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576A - 함초추출물을 함유한 임산부의 과염증성 반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함초추출물을 함유한 임산부의 과염증성 반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576A
KR20210053576A KR1020190139341A KR20190139341A KR20210053576A KR 20210053576 A KR20210053576 A KR 20210053576A KR 1020190139341 A KR1020190139341 A KR 1020190139341A KR 20190139341 A KR20190139341 A KR 20190139341A KR 20210053576 A KR20210053576 A KR 20210053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reen tea
preventing
tea extract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946B1 (ko
Inventor
이성기
이준영
노의정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9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9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6Antiabortive agents; Labour r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My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함초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포함하고, 대식세포에서 NLRP3 인플라마좀의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인자의 과발현을 막아 과염증성 반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함초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포함하고, 영양막세포에서 NLRP3 인플라마좀의 활성을 억제하여 과염증반응에 의한 임산부의 조산 또는 유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함초추출물을 함유한 임산부의 과염증성 반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alicornia herbacea L.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inflammation of pregnant women}
본 개시내용은 함초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함유하고, 임산부의 과염증성 반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산부의 영양막 세포에서 염증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과염증반응에 의한 임산부의 조산 또는 유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임신 중 염증은 유산 또는 조산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게다가, 염증은 태아의 성장에 영향을 미쳐 심혈관 질병이나 신경 손상을 일으키게 되어, 신생아의 뇌성 마비 및/또는 자폐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임산부의 9-12%가 조산을 하게 되는데 조산의 현재 치료법은 자궁수축억제제를 처방하고 있을 뿐이고, 염증 조절과 같은 효과적인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았다.
인터루킨-1 변환 효소로도 알려진 카스파제-1(caspase-1)은 IL-1β 및 IL-18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 및 분비를 촉진한다. IL-1β의 거의 모든 성숙 과정은 카스파제-1를 통한 효소 절단이 필요합니다. 카스파제-1은 p10 및 p20 소단위로 구성된 2개의 헤테로다이머를 함유하며 활성화될 때는 각 소단위가 결합한다. 활성화된 카스파제-1은 성숙한 IL-1β가 생산되도록 하고, 파이롭토시스(pyroptosis)라고 불리는 특이한 용혈성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특히, IL-1β 신호는 많은 세균 감염에서 세균 사멸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인한 가수분해 효소 및 반응성 산소 라디칼을 유도하여 숙주 조직에 상당한 손상을 초래한다. 이것은 임산부의 조산이나 유산을 이끌어 낸다는 연구가 있다. 태반은 태아와 산모사이에서 태아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필수영양분을 교환하는 매개가 되는 구조체이다. 태반은 임신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관인데, 종래 연구에서는 조산을 경험한 환자들의 양수와 태반에서 정상적인 여성의 것보다 높은 염증반응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IL-6과 IL-1β의 농도수준은 조산을 경험한 환자에서 더 높았다. 또한 IL-1β가 임신 3개월의 영양막세포주의 분화를 막는 것으로 밝혀져 IL-1β가 태반성장 조절인자 중 하나인 것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비추어볼 때 임산부의 조산이나 유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 임산부의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함초(鹹草)는 우리 나라 서해안이나 남해안, 제주도, 울릉도, 백령도와 같은 섬 지방의 바닷물이 닿는 해안이나 갯벌, 염전 부근에 무리 지어 자란다. 식물학적 분류로는 명아주과(Chenopodiaceae)에 속하며 우리말로는 퉁퉁하고 마디마디 튀어나온 풀이라 하여 퉁퉁마디라고 하며 학명은 Salicornia herbacea L.이라고 한다. 함초는 해안에서 바닷물을 흡수하며 자생하는 1년생 초본이다. 함초의 특징은 육초(陸草)이면서도 해수속의 모든 성분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으로, 즉 바닷물 속의 쓴맛을 제외한 각종 미네랄과 효소 등을 잎과 줄기에 농축된 상태로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함초는 해안 염습지대에 자생하면서 만조때 바닷물을 한껏 흡수하고 간조때엔 햇볕을 받으면서 광합성을 통해 잎과 줄기에서 수분은 증발되고 해수 속에 들어있는 각종 유효성분만이 남아있게 되는 생리를 지니고 있다.
