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205A -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205A
KR20210058205A KR1020190145401A KR20190145401A KR20210058205A KR 20210058205 A KR20210058205 A KR 20210058205A KR 1020190145401 A KR1020190145401 A KR 1020190145401A KR 20190145401 A KR20190145401 A KR 20190145401A KR 20210058205 A KR20210058205 A KR 20210058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interposer
inspection
handle
under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297B1 (ko
Inventor
정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iority to KR1020190145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29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4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lectrical parameters, e.g. resistance, deep-levels, CV, diffusions by electr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의 전기적 검사를 위하여 사용되며,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 있어서, 검사장치 측에 설치되며, 피검사 디바이스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피검사 디바이스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푸셔부재; 및 상기 핸들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푸셔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인터포저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검사 디바이스에 근접하는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푸셔부재가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를 가압하게 하거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검사 디바이스로부터 멀어지는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푸셔부재가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에 대한 가압을 해제시키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Pusher apparatus for electrical test}
본 발명은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 큰 힘이 필요없이 디바이스 전체에 고른 압력이 가해질 수 있게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검사 장치는 반도체 패키지와 같은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의 위치에 순차 반송 가압하고, 소정의 시험 프로그램을 따라서 피검사 디바이스의 각각에 대하여 전기적 검사를 실시한다. 이때 검사결과에 따라 소정의 위치로 반송한 후에 양불여부에 따라서 불량품과 양품을 서로 분류한다. 이러한 반도체 검사 장치의 일련의 동작에서는 검사장치측으로 이동되어온 피검사 디바이스를 푸셔장치가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검사장치의 패드가 서로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적절한 압력으로 피검사 디바이스를 눌러서 검사장치의 패드와 접촉되게 하는 것이다.
종래의 푸셔장치(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본체(20), 핸들(30), 푸셔본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본체(20)는 검사장치 측에 고정설치되며 사각판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앙에 피검사 디바이스(5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수용공간(21)은 피검사 디바이스(50)와 대응되는 사각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베이스 본체(20)에는 수용공간(21)의 주변에 4개의 제1볼트(22)가 형성되어 있게 되며 상기 제1볼트(22)는 핸들(3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핸들(30)은, 전체적으로 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하면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삽입공간(31)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핸들(30)의 가장자리에서는 상하관통하는 복수의 절개부(3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32)에는 제1볼트(22)가 삽입되는 삽입부(32a)와, 상기 제1볼트(22)를 걸리게 하는 걸림턱(32b)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제1볼트(22)가 삽입부(32a)를 통하여 삽입된 후에 핸들(30)을 회전시키면 제1볼트(22)의 머리가 걸림턱(32b)이 걸리게 되어 핸들(30)이 베이스 본체(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푸셔본체(40)는, 베이스 본체(20)의 수용공간(21)에 배치된 피검사 디바이스(50)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50)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푸셔본체(40)는, 베이스 본체(20)의 삽입공간(31) 내에 삽입되어 있게 되고, 푸셔본체(40)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복수의 제2볼트(33)에 의하여 상기 핸들(30)에 결합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2볼트(33)에는 제2스프링(34)이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푸셔본체(40)가 상기 베이스 본체(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푸셔장치(1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피검사 디바이스(50)를 베이스 본체(20)의 수용공간(21) 내에 삽입한 후에, 핸들(30)을 베이스 본체(20)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후에 핸들(30)의 삽입부(32a)와 상기 제1볼트(22)를 정렬시킨 후에 핸들(30)의 삽입부(32a)를 통해서 제1볼트(22)를 삽입한다. 작업자가 핸들(30)을 베이스 본체(20) 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제2스프링(34)에 의하여 탄성지지된 푸셔본체(40)는 피검사 디바이스(50)를 소정의 힘으로 누르게 된다. 작업자가 핸들(30)을 가압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볼트(22)가 삽입부(32a)에서 걸림턱(32b)으로 이동함으로서 핸들(30)이 베이스 본체(2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2스프링(34)은 푸셔본체(40)에 텐션을 주고 있으므로 소정의 가압력을 가지면서 푸셔본체(40)는 피검사 디바이스(50)를 검사장치에 확실하게 접촉된다.
