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370A -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 - Google Patents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370A
KR20210060370A KR1020207030211A KR20207030211A KR20210060370A KR 20210060370 A KR20210060370 A KR 20210060370A KR 1020207030211 A KR1020207030211 A KR 1020207030211A KR 20207030211 A KR20207030211 A KR 20207030211A KR 20210060370 A KR20210060370 A KR 20210060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core
plasma separation
ribs
plas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일러 코리트코
Original Assignee
해모네틱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모네틱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해모네틱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6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03Regula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96Plasmapheresis; Leucopheresis; Lymphophe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72Means preventing 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A61M1/369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with means for adding or withdrawing liquid substances during the centrifugation, e.g. continuous centrifu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8Removing constituents from donor blood and storing or returning remainder to body, e.g. for trans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4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 B04B5/0442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with means for adding or withdrawing liquid substances during the centrifugation, e.g. continuous centrifu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15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4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 B04B5/0442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with means for adding or withdrawing liquid substances during the centrifugation, e.g. continuous centrifugation
    • B04B2005/0464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with means for adding or withdrawing liquid substances during the centrifugation, e.g. continuous centrifugation with hollow or massive core in centrifug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혈장의 분리 및 수집을 위한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은 보울 효율을 증가시키고 혈장 내에서 기포 발생을 감소시키는 코어 및 공급 튜브를 포함한다. 코어는 원통형 본체와 코어의 내부에 위치된 레지를 가질 수도 있다. 레지는 코어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하고,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에 수집 챔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코어는 코어 본체의 상부 위로 연장되고 유체가 원통형 본체 및 수집 챔버의 내부로 진입하게 하는 유동 경로를 생성하는 리브를 또한 갖는다. 공급 튜브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상에 입구 포트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그를 통해 연장하는 유동 경로를 갖는다. 공급 튜브 상의 제1 스커트 부재는 기포를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 평활한 각형성면을 갖는다.

Description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
우선권
본 특허 출원은 2018년 3월 26일에 출원되고, 대리인 문서 번호 130670-08802(이전에 1611/C88)가 할당되어 있고, 테일러 코리트코(Taylor Korytko)를 발명자로 하며, 그 개시내용이 그대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발명의 명칭이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Plasmapheresis Centrifuge Bowl)"인 미국 특허 출원 제15/935,476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혈액 성분 채집(blood apheresis)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혈장 생성물을 수집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 보울(centrifuge bowls)에 관한 것이다.
성분 채집은 피험자(subject)로부터 일시적으로 추출된 전혈(whole blood)로부터 개별 혈액 성분이 분리 및 수집될 수 있는 절차이다. 통상적으로, 전혈은 피험자의 팔의 정맥 내로 그리고 원심 분리 보울과 같은 세포 분리기 내로 삽입된 바늘을 통해 추출된다. 일단 전혈이 그 다양한 성분으로 분리되면, 성분 중 하나 이상(예를 들어, 혈장)은 원심 분리 보울에서 제거될 수 있다. 나머지 성분은 제거된 성분의 체적을 보충하기 위해 선택적 보상 유체와 함께 피험자에 반환될 수 있다. 흡인 및 반환 프로세스는 원하는 성분의 양이 수집될 때까지 계속되고, 원하는 성분의 양의 수집 시점에 프로세스가 정지된다. 성분 채집 시스템의 중심 특징은 처리되었지만 원하지 않는 성분이 공여자에게 반환된다는 것이다. 분리된 혈액 성분은 예를 들어 적혈구와 같은 고밀도 성분, 혈소판 또는 백혈구와 같은 중간 밀도 성분, 및 혈장과 같은 저밀도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현재 이용 가능한 원심 분리기 보울의 몇몇은 혈액 성분 분리 및 혈장 수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난류 및 전단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몇몇 종래 기술의 원심 분리기 보울은 난류 및 전단력(예를 들어, 유출액 스커트와 접촉하는 스피닝 유체에 의해 발생됨)이 보울의 분리 챔버 내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이어서, 분리 챔버 내의 세포의 분리를 방해하고, 노이즈가 있는 보울 광학 신호를 유발하며, 혈장으로부터 세포 분리를 감소시킨다. 부가적으로, 난류 및 전단력은 수집될 혈장 내에 기포 발생을 유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용 코어는 원통형 본체, 레지 및 복수의 리브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원통형 본체는 코어 및 코어의 내부를 형성한다. 레지는 원통형 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코어 내부 내에 위치될 수도 있고, 코어의 내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레지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에 수집 챔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부면을 가질 수도 있다. 리브는 근위 단부에 더 가까운 원통형 본체의 근위부 상에 위치되고 그 둘레에 이격될 수도 있다. 리브는 원통형 본체의 근위 단부 위로 연장되고 유체가 원통형 본체 및 수집 챔버의 내부로 진입하게 하는 유동 경로를 그 사이에 생성할 수도 있다. 복수의 리브는 3개 이상의 리브(예를 들어, 8개의 리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원통형 본체는 레지 아래에 위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부분은 광학 센서를 위한 반사 표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원통형 본체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의 유체를 안정화시킬 수도 있는(예를 들어, 처리 동안) 제2 부분 아래에 위치된 원위부를 가질 수도 있다. 근위부는 레지 위에 위치될 수도 있고,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의 분리 영역으로부터 수집 챔버를 격리시킬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근위부는 수집 챔버 내의 난류 및 전단력이 분리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근위부의 내부벽은 수집 챔버의 측벽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복수의 리브의 각각은 상부면, 저부면 및 외부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면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에 원통형 본체를 고정하기 위해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부분과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저부면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에 코어를 위치시키기 위해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본체 상의 정합 레지와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면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내부면(예를 들어, 보울의 네크부 내의)과 인터페이스하고 코어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사이에 간섭 끼워맞춤을 생성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지의 상부면은 원통형 본체의 원위 단부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질 수도 있다. 레지는 코어의 내부 내의 그리고 레지 아래의 유체가 수집 챔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저부면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레지는 레지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개구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공급 튜브가 레지를 통과할 수 있게 하고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이 정지될 때 수집 챔버 내의 유체가 수집 챔버를 빠져나가게 할 수도 있다. 개구는 원통형 본체와 동축이 되도록 레지의 중심에 위치될 수도 있다. 원통형 본체는 원통형 본체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외경을 가질 수도 있다.
부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용 공급 튜브는 근위부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관형 부재, 및 제1 스커트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관형 부재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입구 포트와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내부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그를 통해 연장하는 유동 경로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스커트 부재는 관형 부재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고, (1) 관형 부재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제1 표면 및 (2) 제1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및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각형성면을 가질 수도 있다. 각형성면은 평활할 수도 있다.
공급 튜브는 제1 표면 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간격 리브(예를 들어, 스커트 부재 둘레에 균등하게 이격된 3개의 리브)를 또한 가질 수도 있다. 간격 리브는 제1 스커트 부재와 제2 스커트 부재 사이에서 연장하는 유체 채널을 생성하기 위해 제2 스커트 부재로부터 제1 스커트 부재를 이격시킬 수도 있다. 제2 스커트 부재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헤더 조립체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간격 리브(들)는 제1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부분, 및 관형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의 코어와 제1 및 제2 스커트는 코어의 근위부의 내경과 제1 및 제2 스커트의 외경 사이의 거리가 최대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유체 채널은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 내의 수집 챔버를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 상의 출구 포트와 유동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공급 튜브는 원위 단부에서 관형 부재에 연결되고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저부를 향해 연장하는 연장 튜브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공급 튜브를 통해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로 진입하는 유체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저부에 더 가깝게 도입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은 원심 분리기 보울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외부 본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외부 본체는 내부 캐비티를 형성하는 메인 본체, 메인 본체에 근위측으로 연장되는 네크부, 및 메인 본체와 네크부를 연결하는 숄더를 가질 수도 있다. 보울은 외부 본체 내에 위치되어 그와 함께 회전 가능한 코어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코어는 (1) 코어 및 코어의 내부를 형성하는 원통형 본체, (2) 레지, 및 (3) 복수의 리브(예를 들어, 8개의 리브)를 가질 수도 있다. 레지는 원통형 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코어 내부 내에 위치될 수도 있고, 코어의 내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레지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에 수집 챔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부면을 가질 수도 있다. 리브는 원통형 본체의 근위 단부에 더 가까운 원통형 본체의 근위부 상에 위치되고 그 둘레에 이격될 수도 있다. 리브는 또한 각각의 리브 사이에 유동 경로를 생성하도록 원통형 본체의 근위 단부 위로 연장할 수도 있다. 유동 경로는 유체가 원통형 본체 및 수집 챔버 내부로 진입되게 한다.
