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809A -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809A
KR20210060809A KR1020190148267A KR20190148267A KR20210060809A KR 20210060809 A KR20210060809 A KR 20210060809A KR 1020190148267 A KR1020190148267 A KR 1020190148267A KR 20190148267 A KR20190148267 A KR 20190148267A KR 20210060809 A KR20210060809 A KR 20210060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unit
roll
hopper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9088B1 (ko
Inventor
채승석
Original Assignee
채승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승석 filed Critical 채승석
Priority to KR102019014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0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1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tearing along perforations or 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상부로 개방된 케이스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판플레이트와; 외부로부터 투입된 밀봉대상물을 케이스 내부로 유도하는 호퍼와; 호퍼를 지지하는 한 쌍의 호퍼지지프레임과; 호퍼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미닫이형 차단도어와; 호퍼를 통해 투입된 밀봉대상물을 감싸 밀폐하기 위한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공급부와; 필름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을 유도하여 겹침과 동시에 상기 밀봉대상물을 필름 사이에 끼운 상태로 하부로 통과시키는 가압유도부와; 가압유도부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밀봉대상물이 개재되어 있는 필름의 폭방향 양단부를 융착하는 시임융착부와; 필름에 상호 평행한 다수 열의 융착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융착라인의 사이를 절단하는 융착커팅부와; 구동부와 시임융착부와 융착커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는, 융착라인이 이중으로 형성되므로 실링효과가 뛰어나 오염물질이나 악취의 누출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Medical waste automatic sealing device}
본 발명은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 배출되는 다양한 의료폐기물을 밀봉 처리하는 의료폐기물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폐기물을 밀봉하는 과정 중에 오염물질의 누설이 없고, 또한 의료폐기물을 수용한 필름의 융착라인이 이중으로 이루어지므로 취급 중 터지는 일이 없어 완벽한 실링을 구현할 수 있는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반 병원은 물론 보건소나 노인 요양시설 등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의료폐기물이 발생한다. 이러한 의료폐기물에는, 가령, 일회용 주사기, 거즈, 붕대, 기저귀, 인체 적출물, 분비물 등이 포함되며, 거의 모두 병원균에 오염되어 있을 확률이 높으므로 감염을 유발할 위험이 크다. 더욱이, 근래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요양시설이 늘어나고 그에 비례하여 의료폐기물 배출량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의료폐기물의 철저한 관리를 통해, 2차, 3차 감염을 방지함은 물론 악취가 퍼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보통, 의료용 폐기물은 전문 처리업체가 수거하여 소각이나 화학처리 또는 매립 등의 방법으로 처리한다. 그런데 폐기물 처리업체의 처리 능력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고, 또한 요양시설의 입장으로는 처리에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의료폐기물을 일반폐기물과 함께 몰래 버리거나 노출된 곳에 방치하기도 한다.
한편, 노인 요양시설의 경우, 거동을 할 수 없거나 치매를 앓고 있는 환자 들이 많으므로 특히 기저귀의 사용량이 많다. 기저귀는 환자의 대소변을 받아내는 것이니 만큼 악취가 심하므로 완벽히 처리하지 않으면 주변 환경을 크게 훼손하고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더기 등의 벌레를 발생시킨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사용된 기저귀를 대충 말은 후 벌어지지만 않도록 오므린 상태로 버리는 것이 아니라, 전용 처리 장치를 이용해 보다 위생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75523호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대소변 기저귀 포장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의 처리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 처리장치는, 폐기물의 밀폐가 완벽하지 않아, 악취를 발생하며 실링 과정 중 유동성 폐기물이 외부로 새어나올 수도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더욱이 부패가 진행되어 내부 압력 상승에 의해 팽창할 경우 실링부의 일부가 터져 밀폐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75523호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대소변 기저귀 포장장치)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2667호 (의료용 감염성 폐기물 수거함)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377호 (의료폐기물 수거용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실링 과정 중에 유동성 오염물질의 누설이 없고, 융착라인이 이중으로 이루어지므로 취급 중 터지는 일이 없어 완벽한 실링을 구현할 수 있는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는, 상부로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상판플레이트와; 상기 상판플레이트를 닫은 상태에서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밀봉대상물을 케이스 내부로 유도하는 호퍼와; 상호 평행한 상태로 수평 연장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서 호퍼를 지지하는 한 쌍의 호퍼지지프레임과; 상기 호퍼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호퍼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호퍼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미닫이형 차단도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호퍼를 통해 투입된 밀봉대상물을 감싸 밀폐하기 위한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공급부와; 상기 필름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필름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두 겹의 필름을 유도하여 겹침과 동시에 상기 밀봉대상물을 필름 사이에 끼운 상태로 하부로 통과시키는 가압유도부와; 상기 가압유도부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밀봉대상물이 개재되어 있는 필름의 폭방향 양단부를 연속 융착하는 시임융착부와; 상기 가압유도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압유도부를 통과한 밀봉대상물과, 가압유도부 사이의 필름에 상호 평행한 다수 열의 융착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융착라인의 사이를 절단하는 융착커팅부와; 상기 구동부와 시임융착부와 융착커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호퍼에는, 호퍼를 통과하는 밀봉대상물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의 길이를 파악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가 필름공급부로부터의 필름공급 길이를 결정하게 하는 내향센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필름공급부는; 롤축을 갖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에 권취되며 일정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필름을 갖는 필름롤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롤축의 양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축써포터와, 상기 권취롤로부터 풀려나오는 필름을 받쳐 상기 가압유도부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판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롤은; 상기 상판플레이트를 개방한 상태로 교체 가능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유도부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샤프트와, 각 회전샤프트에 장착되고, 밀봉대상물을 필름과 함께 그 사이로 통과시키며 탄성 변형되는 스펀지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펀지롤은; 일정직경 및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 중앙부가 양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밀도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스펀지롤은;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길이방향 중앙부의 직경이 양단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형상을 취한다.
