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617A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617A
KR20210059617A KR1020200145771A KR20200145771A KR20210059617A KR 20210059617 A KR20210059617 A KR 20210059617A KR 1020200145771 A KR1020200145771 A KR 1020200145771A KR 20200145771 A KR20200145771 A KR 20200145771A KR 20210059617 A KR20210059617 A KR 20210059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image information
camera
boom
displa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아키 스다
아키라 모리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치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치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치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59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60S9/1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of telescop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과제) 작업대가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어프로치 가능한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차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작업차는 주행 가능한 차체와, 차체 상에 설치된 붐과, 붐의 선단부에 설치된 작업대와, 차체 측방으로 돌출 가능한 아우트리거 빔과, 아우트리거 빔의 선단부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잭과, 차체의 주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카메라(91~94)와, 카메라(91~94)에 의해 취득된 차체의 주위의 화상 정보를 사용하여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서의 차체의 주위를 나타내는 주위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65)와, 화상 처리부(65)에 의해 생성된 주위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하부 표시 장치(100)를 구비하고, 주위 표시 화상은 아우트리거 빔의 차체 측방으로의 돌출량에 따라 작업대의 이동이 허용되는 작업 가능 범위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작업차{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아우트리거 잭을 구비한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작업차의 일례로서 운전 캡을 전방부에 갖고 주행 가능한 트랙 차량을 베이스로 구성되고, 그 차체 상에 수평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대와, 그 선회대에 기복 및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붐과, 그 붐의 선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작업대를 구비한 고소 작업차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소 작업차는 전선 공사, 도로 터널 내의 보수 점검 작업, 교량의 보수 점검 작업 등의 다양한 작업 현장에서 사용되어 있다. 이러한 고소 작업차에서는 작업 중에 차량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해서 차량의 전후 좌우에 각각 아우트리거 잭이 설치되고, 이들 아우트리거 잭을 차량의 측방으로 돌출해서 접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일본 특허공개 평 8-324998호 공보
작업대의 이동이 허용되는 작업 가능 범위는 아우트리거 잭의 돌출량 등에 의해 변화된다. 그 때문에 아우트리거 잭에 의해 차량이 지지되는 개소에 있어서 작업대가 전주 등의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어프로치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작업대가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어프로치 가능한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소 작업차(1))는 주행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 상에 기복 및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붐과, 상기 붐의 선단부에 설치된 작업대와, 상기 차체의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 측방으로 돌출 가능한 아우트리거 빔(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우트리거(11))과, 상기 아우트리거 빔의 선단부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신장되어 접지한 상태로 상기 차체를 지지하는 잭과,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주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상기 차체의 주위의 화상 정보를 사용하여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서의 상기 차체의 주위를 나타내는 주위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와, 상기 화상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주위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위 표시 화상은 상기 아우트리거 빔의 상기 차체 측방으로의 돌출량에 따라 상기 차체의 주위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이동이 허용되는 작업 가능 범위를 나타낸다.
