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820A - 서포터 - Google Patents

서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820A
KR20210058820A KR1020217005821A KR20217005821A KR20210058820A KR 20210058820 A KR20210058820 A KR 20210058820A KR 1020217005821 A KR1020217005821 A KR 1020217005821A KR 20217005821 A KR20217005821 A KR 20217005821A KR 20210058820 A KR20210058820 A KR 20210058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upporter
wearer
anchor portion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지 이이다
나가타 이쓰오
유키히로 호소에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이이다쿠쓰시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이이다쿠쓰시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44Cuff portions
    • A41D19/0048Cuff portions with cuff secu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7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손목 관절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다섯 손가락 중 임의의 한 손가락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손가락용 서포터를 제공한다. 통형 생지의 상단(10a)에 형성되고, 착용자의 팔뚝 손목 부분에 상기 통형 생지를 체결시키는 제1 앵커부(2)와, 상기 통형 생지의 타단측에서의 주회 부분의 2점을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회 부분을 2개의 상이한 크기의 개구부(12a), (12b)로 하는 제2 앵커부(3)와, 상기 제2 앵커부(3)와 상기 제1 앵커부(2)를 연결하고, 다섯 손가락 중 작은 쪽의 개구부(12a)에 삽통되는 임의의 손가락 하나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서포터
본 발명은, 착용자의 다섯 손가락 중 임의의 한 손가락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
손목 관절용의 서포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에 나타낸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기술은, 손목 관절 서포터(10)가, 착용자의 팔뚝에 상기 통형(筒形) 편지(編地; stich fabric)를 체결시키는 제1 앵커부(anchor part)(2)와, 착용자의 손의 제1 손가락(21)을 삽통시켜, 상기 제1 손가락(21)의 기절골(基節骨)(21b)에 대응하는 부분을 주회(周回)하는 제2 앵커부(3)와, 제1 앵커부(2) 및 제2 앵커부(3) 사이에 편성(編成)되고, 착용자의 손바닥 측의 제2 앵커부(3)로부터, 착용자의 손바닥 측을 경유하여, 착용자의 두상골(豆狀骨)(26)에 대응하는 부분을 통하고, 착용자의 손바닥 측을 경유하여, 착용자의 손바닥 측의 제1 앵커부(2)까지 연장되는, 나선형의 편지로 이루어지는 제1 지지부(4)와, 통형 편지 중 제1 앵커부(2), 제2 앵커부(3) 및 제1 지지부(4)를 제외한 편지이며, 상기 편지의 신축(伸縮) 저항이 제1 지지부(4)의 신축 저항보다 작은 베이스 생지부(1)를 구비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에 나타낸 기술은, 손목 관절 서포터(10)가, 팔뚝에 통형 편지를 체결시키는 제1 앵커부(2)와, 손바닥 및 등에 통형 편지를 체결시키는 제2 앵커부(3)와, 통형 편지에서의 제2 앵커부(3) 근방에 대략 원형 형상의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고, 손의 제1 손가락을 삽통(揷通)시키는 홀 앵커부(11)와, 통형 편지의 정면 및/또는 배면측에 손목 중 손목 관절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시켜 편성되고, 제1 앵커부(2) 및 홀 앵커부(11)에 연결하여, 손목 관절을 지지하는 지지부(4)를 포함하고, 통형 편지의 주위 방향에서의 제1 앵커부(2)의 신축 저항이, 통형 편지의 주위 방향에서의 베이스 생지부(1)의 신축 저항보다 크고,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에서의 지지부(4)의 신축 저항이, 통형 편지의 길이 방향에서의 베이스 생지부(1)의 신축 저항보다 큰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3-104139호 공보 일본 특허 제5543496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기술은,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이 삽통되는 제2 앵커부를 통형 편지에 눈금선을 형성하여 재단(裁斷) 에지를 통형 편지의 내측으로 되접어 미싱에 의해 봉제(縫製)하고 있으므로, 봉제 부분이 착용자의 제1 손가락 표면을 자극하여, 착용감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 봉제 부분을 통형 편지를 봉제하지 않고 편물에 의해 편성해도 된다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지만, 제2 앵커부를 편물에 의해 별도로 편성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고, 편성할 수 있다고 해도 매우 복잡하며 제조 효율이 나쁜 것으로 되어 버린다.