이후에, 검사장치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그 신호가 검사장치의 패드를 통해서 검사장치의 단자로 흐르면서 소정의 전기적 검사가 수행된다.
전기적 검사가 완료된 후에는, 핸들(30)에 소정의 가압력을 가하면서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시키면 제1볼트(22)는 걸림턱(32b)에서 삽입부(32a)로 이동하게 되고, 이후에 핸들(30)이 제1볼트(22)로부터 이탈되면서 베이스 본체(20)의 수용공간(21)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되며, 피검사 디바이스(50)는 소정의 위치로 반송된다.
이러한 종래의 푸셔장치(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첫째, 종래의 푸셔장치(10)는 핸들(30)을 제1볼트(22)에 삽입한 후에 힘을 가하여 제2스프링(34)이 압축된 상태에서 손의 힘으로만 핸들(30)을 회전시켜 피검사 디바이스(50)를 가압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푸셔본체(40)에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온전히 손으로 핸들(30)을 누른 상태에서 회전까지 시켜야 하므로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푸셔장치(10)는 핸들(30)과 푸셔본체(40)가 제2볼트(33)에 의하여 고정결합되어 있고, 핸들(30)과 푸셔본체(40)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즉, 핸들(30)을 회전하면 푸셔본체(40)도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푸셔장치(10)는 피검사 디바이스(50)에 접촉한 상태에서 핸들(30)을 회전하면 푸셔본체(4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데, 좁은 수용공간(21) 내에서 푸셔본체(4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직육면체 형태의 푸셔본체(40)가 수용공간(21) 내벽에 부딪히면서 푸셔본체(40)의 모서리가 파손될 염려가 있다.
특히, 푸셔본체(40)가 수용공간(21) 내에서 회전을 해야 하기 때문에, 푸셔본체(40)의 크기를 수용공간(21)의 단면보다 충분하게 작게 해야 하는데, 푸셔본체(40)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피검사 디바이스(50)의 전면을 충분하게 눌러주지 못해서 피검사 디바이스(50)의 가장자리의 단자가 검사장치의 패드가 충분한 압력을 가지고서 눌리지 못하게 되는 일이 있게 된다.
푸셔본체(4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모서리가 수용공간(21) 내벽에 부딪히는 것을 막기 위해서 푸셔본체(40)를 원형단면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에도 피검사 디바이스(50)(사각형태)의 가장자리 부분을 누르지 못하는 일이 있게 되어 피검사 디바이스(50) 번체에 고르게 압력이 분산되지 않게 되고, 이는 검사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피검사 디바이스에 고른 압력이 충분하게 가해질 수 있게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는,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의 전기적 검사를 위하여 사용되며,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 있어서,
검사장치 측에 설치되며, 피검사 디바이스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피검사 디바이스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푸셔부재; 및
상기 핸들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푸셔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인터포저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검사 디바이스에 근접한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푸셔부재가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를 가압하게 하거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검사 디바이스로부터 멀어지는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푸셔부재가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에 대한 가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검사장치에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본체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수용공간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둘러싸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내측면에 나사탭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서,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지지부의 나사탭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나사탭과 나사산이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를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서,
상기 핸들부는, 외주면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되는 핸들본체와,
상기 핸들본체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측면에 상기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서,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삽입부의 저면 중앙에서 상측으로 파여져서 내부에 삽입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인터포저는 상기 삽입공간 내에 삽입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는,
상기 핸들부를 관통하여 인터포저에 고정되는 제1볼트와, 상기 제1볼트에 끼워지며 상기 핸들부와 인터포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핸들부와 인터포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1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서,
상기 인터포저는 상기 핸들부와 상기 푸셔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푸셔부재는 상기 인터포저에 대해서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는,
상기 푸셔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인터포저에 고정되고, 푸셔부재와 인터포저를 연결하는 제2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셔부재는 상기 제2볼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서,
상기 제2볼트는, 볼트머리와 상기 볼트머리로부터 연장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머리는 상기 푸셔부재 내에 삽입되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푸셔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인터포저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서,
상기 인터포저와 상기 푸셔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2볼트에 끼워지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프링은 검사과정에서 푸셔부재가 인터포저에 대해서 요동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서,
상기 푸셔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저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볼트머리가 수용되는 제1삽입공간과, 상기 제1삽입공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볼트머리보다 내경이 작고 기둥부만 통과가능하게 하는 제2삽입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서,
상기 제1삽입공간과 제2삽입공간의 사이에는 머리부가 걸릴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고,
검사시 상기 단턱과 머리부 사이에는 푸셔부재가 인터포저에 대한 상대회전이 용이하도록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서,
