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268A -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268A
KR20210059268A KR1020190146507A KR20190146507A KR20210059268A KR 20210059268 A KR20210059268 A KR 20210059268A KR 1020190146507 A KR1020190146507 A KR 1020190146507A KR 20190146507 A KR20190146507 A KR 20190146507A KR 20210059268 A KR20210059268 A KR 20210059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information
dice
central ope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1812B1 (ko
Inventor
강화업
Original Assignee
강화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화업 filed Critical 강화업
Priority to KR1020190146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8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268A/ko
Priority to KR1020210106558A priority patent/KR20210103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4Dice; Dice-boxes; Mechanical dice-throw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중심부에는 중심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개구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외곽개구가 형성된 기구케이스와, 상기 중심개구에 대응하여 기구케이스의 중심부에 수용 위치되며, 회동에 따라 일면에 표시된 제1정보가 중심개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중심주사위와, 상기 복수의 외곽개구에 각각 대응하여 기구케이스의 외곽부에 수용 위치되며, 회동에 따라 일면에 표시된 제2정보가 외곽개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각각 노출되는 복수의 외곽주사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재미있는 주사위 놀이를 통하여 다양하고 효율적인 학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Playing device for learning}
본 발명은 재미있는 주사위 놀이를 통해 다양한 학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놀이를 통한 학습은 아이들로 하여금 학습에 대한 어려움이나 부담감을 덜어주면서 보다 학습에 집중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으로써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아이들의 학습에 다양한 놀이가 널리 활용되어 오고 있다.
다만, 학습에 활용되는 놀이의 방식이나 패턴이 너무 단순하면 그저 동일한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오히려 아이들이 지루함을 느끼면서 흥미와 학습효과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다면체의 각 면에 정보들이 표시되면서 표시된 정보가 랜덤으로 선택되는 특징을 갖는 주사위를 이용하여 보다 재미있게 놀이방식으로 사칙연산 등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주사위 놀이기구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왔다.
일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305507호에는 세개의 주사위를 회전시켜 사칙연산을 학습할 수 있는 사칙연산 주사위가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4886호에는 다수의 주사위를 통해 덧셈 등의 수학연산 학습을 할 수 있는 주사위를 이용한 수학학습용 교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개시된 주사위 학습기구는 제시되는 정보가 제한될 수 밖에 없어 다양하고 폭넓은 학습에 활용되기 어려움과 함께 쉽게 지루함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아이들이 놀이의 규칙을 이해하기에도 어려움이 있어 학습기구로 활용되기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05507호 : 사칙연산 주사위 공개특허 제10-2016-0134886호 : 주사위를 이용한 수학학습용 교구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목적은 기구케이스의 중심부와 외곽부에 수용된 주사위가 회동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노출하도록 구성되어 아이들이 흥미와 재미를 가지고 다양한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정보를 제한없이 표시할 수 있는 전자표시모듈과 물리적인 회동을 통해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주사위를 혼합하여 보다 다양하고 폭넓은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중심부에는 중심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개구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외곽개구가 형성된 기구케이스와, 상기 중심개구에 대응하여 기구케이스의 중심부에 수용 위치되며, 회동에 따라 일면에 표시된 제1정보가 중심개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중심주사위와, 상기 복수의 외곽개구에 각각 대응하여 기구케이스의 외곽부에 수용 위치되며, 회동에 따라 일면에 표시된 제2정보가 외곽개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각각 노출되는 복수의 외곽주사위를 포함하는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가 개시된다.
또한, 중심부에는 중심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개구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외곽개구가 형성된 기구케이스와, 상기 중심개구에 대응하여 기구케이스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제1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전자표시모듈과, 상기 복수의 외곽개구에 각각 대응하여 기구케이스의 외곽부에 수용 위치되며, 회동에 따라 일면에 표시된 제2정보가 외곽개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각각 노출되는 복수의 외곽주사위를 포함하는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표시모듈은, 제1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학습종류에 따른 다양한 제1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사용자로부터 학습종류를 선택받아 설정하는 설정입력부와, 상기 설정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학습종류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제1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랜덤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구케이스는 중심개구가 형성된 케이스중심부와, 복수의 외곽개구가 형성된 케이스외측부로 분리되며, 상기 케이스중심부와 케이스외측부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중심부에 착탈되면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용 캡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에 의하면,
기구케이스의 중심부와 외곽부에 각각 배치된 주사위의 회동을 통해 다양한 정보가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학습자가 흥미와 재미를 가지고 다양한 학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정보를 제한없이 표시할 수 있는 전자표시모듈과 물리적인 회동을 통해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주사위를 혼합하여 보다 다양하고 폭넓은 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를 일 예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를 구성별로 분해하여 일 예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를 일 예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에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에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두께, 요소간의 간격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또는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가 일 예시되어 있다.
