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103A - 카테터 내측 튜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측 튜브 - Google Patents

카테터 내측 튜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측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103A
KR20210059103A KR1020190145722A KR20190145722A KR20210059103A KR 20210059103 A KR20210059103 A KR 20210059103A KR 1020190145722 A KR1020190145722 A KR 1020190145722A KR 20190145722 A KR20190145722 A KR 20190145722A KR 20210059103 A KR20210059103 A KR 2021005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nner tube
polyethylene
polyolefi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875B1 (ko
Inventor
강척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스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스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스플렉스
Priority to KR102019014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8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lubricating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2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9/049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61M2025/0046Coatings for improving slidability
    • A61M2025/0047Coatings for improving slidability the inner layer having a higher lubr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22Materials for reducing fri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카테터의 내측 튜브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카테터의 내측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안티블록킹제 및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는 의료용 카테터의 내측 튜브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소재로 한 인체에 삽입되는, 특히 내시경에 삽입되는 카테터 부속 중 구동되는 내측(inner) 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가공시 다이잔유물(die deposit)의 발생이 적고, 외측(outer) 튜브 내에서 전후진시 마찰이 적어서 슬립성이 우수하며, 또한 친수성 코팅 후 코팅액의 부착력이 우수하여 의료용 카테터의 내측 튜브 소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테터 내측 튜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측 튜브{Resin composition for catheter inner tube and inner tube using same}
본 발명은 의료용 카테터의 내측 튜브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카테터의 내측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안티블록킹제 및 실리콘계 수지를 혼합한 후 성형하여 제조되고, 낮은 마찰력과 친수성 코팅의 지속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카테터의 내측 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catheter)는 의료용 소재를 이용, 압출 성형하여 만든 얇은 관으로 질병을 치료하거나 수술할 목적으로 인체에 삽입하는 도관을 통칭하는 것이라 할 수 있고, 카테터는 심혈관계, 비뇨기계, 소화기계 등 다양한 임상 분야에서 응용되어 진단 및 시술에 사용되고 있다.
카테터 중에서 내시경용으로 사용되는 카테터는 내시경으로 관찰 후 병변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기구물에 사용이 되며, 구조는 열가소성 수지로 된 내외측 튜브로 구성이 되어 내측 튜브가 외측 튜브 내에 전후진을 하면서 사용이 된다.
이 튜브의 길이가 대체로 2M 정도가 되며 의사는 사용시 튜브가 길어서 둥글게 2 ~ 3번 정도 말아서 시술을 하는데, 둥글게 말려 있어서 전진 후진시 부하를 더 많이 받게 되어 슬립성이 매우 필요하게 된다.
인체 내 삽입 시술시 사용되는 대부분의 카테터는 그 소재가 폴리에틸렌, 폴리플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아미드에스터, 폴리우레탄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써 소수성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로 만든 카테터는 인체 도관 내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압력이 필요하고, 인체 내 도관은 인체 내에서 일정한 형태나 각도로 분포되어 있지 않아, 도관 내 원활한 삽입을 위해서는 카테터 표면에 충분한 윤활성을 부여하여야 한다. 게다가 이러한 윤활성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는 카테터를 인체 도관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카테터가 인체 도관의 내벽과 마찰하여 도관의 천공 또는 분리, 도관 내 세포나 조직을 손상하는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보고되어 있다. 이에 일반적으로 카테터에서 인체 내에 삽입되는 부분만은 친수성 고분자를 코팅하여 사용하여 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 간에 마찰력을 감소하기 위해서 슬립성을 확보하는 방법으로는 기존에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아마이드 등 저분자량의 슬립제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상당히 개선될 수 있으나, 그 효과의 지속성에서 문제가 있으며, 또한 폴리아마이드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아마이드 등 다른 열가소성 수지와 달리 폴리올레핀인,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든 카테터의 경우 무극성인 이유로 특히 상기의 저분자량의 슬립제가 표면에 이행되어 WBL(weakly bounded layer)을 형성하여 전술된 친수성 코팅이 도막으로써 유지 특성이 저하되고, 지속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시술중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슬립성을 부여 하는 다른 방법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계열을 첨가제로서 마스터 배치를 투입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슬립성의 지속은 어느 정도 유지는 되고, 또한 친수성 코팅이 어느 정도 유지는 되나, 만족할 수준은 되지 못하고, 가공시 다이 라인이 생기고, 다이 잔유물(die deposit)생겨서 불량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이물질로 카테터에 혼입되는 경우도 발생되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저분자량의 슬립제를 사용하여 만든 내측 튜브는 인체 외에서 구동하는 부분으로 하고 슬립제를 사용하지 않은 내측 튜브는 친수성 코팅을 실시하여 인체 내에 도관에 삽입하는 형태를 융착하는 방법을 고안했으나, 복잡한 공정과 불량의 발생 또한 융착불량으로 인한 사고의 가능성으로 개발을 배제하였다.
