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559A -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559A
KR20210056559A KR1020190143178A KR20190143178A KR20210056559A KR 20210056559 A KR20210056559 A KR 20210056559A KR 1020190143178 A KR1020190143178 A KR 1020190143178A KR 20190143178 A KR20190143178 A KR 20190143178A KR 20210056559 A KR20210056559 A KR 20210056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ller
user
coupled
companion anim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연
Original Assignee
유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연 filed Critical 유지연
Priority to KR1020190143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6559A/ko
Publication of KR20210056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9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e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the animal on the body of a per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반려동물이 탑승하는 탑승부와, 상기 탑승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유모차 본체; 상기 유모차 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 상기 유모차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유모차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탑승하며,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휠과, 상기 구동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구비한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Electrically powered stroller for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반려동물을 위한 다양한 물품이 개발 및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 장애가 있거나 나이가 많아 이동이 불편한 반려동물을 위한 유모차인 일명 '개모차'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가 탑승한 상태에서 보호자가 쉽게 끌거나 밀 수 있도록 탑승 시트와 손잡이, 바퀴 등이 구비된 유아용 이동 수단이다. 개모차는 반려동물이 탑승하기 쉽도록 유아용 유모차를 개량한 형태이다.
반려동물용 유모차는 반려동물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 공간과, 반려동물의 줄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 반려동물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는 개폐식 뚜껑, 이동을 위한 바퀴 및 핸들이 구비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반려동물용 유모차는 반려동물이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면 보호자가 조작하기 어려워지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모든 기능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유아용 유모차에 비해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 운행과 전동식 운행을 병행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전동식으로 운행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는 반려동물이 탑승하는 탑승부와, 상기 탑승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유모차 본체; 상기 유모차 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 상기 유모차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유모차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탑승하며,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휠과, 상기 구동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구비한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휠 내부에 설치되는 인휠 모터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구동장치는 사용자가 발로 누르는 방향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조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탑승하는 탑승부와, 상기 탑승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유모차 본체; 상기 유모차 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 상기 유모차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유모차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탑승하는 상부 지지부와, 사용자가 입력하는 조향 방향을 감지하여 조향하는 휠 유닛을 구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를 제공한다.
상기 휠 유닛은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조향 플레이트와, 상기 조향 플레이트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휠과, 각각의 상기 휠 내부에 설치되는 인휠 모터와, 상기 인휠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조향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조향 방향을 감지하는 조향 센서와, 상기 조향 센서의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인휠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 센서는 사용자가 발로 누르는 방향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휠 유닛을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를 필요에 따라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운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유모차에 함께 탑승한 상태에서 유모차의 구동 장치를 발로 조작해 운행할 수 있으므로 유모차를 운행하는데 사용자가 큰 힘을 쓰지 않아도 되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의 구동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의 구동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하부"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에 반려동물용 유모차는 장애견이나 노견의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추세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10)는 사람 많은 장소에서 반려동물을 안전하게 이동시키거나, 동물을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사용하는 등 사용 목적이 여러 용도로 확장 및 증가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반려동물용 유모차에 여러 편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10)는 반려동물이 탑승하는 탑승부(110)를 구비한 유모차 본체(100)와, 유모차 본체(10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170)와, 유모차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장치(300)와, 유모차 본체(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핸들(500)을 구비한다. 유모차 본체(100) 내부에는 각종 기능을 위한 여러 구성품들이 탑재되고, 주요 구성품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80)가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와 통신하여 주요 구성품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전력이 필요한 구성품들은 본체(100) 내부에 탑재되는 배터리(미도시)나 각 구성품들을 위한 별도의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후술할 구동장치(300)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별도의 배터리(355)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00)는 일측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며, 대략 박스 형상을 갖는다. 유모차 본체(100)는 반려동물이 탑승하는 탑승부(110)와, 탑승부(110)를 개폐하는 도어(112)와, 탑승부(110)의 일측과 연통되는 윈도우(114), 탑승부(110)의 타측과 연통되는 환기구(116)를 포함한다.