상기 예시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이하, “놀이기구”라 약칭함.)는 기구케이스(10)와, 중심주사위(20)와, 외곽주사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기구케이스(10)는 후술할 중심주사위(20)와 외곽주사위(30)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도면에 예시된 육각 별 형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구케이스(10)는 상하 대칭의 형상을 갖는 상케이스부(11)와 하케이스부(12)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케이스부(11)와 하케이스부(12)는 내부에 수용된 중심주사위(20) 및 외곽주사위(30)를 학습종류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착탈수단(13)에 의하여 상호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구케이스(10)에는 중심부에 중심개구(15a)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개구(15a)의 둘레를 따라 외곽부에 복수의 외곽개구(1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개구(15a)와 복수의 외곽개구(15b)는 기구케이스(10)의 상면과 하면 동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중심개구(15a)와 복수의 외곽개구(15b)는 상케이스부(11)와 하케이스부(12) 각각의 중심부 및 외곽부 동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개구(15a)는 후술할 중심주사위(20)에 표시된 제1정보의 노출을 위한 개방구이고, 외곽개구(15b)는 후술할 외곽주사위(30)에 표시된 제2정보의 노출을 위한 개방구이다.
이러한 중심개구(15a)와 외곽개구(15b)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단면에는 각각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6)은 중심주사위(20)와 외곽주사위(30) 각각의 모서리와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중심주사위(20)와 외곽주사위(30)가 기구케이스(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중심주사위(20)와 외곽주사위(30)는 다면체로 이루어지면서 각 면마다 학습종류에 따른 제1정보와 제2정보가 각각 표시된 통상적인 주사위로서, 6면체, 8면체, 12면체 등 다양한 면수를 갖는 주사위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종류는 사칙연산 학습, 영어학습, 국어학습, 한자학습 등 다양한 학습의 종류를 의미하며, 제1정보란 중심주사위(20)의 각 면에 표시되어 기구케이스(10)의 중심부에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정보로서, 학습종류에 따라 숫자, 영어단어, 국어단어, 한자단어 등의 정보를 의미하고, 제2정보란 외곽주사위(30)의 각 면에 표시되어 기구케이스(10)의 외곽부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정보로서, 학습종류에 따라 숫자, 알파벳, 국어 자모음, 한자 등의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중심주사위(20)는 중심개구(15a)에 대응하여 기구케이스(10)의 중심부에 수용 위치되는 주사위로서, 다면체의 각 면에는 제1정보가 표시된다.
예컨대, 중심주사위(20)가 6면체라면 중심주사위(20)는 각 면에 표시된 6개의 제1정보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중심주사위(20)는 기구케이스(10)의 중심부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며, 회동에 따라 일면에 표시된 제1정보를 중심개구(15a)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게 된다.
예컨대, 중심주사위(20)가 6면체인 경우, 6개의 제1정보 중에서 중심개구(15a) 상에 위치된 일 면에 표시된 특정한 제1정보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외곽주사위(30)는 복수로 이루어지면서, 복수의 외곽개구(15b)에 대응하여 기구케이스(10)의 외곽부에 수용 위치되는 주사위로서, 각 면에는 제2정보가 표시된다.
이러한 복수의 외곽주사위(30)는 기구케이스(10)의 외곽부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며, 회동에 따라 일면에 표시된 제2정보를 외곽개구(15b)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곽주사위(30)의 갯수는 외곽개구(15b)의 갯수와 일치하며, 도면들에는 일 예로서 6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외곽주사위(30) 및 외곽개구(15b)의 갯수는 학습의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제1실시예의 놀이기구를 통한 학습방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심주사위(20) 및 복수의 외곽주사위(30)가 수용된 상태에서 기구케이스(10)를 잡고 흔들거나 손바닥이나 테이블 등에 대고 문지르면, 중심주사위(20)와 복수의 외곽주사위(30)가 각각 회동된 후, 중심부에서는 중심주사위(20) 일면의 제1정보가 중심개구(15a)를 통해 노출되어 결정되고, 외곽부에서는 복수의 외곽주사위(30) 각각의 일면에 표시된 제2정보가 외곽개구(15b)를 통해 각각 노출되어 결정된다.