상기 푸셔부재의 상면 중앙에는 하측으로 파여진 제1포켓이 마련되고, 상기 제1포켓과 대응되는 인터포저의 하면 중앙에는 상측으로 파여진 제2포켓이 마련되되, 상기 제1포켓과 제2포켓에 의하여 스프링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스프링 수용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주변벽에는 상기 푸셔부재를 수용공간의 중앙으로 안내하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수용공간의 중앙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경사가이드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서,
상기 베이스 본체에는 상기 푸셔부재가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를 파손시키는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핸들부의 하강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검사장치에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본체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수용공간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둘러싸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의 상단이 상기 핸들부의 저면에 접촉하여 상기 핸들부의 하강을 저지하는 스토퍼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는,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의 전기적 검사를 위하여 사용되며,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 있어서,
검사장치 측에 설치되며, 피검사 디바이스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피검사 디바이스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푸셔부재; 및
상기 핸들부와 상기 푸셔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인터포저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상대회전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푸셔부재는 상기 인터포저에 회전자유롭게 연결되어 있어서 핸들부가 회전해도 상기 푸셔부재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어 비회전상태에 놓인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는, 핸들과 베이스 본체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적은 힘으로도 피검사 디바이스를 가압하면서 핸들을 베이스 본체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는, 핸들과 푸셔본체가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핸들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푸셔본체를 회전되지 않고 피검사 디바이스를 가압할 수 있어서 피검사 디바이스의 전면에 고른 가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푸셔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푸셔장치의 핸들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푸셔장치가 결합사시도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푸셔장치의 핸들을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셔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일부 결합사시도.
도 8은 도 6의 결합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Ⅸ-Ⅸ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푸셔장치의 핸들을 회전시킨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ⅩⅠ- ⅩⅠ 단면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푸셔장치는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의 전기적 검사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하여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가 검사장치의 패드와 확실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전기적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푸셔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푸셔장치(100)는 베이스 부재(110), 핸들부(120), 인터포저(130) 및 푸셔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검사장치(180) 측에 설치되며, 피검사 디바이스(170)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공간(111a)이 마련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부재(110)는, 베이스 본체(111)와, 지지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본체(111)는 검사장치(180)의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사각판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본체(111)는, 중앙에 피검사 디바이스(17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111a)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수용공간(111a)은 전체적으로 사각단면형태를 가지는 구멍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피검사 디바이스(17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수용공간(111a)의 주변벽에는 상기 푸셔부재(140)를 수용공간(111a)의 중앙으로 안내하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수용공간(111a)의 중앙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경사가이드면(111b)이 마련되고, 상기 경사가이드면(111b)의 하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면(111c)이 마련된다.
상기 경사가이드면(111b)은 수용공간(111a) 중앙에 위치하는 피검사 디바이스(170)의 상면을 향하여 푸셔부재(14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경사가이드면(111b)에 의하여 푸셔부재(140)가 수용공간(111a) 내에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 본체(111)에서 가장자리 모서리에는 상기 베이스 본체(111)를 검사장치(18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구멍(111d)이 형성되어 있게 되며, 상기 볼트구멍(111d)에 볼트가 체결되어 베이스 본체(111)를 검사장치(180)에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112)는, 상기 베이스 본체(111)의 수용공간(111a)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간(111a)을 둘러싸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1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내측면에 나사탭(1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112)는 수용공간(111a)을 둘러싸고 있으며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지지부(112)는 핸들부(120)과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위치를 베이스 부재(11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부(112)는 그 상단이 상기 핸들부(120)의 저면에 접촉하여 상기 핸들부(120)의 하강을 저지하는 스토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지지부(112)는 상기 베이스 본체(111)에는 상기 푸셔부재(140)가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170)의 단자를 파손시키는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핸들부(120)의 하강을 저지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지부(112)의 돌출높이를 선정하게 된다.