보울은 코어와 외부 본체 사이에 위치된 분리 영역을 또한 가질 수도 있고, 원심 분리기 보울의 회전은 분리 영역 내의 전혈을 제1 혈액 성분 및 제2 혈액 성분으로 분리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보울은 전혈을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로 도입하기 위한 입구 포트,
원심 분리기 보울 외부로 제1 혈액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출구 포트, 공급 튜브 및 회전 밀봉부를 가질 수도 있다. 공급 튜브는 입구 포트에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입구 포트로부터 외부 본체의 저부를 향해 원위측으로 연장할 수도 있고, 전혈을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로 도입할 수도 있다. 회전 밀봉부는, 외부 본체에 부착되고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를 외부 본체에 유동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는 헤더 조립체의 부분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어의 원통형 본체는 레지 아래에 위치된 제2 부분을 가질 수도 있고,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광학 센서를 위한 반사 표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원통형 본체는 제2 부분 아래에 위치되고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의 유체를 안정화하도록 구성된 원위부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통형 본체의 원위부는 분리 영역 내에 혈장층을 안정화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분리 영역 내에서 이후에 분리된 혈장의 내경은 원통형 본체의 원위부와 접촉할 수도 있다.
근위부는 레지 위에 위치될 수도 있고, 분리 영역으로부터 수집 챔버를 격리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근위부는 수집 챔버 내의 난류 및 전단력이 분리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근위부의 내부벽은 수집 챔버의 측벽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복수의 리브의 각각은 상부면, 외부면, 및 저부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상부면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에 원통형 본체를 고정하기 위해 밀봉 크라운의 부분과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외부 본체는 네크부 내에 정합 레지를 가질 수도 있고,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저부면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정합 레지와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에 코어를 위치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브의 외부면은 코어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사이에 간섭 끼워맞춤을 생성하도록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네크부의 내부면과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레지의 상부면은 원통형 본체의 원위 단부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질 수도 있다. 레지의 저부면은 코어의 내부 내의 그리고 레지의 아래의 유체가 수집 챔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레지는 그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급 튜브는 개구를 통해 연장할 수도 있다. 개구는 원통형 본체와 동축이 되도록 레지의 중심에 위치될 수도 있다. 원통형 본체는 원통형 본체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외경을 가질 수도 있다.
공급 튜브는 관형 부재 및 제1 스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관형 부재는 공급 튜브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할 수도 있고, 그를 통해 연장하는 유동 경로를 가질 수도 있다. 유동 경로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입구 포트와 내부 캐비티를 유동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제1 스커트 부재는 관형 부재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제1 스커트는 관형 부재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제1 표면 및 제1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및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각형성면을 가질 수도 있다. 각형성면은 평활할 수도 있다.
부가의 실시예에서, 공급 튜브는 제1 표면 상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간격 리브(예를 들어, 스커트 부재 둘레에 균등하게 이격된 3개의 리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간격 리브(들)는 스커트 부재 사이에서 연장하는 유체 채널을 생성하기 위해 제2 스커트 부재로부터 제1 스커트 부재를 이격시킬 수도 있다. 유체 채널은 수집 챔버와 출구 포트를 유동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제2 스커트 부재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헤더 조립체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간격 리브(들)는 제1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부분, 및 관형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과 제1 및 제2 스커트는 코어벽의 근위부의 내경과 제1 및 제2 스커트의 외경 사이의 거리가 최대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보울은 원위 단부에서 관형 부재에 연결된 연장 튜브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연장 튜브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에 진입하는 유체가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저부에 더 가깝게 도입되도록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저부를 향해 연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즉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혈액 처리 시스템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혈액 처리 시스템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혈액 처리 시스템 내에 설치된 1회용 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시스템과 함께 사용을 위한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네크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에 사용을 위한 공급 튜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에 사용을 위한 코어의 다양한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 처리 중에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에 따른, 대안 코어를 갖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대안 코어의 다양한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다른 대안 코어의 다양한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혈장의 분리 및 수집을 위한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을 제공한다. 보울은 보울 효율을 증가시키고 혈장 내의 기포 발생을 감소시키는 코어 및 공급 튜브를 가질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가 이하에 설명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혈액 처리 시스템(100)은 시스템(100)의 주요 구성요소(예를 들어, 비-1회용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캐비닛(110)을 포함한다. 캐비닛(110) 내에서, 시스템(100)은 피험자로부터 전혈을 흡인하는 제1/혈액 펌프(232), 및 시스템(100)을 통해 그리고 흡인된 전혈 내로 항응고제를 펌핑하는 제2/항응고제 펌프(23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100)은 시스템(100)을 통한 유체 유동을 제어하도록 개방 및/또는 폐쇄될 수도 있는 다수의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은 공여자 라인(218)(예를 들어, 입구 라인; 도 3)을 통한 유체 유동을 선택적으로 방지 및 허용하도록 개방 및 폐쇄될 수도 있는 공여자 밸브(120), 및 출구/혈장 라인(222)(도 3)을 통한 유체 유동을 선택적으로 방지 및 허용하는 혈장 밸브(1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는 식염수 라인(223)을 통해 식염수가 유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 및 허용하는 식염수 밸브(135)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1회용 세트의 연결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대응 유체 용기를 지지하기 위해, 시스템(100)은 항응고제 용액 용기(210)(도 3)가 현수될 수도 있는 항응고제 기둥(150), 및 식염수 용액 용기(217)(도 3)가 현수될 수도 있는(예를 들어, 수행되는 절차가 식염수의 사용을 요구하면) 식염수 기둥(16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적용에서, 처리를 위해 피험자로부터 흡인된 전혈을 필터링하는 것이 필요하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100)은 혈액 필터(1회용 세트에 위치됨)가 배치될 수도 있는 혈액 필터 홀더(1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분 채집 시스템(100)은 혈액 펌프(232)를 사용하여 정맥 액세스 디바이스(206)(도 3)를 통해 피험자로부터 전혈을 추출한다. 시스템(100)이 피험자로부터 전혈을 추출함에 따라, 전혈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300)과 같은(레이섬형(Latham type) 원심 분리기 또는 다른 유형의 분리 챔버 및 디바이스가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 혈액 성분 분리 디바이스(214)에 진입한다. 혈액 성분 분리 디바이스(214)는 전혈을 그 구성 성분(예를 들어, 적혈구, 백혈구, 혈장 및 혈소판)으로 분리한다. 이에 따라, 분리 디바이스(214)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시스템(100)은, 분리 디바이스(214)가 배치될 수도 있고 분리 디바이스(214)가 회전하는(예를 들어, 전혈을 분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원심력을 발생하기 위해) 우물(180)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기술자가 시스템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절차의 다양한 파라미터를 제어/설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시스템(100)은 동작 파라미터, 임의의 경보 메시지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90)(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디바이스), 및 사용자/기술자가 다양한 파라미터를 제어하기 위해 누를 수도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혈액 처리 시스템(100)의 부가의 구성요소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예를 들어, 시스템 동작과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처리 시스템(100) 및 혈액 처리 시스템(100) 상에/내에 로딩될 수도 있는 1회용 수집 세트(200)(입구 1회용 세트(200A) 및 출구 1회용 세트(200B)를 가짐)의 개략 블록도이다. 수집 세트(200)는 공여자의 팔(208)로부터 혈액을 추출하기 위한 정맥 액세스 디바이스(206)(예로서, 정맥 절개 바늘), 항응고제의 용기(210), 원심 분리 보울(300)(예를 들어, 혈액 성분 분리 디바이스), 식염수 용기(217), 및 최종 혈장 수집 백(216)을 포함한다. 혈액/입구 라인(218)은 정맥 액세스 디바이스(206)를 보울(300)의 입구 포트(330)에 결합하고, 혈장/출구 라인(222)은 보울(300)의 출구 포트(340)를 혈장 수집 백(216)에 결합하고, 식염수 라인(223)은 보울(300)의 출구 포트(340)를 식염수 용기(217)에 연결한다. 항응고제 라인(225)은 항응고제 용기(210)를 입구 라인(218)에 연결한다. 전술되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에 추가하여, 혈액 처리 시스템(100)은 제어기(226), 모터(228) 및 원심 분리기 척(230)을 포함한다. 제어기(226)는 2개의 펌프(232, 234) 및 모터(228)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는 이어서 척(230)을 구동한다. 제어기(22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9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동작시에, 1회용 수집 세트(200)(예를 들어, 입구 1회용 세트(200A) 및 출구 1회용 세트(200B))는 혈액 처리 전에 혈액 처리 시스템(100) 상에/내에 로딩될 수도 있다. 특히, 혈액/입구 라인(218)은 혈액/제1 펌프(232)를 통해 유도되고, 항응고제 용기(210)로부터의 항응고제 라인(225)은 항응고제/제2 펌프(234)를 통해 유도된다. 원심 분리 보울(300)은 이어서 척(230) 내에 단단히 로딩될 수도 있다. 일단 보울(300)이 제자리에 고정되면, 기술자는 출구 1회용 세트(200B)를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술자는 보울 커넥터를 보울(300)의 출구(340)에 연결하고, 혈장 용기(216)를 중량 센서(195)에 설치하고, 식염수 라인(223)을 밸브(135)를 통해 연장시키고, 혈장/출구 라인(222)을 밸브(130) 및 라인 센서(185)를 통해 연장시킬 수도 있다. 일단 1회용 세트(200)가 설치되고 항응고제 및 식염수 용기(210/217)가 연결되면, 시스템(100)은 혈액 처리를 시작할 준비가 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보울(300)의 숄더부에 적용될 수도 있는 광학 센서(213)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광학 센서는 혈액 성분의 보울(300)의 외부벽으로부터 코어를 향해 점진적으로 동축으로 전진함에 따라 혈액 성분의 각각의 층을 모니터링한다. 광학 센서(213)는 특정 반경에 도달하는 백혈구 연층(buffy coat) 및/또는 적혈구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예를 들어, 우물(180) 내)에 장착될 수도 있고,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검출에 응답하여 혈장 분리 교환술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전술된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 원심 분리기 보울(300)(예를 들어,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보울(300)은 보울(300)의 구조를 형성하는 외부 본체(310) 및 전혈이 처리를 위해 도입될 수도 있는 내부 체적(320)을 갖는다. 외부 본체(310)는 이어서, 메인 벽(312), 네크부(316), 및 메인 벽(312)과 네크부(316)를 연결하는 숄더부(314)를 포함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보울(300)은 전혈을 그 다양한 성분(예를 들어, 혈장, 적혈구 등)으로 분리하기 위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보울(300)은 전혈이 보울(300) 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하는 입구(330) 및 혈장(또는 다른 혈액 성분)이 보울(300)로부터 추출될 수 있게 하는 출구 포트(340)를 가질 수도 있다. 입구(330) 및 출구(340)가 보울 회전 중에 고정 상태로 유지되게 하기 위해,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심 분리기 보울(300)은 포트(예를 들어, 입구(330) 및 출구(340))를 보울(300)의 외부 본체(310)에 연결하는 회전 밀봉부(3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회전 밀봉부(350)는 2개의 링(예를 들어, 세라믹 링(351A) 및 탄소 링(351B))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링(예를 들어, 세라믹 링(351A))이 밀봉 크라운(356)에 부착되고, 밀봉 크라운은 이어서 외부 본체(310)에 부착된다. 회전 밀봉부(350)는 입구(330) 및 출구(340)가 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보울(300)(및 내부 내의 코어(500),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됨)이 스피닝할 수 있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울(300)의 저부 부근에 전혈을 도입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보울(300)은 보울(300)의 헤더 조립체(355)로부터 보울(300)의 내부(320) 내로 연장하는 공급 튜브(4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급 튜브(400)는 전혈이 공급 튜브(400)를 통해 유동하게 하도록 그를 통해 연장하는 유동 경로(420)를 갖는 관형 부재(410)를 포함한다. 관형 부재(410)의 일 단부(예를 들어, 근위 단부(412)) 및 유동 경로(420)는 입구 포트(330)에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관형 부재(410)의 원위 단부(414)에서, 공급 튜브(400)는, 관형 부재(410)로부터 코어(500)(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됨)를 통해 보울(300)의 저부를 향해 연장하는(예를 들어, 공급 튜브(400)를 통해 유동하는 액체가 보울 본체(310)의 베이스(313)에서 배출되도록) 연장 튜브(430)를 갖는다.