이렇게 주사위의 회동을 통해 랜덤으로 제1정보 및 복수의 제2정보가 결정되면, 학습자는 외곽개구(15b)를 통해 노출된 복수의 제2정보를 이용하여 중심개구(15a)를 통해 노출된 제1정보에 해당하는 값이나 단어 등을 만들거나 또는 연상되는 단어 등을 조합하여 요구되는 학습을 하게 된다.
일 예로, 중심주사위(20)와 외곽주사위(30)에 표시된 제1정보 및 제2정보가 숫자로서 사칙연산을 학습한다고 가정할 때, 위와 같이 기구케이스(10)를 동작시킴으로써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중심주사위(20)로부터 노출되는 제1정보가 ‘12’로 결정되고, 복수의 외곽주사위(30)로부터 노출되는 제2정보가 각각‘1’, ‘2’, ‘4’, ‘5’, ‘5’, ‘6’으로 결정된 경우, 학습자는 제2정보를 사칙연산하여 제1정보인 ‘12’가 되도록, 예컨대, 2×6, 5+5+2, 1+5+6, (4×6)-(5+5+2) 등과 같이 제2정보를 다양하게 사칙연산하여 제1정보인 ‘12’를 만들어 줌으로써 사칙연산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른 예로, 중심주사위(20)에 표시된 제1정보가 영단어이고 외곽주사위(30)에 표시된 제2정보가 알파벳으로서 영단어를 학습한다고 가정하면, 예컨대 제1정보가 ‘sky’인 경우, 학습자는 제2정보로서 노출된 다양한 알파벳을 조합하여 제1정보인 ‘sky’로부터 연상되는 단어, 예컨대, ‘sun’, ‘moon’, ‘rain’등을 조합함으로써 영단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놀이기구에 의하면, 외곽주사위(30)의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노출된 복수의 제2정보를 이용하여 중심주사위(20)의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노출된 제1정보의 값이나 단어 등이 되도록 사칙연산이나 문자조합 등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학습을 재미있게 진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일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인 구성은 동일하되, 기구케이스(10)의 중심부에 중심주사위(20)가 아닌 전자표시모듈(40)이 설치되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나는 구성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자표시모듈(40)은 기구케이스(10)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제1정보를 전자적으로 선택 표시하는 전자적 표시수단이다.
이러한 전자표시모듈(40)은 디스플레이부(41)와, 저장부(도면미도시)와, 설정입력부(42)와, 동작입력부(43)와, 제어부(44)와, 전원부(도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1)는 제1정보가 표시되는 부분으로서, LED액정이나 LCD액정, 터치스크린 등 공지된 다양한 디스플레이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학습종류에 따른 다양한 제1정보를 저장한다. 즉, 저장부에는 사칙연산 학습, 영어학습, 국어학습, 한자학습 등의 학습종류에 따라 제1정보로서 표시될 다양한 숫자, 영어단어, 국어단어, 한자단어 등이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설정입력부(42)는 사용자로부터 학습종류를 선택받아 설정하는 부분으로서, 즉, 사용자는 설정입력부(42)를 통해 사칙연산 학습을 할지, 영어학습을 할지 등 원하는 학습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동작입력부(43)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1)에 제1정보가 표시되는 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입력받는 부분이다.
즉, 동작입력부(43)를 통해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제어부(44)의 제어를 통해 새롭게 제1정보가 디스플레이부(41)에 표시되게 된다.
상기 설정입력부(42)와 동작입력부(43)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 입력 및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부(41)와 함께 상면에 구비되거나 또는 도면에 일 예시된 것처럼 하면의 중심개구(15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4)는 상기 설정입력부(42)를 통해 설정된 학습종류에 따라 저장된 제1정보가 랜덤(random)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41)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44)는 설정입력부(42)를 통해 사칙연산 학습이 학습종류로서 설정된 상태에서 동작입력부(43)를 통해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다양한 숫자 중 특정 숫자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제1정보로서 디스플레이부(4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영어단어 학습이 학습종류로 설정된 상태에서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다양한 영어단어 중 특정 단어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제1정보로서 디스플레이부(4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부는 전자표시모듈(4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며, 이러한 전원부로는 소형 수은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전자표시모듈(40)은 기구케이스(10)가 상케이스부(11)와 하케이스부(12)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 상케이스부(11)와 하케이스부(12)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상케이스부(11)와 하케이스부(12) 중 어느 하나에만 결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제2실시예의 놀이기구를 통한 학습방법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되, 다만,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전자표시모듈(40)의 학습종류를 설정하고, 중심주사위(20)로부터 제1정보가 제공되는 대신에 설정된 학습종류에 따른 제1정보가 제어부(44)의 제어를 통해 디스플레이부(41)에 랜덤으로 표시되는 차이점이 있다.