특허문헌 2에 나타낸 기술은, 손목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손목 관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지만, 손목의 내전(內轉), 외전(外轉)의 움직임이나 손가락의 지절 간 관절에서의 굴신(屈伸; bending and stretching) 동작을 억제함으로써 손목이나 임의의 손가락 하나를 지지하는 근육이나 관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손목 관절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임의의 손가락 하나를 지지하는 근육이나 관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서포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는, 통형 생지(生地)의 일단측에 형성되고, 착용자의 팔뚝 손목 부분에 상기 통형 생지를 체결시키는 제1 앵커부와, 상기 통형 생지의 타단측에서의 주회 부분의 2점을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회 부분을 2개 이상의 상이한 크기의 개구부로 하는 제2 앵커부와, 상기 제2 앵커부와 상기 제1 앵커부와의 사이에 지지되고, 다섯 손가락 중 작은 쪽의 개구부에 삽통되는 임의의 손가락 하나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에 있어서는, 통형 생지의 일단측에 형성되고, 착용자의 팔뚝 손목 부분에 상기 통형 생지를 체결시키는 제1 앵커부와, 상기 통형 생지의 타단측에서의 주회 부분의 2점을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주회 부분을 2개의 상이한 크기의 개구부로 하는 제2 앵커부와, 상기 제2 앵커부와 상기 제1 앵커부와의 사이에 지지되고, 다섯 손가락 중 작은 쪽의 개구부에 삽통되는 임의의 손가락 하나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구비하므로, 제1 지지부에 의해 착용자의 손목이나 손가락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임의의 손가락 하나의 지절 간 관절에서의 굴신 동작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를 지지하는 근육이나 관절에 대한 부담을 경감하여, 건초염(tenosynovitis) 등의 염증(炎症)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는, 상기 제2 앵커부가, 상기 통형 생지의 타단측에서의 주회 부분의 2점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에 있어서는, 제2 앵커부가, 통형 생지의 타단측에서의 주회 부분의 2점을 연결하여 형성되므로, 앵커부로서의 기능을 실현하면서, 간단한 작업만으로 상이한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는, 상기 제2 앵커부가, 착용자의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의 중수지절관절(中手指節關節)과 근위(近位) 지절 간 관절 또는 지절 간 관절과의 사이의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앵커부가, 착용자의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의 중수지절관절과 근위 지절 간 관절 또는 지절 간 관절과의 사이의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지지부에 의해, 임의의 손가락 하나의 중수지절관절과 근위 지절 간 관절 또는 지절 간 관절과의 사이의 위치에 대하여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를 손바닥 측으로부터 등 측으로 지지하는 장력(張力)이 가해져, 임의의 손가락 하나의 손바닥 측에서의 근육이나 관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는,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제2 앵커부의 근방으로부터 착용자의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의 일측면 및/또는 타측면을 통하여 제1 앵커부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제2 앵커부의 근방으로부터 착용자의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의 일측면 및/또는 타측면을 통하여 제1 앵커부에 지지되므로, 착용자의 임의의 손가락 하나를 안정화시키는 동시에, 임의의 손가락 하나에 대하여 등 측으로 충분한 장력을 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는, 상기 제2 앵커부로부터 착용자의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의 등 측의 중수지절관절까지의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제1 지지부보다 적어도 상기 통형 생지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저항이 작은 생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앵커부로부터 착용자의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의 등 측의 중수지절관절까지의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제1 지지부보다 적어도 상기 통형 생지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저항이 작은 생지로 형성되므로, 착용자의 임의의 손가락 하나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체결되지 않아,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는,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가 제1 손가락이며, 착용자의 제5 손가락의 외측에 대응하는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에 있어서는,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가 제1 손가락이며, 착용자의 제5 손가락의 외측에 대응하는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므로, 제1 손가락의 안정화에 더하여 제5 손가락 측도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손 전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가 손목을 양측으로부터 지지하여 손목의 내전, 외전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손목의 건초염 등의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는, 제2 앵커부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상이한 크기의 상기 개구부 중 큰 쪽의 개구부가, 상기 제2 앵커부로부터 상기 큰 쪽의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있어서 상기 제2 앵커부와 대향하는 위치의 손목 측을 향해 경사 방향으로 직선형 또는 손목 측으로 만곡시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에 있어서는, 제2 앵커부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상이한 크기의 상기 개구부 중 큰 쪽의 개구부가, 상기 제2 앵커부로부터 상기 큰 쪽의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있어서 상기 제2 앵커부와 대향하는 위치의 손목 측을 향해 경사 방향으로 직선형 또는 손목 측으로 만곡시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키보드 등의 손끝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개구부를 손목 측으로 만곡시켜 형성함으로써, 개구부의 에지부를 엄지기부(母指球)의 표면을 따르도록 밀착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안정된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는, 상기 제2 앵커부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상이한 크기의 상기 개구부 중 작은 쪽의 개구부가, 적어도 상기 통형 생지에서의 상기 제1 앵커부의 측면보다 상기 통형 생지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에 있어서는, 제2 앵커부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상이한 크기의 상기 개구부 중 작은 쪽의 개구부가, 적어도 상기 통형 생지에서의 상기 제1 앵커부의 측면보다 상기 통형 생지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한 영역에 형성되므로, 예를 들면, 작은 쪽의 개구부에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이 삽통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은 신장되었을 때 손등 측으로 휨 되돌림이 있고, 확장부가, 그 제1 손가락의 휨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작은 쪽의 개구부에 착용자의 제2 손가락∼제5 손가락 중 어느 하나가 삽통된 경우에는, 상기 작은 쪽의 개구부에 삽통된 손가락 하나에 대하여 등 측으로의 장력이 커져, 상기 손가락 하나를 손등 측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는, 상기 제2 앵커부가, 상기 통형 생지의 타단측에서의 주회 부분의 내측 중 적어도 2점을 접착한 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봉제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에 있어서는, 제2 앵커부가, 통형 생지의 타단측에서의 주회 부분의 내측의 2점을 접착한 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봉제하여 형성되므로, 주회 부분의 2점을 봉제했을 때의 솔기가 착용자의 손가락에 접촉하여 착용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서포터의 6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제1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제2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제3 도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제1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제2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제3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6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 배면도를 생략하고 있지만, 배면도는 정면도를 좌우 반전(反轉)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는, 주로 손가락용의 서포터이며, 다섯 손가락 중 임의의 손가락 하나(예를 들면, 제1 손가락)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손가락용 서포터(10)는, 예를 들면, 양말편기(예를 들면, 로나티사 제조의 편물 기종)에 의해 환편(丸編)으로 편물(編入)되는 통형 편지로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신체 표면에 밀착되어 착용자의 손이나 제1 손가락의 동작을 보조하는 동시에, 착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서포터이다.
