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816A -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 Google Patents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816A
KR20210055816A KR1020190141341A KR20190141341A KR20210055816A KR 20210055816 A KR20210055816 A KR 20210055816A KR 1020190141341 A KR1020190141341 A KR 1020190141341A KR 20190141341 A KR20190141341 A KR 20190141341A KR 20210055816 A KR20210055816 A KR 20210055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multifunctional
moving system
head 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아
황진호
정대익
조민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1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5816A/ko
Publication of KR20210055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uspen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60W30/045Improving turning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7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60W2520/105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60Y2300/045Improving turning performance, e.g. agility of a vehicle in a cur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은 차량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 라이닝, 상기 헤드 라이닝에 위치하여 상기 헤드 라이닝을 따라 이동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개가 가능한 다기능 유닛 및 상기 다기능 유닛의 이동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기능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 시트의 상태, 헤드레스트의 상태 및 차량의 주행환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다기능 유닛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Moving System for Multi-Function of Head Lining}
본 발명은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차량의 내측 헤드 라이닝에 거치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다양한 위치에 대응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이동, 틸팅 및 회전이 가능한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루프패널 내측, 즉, 자동차 실내의 천정부위에는 지붕과의 단열 및 외부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도록 헤드 라이닝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헤드 라이닝에는 선그라스 등을 수납보관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박스나 스위치박스, 룸램프 등의 편의물품이 고정 설치되어 있어, 운전자나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차량 주행중 탑승자의 지루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TV나 영화 등을 볼 수 있도록 AV시스템(Audio Video system)이 장착된 차량도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AV시스템은 보통 차량 실내 전방의 인스트러먼트 패널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되도록 고정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룸램프나 AV시스템 등의 편의물품은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위치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AV시스템은 차량 전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리어시트에 착석한 탑승자는 이를 시청하기가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다.
더욱이, 최근 자율주행에 따라 시트의 포지션 변경에 대응하여 사용자 편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구동방식을 포함하는 다기능 유닛의 제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5-00004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트의 다양한 포지션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이용함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환경을 고려할 수 있는 다기능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유닛을 통해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되는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은 차량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 라이닝; 상기 헤드 라이닝에 위치하여 상기 헤드 라이닝을 따라 이동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개가 가능한 다기능 유닛; 및 상기 다기능 유닛의 이동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기능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 시트의 상태, 헤드레스트의 상태 및 차량의 주행환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다기능 유닛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 유닛은, 사용자와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 양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부 연장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윙사이드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면부가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하향이동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전면부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밝기 제어가 가능한 조명부; 상기 전면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여 팝업되도록 구성되는 미러부; 및 사용자와 상기 다기능 유닛의 전면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면부의 높이 방향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다단 접이식 지지부재; 상기 전면부가 틸팅되도록 상기 다단 접이식 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전면부가 상기 지지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다단 접이식 지지부재에 위치하는 회전조절부;을 포함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기능 유닛을 수면모드, 스피커모드, 독서모드 및 거울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기능 유닛이 수면모드에서 사용자의 눈에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기능 유닛이 스피커모드에서 사용자의 귀와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주행환경 측정값을 차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행환경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측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다기능 유닛을 원복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행환경은, 차량의 가속도, 차량의 속도, 서스펜션에 인가되는 충격량 및 차량의 선회와 관련된 측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 유닛은 상기 헤드 라이닝 내측에 위치하는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다양한 모드를 제공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에 따라 사용자와 유닛 사이의 충돌의 위험성을 제거하여 안전한 다기능 유닛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탑승자 각각에 제공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공하는바,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지켜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이 전개된 상태의 루프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이 전개된 상태의 다기능 유닛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의 전면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의 스피커 모드의 전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의 독서모드의 전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의 수면모드의 전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의 거울모드의 전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주행환경을 고려하여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을 제어하는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시스템"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모드'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위치에 따라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헤드 라이닝(300) 내측 레일부(200)를 따라 차량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다기능 유닛(100)을 포함하는 헤드 라이닝(300)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차량의 환경을 고려하여 다기능 유닛(100)의 제어를 수행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헤드 라이닝(300)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의 측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다기능 유닛(100)이 전개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다기능 유닛(100)이 차량의 실내로 전개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유닛(100)은 헤드 라이닝(300)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헤드 라이닝(300) 함몰영역에 인입하여 위치할 수 있다. 다기능 유닛(100)의 배면은 헤드 라이닝(300) 내측 루프 차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레일부(200)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레일부(200)의 일단에는 다기능 유닛(100)이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제공한다.