상술한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 상의 좌측에 설치되고, 공구를 수납 가능한 좌측 공구 수납부와, 상기 차체 상의 우측에 설치되고, 공구를 수납 가능한 우측 공구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차체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주위의 전방측 부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프런트 카메라와, 상기 차체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주위의 후방측 부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리어 카메라와, 상기 좌측 공구 수납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주위의 좌측 부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좌측 사이드 카메라와, 상기 우측 공구 수납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주위의 우측 부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우측 사이드 카메라를 갖고,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프런트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상기 차체의 주위의 전방측 부분의 화상 정보와, 상기 리어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상기 차체의 주위의 후방측 부분의 화상 정보와, 상기 좌측 사이드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상기 차체의 주위의 좌측 부분의 화상 정보와, 상기 우측 사이드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상기 차체의 주위의 우측 부분의 화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주위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 빔의 상기 차체 측방으로의 돌출량을 검출하는 돌출량 검출기(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잭 돌출량 센서(85))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돌출량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돌출량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 가능 범위를 나타내는 상기 주위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부에 의해 생성되는 주위 표시 화상은 아우트리거 빔의 차체 측방으로의 돌출량에 따라 차체의 주위에 있어서 작업대의 이동이 허용되는 작업 가능 범위를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서의 차체의 주위를 나타내는 주위 표시 화상에 작업대의 이동이 허용되는 작업 가능 범위가 나타내어지기 때문에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주위 표시 화상을 시인함으로써 차체의 주위에 위치하는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작업대가 어프로치 가능한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작업차에 있어서 카메라는 차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프런트 카메라와, 차체의 후방부에 설치된 리어 카메라와, 좌측 공구 수납부의 상부에 설치된 좌측 사이드 카메라와, 우측 공구 수납부의 상부에 설치된 우측 사이드 카메라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공구 수납부는, 예를 들면 상자형상과 동일한 것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좌우의 공구 수납부의 상부에 좌우의 사이드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차체 상의 장치 레이아웃이 설계적으로 변해도 차체 상에 있어서의 좌우의 사이드 카메라의 배치를 용이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작업차에 있어서 화상 처리부는 돌출량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아우트리거 빔의 돌출량에 의거하여 작업대의 작업 가능 범위를 나타내는 주위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돌출량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아우트리거 빔의 돌출량에 의거하여 작업대의 작업 가능 범위를 구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주위 표시 화상을 시인함으로써 차체의 주위에 위치하는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작업대가 어프로치 가능한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고소 작업차를 좌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고소 작업차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고소 작업차를 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고소 작업차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고소 작업차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주위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고소 작업차(1)를 도 1~도 4에 나타내고 있으며, 우선 이들 도면을 참조해서 고소 작업차(1)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소 작업차(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2)의 전방부에 운전 캡(7)을 갖고, 차체(2)의 전후 좌우에 배치된 차륜(3)에 의해 주행 가능한 트랙식 차량을 베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차체(2)의 전후 좌우에는 고소 작업 시에 차체(2)를 들어 올려 지지하는 아우트리거 잭(10)이 설치되어 있다. 아우트리거 잭(10)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2)의 좌우 방향(차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아우트리거(아우트리거 빔)(11)와, 아우트리거(11)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잭(12)과, 잭(12)의 하단부에 부착된 접지판(13)을 갖고 구성된다. 아우트리거(11)는 상기 아우트리거(11)의 내부에 설치된 아우트리거 실린더(15)(도 5를 참조)에 의해 좌우 방향(차폭 방향)으로 신축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잭(12)은 상기 잭(12)의 내부에 설치된 잭 실린더(16)(도 5를 참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신축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아우트리거(11)를 차체(2)의 좌우 측방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잭(12)을 신장시켜서 접지판(13)을 노면에 접지시킴으로써 차체(2)가 들어 올려 지지되어 차량 전체를 안정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2)에 있어서의 운전 캡(7) 후방의 가교 장비 영역에는 붐 선회 모터(24)(도 5를 참조)에 의해 구동되어 상하 축 둘레로 수평 선회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선회대(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선회대(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지주(21)에는 붐(30)의 기단부가 풋 핀(22)을 개재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기복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차체(2)의 가장 영역의 좌우에는 작업 공구나 작업 기재 등을 수납하기 위한 좌측 공구 수납부(26) 및 우측 공구 수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공구 수납부(26)는 차체(2)에 있어서의 가장 영역의 좌측에 배치된 상자형상의 좌측 하부 공구 상자(26a)와, 좌측 하부 공구 상자(26a) 상에 배치된 상자형상의 좌측 상부 공구 상자(26b)를 갖는다. 우측 공구 수납부(27)는 차체(2)에 있어서의 가장 영역의 우측에 배치된 상자형상의 우측 하부 공구 상자(27a)와, 우측 하부 공구 상자(27a) 상에 배치된 상자형상의 우측 상부 공구 상자(27b)를 갖는다.