또한, 유모차 본체(100)는 탑승부(1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부(120)와, 탑승부(110)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130), 탑승부(110) 내부 및 외부를 밝히는 조명부(140), 탑승부(110) 내부로 소리를 전달하는 스피커(150)를 포함한다. 유모차 본체(100)의 전방에는 장애물 감지를 위한 센서부(160)가 구비되고, 유모차 본체(100)의 내측 하부에는 바퀴(170)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170)가 탑재된다. 이들 중 사용자의 단말기(미도시)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제어가 필요한 구성품은 유모차 본체(100)에 탑재된 컨트롤러(1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추가로 유모차 본체(100)의 일측에는 컨트롤러(180)와 통신하는 단말기나 리모컨, 사용자의 단말기 등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90)가 장착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부(110)는 반려동물이 탑승하는 공간으로, 유모차 본체(100)의 하측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공간을 점유하도록 형성된다. 탑승부(110)는 유모차 본체(100)로부터 따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유모차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탑승부(110)에는 개나 고양이 등과 같은 반려동물이 탑승하므로, 호흡과 어느 정도의 움직임이 보장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유모차 본체(100) 및 탑승부(110)는 반려동물의 크기에 맞게 여러 규격으로 제작되어 제공될 수 있다.
탑승부(110)의 일측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12)가 설치되고, 탑승부(110)의 전면, 측면,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윈도우(114)가 설치된다. 또한, 탑승부(110)의 일측 또는 탑승부(110)와 연통되는 유모차 본체(100)의 일측에는 환기를 위한 환기구(11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2)는 도어 힌지(112a)에 의해 유모차 본체(100)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 힌지(112a)는 도어(112)의 일측에 설치되고, 도어 힌지(112a)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잠금 기능이 있는 도어 손잡이(112b)가 형성된다. 도어 손잡이(112b)는 컨트롤러(180)에 의해 도어(112)가 폐쇄되면 자동으로 잠기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어 손잡이(112b)이 잠김 기능은 사용자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개폐나 잠금 여부를 선택하면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컨트롤러(180)에 의해 개폐되거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자동 잠금을 위해 별도의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14)는 유모차 본체(100)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되 탑승부(110)에 탑승한 반려동물이 밖을 볼 수 있는 위치 또는 사용자가 탑승부(110) 내부를 볼 수 있는 위치 등에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14)는 강화 유리나 강화 플라스틱 등과 같이 투명하여 외부가 보이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관통홀을 형성한 후 환기에 용이한 매쉬 소재로 관통홀을 막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윈도우(114)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며, 별도의 커버를 구비해 윈도우(114)를 열고 닫을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구(116)는 유모차 본체(100)의 정면 하측 또는 유모차 본체(100)의 복수 개소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환기구(116)를 통해 탑승부(110)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환기구(116)는 탑승부(110)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기구(116)는 개폐 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환기구(116)를 개방하여 후술할 조명부(140)의 배터리를 교체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부(110) 내부에는 온도 조절부(120), 촬영부(130), 조명부(140), 스피커(150)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120)는 탑승부(1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소자(122)와, 온도조절소자(122)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탑승부(110)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내부 송풍구(124a) 및 탑승부(110)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 송풍구(124b)를 포함하는 송풍구(124), 냉각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126)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소자(122)는 펠티어(Peltier) 소자로 구비될 수 있으며, 탑승부(110)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온도조절소자(122)는 주변 공기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공기는 송풍팬(126)에 의해 내부 송풍구(124a)를 통해 탑승부(110) 내부로 공급된다. 온도조절소자(122)의 반대쪽 가열된 공기는 외부 송풍구(124b)를 통해 유모차 본체(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외부 송풍구(124b)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전술한 환기구(116)의 위치 및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외부 송풍구(124b)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온도조절소자(122)는 컨트롤러(180)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 되도록 제어된다.