상기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하여 인체 도관 내에 카테터를 삽입하기 전, 수용성 윤활제를 카테터 표면에 발라 윤활성을 부여하는 경우도 있지만 카테터를 인체 도관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인체 도관 내에 존재하고 있는 수용성의 체액에 의해 분해, 분리되어 카테터와 인체 도관 내벽 사이의 마찰력이 다시 회복될 가능성이 있어 카테터 삽입 시 용이한 조작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공시 다이 잔유물(die deposit)의 발생이 적고 외측(outer) 튜브 내에서 전·후진 시 마찰이 적고 또한 친수성 코팅 후 코팅액의 부착력이 우수한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67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070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1767호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안티블록킹제 및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는 낮은 마찰력과 친수성 코팅 지속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소재로 이용한 우수한 슬립성과 친수성 코팅 특성을 가지는 의료용 카테터의 내측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
극성기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0.5 ~ 10 중량부;
블로킹 방지제 0.1 ~ 1 중량부; 및
실리콘계 수지 0.5 ~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용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 극성기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0.5 ~ 10 중량부; 블로킹 방지제 0.1 ~ 1 중량부; 및, 실리콘계 수지 0.5 ~ 5 중량부;를 혼합한 후 제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용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을 포함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을 블렌딩 또는 압출하여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
b) 얻어진 펠렛을 튜브 성형기의 호퍼에 투입하여 압출하는 단계;
c) 압출된 튜브를 냉각 수조에서 냉각시켜 성형하는 단계; 및
d) 냉각된 튜브를 권취 또는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을 이용한 카테터용 튜브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을 이용한 카테터용 튜브를 포함하는 카테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내측(inner)튜브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다공성 실리카와 분자량 한정된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극성기를 함유한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가공시 다이 잔유물(die deposit)의 발생이 적고, 성형한 내부(inner) 튜브가 외측(outer) 튜브 내에서 전후진시 마찰이 적으며, 또한 친수성 코팅 후 코팅액의 부착력이 우수하다.
종래 열가소성 수지로 만든 카테터가 슬립성이 낮고, 여기에 저분자량의 습립제를 첨가하는 경우 효과의 지속성이 낮으며, 일반적인 폴리올레핀 수지로 만든 카테터가 다이 잔유물이 발생되고 친수성 코팅이 지속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여 가공성, 슬립성 및 친수성 코팅 지속성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여기서, 상기 카테터는 끝단을 손으로 잡고 누르면 내측튜브가 전진되면서 끝단의 주사침이 나오는 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제품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
극성기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0.5 ~ 10 중량부;
블로킹 방지제 0.1 ~ 1 중량부; 및
실리콘계 수지 0.5 ~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용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극성기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은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로써 에틸렌에 1종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것으로써, 상기 공중합체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등을 예로 들수 있다.
