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490A -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490A
KR20180115490A KR1020170047867A KR20170047867A KR20180115490A KR 20180115490 A KR20180115490 A KR 20180115490A KR 1020170047867 A KR1020170047867 A KR 1020170047867A KR 20170047867 A KR20170047867 A KR 20170047867A KR 20180115490 A KR20180115490 A KR 20180115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formation
main body
body modul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민화
원종훈
김보배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7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5490A/ko
Publication of KR2018011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글자 학습 장치는 각각이 설정된 문자에 관한 문자 정보 및 상기 문자의 타입에 관한 문자 타입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의 문자 블록들 및 상기 복수의 문자 블록들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이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이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문자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문자 정보를 단순 결합하거나,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하고, 결합된 문자 정보에 관한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본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DEVICE FOR LEARNING LETTER, BODY UNIT FOR TH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자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전달된 문자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문자 정보를 결합하고, 결합된 문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어 학습은 말소리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는 음운 인식 학습, 말소리(음소)를 표현하는 낱자를 학습하는 파닉스(phonics) 학습, 표기된 글자의 뜻을 익히는 형태소 학습이 단계적,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반복 학습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어를 학습하는 대부분의 아동들은 낱자 및 글자의 결합 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결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규칙/불규칙 원리의 결과값(소리값, 맞춤법)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글자 학습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문자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전달된 문자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문자 정보를 결합하고, 결합된 문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글자 학습 장치는 각각이 설정된 문자에 관한 문자 정보 및 상기 문자의 타입에 관한 문자 타입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의 문자 블록들 및 상기 복수의 문자 블록들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이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이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문자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문자 정보를 단순 결합하거나,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하고, 결합된 문자 정보에 관한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본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문자 블록들 각각은, 사용자의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 센싱 모듈 및 센싱된 상기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정보를 설정하는 문자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모션 센싱 모듈은,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문자 블록들 각각은,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수신된 상기 문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정보를 설정하는 문자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문자 블록들 각각은, 설정된 문자에 관한 상기 문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문자 블록들 각각은, 상기 본체 모듈의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본체 모듈과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를 통하여 설정된 문자에 관한 상기 문자 정보를 상기 본체 모듈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문자 블록들 각각은, 상기 본체 모듈과 근접하여, 상기 본체 모듈로부터 기준 근접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는 근접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 모듈은, 상기 결합된 문자 정보에 관한 상기 텍스트 정보,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 모듈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문자 정보의 결합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 모듈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타입 정보가 낱자를 나타내는 경우 제1타입으로 판단하고, 상기 문자 타입 정보가 글자, 어간, 또는 어미를 나타내는 경우 제2타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 모듈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타입 정보가 상기 제1타입인 경우 상기 문자 정보를 단순 결합하고, 상기 문자 타입 정보가 상기 제2타입인 경우 상기 문자 정보를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 모듈은, 결합된 문자에 관한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이미지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 모듈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 모듈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임의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상기 이미지에 상응하는 복수의 문자들에 대응되는 문자가 설정되어 있는 문자 블록들 모두가 상기 본체 모듈에 근접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문자 블록들 모두가 근접해 있는 경우 상기 문자 블록들로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은 복수의 문자 블록들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전달된 문자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문자 정보를 결합하고, 결합된 문자 정보에 관한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글자 학습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문자 블록들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이 