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596A - 린트 제거 도구용 일체형 커버의 길이방향 작동 - Google Patents

린트 제거 도구용 일체형 커버의 길이방향 작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596A
KR20210060596A KR1020217011799A KR20217011799A KR20210060596A KR 20210060596 A KR20210060596 A KR 20210060596A KR 1020217011799 A KR1020217011799 A KR 1020217011799A KR 20217011799 A KR20217011799 A KR 20217011799A KR 20210060596 A KR20210060596 A KR 20210060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int removal
removal tool
li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이드 에스. 베질레익스
마크 더블유. 볼드윈
케빈 알. 러블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210060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손잡이, 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내측 조립체, 및 손잡이에 병진이동식으로(translationally) 부착되는 외측 커버를 포함하는 린트 제거 도구(lint removal tool). 손잡이는 자유 단부 및 연결 단부를 갖는다. 내측 조립체는 손잡이가 외측 커버에 대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작동될 때 손잡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Description

린트 제거 도구용 일체형 커버의 길이방향 작동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린트 제거 도구(lint removal tool)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커버를 갖는 린트 제거 도구이다. 시험
린트 제거 도구는 통상 린트, 애완동물 털, 및 다른 작은 입자를 천, 예를 들어 의류 및 실내 장식품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린트 제거 도구는 일반적으로 롤(roll) 형태로 사용되며, 여기서 린트 제거 테이프는 코어 상에 전형적으로 권취되는데, 이때 테이프의 접착제 면이 사용을 위해 외향하도록 권취된다. 린트 제거 테이프의 롤은 손잡이 부분 및 테이프-수용 부분으로 전형적으로 형성되는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롤은 테이프-수용 부분 상에 배치된다. 미국 특허 제5,027,465호 및 미국 특허 제5,388,300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린트 제거 테이프 롤이 알려져 있다. 예에는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쓰리엠 컴퍼니(3M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한 스카치-브라이트(Scotch-Brite)™ 스탠더드(Standard) 린트 롤러 및 스카치-브라이트™ 50% 스티키어(Stickier) 린트 롤러가 포함된다.
사용 시, 린트 제거 도구는 린트 및 다른 느슨한 부스러기가 린트 제거 테이프의 노출된 접착제에 부착되도록 청소될 표면을 따라 롤링된다. 일단 린트 제거 테이프의 노출된 접착제가 충분한 린트 및 부스러기로 덮여 린트 제거 도구가 더 이상 원하는 양의 린트 또는 부스러기를 제거하지 않는다면, 노출된 접착제가 롤로부터 제거되고 폐기된다. 사용된 린트 제거 테이프의 제거는 접착제가 새롭게 노출되게 한다.
린트 제거 테이프의 접착제 면이 외향하도록 롤에 권취되기 때문에, 린트 제거 테이프는 사용 중이 아닐 때 린트 및 다른 부스러기로 의도하지 않게 오염될 수 있다. 사용 중이 아닐 때 린트 제거 도구의 린트 제거 테이프를 보호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은 탈착가능한 커버 또는 도구상자(caddy)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손잡이, 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내측 조립체, 및 손잡이에 병진이동식으로(transitionally) 부착되는 외측 커버를 포함하는 린트 제거 도구이다. 손잡이는 자유 단부 및 연결 단부를 갖는다. 내측 조립체는 손잡이가 외측 커버에 대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작동될 때 손잡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손잡이, 내측 코어, 슬리브, 및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린트 제거 도구이다. 외측 커버는 손잡이에 대해 고정된다. 내측 커버는 손잡이가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작동될 때 손잡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예에 대한 상세 사항이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 기술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이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그리고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연장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린트 롤러 도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후퇴 위치에 있는 도 1의 린트 롤러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린트 롤러 도구의 손잡이의 일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린트 롤러 도구의 손잡이의 일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린트 롤러 도구의 외측 커버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린트 롤러 도구의 내측 커버의 일 실시예의 외측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린트 롤러 도구의 내측 커버의 일 실시예의 내측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린트 롤러 도구의 내측 코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린트 롤러 도구의 내측 코어의 수용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린트 롤러 도구의 내측 코어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린트 롤러 도구의 슬리브의 일 실시예의 수용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린트 롤러 도구의 슬리브의 일 실시예의 연결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린트 제거 도구의 분해도이다.