상기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 성분의 함량이 5 ~ 20중량%인 것 바람직하며, 5 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친수성 코팅의 유지 특성을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특성만큼 만족하기 힘들며, 20중량% 초과의 경우 가공시 다이의 금속면과 친화력이 있어서, 다이쪽에 정체되어 변색되는 스코치(scotch)가 발생이 될 수 있고, 이것이 다시 내측 튜브에 혼입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공중합체 함량은 0.5 ~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4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만족할만한 친수성 코팅 유지력이 확보할 수 없고, 10 중량부 초과에서는 가공된 제품에서 냄새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극성기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로 산(acid)이나 무수물(anhydride)이 있는 공중합체나 그라프트 조성물은 기재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발휘하여 박리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나, 금속과의 접착력이 강한 이유로 압출기 내에 정체되어 gel이 쉽게 발생되어 가공에 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독성이 있는 저분자량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에 제한이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블록킹 방지제는 평균 입자 크기가 2 ~ 10 ㎛로 될 수 있고, 입자의 겉보기 밀도(bulk density)가 0.4 ~ 0.5 g/ml로 될 수 있으며, 평균 기공크기가 8 ~ 15Å인 파우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이 가능한 블록킹 방지제로는 실리카계 블로킹방지제를 포함한다. 다공성 실리카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평균 입자 크기는 3 ~ 6 ㎛가 될 수 있고, 단위 중량당 기공의 부피가 0.5 ~ 0.8 ml/g으로 될 수 있으며, 이때 SiO2의 함량은 99%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올라이트계 블록킹제도 사용이 가능한데, 특징으로는 80 ~ 200 ㎥의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고, 이로서 상기 제올라이트계 블로킹 방지제는 블록킹 방지제의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잉여의 실리콘계 수지를 포집하거나,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실리콘수지에서 저분자량를 포집하여 과량의 실리콘 저분자량체가 표면으로 나오지 않게 하여 표면 슬립성을 유지하는 효과와 튜브를 유통 및 보관시에 표면 실리콘 농도가 감소하게 될 때, 다공질 내에 포집된 실리콘이 추가로 배출되어 일정하게 표면의 실리콘의 농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방지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중량부 ~ 1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로킹 방지제가 0.1 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블록킹 방지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블록킹방지제의 혼련에 문제가 되어 물성저하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콘계 수지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페닐 실록산, 폴리디메틸페닐실록산, 폴리프로필렌-실리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실리콘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혹은 2종 이상 일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수지의 분자량은 10만 내지 60만이 바람직하고, 30만 내지 50만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60만 초과일 경우 실리콘계 수지가 혼련이 좋지 못해 발생되는 다이라인(die line)이 많이 관찰되고, 10만 미만일 경우 급속히 슬립성이 올라가는 특징이 있으나, 슬립성의 지속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중량부 ~ 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 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슬립성이 발현이 충분히 되지 못해서 장착시 마찰이 많이 발생되고, 5 중량부 초과에서는 친수성 코팅의 지속에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 극성기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0.5 ~ 10 중량부; 블로킹 방지제 0.1 ~ 1 중량부; 및, 실리콘계 수지 0.5 ~ 5 중량부;를 혼합한 후 제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용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극성기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은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로써 에틸렌에 1종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것으로써, 상기 공중합체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공중합체 함량은 0.5 ~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4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만족할만한 친수성 코팅 유지력이 확보할 수 없고, 10 중량부 초과에서는 가공된 제품에서 냄새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블록킹 방지제는 평균 입자 크기가 2 ~ 10 ㎛로 될 수 있고, 입자의 겉보기 밀도(bulk density)가 0.4 ~ 0.5 g/ml로 될 수 있으며, 평균 기공크기가 8 ~ 15Å인 파우더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블로킹 