또한, 상기 스펀지롤의 중심축부에는 상기 회전샤프트를 통과시키는 샤프트장착구가 형성되며, 샤프트장착구의 내주면에는 내향홈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시 시임융착부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외주면에는 상호 이격된 링형 융착돌기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 그 사이로 필름을 통과시키는 롤실린더와, 각 롤실린더에 내장되며 열을 발생하여 롤실린더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롤실린더를 축회전시켜, 롤실린더의 사이를 통과시키는 필름이 융착돌기에 의해 융착되게 하는 융착모터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시임융착부는; 스펀지롤에 의해 겹쳐지는 순간의 필름을 가열 융착하도록, 스펀지롤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융착커팅부는; 상기 필름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받침대와, 각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왕복이송부와, 양단부가 상기 왕복이송부에 링크된 상태로 왕복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서로에 대해 진퇴운동 하는 것으로서, 융착할 필름이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 밀착하여 필름을 융착함과 동시에 커팅하는 두 개의 발열커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왕복이송부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발열커터의 진퇴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로드와, 상기 지지브라켓에 가이드로드와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축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결합하며 발열커터의 단부에 결합하고, 모터의 작동시 리드스크류의 작용에 의해 가이드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왕복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발열커터는; 필름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대편 발열커버를 향해 개방되고 상호 평행한 다수의 단자수용홈을 갖는 지지로드와, 상기 각 단자수용홈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그 일부가 단자수용홈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융착단자와, 상기 각 단자수용홈에 내장되며 융착단자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단자수용홈의 사이에 고정되고, 지지로드가 필름을 사이에 두고 밀착할 때 필름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는, 융착라인이 이중으로 형성되므로 실링효과가 뛰어나 오염물질이나 악취의 누출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호퍼에 대한 차단도어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도 4에 도시한 차단도어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자동 밀봉장치에 있어서 필름의 공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가압유도부 및 시임융착부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가압유도부 및 시임융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함께 도시한 융착커팅부의 사시도이다.
도 10a 및 10b는 도 9의 융착커팅부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를 이용해 열융착한 필름의 열융착 패턴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2a 내지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스펀지롤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는,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 배출되는 각종 의료용 폐기물을 비닐 필름을 이용해 밀폐하는 장치이다. 밀폐하는 이유는 의료 폐기물의 위생적인 처리를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의 기본 구조는, 상부로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상판플레이트와; 상기 상판플레이트를 닫은 상태에서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밀봉대상물을 케이스 내부로 유도하는 호퍼와; 상호 평행한 상태로 수평 연장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서 호퍼를 지지하는 한 쌍의 호퍼지지프레임과; 상기 호퍼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호퍼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호퍼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미닫이형 차단도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호퍼를 통해 투입된 밀봉대상물을 감싸 밀폐하기 위한 필름을 공급하는 한 쌍의 필름공급부와; 상기 필름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필름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두 겹의 필름을 유도하여 겹침과 동시에 상기 밀봉대상물을 필름 사이에 끼운 상태로 하부로 통과시키는 가압유도부와; 상기 가압유도부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밀봉대상물이 개재되어 있는 필름의 폭방향 양단부를 연속 융착하는 시임융착부와; 상기 가압유도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압유도부를 통과한 밀봉대상물과, 가압유도부 사이의 필름에 상호 평행한 다수 열의 융착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융착라인의 사이를 절단하는 융착커팅부와; 상기 구동부와 시임융착부와 융착커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10)의 외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밀봉장치(10)는 박스형 케이스(20)를 포함한다. 케이스(20)는 관리자가 용이하게 이동 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다수의 바퀴(29)를 가지며 측부에 제1,2손잡이(25a,25b)를 구비한다. 손잡이를 두 군데 설치한 이유는, 말하자면, 급할 때에, 밀봉장치(10)을 두 명이 밀고 당겨 보다 신속히 이동시킬 수 있기 위함이다.