붐(3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대(20)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기단 붐(30a), 중간 붐(30b), 및 선단 붐(30c)이 네스트식으로 조합된 구성을 갖고 있으며, 그 내부에 설치된 붐 신축 실린더(31)(도 5를 참조)의 신축 구동에 의해 붐(30)을 축 방향(길이 방향)으로 신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기단 붐(30a)과 지주(21) 사이에는 붐 기복 실린더(23)(도 5를 참조)가 걸쳐서 설치되어 있으며, 이 붐 기복 실린더(23)를 신축 구동시킴으로써 붐(30) 전체를 상하면(수직면) 내에서 기복 이동시킬 수 있다.
선단 붐(30c)의 선단부에는 수직 포스트(35)(도 2를 참조)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봇팅되어 있다. 이 수직 포스트(35)는 선단 붐(30c)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된 상부 레벨링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와, 기단 붐(30a)과 지주(21) 사이에 걸쳐서 설치된 하부 레벨링 실린더(25)에 의해 붐(30)의 기복의 여하에 상관없이 상시 수직 자세로 유지되도록 요동 제어(레벨링 제어)된다. 수직 포스트(35)에는 작업자 탑승용의 작업대(40)가 부착되어 있다. 작업대(40)는 수직 포스트(35)에 설치된 작업대 선회 모터(37)(도 5를 참조)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수직 포스트(35) 둘레로 좌우 이동(수평 선회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대(40)에는 이것에 탑승한 작업자가 조작하는 조작 레버나 조작 스위치, 조작 다이얼 등을 구비한 상부 조작 장치(45)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작업대(40)에 탑승한 작업자는 상부 조작 장치(45)를 조작함으로써 선회대(20)의 선회 작동(붐 선회 모터(24)의 회전 작동), 붐(30)의 기복 작동(붐 기복 실린더(23)의 신축 작동), 붐(30)의 신축 작동(붐 신축 실린더(31)의 신축 작동), 작업대(40)의 진동 작동(작업대 선회 모터(37)의 회전 작동) 등의 각 작동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2)의 후방부에는 하부 조작 장치(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상 또는 차체(2) 상에 있는 작업자는 상기 작동 조작(상부 조작 장치(45)와 마찬가지인 작동 조작)이나 아우트리거 잭(10)의 작동 조작 등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부 조작 장치(45) 또는 하부 조작 장치(50)가 조작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조작 내용에 대응한 조작 신호가 차체(2)에 설치된 컨트롤 유닛(60)에 출력된다. 컨트롤 유닛(60)의 작동 제어부(61)는 그 조작 신호에 의거한 지령 신호를 유압 구동 유닛(70)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유압 구동 유닛(7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유를 저류하는 작동유 탱크(71)와, 차체(2)에 탑재된 엔진(E)의 동력을 사용해서 구동되는 유압 펌프(72)와, 유압 펌프(72)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를 상기 지령 신호에 의거한 공급 방향 및 공급량에 의해 각 유압 액츄에이터에 공급 제어하는 제어 밸브 유닛(73)을 갖고 있다.
엔진(E)의 동력을 변속해서 차륜(3)에 전달하는 트랜스미션에는 파워 테이크 오프 기구(PTO)가 장착되어 있다. 운전 캡(7) 내에 배치된 PTO 조작 레버(75)가 오프 위치로부터 온 위치로 조작되면 파워 테이크 오프 기구(PTO)에 의해 엔진(E)에 의한 구동처를 차륜(3)으로부터 유압 펌프(72)로 스위칭되어 엔진(E)의 동력에 의해 유압 펌프(72)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 밸브 유닛(73)은 붐 선회 모터(24), 붐 기복 실린더(23), 붐 신축 실린더(31), 작업대 선회 모터(37), 아우트리거 실린더(15), 및 잭 실린더(16) 각각에 대응한 전자 비례 제어 밸브(V1~V6)를 갖고 있다. 유압 구동 유닛(70)은 컨트롤 유닛(60)의 작동 제어부(61)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따라 각 유압 액츄에이터에 공급하는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해서 각 유압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킨다.
