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977A -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977A
KR20210052977A KR1020190138678A KR20190138678A KR20210052977A KR 20210052977 A KR20210052977 A KR 20210052977A KR 1020190138678 A KR1020190138678 A KR 1020190138678A KR 20190138678 A KR20190138678 A KR 20190138678A KR 20210052977 A KR20210052977 A KR 20210052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socket
lower plate
socket
anch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307B1 (ko
Inventor
구동길
김수진
김진석
Original Assignee
구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동길 filed Critical 구동길
Priority to KR1020190138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30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상부 플레이트의 변위를 수용하는 중간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고, 지지앵커소켓; 외부앵커소켓; 내부앵커소켓; 및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을 통해 삽입되어 내부앵커소켓과의 볼트체결에 의해 내부앵커소켓의 상단부가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에 인입되도록 상승시켜주는 앵커볼트;를 포함하고, 내부앵커소켓이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회전방지핀;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하부구조물에 대하여 하부 플레이트를 분리하기 쉬워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도 사용 중 반복적인 활하중 및 지진 발생시 작용하는 전단하중에 의해 하부구조물과 하부 플레이트 간 체결부위가 쉽게 파단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SHEAR REINFORCEMENT BRIDGE SUPPORTING APPARATUS WITH EASY MAINTENAN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부구조물에 대하여 하부 플레이트를 분리하기 쉬워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도 사용 중 반복적인 활하중 및 지진 발생시 작용하는 전단하중에 의해 하부구조물과 하부 플레이트 간 체결부위가 쉽게 파단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는 상부구조물에서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수용하고, 계절의 기온변화나 바람, 지진 등의 충격 등에 의한 상대변위나, 수평으로 작용하는 전단변위를 수용하여 교량의 내구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교량받침이 형성된다.
상기 교량받침은 교량의 특성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내구성, 시공성, 유지보수성, 경제성을 고려하여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교량받침은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및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중간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의 교량받침은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사이에 설치된다.
즉, 교량받침의 상부 플레이트는 상부구조물 측에 고정되고, 하부 플레이트는 하부구조물 측에 고정된다. 여기서, 중간 지지부재는 탄성체나 강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탄성체인 경우 보강판과 고무가 순차적으로 다수겹 적층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교량받침에 수직하중이 작용되면 중간 지지부재 내부의 고무가 팽출되게 되고 동시에 내부 보강판은 고무의 팽출을 방해하게 되어 수직하중에 대해 고무의 내하력을 증대시켜 수직하중을 수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교량받침에 수평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고무가 전단변형하여 변위를 흡수하게 되고, 교량받침이 회전변위를 받는 경우에도 고무의 탄성에 의해 회전시 작용하는 힘을 수용하게 된다.
교량받침의 경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가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에 각각 모르타르에 의해 완전 고착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쉽지 않은데, 최근에는 도 1과 도 2에 볼 수 있는 것처럼 앵커소켓만을 하부구조물에 매립하고 하부 플레이트는 볼트앵커를 이용하여 앵커소켓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하부 플레이트를 하부구조물에서 분리하기가 한결 쉬워졌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받침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7762호의 "이동가능한 스터드 볼트와 에어홀을 갖는 교량받침"(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가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포함한 기존의 교량받침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교량받침의 경우 앵커볼트(14)만으로 전단하중을 저항해야 하기 때문에 상시 활하중 및 내진시 앵커볼트(14)의 파단이 쉽게 발생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앵커볼트(14)의 규격을 최대한 크게 해야만 하는데 이 경우 자주 교체되는 앵커볼트(14)를 규격화된 일반적인 것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전용의 앵커볼트(14)를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교량받침의 경우에는 하부 플레이트(12)에 앵커소켓(13)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2a)을 마련함으로써 앵커볼트(14)와 앵커소켓(13)이 복합된 형태로 전단하중을 저항할 수 이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 단면적이 증대되어 전단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강성은 증가하였으나 유지보수를 위해 교량받침을 분리할 때 삽입홈(12a)에 앵커소켓(13)의 상단부가 삽입된 높이만큼 상부구조물을 더 인상해야하기 때문에 교량받침의 유지보수 자체가 극도로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구조물에 대하여 하부 플레이트를 분리하기 쉬워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도 사용 중 반복적인 활하중 및 지진 발생시 작용하는 전단하중에 의해 하부구조물과 하부 플레이트 간 체결부위가 쉽게 파단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상부 플레이트의 변위를 수용하는 중간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으로, 원기둥 형상의 매립체와, 상기 매립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매립체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단에 안착면이 형성되고 측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체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구조물에 매립되는 지지앵커소켓; 하단부가 상기 지지체에 나사결합되되 상면이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구조물에 매립되고,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승강홀이 형성된 외부앵커소켓;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승강홀에 삽입되되 승강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승강홀에서 상승하면 상단부가 