관형 부재(410)의 원위 단부(414)에 근접하여, 공급 튜브(400)는 관형 부재(410)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스커트(440)를 갖는다. 예를 들어, 스커트(440)는 제1 부분(442)의 표면 중 하나 이상(예를 들어, 상부면(443))이 관형 부재(410)의 종축에 수직이 되도록 관형 부재(410)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442)을 갖는다. 제1 부분(442)으로부터 연장하여, 스커트(440)는 각형성부(444)의 상부면(445)이 하향으로 각형성되도록(예를 들어, 관형 부재(410)의 종축에 수직이 아님) 제1 부분(442)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및 하향/원위측의 모두로 연장하는 각형성부(444)를 가질 수도 있다. 각형성부(444)는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각도를 가질 수도 있거나, 각도는 각형성부(444)의 길이를 따라 점진적으로 또는 단차식 방식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보울(300)의 헤더 조립체(355) 상의 스커트(440) 및 제2 스커트/디스크(360)는 수집 챔버(530)(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됨) 내의 혈액 성분이 보울(300)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출구(340)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유출액 채널(36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출액 채널(362)을 생성하기 위해, 스커트(440)는 공급 튜브(400) 상의 스커트(440)와 헤더 조립체(355) 상의 스커트(360) 사이의 분리를 유지하는(예를 들어, 유체가 스커트(440/360) 사이에서 유동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예를 들어, 3개의) 간격 리브(460)를 가질 수도 있다. 간격 리브(460)는 제1 부분(442)의 상부면(443) 바로 위에 위치될 수도 있고, 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간격 리브(460)는 상부면(443)을 따라 관형 부재(410)의 외부면 위로 연장할 수도 있다. 도 7은 관형 부재(410) 및 상부면(443) 둘레에 균등하게 이격된 3개의 간격 리브(460)를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3개 초과 또는 미만의 간격의 리브(460)를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간격 리브(460)는 관형 부재(410) 및 상부면(443) 둘레에 균등하게 이격되지 않을 수도 있다(예를 들어, 이들은 불규칙하게 이격될 수도 있음).
전술된 바와 같이, 보울(300)(입구(330) 및 출구(340)를 포함함)의 헤더 조립체(355)는 보울(300)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공급 튜브(400)는 헤더 조립체(355)에 연결되기 때문에, 이는 유사하게 보울(300)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출액 채널(362)을 통한 혈장의 수집 중에, 고정 스커트(360/440)(예를 들어, 유출액 채널을 생성함)는 스피닝하는 혈장 성분에 전단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는 이어서 기포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평활한 각형성부(444)/각형성면(445)을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단력을 감소시키고 이어서 혈장 내의 기포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간격 리브(460)가 유출액 채널(362)의 더 아래에 위치되고 유체/혈장의 회전 속도가 리브(460)에 도달할 때 저하되었기 때문에, 간격 리브(460)는 상당한 전단력/난류를 부여하지 않는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몇몇 실시예에서, 각형성부(444)의 단부(446)(예를 들어, 스커트(440)의 최외측 부분)는 라운딩되고, 모따기될 수도 있거나, 전단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고 그리고/또는 유체가 유출액 채널(362)에 진입하는 것을 돕는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보울(300)의 내부 내에 위치된 코어(500)를 포함한다.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코어(500)는 코어(500)의 전체 구조를 형성하는 원통형 본체(5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원통형 본체(510)의 내부 내에서, 코어(500)는 원통형 본체(510)의 내부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하는 레지(520)를 포함한다. 레지(520) 위에 위치된 원통형 본체(510)의 부분(예를 들어, 근위부(512)) 및 레지(520)는 코어(500)의 내부 내에 수집 챔버(530)를 형성하고, 이 수집 챔버 내에는 유출액 채널(362)(스커트(360/440)에 의해 형성됨)이 위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혈장이 수집 챔버(530)로부터 추출될 수도 있도록). 이를 위해, 근위부(512)의 내부면(514)(예를 들어, 근위부(512)에 의해 형성된 벽)은 수집 챔버(530)의 외부 경계를 확립한다. 레지(520)(예를 들어, 레지(520)의 상부면(522))는 수집 챔버(530)의 하부 경계를 확립하고 유입 혈장이 자체로 확립할 표면을 생성한다. 레지(520)(예를 들어, 레지(520)의 저부면(526))는 또한 보울(300) 내의 그리고 코어(500) 아래의 유체가 수집 챔버(530)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집 챔버(530)를 형성하는 것에 추가하여, 코어(500)의 근위부(512)는 또한 보울(300) 내의 분리 챔버(325)로부터 수집 챔버(530)를 격리하는 것을 돕는다(예를 들어, 분리 챔버(325)로부터의 유체가 수집 챔버(530)에 도달하기 위해 근위부(512)의 벽 위로 그리고 그에 걸쳐 유동해야 하기 때문에). 분리 챔버(325)로부터 수집 챔버(530)를 격리함으로써, 근위부(512)는 고정 스커트(360/440)와 접촉하는 수집 챔버(530) 내의 스피닝하는 유체(예를 들어, 혈장)에 의해 생성되는 방해력(예를 들어, 전단력, 난류력 등)이 분리 챔버(325)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들 힘이 분리 챔버(325)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더 기밀하게 패킹된 세포층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이는 그렇지 않으면 분리 챔버(325)에 도달하는 난류에 의해 방해될 것임). 이는 이어서 수집 효율을 증가시키고 광학 센서(213)로부터의 신호가 더 클린하고 더 일관적인 것을 보장한다(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됨).
광학 센서(213) 신호를 개선하고 세포층이 더 기밀하게 패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에 추가하여, 벽(예를 들어, 근위부(512))은 또한 다수의 방식으로 혈장 내의 기포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근위부(512)가 수집 챔버(530)와 분리 챔버(325)를 격리시키기 때문에, 유체(예를 들어, 혈장)는 시스템(100) 내의 유량이 감소하거나 정지할 때(예를 들어, 시스템(100)에 의한 전혈 펌프(232) 조절로 인해) 수집 챔버(530) 내에 체류한다. 이는 이어서, 스커트(360/440)(및 유출액 채널(362))가 습윤된 상태로 유지되는 레벨로 수집 챔버(530)를 충전 유지하고, 공기가 혈장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가적으로, 근위부(512)는 수집 챔버(530) 내에서 근위부(512)의 내부벽 상에 안정한 유체층(수집 챔버(530)에 진입하는 제1 체적의 혈장으로 구성됨)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이 안정한 유체층은 수집 스커트(360/440)의 진입점 아래에 존재하고 새로운 혈장이 상부에 "올라타서" 수집 스커트(예를 들어, 유출액 채널(362))를 통해 신속하게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새로운/유입 유체를 안정화하는 것을 돕는다. 이는 새로운/유입 유체와 공기의 혼합을 최소화하고, 기포 발생을 감소시키며, 라인 센서(185) 신호를 개선한다(이는 시스템(100)이 보울(300)을 빠져나가는 세포 함량의 변화를 더 정확하게 검출하게 하고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킴).