함초추출물은 장 질환, 비만, 당뇨병 및 간염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민간에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함초추출물이 임산부의 조산이나 유산을 유도하는 염증반응을 막을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함초추출물을 함유한 임산부의 염증반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임산부의 조산 또는 유산 예방용 조성물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구현예에 의하면,
함초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포함하며,
과염증성 반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임산부의 조산 또는 유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함초추출물을 포함하는 임산부의 조산 또는 유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구체예에 따른 함초추출물을 함유하는 임산부의 염증반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인간의 영양막 세포에서 일어나는 염증반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여 임산부의 조산 또는 유산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골수세포 유래 대식세포에 함초추출물 처리시 염증인자의 발현정도를 도식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A-C는 골수세포 유래 대식세포에 함초추출물을 2시간 전처리한 후 LPS 100 ng/ml로 6시간, 이어서 ATP 5 mM로 30분을 처리하여 IL-6, IL-1β, TNF-α의 발현수준을 ELISA를 통해 검출한 것이고, 도 1D는 SH 처리 농도에 따라 카스파제-1과 IL-1β의 활성형의 발현여부를 웨스턴블롯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함초추출물이 골수세포 유래 대식세포의 NLRP3를 직접 억제하는지를 확인하여 도식화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A-C는 도 1A-C의 실험절차와 달리 골수세포 유래 대식세포에 LPS 100 ng/ml로 6시간 처리 후에 함초추출물을 처리 후 이어서 ATP 5 mM로 30분을 처리하여 IL-6, IL-1β, TNF-α의 발현수준을 ELISA를 통해 검출한 것이고, 도 2D는 SH 처리 농도에 따라 카스파제-1과 IL-1β의 활성형의 발현여부를 웨스턴블롯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함초추출물이 NLRP3 인플라마좀에 의해 활성화되는 파이롭틱 세포사멸을 억제하여 세포생존성을 높일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도 4는 함초추출물이 영양막세포(태반세포)의 NLRP3 인플라마좀을 억제하여 IL-6 및 IL-1β의 발현을 억제하는지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예를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기술적 특징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달리 명시하지 않았더라도, 본 개시내용에 사용된 모든 숫자는 모든 경우마다 “약”이란 용어가 수식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수식어 “약”은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대략적으로의 의미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는 수식된 값의 특정 퍼센트 이내의 의미로서 더욱 정확하게 해석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10%, ±5%, ±2% 또는 ±1% 또는 그 미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함초(Salicornia herbacea L.)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과염증반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임산부 투여시 임산부의 과염증반응을 억제하여 조산 또는 유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상기 함초 추출물은 퉁퉁마디라고도 불리는 함초의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로부터 용매에 의하여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일부분은 함초의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또는 꽃잎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추출수행시 액체상태를 유지하여 함초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용매면 충분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물, 알콜, 염화 탄화수소,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알킬(메틸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알콜은 예를 들면, C1-C6 알콜, 예를 들면, C1-C4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C1-C6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및 헥산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염화 탄화수소는 클로로포름(CHCl3), 디클로로메탄(CH2Cl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매는 서로 다른 두 유기용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물과 알콜의 혼합물 즉 알콜 수용액일 수 있고, 알콜과 염화 탄화수소의 혼합물일 수 있고, 물과 아세토니트릴의 혼합물일 수 있고, 물과 알킬 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콜 수용액의 알콜 농도는 약 1 내지 약 99.5 (v/v)%, 예를 들면, 약 10 내지 약 99.5 (v/v)%, 약 1 내지 약 70(v/v)%, 약 1 내지 약 40(v/v)%, 약 5 내지 약 25(v/v)%, 약 7 내지 약 20(v/v)%, 약 5 내지 약 25(v/v)%, 또는 약 10 내지 약 20(v/v)%일 수 있다. 