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715A -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715A
KR20210054715A KR1020190140703A KR20190140703A KR20210054715A KR 20210054715 A KR20210054715 A KR 20210054715A KR 1020190140703 A KR1020190140703 A KR 1020190140703A KR 20190140703 A KR20190140703 A KR 20190140703A KR 20210054715 A KR20210054715 A KR 20210054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rinting
unit
lower electrodes
temperature plas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운
안인용
구민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19014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715A/ko
Publication of KR2021005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06P5/2005Treatments with alpha, beta, gamma or other rays, e.g. stimulated 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2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ultrasonic or sonic; Corona discharge
    • D06M10/025Corona discharge or low temperature plasma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전처리유닛(120)의 전측 및 날염유닛(130)의 후측에 마련된 해권롤러(111) 및 권취롤러(113)에 원단을 장착하여 원단이 해권되면서 각 유닛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준비하는 원단장착단계(S10)와, 전처리유닛(120)의 챔버 내에서 상,하부전극(122,123)의 사이로 산소, 아르곤, 질소 중 하나 또는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주입단계(S20)와, 상,하부전극(122,123)에 고주파전원(124)을 인가하여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발생단계(S30)와, 상,하부전극(122,123)의 사이로 원단을 이송하면서 5 ~ 30cm/s의 처리시간으로 저온 플라즈마를 원단 표면에 분사하는 플라즈마반응단계(S40)와, 전처리유닛(120)의 챔버에서 배출되는 원단을 날염유닛(130)의 챔버 내로 이송하여 천연색소잉크로 날염하는 날염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시 염료의 흡수성 및 염착성을 향상하고 공정효율을 증대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LOW TEMPERATURE PLASMA PROCESSING METHOD OF DIGITAL TEXTILE PRITING FABRIC USING NATURAL DYE INK}
본 발명은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에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해 DTP 방식으로 날염하는 과정에서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함으로써 전처리와 날염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도록 이루어져 천연색소잉크 날염 품질을 향상하고 공정효율을 증진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Digital textile print)은 컴퓨터 및 DTP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원단을 날염기에 넣고 잉크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디자인 및 색감의 날염원단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날염 기술은 염료의 배합, 날염스크린 제작 등의 방식이 대부분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일관된 품질 보장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날염원단의 증열처리 및 염료정착을 위한 반복적인 세척과정에서 각종 처리제 등 화학약품들이 대량 방출됨에 따른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그에 비해,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은 종래 복잡한 날염 공정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단축하고 환경오염 문제를 비교적 저감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어 최근 각광받는 기술이다.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은 크게 전처리, 인쇄, 후가공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며 종래 공지된 기술을 참고하여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한국등록특허 제 10 - 1502730 호에는 전처리용 코팅제를 출력용 원단의 표면에 도포하여 코팅하는 전처리 공정과, 전처리된 원단을 디지털 날염기에 주입하고 염료를 분사하여 이미지를 프린트하는 출력 공정과, 이미지가 출력된 원단을 처리하여 염료를 고착하고 미고착된 염료 및 잔여 이물질을 수세한 후 건조하는 후가공 공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 방법을 구성한다.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시 원단을 전처리하는 공정은 날염, 즉 출력 공정시 날염 품질의 향상을 위해서 필수적인 공정이다. 이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례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8 - 0039549 호에는 전처리액 침지부를 통하여 원단을 전처리액에 침지시키는 단계와, 전처리액 침지부를 거쳐 이송된 원단에 에어를 분사하여 원단 표면의 전처리액이 고르게 도포되도록 하는 단계와, 전처리액이 도포된 원단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전처리 방법을 구성한다.
한편, 종래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에 사용되는 잉크는 화학염료를 주성분으로 하는바,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0578668 호에 공지된 날염 잉크의 구성을 살펴보면, 모노클로로(1,3,5)트리아진 그룹, 디글로로(1,3,5)트리아진 그룹, 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그룹, 비닐설폰그룹, 설파토에틸 설폰 그룹, 아크릴 아마이드 그룹, 에틸렌이민 그룹, 아자이드그룹, 설폰에틸렌이민 그룹, 트리클로로피리미딘 그룹, 모노클로로디플루오로피리미딘 그룹, 클로로벤조티아졸 그룹, 디클로로피리다존 그룹, 디클로로피리다진 그룹, 디클로로퀴노잘린 그룹, 에폭시 그룹 또는 3-카르복시피리디니오트리아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반응기를 가진 분자량 800이하의 반응성 분산염료와, 그 염료를 용해하는 용제로서 하기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섬유날염용 잉크젯 날염 잉크를 구성한다.