다기능 유닛(100)의 배면은 지지부(120)에 의해 레일부(200)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바, 지지부(120)가 차량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 등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헤드 라이닝(300)은 절개라인을 포함하여 지지부(120)가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절개라인은 헤드 라이닝(300)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원단부에 위치할 수 있는바, 레일부(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지지부(120)가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기능 유닛(100)은 제어부에 의해 다양한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피커모드, 수면모드, 독서모드 및 거울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환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시트(400)의 현재 상태 및 헤드레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차량에 위치하는 가속도 센서, 속도 센서, 요레이트 센서 및 서스펜션 충격감지 센서 등과 연동하여 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는 시트(400)의 리크라이닝 각도, 시트(400) 스위블 각도, 시트(400)의 길이 방향 위치정보 등을 수신하여 다기능 유닛(10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모드 변경에 따라 다기능 유닛(100)의 지지부(120)의 길이 연장, 전면부(110)가 이루는 각도 변화 및 전면부(110)가 마주하는 방향의 회전 변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환경조건에 따라 지지부(120)가 연장된 다기능 유닛(100)의 길이변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환경조건이 제어부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 이상의 주행환경조건 변경값이 측정되는 경우, 지지부(120)의 길이를 수축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차량의 가속도, 차량의 속도, 서스펜션에 인가되는 충격량 및 차량의 선회와 관련된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정값이 저장된 기준값 이상이면 지지부(120)의 길이를 축소하도록 구성된다.
차량의 주행환경조건 판단에 따라 지지부(120)의 길이가 수축되는 경우, 제어부는 지지부(120)의 길이 연장 속도보다 지지부(120)의 길이 축소 속도가 빠르도록 설정되어 지지부(120)의 길이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바, 사용자가 다기능 유닛(100)과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는 시트(400)의 포지션(길이 방향 각도, 좌우 방향 각도 및 길이 방향의 위치) 변화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선행하여 지지부(120)의 길이를 축소를 수행하고, 시트(400) 변경이 완료된 상태에서 지지부(120)의 길이가 신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시트(400) 변경에 따라 사용자와 다기능 유닛(100) 간의 일정한 거리 이상을 유지하여 모드 변경 및 시트(400) 위치 변경에 따라 사용자와 다기능 유닛(100)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기능 유닛(100)의 지지부(120)는 다단 접이식 지지부재(121)로 구성되는바, 일단이 레일부(200)에 체결되고, 타단이 연장되어 다기능 유닛(100)이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구동부를 통해 구동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지지부재(121)의 적어도 일부에는 각도조절부(122)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바, 전면부(110)가 소정의 각도만큼 틸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121)와 전면부(110)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조절부(123)을 포함하는바, 전면부(110)가 회전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는 회전조절부(123)을 통해 다기능 유닛(100)이 회전되는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지지부재(121), 각도조절부(122), 회전조절부(123)은 각각 구동력이 인가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시트(400) 정보, 사용자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구동부를 제어하여 다기능 유닛(100)의 전면부(11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지지부재(121)가 신장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각도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각도조절부(122), 전면부(110) 배면과 지지부재(121)가 체결되는 일단에 위치하는 회전조절부(123)을 포함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각도조절부(122)는 지지부재(121)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회전조절부(123)와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각도조절부(122)는 적어도 양방향 90도 이상으로 전면부(1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회전조절부(123)는 좌우 180도 이상 전면부(1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다기능 유닛(100)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다기능 유닛(100)은, 사용자와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전면부(110)를 포함하고, 전면부(110) 양측면에 위치하여 지지부(120)가 차량의 하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소정의 각도만큼 접히는 윙사이드부(130) 및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면부(110)가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 