결합됨에 따라, 결합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로부터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문자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정보의 결합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문자 정보를 단순 결합하거나,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하는 단계 및 결합된 문자에 관한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문자 블록들과 본체 모듈의 결합하는 과정을 통하여 음소 수준, 음절 수준, 형태소 수준 등의 각 학습단계별 목표에 따라 체계적인 한글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 모듈에 결합되는 문자 블록들 각각의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에 따라 최적화된 알고리즘으로 결합된 문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음운인식과 파닉스 활동을 동시에 학습할 수도 있고, 음운인식과 파닉스 활동을 구별하여 학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음운변동이 적용된 소리값을 듣고, 정확한 철자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활동을 통해 한글의 음운변동 규칙 및 예외사항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유의미 단어의 경우에는 관련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글자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형태소 차원의 의미결합이 가능하도록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어미에 따라 달라지는 어간을 확인함으로써 용언의 활용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글자 학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문자 블록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 블록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 모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글자 학습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글자 학습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글자 학습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글자 학습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글자 학습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글자 학습 장치의 동작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 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글자 학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글자 학습 장치(10)는 복수의 문자 블록들(100-1 ~ 100-3) 및 본체 모듈(200)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개의 문자 블록들(100-1 ~ 100-3)이 본체 모듈(200)에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문자 블록들(100-1 ~ 100-3)의 개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복수의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문자에 관한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문자에 관한 문자 정보를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본체 모듈(200)에 결합됨에 따라 설정된 문자에 관한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를 본체 모듈(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복수의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의 세부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본체 모듈(200)은 복수의 결합부(210-1 ~ 210-3), 디스플레이부(220), 및 스피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복수의 결합부(210-1 ~ 210-3)는 복수의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이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복수의 결합부(210-1 ~ 210-3)에 복수의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이 결합됨에 따라, 본체 모듈(200)과 복수의 문자블록들(100-1 ~ 100-3) 각각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은 본체 모듈(200)에 복수의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이 물리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으로부터 전달된 문자 정보를 결합하고 결합된 문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200)는 결합된 문자 정보에 관한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 정보는 정지영상과 동영상의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1영역(222), 제2영역(224), 및 제3영역(226)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영역(222)에는 결합된 문자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고, 제2영역(224)에는 결합된 문자 정보 자체에 상응하는 텍스트 정보가 표시되고, 제3영역(226)에는 결합된 문자에 상응하는 발음에 관한 텍스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스피커부(230)는 결합된 문자 정보의 발음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스피커부(230)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제3영역(226)에 표시되는 텍스트 정보에 상응할 수 있다.
본체 모듈(200) 세부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문자 블록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문자 블록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는 복수의 문자 블록들(100-1 ~ 100-3) 중에서 제1문자 블록(100-1)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으나, 나머지 문자 블록들(100-2 ~ 100-3)도 제1문자 블록(100-1)과 동일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문자 블록(100-1)은 전원부(110), 제어부(120), 무선 통신 모듈(130), 모션 센싱 모듈(140), 문자 설정부(150), 스피커부(160), 디스플레이부(170), 결합부(180), 및 근접 통신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0)는 제1문자 블록(100-1)의 각 구성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원부(100)는 별도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문자 블록(100-1)의 구성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30)은 외부의 무선 통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문자 설정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모션 센싱 모듈(140)은 제1문자 블록(100-1)을 파지한 사용자의 모션을 센싱하고, 센싱된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문자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모션 센싱 모듈(140)은 생성된 문자 설정 정보를 문자 설정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모션 센싱 모듈(140)은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 설정부(150)는 무선 통신 모듈(130) 또는 모션 센성 모듈(140)로부터 전달된 문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문자를 설정할 수 있다. 