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511Y1 -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511Y1
KR200292511Y1 KR2020020020911U KR20020020911U KR200292511Y1 KR 200292511 Y1 KR200292511 Y1 KR 200292511Y1 KR 2020020020911 U KR2020020020911 U KR 2020020020911U KR 20020020911 U KR20020020911 U KR 20020020911U KR 200292511 Y1 KR200292511 Y1 KR 200292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rtex ring
air
high speed
ventilation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도
Original Assignee
삼영산업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영산업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삼영산업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20020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5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511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 주차장과 같은 밀폐 공간에 신선한 외기를 유입시켜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환기장치의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의 단부 내측에 볼텍스 링을 설치하여 볼텍스를 생성시켜 취출되는 외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오염된 실내 공기를 보다 많이 유인하여 토출시킴으로써 환기성을 극대화시킨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축류팬이 내설되고 외측에 지지대가 설치된 본체의 양단부에 흡입 밸로우즈가 부착된 흡입사일런서와 단부의 내측에 볼텍스 링이 설치된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이 설치된 토출사일런서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The indoor ventilator making use of vortex ring}
본 고안은 지하 주차장과 같은 밀폐 공간에 신선한 외기를 유입시켜 공기를강제로 순환시키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환기장치의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의 단부 내측에 볼텍스 링을 설치하여 볼텍스를 생성시켜 취출되는 외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오염된 실내 공기를 보다 많이 유인하여 토출시킴으로써 환기성을 극대화시킨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공간을 균일하게 환기 및 공조하기 위해서는 급기 덕트, 환기 덕트, 또는 배기 덕트를 공간에 조밀하게 배치하여 신선한 외기와 오염된 내부 공기가 전체 공간에 자유롭게 흐를 수 있는 실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여야 한다.
환기장치를 필요로 하는 대공간, 지하주차장 등은 온도와 습도가 고려되어야 하고, 실내 공간에서 발생하는 자동차 배기 가스와 신선한 외기를 효율적으로 치환하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종래에는 급기 덕트, 배기 덕트를 실내의 천정에 길게 설치하여 환기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 방식은 천정이 낮은 공간에서의 덕트 설치 곤란, 이용자의 중압감, 덕트 상부 및 내부에 분진이 누적되는 문제점, 건축구조의 조정 벨런싱이 요구되는 점, 스프링 쿨러나 급배수관 등의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효율적인 환기를 위해 덕트의 설치없이 공기를 필요로 하는 공간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효율적으로 이송시켜 환기시키는 고성능 축류팬으로 구성된 환기장치가 개발 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구조는 소형의 고성능 축류팬을 중심으로 전후에 흡입 밸로우즈와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이 설치되고, 흡입되는 공기의 소음을 줄이는 흡입사일런서와 토출되는 공기의 소음을 줄이는 토출사일런서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축류팬에 의해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에서 분사된 공기가 기류를 형성하여 주변의 공기를 유인하여 실내의 오염 공기를 순환시키게 된다. 즉, 지하 주차장 등에서 외기의 급기구에서 배기구를 향하게 상기의 장치를 차례로 설치하여 실내 공기를 순환시킨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는 종래의 덕트형에 비하여 매우 효과적이나,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을 통해 빠져나온 공기가 기압의 갑작스러운 저하에 의하여 외측 공기는 확산되어져 토출되는 공기가 직진성을 상실하고 멀리 토출되지 못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유인하여 취출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실내 환기장치의 토출 공기에 직진성을 향상시켜 보다 많은 양의 오염된 내부 공기를 유인하여 배기구로 순환시키기 위하여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의 끝단부에 볼텍스를 형성시키는 볼텍스 링을 설치하여 효과적인 실내 환기를 가능케 하는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도
도 4는 실내 주차장에서의 사용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류팬 2 : 지지대 3 : 본체
4 : 흡입 밸로우즈 5 : 흡입사일런서 6 :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
7 : 토출사일런서 8 : 볼텍스 링
100 : 환기장치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소형의 고성능 축류팬(1)이 내설되고 외측에 지지대(2)가 설치된 본체(3)의 양단부에 흡입 밸로우즈(4)가 부착된 흡입사일런서(5)와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6)이 설치된 토출사일런서(7)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 환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6)의 단부의 내측에 볼텍스 링(8)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볼텍스 링(8)은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6)에 삽입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6)의 볼텍스 링(8)의 설치 부위를 볼텍스 링(8)의 돌출 형상으로 성형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환기장치(100)는 볼텍스 링(8)에 의해 발생되는 볼텍스로 인해 토출되는 공기가 직진성을 갖고 보다 멀리 토출되게 되어 공간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될 뿐만 아니라 주위 공기의 유인량이 많아져 환기의 효과가 크게 된다.