또한, 종래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에 사용되는 전처리제 역시 화학물질이 주성분을 이루는바,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0947128 호에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한 호제와, 유레아계 화합물을 포함한 하이드로트롭제와, 비휘발성 산과, 불소계 발수제와,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전처리제 조성물을 구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1502730 호 (2015.03.13)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8 - 0039549 호 (2018.04.18) 한국등록특허 제 10 - 0578668 호 (2006.05.12) 한국등록특허 제 10 - 0947128 호 (2010.03.10)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에는 트리클로로, 염소, 브론산염 등을 포함하는 화학적 조성으로 이루어진 화학염료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출력 공정에 앞선 전처리 공정에서도 화학 성분의 전처리제를 이용해 원단을 침지, 코팅, 건조하는 일련의 공정을 거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화학염료 및 전처리제의 용출에 따른 오염 발생이 불가피하고, 사용 과정에서도 화학 잔여물이 미세하게 지속적으로 검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인체에도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를 내포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체 또는 환경에 유해한 화학적 조성물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날염 기술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천연색소잉크는 기존의 화학염료에 비해 뭉침 또는 번짐 현상이나 낮은 염착성 및 견뢰도를 도출하는 등 물리, 화학적 특성 및 기존의 전처리제와의 반응성이 현저히 상이하므로 종래의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에 적용되는 전처리 공정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전처리유닛(120)의 전측 및 날염유닛(130)의 후측에 마련된 해권롤러(111) 및 권취롤러(113)에 원단을 장착하여 원단이 해권되면서 각 유닛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준비하는 원단장착단계(S10)와,
전처리유닛(120)의 챔버 내에서 상,하부전극(122,123)의 사이로 산소, 아르곤, 질소 중 하나 또는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주입단계(S20)와,
상,하부전극(122,123)에 고주파전원(124)을 인가하여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발생단계(S30)와,
상,하부전극(122,123)의 사이로 원단을 이송하면서 5 ~ 30cm/s의 처리시간으로 저온 플라즈마를 원단 표면에 분사하는 플라즈마반응단계(S40)와,
전처리유닛(120)의 챔버에서 배출되는 원단을 날염유닛(130)의 챔버 내로 이송하여 천연색소잉크로 날염하는 날염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즈마반응단계(S40)에서 원단의 표면과 상부전극 사이의 거리는 1 ~ 20mm로 이격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플라즈마반응단계(S40) 내지 날염단계(S50)는 연속하여 순차로 실시하되 상기 플라즈마반응단계(S40)의 처리시간에 비례하여 1회 내지 수회를 반복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날염시 염료의 흡수성 및 염착성을 향상하고 공정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존의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에 적용되는 화학염료가 아닌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날염원단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염료에 비해 천연색소잉크의 취약점이라 할 수 있는 원단에 대한 낮은 염착도 및 견뢰도 특성을 고려하여 종래 기술에서 원단을 전처리제에 침지하여 처리하는 일반적인 전처리 방식과 차별된 저온 플라즈마를 적용하는 가공방법을 구성함으로써 천연색소잉크에 대한 날염원단의 흡착성을 현저히 증대시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 품질을 향상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전처리제에 의한 습식공정으로 이루어져 세정 및 건조 등의 공정이 수반되는 것과 차별하여 드라이공정인 플라즈마에 의한 전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원단의 해권 및 이송과정에서 전처리 및 날염 공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정 전반을 간소화하여 효율성 및 작업성, 생산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종래 화학적 조성의 염료 및 전처리제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 기술에 비해 공정의 실시 과정에서 오염물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보다 친환경적인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은 원단에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해 DTP 방식으로 날염하는 과정에서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함으로써 전처리와 날염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도록 이루어져 천연색소잉크 날염원단의 품질을 향상하고 공정효율을 증진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장치에 의해 원단을 가공하도록 원단장착단계(S10)와, 기체주입단계(S20)와, 플라즈마발생단계(S30)와, 플라즈마반응단계(S40)와, 날염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바,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원단이송유닛(110), 전처리유닛(120), 날염유닛(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단이송유닛(110)은 원단롤을 장착하는 해권롤러(111)와, 해권된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롤러(113)와, 이들 사이에서 원단을 이송하는 다수의 이송롤러(112)를 구비한다.