문자 설정부(150)는 설정된 문자에 관한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를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문자 블록(100-1)은 무선 통신 모듈(130)과 모션 센싱 모듈(140)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문자 설정부(150)에 의해 생성된 문자 정보에 관한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부(160)는 제어부(120)에 의해서 생성된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문자 정보에 상응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스피커부(160)는 낱자, 예컨대 'ㄱ', 'ㅏ', 'ㄴ'과 같은 자음 또는 모음 단위의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스피커부(160)는 예컨대 '간', '호', '사'와 같은 음절 단위의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20)에 의해서 생성된 텍스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문자 정보에 상응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는 제1문자 블록(100-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문자 블록(100-1)이 다면체로 구성되는 경우, 제1문자 블록(100-1)의 각각의 면에 디스플레이부(170)가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는 제1문자 블록(100-1)의 일면에 LED 배열을 통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80)는 제1문자 블록(100-1)이 본체 모듈(200)의 제1결합부(210-1)에 결합됨에 따라 본체 모듈(200)과 데이터(예컨대,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결합부(180)는 본체 모듈(200)의 제1결합부(210-1)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예컨대,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결합부(180)는 본체 모듈(200)의 제1결합부(210-1)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는 형태로 물리적으로 결합되며, 근거리 무선 통신(예컨대, NFC 통신 등)을 통하여 데이터(예컨대,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결합부(180)는 타 문자 블록(예컨대, 100-2)의 결합부와 결합되어 문자 블록들 간에 데이터(예컨대,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문자 블록(100-1)은 타 문자 블록(예컨대, 100-2)와 무선통신 모듈(130) 또는 근접 통신 모듈(190)을 통하여 데이터(예컨대,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간에 데이터(예컨대,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 문자 블록들(100-1 ~ 100-3)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 블록(예컨대, 100-1)에는 인접한 문자 블록들(예컨대, 100-2 또는 100-3)의 문자 정보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문자 설정부(150)에 의해 생성된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는 제어부(120)와 결합부(180)를 거쳐서 본체 모듈(2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체 모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체 모듈(200)은 결합부들(210-1 ~ 210-3), 제어부(215), 디스플레이부(220), 스피커부(230), 근접 통신 모듈(240), 및 결합규칙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복수의 결합부(210-1 ~ 210-3)에 복수의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이 결합됨에 따라, 본체 모듈(200)과 복수의 문자블록들(100-1 ~ 100-3) 각각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문자 블록은 본체 모듈(200)의 제1결합부(210-1)에 결합되고, 제2문자 블록은 본체 모듈(200)의 제2결합부(210-2)에 결합되고, 제3문자 블록은 본체 모듈(200)의 제3결합부(210-3)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에 복수의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이 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으로부터 전달된 문자 정보와 문자 타입 정보가 본체 모듈(200)의 제어부(215)로 전달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제어부(215)는 수신된 문자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문자 정보의 결합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결합 방식에 따라 문자 정보를 단순 결합하거나, 결합규칙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체 모듈(200)의 제어부(215)는 문자 타입 정보가 낱자(예컨대, 자음 또는 모음)를 나타내는 경우 제1타입으로 판단하고, 문자 타입 정보가 글자(예컨대, 음절 단위), 어간 또는 어미를 나타내는 경우 제2타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 모듈(200)의 제어부(215)는 제1타입의 경우 문자 정보를 단순 결합하고, 제2타입의 경우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단순 결합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문자를 단순히 이어 붙여 조합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결합규칙에 따른 결합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문자가 단순히 이어 붙여 조합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맞춤법 규칙에 따라 변형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 예에 따라,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하는 경우에도 단순 결합의 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체 모듈(200)의 제어부(215)가 문자 정보를 단순 결합하는 경우, 제어부(215)는 결합규칙 저장부(250)에 저장된 결합규칙을 전혀 이용하지 않고 문자 정보를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본체 모듈(200)의 제어부(215)가 결합규칙에 따라 문자 정보를 결합하는 경우, 결합규칙 저장부(250)에 저장된 결합규칙을 이용하여 문자 정보를 결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15)에서 결합된 문자 정보에 관한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스피커부(230)는 결합된 문자 정보의 발음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근접 통신 모듈(240)은 본체 모듈(200)에 근접하여, 본체 모듈(200)로부터 기준 근접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문자 블록들(예컨대, 100-2, 100-3)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하여 임의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됨에 따라, 본체 모듈(200)의 제어부(215)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상응하는 복수의 문자들에 대응되는 문자가 설정되어 있는 문자 블록들 모두가 근접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제어부(215)는 판단 결과 상기 문자 블록들 모두가 근접해 있는 경우, 상기 문자 블록들로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글자 학습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문자 타입 정보가 낱자, 예컨대 'ㄱ', 'ㅏ', 'ㄴ'과 같은 자음 또는 모음을 나타내는 경우의 동작 예이다.