또한, 제1손잡이(25a)의 하부에는 테이블수납홈(20a)이 마련되어 있고, 테이블수납홈(20a)은 다목적테이블(28)을 수용하는 홈이다. 다목적테이블(28)은, 필요치 않을 때에는 테이블수납홈(20a)에 끼워 넣고, 필요할 때에는 상부로 들어올려 사용한다.
다목적테이블(28)의 하부에는 서랍(27)이 구비된다. 서랍(27)은 환자에게 필요한 각종 비품을 넣어두는 통이다. 가령, 기저귀나 붕대 또는 주사기나 각종 약품 등을 보관하는 것이다. 서랍(27)의 측부에는 수거통(26)이 배치된다. 수거통(26)의 밀봉 처리된 의료폐기물이 담기는 통으로서 서랍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은 상부로 개방되며, 상판(21), 상판플레이트(22), 차단도어(23)에 의해 커버된다. 상판(21)과 상판플레이트(22)와 차단도어(23)를 제거할 경우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이 상부로 개방된다는 의미이다.
상판(21)은 케이스(20)의 상부에 고정되며 평평한 수평면을 제공한다. 또한 상판(21)의 일측에는 제어부(24)가 위치한다. 제어부(24)는 후술할 구동부와 시임융착부와 융착커팅부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패널(24a)과 다수의 버튼(24b)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판플레이트(22)는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케이스(20)에 대해 힌지(22b)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 가능하다. 상판플레이트(22)는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판(21)과 같은 평면을 가지고, 상부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을 상부로 개방한다.
상판플레이트(22)를 상부로 들어 올리면 후술할 필름롤(도 3의 38a)이 노출된다. 필름롤(38a)이 상판플레이트(22)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상판플레이트(22)를 개방하여 필름롤(38a)을 갈아 끼울 수 있다는 의미이다.
양측 상판플레이트(22)는 닫힌 상태로 호퍼(33)를 상부로 개방시킨다. 상판플레이트(22)가 닫힌 상태에서도 호퍼(33)가 상부로 개방되는 것이다. 호퍼(33)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밀봉대상물을 통과시켜 케이스(20) 내부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차단도어(23)에 의해 개폐된다.
차단도어(23)는 도 3에 도시한 호퍼지지프레임(31)에 지지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미닫이형 도어이다. 호퍼(33)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호퍼(33)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것이다. 차단도어(23)는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 부재로서, 상판플레이트(22)의 하부에 위치한다. 즉 차단도어(23)를 화살표 a방향으로 개방시킬 때, 상판플레이트(22)의 하부로 진입하는 것이다.
차단도어(23)는, 중앙부가 비어 있는 사각의 도어플레이트(23a), 도어플레이트(23a)의 중앙부에 배치된 투광창(23d), 도어플레이트(23a)의 일단부 상면에 고정된 손잡이(23b), 도어플레이트(23a)의 폭방향 양단부 저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도 4의 23c)를 구비한다.
투광창(23d)은 강화유리나 투명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단도어(23)를 닫은 상태에서 호퍼(33)의 내부 상태를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손잡이(23b)는 차단도어(23)의 개폐를 위해 관리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고, 슬라이더(23c)는 호퍼지지프레임(31)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차단도어(23)의 개폐 방식은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케이스(20)를 제외하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호퍼에 대한 차단도어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a 및 5b는 도 4에 도시한 차단도어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0) 내부공간의 상측 중앙부에는 호퍼(33)가 설치된다. 호퍼(33)는 호퍼지지프레임(31)에 지지되며 투입된 밀봉대상물을 하부로 통과시킨다. 호퍼(33)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상판플레이트(22)를 닫은 상태로 상부로 개방된다. 경우에 따라 호퍼(33)를 호퍼지지프레임(31)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호퍼(33)를 분리할 경우, 유지보수를 위한 케이스(20) 내부공간으로의 접근성이 훨씬 양호해진다.
