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998A - 덕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덕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998A
KR20210057998A KR1020190144868A KR20190144868A KR20210057998A KR 20210057998 A KR20210057998 A KR 20210057998A KR 1020190144868 A KR1020190144868 A KR 1020190144868A KR 20190144868 A KR20190144868 A KR 20190144868A KR 20210057998 A KR20210057998 A KR 20210057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uid
inner pipe
guide
duc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940B1 (ko
Inventor
이상봉
Original Assignee
이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봉 filed Critical 이상봉
Priority to KR1020190144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940B1/ko
Priority to PCT/KR2020/010580 priority patent/WO2021096031A1/ko
Publication of KR20210057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동력 발생부와 결합되는 제1관, 상기 제1관의 타단부와 결합되며 T자 형상을 이루는 제2관을 갖는 외부 파이프; 상기 제2관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2관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유체 가압 공간부를 형성하고,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배출통로가 형성된 내부 파이프; 및 상기 내부 파이프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 가압 공간부로부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배출통로로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 방향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덕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덕트 조립체{DUCT ASSEMBLY}
본 발명은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류의 유입속도를 빠르게 하여 오염된 유체의 외부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풍기는 오염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킴으로써 실내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환풍기는 예를 들어, 음식점, 사무실, 주택 등의 다양한 장소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환풍기는 덕트에 결합되어, 실내로부터 흡입된 오염된 공기는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덕트는 환풍기로부터 흡입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속이 빈 중공형의 긴 통로 형태를 이루어 공기와 같은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환풍기가 메인덕트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덕트(10)에 복수개의 환풍기(20)가 결합된 경우, 환풍기(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메인덕트(10)를 따라 배출 방향으로 이동중인 공기의 이동 흐름에 방해를 주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서, 환풍기(20)로부터 배출되는 배출 공기의 배출 방향은 메인덕트(10)를 따라 이동중인 공기의 흐름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되기에, 환풍기(20)로부터 배출되는 배출 공기는 메인덕트(10)를 따라 이동중인 공기의 흐름에 방해를 준다.
따라서, 오염된 공기의 외부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메인덕트에 복수개의 환풍기가 결합되더라도 오염된 공기의 외부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덕트 조립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2017-0021045호(2017.02.2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후류의 유입속도를 빠르게 하여 오염된 유체의 외부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덕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동력 발생부와 결합되는 제1관, 상기 제1관의 타단부와 결합되며 T자 형상을 이루는 제2관을 갖는 외부 파이프; 상기 제2관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2관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유체 가압 공간부를 형성하고,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배출통로가 형성된 내부 파이프; 및 상기 내부 파이프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 가압 공간부로부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배출통로로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 방향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덕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부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내측 둘레를 따라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가상의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제1 가이드;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내측면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제2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의 타단부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내측면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유체 배출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는 외부로 유체가 배출되는 외부 배출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유체 배출홀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상기 내부 파이프의 내측면을 따라 배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홀을 형성하는 상기 제2 가이드의 타단부와 상기 내부 파이프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유체 가압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2관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 파이프의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 가압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2관과 내부 파이프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관의 내경에 비해 1/10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파이프에 형성된 상기 연통홀은 상기 내부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된 상기 연통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파이프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내부 파이프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조립체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덕트 조립체에는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부는 유체 가압 공간부로부터 내부 파이프로 배출되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내부 파이프의 내측면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유체 가압 공간부에서 가압된 유체는 가이드부와 내부 파이프 사이에 형성된 유체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기에, 내부 파이프의 내측면으로 배출되는 유체는 빠른 속도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 배출홀을 통해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 덕트 조립체 내부의 압력은 낮아지게 되어, 후류의 유입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된 유체의 외부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환풍기가 메인덕트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덕트 조립체가 결합된 메인덕트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에 대한 사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I-I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덕트 조립체가 결합된 메인덕트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아파트나 다가구 기타 건축물상에는 내부의 주방이나 욕실 등 실내에서 발생된 악취, 오염공기 등을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메인덕트(10)가 마련된다.