상기 해권롤러(111) 및 권취롤러(113)는 가공장치 본체의 양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도록 설치하여 원단롤을 일 방향으로 해권하여 이송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해권롤러(111)와 권취롤러(113)의 사이에는 후술하게 될 전처리유닛(120) 및 날염유닛(130)이 구비되어 원단을 처리하도록 이루어지므로 해권롤러(111)와 권취롤러(113)는 동일 높이로 구비하여 원단을 수평으로 해권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송롤러(112)는 해권롤러(111)와 권취롤러(113)의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하여 해권되는 원단의 중심 구간, 즉 전처리유닛(120) 및 날염유닛(130)에서 장력을 유지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이송롤러(112)는 상기 전처리유닛(120) 및 날염유닛(130)의 챔버 내부를 제외한 구간에서 상, 하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원단의 상, 하면을 가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처리유닛(120)은 상기 해권롤러(111) 및 권취롤러(113)의 사이에 구비하여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하고 원단에 반응시키도록 구성한다.
저온 플라즈마는 기체를 이온화한 상태에서 양이온의 온도는 저온이고 전자의 온도는 고온인 비평형상태의 플라즈마로써 고분자 물질의 표면 개질이나 반도체 공정에 이용되는 기술이다.
상기 전처리유닛(120)은 비활성 기체 원소를 전극 사이에서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시킴으로써 플라즈마를 발생하며, 이를 원단에 분사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원단의 표면을 개질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처리유닛(120)은 챔버(121)와, 원단의 상, 하측에 구비하는 상,하부전극(122,123)과, 상,하부전극(122,123)에 전원을 인가하는 고주파전원(124)과, 상,하부전극(122,123) 사이에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주입부(125)를 구비한다.
상기 챔버(121)는 내부를 진공상태 또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면서 기체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저온 플라즈마가 발생하도록 구비한다. 챔버(121)의 내부에는 상,하부전극(122,123) 및 기체주입구가 구비되며 원단이송유닛(110)에 의해 이송되는 원단이 통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하부전극(122,123)은 가공장치 본체의 프레임상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한다. 상,하부전극(122,123)은 구리, 알루미늄, 합금 등의 전도성 금속체로 구성한다.
상기 상,하부전극(122,123) 간의 거리는 인가되는 전압 및 기체의 유량에 따라서 가변하되 거리차가 클 경우 고전압이 소요되고 이온화가 어려워 플라즈마가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되며 근접할 경우 원단이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전극은 원단의 표면에서 1 ~ 20mm 거리로 이격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고주파전원(124)은 60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원을 상기 상,하부전극(122,123)에 공급하여 양 전극간의 방전에 의해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기체주입부(125)는 산소, 아르곤, 질소 중 하나 또는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기체를 챔버(121) 내로 주입하도록 구비하여 플라즈마를 원단에 분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날염유닛(130)은 상기 해권롤러(111) 및 권취롤러(113)의 사이에서 전처리유닛(120)의 후측에 구비하여 전처리유닛(120)에서 배출되는 원단을 이송받고 천연색소잉크를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날염유닛(130)은 챔버(131) 내부에 천연색소잉크를 분사하는 소정의 분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처리유닛(120)에 의해 플라즈마 전처리가 이루어진 원단이 원단이송유닛(110)에 의해 논스톱으로 챔버(131) 내로 이송되어 통과하면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가공장치에 의해 원단을 가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은 원단장착단계(S10)와, 기체주입단계(S20)와, 플라즈마발생단계(S30)와, 플라즈마반응단계(S40)와, 날염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단장착단계(S10)는 전처리유닛(120)의 전측 및 날염유닛(130)의 후측에 마련된 해권롤러(111) 및 권취롤러(113)에 원단을 장착하여 원단이 해권되면서 각 유닛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준비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을 하고자 하는 원단을 권취하는 원단롤을 해권 및 재권취하면서 전처리유닛(120)과 날염유닛(130)을 통과시켜 일련의 단계들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도록 이루어지는바, 상기와 같은 원단장착단계(S10)에 의해 원단을 가공장치에 장착한다.
상기 기체주입단계(S20)는 전처리유닛(120)의 챔버(121) 내에서 상,하부전극(122,123)의 사이로 산소, 아르곤, 질소 중 하나 또는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기체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체주입단계(S20)에 사용되는 기체는 약 99% 이상의 고순도 상태로 주입하며 기체의 주입 속도는 상기 상,하부전극(122,123) 간의 거리에 비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플라즈마발생단계(S30)는 상,하부전극(122,123)에 고주파전원(124)을 인가하여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플라즈마발생단계(S30)는 챔버(121) 내부로 주입되는 기체가 상,하부전극(122,123) 사이를 통과하면서 방전에 의해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저온 플라즈마의 생성에 관한 구체적인 화학적 원리에 대해서는 주지된 기술을 참고하면 될 것이므로 생략한다.