또한 호퍼(33)의 하측부에는 내향센서(34)가 설치된다. 내향센서(34)는, 호퍼(33)를 통과하는 밀봉대상물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의 물리적 길이를 파악하여 상기 제어부(24)로 전달한다. 제어부(24)는 내향센서(34)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필름공급부(38)로부터의 필름의 공급 길이를 결정하게 한다. 이를테면, 밀봉대상물의 상하 ??항 길이가 길 경우 필름을 보다 길게 공급하며,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필름을 조금만 공급한다. 밀봉대상물의 사이즈에 따라 필름의 공급량을 조절하므로 필름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호퍼지지프레임(31)은 상호 나란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서, 호퍼(33) 및 차단도어(23)를 지지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33)는 지지부재(31a)를 통해 호퍼지지프레임(31)에 지지된다. 호퍼지지프레임(31)에 대해 호퍼(33)를 지지할 수 있는 한, 지지부재(31a)의 구조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차단도어(23)는, 양측 슬라이더(23c)가 호퍼지지프레임(31)에 얹힘에 의해, 호퍼지지프레임(31)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차단도어(23)는 호퍼지지프레임(31)을 주행용 레일 삼아 슬라이딩 운동하는 것이다.
도 5a는 차단도어(23)가 호퍼(33)의 상부에서 호퍼(33)를 커버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 상태에서 차단도어(23)를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호퍼(33)가 개방되고, 차단도어(23)는 상판플레이트(22)의 하부로 진입한다. 도 5b는 호퍼(33)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다. 개방되어 있는 차단도어(23)를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차단도어(23)는 다시 호퍼(33)의 상부로 이동하여 호퍼(33)를 다시 차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10)는, 필름공급부(38), 가압유도부(40), 구동부, 시임융착부(60), 융착커팅부(7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케이스(20)의 내부에 적절히 적용된 지지용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용프레임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그와 관련된 설명은 생략한다.
필름공급부(38)는, 호퍼(33)의 하부에 설치되며 호퍼(33)를 통해 투입된 밀봉대상물을 감싸 밀폐하기 위한 필름(38f)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융착 가능한 비닐 필름으로서, 두 장이 가압유도부(40) 측으로 동시에 내려가며 가압유도부(40)를 통과하며 밀착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자동 밀봉장치(10)에 있어서 필름공급부(38)의 구조 및 필름 공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에서는 각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은 생략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공급부(38)는, 두 개의 필름롤(38a), 각 필름롤(38a)을 지지하는 롤축써포터(38c), 다수의 유도판(38e)을 포함한다.
필름롤(38a)은, 원통형 권취롤(38d)과 권취롤(38d)에 감겨 있는 필름(38a)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권취롤(38d)의 중심축부에는 롤축(38b)이 구비된다. 롤축(38b)은 롤축써포터(38c)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이다. 특히 롤축(38b)은 롤축써포터(38c)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롤축써포터(38c)에 대한 필름롤(38a)의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필름롤(38a)은 호퍼(33)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한다. 필름롤(38a)로부터 하부로 풀려 나가는 필름(38f)은 가압유도부(40)를 통과하면서 만나 밀착한다.
롤축써포터(38c)는 각 필름롤(38a)의 양단부에 위치한 상태로 롤축(38b)을 지지한다. 필름롤(38a)은 롤축써포터(38c)에 지지된 상태로 대기하며 밀봉대상물의 투입을 기다린다.
유도판(38e)은 롤축써포터(38c)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수평으로 연장되다가 하부로 만곡된 판상부재로서, 필름롤(38a)로부터 풀려나오는 필름을 받쳐 가압유도부측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가압유도부(40) 및 시임융착부(6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가압유도부 및 시임융착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가압유도부(40)는, 필름공급부(38)의 하부에 위치하고, 필름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두 겹의 필름을 유도하여 겹침과 동시에 밀봉대상물(A)을 필름 사이에 끼운 상태로 하부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두 장의 필름(38f)과 덩어리 형태의 밀봉대상물(A)을 하향 통과시키는 것이다. 덩어리진 밀봉대상물(A)을 하부로 통과 시킬 수 있도록 스펀지롤(43)이 적용된다.
가압유도부(40)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수평의 회전샤프트(41)와, 회전샤프트(41)에 장착되는 스펀지롤(43)을 포함한다. 스펀지롤(43)은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그 외주면이 상호 면접한 상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대상물(A)이 그 사이를 통과할 때 탄성 변형된다. 스펀지롤(43)의 탄성 복원력은 스펀지롤(43)을 통과하는 밀봉대상물(A)을 화살표 f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또한 스펀지롤(43)은 필름롤(38a)의 필름(38f)을 물어 하부로 인장하는, 말하자면, 이송롤러의 역할을 한다. 필름(38f)은 스펀지롤(43)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하부로 하부로 이송된다.
상기 구동부는 회전샤프트(41)를 화살표 d 방향으로 축회전 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6에 도시한, 모터(53), 감속기(54), 구동풀리(55), 벨트(56), 한 쌍의 전동기어(57), 종동기어(42)를 포함한다.