레지(520)의 장소는 보울(300)에서 기포 발생의 양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레지(520)가 코어(500) 내에 너무 높게 배치되면, 스피닝 코어(500)는 비이동 스커트(360/440)에 더 가깝게 위치될 것이다. 이는 이어서, 증가된 전단력 및 기포 발생을 야기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레지(520)가 너무 낮게 위치되면, 수집 챔버(530)에 진입하는 혈장은 레지(520)에 더 큰 적하를 가질 것이고, 이는 혈장이 레지(520) 상에 더 세게 "충돌"하게 하고 수집 챔버(530) 내의 난류 및 기포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레지(520)가 레지(520)와 비이동 스커트(360/440) 사이에 생성된 전단력 및 난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이동 스커트(360/440)로부터 충분히 멀지만, 혈장이 레지(520) 상에 "충돌"하게 너무 멀리는 아니게 위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완전 비스피닝 보울(300)의 유체 충전 레벨보다 낮게 배치된 레지(520)는 반환의 시작 중에 수집 챔버(530)의 표면이 적혈구 내에 침지되게 할 수도 있고, 그리고 보울(300)이 완전히 배수된 후에 수집 챔버(530)에 진입할 때 후속 사이클의 혈장에 의해 취출될 수 있는 잔류 적혈구가 여전히 코어의 내부면(예를 들어, 근위벽(512)의 표면 및 레지(520)의 상부면(522) 상에)에 남아 있을 수 있다.
근위부(512)(예를 들어, 벽)는 또한 흡인 사이클이 완료될 때(예를 들어, 전혈 펌프(232)가 정지하고 원심 분리기(예를 들어, 모터(228) 및 척(230))가 감속할 때) 분리 챔버(325) 내의 적혈구가 수집 챔버(530)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보울(300)이 감속함에 따라, 보울(300)의 혈액 성분에 대해 감소하는 원심력이 존재하고, 이와 같이 세포층 내로의 혈액의 분리가 손실될 것이다. 따라서, 보울 본체(310)의 외부로 미리 패킹되었던 적혈구 및 다른 세포는 분리 챔버(325) 내에 여전히 존재하는 혈장과 혼합될 수도 있다. 코어벽의 근위부(512)는 분리 챔버(325)로의 혈장과 세포 성분의 이러한 혼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수집 챔버(530) 내로의 분리 챔버(325)로부터의 세포의 진입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는 보울(300)이 감속될 때에도 수집 챔버(530) 내의 혈장이 적혈구(및 다른 성분)와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보울(300)이 완전히 배수될 때, 잠재적으로 적은 적혈구 및 다른 성분이 코어의 내부 부분 상에(예를 들어, 레지(520)의 근위벽(512) 및 상부면(522) 상에) 잔류물로서 남아 있어, 적은 세포가 후속 사이클의 진입 혈장에 의해 취출되게 된다. 따라서, 혈장 분리 교환술 중에(예를 들어, 사이클 사이에) 부주의하게 수집된 적혈구의 양이 상당히 감소된다.
레지(520) 아래에 위치된 원통형 본체(510)의 부분(예를 들어, 부분(516))은 광학 센서(213)를 위한 반사 표면을 제공한다. 달리 말하면, 처리 중에, 보울 상의 광학 센서(213)는 보울 내에 광을 비출 것이고 센서(213)로 다시 투과/반사량은 보울(300) 내의 재료층 장소의 지시를 제공한다. 레지(520) 아래의 코어(500)의 부분(516)은 광이 센서(213)로부터 그리고 그를 향해 다시 반사되는 표면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코어(500)는 혈장이 포획될 수도 있는(예를 들어, 유체가 스커트의 직경까지 충전되고 스피닝 보울(300)에 의해 생성된 원심력에 대항하여 유동할 수 없기 때문에)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그 길이를 따라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예를 들어, 리브(540)를 제외하고, 코어(500)는 평활한/수직 외부면(513)을 가질 수도 있음). 부가적으로, 임의의 돌출부의 직경이 스커트(360/440)보다 작으면, 돌출부는 또한 공기가 포획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포획된 공기가 반사 경로 내에 있는 경우 광학 신호의 방해를 유발한다.
도 8c 내지 도 8e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지(520)는 그 중심을 통해 연장하는 개구(524)(예를 들어, 구멍)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개구(524)는 공급 튜브(400)의 연장 튜브(430)가 코어(500) 및 레지(520)를 통과하게 하고, 처리 및 혈장 수집의 종료시에 수집 챔버(530) 내에 남아 있는 유체가 그를 통해 수집 챔버(530)를 빠져나가고 보울(300)의 저부로 배수될 수도 있어, 예를 들어 유체가 환자로 반환되거나 개별 수집 용기로 송출될 수 있게 하는 개구를 제공한다. 배수를 보조하고 수집 챔버(530) 내의 유체 보유를 최소화하기 위해, 레지(520)는 상부면(522)이 개구(524)를 향해 경사지도록 코어(500)의 저부를 향해 원위측으로(예를 들어, 하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보울(300)의 내부 내에 코어(500)를 위치시켜 고정하기 위해, 코어(500)는 코어(500)의 근위 단부(예를 들어, 상부) 부근에 다수의 리브(540)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브(540)의 저부면(542)은 보울 본체(310) 상의 정합 레지(317)(도 5 및 도 6)와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고, 리브(540)의 외부면(544)은 보울(300)/보울 본체(310)의 네크부(316)의 내부면(318)과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브(540)의 외부면(544)과 네크부(316)의 내부면(318)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보울(300)/보울 본체(310)와 코어(500) 사이에 간섭 끼워맞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코어(500)를 보울(300) 내에 제자리에 더 유지하고 보울(300) 내의 코어(500)의 수직 장소를 유지하기 위해, 리브(540)의 상부면(546)은 또한 헤더 조립체(355) 상의 밀봉 크라운(356)과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리브(540)는 코어의 원통형 본체(510)의 근위 단부(예를 들어, 상부)를 지나 근위측으로(상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고 원통형 본체(510)의 직경 주위로 이격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리브(540)는 유체가 근위부(512)를 통해, 리브(540) 사이에서 수집 챔버(530) 내로 유동하게 하는 유동 채널(550)을 그 사이에 생성한다. 도 8a 내지 도 8e는 코어(500) 둘레에 균등하게 이격된 8개의 리브(540)를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8개 초과 또는 미만의 리브(540)를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리브(540)는 코어(500) 둘레에 균등하게 이격되지 않을 수도 있다(예를 들어, 이들은 불규칙하게 이격될 수도 있음).
보울(300) 내의 코어(500)의 크기설정 및 위치설정은 코어(500)(처리 중에 스피닝함)와 스커트(360/440)(고정되어 있음) 사이에 생성된 전단력의 양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생성되는 전단력의 양(그 결과, 혈장 내의 기포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코어(500)의 내부면(514)과 스커트(360/440)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할 수도 있다. 이는 다수의 방식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보울(300)의 벽의 두께는 네크부(316)에서 감소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네크부(316)의 내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는 코어(500)가 더 넓어지게 하고, 따라서 코어(500)와 스커트(360/440)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게 한다. 부가적으로, 이 방식으로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보울(300)의 다른 양태(예를 들어, 보울(300)의 전체 외부 형상 및 치수, 보울 본체 용접부의 장소, 광학 신호 전송의 장소 등)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도 있고, 보울(300)은 여전히 기존의 혈장 분리 교환술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 중에 그리고 라인(222/223)이 연결되고 보울(300)이 시스템(100) 내에 설치된 후에, 사용자/기술자는 정맥 액세스 디바이스(206)를 공여자의 팔(208)에 삽입할 수도 있고 제어기(226)는 2개의 펌프(232, 234) 및 모터(228)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2개의 펌프(232, 234)의 동작은 전혈이 공여자로부터 흡인되게 하고, 용기(210)로부터의 항응고제가 흡인된 전혈 내로 도입되게 하고, 이제 항응고된 전혈이 보울(300)의 입구 포트(330)로 전달되게 한다.