상기 알콜 수용액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및 헥산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알콜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은 함초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약 1 내지 약 100 (부피/중량)배, 예를 들면, 약 1 내지 약 50 (부피/중량)배, 약 3 내지 약 20 (부피/중량)배, 약 3 내지 약 50 (부피/중량)배, 약 5 내지 약 25 (부피/중량)배, 또는 약 4 내지 약 30배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함초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 1kg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약 1 내지 약 100 L 첨가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3 내지 약 15 L를 첨가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5 내지 약 50 L를 첨가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30 L 첨가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30 내지 약 75 L 첨가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15 L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가온된 액체 추출, 가압된 액체 추출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PLE), 초음파 도움을 받은 추출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MAE), 아임계 추출 (subcritical extraction: S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임계 추출은 아임계 수추출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일 수 있다. 아임계 수추출은 초가열된 수추출 (superheated water extraction) 또는 가압된 열수 추출 (pressurized hot water extraction: PHWE)라고도 한다. 상기 가온된 액체 추출은 환류 추출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중 선택되는 임의의 두 개의 수치의 범위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100℃,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80℃, 약 10℃ 내지 약 70℃, 약 10℃ 내지 약 30℃, 약 10℃ 내지 약 50℃, 약 20℃ 내지 약 70℃, 약 20℃ 내지 약 60℃, 약 30℃ 내지 약 50℃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시간은 예를 들어 약 0.1 시간 내지 약 2개월, 예를 들어 약 0.1 시간 내지 약 10일, 예를 들어 약 0.1 시간 내지 약 3일, 예를 들어 약 0.1 시간 내지 약 1일, 예를 들어 약 0.1 시간 내지 12시간, 예를 들어 약 0.1 시간 내지 약 6시간, 예를 들어 약 0.1 시간 내지 약 1시간, 예를 들어 약 0.5 시간 내지 약 2개월, 예를 들어 약 1 시간 내지 약 1개월, 예를 들어 약 1 시간 내지 약 15일, 에를 들어 약 1 시간 내지 약 10일, 에를 들어 약 1 시간 내지 약 5일, 예를 들어 약 1 시간 내지 약 3일, 예를 들어 약 1 시간 내지 약 2일, 예를 들어 약 1 시간 내지 약 1일, 예를 들어 약 3 시간 내지 약 1개월, 예를 들어 약 5 시간 내지 약 15일, 예를 들어 약 5 시간 내지 약 10일, 예를 들어 약 5 시간 내지 약 5일, 예를 들어 약 5 시간 내지 약 3일, 예를 들어 약 5 시간 내지 약 2일, 예를 들어 약 5 시간 내지 약 1일, 예를 들어 약 10 시간 내지 약 1개월, 예를 들어 약 10 시간 내지 약 15일, 예를 들어 약 10 시간 내지 약 10일, 예를 들어 약 10 시간 내지 약 5일, 예를 들어 약 10 시간 내지 약 3일, 또는 예를 들어 약 10 시간 내지 약 2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용매 중에 함초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혼합하고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치는 적당한 교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반복은 추출이 1회 이상 진행되고, 추출액을 여과하고 남은 함초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다시 추출용매에 침지시켜 추출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식물체 잔사 및 추출액을 여과 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압여과, 감압여과 또는 가압여과일 수 있고, 여과지를 이용할 수 있다. 감압여과는 여과지를 중심으로 여과후(後) 부분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여과하는 방법일 수 있고, 가압여과는 여과지를 중심으로 여과전(前) 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여과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물을 건조에 의하여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감압 건조, 비등 건조, 분무 건조, 상온 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용어 "분획물(fraction)"은 상기 함초 추출물이 그 일부의 성분으로 나누어진 물질 즉 분획된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용매 분획화 (fractionation)에 의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 분획화는 함초 추출물을 용매와 혼합하고 상기 용매에 존재하는 물질을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함초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화하여 얻어진 헥산 분획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n-부탄올 분획물, 물 분획물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분획물은 추출물이나 분획물에 대하여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세분화시킨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극성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분자량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일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이들 조합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섞이지 않는 서로 다른 용매들에 의한 액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획물일 수 있고, 점차적인 용매의 극성변화에 의해 컬럼을 통과시켜 나누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획물일 수 있고, 다공성 입자로 구성된 컬럼을 통과시켜 분자크기에 따른 분획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상기 