상기 핸들부(12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핸들부(120)는, 핸들본체(121)와, 삽입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들본체(121)는, 외주면에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오목홈(1211)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다수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핸들본체(121)의 중앙에는 상면에서 하측을 향하여 복수의 볼트체결공(1212)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본체(12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개의 볼트체결공(1212)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볼트체결공(1212)은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제1볼트(150)의 머리가 수용되는 대직경공(1212a)과, 상기 대직경공(1212a)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볼트의 기둥이 삽입되는 소직경공(1212b)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122)는, 핸들본체(121)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태의 구조로서, 외측면에는 지지부(112)의 나사탭(1121)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122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나사탭(1121)과 나사산(1221)이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120)를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즉, 삽입부(122)의 나사산(1221)을 지지부(112)의 나사탭(1121)에 접촉한 상태에서 핸들부(120)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핸들부(120)가 하강하면서 삽입부(122)가 베이스 본체(111)를 향하여 진입한다. 또한 핸들부(120)를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핸들부(120)가 상승하면서 삽입부(122)가 베이스 본체(1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120)에는 그 내부에 인터포저(130)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공간(1222)이 마련된다. 상기 삽입공간(1222)은 핸들부(120)의 삽입부(122) 저면 중앙에서 상측으로 패여져서 형성된 공간으로서 상기 삽입공간(1222)은 볼트체결공(1212)과 연통되어 있어서 제1볼트(150)가 상기 볼트체결공(1212)을 통과하여 인터포저(130)에 나사결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인터포저(130)는 상기 핸들부(12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푸셔부재(140)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터포저(130)는 상기 핸들부(120)의 삽입공간(122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인터포저(130)는 핸들부(120)의 제1볼트(15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승 또는 하강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제1볼트(150)에는 핸들부(120)와 인터포저(130) 사이에 배치되어 핸들부(120)와 인터포저(13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1스프링(151)이 삽입되어 있어서, 외력이 가해지면 제1스프링(151)이 압축되면서 인터포저(130)가 핸들부(120)의 상면을 향하도록 이동하게 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제1스프링(151)이 탄성복원되면서 인터포저(130)를 핸들부(120)의 상면에서 멀어지도록 탄성가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인터포저(13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안착홈(133)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133)에 제1스프링(151)이 수용된다.
상기 인터포저(130)의 중앙에는 푸셔부재(140)를 인터포저(1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볼트(160)가 체결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인터포저(130)의 중앙 저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볼트체결구멍(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체결구멍(131)에 제2볼트(160)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볼트체결구멍(131)의 주변에는 인터포저(130)의 하면 중앙에서 상측으로 파여지며 제2스프링(161)이 안착되는 제2포켓(13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푸셔부재(14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수용공간(111a) 내에 수용된 피검사 디바이스(170)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170)를 검사장치(18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푸셔부재(140)는, 인터포저(130)에 대하여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핸들부(120)가 회전하면 인터포저(130)도 핸들부(120)와 연동되어 회전하지만, 푸셔부재(140)는 핸들부(120)의 회전에도 회전하지 않고 베이스 부재(110)의 수용공간(111a)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푸셔부재(140)가 핸들부(120)에 연동되어 회전하지 않음에 따라서 푸셔부재(140)가 수용공간(111a)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수용공간(111a)의 주변벽에 부딪히는 일이 없어 푸셔부재(140)의 모서리가 파손될 염려가 없게 된다.