도 9는 연장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린트 제거 도구의 손잡이와 개방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린트 제거 도구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후퇴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린트 제거 도구의 손잡이와 폐쇄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린트 제거 도구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부착된 하우징을 갖는 린트 롤러 도구이다. 도 1은 연장 위치에 있는 린트 롤러 도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린트 롤러 도구는 일반적으로 손잡이, 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내측 조립체, 및 하우징을 포함한다. 손잡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우징에 대한 연장 위치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퇴 위치 사이에 위치가능하다. 실제로, 린트 롤러 도구는 내측 조립체 상에 위치된 린트 제거 테이프의 롤을 포함하고, 린트 제거 테이프는 그 상의 노출된 접착제를 사용하여 표면으로부터 린트 및 다른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하우징은 커버로서 기능하고, 린트 롤러 도구가 사용 중이 아닐 때 노출된 접착제를 보호한다. 린트 롤러 도구가 사용될 때, 손잡이는 연장 위치(도 1)에 있으며, 이때 하우징은 린트 제거 테이프를 노출시키기 위해 개방 위치에 있게 된다. 린트 제거 도구가 보관되고 있을 때, 손잡이는 후퇴되어, 하우징이 후퇴 위치(도 2)로 180도 회전하게 하고 린트 제거 테이프가 덮여 부스러기로부터 보호된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린트 제거 도구의 손잡이의 측면 사시도 및 전방 사시도이다. 린트 제거 도구의 손잡이는 자유 단부 및 연결 단부를 갖는다. 자유 단부는 사용자가 린트 제거 도구를 불편 없이 파지할 수 있게 한다. 손잡이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손에 인간공학적으로(ergo-dynamically) 맞춰지도록 윤곽을 이룰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형상이 비-원통형이다.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비-원통형 손잡이 형상은 손잡이가 통과하는 외측 커버 내의 비-원통형 구멍과 흡사하게 된다(mirrored). 손잡이의 자유 단부는 손잡이의 자유 단부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슬롯(도 3b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슬롯은 손잡이의 자유 단부에 근접한 제1 노치와 손잡이의 연결 단부에 근접한 제2 노치를 포함한다. 노치는 손잡이를 연장 및 후퇴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외측 커버 내의 돌출부와 결합하도록 설계된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의 자유 단부는 예컨대 보관을 위해 린트 제거 도구를 후크 상에 매달릴 수 있게 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손잡이의 연결 단부는 내측 조립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손잡이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한다. 손잡이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은 개방 위치에 있게 되고, 이때 내측 조립체 상에 위치된 린트 제거 테이프는 노출되어 사용될 준비가 된다. 손잡이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은 폐쇄 위치에 있게 되고, 이때 린트 제거 테이프는 덮여서 요소들로부터 보호된다. 손잡이의 자유 단부는 대체로 인체공학적 형상을 갖지만, 연결 단부는 대체로 원통형이다. 연결 단부는 또한 연결 에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한다. 복수의 핀은 일반적으로 연결 에지를 따라 인접한 핀들로부터 등거리로 이격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에지는 4개의 핀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외측 커버 및 내측 커버를 포함한다. 도 4는 외측 커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외측 커버는 내측 커버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져서, 하우징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내측 커버가 외측 커버 내에 포개질 수 있게 된다. 조립될 때,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서,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 사이의 간극은 약 0.4 mm이다. 외측 커버는 수용 단부, 벽, 및 스템(stem)을 포함한다. 수용 단부는 형상이 비-원형이어서, 외측의 반원형 에지 및 내측의 곡선형 에지를 형성한다. 벽은 외측 벽의 수용 단부의 외측 반원형 에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벽은 외측 커버의 수용 단부의 외측 에지의 약 40% 내지 약 60%를 따라, 그리고 특히 외측 커버의 수용 단부의 외측 에지의 약 45% 내지 약 55%를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벽은 수용 단부로부터 약 40 mm, 수용 단부로부터 구체적으로는 약 60 mm 및 더 구체적으로는 약 80 mm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외측 커버는 약 25 mm 내지 약 1000, 특히 약 75 mm의 직경을 갖는다.