촬영부(130)는 탑승부(11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각도에 설치되며, 소형 카메라나 블랙박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촬영부(130)는 별도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실시간으로 컨트롤러(180)와 통신하여 컨트롤러(180)에 촬영된 영상이 저장될 수도 있다. 촬영부(130)에서 촬영된 영상은 컨트롤러(18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조명부(140)는 탑승부(110)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조명등(142)과, 유모차 본체(100) 외측에 설치되는 외부 조명등(144)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조명등(142)은 탑승부(110) 내부를 밝히며, 외부 조명등(144)은 야간 산책 등 이동 시 전조등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내부 조명등(142) 보다 외부 조명등(144)의 조도가 더 높을 수 있다. 조명부(140)는 컨트롤러(180)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 되도록 제어되거나 본체(100)의 일측(예를 들어 하부)에 구비된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조명부(140)는 별도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후술할 구동용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스피커(150)는 유모차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컨트롤러(180)에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음원을 송출하거나 사용자의 단말기 내 어플리케이션 조작에 의해 음원을 송출한다. 이를 통해, 보호자와 떨어져 있는 반려동물의 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는, 스피커(150)를 통해 사용자의 목소리를 들려줌으로써 반려동물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60)는 유모차 본체(100)의 전방 하측에 설치되며,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10)의 자동 운행 또는 사용자의 수동 운행 시 외부 장애물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160)는 컨트롤러(180)와 연결되어 감지 결과를 컨트롤러(180)로 송신하고, 컨트롤러(180)에서 사용자의 단말기로 장애물 감지 여부를 전송한다. 또는, 이미 충돌이 되었을 때 유모차 본체(100)의 앞으로 가보지 않아도 장애물과의 충돌 여부가 센서부(16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70)는 유모차 본체(100)의 하측에 복수 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퀴(170)는 유모차 본체(100)의 전방 중앙에 1개, 후방 양측에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전방에도 2개의 바퀴(170)가 설치될 수 있다. 바퀴(170)는 구동장치(300)에 의한 동력 발생 없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10)를 이동시킬 때 유모차 본체(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180)는 제어가 필요한 온도 조절부(120), 촬영부(130), 조명부(140), 스피커(150), 센서부(160), 구동부(170)와 연결되어 통신 및 제어하고,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해 이들을 제어하거나 제어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사용자의 단말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어 루틴이 있으면 컨트롤러(180)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180)는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구성품들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500)은 유모차 본체(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핸들 프레임(510)의 상단에 형성된다. 핸들(500)을 지지하는 핸들 프레임(510)은 유모차 본체(100)에 일측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핸들(500) 역시 핸들 프레임(5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00)에는 구동장치(3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동장치(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의 구동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의 구동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300)는 크게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310)와, 상부 지지부(310)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330)와, 상부 지지부(310) 및 하부 지지부(330)의 사이에 배치되는 휠 유닛(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지부(310) 및 하부 지지부(330), 휠 유닛(350)이 상호 결합되어 유모차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장치(300)를 구성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부(310)는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이다. 상부 지지부(310)는 사용자가 발을 적당히 벌리고 탔을 때 사용자의 발을 충분히 지지하며 휠 유닛(350)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지지부(310)는 휠 유닛(350) 전체를 커버하거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 지지부(310)는 휠 유닛(35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판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 양단부가 소정 길이로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310)의 연장된 단부는 휠 유닛(350)의 조향 플레이트(351) 두께에 대응하거나 다소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지지부(31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패드(312)가 형성되고, 상부 지지부(310)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유모차 본체(100)에 결합되는 상부 결합부(314)가 형성된다. 이하에서 '길이 방향'은 상부 지지부(310)의 장축 방향이고, '폭 방향'은 유모차 본체(100)의 전후 방향을 의미한다.
패드(312)는 사용자가 탑승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이 높은 소재, 미끄러지지 않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패드(312)는 사용자의 평균적인 발 크기를 고려하여 그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패드(312)는 상부 지지부(310)의 상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이중사출 등의 방법으로 상부 지지부(310)의 상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패드(312)는 사용자의 무게 중심 이동을 후술할 조향 센서(354)로 전달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발이 누르는 압력에 의해 적절히 눌릴 수 있는 탄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패드(312)를 어느 방향으로 가압하는지에 따라 구동장치(300)의 조향 방향이 결정되고, 조향 방향에 따라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10)의 진행 방향이 제어된다.