이러한 푸셔부재(14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피검사 디바이스(170)를 상면 전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피검사 디바이스(17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피검사 디바이스(170)보다 더 큰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푸셔부재(140)는, 하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제2볼트(160)의 볼트머리(160a)가 수용되는 제1삽입공간(141)과, 상기 제1삽입공간(14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볼트머리(160a)보다 내경이 작고 기둥부(160b)만 통과가능하게 하는 제2삽입공간(14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공간(141)과 제2삽입공간(142)의 사이에는 볼트머리(160a)가 통과하지 못하게 볼트머리(160a)를 걸리게 하는 단턱(143)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단턱(143)의 상측으로는 푸셔부재(140)의 상면 중앙에서 하측으로 파여진 제1포켓(144)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1포켓(144)과 제2삽입공간(142)은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제2볼트(160)가 상기 제2삽입공간(142)과 제1포켓(144)을 통과하여 인터포저(130)의 중앙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포켓(144)과 제2포켓(132)에 의하여 스프링 수용부가 형성되고, 제2스프링(161)은 상기 스프링 수용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푸셔부재(140)는 제2볼트(160)에 의하여 인터포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볼트(160)는 볼트머리(160a)와, 상기 볼트머리(160a)보다 외경이 작은 기둥부(160b)를 포함하고 있게 된다. 상기 제2볼트(160)의 볼트머리(160a)가 제1삽입공간(141)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둥부(160b)는 제2삽입공간(142)과 제1포켓(144)을 지나서 인터포저(130)에 고정되는데, 제2볼트(160)는 푸셔부재(140)에 나사결합되지 않고 단턱(143)에 의하여 인터포저(130)에서 이탈되지 않게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검사시 상기 단턱(143)과 볼트머리(160a) 사이에는 푸셔부재(140)가 인터포저(130)에 대한 상대회전이 용이하도록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볼트머리(160a)는 푸셔부재(140)가 피검사 디바이스(170)를 가압하지 않을 때에는 단턱(143)에 접촉할 수 있으며, 푸셔부재(140)가 피검사 디바이스(170)를 가압하는 경우에는 볼트머리(160a)가 단턱(143)에서 이격되면서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볼트머리(160a)와 단턱(14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의하여 푸셔부재(140)가 인터포저(13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하게 한다.
또한, 인터포저(130)와 푸셔부재(140) 사이에는 제2볼트(160)에 끼워지는 제2스프링(161)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2스프링(161)은 검사과정에서 푸셔부재(140)가 인터포져에 대하여 요동하지 않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푸셔부재(140)의 제2삽입공간(142), 제1포켓(144)은 제2볼트(160)의 기둥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있어서 푸셔부재(140)가 인터포저(1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하나, 이에 따라서 검사과정에서 푸셔부재(140)가 좌우,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요동은 피검사 디바이스(170)에 대한 균일한 가압력을 전달하는데에 방해요소로 작용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스프링(161)을 배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피검사 디바이스(170)를 베이스 부재(110)의 수용공간(111a)에 삽입한 후에, 베이스 부재(110)의 수용공간(111a)의 상측에 푸셔장치(100)의 푸셔부재(140)가 상측에 놓일 수 있게 정렬한다. 이후에 핸들부(120)의 삽입부(122)를 베이스 부재(110)의 지지부(112)에 접촉하게 시킨다. 이때 삽입부(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21)이 지지부(1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탭(1121)이 접촉시킨다. 이때 푸셔부재(140)의 하면은 베이스 부재(110)의 경사가이드면(111b)에 접촉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부(1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산(1221)이 나사탭(1121)에 나사결합되면서 핸들부(120)가 하강하게 된다. 핸들부(120)가 충분하게 하강하게 되면 푸셔부재(140)의 하면이 피검사 디바이스(170)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핸들부(120)를 일방향으로 추가하강시키면 제1스프링(151)이 압축되면서 푸셔부재(140)에 텐션을 주면서 푸셔부재(140)가 피검사 디바이스(170)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핸들부(120)를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푸셔부재(140)가 피검사 디바이스(170)를 충분한 압력을 가압을 하게 되고 핸들부(120)가 지지부(112)의 상단에 접촉하게 되면 핸들부(120)의 회전이 멈추면서 피검사 디바이스(170)에 대한 가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검사장치(180)에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전기적 신호는 검사장치(180)의 패드를 거쳐서 피검사 디바이스(170)의 단자로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서 피검사 디바이스(170)에 대한 전기적 검사가 수행된다.