손가락용 서포터(10)는, 표사(表紗), 이사(裏絲) 및 고무실을 편사(編絲)로 하고, 평편(平編), 리브편, 턱편(tuck stitch), 부편(浮編) 또는 파일편(pile stich) 등으로 편성되어 이루어지는 편지인 베이스 생지부(1)에 대하여, 상이한 편물을 행함으로써, 테이핑(taping) 기능 등의 원하는 기능성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베이스 생지부(1)는, 턱편에 의해 편성되는 편지(이하, 턱편지라고 함)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손가락용 서포터(10)가, 환편으로 편물되는 통형 편지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환편 이외에도 경편(經編)이나 봉제에 의해 형성되어도 되고, 또한 통형 편지는, 편지 이외에도 직지(織地)라도 되고, 이들에 사용하는 실은 천연 섬유 외에, 화학 섬유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손가락용 서포터(10)는, 통형 편지의 일단(一端)[상단(上端)](10a)을 주회하여 편성되고, 착용자의 팔뚝 손목 부분에 손가락용 서포터(10)를 체결시키는 제1 앵커부(2)를 구비한다. 이 제1 앵커부(2)는, 손가락용 서포터(10)(통형 편지)의 주위 방향 H에서의 신축 저항이, 손가락용 서포터(10)의 베이스 생지부(1)에서의 주위 방향 H의 신축 저항보다 크게 편성되어 있다. 즉, 소재에 신장(伸長)을 주지 않는 상태로부터 일정한 신장을 준 경우의 장력을 F로 하고, 손가락용 서포터(10)의 베이스 생지부(1)에서의 주위 방향 H의 장력을 FH1로 하고, 손가락용 서포터(10)의 제1 앵커부(2)에서의 주위 방향 H의 장력을 FH2로 한 경우에, 제1 앵커부(2)가 베이스 생지부(1)와 비교하여, 손가락용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으로 강한 체결력을 가지는, FH2>FH1이라고 하는 대소(大小)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앵커부(2)는, 대편(袋編)의 이중 구조로 함으로써, 또는 씨드 스티치(seed stitch)로 편성된 편지[이하, 씨드 스티치 편지(編地)라고 함]로 함으로써, 턱편지의 베이스 생지부(1)에 대하여, 손가락용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에서의 신축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씨드 스티치 편지란, 코스 방향 및 골(wale) 방향으로, 평편과 턱[어떤 코스에서 스티치를 탈출시키지 않고, 그 후의 코스에서 복수 루프를 탈출시키는 조직(組織)]이 교호적(交互的)으로 또는 수(數) 코스마다 나타나는 편지이다. 그러므로, 제1 앵커부(2)에는, 평편과 턱을 병용함으로써, 편지의 표면에 융기나 틈새를 만들어 눈을 만들 수가 있어, 씨드 스티치와 같은 망눈 무늬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제1 앵커부(2)는, 착용자의 팔뚝 손목 부분을 주회하여 편성되고, 손가락용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에서의 신축 저항이, 손가락용 서포터(10)의 주위 방향 H에서의 베이스 생지부(1)의 신축 저항보다 큰 것에 의해, 착용자의 팔뚝 손목 부분에 손가락용 서포터(10)를 고정시키고, 손목 관절의 장굴(掌屈; palmar flexion) 시나 손가락의 굴신 동작에서의 손가락용 서포터(10)의 상단(10a)의 흘러내림이나 밀려올라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앵커부(2)는, 후술하는 제1 지지부(4)를 지지하고, 이 제1 지지부(4)의 앵커로서도 기능한다.