항응고제 라인(225)은 항응고제 소스(210), 항응고제 또는 항응고제 라인(225) 내의 임의의 박테리아가 시스템(100) 및/또는 피험자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박테리아 필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항응고제 라인(225)은 항응고제 내의 공기의 존재를 검출하는 공기 검출기(1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임의의 시스템(100) 라인 내의 공기 기포의 존재는 시스템(100)의 동작에 문제가 될 수 있고 또한 공기 기포가 혈액 스트림에 진입하면 피험자에게 해로울 수도 있다. 따라서, 공기 검출기는 공기 기포가 검출되는 경우 항응고제 라인(225) 내의 유동을 정지시키는(예를 들어, 항응고제 펌프(234)를 정지시킴으로써) 인터로크에 연결될 수도 있어, 이에 의해 공기 기포가 피험자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항응고된 전혈은 피험자로부터 추출되어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300) 내로 도입된다. 전혈은 공급 튜브(400) 및 연장 튜브(430)를 통해 보울(300)의 저부(313) 부근에서 보울(300) 내로 유동할 것이다. 보울 회전에 의해 야기되는 원심력은 전혈이 보울(300)의 외부벽(312)을 향해 이동하게 할 것이고, 혈액 성분 분리 디바이스(214)(예를 들어, 보울(300))는 전혈을 다수의 혈액 성분으로 분리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보울(300)은 전혈을 제1, 제2, 제3, 및 가능하게는 제4 혈액 성분으로 분리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보울(300)(및 보울(300)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원심력)은 전혈을 혈장, 혈소판, 적혈구("RBC") 및 가능하게는 백혈구("WBC")로 분리할 수 있다. 더 고밀도 성분, 즉 RBC(580)는 보울(300)의 외부벽으로 강제 이동되고, 반면 더 저밀도 혈장(590)은 코어(500)에 더 가깝게 놓인다. 백혈구 연층(585)이 혈장과 RBC 사이에 형성된다. 백혈구 연층(585)은 혈소판의 내부층, 혈소판과 WBC의 전이층 및 WBC의 외부층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간략히 전술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보울(300)의 숄더부(314)에 적용될 수도 있는 광학 센서(213)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광학 센서(213)는 혈액 성분의 보울(300)의 외부벽으로부터 코어를 향해 점진적으로 동축으로 전진함에 따라 혈액 성분의 각각의 층을 모니터링한다. 광학 센서(213)는 특정 반경에 도달하는 백혈구 연층 및/또는 적혈구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예를 들어, 우물(180) 내)에 장착될 수도 있고, 피험자/공여자로부터 전혈을 흡인하는 단계 및 전혈을 보울(300) 내에 도입하는 단계는 검출에 응답하여 변경 및/또는 종료될 수도 있다.
일단 보울(300)이 혈액을 다양한 성분(예를 들어, 적혈구(580) 및 혈장(590), 도 9a 및 도 9b)로 분리하면, 성분 중 하나 이상은 보울(3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의 항응고된 전혈이 보울(300)에 진입하면, 혈장(590)은 코어(500)의 근위부(512)에 걸쳐 수집 챔버(530) 내로 유동할 때까지 코어(500)를 향해 더 내향으로 강제 이동될 것이다. 수집 챔버(530)가 수집 챔버(530) 내의 혈장이 스커트(360/440) 및 유출액 채널(362)(도 9a 및 도 9b)과 충분히 접촉하도록 혈장으로 충전될 때, 혈장은 유출액 채널(362) 및 출구(340)를 통해 보울(300)을 빠져나가기 시작할 것이다. 일단 보울(300)에서 나오면, 혈장은 라인(222)을 통해 혈장 수집 용기(216)로 유동할 것이다. 시스템(100)의 몇몇 실시예는 수집된 혈장의 양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195)(도 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혈장 수집 프로세스는 타겟 또는 미리 결정된 체적의 혈장이 혈장 수집 용기(216) 내에 수집될 때까지 계속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보울(300)을 빠져나가는 유체의 유형(예를 들어, 혈장, 혈소판, 적혈구 등)을 결정할 수 있는 라인 센서(185)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라인 센서(185)는 보울(300)을 떠나는 혈액 성분을 통해 광을 방출하는 LED와 성분을 통과한 후 광을 수신하는 광 검출기로 구성된다. 광 검출기에 의해 수신되는 광의 양은 라인을 통과하는 유체의 밀도와 상관된다. 예를 들어, 혈장이 보울(300)을 빠져나가면, 라인 센서(185)는 보울(300)을 빠져나가는 혈장이 혈소판으로 탁해지게 되는 때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예를 들어, 보울(300)에 존재하는 유체가 혈장으로부터 혈소판으로 변화하고 있음). 시스템(100)은 이어서 보울(300)로부터 혈액 성분의 제거를 정지하고, 피험자로부터 전혈을 흡인하는 것을 정지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하나의 밸브를 폐쇄하고 다른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유동을 재지향하기 위해 이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단 시스템(100)이 혈장 수집 용기(216) 내에 타겟 체적의 혈장을 수집하였거나 또는 보울(300)이 적혈구로 가득 차면, 시스템(100)은 나머지 성분(예를 들어, 보울(300) 내에 남아 있는 성분)을 피험자에게 반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혈장이 제거되고 보울(300)이 RBC(및 수집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혈액 성분)로 가득 차면, 제어기(226)는 피험자로부터의 전혈의 흡인을 정지하고 보울(300)을 감속시키고 그리고/또는 정지시킨다. 보울(300)이 감속 및/또는 정지됨에 따라, 수집 챔버(530) 내에 남아 있는 유체는 레지(520) 내의 개구(524)를 통해 수집 챔버(530) 외부로 배수될 것이다. 시스템(100)/제어기(226)는 이어서 보울(300)로부터 RBC(및 다른 성분)를 흡인하여 이들을 피험자에게 다시 송출하기 위해 혈액/제1 펌프(232)의 방향을 역전시킬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시스템(100)이 이와 같이 장착되면, 시스템(100)은 전용 반환 라인을 통해 피험자에게 성분을 반환할 수도 있다.
수집되지 않은 혈액 성분(예를 들어, 보울(300)에 남아 있는 성분)에 추가하여, 시스템(100)은 또한 환자/피험자에게 식염수를 반환할 수도 있다. 식염수는 제거 및 수집된 혈액 성분(예로서, 혈장)의 체적을 보충하기 위한 보상 유체로서 사용될 수도 있고, 환자에게 반환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반환 단계 중에, 식염수 용기(217)로부터의 식염수가 식염수 라인(223)을 통해 보울(300) 내로(출구(340)를 통해) 유동하게 하도록 식염수 밸브(135)가 개방될 수도 있고, 보울에서 식염수는 남아 있는 혈액 성분과 함께 또는 이후에 환자/공여자에게 반환될 수 있다. 부가의 혈장 수집 사이클이 수행되어야 하면(예를 들어, 이미 수집된 혈장의 체적이 타겟/미리 결정된 체적과 동일하지 않으면), 시스템(100)은 피험자로부터 전혈을 추출하기 위해 혈액/제1 펌프(232)를 다시 한번 시동할 수도 있고, 시스템(100)은 타겟 체적의 혈장이 수집될 때까지 상기 프로세스를 반복할 수도 있다.
도 10은 코어(예를 들어, "긴" 코어(600))의 대안 실시예를 갖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3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대안 코어(600)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되어 있는 코어(500)와 같은 "긴" 코어(600)는 코어(600)의 전체 구조를 형성하는 원통형 본체(610), 및 원통형 본체(610)의 내부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하는 레지(520)를 갖는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되어 있는 코어(500)와 마찬가지로, 레지(520) 위에 위치된 본체(610)의 근위부(612)(예를 들어, 근위부(612)의 내부면(614)) 및 레지(520)는 수집 챔버(530)를 형성한다. 코어(600)는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보울(300) 내에 코어(600)를 위치시키고 고정시키는 다수의 리브(640)를 또한 갖는다. 예를 들어, 리브(640)의 저부면(642)은 보울 본체(310) 상의 정합 레지(317)(도 10)와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고, 리브(640)의 외부면(644)은 보울(300)의 네크부(316)의 내부면(318)과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고, 리브(640)의 상부면(646)은 헤더 조립체(355) 상의 밀봉 크라운(356)과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보울(300) 내의 수직 장소를 유지하기 위해). 리브(640) 사이의 공간은 또한 유체가 리브(640) 사이에서 수집 챔버(530) 내로 유동하게 하는 유동 채널(650)을 생성한다.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되어 있는 코어(500)와 달리, 레지(520) 아래의 긴 코어(600) 실시예의 부분은 상당히 더 길고 보울(300) 내로 더 하향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레지(520) 바로 아래에서, 코어(600)는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되어 있는 코어(500)의 부분(516)에 대해 전술된 것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간부(6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중간부(615)는 광학 센서(213)를 위한 반사 표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중간부(615) 바로 아래에서, 코어(600)는 보울(300) 내로 더 하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된 원위부(616)를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이러한 긴 코어(600)는 코어의 짧은 버전에 비해 몇몇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처리 중에, 유체는 수집 챔버(530) 및 레지(520) 아래의 공간 및 부분(516)의 벽 내부에 포획되게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보울(300) 내로 더 연장하고 보울(300)의 내부 내에서 더 큰 체적을 점유함으로써, 긴 코어(600)의 연장된 원위부(616)는 유체/혈장의 일부가 포획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데, 이는 더 많은 혈장이 보울을 빠져나오게 하고 수집 효율을 증가시킨다. 연장된 원위부(616)는 비교적 얇은 벽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수집 챔버(530) 아래에서 더 큰 체적을 점유하도록 두꺼운 벽의 연장된 원위부(616)(수집 챔버(530) 아래)를 가질 수도 있는데, 이는 훨씬 더욱 더 많은 유체/혈장이 포획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코어(600)는 유체가 코어(600)의 원위부 내부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장/원위부(616)의 저부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하는 제2 레지(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가질 수도 있다.