이렇게 각 유압 액츄에이터의 작동은 컨트롤 유닛(60)(작동 제어부(61))에 의해 제어된다. 그 때문에 고소 작업차(1)에는 여러 가지의 검출 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들 검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가 컨트롤 유닛(60)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 유닛(60)에는 붐 선회각 센서(81)로부터 붐(30)(선회대(20))의 선회 각도에 따른 선회 각도 검출 신호가 입력되고, 붐 기복각 센서(82)로부터 붐(30)의 기복 각도에 따른 기복 각도 검출 신호가 입력되고, 붐 길이 센서(83)로부터 붐(30)의 신장량에 따른 신장량 검출 신호가 입력되고, 작업대 선회각 센서(84)로부터 작업대(40)의 선회 각도에 따른 선회 각도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예를 들면 컨트롤 유닛(60)에는 잭 돌출량 센서(85)로부터 아우트리거 잭(10)(아우트리거(11))의 차체 측방으로의 돌출량에 따른 돌출량 검출 신호가 입력되고, 잭 접지 센서(86)로부터 아우트리거 잭(10)(접지판(13))의 접지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예를 들면 컨트롤 유닛(60)에는 차체 경사각 센서(87)로부터 차체(2)(노면)의 전후 및 좌우의 경사 각도에 따른 경사 각도 검출 신호가 입력되고, 주행 속도 센서(88)로부터 고소 작업차(1)의 주행 속도에 따른 주행 속도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잭 돌출량 센서(85)는 아우트리거 잭(10)(아우트리거(11))의 차폭 방향의 돌출량(즉, 차체(2)에 대한 좌우 측방으로의 돌출량)을 4단계로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단계의 돌출량으로서 「최소 돌출량(MIN)」, 「중간 1 돌출량(MID1)」, 「중간 2 돌출량(MID2)」, 「최대 돌출량(MAX)」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최소 돌출량은 아우트리거(11)의 저장 상태에 대응하고, 최대 돌출량은 아우트리거(11)의 최대 돌출 상태에 대응한다. 즉, 아우트리거(11)의 돌출량은 최소 돌출량<중간 1 돌출량<중간 2 돌출량<최대 돌출량이라는 순서로 1단계씩 증가한다. 또한, 잭 돌출량 센서(85)로서 아우트리거(11)의 돌출량을 단계적으로 검출하는 구성대신에 아우트리거(11)의 돌출량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구성을 적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고소 작업차(1)에서는 차체(2)의 전후 좌우에 카메라가 배치되고, 각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정보가 컨트롤 유닛(60)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2)의 전방부에는 프런트 카메라(91)가 배치된다. 프런트 카메라(91)는 차체(2)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프런트 범퍼(28)의 근방에 차체(2)의 전방을 향해서 부착된다. 프런트 카메라(91)는 어안 렌즈나 초광각 렌즈 등의 화각이 넓은 렌즈를 구비해서 구성되고, 차체(2)의 주위의 전방측 부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정보를 컨트롤 유닛(60)으로 출력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2)의 후방부에는 리어 카메라(92)가 배치된다. 리어 카메라(92)는 차체(2)의 후방부에 있어서의 우측의 테일 램프(29)의 근방에 차체(2)의 후방을 향해서 부착된다. 리어 카메라(92)는 프런트 카메라(9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차체(2)의 주위의 후방측 부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정보를 컨트롤 유닛(60)으로 출력한다. 또한, 리어 카메라(92)는 테일 램프(29)의 근방에 한정되지 않고, 비사용시의 하부 조작 장치(50)를 덮는 보호 커버(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어도 좋고, 붐(30)의 기단부나 선회대(20)의 후방부에 부착되어도 좋다. 리어 카메라(92)가 붐(30)의 기단부나 선회대(20)의 후방부에 부착되는 경우 리어 카메라(92)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이 선회대(20)에 설치된 슬립 링(도시하지 않음)에 삽입 통과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리어 카메라(92)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정보가 무선 통신에 의해 컨트롤 유닛(60)으로 송신되도록 해도 좋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2)의 좌측부에는 좌측 사이드 카메라(93)가 배치된다. 좌측 사이드 카메라(93)는 차체(2)의 좌측부에 있어서의 좌측 공구 수납부(26)(좌측 상부 공구 상자(26b))의 상단부에 차체(2)의 좌방을 향해서 부착된다. 