손가락용 서포터(10)는, 통형 편지의 타단[하단(下端)](10b)의 개구부를 통형 편지의 내측으로 되접어 미싱으로 봉제함으로써 정면에서 볼 때 S자형으로 되는 안단 부분(12)이 형성되어 있다. 형성된 안단 부분(12)에서의 주회 부분의 2점을 봉착하고, 이 봉착에 의해 하단(10b)의 개구부를 2개의 상이한 크기의 개구부[개구부(12a), (12b)]로 하는 제2 앵커부(3)를 구비한다. 이 때, 안단 부분(12)의 내측의 2점을 접착한 상태에서, 안단 부분(12)의 외측으로부터 봉제하여 제2 앵커부(3)를 형성함으로써, 봉제했을 때의 솔기가 착용자의 손가락에 직접 접촉하여 착용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제2 앵커부(3)는, 도 2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의 중수지절관절과 지절 간 관절과의 사이의 위치에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1 지지부(4)의 장력에 의해, 제1 손가락이 확장되는 방향[손목이 외전하는 방향(확장 방향 X)]으로 힘이 작용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 때, 예를 들면, 제2 앵커부(3)가 제1 손가락의 지절 간 관절보다 손가락끝의 위치로 되면, 손목을 외전시키기 위한 장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제2 앵커부(3)가 제1 손가락의 중수지절관절의 위치로 되면, 제1 지지부(4)의 장력이, 제1 손가락이 폐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버려 역효과로 된다. 따라서, 제2 앵커부(3)는,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의 중수지절관절과 지절 간 관절과의 사이의 위치로 되는 것이 적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12a)는,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을 삽통하기 위한 개구부이며, 개구부(12b)는, 착용자의 제2 손가락으로부터 제5 손가락[제2 손가락(집게손가락(示指), 집게손가락), 제3 손가락(중지(中指), 제4 손가락(약지(藥指), 제5 손가락(새끼손가락(小指)]을 삽통하기 위한 개구부이다. 즉, 제1 손가락이 삽통되는 개구부(12a) 쪽이, 제2 손가락으로부터 제5 손가락이 삽통되는 개구부(12b)보다 작아지도록 제2 앵커부(3)의 봉착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개구부(12a)는, 제1 앵커부(2)의 측면보다 통형 편지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부(12c)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확장부(12c)는, 통형 편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편성되어도 되고, 편지의 신축성(伸縮性)을 이용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생지를 재단함으로써 확장부(12c)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은 신장되었을 때 손등 측으로 휨 되돌림되고, 확장부(12c)는, 그 제1 손가락의 휨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손가락으로부터 제5 손가락이 삽통되는 개구부(12b)는, 제2 앵커부(3)로부터 착용자의 제5 손가락 측의 측면의 손목 측을 향해 경사 방향으로 직선형 또는 손목 측으로 만곡시켜 형성되어 있다. 만일, 개구부(12b)가 이와 같이 제2 앵커부(3)로부터 착용자의 제5 손가락 측의 측면의 손목 측을 향해 경사 방향으로 봉제되지 않을 경우에는, 착용자의 손가락용 서포터(10)의 하단(10b)이 제2 손가락으로부터 제5 손가락의 동작을 제한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어, PC의 키보드 조작 등에 지장을 초래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개구부(12b)를 제2 앵커부(3)로부터 착용자의 제5 손가락 측의 측면의 손목 측을 향해 경사 방향으로 봉제함으로써, 제2 손가락으로부터 제5 손가락의 동작을 자유롭게 하여,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개구부(12b)를 제2 앵커부(3)로부터 착용자의 제5 손가락 측의 측면의 손목 측을 향해 경사 방향으로 손목 측으로 만곡시켜 형성한 경우에는, 개구부(12b)의 에지부가 착용자의 엄지기부(23)의 표면을 따르도록 하여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제1 손가락을 손바닥 측으로 굴곡시킨 경우라도 엄지기부(23)와 편지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하지 않고, 밀착시켜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개구부(12a)에 있어서 확장부(12c)를 형성하는 동시에, 개구부(12b)를 제2 앵커부(3)로부터 착용자의 제5 손가락 측의 측면의 손목 측을 향해 경사 방향으로 직선형 또는 손목 측으로 만곡시켜 형성함으로써, 안단 부분(12)이 정면에서 볼 때 S자형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착용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4)는, 제2 앵커부(3) 근방으로부터 착용자의 제1 손가락에서의 한쪽의 측면으로부터 루트(root) 부분의 영역(제1 손가락에서의 등 측의 측면 및 루트 부분의 영역으로서, 이후, 제1 영역이라고 함)(24a) 및/또는 다른 쪽의 측면으로부터 루트 부분의 영역(제1 손가락에서의 손바닥 측의 측면 및 루트 부분의 영역으로서, 이후, 제2 영역이라고 함)(24b)을 통하여 제1 앵커부(2)에 지지되고,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을 상기 제1 손가락이 확장하는 방향[손목이 외전하는 방향(확장 방향 X)]으로 지지한다. 즉, 제1 지지부(4)는, 일단측이 착용자의 팔뚝 손목 부분에서의 제1 앵커부(2)의 근방에서 지지되는 동시에, 타단측이 제2 앵커부(3)의 근방에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4)는, 일단측을 제1 앵커부(2)에 직접 연결하여 형성되어도 되고, 1 또는 복수 코스[제1 앵커부(2)의 지지력이 미치는 범위 내]를 두고 지지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타단측을 제2 앵커부(3)에 직접 연결하여 형성되어도 되고, 제2 앵커부(3)의 근방[제2 앵커부(3)의 지지력이 미치는 범위 내]에서 지지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 제1 지지부(4)는, 손가락용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신축 저항이, 손가락용 서포터(10)의 베이스 생지부(1)에서의 길이 방향 L의 신축 저항보다 크게 편성되어 있다. 즉, 손가락용 서포터(10)의 베이스 생지부(1)에서의 길이 방향 L의 장력을 FL1로 하고, 손가락용 서포터(10)의 제1 지지부(4)에서의 길이 방향 L의 장력을 FL2로 한 경우에, 제1 지지부(4)가 베이스 생지부(1)와 비교하여, 손가락용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로 강한 체결력을 가지는, FL2>FL1이라고 하는 대소 관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 지지부(4)를, 턱편과 첨사편(添絲編)을 병용한 편지(이하, 턱편·첨사 편지라고 함)로 함으로써, 턱편지의 베이스 생지부(1)에 대하여, 손가락용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신축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턱편·첨사 편지에서는, 턱편의 지편사(地編絲) 외에 다른 편사[예를 들면, 울리(wooly) 나일론사]를 첨가하여 급실함으로써, 손가락용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제1 지지부(4)의 신축을 적당히 억제하고 있고, 제1 지지부(4)와 베이스 생지부(1)와의 경계에 있어서 다른 편사를 커팅하고 있다[컷보스(cutboss)].
