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623A -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 Google Patents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623A
KR20210061623A KR1020190149398A KR20190149398A KR20210061623A KR 20210061623 A KR20210061623 A KR 20210061623A KR 1020190149398 A KR1020190149398 A KR 1020190149398A KR 20190149398 A KR20190149398 A KR 20190149398A KR 20210061623 A KR20210061623 A KR 20210061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ultrasonic probe
vaporization
vaporization tank
fum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494B1 (ko
Inventor
김삼수
Original Assignee
아이지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지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지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9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4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8Hydrogen per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22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hygiene 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도 상세하게는 소독액을 기화한 소독증기를 이용하여 초음파프루브(Ultrasonic probe)를 소독함으로써, 초음파프루브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 및 세균 등을 사멸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액상의 과산화수소를 분사하여 기화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기화가 가능함은 물론, 초음파프루브를 소독하는 공간에서의 균일한 농도 조절이 가능하며, 소독증기의 신속한 공급 및 회수가 가능하므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의료분야,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학적 검사분야 및 의료용 검사장비 분야, 의료용 소독장치 분야 등은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Disinfection equipment for ultrasonic probe of fumigation type}
본 발명은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독액을 기화한 소독증기를 이용하여 초음파프루브(Ultrasonic probe)를 소독함으로써, 초음파프루브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 및 세균 등을 사멸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액상의 과산화수소를 분사하여 기화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기화가 가능함은 물론, 기화된 소독증기를 순환시키면서 초음파프루브를 소독함으로써, 신속한 소독처리와 소독에 사용된 소독증기의 신속한 회수가 가능하도록 한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기관은 환자나 건강검진자와 같은 검사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초음파나 내시경, 방사선 검사 등의 다양한 의학적 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검사대상자에 대한 검사를 위하여 사용되는 초음파검사장비나 내시경검사장비 등에는, 환자의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기구들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검사장비의 초음파프로브(Ultrasonic probe)나 내시경검사장비의 내시경스코프(Endoscope) 등은, 해당 검사시 환자의 신체 외부에 접촉하거나 내부로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환자를 포함하는 검사대상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기구들은, 특정 검사대상자를 검사한 이후 다음 검사대상자를 검사하기 전에, 멸균소독처리를 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0723호 '초음파프로브를 살균할 수 있는 초음파 진단 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는, 초음파검사를 하는데 사용하는 검사장비에, 초음파프로브i 살균할 수 있는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병원균 등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선행기술의 경우 살균방식으로 자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외선이 닿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살균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0723호 '초음파프로브를 살균할 수 있는 초음파 진단 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독액을 기화한 소독증기를 이용하여 초음파프루브(Ultrasonic probe)를 소독함으로써, 초음파프루브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 및 세균 등을 사멸시킬 수 있는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화한 소독증기를 이용하여 훈증방식으로 소독하므로, 자외선을 이용한 경우 소독되지 못하는 음영부분에 대해서도 충분한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액상의 과산화수소를 분사하여 기화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기화가 가능함은 물론, 기화된 소독증기를 순환시키면서 초음파프루브를 소독함으로써, 신속한 소독처리와 소독에 사용된 소독증기의 신속한 회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는, 초음파프루브(Ultrasonic probe)가 내부에 거치되며 훈증방식으로 초음파프루브를 소독하는 소독모듈; 및 고온의 공기에 소독액을 분사하여 기화시키고, 기화된 소독증기를 상기 소독모듈로 순환시키는 기화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화모듈은, 소독액을 저장하는 소독액카트리지; 및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에 저정된 소독액이 공급되면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소독액을 기화시키는 기화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화모듈은, 상기 기화조의 내부상측에 구성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열소자; 상기 발열소자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상기 기화조의 내부상측에서 배출하여 내부하측으로 순환하여 유입시키는 순환라인; 및 내측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와 연결되며 상기 순환라인에서 상기 기화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고온의 공기를 향해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에 저장된 소독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모듈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기화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패널;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화모듈은, 상기 기화조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발열소자 및 순환라인을 동작시켜 가열된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기화조의 내부온도를 확인하며, 상기 기화조의 내부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분사노즐을 동작시켜 소독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소자는,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고 상기 발열소자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확산시키는 방열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기화조의 외부에서, 상기 기화조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기화조의 상부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상기 순환관을 통해 상기 기화조의 하부로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순환관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화조는, 상기 순환라인의 배출측에 응축소독액이 모이도록 형성된 응축소독액 수집부; 및 상기 응축소독액 수집부에 모인 응축소독액을, 고온의 공기를 향해 분사하는 응축소독액 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화조는, 상기 순환라인의 배출측에 응축소독액이 모이도록 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부에 모인 응축소독액을 상기 분사노즐로 재공급하는 재공급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소독액을 기화한 소독증기를 이용하여 초음파프루브(Ultrasonic probe)를 소독함으로써, 초음파프루브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 및 세균 등을 사멸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화한 소독증기를 이용하여 훈증방식으로 소독하므로, 자외선을 이용한 경우 소독되지 못하는 음영부분에 대해서도 충분한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액상의 과산화수소를 분사하여 기화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기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화된 소독증기를 순환시키면서 초음파프루브를 소독함으로써, 신속한 소독처리와 소독에 사용된 소독증기의 신속한 회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의 고농도 과산화수소를 증기화함으로써, 초음파프루브를 소독하는 공간에서의 균일한 농도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신속한 공급 및 회수가 가능하므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의료분야,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학적 검사분야 및 의료용 검사장비 분야, 의료용 소독장치 분야 등은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나타난 기화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2에 나타난 기화모듈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A)는 소독모듈(100) 및 기화모듈(200)을 포함한다.