'ㄱ'으로 문자 설정된 제1문자 블록(100-1)은 본체 모듈(200)의 제1결합부(210-1)에 결합된 채로 제1문자 블록(100-1)의 상면에 '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ㅏ'로 문자 설정된 제2문자 블록(100-2)은 본체 모듈(200)의 제2결합부(210-2)에 결합된 채로 제2문자 블록(100-2)의 상면에 'ㅏ'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ㄴ'으로 문자 설정된 제3문자 블록(100-3)은 본체 모듈(200)의 제3결합부(210-3)에 결합된 채로 제3문자 블록(100-3)의 상면에 상면에 '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 타입 정보가 낱자를 나타내므로, 본체 모듈(200)의 제어부(215)는 각 문자 정보를 단순 결합하여 '간'이라는 결합된 문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영역(222)에는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의 문자가 결합된 '간'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2영역(224)에는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의 문자가 결합된 '간'에 상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3영역(226)에는 별도의 텍스트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글자 학습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문자 타입 정보가 음절 단위의 글자를 나타내는 경우, 예컨대 '간', '호', '사'인 경우의 동작 예이다.
'간'으로 문자 설정된 제1문자 블록(100-1)은 본체 모듈(200)의 제1결합부(210-1)에 결합된 채로 제1문자 블록(100-1)의 상면에 '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호'로 문자 설정된 제2문자 블록(100-2)은 본체 모듈(200)의 제2결합부(210-2)에 결합된 채로 제2문자 블록(100-2)의 상면에 '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로 문자 설정된 제3문자 블록(100-3)은 본체 모듈(200)의 제3결합부(210-3)에 결합된 채로 제3문자 블록(100-3)의 상면에 '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 타입 정보가 음절 단위의 글자를 나타내므로, 본체 모듈(200)의 제어부(215)는 각 문자 정보를 결합 규칙에 따라 결합하여 '간호사'라는 결합된 문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영역(222)에는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의 문자가 결합된 '간호사'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2영역(224)에는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의 문자가 결합된 '간호사'에 상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3영역(226)에는 별도의 텍스트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글자 학습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6는 문자 타입 정보가 어간, 어미의 문자를 나타내는 경우, 예컨대 '걷', '다'인 경우의 동작 예이다.
'걷'으로 문자 설정된 제1문자 블록(100-1)은 본체 모듈(200)의 제1결합부(210-1)에 결합된 채로 제1문자 블록(100-1)의 상면에 '걷'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로 문자 설정된 제2문자 블록(100-2)은 본체 모듈(200)의 제2결합부(210-2)에 결합된 채로 제2문자 블록(100-2)의 상면에 '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 타입 정보가 어간, 어미의 글자를 나타내므로, 본체 모듈(200)의 제어부(215)는 각 문자 정보를 결합 규칙에 따라 결합하여 '걷다'라는 결합된 문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영역(222)에는 별도의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2영역(224)에는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의 문자가 결합된 '걷다'에 상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3영역(226)에는 '걷다'에 상응하는 발음 정보에 관한 텍스트, 예컨대 '거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글자 학습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7는 문자 타입 정보가 어간, 어미의 문자를 나타내는 경우, 예컨대 '걷', '어요'인 경우의 동작 예이다.