또한, 제1 지지부(4)는, 제2 앵커부(3) 근방으로부터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의 제1 영역(24a)을 통하여 제1 앵커부(2)에 지지됨으로써, 손바닥을 가로 방향으로 한 경우에, 제1 손가락이 탈진에 의해 아래쪽으로 내리는 것을 제1 영역(24a) 측으로부터 지지하여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손가락을 위쪽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제1 손가락을 지지하는 관절이나 근육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1 지지부(4)가, 제2 앵커부(3) 근방으로부터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의 제2 영역(24b)을 통하여 제1 앵커부(2)에 지지됨으로써, 손바닥을 가로 방향으로 한 경우에, 제1 손가락이 탈진에 의해 아래쪽으로 내리는 것을 제2 영역(24b) 측으로부터 지지하여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손가락을 위쪽으로 들어올려, 제1 손가락을 지지하는 관절이나 근육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제1 지지부(4)를, 제2 앵커부(3) 근방으로부터 제1 영역(24a) 및 제2 영역(24b)을 통하여, Y자형, V자형 또는 U자형, 그 외에 제1 손가락의 외측 부분을 제외하도록 한 각종 형태, 예를 들면, 등 측 및 손바닥 측을 각각 지나는 영역이 결합하지 않고 2개의 라인으로서 형성되는 형태 등으로 하여 제1 앵커부(2)에 지지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손바닥을 가로 방향으로 한 경우에, 보다 효과적으로 제1 손가락을 위쪽으로 들어올리고, 제1 손가락을 지지하는 관절이나 근육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손가락용 서포터(10)의 정면측 및 배면측이 대칭의 관계로 되므로, 왼손용 및 오른손용의 서포터로서 겸용할 수 있다.
제1 지지부(4)는, 제2 앵커부(3)로부터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의 등 측의 중수지절관절까지의 대응하는 제1 손가락 맞닿음 영역(13)이, 제1 지지부(4)보다 신축 저항이 작은 생지로 편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4)보다 신축 저항이 작은 생지로서, 예를 들면, 베이스 생지부(1)와 동일한 생지라도 되고, 베이스 생지부(1)보다 더 신축 저항이 작은 생지라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손가락 맞닿음 영역(13)이 제1 지지부(4)보다 신축 저항이 작은 생지로 편성됨으로써, 안단 부분(12)을 미싱으로 봉제할 때 편지 이송을 행함으로써, 더욱 확실하게 제1 손가락의 휨에 적응한 확장부(12c)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만일 제1 손가락 맞닿음 영역(13)의 생지를 제1 지지부(4)와 같은 신축 저항의 생지로 편성한 경우라도, 안단 부분(12)을 봉제할 때의 편지 이송에 의해 확장부(12c)의 형성은 가능하지만, 보다 확실하고 또한 고품질로 확장부(12c)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1 손가락 맞닿음 영역(13)이, 제1 지지부(4)보다 신축 저항이 작은 생지로 편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손가락 맞닿음 영역(13)이, 제1 지지부(4)보다 신축 저항이 작은 생지로 편성됨으로써, 제1 손가락의 등 측에 맞닿은 부분의 생지가 유연성이 높은 것으로 되어,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는, 제1 손가락 맞닿음 영역(13)을 제1 손가락의 등 측에서 볼 때 Y자형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제1 지지부(4)가, 제2 앵커부(3)로부터 제1 손가락의 등 측의 중수지절관절까지를 지지하는 구조이면, 제1 손가락 맞닿음 영역(1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지지부(5)는, 착용자의 제5 손가락 측 측면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제1 앵커부(2)로 지지하고, 착용자의 제5 손가락 측을 지지한다. 이 제2 지지부(5)는, 손가락용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서의 신축 저항이, 손가락용 서포터(10)의 베이스 생지부(1)에서의 길이 방향 L의 신축 저항보다 크게 편성되어 있다. 즉, 손가락용 서포터(10)의 베이스 생지부(1)에서의 길이 방향 L의 장력을 FL1으로 하고, 손가락용 서포터(10)의 제2 지지부(5)에서의 길이 방향 L의 장력을 FL3로 한 경우에, 제2 지지부(5)가 베이스 생지부(1)와 비교하여, 손가락용 서포터(10)의 길이 방향 L에 강한 체결력을 가지는, FL3>FL1이라고 하는 대소 관계를 가진다. 이와 같이, 제2 지지부(5)는, 착용자의 제5 손가락 측 측면으로부터 제1 지지부(4)와 개구부(12b)와의 사이에서 지지함으로써, 과도한 외전을 억제하여 가동(可動) 범위를 제한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지지부(4)와의 협동 작용에 의해 손 및 손목의 지지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 지지부(5)의 신축 저항은, 제1 지지부(4)의 신축 저항과 동일하게 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손 및 손목의 양측에서 지지하여 내전·외전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는 동시에, 제1 지지부(4)와 제2 지지부(5)를 동일한 편지로 동일한 단계에서 편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손가락용 서포터에 있어서는, 환편으로 편물되는 통형 편지의 일단측에 착용자의 팔뚝 손목 부분에 상기 통형 편지를 체결시키는 제1 앵커부(2)와, 상기 통형 편지의 타단측에서의 주회 부분의 2점을 봉착해 형성되고, 상기 봉착에 의해 상기 주회 부분을 2개의 상이한 크기의 개구부(12a), (12b)로 하는 제2 앵커부(3)와, 상기 제2 앵커부(3)와 상기 제1 앵커부(2)와의 사이에 지지되고, 다섯 손가락 중 작은 쪽의 개구부에 삽통되는 제1 손가락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4)를 구비하므로, 제1 지지부(4)에 의해 착용자의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를 지지하여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를 지지하는 근육이나 관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앵커부(3)가,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의 손바닥 측의 중수지절관절과 지절 간 관절과의 사이의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지지부(4)에 의해, 제1 손가락의 중수지절관절과 지절 간 관절과의 사이의 위치에 대하여 상기 제1 손가락을 손바닥 측으로부터 등 측으로 지지하는 장력이 가해져, 제1 손가락의 손바닥 측에서의 근육이나 