소독모듈(100)은 초음파프루브(Ultrasonic probe)가 내부에 거치되며 기화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소독증기를 이용하여 훈증방식으로 초음파프루브를 소독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도어손잡이(111)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도어(110)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도어(110)에는 터치스크린(310) 및 다이얼(320) 등을 포함하는 제어패널(300)이 구성될 수 있다.
제어패널(300)은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A)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와 모니터링을 위한 것으로,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화모듈(200)은 고온의 공기에 소독액을 분사하여 기화시키고, 기화된 소독증기를 소독모듈(100)로 순환시키는 것으로, 소독모듈(100)의 일측 또는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화모듈(200)은 소독액을 저장하는 소독액카트리지(210)와, 소독액을 기화하여 소독증기로 만드는 기화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소독액카트리지(210)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소독액을 쉽게 보충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기화조(220)는 소독액카트리지에 저정된 소독액이 공급되면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공급된 소독액을 기화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기화모듈(200)은 발열소자(230), 순호나라인(240) 및 분사노즐(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열소자(230)는 기화조(220)의 내부상측에 구성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제어패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패널(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발열소자(230)의 일측에는 방열핀(231)이 구성되는데, 방열핀(231)은 기화조(220)와 순환라인(240) 및 기화조(220)와 소독모듈(100)을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고, 발열소자(230)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확산시킬 수 있다.
이때, 방열핀(231)은 각 핀들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기화조(220) 내부의 온도, 공기의 흐름, 소독액의 투입량, 소독증기의 밀도 등에 기초하여 방열핀(231)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방열핀(231) 전체가 회동하거나 각 핀들이 독립적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열핀(231)을 회동시키거나 각 핀들을 독립적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는 않음은 당연하다.
순환라인(240)은 발열소자(230)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기화조(220)의 내부상측에서 배출하여 내부하측으로 순환하여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순환관(241) 및 송풍팬(2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화조(220)의 외부에 구성될 수 있다.
순환관(241)은 기화조(220)의 외부에서, 기화조(220)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 종단부는 송풍팬(242)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일측 종단부는 기화조(220)의 하부면 또는 측면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송풍팬(242)은 순환관(241)의 일측 종단부인 상부에 구성되어, 기화조(220)의 상부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순환관(241)을 통해 기화조(220)의 하부로 공급한다.
분사노즐(250)은 내측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순환관(241)의 다른 일측 종단부에 인접한 부분에 구성되고, 소독액카트리지(2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순환라인(241)에서 기화조(2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고온의 공기를 향해 소독액카트리지(210)에 저장된 소독액을 분사한다.
이에, 분사노즐(250)에서 분사된 소독액은 고온의 공기를 만나면서 기화하여 소독증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독액은 35중량%의 과산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독증기는 1800ppm의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A)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나타난 기화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독모듈(100)의 일측에는 제어패널(300)이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패널(300)은 사용자의 조작이나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화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패널(300)은 발열소자(230)와 순환라인(240)의 송풍팬(242)을 동작시켜, 기화조(220)의 내부공기를 가열 및 순환시키면서, 기화조(220) 내부의 온도를 목표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화모듈(200)은 기화조(220)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어패널(300)은 온도센서(260)를 통해 기화조(220)의 내부온도를 확인하면서, 기화조(220)의 내부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사노즐(250)을 동작시켜 기화조(220)의 내부로 소독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250)은 순환관(241)의 다른 일측 종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구성되어 있으므로, 분사노즐(250)에서 분사된 소독액은 'a'부분에서 고온의 공기와 접촉하면서 기화하여 소독증기로 변하게 된다.