'걷'으로 문자 설정된 제1문자 블록(100-1)은 본체 모듈(200)의 제1결합부(210-1)에 결합된 채로 제1문자 블록(100-1)의 상면에 '걷'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어요'로 문자 설정된 제2문자 블록(100-2)은 본체 모듈(200)의 제2결합부(210-2)에 결합된 채로 제2문자 블록(100-2)의 상면에 '어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 타입 정보가 어간, 어미의 글자를 나타내므로, 본체 모듈(200)의 제어부(215)는 각 문자 정보를 결합 규칙에 따라 결합하여 '걸어요'라는 결합된 문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영역(222)에는 별도의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2영역(224)에는 문자 블록들(100-1 ~ 100-3) 각각의 문자가 결합된 '걸어요'에 상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3영역(226)에는 '걸어요'에 상응하는 발음 정보에 관한 텍스트, 예컨대 '거러요'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글자 학습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예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에서, 본체 모듈(200)은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하여 임의의 이미지, 예컨대 우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 모듈(200)의 제어부(215)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예컨대,우산 이미지)에 상응하는 복수의 문자들(예컨대,'우','산')에 대응되는 문자가 설정되어 있는 문자 블록들 모두가 근접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제어부(215)는 판단 결과 상기 문자 블록들(예컨대, 제2문자 블록(100-2), 제3문자 블록(100-3)) 모두가 근접해 있는 경우, 해당 문자 블록들(100-2, 100-3)로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 디스플레이된 임의의 이미지(예컨대, 우산)를 보고, 상기 이미지에 상응하는 복수의 문자 블록들(100-2, 100-3)을 본체 모듈(200)에 가까이 가져올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하는 모든 문자 블록들(100-2, 100-3)을 본체 모듈(200)에 가까이 가져온 경우, 본체 모듈(200)로부터 전송된 알림 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 블록들(100-2, 100-3)은 해당 학습과정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표시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문자 블록들(100-2, 100-3)에 구성되어 있는 LED가 점멸하는 형태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글자 학습 장치의 동작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문자 블록들(예컨대, 100-1 ~ 100-3)은 본체 모듈(200)의 결합부(210-1 ~ 210-3)에 결합될 수 있다(S10).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문자 블록들(예컨대, 100-1 ~ 100-3)은 본체 모듈(200)의 결합부(210-1 ~ 210-3)에 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문자 블록들(예컨대, 100-1 ~ 100-3) 각각에서 설정된 문자에 상응하는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를 본체 모듈(2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은 결합된 문자 블록들(예컨대, 100-1 ~ 100-3)의 문자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문자 정보의 결합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S12).
실시 예에 따라, 본체 모듈(200)은 문자 타입 정보가 낱자(예컨대, 자음 또는 모음)를 나타내는 경우 제1타입으로 판단하고, 문자 타입 정보가 글자(예컨대, 음절 단위), 어간 또는 어미를 나타내는 경우 제2타입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의 판단 결과 문자 타입 정보가 제1타입인 경우, 본체 모듈(200)은 문자 정보를 단순 결합할 수 있다(S14).
본체 모듈(200)의 판단 결과 문자 타입 정보가 제2타입인 경우, 본체 모듈(200)은 문자 정보를 결합 규칙에 따라 결합할 수 있다(S16).
실시 예에 따라, 결합 규칙은 일반 규칙, 불규칙 변화, 및 예외 규칙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모듈(200)은 S14 단계 또는 S16 단계에 따라 결합된 문자에 관한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S18).
실시 예에 따라, 본체 모듈(200)은 텍스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하고, 음성 정보는 스피커부(230)를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실시 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글자 학습 장치
100-1 ~ 100-3 : 문자 블록
200 : 본체 모듈
180, 210-1 ~ 210-3 : 결합부
170, 220 : 디스플레이부
160, 230 : 스피커부

Claims (15)

  1. 각각이 설정된 문자에 관한 문자 정보 및 상기 문자의 타입에 관한 문자 타입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의 문자 블록들; 및
    상기 복수의 문자 블록들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이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이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문자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문자 정보를 단순 결합하거나,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하고, 결합된 문자 정보에 관한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본체 모듈을 포함하는, 글자 학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문자 블록들 각각은,
    사용자의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 센싱 모듈; 및
    센싱된 상기 사용자의 모션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정보를 설정하는 문자 설정부를 포함하는, 글자 학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싱 모듈은,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포함하는, 글자 학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문자 블록들 각각은,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수신된 상기 문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정보를 설정하는 문자 설정부를 포함하는, 글자 학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문자 블록들 각각은,
    설정된 문자에 관한 상기 문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글자 학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문자 블록들 각각은,
    상기 본체 모듈의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본체 모듈과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를 통하여 설정된 문자에 관한 상기 문자 정보를 상기 본체 모듈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글자 학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문자 블록들 각각은,
    상기 본체 모듈과 근접하여, 상기 본체 모듈로부터 기준 근접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는 근접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글자 학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모듈은,