외측 커버의 스템은 대체로 원통형으로 형상화되고 중공형이며, 이는 실질적으로 외측 커버의 수용 단부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된다. 따라서, 스템은 외측 커버에 대한 내경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템은 약 25 mm 내지 약 50 mm, 특히 약 35 mm의 내경을 생성한다. 스템은 내측 벽에 개구를 포함하며, 이는 또한 스템 상에 래칭 표면을 생성한다. 스템은 대체로 원통형으로 형상화되지만, 외측 커버의 수용 단부에서 스템에 의해 생성되는 구멍은 대체로 원통형으로 형상화되지 않는다. 외측 커버의 수용 단부에 있는 구멍은 손잡이의 자유 단부와 맞춰져 이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된다. 이는 손잡이 및 외측 커버가 회전에 있어서는 고정되지만 병진이동에 있어서는 자유로울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외측 커버는 손잡이가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손잡이에 병진이동식으로 부착된다. 외측 커버의 수용 단부에 있는 구멍은 돌출부를 또한 포함하는데, 이는 손잡이의 슬롯과 결합되어 손잡이를 연장 및 후퇴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외측 커버는 얇은 하우징으로서 기능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외측 커버는 예컨대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ABS 블렌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내측 커버의 외측 및 내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내측 커버는 수용 단부 및 벽을 포함한다. 외측 커버와 유사하게, 수용 단부는 형상이 비-원형이어서, 외측의 반원형 에지 및 내측의 곡선형 에지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벽은 외측 커버의 수용 단부의 외측 에지의 약 40% 내지 약 60%를 따라, 그리고 특히 외측 커버의 수용 단부의 외측 에지의 약 45% 내지 약 55%를 따라 연장된다. 벽은 외측 벽의 수용 단부의 외측의 반원형 에지로부터 외측 커버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높이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벽은 수용 단부로부터 약 40 mm 내지 약 80 mm, 그리고 특히 수용 단부로부터 약 60 mm 연장된다. 내측 커버의 수용 단부는 노치를 갖는 구멍을 또한 포함한다. 구멍은 내경을 생성하고 외측 커버의 스템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구멍은 약 35 mm 내지 약 55 mm, 특히 약 45 mm의 내경을 생성한다. 내측 커버는 내측 커버의 폭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리지(ridge)를 또한 포함한다. 복수의 리지는 린트 제거 테이프의 롤의 노출된 접착제가 내측 커버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하우징의 원활한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내측 커버는 초음파 용접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내측 커버는 예컨대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ABS 블렌드로 형성될 수 있다.
린트 제거 도구의 내측 조립체는 내측 커버, 내측 코어, 및 슬리브를 포함한다. 내측 코어의 사시도가 도 6a에 도시되어 있고, 내측 코어의 수용 단부의 사시도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내측 코어의 단면도가 도 6c에 도시된다. 내측 코어는 원통형이고, 이는 상부 부분 및 수용 부분을 갖는다. 상부 부분은 상부 단부를 포함하고, 수용 부분은 수용 단부를 포함한다. 내측 코어는 수용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중공형이다. 상부 단부는 본 발명의 의도된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덮이거나 개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측 코어는 내측 커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료로 형성되어 이들이 함께 용접될 수 있다.