방지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중량부 ~ 1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로킹 방지제가 0.1 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블록킹 방지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블록킹방지제의 혼련에 문제가 되어 물성저하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페닐 실록산, 폴리디메틸페닐실록산, 폴리프로필렌-실리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실리콘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혹은 2종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중량부 ~ 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 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슬립성이 발현이 충분히 되지 못해서 장착시 마찰이 많이 발생되고, 5 중량부 초과에서는 친수성 코팅의 지속에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을 포함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을 블렌딩 또는 압출하여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
b) 얻어진 펠렛을 튜브 성형기의 호퍼에 투입하여 압출하는 단계;
c) 압출된 튜브를 냉각 수조에서 냉각시켜 성형하는 단계; 및
d) 냉각된 튜브를 권취 또는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측(inner) 튜브용 폴리올레핀계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의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 코-니더(co-kneader), 롤 밀(roll mill), 일축 또는 이축 압출기, 등을 이용해서 내측 튜브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조성물 성형온도는 180℃ ~ 260℃에서, 바람직하게는 190℃ ~ 24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을 이용한 카테터용 튜브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을 이용한 카테터용 튜브를 포함하는 카테터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 실시예 1>
롯데케미칼사의 랜덤폴리프로필렌인 SB520 (MI =1.8) 100 중량부에 에틸렌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다우사 엘발로이 AC 1209를 3 중량부 사용하였으며, 상기 엘발로이 AC 1209은 메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이 9%이며 용융지수는 2(190 ℃ 2.16kg)인 수지이다. 여기에, 블록킹 방지제로 그래이스사 Sylobloc S500 0.5 중량부와 분자량(500,000)인 폴리디메틸실록산 중합체 3 중량부를 투입하여 니더기를 사용하여 혼합하여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압출기로 내측(inner) 튜브를 생산하면서, 생산성 평가와 슬립성 평가를 진행하였고, 이를 다시 친수성 코팅을 한 후 친수성코팅 유지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 실시예 2>
롯데케미칼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BL5200 (MI =0.3)를 사용하였고, BL5200 100 중량부에 에틸렌 에틸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인 다우사의 엘발로이 2615을 4 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에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은 15%에 용융지수 6(190 ℃ 2.16kg)인 수지이다. 이를 니더(kneader)를 사용하여 140 ~ 180℃에서 용융혼합 하면서, 블록킹 방지제제인 Sylobloc S500 0.7 중량부와 분자량(500,000)인 폴리디메틸실록산 중합체를 2중량부를 투입하여 니더기를 사용하여 혼합하여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압출기로 내측(inner) 튜브를 생산하면서, 생산성 평가와 슬립성 평가를 진행하였고, 이를 다시 친수성 코팅을 한 후 친수성코팅 유지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랜덤 폴리프로필렌인 SB520 100 중량부에 대해서 연질인 폴리올레핀 탄성체 LC160(MI =1) 4 중량부를 헨셀 믹서에서 혼합하면서, 블록킹 방지제로 그래이스사 Sylobloc S500 0.5 중량부와 분자량(500,000)인 폴리디메틸실록산 중합체 3 중량부를 투입하여 니더기를 사용하여 혼합한 후,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이를 다시 상기 <실시예 1>의 압출성형기로 내측(inner)튜브를 완성하였다.
성형된 튜브를 예시된 가공성, 슬립성, 친수성 코팅 유지특성을 측정하였다.
<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롯데케미칼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BL5200(MI =0.3)를 사용하였고, 상기 BL5200 100 중량부에 에틸렌 에틸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인 다우사의 엘발로이 2615을 4 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에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은 15%에 용융지수 6(190 ℃ 2.16kg)인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를 니더(kneader)를 사용하여 140 ~ 180℃에서 용융혼합하면서, 블록킹 방지제제인 Sylobloc S500 0.5 중량부와 슬립제인 에루카 아미드 0.4 중량부를 투입하여 니더기를 사용하여 혼합한 후,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이를 다시 실시예 1의 압출성형기로 내측(inner)튜브를 완성하였다.
성형된 튜브를 예시된 가공성, 슬립성, 친수성 코팅 유지특성을 측정하였다.
<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내측 튜브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가공성, 슬립성, 친수성 코팅 유지특성을 측정하였다.