이러한 메인덕트(10)에는 복수개의 덕트 조립체(10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덕트 조립체(1000)로부터 메인덕트(10)로 유입된 오염된 유체는 메인덕트(10)를 따라 이동되며 종국에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인덕트(10)는 오염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동경로가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조립체(1000)는 메인덕트(10)와 결합됨에 있어, 메인덕트(10)를 따라 이동중인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며, 메인덕트(10)를 따라 이동중인 유체의 흐름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메인덕트(10)를 따라 이동중인 유체는 공기인 형태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덕트 조립체(1000)와 메인덕트(10)로는 물과 같은 액상의 유체가 이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에 대한 사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덕트 조립체(1000)는 외부 파이프(100), 내부 파이프(200)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덕트 조립체(1000)의 외부 파이프(100)에는 동력 발생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동력 발생부는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동력 발생부는 예를 들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인한 후, 흡입된 오염된 공기를 메인덕트(10)로 배출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동력 발생부는 예를 들어 팬 또는 펌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동력 발생부는 반드시 팬 또는 펌프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덕트 조립체(1000)를 통해 메인덕트(10)로 유체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한편, 외부 파이프(100)는 제1관(110)과 제2관(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관(110)의 일단부는 동력 발생부와 결합되고, 제1관(110)의 타단부는 제2관(120)과 결합된다. 이때, 제1관(110)과 제2관(120)은 T자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이에, 동력 발생부의 작동에 의해 외부의 유체는 제1관(110)을 경유한 후, 제2관(1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파이프(200)는 제2관(12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내부 파이프(200)에는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연통홀(201)의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내부 파이프(200)에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연통홀(201)은 내부 파이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파이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3개의 연통홀(201)이 이격 형성된 형태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1 연결부(410)로부터 제2 연결부(420)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3개의 연통홀(201)의 형성이 형성된 것을 예로 설명한다. 이러한 내부 파이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연통홀의 개수는 3개로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내부 파이프(200)는 제2관(120)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며, 제2관(120)의 내측면과 내부 파이프(200)의 외측면 사이에 유체 가압 공간부(202)를 형성한다. 즉, 제2관(120)과 내부 파이프(200)는 동심을 이루되, 제2관(120)의 반지름은 내부 파이프(200)의 반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제2관(120)의 내측면과 내부 파이프(200)의 외측면 사이에는 유체 가압 공간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 가압 공간부(202)를 형성하는 제2관(120)과 내부 파이프(200) 간의 이격 거리(L1)는 제1관(110)의 내경(D)에 비해 1/10 이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유체 가압 공간부(202)를 형성하는 제2관(120)과 내부 파이프(200) 간의 이격 거리(L1)가 제1관(110)의 내경(D)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제1관(110)으로부터 유체 가압 공간부(202)로 유입된 유체는 가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내부 파이프(200)의 배출통로(203)로 빠른 속도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유체 가압 공간부(202)는 제1관(110)으로 유입된 유체가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공간이며, 유체 가압 공간부(202)에서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가압된 유체는 연통홀(201)을 통해 빠른 속도로 내부 파이프(200)의 배출통로(203)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 가압 공간부(202)를 형성하는 제2관(120)과 내부 파이프(200) 간의 이격 거리(L1)가 제1관(110)의 내경(D)에 비해 1/10을 초과하는 경우, 유체 가압 공간부(202) 내에서의 유체 가압 상태가 낮아지게 되어, 내부 파이프(200)로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속도가 요구되는 속도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유체 가압 공간부(202)를 형성하는 제2관(120)과 내부 파이프(200) 간의 이격 거리(L1)는 제1관(110)의 내경(D)에 비해 1/10 이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드부(300)는 내부 파이프(20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부(300)는 유체 가압 공간부(202)로부터 연통홀(201)을 통해 내부 파이프(200)의 배출통로(203)로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300)는 제1 가이드(310)와 제2 가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310)의 일단부는 내부 파이프(2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결합된다. 그리고 제1 가이드(310)의 타단부는 내부 파이프(200)의 가상의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여기서 제1 가이드(31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경사지게 돌출됨에 있어, 외부로 유체가 배출되는 외부 유체 배출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제2 가이드(320)는 제1 가이드(310)와 연결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가이드(320)의 일단부는 제1 가이드(310)의 타단부와 연결되고, 제2 가이드(320)의 타단부는 내부 파이프(200)의 내측면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이에, 가이드부(300)는 유체 배출홀(321)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내부 파이프(200)의 내측면을 따라 배출되도록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제2 가이드(320)의 타단부와 내부 파이프(200)의 내측면 사이에는 유체 배출홀(321)이 형성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룬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300)는 유체 가압 공간부(202)로부터 연통홀(201)을 통해 가이드부(30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된 유체를 유체 배출홀(321)을 통해 내부 파이프(200)의 배출통로(203)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가이드(310)와 제2 가이드(320)는 외부로 유체가 배출되는 외부 유체 배출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연결형성됨에 따라, 유체 배출홀(321)을 통해 내부 파이프(200)의 배출통로(203)로 배출되는 유체는 외부 유체 배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가이드부(300)는 연통홀(201)을 통해 유입된 유체의 배출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도 하지만, 상술된 유체 가압 공간부(202)와 같이 가이드부(30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다시 재가압한 상태에서 유체 배출홀(321)을 통해 내부 파이프(200)로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유체 배출홀(321)을 