내측 코어의 수용 부분은 외측 에지, 개구, 복수의 절결부(cut out), 및 플랜지(flange)를 포함한다. 개구는 수용 단부의 외측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내측 조립체가 조립될 때 슬리브 상의 래치(latch)와 정렬된다. 복수의 절결부는 수용 단부의 전체 외측 에지를 따라 위치된다. 절결부들이 수용 단부의 외측 에지 주위에서 대체로 동일하게 이격된 것을 도면에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의도된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패턴 또는 랜덤한 절결부가 사용될 수 있다. 수용 단부는 또한 수용 단부의 외측 에지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절결부와 개구 사이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플랜지는 수용 단부의 외측 에지로부터 약 2 mm 내지 약 4 mm, 특히 약 3 mm에 위치된다. 내측 코어의 수용 부분은 내측 코어의 상부 부분의 내경보다 약간 더 큰 내경을 갖고, 아래에서 논의되는 슬리브의 벽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를 갖는다.
내측 코어의 상부 부분은 도 6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부분의 내경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나선(helix)을 형성하는 복수의 리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은 내경을 따라 연장되는 4개의 나선을 포함한다. 이 나선은 손잡이의 핀과 결합하도록 설계되며, 이는 손잡이가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내측 조립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안내부(guide)로서 기능한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슬리브의 수용 단부의 사시도 및 슬리브의 연결 단부의 사시도이다. 슬리브는 형상이 원통형이고, 상부 단부, 수용 단부 및 래치를 포함한다. 슬리브는 상부 단부 및 수용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중공형이다. 슬리브의 수용 단부는 수용 단부의 외측 에지에 인접한 외경을 따라 슬리브의 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탭을 포함한다. 복수의 탭은 내측 코어의 수용 단부의 절결부와 정렬되도록 설계되고 이격된다. 탭들의 대다수가 수용 단부의 외측 에지에 인접하게 위치되지만, 즉 외측 에지로부터 약간 물러나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탭은 위치설정 탭이고 수용 단부의 외측 에지까지 완전히 연장된다. 위치설정 탭은 내측 코어 및 슬리브를 내측 커버와 적절히 정렬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탭은 수용 단부의 외측 에지로부터 약 1 mm 내지 약 2 mm, 특히 약 0.5 mm 내지 약 3 mm에 위치된다.
슬리브는 내측 코어의 수용 부분 내에 위치되고, 내측 코어의 수용 부분의 내경보다 약간 더 작고 내측 코어의 상부 부분의 내경과 대체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슬리브의 벽의 두께는 슬리브가 내측 코어 내에 위치될 때 내측 코어의 상부 부분과 수용 부분의 내경들의 차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내측 조립체의 내경은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슬리브는 슬리브의 상부 단부가 내측 코어의 상부 단부에 가장 가깝고 래치가 내측 코어의 개구와 정렬되도록 내측 코어의 수용 부분 내에 위치된다. 추가적으로, 슬리브의 수용 단부에 있는 탭은, 적절하게 위치된 때, 슬리브가 내측 코어에 기계적으로 부착되도록 내측 코어의 수용 단부의 절결부 내에 끼워진다. 슬리브는 낮은 마찰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슬리브는 예컨대 아세탈,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ABS 블렌드로 형성된다.