긴 코어(600)의 연장된 원위부(616)는 또한 분리 챔버(325) 내의 혈장층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전혈이 그 다양한 성분으로 분리됨에 따라, 혈장은 보울(300)의 중심에 가장 가깝게(예를 들어, 코어(500/600)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다. 긴 코어(600)의 연장된 원위부(616)는 공기 실린더(예를 들어, 혈액 성분보다는 공기에 의해 점유된 혈장층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의 영역)에 대향하여, 혈장에 대한 중실 접촉 표면(코어(600)와 동일한 속도로 스피닝하는)을 제공한다. 혈장에 중실 접촉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긴 코어(600)의 연장된 원위부(616)는 수집 챔버(530)로부터 분리 챔버(325) 내로 전파되는 임의의 난류 또는 전단력을 확산시키는 것을 돕는다. 더욱이, 성분층을 안정화하고 임의의 난류 또는 전단력을 확산시킴으로써, 긴 코어(600)는 수집 효율 및 수집된 혈장의 품질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예를 들어, 더 적은 세포 성분이 혈장과 혼합됨).
전술된 코어(500/600)는 보울(300) 내에 코어(500/600)를 위치시키는 다수의 리브(540/640)를 갖지만,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300)의 다른 실시예는 상이한 구조를 갖는 코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코어(예를 들어, 코어(700))의 몇몇 실시예는 코어(700)의 관형 본체(710)와 동심인 링(740)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540/640)의 다양한 표면과 유사한 방식으로, 링(740)의 저부면(742)은 보울 본체(310)의 정합 레지(317)와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고, 링(740)의 외부면(744)은 보울(300)의 네크부(316)의 내부면(318)과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고, 링(740)의 상부면(746)은 헤더 조립체(355) 상의 밀봉 크라운(356)과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유체/혈장이 링(740)과 관형 본체(710) 사이를 통과하게 하기 위해(예를 들어, 이것이 근위부(712) 위로 그리고 그에 걸쳐 수집 챔버(530) 내로 유동할 수도 있도록), 코어(700)는 관형 본체(712) 둘레에 이격된 스페이서(75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페이서(755)는 관형 본체(710)로부터 링(740)을 이격시키고 링(740)과 관형 본체(710) 사이에 유동 경로(750)를 제공한다. 링(740)은 코어의 "긴" 버전에 도시되어 있지만, 링(740)은 또한 더 짧은 코어(예를 들어,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또는 긴 코어 버전과 짧은 코어 버전 사이의 길이를 갖는 코어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전술된 다양한 실시예는 혈장을 수집하는 혈액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은 임의의 유형의 혈액 처리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징은 적혈구, 혈소판 및/또는 백혈구를 수집 및/또는 처리하는 혈액 처리 시스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이도록 의도되고; 수많은 변형 및 수정이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모든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임의의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Claims (52)

  1.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용 코어이며,
    코어 및 코어의 내부를 형성하는 원통형 본체;
    원통형 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코어의 내부 내에 위치된 레지로서, 레지는 코어의 내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하고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에 수집 챔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부면을 갖는, 레지; 및
    원통형 본체의 근위부 상에 위치되고 그 둘레에 이격된 복수의 리브로서, 복수의 리브는 원통형 본체의 근위 단부 위로 연장하여, 이에 의해 복수의 리브의 각각 사이에 유동 경로를 생성하고, 유동 경로는 유체가 원통형 본체와 수집 챔버의 내부에 진입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코어.
  2.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 본체는 레지 아래에 위치된 제2 부분을 갖고,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광학 센서를 위한 반사 표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코어.
  3. 제2항에 있어서, 원통형 본체는 제2 부분 아래에 위치된 원위부를 갖고, 원위부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의 유체를 안정화하도록 구성되는, 코어.
  4. 제1항에 있어서, 근위부는 레지 위에 위치되고, 근위부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의 분리 영역으로부터 수집 챔버를 격리하도록 구성되는, 코어.
  5. 제4항에 있어서, 근위부는 수집 챔버 내의 난류 및 전단력이 분리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코어.
  6. 제4항에 있어서, 근위부의 내부벽은 수집 챔버의 측벽을 형성하는, 코어.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브의 각각은 상부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면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에 원통형 본체를 고정하기 위해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부분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되는, 코어.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브의 각각은 저부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저부면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본체 상의 정합 레지와 인터페이스하여, 이에 의해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에 코어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코어.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브의 각각은 외부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면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내부면과 인터페이스하고 코어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사이에 간섭 끼워맞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코어.
  10. 제9항에 있어서,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내부면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네크부 내에 있는, 코어.
  11. 제1항에 있어서, 레지의 상부면은 원통형 본체의 원위 단부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는, 코어.
  12. 제1항에 있어서, 레지는 저부면을 포함하고, 레지의 저부면은 코어의 내부 내의 그리고 레지의 아래의 유체가 수집 챔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코어.
  13. 제1항에 있어서, 레지는 그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개구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공급 튜브가 레지를 통과할 수 있게 하고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이 정지될 때 수집 챔버 내의 유체가 수집 챔버를 빠져나가게 하도록 구성되는, 코어.
  14. 제13항에 있어서, 개구는 원통형 본체와 동축이 되도록 레지의 중심에 위치되는, 코어.
  15.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 본체는 원통형 본체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외경을 갖는, 코어.
  1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브는 3개 이상의 리브를 포함하는, 코어.
  17.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브는 8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코어.
  18.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용 공급 튜브이며,
    근위부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관형 부재로서, 관형 부재는 그를 통해 연장하는 유동 경로를 갖고, 유동 경로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입구 포트와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내부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관형 부재; 및
    관형 부재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제1 스커트 부재로서, 제1 스커트 부재는 관형 부재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제1 표면 및 제1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및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각형성면을 갖고, 각형성면은 평활한, 제1 스커트 부재를 포함하는, 공급 튜브.
  19. 제18항에 있어서,
    제1 표면 상에 위치되고 제2 스커트 부재로부터 제1 스커트 부재를 이격시켜, 이에 의해 제1 스커트 부재와 제2 스커트 부재 사이에서 연장하는 유체 채널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간격 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급 튜브.
  20. 제19항에 있어서, 제2 스커트 부재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헤더 조립체 상에 위치되는, 공급 튜브.
  21. 제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제1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부분, 및 관형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을 갖는, 공급 튜브.
  22. 제19항에 있어서,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의 코어와 제1 및 제2 스커트는 코어의 근위부의 내경과 제1 및 제2 스커트의 외경 사이의 거리가 최대화되도록 구성되는, 공급 튜브.
  23. 제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3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공급 튜브.
  24. 제23항에 있어서, 3개의 리브는 스커트 부재 둘레에 균등하게 이격되는, 공급 튜브.
  25. 제19항에 있어서, 유체 채널은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 내의 수집 챔버를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 상의 출구 포트와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공급 튜브.
  26. 제18항에 있어서, 공급 튜브를 통해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에 진입하는 유체가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저부에 더 가깝게 도입되도록, 원위 단부에서 관형 부재에 연결되고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저부를 향해 연장하는 연장 튜브를 더 포함하는, 공급 튜브.