모터(53)는 배터리(5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출력하고, 감속기(54)는 모터(53)의 회전력을 통과시켜 구동풀리(55)를 회전시킨다. 모터(53)의 회전속도는 제어부(24)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구동풀리(55)는 벨트(56)를 통해 전동기어(57)와 연결된다.
전동기어(57)는 두 개가 하나의 상을 이루며 상호 치합한다. 두 개의 전동기어(57) 중 하나의 전동기어(57)는 벨트(56)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아울러 양측의 전동기어(57)는 종동기어(42)와 각각 치합한다. 종동기어(42)는 전동기어(57)를 통해 전달된 회전토크를 받아 회전샤프트(41)를 화살표 d방향으로 축회전시킨다. 회전샤프트(41)의 타단부에는 베어링(44)이 설치된다. 베어링(44)은 케이스 내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회전샤프트(41)를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시임융착부(60)는, 스펀지롤(43)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스펀지롤(43)을 통과하는 두 겹의 필름(38f)의 폭방향 양단부를 통과시키며 융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시임융착부(60)는, 롤실린더(62), 히터(62c), 전동축(64), 융착모터(63)를 포함한다.
롤실린더(62)는 속이 빈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외주면에는 상호 이격된 두 개의 링형 융착돌기(62a)를 갖는다. 융착돌기(62a)는 롤실린더(62)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로서 필름을 가열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롤실린더(62)의 회전중심축은 회전샤프트(41)의 회전중심축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말하자면, 회전샤프트(41)의 회전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수평면과, 롤실린더(62)의 회전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수평면은 일치하는 것이다.
상기 히터(62c)는 롤실린더(62)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하여 롤실린더(62)를 가열한다. 롤실린더(62)를 가열하는 이유는 두 겹의 필름을 가열 융착하기 위함이다. 전동축(64)은 융착모터(63)의 회전력을 롤실린더(6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융착모터(63)는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되며 롤실린더(62)를 적절한 속도로 회전시킨다.
상기한 롤실린더(62)는 두 개씩 쌍을 이루고, 특히 융착돌기(62a)의 외주면은 상호 밀착한다. 따라서 롤실린더(62)의 사이를 통과하는 두 겹의 필름(38f)은, 가열된 상태의 융착돌기(62a) 사이를 통과하며 두께 방향으로 눌리고 가열되어 융착 결합하게 된다.
또한, 롤실린더(62)가 스펀지롤(43)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므로, 필름(38f)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 양단부에 두 줄의 사이드융착부(35a)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융착커팅부(70)는, 가압유도부(40) 및 시임융착부(6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필름(38f)에 가로융착부(도 11의 35b)를 형성함과 동시에 커팅라인(35c)을 기준으로 필름을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의 35c가 커팅라인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융착커팅부(70)가 네 줄의 가로융착부(35b)를 형성하는데, 커팅라인(35c)은 가로융착부(36b)의 두 번째 줄과 세 번째 줄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융착커팅부(70)에 의해 형성되는 네 줄의 가로융착부(35b) 중, 아래쪽의 두 개의 가로융착부(35b)는, 이전에 투입된 밀봉대상물(A)을 담고 있는 필름의 상단부이고, 위 쪽 두 개의 가로융착부(35b)는 이번에 투입된 밀봉대상물을 수용하는 필름의 하단부이다. 커팅라인(35c)은 이전에 투입된 밀봉대상물을 담고 있는 필름을 분리하는 절단라인이다.
상기한 가로융착부(35b)의 형성 위치는, 가압유도부(40)와, 가압유도부(40)를 통과한 밀봉대상물 사이의 부분이다.
도 9는 도 7에 함께 도시한 융착커팅부(70)의 사시도이고, 도 10a 및 10b는 도 9의 융착커팅부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융착커팅부에 의해 융착 및 절단된 필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융착커팅부(70)는, 한 쌍의 받침대(71), 각 받침대(71)의 상부에 구비되는 두 개의 왕복이송부(73), 왕복이송부(73)에 양단부가 지지되며 화살표 k방향으로 접근하거나 반대방향으로 멀어지는 발열커터(80)를 구비한다.
받침대(71)는 필름(38f)의 하향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설치되는 지지수단이다. 케이스(20) 내부에서 받침대(71)의 높이는 동일하다.
왕복이송부(73)는, 지지브라켓(73a), 가이드로드(73d), 리드스크류(73c), 모터(73e), 왕복대(73f)를 구비한다. 지지브라켓(73a)은 띠형 철판을 절곡 형성한 것으로서 양단부에 지지절곡부(73b)를 가지며, 받침대(71)의 상면에 용접 고정된다. 지지절곡부(73b)는 받침대(71)의 상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가이드로드(73d)와 리드스크류(73c)의 양단부를 지지한다.