일단 슬리브가 내측 코어 내에 위치되면, 내측 코어의 수용 단부는 슬리브의 수용 단부에 있는 위치설정 탭이 내측 커버의 수용 단부의 구멍의 노치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내측 커버의 수용 단부에 있는 개구 내에 위치된다. 내측 코어 및 슬리브가 내측 커버의 구멍 내에 적절하게 위치될 때, 내측 코어의 개구와 슬리브의 래치는 서로 정렬되고 내측 커버의 벽에 대향한다. 내측 커버는 내측 코어의 직경보다 약 44 mm 내지 약 0.4 mm 더 큰, 특히 약 35 mm 내지 약 0.2 mm 더 큰, 더욱 특히 약 25 mm 내지 약 0.1 mm 더 큰 직경을 갖도록 설계되어, 이들이 조립될 때 내측 코어와 내측 커버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간극은 린트 제거 테이프의 롤이 내측 코어 상에 위치되게 하도록 설계된다. 일단 내측 코어와 슬리브가 내측 커버 상에 장착되면, 내측 커버와 내측 코어는 함께 용접되어 단일 유닛을 형성한다. 내측 커버 및 내측 코어는 초음파 용접 또는 용매 용접(solvent welding)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함께 용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측 커버 및 내측 코어는 함께 초음파 용접된다. 내측 코어, 슬리브 및 내측 코어는, 일단 조립되면, 내측 조립체를 형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린트 제거 도구의 분해도이다. 린트 롤러 도구를 조립하기 위해, 손잡이의 연결 단부는 이제 내측 조립체의 일부인 내측 코어 및 슬리브의 수용 단부 내에 위치된다. 손잡이의 연결 단부는 손잡이의 복수의 핀이 내측 코어 내의 나선을 형성하는 복수의 리지와 정렬되도록 내측 코어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정렬된 때, 내측 조립체는 손잡이가 내측 코어 내로 삽입되어 연결 단부가 내측 코어의 상부 단부에 접근함에 따라 손잡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일단 손잡이가 내측 조립체에 연결되면, 외측 커버는 손잡이 상으로 조립된다. 외측 커버를 손잡이 상으로 조립하기 위해, 외측 커버의 수용 단부에 있는 구멍이 손잡이의 자유 단부에 삽입되고, 외측 커버의 수용 단부가 내측 커버의 수용 단부에 맞닿을 때까지 손잡이를 따라 활주된다.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는 함께 하우징을 형성하여, 린트 제거 도구가 사용 중이 아닐 때 내측 코어 상에 위치된 린트 제거 테이프를 보호한다. 완전히 삽입된 때, 외측 커버의 스템의 래칭 표면은 슬리브의 래치와 결합되고, 이는 손잡이가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내측 조립체 및 외측 커버가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적으로, 손잡이의 자유 단부의 형상이 외측 커버의 구멍과 일치하기 때문에, 손잡이가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외측 커버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조립될 때, 하우징의 외측 커버는 손잡이에 대해 회전방향으로 고정되는 반면, 전체 내측 조립체와 함께 내측 커버는 손잡이가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작동될 때 손잡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사용 시에, 사용자는 외측 커버를 한 손으로 파지하고 손잡이를 외측 커버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각각 손잡이를 연장시키거나 후퇴시킨다. 손잡이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내측 코어 내의 내부 나선은 손잡이 상의 핀과 상호 작용하게 되어, 손잡이가 외측 커버에 대해 밀리거나 당겨질 때 회전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외측 커버, 내측 커버, 내측 코어 및 슬리브의 벽들의 두께는 린트 제거 도구 및 여분의 재료의 전체 크기를 여전히 최소화하면서 내구성 린트 제거 도구를 보장하기에 충분히 두꺼워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벽 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1 mm 내지 약 3 mm이고, 특히 약 2 mm이다.
손잡이가 연장 위치에 있을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은 내측 커버가 외측 커버 내에 위치되고 내측 코어 상에 위치된 린트 제거 테이프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개방 위치에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손잡이의 자유 단부를 사용하여 노출된 린트 제거 테이프를 청소하고자 하는 표면 상에서 롤링할 수 있다. 사용자가 린트 제거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마쳤을 때, 사용자는 외측 커버를 파지하고 손잡이를 내측 조립체 내로 상향으로 이동시켜 후퇴 위치가 되게 한다. 손잡이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은 내측 커버가 외측 커버에 대향하도록 위치되고 린트 제거 테이프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덮이도록 폐쇄 위치에 있게 되어, 린트 제거 테이프가 린트 및 다른 부스러기를 의도하지 않게 픽업하는 것을 방지한다. 연장 위치 및 후퇴 위치의 각각에서, 손잡이는 외측 커버의 수용 단부에서의 돌출부가 제1 노치 또는 제2 노치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때 제 위치에 기계적으로 로킹될 수 있다. 돌출부가 손잡이의 자유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1 노치와 결합될 때, 손잡이는 후퇴 위치에서 로킹되어, 하우징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그 내부에서 린트 제거 테이프를 보호한다. 돌출부가 손잡이의 연결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2 노치와 결합될 때, 손잡이는 연장 위치에서 로킹되어,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청소를 위해 린트 제거 테이프를 노출시킨다.