길이가 신장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전면부(110)의 각도 및 마주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윙사이드부(130)는 지지부(120)와 연동되어 지지부(12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전면부(110)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회전이동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전면부(110) 배면에 위치하는 모터를 통해서 전면부(110) 양단에 위치하는 윙사이드부(130)의 일끝단이 전면부(110)와 인접한 위치로 회전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다기능 유닛(100)의 전면부(110)에는 근접센서(113)를 포함하여 사용자와 전면부(110)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수면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아로마 봉(111), 독서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부(114) 및 일측단에 팝업이 가능한 미러부(112)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최초 시트(400)의 위치에 따라 다기능 유닛(100)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후 근접센서(113)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모드별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시트(4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기능 유닛(100)이 이동되는 경우, 제어부에 입력되어 있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고려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또는 시트(400) 착좌위치, 시트(400)에 인입되는 무게 등을 고려하여 다기능 유닛(100)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로마 봉(111)은, 사용자의 수면모드 입력에 대응하여 활성화되도록 구성되며, 조명부(114)는 사용자의 독서모드에 대응하여 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미러부(112)는 팝업식 구성으로서, 전면부(110)의 적어도 일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수동입력 또는 자동으로 팝업되거나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d는 제어부에 입력되는 각각의 모드에 따라 다기능 유닛(100)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에서는 스피커모드 상태에서 다기능 유닛(100)이 위치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모드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다기능 유닛(100)의 전면부(110)는 차량의 아래 방향과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윙사이드부(130)에 위치하는 스피커 구성이 사용자의 머리의 양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즉, 최초 스피커모드 입력에 대응하여 다기능 유닛(100)은 전면부(110)가 아래 방향을 향한 상태로 지지부재(121)가 신장되고 윙사이드부(130)가 접히도록 구성된다.
이후, 근접센서(113)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 위치와 대응되도록 전면부(110)가 이동하여 사용자 양측단에 윙사이드부(130)에 위치하는 스피커가 인접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는 스피커모드에서 다기능 유닛(100)의 전면부(110)가 차량의 하단을 마주한 최초 상태로 수신된 시트(400)의 정보에 따라 지지부재(121)가 선행하여 신장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제어부를 통해 수신된 시트(400) 정보를 기반으로 각도조절부(122) 및 회전조절부(123)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바, 지지부재(121)가 연장되는 도중 또는 연장이 완료된 시점에 사용자의 머리 위치에 대응하여 다기능 유닛(100)이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최초 제어된다.
이후, 전면부(110)에 위치하는 근접센서(113)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를 측정하고, 제어부를 통해 스피커모드에서 설정된 거리만큼 사용자 머리의 위치와 전면부(110) 사이의 간격이 제어된다.
전면부(110) 양측면에 위치하는 윙사이드부(130)는 다기능 유닛(100)이 하향 이동함에 따라 서로 인접한 위치로 먼 끝단이 위치하도록 구성되는바, 사용자의 머리 상부에 전면부(110)가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 머리 양측면에 인접하여 윙사이드부(130)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도 5b에서는 독서모드 상태에서 다기능 유닛(100)과 사용자 사이의 위치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독서모드에서는 전면부(110)가 차량의 하단을 바라보도록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부는 조명부(114)에 전력을 제공하여 사용자 전방에 미리 설정된 조도가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다기능 유닛(100)의 전면부(110)가 차량의 하단을 향해 위치하도록 지지부재(121)가 신장되고, 동시에 전면부(110) 양측에 위치하는 윙사이드부(130)가 차량의 하단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회전된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독서모드 요청에 대응하여 다기능 유닛(100)과 대응되는 시트(400)의 포지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트(400)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전방 일정한 영역에 빛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는 시트(400) 정보를 기반으로 각도조절부(122) 및 회전조절부(123)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바, 사용자의 전방에 대응하여 다기능 유닛(100)이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최초 제어된다.