상기 플라즈마반응단계(S40)는 상,하부전극(122,123)의 사이로 원단을 이송하면서 5 ~ 30cm/s의 처리시간으로 저온 플라즈마를 원단 표면에 분사하는 단계이다.
상기 플라즈마반응단계(S40)에서는 상,하부전극(122,123)의 사이로 주입되는 기체의 유속에 의해 저온 플라즈마가 원단에 분사되면서 원단에 작용하여 섬유의 표면이 친수성기로 개질되거나 소정의 에칭효과를 도출함으로써 후술하게 될 날염단계(S50)에서 천연색소잉크의 흡수성을 증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플라즈마반응단계(S40)에서 원단의 표면과 상부전극 사이의 거리는 1 ~ 20mm로 이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범위 이하로 근접할 경우 원단이 열화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이상으로 이격할 경우 고전압이 소요되고 이온화가 어려워 플라즈마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날염단계(S50)는 전처리유닛(120)의 챔버에서 배출되는 원단을 날염유닛(130)의 챔버(131) 내로 이송하여 천연색소잉크로 날염하는 단계이다.
상기 날염단계(S50)는 플라즈마반응단계(S40)에 의해 표면이 개질된 원단의 표면에 천연색소잉크를 분사하여 이미지를 프린트하여 날염한다. 화학염료에 비해 염착성이 매우 낮은 천연색소잉크는 상기 플라즈마반응단계(S40)에 의해 고흡착성을 가지도록 표면 개질된 원단을 이용하여 날염단계(S50)에 의해 고품질의 날염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라즈마반응단계(S40) 내지 날염단계(S50)는 연속하여 순차로 실시하되 상기 플라즈마반응단계(S40)의 처리시간에 비례하여 1회 내지 수회를 반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날염단계(S50) 이후에는 소정의 코팅수지를 이용해 원단 표면을 코팅하는 등의 추가적인 후처리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은 기존의 디지털 날염에 적용되는 화학염료가 아닌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저온 플라즈마를 적용하는 가공방법을 구성함으로써 화학염료에 비해 낮은 염착도 및 견뢰도 특성을 가지는 천연색소잉크에 대한 날염원단의 흡착성을 현저히 증대시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처리 및 날염 공정을 원단의 이송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실시하여 공정 전반을 간소화함으로써 효율성 및 작업성, 생산성을 증대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10: 원단이송유닛
111: 해권롤러
112: 이송롤러
113: 권취롤러
120: 전처리유닛
121: 챔버
122,123: 상,하부전극
124: 고주파전원
125: 기체주입부
130: 날염유닛
131: 챔버
S10: 원단장착단계
S20: 기체주입단계
S30: 플라즈마발생단계
S40: 플라즈마반응단계
S50: 날염단계

Claims (2)

  1. 전처리유닛(120)의 전측 및 날염유닛(130)의 후측에 마련된 해권롤러(111) 및 권취롤러(113)에 원단을 장착하여 원단이 해권되면서 각 유닛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준비하는 원단장착단계(S10)와,
    전처리유닛(120)의 챔버 내에서 상,하부전극(122,123)의 사이로 산소, 아르곤, 질소 중 하나 또는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주입단계(S20)와,
    상,하부전극(122,123)에 고주파전원(124)을 인가하여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발생단계(S30)와,
    상,하부전극(122,123)의 사이로 원단을 이송하면서 5 ~ 30cm/s의 처리시간으로 저온 플라즈마를 원단 표면에 분사하는 플라즈마반응단계(S40)와,
    전처리유닛(120)의 챔버에서 배출되는 원단을 날염유닛(130)의 챔버 내로 이송하여 천연색소잉크로 날염하는 날염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즈마반응단계(S40)에서 원단의 표면과 상부전극 사이의 거리는 1 ~ 20mm로 이격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플라즈마반응단계(S40) 내지 날염단계(S50)는 연속하여 순차로 실시하되 상기 플라즈마반응단계(S40)의 처리시간에 비례하여 1회 내지 수회를 반복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
  2. 원단롤을 장착하는 해권롤러(111)와, 해권된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롤러(113)와, 이들 사이에서 원단을 이송하는 다수의 이송롤러(112)를 구비하는 원단이송유닛(110)과,
    상기 해권롤러(111) 및 권취롤러(113)의 사이에 구비하여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하고 원단 표면에 반응시키는 전처리유닛(120)과,
    상기 해권롤러(111) 및 권취롤러(113)의 사이에서 전처리유닛(120)의 후측에 구비하여 전처리유닛(120)에서 배출되는 원단을 이송받고 천연색소잉크를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하여 출력하는 날염유닛(130)을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유닛(120)은 챔버(121)와, 원단의 상, 하측에 구비하는 상,하부전극(122,123)과, 상,하부전극(122,123)에 전원을 인가하는 고주파전원(124)과, 상,하부전극(122,123) 사이에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주입부(125)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전극은 원단의 표면에서 1 ~ 20mm 거리로 이격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기체주입부(125)는 산소, 아르곤, 질소 중 하나 또는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기체를 주입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장치.