본 발명은 린트 롤러 도구가 사용 중이 아니고 보관되고 있을 때 노출된 접착제를 보호하는 편리한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부착된 하우징을 갖는 린트 롤러 도구이다. 린트 롤러 도구가 사용되고자 할 때, 손잡이는 하우징이 개방 위치에 있는 연장 위치에 있게 되어, 린트 제거 테이프를 노출시키고 린트 수집을 가능하게 한다. 린트 제거 도구가 보관되고 있을 때, 손잡이는 후퇴 위치로 길이방향으로 작동되어, 린트 제거 테이프가 덮여서 부스러기로부터 보호되도록 내측 커버를 180도 회전시킨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특정 요소, 구조, 특징, 상세 사항, 구성 등이 다수의 실시예에서 변형 및/또는 조합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개시되거나 언급된 요소들 중 임의의 것을 적합하게 포함하거나, 그로 이루어지거나, 그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 대안으로서 명백하게 열거되는 요소들 중 임의의 것이 원하는 대로 임의의 조합으로 명시적으로 청구범위 내에 포함되거나 청구범위로부터 제외될 수 있다. 모든 그러한 변형과 조합은 단지 예시적인 설명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선택된 그러한 대표적인 설계가 아니라 구상된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 발명자에 의해 고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적인 특정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적어도 청구범위의 표현에 의해 설명되는 구성 및 이들 구성의 등가물로 확대되어야 한다. 서면으로 된 본 명세서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임의의 문헌의 개시 내용 간에 상충 또는 모순이 있는 경우에는, 서면으로 된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Claims (20)

  1. 린트 제거 도구(lint removal tool)로서,
    자유 단부와 연결 단부를 갖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내측 조립체; 및
    상기 손잡이에 병진이동식으로(translationally) 부착되는 외측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조립체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외측 커버에 대해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작동될 때 상기 손잡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린트 제거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의 상기 자유 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린트 제거 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의 상기 자유 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내측 조립체 내에 위치되는, 린트 제거 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조립체 상에 위치된 린트 제거 테이프의 롤(roll)을 추가로 포함하는, 린트 제거 도구.
  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손잡이가 상기 연장 위치에 있을 때 노출되는, 린트 제거 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조립체는
    내측 커버;
    내측 코어; 및
    슬리브를 포함하는, 린트 제거 도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내측 코어 내에 위치되는, 린트 제거 도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코어는 상기 내측 커버 내에 위치되는, 린트 제거 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기 연결 단부는 상기 내측 조립체 내의 복수의 나선형 리지(ridge)와 결합되는 복수의 포스트(post)를 포함하는, 린트 제거 도구.
  10. 린트 제거 도구로서,
    손잡이;
    내측 코어;
    슬리브; 및
    내측 커버와 외측 커버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커버는 상기 손잡이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내측 커버는 상기 손잡이가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작동될 때 상기 손잡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린트 제거 도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위치에서, 상기 손잡이의 대부분이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린트 제거 도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은 개방 위치에 있는, 린트 제거 도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은 폐쇄 위치에 있는, 린트 제거 도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코어 상에 위치된 린트 제거 테이프의 롤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린트 제거 테이프의 롤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린트 제거 도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손잡이가 상기 연장 위치에 있을 때 노출되는, 린트 제거 도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테이프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되는, 린트 제거 도구.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버는 상기 내측 커버가 상기 외측 커버 내에 포개질 수 있도록 상기 내측 커버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린트 제거 도구.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내측 코어 내에 위치되는, 린트 제거 도구.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코어는 상기 내측 커버 내에 위치되는, 린트 제거 도구.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측 코어 내의 복수의 나선형 리지와 결합되는 복수의 포스트를 포함하는, 린트 제거 도구.