가이드로드(73d)는 두 개가 상호 나란하게 고정되며 왕복대(73f)의 화살표 m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의 왕복운동을 가이드 한다. 발열커터(80)가 왕복대(73f)에 고정되므로, 가이드로드(73d)는 발열커터(80)의 왕복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이다. 네 개의 왕복이송부(73)에 있어서, 왕복대(73f)의 이동속도는 동일하다.
리드스크류(73c)는 왕복대(73f)에 나사 결합하며 모터(73e)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양방향으로 축회전한다. 리드스크류(73c)의 축회전에 따라 왕복대(73f)가 직선 방향으로 왕복운동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발열커터(80)는, 필름(38f)을 그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화살표 k방향으로 접근하여, 필름(38f)에 가로융착부(35b)를 형성함과 동시에 필름(38f)을 절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왕복대(73f)를 통해 왕복이송부(73)에 링크된다. 네 개의 왕복대(73f)의 이동속도는 동일하므로, 발열커터(80)는 양단부는 동일한 속도로 병진운동 한다.
발열커터(80)는, 지지로드(81), 융착단자(83), 스프링(84), 제1,2블레이드(82,86)을 포함한다. 제1블레이드(82)는 도 10a의 도면상 좌측에 위치한 발열커터(80)에, 제2블레이드는 우측 발열커터(80)에 고정된다.
지지로드(81)는 필름(38f)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대편 발열커버를 향해 개방되고 상호 평행한 4열의 단자수용홈(81a)을 갖는다. 단자수용홈(81a)은 2열 또는 6열 일 수 있다.
상기 각 단자수용홈(81a)의 내부에는 융착단자(83)가 장착된다. 융착단자(83)는 전력선(85)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막대형 히터이다. 융착단자(83)는, 단자수용홈(81a)에 수용되는 바디부(83c), 바디부(83c)로부터 단자수용홈(81a)의 외부로 연장된 네크부(83b), 네크부(83b)에 일체를 이루며 단자수용홈(81a)의 외부에 위치하는 헤드부(83a)를 포함한다.
또한 단자수용홈(81a)의 내부에는 스프링(84)가 설치된다. 스프링(84)은 융착단자(83)를 전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84)의 작용에 의해 헤드부(83a)는 전방으로 최대한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대기한다.
상기 제1블레이드(82)는 우측 지지로드(81)에 고정되어 있는 칼날로서 블레이드홈(81d)에 수용되며, 그 일부가 블레이드홈(81d)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제2블레이드(86)는 좌측 지지로드(81)에 고정되어 있는 칼날로서, 양측 발열커터(80)가 밀착하는 동안, 제1블레이드(82)와 교차운동하며 필름(38f)을 절단한 후 블레이드홈(81d)으로 삽입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지지로드(81)의 사이에 필름이 위치한 상태에서, 융착단자(83)를 가열한 다음, 발열커터(80)를 밀착시키면, 각 융착단자(83)의 헤드부가 밀착하며 필름을 가열 융착한다. 이 때 지지로드(81)는, 헤드부(83a)가 밀착한 상태에서 약간 더 근접시켜 헤드부(83a)가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게 한다. 상기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1,2블레이드(82,86)은 상호 교차하며 필름을 절단한다.
도 12a 내지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스펀지롤(43)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a에 도시한 스펀지롤(43)은, 일정직경 및 길이를 가지는 원통의형상을 취하되, 길이방향 중앙부가 오목한 형태를 취한다. 즉, 스펀지롤(43)의 양단부에 비해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다.
도 12b의 스펀지롤(43)은 샤프트장착구(43a)의 내주면에 내향홈부(43b)가 형성되어 있는 타입이다. 내향홈부(43b)는 샤프트장착구(43a)에 끼워지는 회전샤프트(41)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으로서, 스펀지롤(43) 사이로 밀봉대상물(A)이 통과하는 동안 화살표 p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스펀지롤(43)이 보다 소프트하게 탄성 변형되게 한다.
도 12c의 스펀지롤(43)은 고밀도롤(43c)과 저밀도롤(43e)로 구성된다. 고밀도롤(43c)은 저밀도롤(43e)에 비해 무거운 물성을 갖는다. 즉 스펀지 내부의 공간이 적은 것이다. 고밀도롤(43c)은 저밀도롤(43e)에 비해 상대적으로 딱딱하다.