독서모드에서 다기능 유닛(100)의 위치는 스키퍼모드에서의 다기능 유닛(100)의 위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사용자 전방에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구성되는바, 근접센서(113)를 통한 사용자와 거리측정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c에서는 수면모드에서의 다기능 유닛(100)과 사용자 사이의 위치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다기능 유닛(100)은 수면모드에서 사용자의 눈과 가까운 위치에 자리하도록 구성되는바, 최초 헤드 라이닝(300)에 위치하는 다기능 유닛(100)은 사용자와 인접한 위치로 지지부(120)의 길이가 신장되도록 제어된다.
더욱이, 지지부(120)가 신장됨과 동시 또는 신장된 이후 전면부(110)는 각도조절부(122) 및 회전조절부(123)를 통해 사용자의 눈과 마주하도록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는 다기능 유닛(100)과 대응되는 시트(4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다기능 유닛(100)이 사용자와 인접한 위치에 구성되도록 제어되는바, 지지부재(121), 각도조절부(122) 및 회전조절부(123)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후, 전면부(110)에 위치하는 근접센서(113)를 통해 사용자의 눈의 위치와 다기능 유닛(100)의 전면부(110)가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수면모드 설정에서, 전면부(110)에 위치하는 아로마 봉(111)이 구동되도록 제어되는바, 사용자의 릭렉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도 5d에서는 사용자의 거울모드 사용에 따른 다기능 유닛(100)과 사용자 사이의 위치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거울모드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부는 다기능 유닛(100)의 전면부(110)가 사용자와 마주하도록 위치하여, 전면부(110) 일측단에 위치하는 미러부(112)가 팝업되도록 구성된다.
최초 다기능 유닛(100)의 전면부(110)가 차량의 하단을 향해 위치하도록 지지부재(121)가 신장되고, 동시에 전면부(110) 양측에 위치하는 윙사이드부(130)가 차량의 하단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회전된다.
더욱이, 제어부는 사용자의 거울모드 요청에 대응하여 다기능 유닛(100)과 대응되는 시트(400)의 포지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트(400)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얼굴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기능 유닛(100)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는 시트(400) 정보를 기반으로 각도조절부(122) 및 회전조절부(123)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바, 사용자의 얼굴 높이에 대응하여 다기능 유닛(100)이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더욱이, 제어부는 거울모드에서 전면부(110)에 위치하는 미러부(112)가 사용자와 마주하도록 전면부(110)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사용자의 다양한 모드 일력에 대응하여 다기능 유닛(100)의 지지부(120)의 길이 변경과 동시에 윙사이드부(130)가 접히도록 제어되고, 각각의 모드에 따라 다기능 유닛(100)의 전면부(110)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후, 제어부는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면부(110)에 위치하는 근접센서(113)를 통해 사용자와 전면부(110)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바, 제어부에 저장된 모드별 거리값과 대응되는 위치에 전면부(110)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어부는 시트(400) 정보와 사용자 모드 입력을 기반으로 다기능 유닛(100)의 최초 전개 위치를 설정하며 다기능 유닛(100)의 전면부(110)의 각도를 제어하고, 이후, 근접센서(113)를 통해 모드별 설정된 거리값에 대응되는 위치로 전면부(110)의 세부적인 위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거울모드 및 독서모드와 같이 사용자의 전방으로 소정의 거리 이상 이격되는 모드 입력에서는 근접센서(113)를 통한 전면부(110)의 위치제어는 선택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의 주행환경에 따라 충돌 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시트(400) 정보를 수신하고, 다기능 유닛(100)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는 설정된 각각의 모드에 따라 다기능 유닛(100)의 위치가 제어된 상태 또는 제어되고 있는 상태조건에서 차량의 주행환경 변화가 인가되었는지 판단한다.
차량의 주행환경 조건으로서, 차량의 가속도, 차속, 서스펜션 충격량 및 급선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차량에 위치하는 가속도 센서, 속도 센서, 요레이트 센서 및 서스펜션 충격감지 센서 등을 통해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다.
