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361B1 -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및 그 멸균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및 그 멸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361B1
KR102193361B1 KR1020180083462A KR20180083462A KR102193361B1 KR 102193361 B1 KR102193361 B1 KR 102193361B1 KR 1020180083462 A KR1020180083462 A KR 1020180083462A KR 20180083462 A KR20180083462 A KR 20180083462A KR 102193361 B1 KR102193361 B1 KR 102193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medical probe
chemical
circulation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287A (ko
Inventor
김삼수
한동균
허영철
이현경
Original Assignee
아이지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지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지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3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3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8Hydrogen per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22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hygiene 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2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3Biocide decomposition means, e.g. catalysts, 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1Use of hydrogen peroxide, liquid and vaporo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낮은 가격으로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10-1㎛ 단위의 증기를 활용하고, 의료용 프로브의 표면 및 상기 프로브 주변의 공기를 동시에 멸균할 수 있는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을 제시한다. 그 장치 및 방법은 의료용 프로브를 탑재하는 탑재부와, 의료용 프로브의 표면 및 의료용 프로브 주변의 공기를 소독하여 멸균하기 위하여 열풍와류에 의해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약액증기를 형성하는 증기화부와, 탑재부에 접속되고 내부에 증기화부가 설치된 순환관 및, 순환관과 탑재부를 따라 일방향인 순환방향으로 순환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순환팬을 포함하고, 탑재부는 제1 및 제2 개폐기에 의해 개폐된다.

Description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및 그 멸균방법{Apparatus of sterilizing medical probe and method of sterilizing probe}
본 발명은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산화수소수의 약액증기에 의해 의료용 프로브를 소독하여 멸균하는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을 활용하는 의료용 진단장치는 환자의 상태나 질병 등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초음파 진단장치는 의료용 신호를 조사하고 반사된 의료용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프로브와, 초음파 프로브를 통해 조사되는 의료용 신호를 제어하거나 수신된 의료용 신호를 영상을 생성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용 프로브는 정확한 영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체에 접촉시키거나 인체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프로브를 사용한 후에 세척을 하더라도 세균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살균, 소독과 같은 멸균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인체에 삽입하는 의료용 프로브는 세균의 증식이 심각하다.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14-0003473호는 초음파 프로브를 멸균하기 위하여 자외선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자외선은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으나, 완전한 멸균을 구현하지 못한다. 한때, 멸균제로써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 EO) 가스가 제시되었으나, 상기 EO 가스는 강력한 멸균력을 가지나 발암물질로 판명되어 사용이 중지되었다. 치아염소산의 경우, 낮은 비용으로 멸균이 가능하나 증기가 아니므로 프로브를 둘러싼 공기 중의 세균을 멸균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프로브의 표면 및 상기 프로브를 둘러싼 공기 속의 세균을 완전히 멸균할 수 있는 과산화수소수 증기가 각광받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과산화수소수 증기를 활용한 프로브 멸균장치는 가격이 비싸고, 전문적인 멸균작업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과산화수소수의 증기의 크기에 따라 멸균 효율에 큰 차이를 보이므로, 평균입경이 10-1㎛ 단위의 증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낮은 가격으로 10-1㎛ 단위의 과산화수소수의 증기를 활용하고, 의료용 프로브의 표면 및 상기 프로브 주변의 공기를 동시에 멸균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낮은 가격으로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10-1㎛ 단위의 증기를 활용하고, 의료용 프로브의 표면 및 상기 프로브 주변의 공기를 동시에 멸균할 수 있는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및 그 멸균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는 의료용 프로브를 탑재하는 탑재부 및 상기 의료용 프로브의 표면 및 상기 의료용 프로브 주변의 공기를 소독하여 멸균하기 위하여, 열풍와류에 의해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약액증기를 형성하는 증기화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탑재부에 접속되고 내부에 상기 증기화부가 설치된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 및 상기 탑재부를 따라 일방향인 순환방향으로 순환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순환팬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탑재부는 제1 및 제2 개폐기에 의해 개폐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액증기는 35중량% 과산화수소수 증기를 포함한다. 