    상기 결합된 문자 정보에 관한 상기 텍스트 정보,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글자 학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모듈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문자 정보의 결합 방식을 결정하는, 글자 학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모듈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타입 정보가 낱자를 나타내는 경우 제1타입으로 판단하고, 상기 문자 타입 정보가 글자, 어간, 또는 어미를 나타내는 경우 제2타입으로 판단하는, 글자 학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모듈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타입 정보가 상기 제1타입인 경우 상기 문자 정보를 단순 결합하고,
    상기 문자 타입 정보가 상기 제2타입인 경우 상기 문자 정보를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하는, 글자 학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모듈은,
    결합된 문자에 관한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이미지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글자 학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모듈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 모듈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임의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상기 이미지에 상응하는 복수의 문자들에 대응되는 문자가 설정되어 있는 문자 블록들 모두가 상기 본체 모듈에 근접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문자 블록들 모두가 근접해 있는 경우 상기 문자 블록들로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글자 학습 장치.
  14. 복수의 문자 블록들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전달된 문자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문자 정보를 결합하고, 결합된 문자 정보에 관한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15. 복수의 문자 블록들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이 결합됨에 따라, 결합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문자 블록들로부터 문자 정보 및 문자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문자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문자 정보의 결합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문자 정보를 단순 결합하거나, 결합규칙에 따라 결합하는 단계; 및
    결합된 문자에 관한 텍스트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음성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자 학습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70047867A 2017-04-13 2017-04-13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80115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867A KR20180115490A (ko) 2017-04-13 2017-04-13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867A KR20180115490A (ko) 2017-04-13 2017-04-13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490A true KR20180115490A (ko) 2018-10-23

Family

ID=6410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867A KR20180115490A (ko) 2017-04-13 2017-04-13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54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04025A (zh) * 2019-12-31 2020-05-05 北京一起教育信息咨询有限责任公司 一种字词闪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59268A (ko) * 2019-11-15 2021-05-25 강화업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268A (ko) * 2019-11-15 2021-05-25 강화업 학습용 주사위 놀이기구
CN111104025A (zh) * 2019-12-31 2020-05-05 北京一起教育信息咨询有限责任公司 一种字词闪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mien et al. Elders using smartphones–a set of research based heuristic guidelines for designers
US20180011687A1 (en) Head-mounted displa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head-mounted display device
JP2006234907A (ja) 音声認識方法
US20190108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lingual interactive self-learning
US90282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sition of literacy
KR20090054882A (ko) 결합 정보를 출력하는 교육용 완구
Berger et al. Smart google glass solution used as education support tool
Akkara et al. Smartphone apps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KR102224977B1 (ko) 아동학습용 한글 교육 방법
KR20180115490A (ko) 글자 학습 장치, 상기 글자 학습 장치용 본체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
Chuckun et al. Enabling the Disabled using mHealth
KR20170009486A (ko) 청크 기반 언어 학습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KR100765371B1 (ko) Tts를 이용한 한글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6063B1 (ko) 한글 학습 장치
KR20100035770A (ko) 영어 학습장치 및 방법
Hennig Natural user interfaces and accessibility
Berent et al. What we know about what we have never heard before: Beyond phonetics: Reply to Peperkamp
KR102479035B1 (ko) 청각장애인용 언어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2616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한글학습 시스템
KR20170009487A (ko) 청크 기반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Nasrany et al. S2LV—A sign to letter and voice converter
KR20160044670A (ko) 언어 교육 교구, 언어 교육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4350669A1 (en) Virtual sign language system
KR20230039086A (ko) 국어 맞춤법 퀴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705115B2 (en) Phonetic keyboard and system to facilitate communication in Engli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