좌측 사이드 카메라(93)는 프런트 카메라(9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차체(2)의 주위의 좌측 부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정보를 컨트롤 유닛(60)으로 출력한다. 차체(2)의 우측부에는 우측 사이드 카메라(94)가 배치된다. 우측 사이드 카메라(94)는 차체(2)의 우측부에 있어서의 우측 공구 수납부(27)(우측 상부 공구 상자(27b))의 상단부에 차체(2)의 우측방을 향해서 부착된다. 우측 사이드 카메라(94)는 프런트 카메라(9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차체(2)의 주위의 우측 부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정보를 컨트롤 유닛(60)으로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고소 작업차(1)에서는 차체(2)에 있어서의 하부 조작 장치(50)의 근방에 하부 표시 장치(100)(도 5를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하부 조작 장치(50)를 조작하는 작업자는 하부 표시 장치(100)에 표시되는 화상을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부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해서 구성되고, 컨트롤 유닛(60)의 화상 처리부(65)에 의해 생성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6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작동 제어부(61)와, 작업 범위 설정부(63)와, 화상 처리부(65)를 갖고 있다. 작업 범위 설정부(63)에는 차체(2)를 전도시키는 일 없이 붐(30)의 선단부(작업대(4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영역으로서 정해진 작업 가능 범위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작업 범위 설정부(63)에는 아우트리거 잭(10)(아우트리거(11))의 4단계의 돌출량 각각에 대응하는 작업 가능 범위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작업 범위 설정부(63)는 잭 돌출량 센서(85)로부터 입력된 돌출량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작업 가능 범위의 데이터군 중으로부터 현재의 아우트리거(11)의 돌출량에 따른 작업 가능 범위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작업 범위 설정부(63)는 작업 가능 범위의 데이터군 중으로부터 아우트리거(11)의 돌출량에 따라 판독된 작업 가능 범위의 데이터를 현재의 아우트리거(11)의 돌출량에 의해 허용할 수 있는 붐(30)의 선단부의 이동 가능 영역으로서 설정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작업 가능 범위(이동 가능 영역)의 외부 가장자리는 붐(30)의 길이가 취할 수 있는 범위와 붐(30)의 기복 각도가 취할 수 있는 범위의 관계에 의해 구조상 설정되는 외부 가장자리(작동 한계선)와, 구조상은 붐(30)의 선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지만 전도 모멘트가 과대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붐(30)의 선단부의 이동을 금지하지 않을 수 없는 한계선으로서 설정되는 외부 가장자리(규제 한계선)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작업 가능 범위의 외부 가장자리로서 작동 한계선과 규제 한계선을 구별하지 않고, 「한계선」이라고 칭한다.
화상 처리부(65)에는 프런트 카메라(91), 리어 카메라(92), 좌측 사이드 카메라(93), 및 우측 사이드 카메라(94)로부터의 화상 정보와, 잭 돌출량 센서(85)로부터의 돌출량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화상 처리부(65)에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서의 고소 작업차(1)의 화상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65)는 프런트 카메라(91)로부터 입력된 차체(2)의 주위의 전방측 부분의 화상 정보와, 리어 카메라(92)로부터 입력된 차체(2)의 주위의 후방측 부분의 화상 정보와, 좌측 사이드 카메라(93)로부터 입력된 차체(2)의 주위의 좌측 부분의 화상 정보와, 우측 사이드 카메라(94)로부터 입력된 차체(2)의 주위의 우측 부분의 화상 정보와, 미리 기억된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서의 고소 작업차(1)의 화상 정보를 사용하여 화상 합성이나 변형 보정 등의 소정 화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서의 차체(2)(즉, 고소 작업차(1))의 주위를 나타내는 주위 표시 화상(110)(도 6을 참조)을 생성한다. 화상 처리부(65)는 생성한 주위 표시 화상(110)의 화상 정보를 하부 표시 장치(100)로 출력한다. 하부 표시 장치(100)는 화상 처리부(65)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주위 표시 화상(110)을 표시한다.