관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4)가, 제2 앵커부(3)로부터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의 일측면 및/또는 타측면을 통하여 등 측의 제1 앵커부(2)에 연결하므로,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1 손가락에 대하여 등 측으로 충분한 장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앵커부(3)로부터 착용자의 제1 손가락의 등 측의 중수지절관절까지의 대응하는 영역이, 제1 지지부(4)보다 신축 저항이 작은 생지로 편성되므로, 착용자의 제1 손가락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체결되지 않으므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제5 손가락의 외측에 대응하는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5)를 구비하므로, 제1 손가락의 안정화에 더하여 제5 손가락 측도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손 전체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앵커부(3)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상이한 크기의 상기 개구부(12a), (12b) 중, 착용자의 제2 손가락으로부터 제5 손가락이 삽통되는 큰 쪽의 개구부(12b)가, 제2 앵커부(3)로부터 착용자의 제5 손가락 측의 측면의 손목 측을 향해 경사 방향으로 직선형 또는 S자형으로 편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키보드 등의 손끝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개구부(12b)를 S자형으로 편성함으로써, 개구부(12b)의 에지부를 엄지기부의 표면을 따르도록 밀착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안정된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는, 제2 지지부(5)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상기 제2 지지부(5)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손가락용 서포터에 대하여, 도 1,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손가락용 서포터는, 상기 제1 실시예에 관한 손가락용 서포터와 마찬가지의 것이지만(도 1),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경우와는 달리, 개구부(12a)에 제1 손가락 이외의 임의의 손가락 하나가 삽통된 경우라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손가락용 서포터가 작은 쪽의 개구부(12a)에 제2 손가락을 삽통하여 착용한 경우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 있어서는, 개구부(12a)에 제2 손가락을 삽통하는 경우를 기재하고 있지만, 그 외의 제1 손가락(제1 실시예에 기재), 제3 손가락, 제4 손가락 또는 제5 손가락 중 어느 것을 삽입해도 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쪽의 개구부(12a)에 어느 손가락을 삽통하는 경우라도, 제2 앵커부(3)는, 착용자의 손안 지절 관절과 근위 지절 간 관절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장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개구부(12a)에 삽통된 각 손가락 및 손목을 손등 측으로 효과적으로 들어올려, 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은 쪽의 개구부(12a)에 삽통하는 손가락은, 다섯 손가락 중 임의의 1개 또는 2개의 손가락으로 하고, 큰 쪽의 개구부(12b)에 다른 손가락이 삽통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손가락용 서포터에 있어서는, 다섯 손가락 중 어느 손가락이라도 개구부(12a)에 삽통하는 것이 가능해져, 착용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하는 탄성사(elastic yarn)는, 폴리우레탄계, 폴리에테르 에스테르계의 탄성사로,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탄성사에서는, 건식(乾式) 방사(紡絲) 또는 용융 방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폴리머나 방사 방법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사의 파단(破斷) 신장도는 400%∼1000% 정도인 것으로, 또한 신축성이 우수하고, 염색 가공 시의 세트 단계의 통상 처리 온도 115℃ 부근에서 신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사에, 특수 폴리머나 분체(粉體) 첨가에 의해, 고세트성, 항균성, 흡습(吸濕), 흡수성 등의 기능성을 부여한 탄성사도 사용 가능하다. 탄성사의 섬도(纖度)에 대해서는, 10∼1000dt 정도의 섬유의 사용이 가능하며, 편지 제조가 용이한, 20∼700dt 정도의 탄성 섬유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사에 비탄성사를 권취한 커버링사(covering yarn)나, 또는 연사(撚絲)한 실, 비탄성사와 탄성사를 공기 분사에 의해 혼섬한 혼섬사(混纖絲) 등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비탄성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 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섬유, 또한 큐프라나 레이온, 면, 죽섬유(竹纖維)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 양모 등의 짐승의 털 섬유 등, 온갖 섬유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브라이트사, 세미달사, 풀달사 등 임의로 사용할 수 있고, 섬유의 단면(斷面) 형상도 환형(丸型), 타원형, W형, 누에고치형, 중공사(中空絲) 등 임의의 단면 형상의 섬유의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섬유의 형태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사(原絲), 가연(假撚) 등의 권축 가공사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긴 섬유, 방적사, 2종 이상의 섬유를 연사, 커버링, 에어 혼섬 등에 의해 혼합한 복합사로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섬유에서의 혼합이 아니고, 편기(編機) 상에서 2종 이상의 섬유의 혼합도 물론 가능하며, 위편기(緯編機)에서는, 2종 이상의 섬유를 각각에 대응하는 급사구(給絲口)를 준비하여 편성하면 된다. 섬유의 굵기에 대해서는, 20∼160dt 정도의 섬유의 사용이 가능하며, 편지의 파열(破裂) 강도나 두께감으로부터, 20∼150dt 정도의 섬유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면이나 양모 사용 시는 각각 환산식에 따라 사용 섬유의 굵기를 구하면 된다.