고밀도롤(43c)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외향홈부(43d)가 형성되어 있고, 외향홈부(43d)에 저밀도롤(43e)이 채워진다. 고밀도롤(43c)은 스펀지롤(43)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고, 저밀도롤(43e)은 밀봉대상물이 통과하는 동안 소프트하게 탄성 변형되어 밀봉대상물로부터 이물질이 터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d에 도시한 스펀지롤(43)은, 중앙의 저밀도롤(43e), 저밀도롤(43e) 양측의 중밀도롤(43f), 중밀도롤(43f) 양측의 고밀도롤(43c)로 구성된다. 저밀도롤(43e)과 중밀도롤(43f)과 고밀도롤(43c)의 고정은, 접착 방식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스펀지롤(43)의 중앙부에 저밀도롤(43e)이 배치되므로, 스펀지롤의 사이로 밀봉대상물이 통과하는 동안, 밀봉대상물로부터 이물질이 터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자동밀봉장치 20:케이스 20a:테이블수납홈
21:상판 22:상판플레이트 22b:힌지
23:차단도어 23a:도어플레이트 23b:손잡이
23c:슬라이더 23d:투광창 24:제어부
24a:터치패널 24b:버튼 25a:제1손잡이
25b:제2손잡이 26:수거통 27:서랍
28:다목적테이블 29:바퀴 31:호퍼지지프레임
31a:지지부재 33:호퍼 34:내향센서
35a:사이드융착부 35b:가로융착부 35c:커팅라인
38:필름공급부 38a:필름롤 38b:롤축
38c:롤축써포터 38d:권취롤 38e:유도판
38f:필름 40:가압유도부 41:회전샤프트
42:종동기어 43:스펀지롤 43a:샤프트장착구
43b:내향홈부 43c:고밀도롤 43d:외향홈부
43e:저밀도롤 43f:중밀도롤 44:베어링
51:배터리 53:모터 54:감속기
55:구동풀리 56:벨트 57:전동기어
60:시임융착부 62:롤실린더 62a:융착돌기
62c:히터 64:전동축 70:융착커팅부
71:받침대 73:왕복이송부 73a:지지브라켓
73b:지지절곡부 73c:리드스크류 73d:가이드로드
73e:모터 73f:왕복대 80:발열커터
81:지지로드 81a:단자수용홈 81d:블레이드홈
82:제1블레이드 83:융착단자 83a:헤드부
83b:네크부 83c:바디부 84:스프링
85:전력선 86:제2블레이드

Claims (12)

  1. 상부로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상판플레이트와;
    상기 상판플레이트를 닫은 상태에서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된 밀봉대상물을 케이스 내부로 유도하는 호퍼와;
    상호 평행한 상태로 수평 연장되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서 호퍼를 지지하는 한 쌍의 호퍼지지프레임과;
    상기 호퍼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호퍼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호퍼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미닫이형 차단도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호퍼를 통해 투입된 밀봉대상물을 감싸 밀폐하기 위한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공급부와;
    상기 필름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필름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두 겹의 필름을 유도하여 겹침과 동시에 상기 밀봉대상물을 필름 사이에 끼운 상태로 하부로 통과시키는 가압유도부와;
    상기 가압유도부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밀봉대상물이 개재되어 있는 필름의 폭방향 양단부를 연속 융착하는 시임융착부와;
    상기 가압유도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압유도부를 통과한 밀봉대상물과, 가압유도부 사이의 필름에 상호 평행한 다수 열의 융착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융착라인의 사이를 절단하는 융착커팅부와;
    상기 구동부와 시임융착부와 융착커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에는,
    호퍼를 통과하는 밀봉대상물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의 길이를 파악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가 필름공급부로부터의 필름공급 길이를 결정하게 하는 내향센서가 구비된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공급부는;
    롤축을 갖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에 권취되며 일정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필름을 갖는 필름롤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롤축의 양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축써포터와,
    상기 권취롤로부터 풀려나오는 필름을 받쳐 상기 가압유도부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판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롤은;
    상기 상판플레이트를 개방한 상태로 교체 가능한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도부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며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샤프트와,
    각 회전샤프트에 장착되고, 밀봉대상물을 필름과 함께 그 사이로 통과시키며 탄성 변형되는 스펀지롤을 포함하는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롤은;
    일정직경 및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 중앙부가 양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밀도를 갖는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롤은;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길이방향 중앙부의 직경이 양단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형상을 취하는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롤의 중심축부에는 상기 회전샤프트를 통과시키는 샤프트장착구가 형성되며, 샤프트장착구의 내주면에는 내향홈부가 형성된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시 시임융착부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외주면에는 상호 이격된 링형 융착돌기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 그 사이로 필름을 통과시키는 롤실린더와,
    각 롤실린더에 내장되며 열을 발생하여 롤실린더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롤실린더를 축회전시켜, 롤실린더의 사이를 통과시키는 필름이 융착돌기에 의해 융착되게 하는 융착모터를 포함하는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임융착부는;