추출물이나 분획물에 대해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극성의 용매를 점차적으로 비율을 달리하여 얻어진 또 다른 분획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두 용매 A와 B에 있어서 A:B의 비율이 0:100, 1:99, 5:95, 10:90, 20:80, 30:70, 40:60, 50:50, 60:40, 70:30, 80:20, 90:10 및 100:0으로 단계적으로 극성변화를 일으키는 혼합물에 의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얻어진 분획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50 %, 60 %, 70 %, 80 % 및 90 % 수성메탄올 및 100 % 메탄올의 단계적 혼합물에 의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얻어진 분획물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100 % CHCl3, 5 %, 10 %, 20 %, 30 %, 40 %, 50 %, 60%, 70 %, 80%, 90% 메탄올이 용해된 CHCl3 및 100% 메탄올의 혼합물에 의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얻어진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의 충진제는 순상 또는 역상 실리카겔일 수 있고, 다공성 입자를 가진 충진제일 수 있다. 상기 분획은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여과 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압여과, 감압여과 또는 가압여과일 수 있고, 여과지를 이용할 수 있다. 감압여과는 여과지를 중심으로 여과후(後) 부분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여과하는 방법이고, 가압여과는 여과지를 중심으로 여과전(前) 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여과하는 방법이다. 상기 분획은 또한 얻어진 분획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획은 또한 얻어진 분획물을 건조에 의하여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감압 건조, 비등 건조, 분무 건조, 상온 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과염증성 반응(inflammatory disease)"은 염증이 과도하게 발현되어 인체내에서 질환을 초래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과염증성 반응에 의하여 초래되는 질환은 피부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피부염은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지루성 피부염인 것일 수 있다.
특정이론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과염증성 반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은 대식세포에서 NLRP3 인플라마좀(inflammasome)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염증반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은 NLRP3 인플라마좀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 IL-6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과염증반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은 IL-1 전환효소인 카스파제-1(caspase-1)가 활성화되는 것을 막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IL-1β가 생성되는 것을 막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정이론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임산부의 과염증성 반응은 임산부의 조산이나 유산을 유발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임산부의 과염증성 반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은 임산부의 조산 또는 유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특정이론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조산이나 유산하는 임산부의 양수와 태반에서 정상적인 여성보다 높은 수준의 염증성 인자를 가지고 있으므로 임산부의 과염증성 반응을 조절하는 것이 임산부의 조산이나 유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산부의 과염증성 반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은 임산부의 영양막 세포(trophoblast cell)에서 NLRP3 인플라마좀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또한 NLRP3 인플라마좀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 IL-6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과염증반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은 카스파제-1(caspase-1)가 활성화되는 것을 막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IL-1β가 생성되는 것을 막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영양막 세포는 배아기에 모체의 태반을 구성하는 배반포의 외형을 형성하는 세포를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태반에 특화된 세포로, 태아의 착상과 자궁과 자궁의 내면을 둘러싸고 있는 점액성 막인 탈락막(decidual) 사이의 교류를 담당하는 세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함초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상기의 효과를 가짐으로써, 과염증성 반응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일 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과염증성 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임산부의 조산 또는 유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0.01 중량%, 0.05 중량%, 0.1 중량%, 0.5 중량%, 1.0 중량%, 3 중량%, 5 중량%, 10 중량%, 20 중량%, 30 중량%, 40 중량%, 50 중량%, 60 중량%, 70 중량%, 80 중량% 및 90 중량% 중 선택되는 임의의 두 수치의 범위로 표시되는 함초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0.001 중량% 내지 약 95 중량%, 약 0.01 중량% 내지 약 90 중량%, 약 0.01 중량% 내지 80 중량%, 약 0.01 중량% 내지 70 중량%, 약 0.01 중량% 내지 60 중량%, 약 0.