상기 증기화부는 코일히터, 와류형성부 및 약액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히터는 나선 형태로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와류형성부는 복수개의 외부베인 및 상기 외부베인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내부베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외부베인은 상기 순환관 내부에서 대반경 열풍와류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내부베인은 상기 대반경 열풍와류의 내측에 소반경 열풍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약액노즐은 상기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약액을 상기 순환관의 중심에 있는 초점을 향해 분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에는 제3 개폐기에 의해 개폐되는 회수관이 부착되고, 상기 회수관에는 상기 약액증기를 물과 산소로 분리하는 흡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약액노즐은 상기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약액을 실어 나르는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압축공기 주입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약액증기는 약액증기 개수의 최대점이 평균입경이 0.3㎛보다 작은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료용 프로브 멸균방법은 먼저 제1 내지 제3 개폐기를 폐쇄하고, 의료용 프로브를 탑재통에 탑재한다. 그후, 상기 제1 및 제2 개폐기를 개방하고, 순환팬을 가동하여 순환관에 공기를 일방향의 순환방향으로 순환시킨다. 약액노즐로부터 약액을 공급하면서, 상기 약액을 증기화부에 의해 약액증기로 변환시킨다. 상기 의료용 프로브 및 상기 의료용 프로브 주변의 공기에 대한 멸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상기 멸균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약액의 공급을 중단하고 제3 개폐기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개폐기가 개방되면 흡착층에 의해 상기 약액증기를 흡착하여 물과 산소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및 그 멸균방법에 의하면, 순환관의 내부에 열풍와류를 형성함으로써, 낮은 가격으로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10-1㎛ 단위의 약액증기를 활용하고, 의료용 프로브의 표면 및 프로브 주변의 공기를 동시에 멸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와류형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멸균장치의 약액노즐의 사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방식의 약액증기에 대한 평균입경 및 개수를 본 발명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멸균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멸균장치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멸균장치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순환관의 내부에 열풍와류를 형성함으로써, 낮은 가격으로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10-1㎛ 단위의 약액증기를 활용하고, 의료용 프로브의 표면 및 프로브 주변의 공기를 동시에 멸균할 수 있는 프로브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소독관의 내부에 와류형성부를 구비한 멸균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상기 멸균장치를 활용하여 의료용 프로브를 멸균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약액은 물과 혼합된 35중량% 과산화수소수이며, 이를 약액증기로 만들어 사용한다. 35중량% 과산화수소수 증기는 살균력이 약 99.9999%로 거의 완전한 멸균을 구현한다. 의료용 프로브 중에서는 특히 초음파, 광파 프로브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와류형성부(22)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멸균장치(100)는 탑재부(10), 증기화부(20) 및 회수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의료용 프로브(P)는 탑재통(12)에 적재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탑재통(12)에는 의료용 프로브(P)를 탑재시키고 인출하는 별도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탑재부(10), 증기화부(20) 및 회수부(30)는 순환관(11)에 접속되거나 설치된다. 순환관(11)은 파이프(pipe) 형태로써 소독을 위하여, 35중량%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하는 약액증기가 공기와 함께 일방향의 순환방향(a)으로 순환된다. 순환관(11)의 직경은 멸균장치(100)에서 상기 약액증기가 원활하게 유동하고, 멸균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이면 충분하다. 순환관(11)은 과산화수소수 및 물에 의해 부식이 일어나지 않고, 열풍을 견딜 수 있는 재질, 예컨대 스테인레스 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탑재부(10), 증기화부(20) 및 회수부(30)는 제1 내지 제3 개폐기(13, 14, 15)를 이용하여 개폐된다. 구체적으로, 탑재부(10) 및 증기화부(20)는 제1 및 제2 개폐기(13, 14)에 의해 개폐되고, 회수부(30)는 제3 개폐기(15)에 의해 개폐된다. 만일, 제1 및 제2 개폐기(13, 14)를 폐쇄하면, 탑재부(10)는 고립된다. 제1 내지 제3 개폐기(13, 14, 15)의 개폐는 본 발명의 멸균 및 회수 과정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된다. 의료용 프로브(P)를 소독하는 과정에서는 제1 및 제2 개폐기(13, 14)는 개방되고, 제3 개폐기(15)는 폐쇄된다. 도면에서, 제1 내지 제3 개폐기(13, 14, 15)가 폐쇄되는 경우는 실선, 그리고 개방되는 경우는 점선으로 표현하였다.