  27.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이며,
    원심 분리기 보울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외부 본체로서, 외부 본체는 내부 캐비티를 형성하는 메인 본체, 메인 본체에 근위측으로 연장되는 네크부, 및 메인 본체와 네크부를 연결하는 숄더를 갖는, 외부 본체;
    외부 본체 내에 위치되어 그와 함께 회전 가능한 코어로서, 코어는
    코어 및 코어의 내부를 형성하는 원통형 본체,
    원통형 본체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코어의 내부 내에 위치된 레지로서, 레지는 코어의 내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하고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에 수집 챔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상부면을 갖는, 레지,
    원통형 본체의 근위부 상에 위치되고 그 둘레에 이격된 복수의 리브로서, 복수의 리브는 원통형 본체의 근위 단부 위로 연장하여, 이에 의해 복수의 리브의 각각 사이에 유동 경로를 생성하고, 유동 경로는 유체가 원통형 본체와 수집 챔버의 내부에 진입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코어;
    코어와 외부 본체 사이에 위치된 분리 영역으로서, 원심 분리기 보울의 회전은 분리 영역 내의 전혈을 제1 혈액 성분 및 제2 혈액 성분으로 분리하는, 분리 영역;
    전혈을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로 도입하기 위한 입구 포트;
    입구 포트에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입구 포트로부터 외부 본체의 저부를 향해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공급 튜브로서, 공급 튜브는 전혈을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로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공급 튜브;
    원심 분리기 보울 외부로 제1 혈액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출구 포트; 및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를 외부 본체에 유동적으로 결합하는 회전 밀봉부를 포함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28. 제27항에 있어서, 원통형 본체는 레지 아래에 위치된 제2 부분을 갖고,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광학 센서를 위한 반사 표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29. 제28항에 있어서, 원통형 본체는 제2 부분 아래에 위치된 원위부를 갖고, 원위부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의 유체를 안정화하도록 구성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30. 제29항에 있어서, 원통형 본체의 원위부는 분리 영역 내에 혈장층을 안정화하도록 구성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31. 제30항에 있어서, 분리 영역 내에서 이후에 분리된 혈장의 내경은 원통형 본체의 원위부와 접촉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32. 제27항에 있어서, 근위부는 레지 위에 위치되고, 근위부는 분리 영역으로부터 수집 챔버를 격리하도록 구성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33. 제32항에 있어서, 근위부는 수집 챔버 내의 난류 및 전단력이 분리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34. 제32항에 있어서, 근위부의 내부벽은 수집 챔버의 측벽을 형성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35. 제27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브의 각각은 상부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면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에 원통형 본체를 고정하기 위해 밀봉 크라운의 부분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36. 제27항에 있어서, 외부 본체는 네크부 내에 정합 레지를 갖고, 복수의 리브의 각각은 저부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저부면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정합 레지와 인터페이스하여, 이에 의해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내에 코어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37. 제27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브의 각각은 외부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면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네크부의 내부면과 인터페이스하여, 이에 의해 코어와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사이에 간섭 끼워맞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38. 제27항에 있어서, 레지의 상부면은 원통형 본체의 원위 단부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39. 제27항에 있어서, 레지는 저부면을 포함하고, 레지의 저부면은 코어의 내부 및 레지의 아래의 유체가 수집 챔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40. 제27항에 있어서, 레지는 그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공급 튜브는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41. 제40항에 있어서, 개구는 원통형 본체와 동축이 되도록 레지의 중심에 위치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42. 제27항에 있어서, 원통형 본체는 원통형 본체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외경을 갖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43. 제27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브는 8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44. 제27항에 있어서, 공급 튜브는
    공급 튜브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관형 부재로서, 관형 부재는 그를 통해 연장하는 유동 경로를 갖고, 유동 경로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의 입구 포트와 내부 캐비티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관형 부재; 및
    관형 부재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제1 스커트 부재로서, 제1 스커트 부재는 관형 부재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제1 표면 및 제1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 및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각형성면을 갖고, 각형성면은 평활한, 제1 스커트 부재를 포함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45. 제44항에 있어서, 공급 튜브는
    제1 표면 상에 위치되고 제2 스커트 부재로부터 제1 스커트 부재를 이격시켜, 이에 의해 제1 스커트 부재와 제2 스커트 부재 사이에서 연장하는 유체 채널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간격 리브를 더 포함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46. 제45항에 있어서, 제2 스커트 부재는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헤더 조립체 상에 위치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47. 제4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간격 리브는 제1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부분, 및 관형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을 갖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48. 제45항에 있어서, 코어와 제1 및 제2 스커트는 코어의 근위부의 내경과 제1 및 제2 스커트의 외경 사이의 거리가 최대화되도록 구성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49. 제4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간격 리브는 3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50. 제49항에 있어서, 3개의 간격 리브는 스커트 부재 둘레에 균등하게 이격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51. 제45항에 있어서, 유체 채널은 수집 챔버와 출구 포트를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52. 제44항에 있어서,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에 진입하는 유체가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저부에 더 가깝게 도입되도록, 원위 단부에서 관형 부재에 연결되고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의 저부를 향해 연장하는 연장 튜브를 더 포함하는, 혈장 분리 교환술 보울.
KR1020207030211A 2018-03-26 2019-03-20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 KR202100603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35,476 US11065376B2 (en) 2018-03-26 2018-03-26 Plasmapheresis centrifuge bowl
US15/935,476 2018-03-26
PCT/US2019/023100 WO2019190847A1 (en) 2018-03-26 2019-03-20 Plasmapheresis centrifuge bow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370A true KR20210060370A (ko) 2021-05-26

Family

ID=6600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211A KR20210060370A (ko) 2018-03-26 2019-03-20 혈장 분리 교환술 원심 분리기 보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065376B2 (ko)
EP (1) EP3755399A1 (ko)
JP (1) JP7470641B2 (ko)
KR (1) KR20210060370A (ko)
CN (3) CN117205391A (ko)
AU (1) AU2019242377A1 (ko)
CA (2) CA3230907A1 (ko)
RU (2) RU2022103335A (ko)
WO (1) WO20191908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24781A (zh) * 2021-06-18 2021-08-31 山东中保康医疗器具有限公司 离心式血浆分离器、单采血浆机泡沫测试方法
CN116689165B (zh) * 2023-07-31 2023-09-29 广东佳宝集团有限公司 一种离心提取工艺及离心提取机

Family Cites Families (1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059A (en) 1911-02-24 1912-04-30 Joseph Eleuterio Hatton Process of centrifugal separation.
US1611725A (en) 1925-05-07 1926-12-21 Maskin Och Brobyggnads Ab Clarifier
US2087778A (en) 1936-01-07 1937-07-20 Kone Ja Silta O Y Maskin Och B Centrifugal machine for filtering purposes
NL88411C (ko) 1936-04-04 1900-01-01
GB723279A (en) 1952-10-02 1955-02-02 Glacier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entrifugal cleaners for separating impurities from liquids
GB731312A (en) 1953-03-03 1955-06-08 Glacier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entrifugal separators
US4684361A (en) 1985-10-11 1987-08-04 Cardiovascular Systems, Inc. Centrifuge
US3145713A (en) 1963-09-12 1964-08-25 Protein Found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lood
US3409213A (en) 1967-01-23 1968-11-05 500 Inc Rotary seal and centrifuge incorporation
US3565330A (en) 1968-07-11 1971-02-23 Cryogenic Technology Inc Rotary seal and centrifuge incorporating same
US3655058A (en) 1970-07-13 1972-04-11 Richard A Novak Filtration apparatus
US3774840A (en) 1972-01-17 1973-11-27 Environs Dev Inc Centrifugal separator
CH591286A5 (ko) 1975-04-22 1977-09-15 Escher Wyss Ag
US3955755A (en) 1975-04-25 1976-05-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Energy Research And Development Administration Closed continuous-flow centrifuge rotor
DE2529614A1 (de) 1975-07-03 1977-01-20 Robert Dipl Ing Kohlheb Rotationsfilterseparator vorzugsweise fuer die membranfiltration
US4086924A (en) 1976-10-06 1978-05-02 Haemonetics Corporation Plasmapheresis apparatus
US4140268A (en) 1977-03-15 1979-02-20 Haemo-Transfer S.A. Centrifugating device for biological liquids, having a rotatable container, and supporting bracket therefor
US4300717A (en) 1979-04-02 1981-11-17 Haemonetics Corporation Rotary centrifuge seal
DK219881A (da) 1980-05-20 1981-11-21 Haemonetics Corp Apparat til opsugning og samling af en vaeske isaer til brug ved transfusion af eget blod
US4425114A (en) 1981-04-23 1984-01-10 Haemonetics Corporation Blood donation unit
JPS596952A (ja) 1982-07-02 1984-01-14 Hitachi Koki Co Ltd 回転容器にサンプルを流入流出させる回転シ−ル構造
JPS5969166A (ja) 1982-10-13 1984-04-19 Nikkiso Co Ltd 遠心分離ボウル
US5034135A (en) 1982-12-13 1991-07-23 William F. McLaughlin Blood fractionation system and method
US4876013A (en) 1983-12-20 1989-10-24 Membrex Incorporated Small volume rotary filter
CA1261765A (en) 1984-03-21 1989-09-26 Donald W. Schoendorfer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matter from suspension
US4534863A (en) 1984-05-22 1985-08-13 Schleicher & Schuell, Inc. Centrifugal filtering device and filter unit therefor
US4740202A (en) 1984-10-12 1988-04-26 Haemonetics Corporation Suction collection device
US4806247A (en) 1985-04-12 1989-02-21 Baxter International Inc. Plasmapheresis system and method
US4713176A (en) 1985-04-12 1987-12-15 Hemascience Laboratories, Inc. Plasmapheresis system and method
US4869812A (en) 1985-08-12 1989-09-26 Baxter International Inc. Disposable diagnostic plasma filter dispenser
US4660462A (en) 1985-08-12 1987-04-28 Deere & Company Ventilation system and filter
US4692136A (en) 1985-10-11 1987-09-08 Cardiovascular Systems Inc. Centrifuge
US4795419A (en) 1985-10-11 1989-01-03 Kardiothor, Inc. Centrifuge
US4871462A (en) 1985-12-23 1989-10-03 Haemonetics Corporation Enhanced separation of blood components
US4808307A (en) 1985-12-23 1989-02-28 Haemonetics Corporation Couette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for separating suspended components in a fluid medium using high shear
US4755300A (en) 1985-12-23 1988-07-05 Haemonetics Corporation Couette membrane filtration apparatus for separating suspended components in a fluid medium using high shear
SE452260B (sv) 1986-03-12 1987-11-23 Alfa Laval Separation Ab Centrifugalseparator anordnad for utmatning av en separerad produkt med bestemd koncentration
US4943273A (en) 1986-07-22 1990-07-24 Haemonetics Corporation Disposable centrifuge bowl for blood processing
DE3771148D1 (de) 1986-07-22 1991-08-08 Haemonetics Corp Zentrifugengehaeuse oder rotor fuer plasmapherese.