(가공성 평가)
압출기를 사용하여 내경 2 ㎜, 두께 0.2 ㎜으로 150 rpm, 3 m/분 선속으로 2시간 이상 압출하면서, 다이 데포지(die deposit)의 발생 유무와 웰드라인, 겔이 발생되는지 관찰하였고, 육안으로 평가하여 전혀 발생이 없는 경우에는 우수(◎), 미세하게 생겨서 사용에 무리가 없는 경우 양호(○), 조금 생기는 경우 보통(△)으로 평가하고, 많이 발생되는 경우를 불량(X)으로 평가하였다.
( 슬립성 평가)
성형된 1 m의 내측 튜브를 공차 0.001 ㎜되도록 0.2 m 외측(outer) 튜브에 장착하여 전후진 10회 전후진 실험 후, 11회 전후진 실험시 무리 없이 되는가를 평가하였으며, 매우 미끄럽게 전후진이 되는 경우에는 우수(◎), 전후진시 무리는 없으나 약간 걸리는 느낌이 있는 경우 양호(○), 전후진시 변형이 약간 발생될 정도로 보통(△), 내측튜브가 변형이 많이 되면 불량(X)으로 평가하였다.
(친수성 코팅 유지 특성)
압출 가공된 튜브를 친수성 코팅한 후, 생리식염수에 침지한 다음, 부드러운 융으로 0.1N의 힘으로 15회 반복하여 표면을 융으로 닦아서 물기를 제거한 후, 다시 생리식염수에 침지하였다. 이때 묻어있는 물기의 상태를 보고 코팅의 유지 상태를 평가하여 우수(◎), 양호(○), 보통(△), 불량(X)으로 평가를 하였다.
성형된 튜브들에 대한 가공성, 슬립성, 친수성코팅 유지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PP 100 100
HDPE 100 100
EMA 3
EEA 4 4
POE 4
A/B 0.5 0.7 0.5 0.5
실록산 3 2 3
슬립제 0.4
가공성
슬립성
코팅 지속성 △~X X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0)

  1.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
    극성기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0.5 ~ 10 중량부;
    블로킹 방지제 0.1 ~ 1 중량부; 및
    실리콘계 수지 0.5 ~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용 폴리에틸렌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용 폴리에틸렌계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은 에틸렌 단량체에 1종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공중합된 에틸렌-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용 폴리에틸렌계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에틸렌 단량체 및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함량이 각각 95 ~ 80 중량% 및 5 ~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용 폴리에틸렌계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방지제는 실리카계 블로킹 방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용 폴리에틸렌계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계 블로킹 방지제는 평균 입자 크기는 3 ~ 6 ㎛이고, 단위 중량당 기공의 부피가 0.5 ~ 0.8 ml/g이며, SiO2의 함량은 99% 이상인 다공성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용 폴리에틸렌계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페닐 실록산, 폴리디메틸페닐실록산, 폴리프로필렌-실리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실리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용 폴리에틸렌계 조성물.
  8.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 극성기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0.5 ~ 10 중량부; 블로킹 방지제 0.1 ~ 1 중량부; 및, 실리콘계 수지 0.5 ~ 5 중량부;를 혼합한 후 제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용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을 포함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
  10. a)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에틸렌계 조성물을 블렌딩 또는 압출하여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
    b) 얻어진 펠렛을 튜브 성형기의 호퍼에 투입하여 압출하는 단계;
    c) 압출된 튜브를 냉각 수조에서 냉각시켜 성형하는 단계; 및
    d) 냉각된 튜브를 권취 또는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테터 내측(inner) 튜브의 제조방법.