즉, 제어부는 측정된 차량의 가속도, 속도, 서스펜션 충격량 및 급선회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하는바, 측정된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준값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기능 유닛(100)의 지지부(120)의 길이를 축소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조건에서 다기능 유닛(100)의 지지부(120)의 길이 축소를 수행하는 경우, 이는 지지부(120)의 연장속도와 비교하여 축소속도가 상대적으로 더 빠르도록 설정되어 다기능 유닛(100)의 축소시간이 단축되도록 제어부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후, 차량의 주행환경 조건의 측정값이 모두 기준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모드에 따라 다기능 유닛(100)의 위치 제어를 재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다기능 유닛
110: 전면부
111: 아로마 봉
112: 미러부
113: 근접센서
114: 조명부
120: 지지부
121: 지지부재
122: 각도조절부
123: 회전조절부
130: 윙사이드부
200: 레일부
300: 헤드 라이닝
400: 시트

Claims (10)

  1. 차량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 라이닝;
    상기 헤드 라이닝에 위치하여 상기 헤드 라이닝을 따라 이동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개가 가능한 다기능 유닛; 및
    상기 다기능 유닛의 이동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기능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 시트의 상태, 헤드레스트의 상태 및 차량의 주행환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다기능 유닛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유닛은,
    사용자와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 양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부 연장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윙사이드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면부가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하향이동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전면부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밝기 제어가 가능한 조명부;
    상기 전면부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여 팝업되도록 구성되는 미러부; 및
    사용자와 상기 다기능 유닛의 전면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면부의 높이 방향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다단 접이식 지지부재;
    상기 전면부가 틸팅되도록 상기 다단 접이식 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전면부가 상기 지지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다단 접이식 지지부재에 위치하는 회전조절부;을 포함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기능 유닛을 수면모드, 스피커모드, 독서모드 및 거울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기능 유닛이 수면모드에서 사용자의 눈에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기능 유닛이 스피커모드에서 사용자의 귀와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행환경 측정값을 차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주행환경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측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다기능 유닛을 원복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환경은,
    차량의 가속도, 차량의 속도, 서스펜션에 인가되는 충격량 및 차량의 선회와 관련된 측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유닛은 상기 헤드 라이닝 내측에 위치하는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KR1020190141341A 2019-11-07 2019-11-07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KR20210055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341A KR20210055816A (ko) 2019-11-07 2019-11-07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341A KR20210055816A (ko) 2019-11-07 2019-11-07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816A true KR20210055816A (ko) 2021-05-18

Family

ID=7615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341A KR20210055816A (ko) 2019-11-07 2019-11-07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58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460A (ko) 1993-06-11 1995-01-03 김태구 전후이동이 자유로운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460A (ko) 1993-06-11 1995-01-03 김태구 전후이동이 자유로운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7341B2 (en) Vehicle portable device holding system
JP6637042B2 (ja) 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マウント
US10696265B2 (en) Curtain airbag system of vehicle
JP6819620B2 (ja)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
EP3524456B1 (en) Vehicle
KR102628287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17210173A (ja) 乗員保護装置の制御装置、乗員保護システム、および乗員保護装置の制御方法
US11554670B2 (en) Display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display for a dashboard of a vehicle
KR20210055816A (ko) 헤드 라이닝의 다기능 무빙 시스템
JP6945081B2 (ja) 自動車の座席システムのための安全システムの操作方法および自動車の座席システムのための安全システム
JPH08169289A (ja) 乗員監視装置、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制御装置
JP2008207635A (ja) 座席駆動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9269535A (ja) 自動車用バニティミラー装置
KR20220099295A (ko) 디스플레이부 전개장치
JP6958524B2 (ja) 自動車用空調システム、制御装置
JP7006496B2 (ja) 車両シート制御装置
US20190375281A1 (en) Motor vehicle
JPS6092134A (ja) サイドミラ−の制御装置
JP4210578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US11820318B2 (en) Airba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83500Y1 (ko) 차량 룸미러 자동 조절 장치
CN113859075A (zh) 自动调节侧向及后向支撑的头枕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240414A (zh) 用于机动车辆的扶手
KR102020592B1 (ko) 목 부상 방지용 헤드레스트
KR20040072921A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