순환관(11)에는 상기 약액증기를 일방향의 순환방향(a)으로 유동시키고,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순환팬(16)이 부착된다. 도면에는 없지만, 순환팬(16)에는 상기 공기를 일방향의 순환방향(a)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흡기 및 배기 구조물을 포함한다. 순환팬(16)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 및 공기의 속도는 본 발명의 멸균장치(100)에서 상기 약액증기가 원활하게 유동하고, 멸균을 충분하게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이다. 도면에서는 순환팬(16)의 위치를 탑재부(10) 및 증기화부(20) 사이로 설정하였으나, 필요한 경우 증기화부(20) 및 회수부(3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순환팬(16)은 하나뿐 아니라 복수개를 장착할 수도 있다.
증기화부(20)는 코일히터(21), 와류형성부(22) 및 복수개의 약액노즐(23)을 포함한다. 약액노즐(23)은 순환관(11)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코일히터(21)는 나선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코일히터(21)의 내측에는 순환팬(16)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흐른다. 약액노즐(23)은 약액이 순환관(16)의 중심으로 방출되도록 초점(F)이 맞추어져 있다.
와류형성부(22)는 복수개의 외부베인(22a) 및 복수개의 내부베인(22b)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내부베인(22b)은 복수개의 외부베인(22a)의 내측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외부베인(22a) 및 복수개의 내부베인(22b)의 경계에는 코일히터(21)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팬(16)이 가동됨에 따라 순환팬(16)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코일히터(21)에 의해 가열되어 복수개의 외부베인(22a)에 의한 대반경 열풍와류(b)와 상기 복수개의 내부베인(22b)에 의한 소반경 열풍와류(c)로 변형된다. 소반경의 열풍와류(c)는 대반경의 열풍와류(b)의 내부에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류형성부(22)는 코일히터(21)의 가열로 인하여, 대반경 열풍와류(b)와 소반경 열풍와류(c)라는 이중의 와류를 만든다. 경우에 따라, 내부베인(22b)의 개수를 늘어서, 이중보다 큰 다중의 와류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약액노즐(23)에서 상기 초점(F)을 향하여 분무되는 약액들 중에서 순환관(11)의 내주면 부근에 분무되는 약액들은 대반경 열풍와류(b)와 접촉으로 가열된다.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하는 약액이 대반경 열풍와류(b)를 만나면, 상기 약액은 증발되어 10-1㎛ 단위의 약액증기가 된다. 순환관(11)의 중심 부근에 분무되는 약액들은 소반경 열풍와류(c)와의 접촉으로 가열된다.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하는 약액이 소반경 열풍와류(c)를 만나면, 기 약액은 증발되어 10-1㎛ 단위의 약액증기가 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약액노즐(23)에서 분사되는 거의 대부분의 약액들은 대반경 열풍와류(b) 및 소반경 열풍와류(c)에 의해 증발되어 약액증기가 된다.