도 6에 화상 처리부(65)에 의해 생성되는 주위 표시 화상(110)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의 예에서는 작업 대상물인 전주(WK)의 근방의 개소에 고소 작업차(1)가 정차하고 있을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전주(WK)는 장해물인 가드레일(GR)의 근방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주위 표시 화상(110)에서는 고소 작업차(1)에 있어서 선회대(20)의 선회 중심(C)이 표시된다. 이 선회 중심(C)의 화상 정보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서의 고소 작업차(1)의 화상 정보로서 미리 화상 처리부(65)에 기억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주위 표시 화상(110)에서는 도 6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도록 범위 표시 화상(120)이 겹쳐서 표시된다. 범위 표시 화상(120)은 고소 작업차(1)의 주위에 있어서 상술한 작업 가능 범위를 나타낸다. 범위 표시 화상(120)은 환형상으로 형성된 한계선 표시 화상(121)을 갖는다. 한계선 표시 화상(121)은 상술한 작업 가능 범위에 있어서의 한계선을 나타낸다. 화상 처리부(65)는 잭 돌출량 센서(85)로부터 입력된 돌출량 검출 신호(즉, 아우트리거(11)의 돌출량)에 의거하여 작업 범위 설정부(63)에 기억된 작업 가능 범위의 데이터군 중으로부터 현재의 아우트리거(11)의 돌출량에 따른 작업 가능 범위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작업 가능 범위에 있어서의 한계선을 나타내도록 한계선 표시 화상(121)을 설정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65)는 화상 합성 등의 소정 화상 처리를 행함으로써 고소 작업차(1)의 주위에 있어서 한계선 표시 화상(121)(즉, 범위 표시 화상(120))이 겹쳐서 표시되도록 주위 표시 화상(110)을 생성한다.
또한, 한계선 표시 화상(121)에 있어서 나타내어지는 한계선은 붐(30)의 작업 가능 반경을 전체 선회 위치(360°)에 걸쳐서 나타낸 포락선이며, 한계선 표시 화상(121)에 있어서 나타내어지는 한계선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이 상술한 작업 가능 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한계선 표시 화상(121)에 있어서 나타내어지는 한계선은 붐(30)의 선단부(작업대(40))가 소정 기준 높이(예를 들면, 붐(30)의 선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최대의 높이)일 경우에 있어서의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서의 한계선을 나타낸다.
주위 표시 화상(110)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주(WK)가 범위 표시 화상(120)의 한계선 표시 화상(121)보다 내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전주(WK)에 대하여 작업대(40)가 어프로치 가능한 것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주(WK)가 범위 표시 화상(120)의 한계선 표시 화상(121)보다 외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전주(WK)에 대하여 작업대(40)가 어프로치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하부 표시 장치(100)에 표시되는 주위 표시 화상(110)을 시인함으로써 차체(2)의 주위에 위치하는 전주(WK)에 대하여 작업대(40)가 어프로치 가능한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화상 처리부(65)에 의해 생성되는 주위 표시 화상(110)은 아우트리거(아우트리거 빔)(11)의 차체(2)의 좌우 측방으로의 돌출량에 따라 차체(2)의 주위에 있어서 작업대(40)의 이동이 허용되는 작업 가능 범위를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서의 차체(2)의 주위를 나타내는 주위 표시 화상(110)에 작업대(40)의 이동이 허용되는 작업 가능 범위가 나타내어지기 때문에 하부 표시 장치(100)에 표시되는 주위 표시 화상(110)을 시인함으로써 차체(2)의 주위에 위치하는 작업 대상물(전주(WK))에 대하여 작업대(40)가 어프로치 