KR1020190145722A 2019-11-14 2019-11-14 카테터 내측 튜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측 튜브 KR102309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722A KR102309875B1 (ko) 2019-11-14 2019-11-14 카테터 내측 튜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측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722A KR102309875B1 (ko) 2019-11-14 2019-11-14 카테터 내측 튜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측 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103A true KR20210059103A (ko) 2021-05-25
KR102309875B1 KR102309875B1 (ko) 2021-10-12

Family

ID=7614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722A KR102309875B1 (ko) 2019-11-14 2019-11-14 카테터 내측 튜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측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7578A (zh) * 2022-09-13 2022-10-18 山东百多安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全显影抗粘黏硅胶引流条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8540A (ja) * 1987-12-29 1989-07-14 Mitsubishi Cable Ind Ltd 医療用チューブ成形用組成物
US5366645A (en) * 1991-05-18 1994-11-22 W. R. Grace & Co.-Conn. Anti-blocking agent containing modified amorphous silica
KR100900701B1 (ko) 2008-01-03 2009-06-05 최길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척추후굴복원용 풍선 카테터의 제조방법
KR101000698B1 (ko) * 2006-05-31 2010-12-10 보레알리스 테크놀로지 오와이. 고분자량 분포를 가진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KR101326791B1 (ko) 2006-05-31 2013-11-08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카테터용 튜브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카테터
JP5776604B2 (ja) * 2012-03-30 2015-09-09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
KR101814917B1 (ko) * 2016-05-11 2018-01-04 김경숙 압출코팅용 저밀도 폴리에틸렌 조성물
KR20180101767A (ko) 2017-03-06 2018-09-14 김도연 카테터용 조성물,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중심 정맥 카테터 및 혈관 내 튜브 카테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8540A (ja) * 1987-12-29 1989-07-14 Mitsubishi Cable Ind Ltd 医療用チューブ成形用組成物
US5366645A (en) * 1991-05-18 1994-11-22 W. R. Grace & Co.-Conn. Anti-blocking agent containing modified amorphous silica
KR101000698B1 (ko) * 2006-05-31 2010-12-10 보레알리스 테크놀로지 오와이. 고분자량 분포를 가진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KR101326791B1 (ko) 2006-05-31 2013-11-08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카테터용 튜브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카테터
KR100900701B1 (ko) 2008-01-03 2009-06-05 최길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척추후굴복원용 풍선 카테터의 제조방법
JP5776604B2 (ja) * 2012-03-30 2015-09-09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
KR101814917B1 (ko) * 2016-05-11 2018-01-04 김경숙 압출코팅용 저밀도 폴리에틸렌 조성물
KR20180101767A (ko) 2017-03-06 2018-09-14 김도연 카테터용 조성물,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중심 정맥 카테터 및 혈관 내 튜브 카테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97578A (zh) * 2022-09-13 2022-10-18 山东百多安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全显影抗粘黏硅胶引流条
CN115197578B (zh) * 2022-09-13 2022-11-22 山东百多安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全显影抗粘黏硅胶引流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875B1 (ko)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1330B1 (en) Lubricious compound and medical device made of the same
US5686527A (en) Polymeric compositions for medical packaging and devices
JPH04210064A (ja) 湿潤時に潤滑性のある医療用物品
JP5897470B2 (ja) 医療用チューブ物品
AU2009237669B2 (en) Improved medical device with hydrophilic coating
CN105694333A (zh) 柔性管材和用于形成该材料的方法
CA2580439A1 (en) Lubricious compound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using hydrophilic polymers
KR20210059103A (ko) 카테터 내측 튜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측 튜브
US20060240253A1 (en) Guidewire and tube with lubricious coating
WO2013148273A1 (en) Lubricious medical tubing
EP1592382B1 (en) Medical container
JP2001252348A (ja) 医療用チューブ
US20240093028A1 (en) Thermoplastic Elastomer De-Tackifier Additive and Compounds
JPH07125158A (ja) 医療容器用基材
US20060241000A1 (en) Lubricious compound and medical device made of the same
WO2024043909A1 (en) Thin wall lubricious polyethylene liners
WO2022006391A1 (en) Packaging bag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H0956808A (ja) 医療用チューブ
JPH04132739A (ja) 軟質チューブ
JP2001226506A (ja) 多孔性フィルム
EP1479723A1 (de) Polypropylenionomere für Folien mit antistatischen und/oder nicht taubildenden Eigenschaften
JPH07125159A (ja) 医療容器用基材
JP2001247699A (ja) 多孔性フィルム
JPS62148546A (ja) 難燃性オレフイン重合体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