KR1020217011799A 2018-09-27 2019-09-25 린트 제거 도구용 일체형 커버의 길이방향 작동 KR202100605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7607P 2018-09-27 2018-09-27
US62/737,607 2018-09-27
PCT/IB2019/058139 WO2020065556A1 (en) 2018-09-27 2019-09-25 Longitudinal activation of integral cover of lint removal 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596A true KR20210060596A (ko) 2021-05-26

Family

ID=6810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799A KR20210060596A (ko) 2018-09-27 2019-09-25 린트 제거 도구용 일체형 커버의 길이방향 작동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00333A1 (ko)
KR (1) KR20210060596A (ko)
CN (1) CN112752532A (ko)
BR (1) BR112021005897A2 (ko)
WO (1) WO20200655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7713B (zh) * 2020-12-16 2022-03-15 深圳丽之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家用仪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2774A (en) * 1947-05-01 1951-02-20 Loren K Hutchinson Container with replaceable tacky rotary device and having handle forming fortions
US4422201A (en) * 1981-08-06 1983-12-27 Helmac Products Corporation Lint remover
SE430651B (sv) * 1981-11-16 1983-12-05 Eriksson Leif Fastighets Rengoringsdon for borttagning av damm, harstran o dyl fran foremal t ex kledespersedlar, textilmobler o dyl
US4575890A (en) * 1984-06-05 1986-03-18 Panhandle Industries, Inc. Lint removal device
US5027465A (en) 1988-06-20 1991-07-02 Mckay Nicholas D Lint remover
DE4234609C1 (de) 1992-10-14 1993-12-23 Gebrauchs Geraete Gmbh Klebebandrolle
CN2260572Y (zh) * 1996-05-27 1997-08-27 章三川 服装清洁器
US6427278B1 (en) * 2000-07-20 2002-08-06 Helmac Products Corporation Lint roller assembly
US7600286B2 (en) * 2006-08-21 2009-10-13 The Evercare Company Lint roller assembly
US20110078866A1 (en) * 2009-10-02 2011-04-07 Sandra Kaye Panthofer Lint remover with housing and method of using
KR101955726B1 (ko) * 2012-06-15 2019-03-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테이프 클리너
GB201306560D0 (en) * 2013-04-11 2013-05-22 Woolman Daniel Lint removing device
JP6656880B2 (ja) * 2015-10-28 2020-03-04 レック株式会社 カバー付き清掃具のカバー開閉方法及びカバー付き清掃具
GB201703770D0 (en) * 2017-03-09 2017-04-26 Woolman Daniel Device for removing l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5556A1 (en) 2020-04-02
US20220000333A1 (en) 2022-01-06
BR112021005897A2 (pt) 2021-07-27
CN112752532A (zh)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0756B2 (ja) リント除去装置
JPS63192482A (ja) 湿式かみそり装置
US5186411A (en) Spool with holder
EP3021733A1 (en) Tape cleaner
AU2020295358B2 (en) Chalk box with chalk reel spool groove
KR20210060596A (ko) 린트 제거 도구용 일체형 커버의 길이방향 작동
AU668616B2 (en) Cartridge type screwdriver
US7600286B2 (en) Lint roller assembly
US6082917A (en) Dispenser for selectively extending and retracting a substantially stick-shaped object, and thread means for incorporation in the dispenser
US10869543B2 (en) Pet grooming tool
US20070204416A1 (en) Particulate remover with rotating barrel and cover
JPWO2015056310A1 (ja) 清掃具用ケース、ケース付清掃具
JP4674182B2 (ja) 粘着式クリーナー
US11224316B2 (en) Rolled web material dispenser material lockout systems
US11071417B2 (en) Rolled web material dispenser material lockout systems
JP2006335363A (ja) フィルムロール用容器
EP3884828B1 (en) Rolled web material dispenser material lockout systems
AU623492B2 (en) Spool with holder
KR200194995Y1 (ko) 포켓용 절첩식 낚시대
JPH0686418U (ja) 刈払機用ロータリーカッター
CA3112999A1 (en) Rolled web material dispenser material lockout systems
JP3448330B2 (ja) 仕掛け用糸巻
JP2007097679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
KR20160107019A (ko) 권취수단
JPH09476U (ja) シャープペンシ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