상부 결합부(314)는 유모차 본체(100)의 하측 후방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부 지지부(310)의 길이 방향 중앙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다. 상부 결합부(314)는 후술할 하부 지지부(330)의 하부 결합부(334)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유모차 본체(100)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부재(볼트 및 너트, 잠금장치, 걸림고리 등 종래의 여러 체결 구조 차용 가능)에 의해 상부 결합부(314) 및 하부 결합부(334)가 유모차 본체(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부(330)는 상부 지지부(3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부 지지부(310)와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부 지지부(330)는 상부 지지부(3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되, 상면에 후술할 여러 구성품이 탑재되는 수용 공간인 수용홈(33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330)가 상부 지지부(310)와 결합될 때 사이에 휠 유닛(350)이 삽입된다.
또한, 하부 지지부(330)는 휠 유닛(35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판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 양단부가 소정 길이로 상향 연장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330)의 연장된 단부는 휠 유닛(350)의 조향 플레이트(351) 두께에 대응하거나 다소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부 지지부(330)의 연장된 단부가 상부 지지부(310)의 연장된 단부와 상호 결합되고 그 사이에 휠 유닛(350)의 조향 플레이트(351)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부 지지부(310) 및 하부 지지부(330)가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연장된 단부는 조향 플레이트(351)의 두께에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330) 역시 길이 방향 중앙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하부 결합부(334)가 돌출된다. 하부 결합부(334)는 상부 결합부(314)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유닛(350)은 조향 플레이트(351)와 휠(352), 휠(352) 내부에 설치되는 인휠 모터(353), 조향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조향 센서(354), 전력 공급원인 배터리(355), 제어를 위한 제어 패널(356), 각종 신호 전달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전선(35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향 플레이트(35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부 지지부(31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조향 플레이트(351)는 길이 방향의 중앙 쪽으로 갈수록 전방 쪽의 폭 또는 후방 쪽의 폭 또는 전후 방향 모두의 폭이 좁아지는 호리병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폭이 가장 좁은 중앙 부위를 중심축(3511)으로 정의한다. 중심축(3511)은 조향 방향을 결정할 때 기준이 되는 부분이다. 조향 플레이트(35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휠(352)이 부분적으로 수납되는 휠 수납부(3513)가 일체로 형성된다.
휠 수납부(3513)는 휠(352)의 형상에 대응하여 반원 형상을 갖는다. 또한, 휠 수납부(3513)는 휠(352)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휠(35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휠(352)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다. 휠 수납부(3513)에 휠(35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휠(352)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조향 플레이트(351)에 결합된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휠(352)은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베어링(미도시) 등의 연결부에 의해 조향 플레이트(351)의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휠(352)의 내부에는 인휠 모터(353)가 설치되며, 제어 패널(356)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휠 모터(353)의 구동 여부 및 휠(352)의 진행 방향이 제어된다. 휠(352) 및 인휠 모터(353), 이들의 전기적, 물리적 연결관계는 시중에 유통되는 통상의 전동휠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구조 및 구동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조향 센서(354)는 패드(312)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조향 플레이트(351) 상에 설치되고 제어 패널(356)과 연결된다. 조향 센서(354)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조향 센서(354)는 사용자가 발로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일 수도 있고, 휠 유닛(350)이 기울어지는 방향 및 기울어짐 정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일 수 있다. 또는, 여러 센서를 조합해 조향 센서(354)를 구성할 수도 있다. 조향 센서(354)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압력이나 기울임 등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면 종류에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조향 센서(354)는 배터리(355)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으며, 조향 센서(354)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는 제어 패널(356)로 전달된다.