US4983158A (en) 1986-07-22 1991-01-08 Haemonetics Corporation Plasmapheresis centrifuge bowl
US4795448A (en) 1986-08-08 1989-01-03 Haemonetics Corporation Suction collection system
US5656163A (en) 1987-01-30 1997-08-12 Baxter International Inc. Chamber for use in a rotating field to separate blood components
US4767396A (en) 1987-03-03 1988-08-30 Haemonet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iological fluids
IT1203462B (it) 1987-04-08 1989-02-15 Dideco Spa Cella per la centrifugazione in continuo del sangue
US4889524A (en) 1987-09-04 1989-12-26 Haemonetics Corporation Portable centrifuge apparatus
US4994188A (en) 1988-02-05 1991-02-19 Baxter International Inc. Adaptive filtrate flow control system using controlled reduction in filter efficiency
US5100564A (en) 1990-11-06 1992-03-31 Pall Corporation Blood collection and processing system
US5100372A (en) 1990-03-02 1992-03-31 Haemonetics Corporation Core for blood processing apparatus
US5045048A (en) 1990-03-29 1991-09-03 Haemonetics Corporation Rotary centrifuge bowl and seal for blood processing
JP2953753B2 (ja) 1990-06-28 1999-09-27 テルモ株式会社 血漿採取装置
EP0478842A1 (de) 1990-10-05 1992-04-08 PALL BIOMEDIZIN GmbH Filter zur Filtration menschlicher Cerebronspinalflüssigkeit
US5730883A (en) 1991-12-23 1998-03-24 Baxter International Inc. Blood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apparent hematocrit as a process control parameter
US5403272A (en) 1992-05-29 1995-04-04 Baxter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leukocyte free platelet concentrate
US5464536A (en) 1992-06-10 1995-11-07 Charles W. Taggart Apparatus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a fluid mixture into its component parts
AU5126693A (en) 1992-09-11 1994-04-12 Halbert Fischel Apparatus and method for fractionating a liquid mixture
WO1994008721A1 (en) 1992-10-13 1994-04-28 Haemonetics Corporation Disposable centrifuge rotor and core
CH687505A5 (fr) 1993-01-29 1996-12-31 Elp Rochat Séparateur centrifuge pour fluides.
JPH0775746A (ja) 1993-04-05 1995-03-20 Electromedics Inc 遠心分離機用回転密封部材
WO1994025086A1 (en) 1993-04-27 1994-11-10 Haemonetics Corporation Apheresis apparatus and method
JP2718833B2 (ja) 1993-10-14 1998-02-25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ゥ・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自動サンプル容器取扱遠心機およびそれに用いるロータ
US5431814A (en) 1993-10-22 1995-07-11 Jorgensen; Glen Centrifugal filter apparatus and method
US5514070A (en) 1994-01-21 1996-05-07 Haemonetics Corporation Plural collector centrifuge bowl for blood processing
US5478479A (en) 1994-05-20 1995-12-26 Haemonetics Corporation Two-stage cell wash process controlled by optical sensor
US5733253A (en) 1994-10-13 1998-03-31 Transfusion Technologies Corporation Fluid separation system
US5651766A (en) 1995-06-07 1997-07-29 Transfusion Technologies Corporation Blood collection and separation system
US5733446A (en) 1994-12-02 1998-03-3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entrifuge with annular filter
US5585007A (en) 1994-12-07 1996-12-17 Plasmaseal Corporation Plasma concentrate and tissue sealant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concentrated plasma and/or tissue sealant
US5720921A (en) 1995-03-10 1998-02-24 Entremed, Inc. Flow electroporation chamber and method
US5762791A (en) 1995-08-09 1998-06-09 Baxter International Inc. Systems for separating high hematocrit red blood cell concentrations
JP3021334B2 (ja) 1995-10-05 2000-03-15 俊之 田辺 遠心ボウル
JPH09192215A (ja) 1996-01-17 1997-07-29 Takaharu Nakane 遠心ボウル
JP3313572B2 (ja) * 1996-04-03 2002-08-12 ヘモネティ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血液処理用遠心分離器ボウル
US5792351A (en) 1996-09-26 1998-08-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pinning filter separation system for oil spill clean-up operation
DE19715661A1 (de) 1997-04-16 1998-10-22 Mann & Hummel Filter Zentrifugenrotor
US5919125A (en) 1997-07-11 1999-07-06 Cobe Laboratories, Inc. Centrifuge bowl for autologous blood salvage
JP3196838B2 (ja) 1998-09-11 2001-08-06 ヘモネティ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フェレーシス装置及び血液製剤の製造方法
EP1057534A1 (en) 1999-06-03 2000-12-06 Haemonetics Corporation Centrifugation bowl with filter core
US6629919B2 (en) * 1999-06-03 2003-10-07 Haemonetics Corporation Core for blood processing apparatus
JP2000102603A (ja) 1999-11-04 2000-04-11 Toshiyuki Tanabe 遠心ボウル
AU2001259449A1 (en) 2000-05-03 2001-11-12 Eligix, Inc. Whole blood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6890291B2 (en) 2001-06-25 2005-05-10 Mission Medical, Inc. Integrated automatic blood collection and processing unit
US20030125881A1 (en) 2001-11-26 2003-07-03 Ryan Vincent J. Apparatus and method for plasmapheresis
US7186230B2 (en) 2002-03-04 2007-03-06 Therako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separation of biological fluids into components
US20040127840A1 (en) 2002-03-04 2004-07-01 Steve Gara Blood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03089926A2 (en) 2002-04-19 2003-10-30 Mission Medical, Inc. Integrated automatic blood processing unit
JP2005523128A (ja) 2002-04-24 2005-08-04 インターポア・オルソペディックス 血液分離及び濃縮システム
JP2006020756A (ja) 2004-07-07 2006-01-26 Terumo Corp 遠心分離器および血液成分採取回路
TWM269966U (en) * 2005-01-21 2005-07-11 Tian-Ju Ruan Plasmapheresis centrifuge bowl
US20060226086A1 (en) 2005-04-08 2006-10-12 Robinson Thomas C Centrifuge for blood processing systems
CN2927990Y (zh) 2006-01-18 2007-08-01 美国血液技术公司 血液成分采集分离耗材装置
US8702637B2 (en) 2008-04-14 2014-04-22 Haemone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heresis draw and return
US8628489B2 (en) 2008-04-14 2014-01-14 Haemonetics Corporation Three-line apheresis system and method
US8454548B2 (en) 2008-04-14 2013-06-04 Haemone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lasma reduced platelet collection
US9222067B2 (en) * 2008-04-22 2015-12-29 Pneumatic Scale Corporation Single use centrifuge system for highly concentrated and/or turbid feeds
SE534278C2 (sv) * 2009-02-17 2011-06-28 Alfa Laval Corp Ab Ett kontinuerligt förfarande för isolering av oljor från alger eller mikroorganismer
BR112013012825B1 (pt) * 2010-11-23 2021-06-29 Haemonetics Corporation Bacia centrífuga e sistema de processamento de sangue para separar sangue todo em componentes de sangue
WO2012137086A1 (en) 2011-04-08 2012-10-11 Sorin Group Italia S.R.L. Disposable device for centrifugal blood separation
EP2664383A1 (en) 2012-05-15 2013-11-20 Miltenyi Biotec GmbH Centrifugation chamber with deflector shields
CN202777224U (zh) * 2012-09-23 2013-03-13 四川南格尔生物医学股份有限公司 小容量血浆分离杯
WO2014070209A1 (en) 2012-11-05 2014-05-08 Haemonet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separation of whole blood
KR102339225B1 (ko) 2012-11-05 2021-12-13 해모네틱스 코포레이션 연속 유동 분리 챔버
CN203139212U (zh) * 2013-04-08 2013-08-21 四川南格尔生物医学股份有限公司 中心管为伞形结构的血浆分离杯
RU2534631C1 (ru) 2013-05-31 2014-12-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комплекс "КБ ВЗЛЕТ" Центрифуга сепаратора компонентов крови и муфт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вращающегося столика сепаратора с выходным валом привода центрифуги
DE202016000191U1 (de) * 2016-01-12 2016-04-25 Sangtech Lab Incorporation Zentrifugentrommel zur Blutbehand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9114A (ja) 2021-08-10
EP3755399A1 (en) 2020-12-30
CN112074307A (zh) 2020-12-11
US20210308353A1 (en) 2021-10-07
JP7470641B2 (ja) 2024-04-18
CN117899285A (zh) 2024-04-19
CN117205391A (zh) 2023-12-12
RU2766722C1 (ru) 2022-03-15
AU2019242377A1 (en) 2020-11-12
CA3094636A1 (en) 2019-10-03
US20190290824A1 (en) 2019-09-26
US11065376B2 (en) 2021-07-20
WO2019190847A1 (en) 2019-10-03
RU2022103335A (ru) 2022-04-01
CN112074307B (zh) 2024-01-30
CA3230907A1 (en)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4218B2 (ja) 連続流分離チャンバ
US8226537B2 (en) Blood processing apparatus with cell separation chamber with baffles
US10155083B2 (en) Apheresis bowl with improved vibration characteristics
US9737898B2 (en) System for blood separation with gravity valve for controlling a side-tapped separation chamber
US20210308353A1 (en) Plasmapheresis centrifuge bowl
US9248446B2 (en) System for blood separation with a separation chamber having an internal gravity valve
US8992402B2 (en) System for blood separation with side-tapped separation chamber
EP34749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flow red blood cell wa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