회수부(30)는 순환관(11)에 부착되며, 회수관(31), 흡착층(32) 및 회수조(33)를 포함한다. 회수부(30)는 멸균공정이 완료된 후, 제1 개폐기(13)를 폐쇄하고 제3 개폐기(15)를 개방한 상태에서 진행된다. 이렇게 되면, 의료용 프로브(P)의 탑재통 및 순환관(11) 내의 약액증기는 회수관(31)으로 빨려 들어가 흡착층(32)에 흡착된다. 흡착층(32)은 활성탄을 활용한 여과 방식이 바람직하며, 흡착층(32)을 거친 약액증기는 물과 산소로 분리되어 회수조(33)로 회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는 순환관(11) 내부의 코일히터(21) 및 와류형성부(22)에서 다중의 열풍와류를 형성함으로써, 거의 대부분의 약액을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하는 10-1㎛ 단위의 약액증기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약액을 약액증기로 변환시키면, 비표면적이 상기 약액에 비해 크게 증가하여, 의료용 프로브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멸균할 수 있다. 또한, 10-1㎛ 단위의 약액증기는 순환팬(16)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부유하기 때문에, 의료용 프로브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멸균할 수 있다. 또한, 회수부(30)는 멸균 과정이 완료된 후에 약액증기를 회수하여 물과 산소로 회수함으로써, 본 발명의 멸균장치는 친환경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멸균장치의 약액노즐(23)의 사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나타내었다.
도 3에 의하면, 약액은 약액저장조(40)에 저장되며, 상기 약액은 약액공급관(41)을 통하여 약액노즐(23) 방향으로 공급된다. 약액노즐(23)은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압축공기 주입관(42)과 연결된다. 이때, 압축공기 주입관(42) 및 약액노즐(23)은 하나의 몸체일 수 있다. 약액공급관(41), 압축공기 주입관(42) 및 약액노즐(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 공급을 위한 노즐용 몸체(43)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홀(44)에 내장된다. 이때, 약액공급관(41) 및 압축공기 주입관(42) 사이의 약액 저장영역(d)에는 약액공급관(41)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약액이 임시로 저장된다.
상기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주입관(42)을 통하여 약액노즐(23) 방향을 주입하면, 약액 저장영역(d)에 임시로 저장된 일정한 양의 약액은 상기 압축공기에 흡인되어 약액노즐(23)로 방출된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약액공급관(41)은 밸브 등을 이용하여 폐쇄한다.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약액을 분사하면, 상기 약액은 액적(droplet) 형태로 변형된다. 이렇게 되면, 대반경 열풍와류(b) 및 소반경 열풍와류(c)에 의한 증발이 보다 용이해지고, 약액증기의 평균입경이 줄어든다.
도 4는 다양한 방식의 약액증기에 대한 평균입경 및 개수를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채워진 원은 본 발명 실시예의 경우이고, 빈 원은 열풍이 없는 경우이며, 채워진 삼각형은 송풍 및 열풍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다.
도 4에 의하면, 송풍 및 열풍이 모두 존재하여서, 대반경 열풍와류(b) 및 소반경 열풍와류(c)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경우, 대부분의 약액증기는 평균입경이 0.3㎛보다 작은 영역에 존재하였다. 또한, 평균입경이 10㎛보다 큰 경우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즉, 본 발명의 약액은 거의 대부분이 약액증기로 변환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질적으로, 약액증기 개수의 최대점은 평균입경이 0.3㎛보다 작은 영역에 존재하는 양상을 가진다.
이에 반해, 열풍이 없는 경우 및 송풍과 열풍이 없는 경우, 평균입경이 0.3㎛보다 큰 영역에 존재하였고, 심지어 평균입경이 10㎛이 큰 경우도 많았다. 평균입경이 10㎛보다 크면, 상기 약액은 약액증기로 변환되지 않고 약액 상태로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약액이 약액증기로 변환되지 않으면, 의료용 프로브(P)의 멸균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을 것이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멸균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때, 멸균장치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35중량%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약액증기를 이용한 멸균방법은 먼저, 제1 내지 제3 개폐기(13, 14, 15)를 폐쇄하고, 의료용 프로브(P)를 탑재통(12)에 탑재한다(S10). 그후, 제1 및 제2 개폐기(13, 14)를 개방하고, 순환팬(16)을 가동하여, 순환관(11)에 공기를 일방향의 순환방향(a)으로 순환시킨다(S12). 약액노즐(23)로부터 일정량의 약액을 공급하면서, 증기화부(20)에 의해 약액증기로 변환시킨다(S14). 이때, 증기화부(20)에 의한 약액의 증발은 대반경 열풍와류(b) 및 소반경 열풍와류(c)를 활용한다.