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약 0.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 약 0.05 중량% 내지 25 중량%, 약 0.05 중량% 내지 15 중량%, 약 0.05 중량% 내지 5 중량%,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약 1.0 중량% 내지 10 중량%, 약 1.0 중량% 내지 약 5 중량%,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약 5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또는 약 10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함초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 투여 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또는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또는 보존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elixir),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용액, 현탁액, 정제,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할 수 있다.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 내, 근육 내, 동맥 내, 골수 내, 경막 내, 심장 내, 경피, 피하, 복강 내, 비강 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함초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1회 투여시 0.1 mg 내지 1,000 mg, 예를 들면, 0.1 mg 내지 500 mg, 0.1mg 내지 100 mg, 0.1 mg 내지 50 mg, 0.1 mg 내지 25 mg, 1 mg 내지 1,000 mg, 1 mg 내지 500 mg, 1 mg 내지 100 mg, 1 mg 내지 50 mg, 1 mg 내지 25 mg, 5mg 내지 1,000 mg, 5 mg 내지 500 mg, 5 mg 내지 100 mg, 5 mg 내지 50 mg, 5 mg 내지 25 mg, 10mg 내지 1,000 mg, 10 mg 내지 500 mg, 10 mg 내지 100 mg, 10 mg 내지 50mg, 또는 10 mg 내지 25 mg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예를 들어, 성인 기준으로 약 0.001 mg/kg 내지 약 100 mg/kg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01 mg/kg 내지 약 10 mg/kg일 수 있고, 또는 에를 들어 약 0.1 mg/kg 내지 약 1 mg/kg 일 수 있다. 상기 투여횟수는 1 일 1회, 1 일 다회, 1주 2 내지 3회, 1달 1 내지 4회 또는 1년 1 내지 12회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임산부를 위한 다른 약학적 조성물, 생약추출물이나 그 분획물 또는 약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산이나 유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투여되는 다른 약학적 조성물, 생약추출물이나 그 분획물 또는 약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궁수축억제제 또는 조산방지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자궁수축억제제 또는 조산방지제는 예를 들어 프로게스테론 함유 조성물일 수 있고, 베타-교감신경 작용제일 수 있고, 옥시토신 수용체 길항제일 수 있고, 마그네슘 함유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토드린 함유 조성물일 수 있고, 아토시반 함유 조성물일 수 있고, 황산마그네슘 함유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초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함유한 조성물과 자궁수축억제제 또는 조산방지제의 함유량의 비율은 예를 들어 1 : 약 0.001 내지 100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 : 약 0.01 내지 100일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1 : 약 0.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과염증성 반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함초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단독 또는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건강식품의 종류 중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개시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개시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함초추출물 및 분획물 제조방법
함초 지상부를 세척하고, 동결건조 후 제분하였다. 건조된 지상부 200g을 90℃ 증류수 4L에서 20분동안 추출하고, 감압여과를 하였다. 여과 후 잔여물을 90℃ 증류수 2L에서 20분동안 재추출하고, 여과 후 두 차례에 걸친 추출여과액을 합치고 감압농축하였다. 감압농축 후 동견건조기로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함초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함초추출물의 쥐의 대식세포에서 NLRP3 인플라마좀 활성화 억제효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골수세포 유래 대식세포에 함초추출물 전처리한 경우 LPS 처리 후 ATP로 처리될 때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IL-1β 및 IL-6, TNF-α 분비를 억제하였다(도 1A-C). 단백질 발현을 확인해보면 함초추출물은 용량 의존적으로 프로-카스파제-1과 프로-IL-1β의 절단이 억제하며 NLRP3 인플라마좀을 억제하고 있다(도 1D).
한편 함초추출물이 NLRP3 인플라마좀을 직접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함초추출물을 단시간 처리한 후 사이토카인의 발현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함초추출물은 용량의존적으로 IL-1β 생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지만 IL-6과 TNF-α의 분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도 2A-C). 단백질 발현을 확인해보면 함초추출물은 용량 의존적으로 프로-카스파제-1과 프로-IL-1β의 절단이 억제하며 NLRP3 인플라마좀을 억제하고 있다(도 2D).
