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301A -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301A
KR20210056301A KR1020210059101A KR20210059101A KR20210056301A KR 20210056301 A KR20210056301 A KR 20210056301A KR 1020210059101 A KR1020210059101 A KR 1020210059101A KR 20210059101 A KR20210059101 A KR 20210059101A KR 20210056301 A KR20210056301 A KR 20210056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ata
weight
voltage
moving average
batte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철
이근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10059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6301A/ko
Publication of KR2021005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battery ageing, e.g. to the number of charging cycles or the state of health [So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Measuring mean values of current or voltage during a given time inter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셀로부터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이동평균을 산출하고, 획득되는 전압 데이터를 산출된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사용함으로써, 배터리 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 데이터의 급격한 변동을 신속하게 추종할 수 있는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oltage data of battery cell}
본 발명은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 셀로부터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이동평균을 산출하고, 획득되는 전압 데이터를 산출된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사용함으로써, 배터리 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 데이터의 급격한 변동을 신속하게 추종할 수 있는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차량(HV, Hubrid Vehicle) 및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전기 차량 등에 적용되는 이차전지는 고출력을 얻기 위해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배터리 팩의 구조로 전기 차량 등에 적용되며, 이러한 기본적인 구조에 더하여, 모터 등의 구동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 제어 및 충/방전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각각의 배터리 셀 및 배터리 팩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BMS는 일반적으로,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시, 배터리 셀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배터리 셀의 충전상태, 용량 열화 상태 및 출력 전압을 감지하고 제어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팩을 과충전이나 과방전과 같은 이상 상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종래의 BMS에서는 배터리로부터 주기적으로 측정되는 복수의 전압 데이터를 그대로 측정하거나 산술 평균하여 측정하므로, 측정되는 전압 데이터가 미세한 외부 노이즈에도 민감하게 변동되어 전압 데이터 측정에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BMS에서 배터리 셀의 전압 데이터를 측정하되, 획득되는 전압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의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측정함으로써, 외부 노이즈로 인한 전압 데이터 측정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이러한 이동평균을 이용한 전압 데이터 측정 방식은, 외부 노이즈로 인한 BMS의 전압 데이터 측정 오류를 방지할 수는 있으나,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으로 인한 급격한 전압 데이터의 변동을 추종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19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셀로부터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이동평균을 산출하고, 획득되는 전압 데이터를 산출된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사용함으로써, 배터리 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 데이터의 급격한 변동을 신속하게 추종할 수 있는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 셀로부터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에 연속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압 데이터의 급격한 변동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압데이터 획득부와, 상기 획득한 하나 이상의 상기 전압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산출하여 각각의 상기 전압 데이터에 부여하는 가중치 처리부와, 상기 가중치를 부여받은 하나 이상의 상기 전압 데이터의 이동평균을 산출하는 이동평균 산출부 및 직전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전압 데이터를 상기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현재 단계의 상기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압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중치 처리부는, 상기 획득한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전압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전압 데이터의 개수에 근거하여 상기 전압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중치 처리부는, 현재 단계에서 측정된 전압값에 대응하는 상기 전압 데이터에 대해 가장 큰 가중치를 산출하여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압데이터 처리부는,
Figure pat00001
(여기서, c0, c1, cn은 각각 최초, 1번째, n번째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전압 데이터이고, w0, w1, wn은 각각 최초, 1번째, n번째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가중치 임.)을 이용하여 현재 단계의 상기 전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하나 이상의 상기 전압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산출하여 각각의 상기 전압 데이터에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가중치를 부여받은 하나 이상의 상기 전압 데이터의 이동평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직전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전압 데이터를 상기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현재 단계의 상기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 가중치를 산출하여 각각의 상기 전압 데이터에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전압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전압 데이터의 개수에 근거하여 상기 전압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중치를 산출하여 각각의 상기 전압 데이터에 부여하는 단계는, 현재 단계에서 측정된 전압값에 대응하는 상기 전압 데이터에 대해 가장 큰 가중치를 산출하여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단계의 상기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Figure pat00002