이후, 소독증기의 농도가 목표농도(예를 들어, 1800ppm)에 도달하게 되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급관(270)의 공급밸브(271)를 개방하여 소독모듈(100)로 소독증기를 공급하게 되며, 소독모듈(100) 내부에서 초음파프루브를 소독한 소독증기는 회수관(280)의 회수밸브(281)를 개방하여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농도의 소독증기를 쉽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소독에 사용된 소독증기는 회수함으로써, 과산화수소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순환관(241)은 기화조(220)의 외부에 구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순환관(241)을 이동하는 소독증기의 일부가 액화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소독증기의 액화에 대한 대책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2에 나타난 기화모듈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순환라인(240)은 순환관(241)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되어 순환되는 공기(소독증기 포함)를 가열하는 열선(2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어패널(300)은 기화조(220) 내부의 온도와 외부의 온도차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열선(243)을 동작시켜 순환되는 소독증기의 액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화조(220)는 순환라인(241)의 다른 일측 종단부인 배출측에, 소독증기가 액화된 응축소독액이 모이도록 응축소독액 수집부(244)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응축소독액 분사노즐(245)를 구성하여 응축소독액 수집부(244)에 모인 응축소독액을 기화조(220)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응축소독액 분사노즐(245)은 앞서 설명한 소독액 분사노즐(250)과 마찬가지로, 고온의 공기를 향해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소독증기가 액화한 응축소독액을 다시 기화함으로써, 응축소독액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기화조(220)의 하부 일측에는 순환라인(241)의 배출측에서 배출된 응축소독액이 모이도록 경사부(246)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부(246)의 하부에 모인 응축소독액을, 재공급라인(247)을 통해 소독액의 분사노즐(250)로 재공급할 수 있다.
이에, 재공급라인(247)을 통해 재공급된 응축소독액은 분사노즐(250)을 통해 기화조(220)로 재공급되어 다시 기화함으로써, 응축소독액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재공급라인(247)에는 소독액 및 응축소독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웨이밸브(One-way valve, 247A)가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소독 장치
100 : 소독모듈
110 : 개폐도어 111 : 도어손잡이
200 : 기화모듈
210 : 소독액카트리지 220 : 기화조
230 : 발열소자 231 : 방열핀
240 : 순환라인 241 ; 순환관
242 : 송풍팬 243 : 열선
244 : 수집부 245 : 응축소독액 분사노즐
246 : 경사부 247 : 재공급라인
247a : 원웨이밸브
250 : 분사노즐 260 : 온도센서
270 : 공급관 271 : 공급밸브
280 : 회수관 281 : 회수밸브
300 : 제어패널 310 : 터치스크린
320 : 다이얼

Claims (10)

  1. 초음파프루브(Ultrasonic probe)가 내부에 거치되며 훈증방식으로 초음파프루브를 소독하는 소독모듈; 및
    고온의 공기에 소독액을 분사하여 기화시키고, 기화된 소독증기를 상기 소독모듈로 순환시키는 기화모듈;을 포함하는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모듈은,
    소독액을 저장하는 소독액카트리지; 및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에 저정된 소독액이 공급되면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소독액을 기화시키는 기화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모듈은,
    상기 기화조의 내부상측에 구성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열소자;
    상기 발열소자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상기 기화조의 내부상측에서 배출하여 내부하측으로 순환하여 유입시키는 순환라인; 및
    내측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와 연결되며 상기 순환라인에서 상기 기화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고온의 공기를 향해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에 저장된 소독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모듈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기화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패널;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모듈은,
    상기 기화조의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발열소자 및 순환라인을 동작시켜 가열된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기화조의 내부온도를 확인하며, 상기 기화조의 내부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분사노즐을 동작시켜 소독액을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소자는,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고 상기 발열소자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확산시키는 방열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기화조의 외부에서, 상기 기화조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기화조의 상부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상기 순환관을 통해 상기 기화조의 하부로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은,
    상기 순환관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조는,
    상기 순환라인의 배출측에 응축소독액이 모이도록 형성된 응축소독액 수집부; 및
    상기 응축소독액 수집부에 모인 응축소독액을, 고온의 공기를 향해 분사하는 응축소독액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조는,
    상기 순환라인의 배출측에 응축소독액이 모이도록 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부에 모인 응축소독액을 상기 분사노즐로 재공급하는 재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KR1020190149398A 2019-11-20 2019-11-20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KR102359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398A KR102359494B1 (ko) 2019-11-20 2019-11-20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398A KR102359494B1 (ko) 2019-11-20 2019-11-20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623A true KR20210061623A (ko) 2021-05-28