즉, 사칙연산 학습을 하고자 하는 경우, 기구케이스(10)에 숫자를 표시한 복수의 외곽주사위(30)를 수용한 상태에서 전자표시모듈(40)의 학습종류를 사칙연산 학습으로 설정하면 되고(그러면, 디스플레이부(41)는 제1정보로서 숫자를 랜덤으로 표시함.), 영어단어 학습을 하고자 한다면, 기구케이스(10)에 알파벳을 표시한 복수의 외곽주사위(30)를 수용한 상태에서 전자표시모듈(40)의 학습종류를 영단어 학습으로 설정하면 (그러면, 디스플레이부(41)는 제1정보로서 영어단어를 랜덤으로 표시함.)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의 놀이기구는 제1실시예에 비하여 보다 다양한 제1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더욱 흥미로우면서도 폭넓은 학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중심주사위(20)에 표시된 제1정보가 제공되는 구성이므로, 중심주사위(20)의 면수에 따른 제한적인 갯수의 제1정보(즉, 6면체이면 6개의 제1정보, 12면체이면 12개의 제1정보 등)만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지만, 본 제2실시예에서는 전자표시모듈(40)을 통해 저장된 제1정보가 제공되므로 제1실시예와 같은 제한없이 보다 다양한 제1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그에 따라 더욱 흥미로우면서도 폭넓은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놀이기구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6 내지 도 7에 일 예시된 것처럼 기구케이스(10)에 베어링(50)이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학습놀이기능 이외에 스피너 기능을 더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기구케이스(10)는 중심개구(15a)의 둘레 일정 위치가 절개됨으로써, 중심개구(15a)가 형성된 케이스중심부(10a)와, 복수의 외곽개구(15b)가 형성된 케이스외측부(10b)로 분리되고, 상기 케이스중심부(10a)와 케이스외측부(10b)의 사이에 베어링(50)이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되면, 케이스중심부(10a)와 케이스외측부(10b)가 베어링(50)에 의해 연결되므로 케이스중심부(10a)를 파지한 상태에서 케이스외측부(10b)를 회전시키면 베어링(50)에 의해 케이스외측부(10b)가 케이스중심부(10a)를 축으로 하여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따라서 학습 중의 휴식시간이나 미학습 시간에 본 발명의 놀이기구를 스피너로서 활용할 수 있어 또다른 재미를 만끽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케이스중심부(10a)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케이스외측부(10b)에 회전을 인가할 수 있도록, 케이스중심부(10a)에 착탈되면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안착시켜 파지할 수 있는 파지용 캡부재(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놀이기구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타이머(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타이머는 중심개구(15a)와 외곽개구(15b) 사이의 기구케이스(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타이머를 통해 학습 제한시간 등을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에 더욱 몰입하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살펴보았는 바, 본 발명의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는 복수의 외곽주사위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제2정보와 중심주사위 또는 전자표시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제1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연산, 문자조합 등의 학습을 진행함으로써 학습자가 흥미와 재미를 느끼면서 다양한 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기구케이스 15a: 중심개구
15b: 외곽개구 20: 중심주사위
30: 외곽주사위 40; 전자표시모듈
41: 디스플레이부 44: 제어부
50: 베어링

Claims (4)

  1. 중심부에는 중심개구(15a)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개구(15a)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외곽개구(15b)가 형성된 기구케이스(10);
    상기 중심개구(15a)에 대응하여 기구케이스(10)의 중심부에 수용 위치되며, 회동에 따라 일면에 표시된 제1정보가 중심개구(15a)를 통해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중심주사위(20);
    상기 복수의 외곽개구(15b)에 각각 대응하여 기구케이스(10)의 외곽부에 수용 위치되며, 회동에 따라 일면에 표시된 제2정보가 외곽개구(15b)를 통해 선택적으로 각각 노출되는 복수의 외곽주사위(30);를 포함하는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2. 중심부에는 중심개구(15a)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개구(15a)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외곽개구(15b)가 형성된 기구케이스(10);
    상기 중심개구(15a)에 대응하여 기구케이스(10)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제1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전자표시모듈(40);
    상기 복수의 외곽개구(15b)에 각각 대응하여 기구케이스(10)의 외곽부에 수용 위치되며, 회동에 따라 일면에 표시된 제2정보가 외곽개구(15b)를 통해 선택적으로 각각 노출되는 복수의 외곽주사위(30);를 포함하는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표시모듈(40)은,
    제1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1);
    학습종류에 따른 다양한 제1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학습종류를 선택받아 설정하는 설정입력부(42);