전기적 검사가 완료된 후에 핸들부(12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핸들부(120)는 상승하면서 피검사 디바이스(170)에 대한 가압력을 제거하게 되고, 충분하게 회전하면 핸들부(120)는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분리된다. 이후에 피검사 디바이스(170)를 수용공간(111a)에서 제거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100)는, 기존과 달리 작업자가 회전동작에 의하여 가압력을 부여하거나 제거할 수 있게 되어 간편한 푸싱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작업자가 큰 힘을 가할 필요가 없이 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푸셔부재(140)는 핸들부(12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수용공간(111a) 내에서 회전없이 피검사 디바이스(170)에 대한 가압력을 부여할 수 있어서 푸셔부재(140)가 수용공간(111a) 내벽에 부딪히는 일이 없어서 푸셔부재(140)의 모서리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푸셔부재(140)는 가압과정에서 제2볼트(16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푸셔부재(140)가 인터포저(130)에 대한 자유로운 상대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서 푸셔부재(140)가 수용공간(111a) 내벽에 부딪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제 검사환경에서 보드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어 메뉴얼 하우징을 옆으로 테스트하는 경우가 있고 옆에서 검사할 대 보드 옆에 다른 기구물이 있어 그 사이에 들어갈 수 있는 하우징을 개발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본원발명은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검사를 진행할 수 있어서 부품수를 줄이고 베이스 부재(110)와 핸들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핸들을 과도하게 회전함에 따라서 피검사 디바이스(170) 또는 검사장치(180)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부(112)가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함으로서 안정적인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0...푸셔장치 110...베이스 부재
111...베이스 본체 111a...수용공간
111b....경사가이드면 111c....수용면
111d...볼트구멍 112...지지부
1121...나사탭 120...핸들부
121...핸들본체 1211...오목홈
1212...볼트체결공 1212a...대직경공
1212b...소직경공 122...삽입부
1221...나사산 1222...삽입공간
130...인터포저 131...볼트체결구멍
132...제2포켓 140...푸셔부재
141...제1삽입공간 142...제2삽입공간
143...단턱 144...제1포켓
150...제1볼트 151...제1스프링
160...제2볼트 160a...볼트머리
160b...기둥부 161...제2스프링
170...피검사 디바이스 180...검사장치

Claims (17)

  1.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의 전기적 검사를 위하여 사용되며,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 있어서,
    검사장치 측에 설치되며, 피검사 디바이스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피검사 디바이스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푸셔부재; 및
    상기 핸들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푸셔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인터포저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검사 디바이스에 근접한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푸셔부재가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를 가압하게 하거나,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피검사 디바이스로부터 멀어지는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푸셔부재가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에 대한 가압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검사장치에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본체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수용공간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둘러싸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내측면에 나사탭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지지부의 나사탭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나사탭과 나사산이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를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외주면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되는 핸들본체와,
    상기 핸들본체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측면에 상기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삽입부의 저면 중앙에서 상측으로 파여져서 내부에 삽입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인터포저는 상기 삽입공간 내에 삽입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를 관통하여 인터포저에 고정되는 제1볼트와, 상기 제1볼트에 끼워지며 상기 핸들부와 인터포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핸들부와 인터포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포저는 상기 핸들부와 상기 푸셔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푸셔부재는 상기 인터포저에 대해서 상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인터포저에 고정되고, 푸셔부재와 인터포저를 연결하는 제2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셔부재는 상기 제2볼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볼트는, 볼트머리와 상기 볼트머리로부터 연장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머리는 상기 푸셔부재 내에 삽입되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푸셔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인터포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포저와 상기 푸셔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2볼트에 끼워지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프링은 검사과정에서 푸셔부재가 인터포저에 대해서 요동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저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볼트머리가 수용되는 제1삽입공간과, 상기 제1삽입공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볼트머리보다 내경이 작고 기둥부만 통과가능하게 하는 제2삽입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공간과 제2삽입공간의 사이에는 머리부가 걸릴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고,