또한 함초추출물이 NLRP3 인플라마좀에 의해 활성화되는 파이롭틱 세포사멸을 억제하여 세포생존성을 높일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함초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억제하여 세포 생존성을 높였다(도 3A-B). 또한 함초추출물이 직접 NLRP3 인플라마좀을 억제하여 파이롭틱 세포사멸을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고, 이 경우에도 함초추출물이 세포생존성을 높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C-D).
실시예 3 : 함초추출물의 인간 영양막 세포에서 NLRP3 인플라마좀 활성화 억제효과
임신 첫 삼개월의 영양막 세포주(SW71 세포)에 ATP 처리전에 함초추출물 처리유무에 따른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발현정도를 확인하였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함초추출물 전처리에 따라 Sw71 세포에서 IL-6 및 IL-1β의 분비가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도 4A-B). 한편 ATP와 함초추출물을 동시처리한 경우, IL-1β는 감소하지만 IL-6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도 4C-D).

Claims (16)

  1. 함초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포함하는,
    과염증성 반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과염증성 반응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유도하는 NLRP3 인플라마좀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함초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9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는 함초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1회 투여시 0.1 mg 내지 1,000 mg 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임산부의 조산 또는 유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영양막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유도하는 NLRP3 인플라마좀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7항에 있어서,
    자궁수축억제제 또는 조산방지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궁수축억제제 또는 조산방지제는 프로게스테론, 리토드린, 아토시반 및 황산마그네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함초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과 자궁수축억제제 또는 조산방지제의 배합비율은 1: 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항 또는 7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3. 제 1항 또는 7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14. 함초를 준비하는 단계;,
    함초를 용매에 침지하여 추출하는 단계;,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여과액을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함초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임산부의 조산 또는 유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함초 1kg 당 1 내지 50 L의 물에 0.1 내지 12시간동안 70 내지 100℃에서 가온추출하는 단계이고,
    상기 함초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함초초출물을 0.01 내지 30 중량% 혼합하는 단계인 임산부의 조산 또는 유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6. 제 14 또는 15항에 있어서,
    조산방지제 또는 자궁수축억제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의 조산 또는 유산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90139341A 2019-11-04 2019-11-04 함초추출물을 함유한 임산부의 과염증성 반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82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341A KR102282946B1 (ko) 2019-11-04 2019-11-04 함초추출물을 함유한 임산부의 과염증성 반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341A KR102282946B1 (ko) 2019-11-04 2019-11-04 함초추출물을 함유한 임산부의 과염증성 반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576A true KR20210053576A (ko) 2021-05-12
KR102282946B1 KR102282946B1 (ko) 2021-07-27

Family

ID=7591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341A KR102282946B1 (ko) 2019-11-04 2019-11-04 함초추출물을 함유한 임산부의 과염증성 반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9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4920A (ko) * 2017-01-17 2017-09-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함초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혈관 염증 또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4920A (ko) * 2017-01-17 2017-09-1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함초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혈관 염증 또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946B1 (ko)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916B1 (ko) 긴불레기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력 강화 또는 근감소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143707A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파킨슨 질환 또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2652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19492A (ko) 항 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꾸지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52813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40631A (ko) 민들레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82946B1 (ko) 함초추출물을 함유한 임산부의 과염증성 반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64209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herbal extrac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phritis
KR20220125190A (ko)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
KR20140043610A (ko) 모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과민성 면역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1787082B1 (ko) 유효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06773B1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73938A (ko) 들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조성물
KR100750873B1 (ko) 천초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102588240B1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9077A (ko) 셀러리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8563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증숙 비트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373173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905387B1 (ko)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가지는 매자나무 유래 용매 추출물의 조성물
KR101009714B1 (ko) 검양옻나무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408908B1 (ko) 복합 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220039197A (ko) 향청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및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1848A (ko) 약학 조성물
KR20220074135A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72387A (ko)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