다음에, 일정한 시간동안 의료용 프로브(P) 및 주변의 공기에 대한 멸균공정을 수행한다(S16). 멸균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약액의 공급을 중단하고 제3 개폐기(15)를 개방한다(S18). 흡착층(32)은 상기 약액증기를 흡착하여 물과 산소로 회수조(33)에서 회수한다(S20). 의료용 프로브(P)를 탑재통(12)으로부터 인출한다(S22). 이때, 적어도 제1 및 제2 개폐기(13, 14)는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탑재부 11; 순환관
12; 탑재통
13, 14, 15; 제1 내지 제3 개폐기
16; 순환팬 20; 증기화부
21; 코일히터 22; 와류형성부
23; 약액노즐 30; 회수부
31; 회수관 32; 흡착층
33; 회수조 40; 약액저장조
41; 약액공급관 42; 압축공기 주입관
43; 노즐용 몸체 44; 삽입홀
a; 순환방향 b; 대반경 열풍와류
c; 소반경 열풍와류 d; 약액 저장영역
P; 의료용 프로브

Claims (15)

  1. 의료용 프로브를 탑재하는 탑재부;
    상기 의료용 프로브의 표면 및 상기 의료용 프로브 주변의 공기를 소독하여 멸균하기 위하여, 열풍와류에 의해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약액증기를 형성하는 증기화부;
    상기 탑재부에 접속되고 내부에 상기 증기화부가 설치된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 및 상기 탑재부를 따라 일방향인 순환방향으로 순환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순환팬을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는 제1 및 제2 개폐기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증기화부는 코일히터, 와류형성부 및 약액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히터는 나선 형태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상기 약액노즐은 상기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약액을 실어 나르는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압축공기 주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 주입관을 통하여 상기 약액노즐 방향으로 주입하면, 약액 저장영역에 저장된 약액이 상기 압축공기에 흡인되어 상기 약액노즐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증기는 35중량% 과산화수소수 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부는 복수개의 외부베인 및 상기 외부베인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내부베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외부베인은 상기 순환관 내부에서 대반경 열풍와류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내부베인은 상기 대반경 열풍와류의 내측에 소반경 열풍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노즐은 상기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약액을 상기 순환관의 중심에 있는 초점을 향해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에는 제3 개폐기에 의해 개폐되는 회수관이 부착되고, 상기 회수관에는 상기 약액증기를 물과 산소로 분리하는 흡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증기는 약액증기 개수의 최대점이 0.3㎛의 상기 약액증기 평균입경보다 작은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10. 제1 내지 제3 개폐기를 폐쇄하고, 의료용 프로브를 탑재통에 탑재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개폐기를 개방하고, 순환팬을 가동하여 순환관에 공기를 일방향의 순환방향으로 순환시키는 단계;
    약액노즐로부터 약액을 공급하면서, 상기 약액을 증기화부에 의해 약액증기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의료용 프로브 및 상기 의료용 프로브 주변의 공기에 대한 멸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화부는 코일히터, 와류형성부 및 약액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히터는 나선 형태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상기 약액노즐은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약액을 실어 나르는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압축공기 주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 주입관을 통하여 상기 약액노즐 방향으로 주입하면, 약액 저장영역에 저장된 약액이 상기 압축공기에 흡인되어 상기 약액노즐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프로브 멸균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을 수행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약액의 공급을 중단하고 제3 개폐기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개폐기가 개방되면 흡착층에 의해 상기 약액증기를 흡착하여 물과 산소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프로브 멸균방법.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부는 복수개의 외부베인 및 상기 외부베인 내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내부베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프로브 멸균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외부베인은 상기 순환관 내부에서 대반경 열풍와류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내부베인은 상기 대반경 열풍와류의 내측에 소반경 열풍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프로브 멸균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노즐은 상기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약액을 상기 순환관의 중심에 있는 초점을 향해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프로브 멸균방법.