    상기 설정입력부(42)를 통해 설정된 학습종류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제1정보가 디스플레이부(41)에 랜덤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4);를 포함하는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케이스(10)는 중심개구(15a)가 형성된 케이스중심부(10a)와, 복수의 외곽개구(15b)가 형성된 케이스외측부(10b)로 분리되며,
    상기 케이스중심부(10a)와 케이스외측부(10b) 사이에는 베어링(50)이 설치되는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KR1020190146507A 2019-11-15 2019-11-15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KR10229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507A KR102291812B1 (ko) 2019-11-15 2019-11-15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KR1020210106558A KR20210103991A (ko) 2019-11-15 2021-08-12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507A KR102291812B1 (ko) 2019-11-15 2019-11-15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558A Division KR20210103991A (ko) 2019-11-15 2021-08-12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268A true KR20210059268A (ko) 2021-05-25
KR102291812B1 KR102291812B1 (ko) 2021-08-19

Family

ID=761454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507A KR102291812B1 (ko) 2019-11-15 2019-11-15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KR1020210106558A KR20210103991A (ko) 2019-11-15 2021-08-12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558A KR20210103991A (ko) 2019-11-15 2021-08-12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18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571U (ko) * 1994-02-18 1995-09-13 강영옥 계산완구
KR960038421U (ko) * 1995-05-08 1996-12-18 임종능 학습겸용 놀이기구
KR200305507Y1 (ko) 2002-09-10 2003-03-03 황종서 사칙 연산 주사위
KR20160134886A (ko) 2015-05-13 2016-11-24 최갑숙 주사위를 이용한 수학 학습용 교구
KR20180115490A (ko) * 2017-04-13 2018-10-2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571U (ko) * 1994-02-18 1995-09-13 강영옥 계산완구
KR960038421U (ko) * 1995-05-08 1996-12-18 임종능 학습겸용 놀이기구
KR200305507Y1 (ko) 2002-09-10 2003-03-03 황종서 사칙 연산 주사위
KR20160134886A (ko) 2015-05-13 2016-11-24 최갑숙 주사위를 이용한 수학 학습용 교구
KR20180115490A (ko) * 2017-04-13 2018-10-2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LuvTrading, Naughty Fidget Spinn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991A (ko) 2021-08-24
KR102291812B1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ller et al. Learning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Cross-cultural insights into the nature and course of preschool mathematical development
US5423556A (en) Interactive computer game
Gardeli et al. ARQuest: A tangible augmented reality approach to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US7618313B2 (en) Electronic word puzzle
US7182342B1 (en) Math board game
US20060279041A1 (en) Puzzle game incorporating a rotational element and methods of playing thereof
KR101867149B1 (ko) 아동용 숫자학습 표시장치, 이를 포함하는 숫자학습 매체, 숫자학습 방법 및 숫자학습용 책자
US5639091A (en) Integer cards
KR20180092454A (ko) 한글한판 놀이 교구를 이용한 낱말 만들기 게임방법
KR20210059268A (ko)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CN202289423U (zh) 排列组合式电子智力玩具
KR101144632B1 (ko) 창의력 개발용 퍼즐 놀이기구
WO2013117173A1 (en) The game device
KR200429552Y1 (ko) 원판형 주사위
JP3222822U (ja) 知育玩具
Goldenberg et al. Early Algebra: The Math Workshop 1 Perspective
KR102001543B1 (ko) 제자해를 응용한 한글 윷놀이 기구 및 그 운영방법
JP2006350261A (ja) サイコロ型の学習装置
KR100733484B1 (ko) 영어 교육용 블럭 세트
JP3135676U (ja) 知育玩具
Esterhuizen et al. Linking Gamification, Ludology and Pedagogy: Principles to Design a Serious Game.
KR102406347B1 (ko) 큐브를 이용한 게임시스템
Beck Technology Review: Fostering College, Career, and Civics Education Using Sid Meyers Civilization in the K-12 Classroom
KR200250574Y1 (ko) 수리학습용 그림퍼즐
Littler et al. Challenging Activities for Students and Teachers (C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