KR102359494B1 KR102359494B1 (ko) 2022-02-08

Family

ID=7614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398A KR102359494B1 (ko) 2019-11-20 2019-11-20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4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428A (ko)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아이비엠솔 의료용 프로브 소독장치
CN117398491A (zh) * 2023-10-30 2024-01-16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一医学中心 一种便携式智能化消毒灭菌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161A (ko) * 2004-10-12 2006-05-19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살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들에 사용되는 오리피스입구 제어 장치
KR20090050723A (ko) 2007-11-16 2009-05-20 주식회사 메디슨 초음파프로브를 살균할 수 있는 초음파 진단 장치
KR20100114699A (ko) * 2009-04-16 2010-10-26 송달호 심장 초음파진단기용 탐촉자 자동세정기 및 보관장치
KR20110075996A (ko) * 2009-12-29 2011-07-06 (주)대한과학 증기식 고압 멸균기의 증기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배출방법
KR101670357B1 (ko) * 2015-09-23 2016-10-28 국방과학연구소 제독장비의 기화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20180112142A (ko) * 2017-03-30 2018-10-12 주식회사 엠케이티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161A (ko) * 2004-10-12 2006-05-19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살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들에 사용되는 오리피스입구 제어 장치
KR20090050723A (ko) 2007-11-16 2009-05-20 주식회사 메디슨 초음파프로브를 살균할 수 있는 초음파 진단 장치
KR20100114699A (ko) * 2009-04-16 2010-10-26 송달호 심장 초음파진단기용 탐촉자 자동세정기 및 보관장치
KR20110075996A (ko) * 2009-12-29 2011-07-06 (주)대한과학 증기식 고압 멸균기의 증기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배출방법
KR101670357B1 (ko) * 2015-09-23 2016-10-28 국방과학연구소 제독장비의 기화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20180112142A (ko) * 2017-03-30 2018-10-12 주식회사 엠케이티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멸균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428A (ko)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아이비엠솔 의료용 프로브 소독장치
CN117398491A (zh) * 2023-10-30 2024-01-16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一医学中心 一种便携式智能化消毒灭菌装置
CN117398491B (zh) * 2023-10-30 2024-04-30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一医学中心 一种便携式智能化消毒灭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494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83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endoscope
Govindaraj et al. Systematic review on sterilization methods of implants and medical devices
Rutala et al. Clinical effectiveness of low-temperature sterilization technologies
KR102359494B1 (ko)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US20090185960A1 (en) Sterilizing apparatus
JP2013172986A (ja) 滅菌装置
US10632219B2 (en) Sterilizing using ozone
JP2010533030A (ja) 過酸化水素殺菌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2511985A (ja) 紫外線によって液体窒素を殺菌消毒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BR102017008539A2 (pt)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moisture in a vacuum chamber
AU2018240113A1 (en) Rapid sterilization in a drying chamber
US202303982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Endoscope
BR102017025406A2 (pt) sistema de esterilização com câmaras de vácuo independentes
BR102018076858A2 (pt) processo e aparelho para limpeza, desinfecção, esterilização, ou combinações das mesmas
CN208756574U (zh) 一种用于肠胃内镜的消毒装置
KR20200009287A (ko)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및 그 멸균방법
KR100856057B1 (ko) 소독기
CN213191379U (zh) 一种感染科用熏蒸消毒箱
Steer Decontamination
Kumar et al. Central Sterilization and Supplies Departmen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EP4262894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adjusting a cycle time of a treatment process for an object
TR202006098Y (tr) Sicak yi̇yecekleri̇n taşinmasi i̇çi̇n dezenfektasyon çantasi
Hasson Sterilizing surgical instruments requires time, optimal conditions.
BR122013010298B1 (pt)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peróxido de hidrogênio para um esterilizador tendo uma unidade de injeção de peróxido de hidrogênio e recipiente de solução de peróxido de hidrogênio para uso no sistema de distribuição
Tetteh et al. Design of an Efficient Sterilis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