KR1020180083462A 2018-07-18 2018-07-18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및 그 멸균방법 KR102193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62A KR102193361B1 (ko) 2018-07-18 2018-07-18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및 그 멸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62A KR102193361B1 (ko) 2018-07-18 2018-07-18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및 그 멸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287A KR20200009287A (ko) 2020-01-30
KR102193361B1 true KR102193361B1 (ko) 2020-12-21

Family

ID=6932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462A KR102193361B1 (ko) 2018-07-18 2018-07-18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및 그 멸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5558B (zh) * 2020-12-26 2021-10-26 湖南康润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新冠病毒患者用彩色超声诊断机及其诊断方法
KR102527490B1 (ko) * 2021-04-16 2023-05-03 아이지엠 주식회사 과산화수소 미세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소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4951A (ja) * 2008-05-27 2009-12-10 Shibuya Kogyo Co Ltd 滅菌方法
KR101474147B1 (ko) 2013-06-24 2014-12-17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멸균 장치
KR101633274B1 (ko) * 2015-10-21 2016-06-24 주식회사 위그린 공기소독장치에 구비되는 증발챔버
JP6047320B2 (ja) * 2012-07-18 2016-12-21 株式会社 オノモリ 蒸気循環型加圧加熱殺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4951A (ja) * 2008-05-27 2009-12-10 Shibuya Kogyo Co Ltd 滅菌方法
JP6047320B2 (ja) * 2012-07-18 2016-12-21 株式会社 オノモリ 蒸気循環型加圧加熱殺菌装置
KR101474147B1 (ko) 2013-06-24 2014-12-17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멸균 장치
KR101633274B1 (ko) * 2015-10-21 2016-06-24 주식회사 위그린 공기소독장치에 구비되는 증발챔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287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015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he treatment of interior and exterior areas of objects
US6379616B1 (en) Sterilization apparatus
US8062590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gent to objects
KR102193361B1 (ko) 의료용 프로브 멸균장치 및 그 멸균방법
US8083999B2 (en) Sterilizing apparatus
ES2393312T3 (es) Método y aparato para descontaminar espacios cerrados
JP2013172986A (ja) 滅菌装置
KR100912662B1 (ko) 바이오크린룸을 형성시키는 공기청정시스템
CN103052408A (zh) 用于对物品进行机械式的清洁和消毒的方法
KR101238349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유닛을 이용한 의료기구 세정장치
US8486332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he disinfection of devices and other areas
US8652414B2 (en) Device for sterilising containers
CN209916773U (zh) 一种医疗器械消毒柜
JP2019058849A (ja) 医療・介護用容器の洗浄装置及び処理装置
KR102359494B1 (ko) 훈증방식의 초음파프루브 소독 장치
CN111212665B (zh) 具有消毒单元的加湿器
KR20200097866A (ko) 멸균제 분해장치가 구비된 공간 및 표면 소독 시스템
US9408931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gent to objects
JP2020062533A (ja) 医療・介護用容器の洗浄装置及び処理装置
CN110404088A (zh) 一种手术器材快速消毒柜
US10973937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gents to objects and packaging objects
CN208756574U (zh) 一种用于肠胃内镜的消毒装置
KR102346073B1 (ko) 연성 내시경 저온 플라즈마 멸균시스템
KR100856057B1 (ko) 소독기
JP2004522574A (ja) 流体滅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