형성하는 제2 가이드(320)의 타단부와 내부 파이프(200)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L2)는, 유체 가압 공간부(202)를 형성하는 제2관(120)의 내측면과 내부 파이프(200)의 유체 가압 공간부(202)를 형성하는 제2관(120)과 내부 파이프(200) 사이의 이격 거리(L1)보다 더 짧게 형성됨에 따라, 유체 배출홀(321)을 통해 내부 파이프(200)로 배출되는 유체의 속도는 더욱 빨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 배출홀(321)을 통해 빠른 속도로 배출되는 유체에 의해 덕트 조립체(1000) 내부의 압력은 낮아지게 되어, 후류의 오염된 유체는 덕트 조립체(1000)의 배출통로(203)로 빠르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덕트(10)를 따라 이동되는 오염된 유체의 외부 배출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덕트 조립체(1000)에는 이웃하는 메인덕트(10)와 결합을 위한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410)는 내부 파이프(200)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제2 연결부(420)는 내부 파이프(20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메인덕트(10)와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메인덕트
100: 외부 파이프
110: 제1관
120: 제2관
200: 내부 파이프
201: 연통홀
202: 유체 가압 공간부
203: 배출통로
300: 가이드부
310: 제1 가이드
320: 제2 가이드
321: 유체 배출홀
410: 제1 연결부
420: 제2 연결부
1000: 덕트 조립체

Claims (7)

  1. 동력 발생부와 결합되는 제1관, 상기 제1관의 타단부와 결합되며 T자 형상을 이루는 제2관을 갖는 외부 파이프;
    상기 제2관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2관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유체 가압 공간부를 형성하고,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배출통로가 형성된 내부 파이프; 및
    상기 내부 파이프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 가압 공간부로부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배출통로로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 방향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덕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일단부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내측 둘레를 따라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가상의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제1 가이드;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내측면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제2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의 타단부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내측면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유체 배출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는 외부로 유체가 배출되는 외부 배출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유체 배출홀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상기 내부 파이프의 내측면을 따라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홀을 형성하는 상기 제2 가이드의 타단부와 상기 내부 파이프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유체 가압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2관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 파이프의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더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가압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2관과 내부 파이프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관의 내경에 비해 1/10 이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파이프에 형성된 상기 연통홀은 상기 내부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된 상기 연통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파이프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내부 파이프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조립체.
KR1020190144868A 2019-11-13 2019-11-13 덕트 조립체 KR102299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868A KR102299940B1 (ko) 2019-11-13 2019-11-13 덕트 조립체
PCT/KR2020/010580 WO2021096031A1 (ko) 2019-11-13 2020-08-11 덕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868A KR102299940B1 (ko) 2019-11-13 2019-11-13 덕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998A true KR20210057998A (ko) 2021-05-24
KR102299940B1 KR102299940B1 (ko) 2021-09-08

Family

ID=7591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868A KR102299940B1 (ko) 2019-11-13 2019-11-13 덕트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9940B1 (ko)
WO (1) WO202109603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508U (ko) * 1996-12-27 1998-09-25 추호석 철도차량의 공기 배출구 구조
JP2007510884A (ja) * 2003-11-11 2007-04-26 ヘイノネン,アンテロ キッチン器具の換気装置
KR20110065828A (ko) * 2009-12-10 2011-06-16 유영근 고효율 환풍장치
KR20170021045A (ko) 2015-08-17 2017-02-27 양석표 열회수용 환기 덕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372B2 (ja) * 1987-02-24 1996-10-16 株式会社 青木建設 局所除塵方法
JPH05180479A (ja) * 1991-12-27 1993-07-23 Takenaka Komuten Co Ltd ダクトレス空気移送方法
KR101865613B1 (ko) * 2016-06-17 2018-06-11 박태업 무동력 실내기류 배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508U (ko) * 1996-12-27 1998-09-25 추호석 철도차량의 공기 배출구 구조
JP2007510884A (ja) * 2003-11-11 2007-04-26 ヘイノネン,アンテロ キッチン器具の換気装置
KR20110065828A (ko) * 2009-12-10 2011-06-16 유영근 고효율 환풍장치
KR20170021045A (ko) 2015-08-17 2017-02-27 양석표 열회수용 환기 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6031A1 (ko) 2021-05-20
KR102299940B1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850A (en) Acoustic silencer nozzle
EP1657451A1 (en) A duct fan
US8974272B2 (en) Aspirating induction nozzle
JP6603874B2 (ja) 送風装置および送風機能付空気清浄装置
KR19980042578A (ko) 환기송풍장치 및 환기송풍시스템
KR101259586B1 (ko) 와류형 스왈러팬 배기장치
KR102173650B1 (ko) 직배기용 환기캡
KR20210057998A (ko) 덕트 조립체
KR101433437B1 (ko) 창호용 환기장치
KR20110065828A (ko) 고효율 환풍장치
KR20070111696A (ko) 배기용 후드
JP2010107054A (ja) 空気調和機
JP6454868B2 (ja) レンジフード
US2843036A (en) Exhaust fan means
JP2017150693A (ja) 送風装置
KR101474822B1 (ko) 산업용 국소 배기 후드 흡인 장치 및 상기 산업용 국소 배기 후드 흡인 장치가 복수 개 적용되는 배기 시스템
JP2006010103A (ja) ノズル空調吹出し装置
KR200428326Y1 (ko) 다층 공동주택의 주방 환기설비용 이중관덕트의 연결구조
KR102022852B1 (ko) 환풍장치
KR20110040454A (ko) 주방 배기시스템
CN113795716B (zh) 流体排放管道组件
KR101762764B1 (ko) 청소 기능을 갖는 덕트 구조체
KR200292511Y1 (ko)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
KR20230087042A (ko) 배기캡 및 이의 설치구조와 이를 구비하는 배기장치
JP2006046170A (ja) ダクトファ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