고 발생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사고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고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사고 이벤트에 상응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고 이벤트에 상응하는 사고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등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SNS 아이디 정보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락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 영상을 상기 연락 가능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
  14. 사고 발생 사실을 감지하고, 상기 사고에 상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고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고 이벤트를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주변 차량들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 등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SNS 아이디 정보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락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차량의 ECU와 통신하여 상기 차량의 에어백 개폐여부로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차량의 운동량 변화를 감지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기록 공유 방법.
KR1020190149452A 2019-11-20 2019-11-20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 KR20210061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452A KR20210061647A (ko) 2019-11-20 2019-11-20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452A KR20210061647A (ko) 2019-11-20 2019-11-20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647A true KR20210061647A (ko) 2021-05-28

Family

ID=7614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452A KR20210061647A (ko) 2019-11-20 2019-11-20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16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0474A (zh) * 2021-06-28 2021-09-28 通视(天津)信息技术有限公司 行车视频数据的处理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756A (ko) 2016-08-31 2018-03-08 아진산업(주) 다시점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교통사고 분석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756A (ko) 2016-08-31 2018-03-08 아진산업(주) 다시점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교통사고 분석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0474A (zh) * 2021-06-28 2021-09-28 通视(天津)信息技术有限公司 行车视频数据的处理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059B1 (ko)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한 졸음운전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졸음운전 방지시스템
TWI469886B (zh) 協同式行車記錄系統與方法
JP2020061079A (ja) 交通違反車両識別システム、サーバ、及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JP2020014144A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イベント記録システム
KR101492473B1 (ko) 사용자 기반 상황 인지형 씨씨티비 통합관제시스템
KR20160035274A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2584070B1 (ko) 객체 분류 기반의 오류 제거를 이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의 객체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WO2021121264A1 (zh) 抓拍图片的传输方法、装置、系统、摄像机及存储设备
JP2018152786A (ja) 画像記録システム、画像記録方法、画像記録プログラム
KR102054930B1 (ko)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234347B1 (ko) 워터마킹 기술에 기초한 보안이 강화된 차량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03394A (ko) 블록체인 기반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콘텐츠 공유 스마트 계약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8012A (ko) 차량의 사고 영상 데이터 수집 장치
KR20210061647A (ko)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공유 방법
KR20140128837A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TWI712519B (zh) 協同的行車影像收集方法及系統
US10075452B2 (en) Distributed content uploading and validation
KR101687989B1 (ko) 디지털 포렌식 영상 검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촬영장치와 영상저장장치
EP3629577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KR101671904B1 (ko)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차량 찾기 시스템
JP2019086895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車両、情報収集装置、ならびに方法
KR101615243B1 (ko) 지능형 방범 영상 감시장치 및 영상 감시방법
JP2006160126A (ja) 車両情報収集システム
KR101818118B1 (ko) 디지털 포렌식 영상 검증 시스템
KR101468407B1 (ko) 디지털 포렌식 촬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개인영상정보 오남용 방지를 위한 차량장착용 디지털 포렌식 촬영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