    스펀지롤에 의해 겹쳐지는 순간의 필름을 가열 융착하도록, 스펀지롤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배치되는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커팅부는;
    상기 필름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받침대와,
    각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왕복이송부와,
    양단부가 상기 왕복이송부에 링크된 상태로 왕복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서로에 대해 진퇴운동 하는 것으로서, 융착할 필름이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호 밀착하여 필름을 융착함과 동시에 커팅하는 두 개의 발열커터를 포함하는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송부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발열커터의 진퇴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로드와,
    상기 지지브라켓에 가이드로드와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축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리드스크류에 결합하며 발열커터의 단부에 결합하고, 모터의 작동시 리드스크류의 작용에 의해 가이드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왕복대를 구비하는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커터는;
    필름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대편 발열커버를 향해 개방되고 상호 평행한 다수의 단자수용홈을 갖는 지지로드와,
    상기 각 단자수용홈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그 일부가 단자수용홈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융착단자와,
    상기 각 단자수용홈에 내장되며 융착단자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단자수용홈의 사이에 고정되고, 지지로드가 필름을 사이에 두고 밀착할 때 필름을 절단하는 블레이드를 갖는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KR1020190148267A 2019-11-19 2019-11-19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KR102289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267A KR102289088B1 (ko) 2019-11-19 2019-11-19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267A KR102289088B1 (ko) 2019-11-19 2019-11-19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809A true KR20210060809A (ko) 2021-05-27
KR102289088B1 KR102289088B1 (ko) 2021-08-11

Family

ID=76135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267A KR102289088B1 (ko) 2019-11-19 2019-11-19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0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667Y1 (ko) 2004-10-15 2005-01-14 황선복 의료용 감염성 폐기물 수거함
JP2006124029A (ja) * 2004-09-29 2006-05-18 Sumiron:Kk 発臭性廃棄物の封止装置
KR100775800B1 (ko) * 2003-10-16 2007-11-12 교리츠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패키지 장치 및 쓰레기통
KR20080001377U (ko) 2008-05-07 2008-05-27 이동우 의료폐기물 수거용기
KR101775523B1 (ko) 2015-04-26 2017-09-06 노재혁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대소변 기저귀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800B1 (ko) * 2003-10-16 2007-11-12 교리츠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패키지 장치 및 쓰레기통
JP2006124029A (ja) * 2004-09-29 2006-05-18 Sumiron:Kk 発臭性廃棄物の封止装置
KR200372667Y1 (ko) 2004-10-15 2005-01-14 황선복 의료용 감염성 폐기물 수거함
KR20080001377U (ko) 2008-05-07 2008-05-27 이동우 의료폐기물 수거용기
KR101775523B1 (ko) 2015-04-26 2017-09-06 노재혁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대소변 기저귀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088B1 (ko)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619B1 (ko) 의료폐기물 밀폐 배출장치
CN113247491A (zh) 医疗废弃物密封排出装置
EP2441684B1 (en) Waste sealing apparatus
US55713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breather bags
KR102275939B1 (ko) 진공 포장형 의료 폐기물 수거장치
CA2446409A1 (en) Method and means for managing stoma discharged human waste
JP4066000B2 (ja) 発臭性廃棄物の封止装置
KR101775523B1 (ko)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대소변 기저귀 포장장치
KR101716276B1 (ko) 지정폐기물 회수용 테이프 및 그 테이프를 이용한 폐기물 회수장치
KR102134881B1 (ko) 감염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CN114906505B (zh) 一种医用全自动智能垃圾桶
KR20210060809A (ko) 의료폐기물 자동 밀봉장치
CN114212413A (zh) 一种智能物联全自动控制医疗废弃物专用垃圾桶
KR101725740B1 (ko) 감염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CN113104434B (zh) 一种医用垃圾收集装置
KR102552130B1 (ko) 폐기물 수거함의 폐기물 밀봉구조
JP2009051509A (ja) 発臭性廃棄物の封止装置
KR102459442B1 (ko) 생활오염물 밀폐 처리장치
KR20230128839A (ko) 악취발생 폐기물 자동 밀봉 배출장치
CN112238131A (zh) 一种医院用垃圾处理装置
CN216036605U (zh) 一种医用废弃口罩回收装置
JPH07187145A (ja) シール装置
CN215236706U (zh) 一种医疗废弃物处理机
KR20240060756A (ko) 위생 폐기물 회수장치
CN115009725A (zh) 一种医疗垃圾桶自动打包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