가능한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화상 처리부(65)가 잭 돌출량 센서(85)에 의해 검출된 아우트리거(아우트리거 빔)(11)의 돌출량에 의거하여 작업대(40)의 작업 가능 범위를 나타내는 주위 표시 화상(110)을 생성하기 때문에 차체(2)의 주위에 위치하는 작업 대상물(전주(WK))에 대하여 작업대(40)가 어프로치 가능한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카메라는 차체(2)의 전방부에 설치된 프런트 카메라(91)와, 차체(2)의 후방부에 설치된 리어 카메라(92)와, 좌측 공구 수납부(26)의 상부에 설치된 좌측 사이드 카메라(93)와, 우측 공구 수납부(27)의 상부에 설치된 우측 사이드 카메라(94)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공구 수납부는, 예를 들면 상자형상의 동일한 것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좌우의 공구 수납부(26, 27)의 상부에 좌우의 사이드 카메라(93, 94)를 설치함으로써 차체 상의 장치 레이아웃이 설계적으로 변해도 차체 상에 있어서의 좌우의 사이드 카메라의 배치를 용이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범위 표시 화상(120)은 작업대의 적재 하중이 소정 적재 하중일 경우의 한계선을 나타내는 한계선 표시 화상(121)을 갖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한계선 표시 화상(121)에 추가하여 작업대(40)의 적재 하중이 소정(제 1) 적재 하중과 상이한 제 2 적재 하중일 경우의 한계선을 나타내는 제 2 한계선 표시 화상(121')을 가져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상 처리부(65)는 잭 돌출량 센서(85)로부터 입력된 돌출량 검출 신호(즉, 아우트리거(11)의 돌출량)에 의거하여 작업 범위 설정부(63)에 기억된 작업 가능 범위의 데이터군 중으로부터 현재의 아우트리거(11)의 돌출량에 따른 작업 가능 범위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작업 가능 범위에 있어서의 한계선을 나타내도록 한계선 표시 화상(121)을 설정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잭 돌출량 센서(85)로서 아우트리거(11)의 돌출량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구성을 적용할 경우 화상 처리부(65)는 아우트리거(11)의 4단계의 돌출량에 대응하는 작업 가능 범위에 의거하여 현재의 아우트리거(11)의 돌출량으로부터 보간 등에 의해 작업 가능 범위를 구하고, 구한 작업 가능 범위에 있어서의 한계선을 나타내도록 한계선 표시 화상(121)을 설정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상 처리부(65)는 잭 돌출량 센서(85)로부터 입력된 돌출량 검출 신호(즉, 아우트리거(11)의 돌출량)에 의거하여 범위 표시 화상(120)의 한계선 표시 화상(121)을 설정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잭 돌출량 센서(85)의 돌출량 검출 신호 대신에 하부 표시 장치(100)에 형성된 입력부(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입력 조작 등에 의해 아우트리거(11)의 돌출량에 관한 정보가 화상 처리부(65)에 입력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축 붐식의 고소 작업차를 예시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굴신 붐식의 고소 작업차 등이어도 좋고, 적어도 기복 이동 및 선회 이동 가능한 붐과 작업대를 구비한 작업차이면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엔진(E)의 동력을 파워 테이크 오프 기구(PTO)에 의해 인출하여 유압 펌프(72)를 구동하는 PTO 구동형의 고소 작업차를 예시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 구동형(배터리 구동형)의 고소 작업차나 상기 양쪽을 구비해서 동력원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하이브리드형의 고소 작업차이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 대상물로서 전주(WK)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로 터널 내의 구조물이어도 좋고, 교각이어도 좋다.