환기를 위해서는 상기의 환기장치(100)가 여러개 연계되게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중계하여 환기시키게 된다. 즉, 이를 이용한 환기의 과정은 고성능의 축류팬(1)에 의하여 흡입 밸로우즈(4)를 통해 흡입되는 신선한 외기는 흡입사일런서 (5)에 의해 소음이 저감되고, 축류팬(1)의 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사일런서 (7)에서 토출 소음이 저감되어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6)을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외기가 고속으로 유입되어 실내로 토출되면 주위의 공기를 유인하여 실내 공기 흐름을 만들고, 이와 연계된 다른 환기장치(100)의 작동으로 릴레이 되듯이 실내 공기가 순화되어 배기구로 배출시킴으로써 환기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은 신선한 외기의 고속 토출에 있어서, 토출되는 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의해 주위의 오염된 실내 공기를 보다 더 많이 유인하여 유량을 증대시키고, 이를 다른 환기장치(100) 쪽으로 연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종래의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6)을 통과한 고속의 기류는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6)을 나오면서 갑작스러운 압력의 저하로 확산되게 되어 적은 량의 공기만이 직진성을 갖고 송출되어 멀리 송출되지 못하고 주위의 오염된 실내공기를 많이 유인하지 못하여 환기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고안은 볼텍스 링(8)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를 해결하게 된다. 물론 여기서의 볼텍스 링(8)은 그 단면이 원형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모양의 단면도 가능하고, 볼텍스 링(8)의 설치 대신에 볼텍스 링(8)의 역할을 하는 돌기를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6)의 단부 내측에 형성시켜 실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6)을 통과하는 고속기류 중 볼텍스 링(8) 측을 통과하는 고속기류가 볼텍스 링(8)에 의해 볼텍스를 일으키게 되고, 상기의 볼텍스는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6)의 가운데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가 압력 저하에 의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볼텍스는 기류에 압력을 가하여 확산을 방지하고 토출되는 고속기류에 직진성을 부여하여 보다 멀리 토출되게할 뿐만 아니라, 주위의 공기를 보다 더 많이 빨아들이는 역할을 하게되어 환기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볼텍스 링(8)은 오염된 실내 공기를 다량으로 흡입하여보다 멀리 송출시킴으로써 환기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볼텍스 링(8)에 의하여 환기장치(100)의 토출 공기에 직진성을 향상시켜 보다 많은 내부 공기를 유인하여 배기구로 순환시킴으로써 실내 환기의 성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축류팬(1)이 내설되고 외측에 지지대(2)가 설치된 본체(3)의 양단부에 흡입 밸로우즈(4)가 부착된 흡입사일런서(5)와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6)이 설치된 토출사일런서(7)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 환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6)의 단부의 내측에 볼텍스 링(8)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6)은 볼텍스 링(8)의 설치 대신에 볼텍스 링(8)의 역할을 하는 돌기가 고속기류 취출용 노즐(6)의 단부 내측에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볼텍스 링(8)은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
KR2020020020911U 2002-07-12 2002-07-12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 KR200292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911U KR200292511Y1 (ko) 2002-07-12 2002-07-12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911U KR200292511Y1 (ko) 2002-07-12 2002-07-12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511Y1 true KR200292511Y1 (ko) 2002-10-28

Family

ID=7312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911U KR200292511Y1 (ko) 2002-07-12 2002-07-12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5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135B1 (ko) 2005-11-23 2007-03-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지향방향 가변형 제트팬을 이용한 초대형 공장의 기류패턴자동제어시스템
KR100699136B1 (ko) 2005-11-23 2007-03-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제트팬을 이용한 출입구 개방형 공장의 유도 급배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135B1 (ko) 2005-11-23 2007-03-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지향방향 가변형 제트팬을 이용한 초대형 공장의 기류패턴자동제어시스템
KR100699136B1 (ko) 2005-11-23 2007-03-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제트팬을 이용한 출입구 개방형 공장의 유도 급배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0705A2 (en) Ventilating system
KR20050122522A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200176664Y1 (ko) 환기 설비용 유인 팬
KR20060091430A (ko) 환기시스템
KR20050111158A (ko) 환기시스템
KR100502432B1 (ko) 지하 구조물의 환기시스템
KR200292511Y1 (ko) 볼텍스 링을 이용한 실내 환기장치
JP2018003596A (ja) 送風装置
KR20090107980A (ko) 에어커튼
KR20070064907A (ko) 공기조화기
KR100960883B1 (ko) 개량된 제트팬
JP2614503B2 (ja) 人工竜巻式フード
KR200169174Y1 (ko) 송풍장치
JPH05264081A (ja) 排気フード
JP3098954B2 (ja) 熱気を含んだ内気の排出装置
KR200382865Y1 (ko) 기류형성 루버가 구비된 배기장치
JPS55121335A (en) Indoor ventilating method which use jet generator
JP2007127367A (ja) 天井裏等の換気設備
KR20000061682A (ko) 공기청정기
CN113907632B (zh) 干脚机
KR200164658Y1 (ko) 공조용 공기 토출구
JP4463383B2 (ja) 大空間の換気方法
KR20070111693A (ko) 배기 덕트가 없는 환기 장치
JP2000274722A (ja) 空気調和機
KR102332704B1 (ko) 주방 레인지 후드를 이용한 주방 배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