KR1020190140703A 2019-11-06 2019-11-06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 KR20210054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703A KR20210054715A (ko) 2019-11-06 2019-11-06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703A KR20210054715A (ko) 2019-11-06 2019-11-06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715A true KR20210054715A (ko) 2021-05-14

Family

ID=7591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703A KR20210054715A (ko) 2019-11-06 2019-11-06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471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668B1 (ko) 2003-03-07 2006-05-12 주식회사 잉크테크 다양한 소재에 날염가능한 잉크젯 날염 잉크, 그 제조방법및 그 잉크를 이용한 날염방법
KR100947128B1 (ko) 2008-07-16 2010-03-10 한국염색기술연구소 나일론 직물의 디지털 날염용 전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전처리방법
KR101502730B1 (ko) 2014-07-14 2015-03-13 (주) 삼희기획 날염기를 이용한 디지털 날염 방법
KR20180039549A (ko) 2016-10-10 2018-04-18 (주)안동나염 디지털 날염용 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날염용 전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668B1 (ko) 2003-03-07 2006-05-12 주식회사 잉크테크 다양한 소재에 날염가능한 잉크젯 날염 잉크, 그 제조방법및 그 잉크를 이용한 날염방법
KR100947128B1 (ko) 2008-07-16 2010-03-10 한국염색기술연구소 나일론 직물의 디지털 날염용 전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전처리방법
KR101502730B1 (ko) 2014-07-14 2015-03-13 (주) 삼희기획 날염기를 이용한 디지털 날염 방법
KR20180039549A (ko) 2016-10-10 2018-04-18 (주)안동나염 디지털 날염용 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날염용 전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polyester fabrics for inkjet printing with atmospheric-pressure air/Ar plasma
US20110033691A1 (en) Composition, method and device for digitally coating textile
Oliveira et al. Dyeing mechanism and optimization of polyamide 6, 6 functionalized with double barrier discharge (DBD) plasma in air
JP5203924B2 (ja) 布製品の連続インクジェット仕上げ処理のための組成物
US9157191B2 (en) Treatment of fibrous materials using atmospheric pressure plasma polymerization
KR101534832B1 (ko) 습,건식 복합 마스크 세정장치
Zhu et al. Influence of the amount of absorbed moisture in nylon fibers on atmospheric pressure plasma processing
WO2009125634A1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KR20180039549A (ko) 디지털 날염용 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날염용 전처리 방법
KR20210054715A (ko) 천연색소잉크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저온 플라즈마 가공방법
US20090045372A1 (en) Composition for drop on demand finishing of a textile article
KR101222273B1 (ko)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직물 재료를 연속적 및 반-연속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Jang et al. Continuous photografting of HEMA onto polypropylene fabrics with benzophenone photoinitiator
US20170275814A1 (en) Method for coloring a substrate using atmospheric pressure plasma polymerization
EP3370969A1 (en) Device for the polymerization of inks and/or paints in an inert atmosphere
KR101172688B1 (ko) 고분자전해질을 이용한 기판 전처리를 통한 탄소나노튜브 박막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박막
EP1915481B1 (en) Process for printing and finishing on fabrics partially or totally containing aramidic fibre, in the form of filament and/or flock
JP7108686B2 (ja) ポリエステルテキスタイル上へのインクジェット印刷
JP6587283B2 (ja) 染色方法
US11879207B2 (en) Dyeing process to minimize waste water production
KR102347409B1 (ko) 인쇄 장치
JP2010242229A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Thakker et al. Inkjet printing of textiles enhanced by sustainable plasma technology
Abid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the preparatory processes for the digital printing of textiles
JPS6233642A (ja) スクリ−ン印刷用メツシユ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