1: 고소 작업차 2: 차체
10: 아우트리거 잭 11: 아우트리거(아우트리거 빔)
12: 잭 26: 좌측 공구 수납부
27: 우측 공구 수납부 30: 붐
40: 작업대 60: 컨트롤 유닛
61: 작동 제어부 63: 작업 범위 설정부
65: 화상 처리부 85: 잭 돌출량 센서
91: 프런트 카메라 92: 리어 카메라
93: 좌측 사이드 카메라 94: 우측 사이드 카메라
100: 하부 표시 장치 110: 주위 표시 화상
120: 범위 표시 화상 WK: 전주
GR: 가드레일

Claims (3)

  1. 주행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 상에 기복 및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붐과,
    상기 붐의 선단부에 설치된 작업대와,
    상기 차체의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 측방으로 돌출 가능한 아우트리거 빔과,
    상기 아우트리거 빔의 선단부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방으로 신장되어 접지한 상태로 상기 차체를 지지하는 잭과,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주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상기 차체의 주위의 화상 정보를 사용하고,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서의 상기 차체의 주위를 나타내는 주위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부와,
    상기 화상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주위 표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위 표시 화상은 상기 아우트리거 빔의 상기 차체 측방으로의 돌출량에 따라 상기 차체의 주위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이동이 허용되는 작업 가능 범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상의 좌측에 설치되고, 공구를 수납 가능한 좌측 공구 수납부와,
    상기 차체 상의 우측에 설치되고, 공구를 수납 가능한 우측 공구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차체 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주위의 전방측 부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프런트 카메라와,
    상기 차체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주위의 후방측 부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리어 카메라와,
    상기 좌측 공구 수납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주위의 좌측 부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좌측 사이드 카메라와,
    상기 우측 공구 수납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주위의 우측 부분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우측 사이드 카메라를 갖고,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프런트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상기 차체의 주위의 전방측 부분의 화상 정보와, 상기 리어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상기 차체의 주위의 후방측 부분의 화상 정보와, 상기 좌측 사이드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상기 차체의 주위의 좌측 부분의 화상 정보와, 상기 우측 사이드 카메라에 의해 취득된 상기 차체의 주위의 우측 부분의 화상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주위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 빔의 상기 차체 측방으로의 돌출량을 검출하는 돌출량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돌출량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돌출량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 가능 범위를 나타내는 상기 주위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KR1020200145771A 2019-11-15 2020-11-04 작업차 KR20210059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06870 2019-11-15
JP2019206870A JP7336363B2 (ja) 2019-11-15 2019-11-15 作業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617A true KR20210059617A (ko) 2021-05-25

Family

ID=7596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771A KR20210059617A (ko) 2019-11-15 2020-11-04 작업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336363B2 (ko)
KR (1) KR202100596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919A1 (ko) * 2021-12-22 2023-06-2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고소 작업차량을 위한 전복 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998A (ja) 1995-05-30 1996-12-10 Aichi Corp 作業車の作業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582A (ja) * 1993-02-18 1994-08-30 Kobe Steel Ltd ホイール式クレーン
JP5243760B2 (ja) * 2007-09-19 2013-07-24 株式会社タダノ アウトリガ張出し量検出装置
KR101402881B1 (ko) * 2012-09-27 2014-06-27 구우식 특수차량용 아웃트리거의 위치선정장치
ES2566606T3 (es) * 2013-05-07 2016-04-14 Iveco Magirus Ag Vehículo de servicio con un sistema de asistencia para posicionar apoyos a tierra laterales
JP7091093B2 (ja) * 2018-03-09 2022-06-27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高所作業車の乗降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998A (ja) 1995-05-30 1996-12-10 Aichi Corp 作業車の作業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919A1 (ko) * 2021-12-22 2023-06-2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고소 작업차량을 위한 전복 방지 장치
KR20230096194A (ko) * 2021-12-22 2023-06-3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고소 작업차량을 위한 전복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80039A (ja) 2021-05-27
JP7336363B2 (ja)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7400B1 (ja) クレーン車
CN108633293B (zh) 作业车辆以及显示装置
CN109922991A (zh) 用于工程机械的警告系统
US12012310B2 (en) Crane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7518664B2 (ja) 作業車
JP7106929B2 (ja) 作業車両
KR20210059617A (ko) 작업차
JP2018039477A (ja) 画像表示システム
KR20210059619A (ko) 작업차
JP6756554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KR20210059618A (ko) 작업차
JP7435819B2 (ja) クレーン
JP2021187585A (ja) 作業車
JP7213666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4667877B2 (ja) 高所作業車の遠隔操作装置
JP2023070345A (ja) 高所作業車の障害物検知装置
JP4528688B2 (ja) 作業用車両
JP2020093877A (ja) 作業車の安全装置
JP2012096859A (ja) 高所作業車
US20220106175A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vehicle with an aerial work platform
JP7122151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2019014584A (ja) クレーン車
JP4077328B2 (ja) 作業用車両の安全装置
JPH0336200A (ja) ゴンドラの位置制御装置
JP2004359464A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