또한, 지지부(4) 및 지지부(5)는, 예를 들면, 나일론 표사 및 고무 이사를 사용하여 평편에 의해 편성되어도 된다. 필요에 따라 FTY(Filament Twisted Yarn) 이사가, 지지부(4) 및 지지부(5)에 편입(編入; braid)되어도 된다. 또한, 개구부(12a),(12b)는, 리브편(rib stich)에 의해 편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손가락용 서포터(10)의 재질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 레이온, 아크릴, 큐프라, 아세테이트, 프로믹스, 아라미드(aramid), 실리콘 등의 화학 섬유; 면, 양모, 견, 마, 레이온 등의 천연 섬유; 천연 고무; 폴리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손가락용 서포터(10)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신축성이 풍부한 탄성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스티렌계,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계, PVC계, 불소계의 것 등) 및 고무(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고무 등)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손가락용 서포터(10)에서 사용하고 있는 실의 단면은, 환단면(丸斷面), 이형(異形) 단면(예를 들면, 삼각형의 각이 둥글고 변이 내측으로 오목한 곡선형으로 되어 있는 등)이라도 된다.
또한, 제1 앵커부(2)는, 스파이럴 메시(mesh)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 생지부
2; 제1 앵커부
3; 제2 앵커부
4; 제1 지지부
5; 제2 지지부
10; 손가락용 서포터
10a 상단
10b; 하단
12; 안단 부분
12a, 12b; 개구부
12c; 확장부
13; 제1 손가락 맞닿음 영역
13a; 제2 손가락 맞닿음 영역
23; 엄지기부
24a; 제1 영역
24b; 제2 영역

Claims (9)

  1. 통형(筒形) 생지(生地)의 일단측에 형성되고, 착용자의 팔뚝 손목 부분에 상기 통형 생지를 체결시키는 제1 앵커부(anchor part);
    상기 통형 생지의 타단측에서의 주회(周回) 부분을 2개의 상이한 크기의 개구부로 하는 제2 앵커부; 및
    상기 제2 앵커부와 상기 제1 앵커부 사이에 지지되고, 다섯 손가락 중 작은 쪽의 개구부에 삽통(揷通)되는 임의의 손가락 하나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를 포함하는, 서포터(support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앵커부가, 상기 통형 생지의 타단측에서의 주회 부분의 2점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서포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앵커부가, 착용자의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의 중수지절관절(中手指節關節)과 근위(近位) 지절 간 관절 또는 지절 간 관절과의 사이의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서포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제2 앵커부의 근방으로부터 착용자의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의 일측면 및/또는 타측면을 통하여 제1 앵커부에 지지되는, 서포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앵커부로부터 착용자의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의 등 측의 중수지절관절까지의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제1 지지부보다 신축(伸縮) 저항이 작은 생지로 형성되는, 서포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손가락 하나가 제1 손가락이며,
    착용자의 제5 손가락의 외측에 대응하는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서포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앵커부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상이한 크기의 상기 개구부 중 큰 쪽의 개구부가, 상기 제2 앵커부로부터 상기 큰 쪽의 개구부의 주위 에지에 있어서 상기 제2 앵커부와 대향하는 위치의 손목 측을 향해 경사 방향으로 직선형 또는 손목 측으로 만곡시켜 형성되어 있는, 서포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앵커부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상이한 크기의 상기 개구부 중 작은 쪽의 개구부가, 적어도 상기 통형 생지에서의 상기 제1 앵커부의 측면보다 상기 통형 생지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서포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앵커부가, 상기 통형 생지의 타단측에서의 주회 부분의 내측의 2점을 접착한 상태로 외측으로부터 봉제(縫製)하여 형성되는, 서포터.