배터리(355)는 조향 플레이트(351)의 내부 또는 하면에 장착되며, 동력이 필요한 여러 구성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355)로부터 동력을 공급받는 주 대상은 인휠 모터(353)이다. 배터리(355)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휠 유닛(350)에는 충전을 위한 단자 및 연결 구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 패널(356)은 조향 센서(354)의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지를 판단하여 구동장치(300)를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 패널(356)은 조향 센서(354)의 감지 결과를 통해 사용자가 좌측 패드(312) 쪽을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 가압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휠(352)을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장치(300)가 좌회전하도록 제어한다. 미리 설정된 압력값은 여러 단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압력 크기에 따라 좌측으로 꺾이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압력값이 1~3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1단계에 해당하는 압력이 가해지면 30도, 2단계에 해당하는 압력이 가해지면 60도, 3단계에 해당하는 압력이 가해지면 90도 방향으로 휠(35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도'는 도 6의 중심축(3511)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의 각도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제어 패널(356)은 조향 센서(354)의 감지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우측 패드(312) 쪽을 가압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휠(352)을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장치(300)가 우회전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 패널(356)은 사용자가 패드(312)의 전방 측을 가압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휠(352)의 각도 변경 없이 전방측을 향해 직진하도록 제어한다. 제어 패널(356)은 사용자가 패드(312)의 후방 측을 가압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휠(352)의 회전을 멈추어 구동장치(300)가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구동장치(300)는 유모차 본체(100)에 연결되므로 구동장치(300)의 조향 방향에 따라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10)의 방향 역시 달라진다. 전술한 방법으로 사용자는 발로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10)를 이동시키거나 이동할 조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100: 유모차 본체 110: 탑승부
170: 바퀴 180: 컨트롤러
300: 구동장치 310: 상부 지지부
312: 패드 330: 하부 지지부
350: 휠 유닛 351: 조향 플레이트
352: 휠 353: 인휠 모터
354: 조향 센서 355: 배터리
356: 제어 패널 500: 핸들

Claims (8)

  1. 반려동물이 탑승하는 탑승부와, 상기 탑승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유모차 본체;
    상기 유모차 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
    상기 유모차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유모차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탑승하며,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휠과, 상기 구동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구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휠 내부에 설치되는 인휠 모터인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사용자가 발로 누르는 방향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조향 센서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5. 반려동물이 탑승하는 탑승부와, 상기 탑승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유모차 본체;
    상기 유모차 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
    상기 유모차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유모차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탑승하는 상부 지지부와, 사용자가 입력하는 조향 방향을 감지하여 조향하는 휠 유닛을 구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유닛은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조향 플레이트와, 상기 조향 플레이트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휠과, 각각의 상기 휠 내부에 설치되는 인휠 모터와, 상기 인휠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조향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조향 방향을 감지하는 조향 센서와, 상기 조향 센서의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인휠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센서는 사용자가 발로 누르는 방향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휠 유닛을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에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KR1020190143178A 2019-11-11 2019-11-11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KR20210056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178A KR20210056559A (ko) 2019-11-11 2019-11-11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178A KR20210056559A (ko) 2019-11-11 2019-11-11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559A true KR20210056559A (ko) 2021-05-20

Family

ID=7614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178A KR20210056559A (ko) 2019-11-11 2019-11-11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65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1476A (zh) * 2022-03-10 2022-06-03 苏州蓝甲虫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计算机智能控制的家庭机器人
KR102477203B1 (ko) * 2022-09-08 2022-12-13 주식회사 벤하우스 충격을 완화한 반려 동물용 유모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1476A (zh) * 2022-03-10 2022-06-03 苏州蓝甲虫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计算机智能控制的家庭机器人
KR102477203B1 (ko) * 2022-09-08 2022-12-13 주식회사 벤하우스 충격을 완화한 반려 동물용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5836B2 (ja) 電動荷物
KR20210056559A (ko)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US9656682B2 (en) Motorized stroller system and apparatus
EP3128985B1 (en) Seat assembly for a patient transport device
JP2007527744A (ja) 多機能揺りかご及び電動式幼児用自動車
CN102202955A (zh) 可折叠的婴儿车
JP2009504266A (ja) パワーアシスト付き輸送装置
KR200485017Y1 (ko) 전동식 유아용 접이식 웨건
CN106003089A (zh) 一种儿童智能陪伴机器人
US20210309275A1 (en)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9524533A (ja) ベビーカーコンフォート装置、ベビーカー下部フレーム、ならびにベビーカー
US20200237587A1 (en) Motorized wheelchai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083774A (ja) 電動歩行カート
KR20190007889A (ko)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KR20180079597A (ko) 유모차의 제어방법
US11839972B2 (en) Personal mobility device
JP2010046742A (ja) ロボット犬
KR20180073135A (ko) 유모차
KR20210056558A (ko) 반려동물용 전동식 유모차
JP2021062793A (ja) 走行体
US20220396354A1 (en) Patient transfer device
JP2011084104A (ja) 動力付移動装置
KR102673442B1 (ko) 스마트 보행기
CN212139638U (zh) 一种智能骑行跟随行李箱
CN213083274U (zh) 一种家庭使用的辅助婴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