(여기서, c0, c1, cn은 각각 최초, 1번째, n번째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전압 데이터이고, w0, w1, wn은 각각 최초, 1번째, n번째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가중치 임.)을 이용하여 현재 단계의 상기 전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셀로부터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이동평균을 산출하고, 획득되는 전압 데이터를 산출된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사용함으로써, 배터리 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 데이터의 급격한 변동을 신속하게 추종할 수 있는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셀로부터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에 연속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압 데이터의 급격한 변동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방법의 과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이상 상황"이란, 배터리(10)의 과전류, 과전압 및 과열 등과 같은 상황으로 인한 배터리(10) 및 배터리(10)를 구비하는 기기의 오작동 발생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이차 전지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라면 어떠한 기술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전압 데이터 획득부(110), 가중치 처리부(120), 이동평균 산출부(130) 및 전압 데이터 처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로부터 전압 데이터를 측정하는 BMIC(Battery monitoring integrated circuit)로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먼저, 전압 데이터 획득부(110)는 배터리 셀 또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1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1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의 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압 데이터는 상기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100)의 외부 노이즈 또는 배터리(10)의 충방전으로 인해 그 값이 변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중치 처리부(120)는 상기 전압 데이터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한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산출하고, 해당 전압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상기 전압 데이터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한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의 개수에 근거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중치 처리부(120)는 상기 전압 데이터 획득부(110)로부터 n번째(여기서, n은 양의 정수를 의미한다.)의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 n번째로 획득한 전압 데이터에 n번만큼 가중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중치 처리부(120)는 획득한 전압 데이터의 개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산출하고 부여하므로, 현재 단계에서 측정된 배터리(10)의 전압값에 대응하는 상기 전압 데이터에 대해 가장 큰 가중치를 산출하여 부여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상기 가중치 처리부(120)의 가중치 산출 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방법이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가중치의 산출 방법이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획득한 전압 데이터 각각에 소정의 값만큼 가중된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설정하는 경우, 상기 가중치 처리부(120)는 n번째로 획득한 전압 데이터에 소정의 값만큼 가중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평균 산출부(130)는, 상기 가중치를 부여받은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의 이동평균을 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평균은,
Figure pat00003
(c0, c1, cn은 각각 최초, 1번째, n번째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전압 데이터이고, w0, w1, wn은 각각 최초, 1번째, n번째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가중치 임.)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평균의 산출 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방법이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중치를 부여한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의 이동평균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이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다음으로, 전압 데이터 처리부(140)는 상기 전압 데이터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되는 배터리(10)의 전압 데이터를 상기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현재 단계에서 사용되는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단계에서 사용되는 전압 데이터란, 상기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100)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관리 기기(예를 들어, BMS)에서 배터리(10)의 전압 데이터를 측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측정하게 되는 배터리(10)의 전압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현재 단계에서 사용되는 전압 데이터의 값은 전압 데이터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를 상기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획득되는 값이므로, 현재까지 획득된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의 이동평균 값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압 데이터 획득부(110)로부터 n번째 획득한 전압 데이터가 상기 전압 데이터 처리부(140)에 의해 상기 이동평균 식에 반영되어 현재 단계에서 사용되는 전압 데이터로 획득되어 사용됨으로써, 배터리(10)의 전압 데이터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 간의 전압 차 및 전압 변동 값이 완만해질 수 있다.
또한, 획득되는 전압 데이터를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현재 단계에서 사용되는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되, 획득되는 전압 데이터의 개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부여받은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의 이동평균을 통해 현재 단계에서 사용되는 전압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배터리(10)의 충/방전으로 인해 급격하게 변동되는 전압 데이터를 신속하게 추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방법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과정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과정이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방법의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전압 데이터 획득부(110)에서 배터리 셀 또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1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전압 데이터를 획득(S201)하면, 가중치 처리부(120)는 획득된 전압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산출하고, 전압 데이터 각각에 부여(S202)한다.
여기서, 상기 가중치 처리부(120)는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의 개수에 근거하여 전압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산출하고 부여함으로써, 현재 단계에서 측정된 배터리(10)의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 데이터에 대해 가장 큰 가중치를 산출하여 부여할 수 있다.