    검사시 상기 단턱과 볼트머리 사이에는 푸셔부재가 인터포저에 대한 상대회전이 용이하도록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재의 상면 중앙에는 하측으로 파여진 제1포켓이 마련되고, 상기 제1포켓과 대응되는 인터포저의 하면 중앙에는 상측으로 파여진 제2포켓이 마련되되, 상기 제1포켓과 제2포켓에 의하여 스프링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스프링 수용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주변벽에는 상기 푸셔부재를 수용공간의 중앙으로 안내하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수용공간의 중앙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경사가이드면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에는 상기 푸셔부재가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를 파손시키는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핸들부의 하강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검사장치에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본체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수용공간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둘러싸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의 상단이 상기 핸들부의 저면에 접촉하여 상기 핸들부의 하강을 저지하는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17.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의 전기적 검사를 위하여 사용되며,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에 있어서,
    검사장치 측에 설치되며, 피검사 디바이스가 수용되어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피검사 디바이스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를 검사장치 측으로 가압할 수 있는 푸셔부재; 및
    상기 핸들부와 상기 푸셔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인터포저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상대회전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푸셔부재는 상기 인터포저에 회전자유롭게 연결되어 있어서 핸들부가 회전해도 상기 푸셔부재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어 비회전상태에 놓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KR1020190145401A 2019-11-13 2019-11-13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KR102281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01A KR102281297B1 (ko) 2019-11-13 2019-11-13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01A KR102281297B1 (ko) 2019-11-13 2019-11-13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205A true KR20210058205A (ko) 2021-05-24
KR102281297B1 KR102281297B1 (ko) 2021-07-23

Family

ID=7615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401A KR102281297B1 (ko) 2019-11-13 2019-11-13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2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175B1 (ko) * 2020-08-12 2021-12-0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적 검사장치
KR20230040618A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티에프이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소켓에서 고정 핀을 분리하기 위한 지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9389A (ja) * 1997-02-25 1998-09-11 Sony Corp 半導体装置の測定用ソケットおよび半導体装置の 測定方法
US20090102497A1 (en) * 2005-07-21 2009-04-23 Advantest Corporation Pusher, pusher unit and semiconductor testing apparatus
KR20140134820A (ko) * 2013-05-14 2014-11-25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호환 가능한 테스트용 소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9389A (ja) * 1997-02-25 1998-09-11 Sony Corp 半導体装置の測定用ソケットおよび半導体装置の 測定方法
US20090102497A1 (en) * 2005-07-21 2009-04-23 Advantest Corporation Pusher, pusher unit and semiconductor testing apparatus
KR20140134820A (ko) * 2013-05-14 2014-11-25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호환 가능한 테스트용 소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175B1 (ko) * 2020-08-12 2021-12-0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적 검사장치
KR20230040618A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티에프이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소켓에서 고정 핀을 분리하기 위한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297B1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3909B2 (en) Universal test socket and semiconductor package 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281297B1 (ko) 전기적 검사를 위한 푸셔장치
US7323893B2 (en) Probe device capable of being used for plural kinds of testers
US8562367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
KR101780935B1 (ko) 검사소켓유니트
KR102406617B1 (ko) 검사 장치
KR20110137558A (ko) 반도체 패키지용 검사소켓
KR100510501B1 (ko)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KR20160119538A (ko)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KR20050057576A (ko) 피시험 장치 보드와 시험 헤드 사이의 전기적 상호 접속을위한 캠-링 시스템
KR102293762B1 (ko) 반도체 장치 검사용 소켓
US7568918B2 (en) Socket for semiconductor device
US11879925B1 (en) Over the air (OTA) chip testing system
KR100640634B1 (ko) 반도체 패키지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20120055165A (ko) 구조가 개선된 비지에이 소켓
TWM514004U (zh) 積體電路的檢測裝置及檢測設備
KR101380280B1 (ko) 검사장치
KR101266380B1 (ko) 중심정렬기능과 호환성을 갖는 반도체 테스트용 포켓 조립체
KR102477223B1 (ko) 전기적 검사장치
KR20110011762A (ko) 프로그래머용 소켓 어댑터의 그립퍼
KR101703978B1 (ko) 디에스에이 보드 교체용 핸들러
JPH0441342Y2 (ko)
KR102654985B1 (ko) 소켓용 칩 고정 장치
KR102335175B1 (ko) 전기적 검사장치
KR20220094995A (ko) 검사용 푸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