KR1020217005821A 2018-09-13 2019-09-13 서포터 KR202100588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71890 2018-09-13
JP2018171890 2018-09-13
PCT/JP2019/036028 WO2020054832A1 (ja) 2018-09-13 2019-09-13 サポータ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820A true KR20210058820A (ko) 2021-05-24

Family

ID=6977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821A KR20210058820A (ko) 2018-09-13 2019-09-13 서포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606985B2 (ko)
EP (1) EP3821737A4 (ko)
JP (1) JP7474444B2 (ko)
KR (1) KR20210058820A (ko)
CN (1) CN112672659B (ko)
PH (1) PH12021550321A1 (ko)
RU (1) RU2771116C1 (ko)
SG (1) SG11202101432UA (ko)
TW (1) TWI832896B (ko)
WO (1) WO20200548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43654A (ja) * 2022-09-20 2024-04-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操作用スリー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3496B2 (ko) 1976-02-14 1980-11-06
JP2013104139A (ja) 2011-11-11 2013-05-30 Molten Corp 手関節サポ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9610A (en) * 1958-06-02 1960-08-23 Lutsky Sidney Bowling glove
JPS6327418U (ko) * 1986-08-08 1988-02-23
US4781178A (en) * 1987-02-06 1988-11-01 Gordon Kevin M Orthopedic glove
JPH01129209U (ko) * 1988-02-24 1989-09-04
JP2603769B2 (ja) * 1991-05-22 1997-04-23 株式会社 ワコール 人体の体表面に圧接して着用されるテ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下腿部用サポーター
JPH0751140B2 (ja) * 1992-12-24 1995-06-05 泰一郎 岩倉 腱鞘炎予防手袋
DE4328116C1 (de) * 1993-08-20 1995-01-19 Ebert Sybille Germas Prod Handschuh
US6155084A (en) 1996-10-11 2000-12-05 World Fibers, Inc Protective articles made of a composite fabric
JP2002173802A (ja) * 2000-12-07 2002-06-21 Kuwahara Knit:Kk 靴下及び手袋
US7275267B2 (en) * 2002-09-30 2007-10-02 Devaraj Thiruppathi Tennis glove
CA2418711A1 (en) * 2003-02-11 2004-08-11 Justin A. Salomon Thumb protector and method of protecting a thumb
JP3104396U (ja) * 2004-04-01 2004-09-16 株式会社ナカイ ハンドウオーマー
US7966670B2 (en) * 2005-10-25 2011-06-28 Joint Protection Products Llc Multipurpose glove
US7537577B2 (en) * 2005-01-03 2009-05-26 Carolyn Hoyne Phelan Low-profile, radial nerve splint with interchangeable resilient digit extensor elements and supination adjustment means
US20070293797A1 (en) * 2006-06-16 2007-12-20 Aurelia Koby Wrist support device
TWM356398U (en) 2008-06-12 2009-05-11 Philla Ind Inc Improved structure of hand protecting device
TWI501756B (zh) * 2010-01-22 2015-10-01 Kowa Co Hand joint support belt
US8702634B2 (en) * 2011-06-01 2014-04-22 Wiltse Parker Crompton Modular upper extremity support system
JP3179565U (ja) * 2012-08-24 2012-11-08 木原産業株式会社 手首サポータ
JP6375472B2 (ja) * 2014-04-12 2018-08-15 清美 中川 手袋
TWM485716U (zh) 2014-05-23 2014-09-11 Mei-Yi Li 用於復健的肢體支撐與固定輔具
US10722393B2 (en) * 2016-03-09 2020-07-28 Gizmo Medical Llc Hand orthoses
EP3260091A1 (de) * 2016-06-24 2017-12-27 Pattke, Jörg Handorthese
EP3287103A1 (en) * 2016-08-22 2018-02-28 Njoy Braces B.V. Wrist brace
WO2018154062A1 (en) * 2017-02-23 2018-08-30 Universiteit Gent Protective device for human joi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3496B2 (ko) 1976-02-14 1980-11-06
JP2013104139A (ja) 2011-11-11 2013-05-30 Molten Corp 手関節サポ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32896B (zh) 2024-02-21
SG11202101432UA (en) 2021-03-30
EP3821737A1 (en) 2021-05-19
US20220095714A1 (en) 2022-03-31
CN112672659B (zh) 2023-12-01
PH12021550321A1 (en) 2021-10-04
US11606985B2 (en) 2023-03-21
JPWO2020054832A1 (ja) 2021-08-30
RU2771116C1 (ru) 2022-04-26
JP7474444B2 (ja) 2024-04-25
CN112672659A (zh) 2021-04-16
TW202023418A (zh) 2020-07-01
WO2020054832A1 (ja) 2020-03-19
EP3821737A4 (en)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1921B (zh) 小腿用护具
US9605365B2 (en) Compression article with insert
JP2007054126A (ja) 膝関節用サポータ
WO2007055128A1 (ja) 端末編組織および該端末編組織を備えた衣類
JP2006233372A (ja) インナー・ウェア
KR20210058820A (ko) 서포터
CN110409043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JP2012245117A (ja) 膝関節サポーター
JP5103048B2 (ja) シングルウエルトの編成方法、シングルウエルト組織及びシングルウエルト組織を有する被服
GB2467191A (en) Seamless mitten for babies or children
JP3395976B1 (ja) 靴 下
JP6930063B2 (ja) パワー帯を備えた衣類
JP4054710B2 (ja) 端末編組織および該端末編組織を備えた衣類
JP2004068235A (ja) サポーター
JP4776607B2 (ja) 衣類の袖口部の縫製方法および衣類の袖部の縫製方法
JP5322874B2 (ja) 衣類
JP5250051B2 (ja) 膝関節サポーター
JP3220677U (ja) 靴下
JP2023160464A (ja) 腕サポータ
CN114343264A (zh) 一种防晒袖套及其编织方法
KR880002064Y1 (ko) 상의 (上衣)
JP2013104138A (ja) 膝関節サポーター
JP2006028693A (ja) 靴下
JP2006052481A (ja) 筒状伸縮体、およびソックス
JP2016000130A (ja) 筒状編成体及びそ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