이어서, 이동평균 산출부(130)는 가중치를 부여한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의 이동평균을 산출(S203)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평균 산출부(130)는
Figure pat00004
(여기서, c0, c1, cn은 각각 최초, 1번째, n번째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전압 데이터이고, w0, w1, wn은 각각 최초, 1번째, n번째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가중치 임.)을 통해 상기 전압 데이터의 이동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압 데이터 처리부(140)는 전압 데이터 획득부(110)로부터 획득되는 전압 데이터를 상기 이동평균 산출부(130)로부터 산출된 이동평균에 반영(S204)하여 현재 단계에서 사용되는 전압 데이터를 획득(S205)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현재 단계에서 사용되는 전압 데이터란,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기기(예를 들어, BMS)에서 배터리(100)의 충전 상태, 용량 열화 상태 및 출력 전압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측정하는 전압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전압 데이터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되는 전압 데이터가 획득된 상기 전압 데이터의 개수에 근거하여 가중치를 부여받고, 산출된 이동평균에 반영되어 현재 단계에서 사용되는 실질적인 전압 데이터로 획득됨으로써, 배터리(10)의 충/방전과 같은 전압 변동 상황으로 인한 전압 데이터의 변동을 신속하게 추종할 수 있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에 연속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배터리(10)의 전압 데이터 변동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 배터리
100: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110: 전압 데이터 획득부
120: 가중치 처리부
130: 이동평균 산출부
140: 전압 데이터 처리부

Claims (4)

  1.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압데이터 획득부;
    상기 획득한 하나 이상의 상기 전압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산출하여 각각의 상기 전압 데이터에 부여하는 가중치 처리부;
    상기 가중치를 부여받은 하나 이상의 상기 전압 데이터의 이동평균을 산출하는 이동평균 산출부; 및
    직전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전압 데이터를 상기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현재 단계의 상기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압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 처리부는,
    상기 획득한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전압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전압 데이터의 개수에 근거하여 상기 전압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산출하되,
    현재 단계에서 측정된 전압값에 대응하는 상기 전압 데이터에 대해 가장 큰 가중치를 산출하여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압데이터 처리부는,
    Figure pat00005
    (여기서, c0, c1, cn은 각각 최초, 1번째, n번째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전압 데이터이고, w0, w1, wn은 각각 최초, 1번째, n번째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가중치 임.)을 이용하여 현재 단계의 상기 전압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3.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하나 이상의 상기 전압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산출하여 각각의 상기 전압 데이터에 부여하는 단계;
    상기 가중치를 부여받은 하나 이상의 상기 전압 데이터의 이동평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직전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전압 데이터를 상기 이동평균에 반영하여 현재 단계의 상기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를 산출하여 각각의 상기 전압 데이터에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압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전압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전압 데이터의 개수에 근거하여 상기 전압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현재 단계에서 측정된 전압값에 대응하는 상기 전압 데이터에 대해 가장 큰 가중치를 산출하여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현재 단계의 상기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Figure pat00006
    (여기서, c0, c1, cn은 각각 최초, 1번째, n번째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전압 데이터이고, w0, w1, wn은 각각 최초, 1번째, n번째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가중치 임.)을 이용하여 현재 단계의 상기 전압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210059101A 2017-03-06 2021-05-07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056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101A KR20210056301A (ko) 2017-03-06 2021-05-07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250A KR20180101823A (ko) 2017-03-06 2017-03-06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210059101A KR20210056301A (ko) 2017-03-06 2021-05-07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250A Division KR20180101823A (ko) 2017-03-06 2017-03-06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301A true KR20210056301A (ko) 2021-05-18

Family

ID=634483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250A KR20180101823A (ko) 2017-03-06 2017-03-06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210059101A KR20210056301A (ko) 2017-03-06 2021-05-07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250A KR20180101823A (ko) 2017-03-06 2017-03-06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60067B2 (ko)
EP (1) EP3499255B1 (ko)
JP (1) JP2020500292A (ko)
KR (2) KR20180101823A (ko)
CN (1) CN109690335B (ko)
WO (1) WO20181643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1417B (zh) * 2019-05-28 2021-03-12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基于三电极体系的锂离子电池析锂量化分析方法
KR20210031336A (ko) *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방법
US20230152388A1 (en) 2020-11-27 2023-05-18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Diagnosis Apparatus, Battery Diagnosis Method, Battery Pack, and Vehicle
KR20230109916A (ko) * 2022-01-14 2023-07-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상태 추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배터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998B1 (ko) 2010-04-02 2016-11-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의 용량 열화 상태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5072A (ja) * 1992-03-17 1993-10-15 Asahi Optical Co Ltd バッテリーチェック装置
JPH0933474A (ja) * 1995-07-18 1997-02-07 Tokyo Gas Co Ltd 埋設管の損傷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ノイズ抑制方法
FR2769095B1 (fr) 1997-10-01 1999-11-26 Siemens Automotive Sa Procede de detection de defaillance d'une batterie de vehicule automobile
US6430525B1 (en) 2000-06-05 2002-08-06 Masimo Corporation Variable mode averager
US6359419B1 (en) 2000-12-27 2002-03-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asi-adaptive method for determining a battery's state of charge
US6639385B2 (en) * 2001-08-07 2003-10-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State of charge method and apparatus
US6400123B1 (en) * 2001-08-29 2002-06-04 Hewlett-Packard Company Battery fuel gauging using battery chemistry identification
JP4583765B2 (ja) * 2004-01-14 2010-11-1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の残存容量演算装置
JP2006112786A (ja) 2004-10-12 2006-04-27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残容量検出方法及び電源装置
US7355376B2 (en) * 2005-03-03 2008-04-08 Cardiac Pacemakers, Inc. Battery status indicator compensating for battery voltage recovery
KR100985667B1 (ko) * 2007-08-22 2010-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개방전압 추정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상태추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957187B2 (en) * 2008-05-09 2011-06-07 Sandisk Corporation Dynamic and adaptive optimization of read compare levels based on memory cell threshold voltage distribution
KR20100084935A (ko) * 2009-01-19 2010-07-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배터리 잔량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11257219A (ja) * 2010-06-08 2011-12-22 Nissan Motor Co Ltd 二次電池の内部抵抗又は開放電圧を演算する演算装置
CN102739845B (zh) * 2011-04-11 2014-08-20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可侦测电池电量的电子装置及电池电量侦测方法
KR101474401B1 (ko) * 2011-04-22 2014-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배터리 팩의 상태 추정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WO2012148019A1 (ko) * 2011-04-28 2012-11-01 Sk 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의 용량 열화 상태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2355015A (zh) 2011-09-07 2012-02-1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分布式电池管理系统
CN103105585B (zh) * 2011-11-10 2015-08-05 宋洋 一种蓄电池性能充放电全时在线测试法
JP5378490B2 (ja) * 2011-11-18 2013-12-2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器
JP6242003B2 (ja) 2014-03-31 2017-12-06 株式会社ケーヒン 電圧検出装置
KR101630409B1 (ko) * 2014-06-11 2016-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배터리 팩의 상태 추정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KR101529515B1 (ko) * 2014-06-12 2015-06-17 국방과학연구소 Mmae-ekf를 이용한 배터리의 soc 추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592760B1 (ko) 2014-08-29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EP2990818B1 (en) 2014-09-01 2019-11-27 Yokogawa Electric Corporation Secondary battery capacity measurement system and secondary battery capacity measurement method
JP5869645B1 (ja) 2014-10-16 2016-02-24 株式会社紀文食品 量目調整機構及び量目調整方法
KR101595956B1 (ko) 2014-11-12 2016-02-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이차전지의 전지잔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647694B1 (ko) * 2014-12-15 2016-08-2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998B1 (ko) 2010-04-02 2016-11-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의 용량 열화 상태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9255B1 (en) 2023-04-19
CN109690335A (zh) 2019-04-26
KR20180101823A (ko) 2018-09-14
EP3499255A4 (en) 2019-07-24
CN109690335B (zh) 2022-01-04
US20190257889A1 (en) 2019-08-22
US11560067B2 (en) 2023-01-24
JP2020500292A (ja) 2020-01-09
WO2018164346A1 (ko) 2018-09-13
EP3499255A1 (en)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6301A (ko)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648893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US96537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battery life cycle management
EP3410558A1 (en) Battery control device
KR101500547B1 (ko) 배터리 셀의 충전량 밸런싱 장치 및 방법
KR102034209B1 (ko) 릴레이 수명 추정 장치 및 방법
US98824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SOC of battery
US20150372517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battery rack damage by measuring voltage
KR20200041711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544601B1 (ko) 충방전 테스트를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전력저장시스템
JP6171128B2 (ja) 電池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システム
JPWO2018012151A1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64057A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69484B1 (ko) 온도 정보를 이용한 배터리팩 제어장치 및 방법
US9142984B2 (en) Method of searching for full charge capacity of stacked rechargeable battery cells in rechargeable battery pack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made of the same
KR101741303B1 (ko) 배터리 랙 간 전압 밸런싱 장치 및 방법
KR102020044B1 (ko)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의 최대용량 충전 제어방법
KR20220167847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팩, 전기 차량 및 배터리 관리 방법
KR20160046549A (ko) 배터리의 soc 보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915183B1 (ko) 공통 버스를 이용한 액티브 셀 밸런싱의 기준 soc 설정 및 동작 장치 및 방법
JP2017090425A (ja) マトリックス制御によるバッテリー寿命診断法
JP2014081268A (ja) バッテリシステムとこのバッテリシステムを備える電動車両並びに蓄電装置
JP7436114B2 (ja) バッテリー診断装置及び方法
KR20190078092A (ko) 배터리 관리 장치
JP7195767B2 (ja) 亜鉛電池の劣化の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