승강홀의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에 인입된 상태가 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도록 구속하며, 하강하면 상기 지지체의 안착면에 안착되고 상단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으로부터 하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내부앵커소켓;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중심부에 형성된 볼트공에 볼트체결되며, 상기 내부앵커소켓과의 볼트체결에 의해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상단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에 인입되도록 상승시켜주는 앵커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승강홀은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된 상부 승강홀과, 상기 상부 승강홀보다 더 넓은 폭을 갖고 상기 상부 승강홀로부터 단차진 형태로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하부까지 형성된 하부 승강홀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앵커소켓은 상기 상부 승강홀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앵커볼트가 볼트체결되는 볼트공이 중심부에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보다 더 넓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함께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하부 승강홀 내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앵커볼트가 볼트체결되는 볼트공이 중심부에 형성된 머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의 측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상부 승강홀 일측에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방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앵커소켓이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회전방지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 내주면,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상부 승강홀,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몸체부 외주면에는 각각 테프론 피막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승강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 내주면과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상부 승강홀의 내주면에 대한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몸체부 외주면의 마찰저항과 이물질의 개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볼트의 머리에는 링 형태의 자석이 내장되어 상기 내부앵커소켓에 볼트체결된 상태에서 진동으로 인한 풀림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몸체부에는 그 둘레부를 따라 고무 소재의 심재가 수직하게 다수 내장되어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몸체부가 전단하중에 의해 파단되더라도 파단된 일부가 완전히 분리되어 떨어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의 시공방법은, 청구항1에 의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끼움홈에 상기 회전방지핀을 끼우는 제1단계; 상기 내부앵커소켓을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승강홀에 하측으로부터 삽입하는 제2단계; 상기 내부앵커소켓이 승강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하부에 상기 지지앵커소켓을 나사결합시키는 제3단계; 상기 외부앵커소켓, 내부앵커소켓 및 지지앵커소켓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앵커 조립체를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에 대응하는 개수로 상기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매립하되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상면이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매립하는 제4단계; 상기 교량의 하부 플레이트를 상기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내려놓고 상기 앵커볼트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을 통해 삽입한 후 상기 내부앵커소켓과 볼트체결함으로써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몸체부가 상승한 후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에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반복적인 활하중 및 지진 발생시 작용하는 전단하중을 앵커볼트와 내부앵커소켓이 동시에 저항하므로, 하부구조물과 하부 플레이트 간 체결부위가 쉽게 파단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지보수를 위해 교량받침을 분리할 경우, 앵커볼트를 해제하면 내부앵커소켓이 하강하므로, 하부구조물에 대하여 하부 플레이트를 측방으로 간단히 끌어내어 분리할 수 있어, 분리작업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받침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받침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에서 앵커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에서 앵커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의 내부앵커소켓의 몸체부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의 앵커볼트를 나타낸 것이다. 에서 앵커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10)은 상부 플레이트(200) 및 하부 플레이트(300), 상부 플레이트(200)와 하부 플레이트(300)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 지지부재(400)와 더불어 하부 플레이트(300)를 교량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하되 전단하중에 대한 저항을 강화하면서도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받침(10)을 구현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만의 독창적인 앵커 조립체(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앵커 조립체(100)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 플레이트(20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강재 소재인 사각의 넓은 판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에 매설되는 복수의 앵커(210) 혹은 앵커볼트에 의해 교량의 상부구조물 측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부구조물과 상부 플레이트(200) 간에는 솔플레이트(220)가 개입될 수도 있다.
하부 플레이트(300)는 상부 플레이트(200)와 마찬가지로 강재 소재인 사각의 넓은 판으로 구비되고 교량의 하부구조물 측에 매설되는 앵커 조립체(100)와 앵커볼트(140)에 의해 고정된다.
중간 지지부재(400)는 상부 플레이트(200)와 하부 플레이트(300)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 플레이트(200)를 지지하면서 상부 플레이트(200)의 변위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같은 중간 지지부재(400)는 고무계열의 것으로 구비되거나 강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어느 한 종류의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중간 지지부재(400)가 강판이 고무가 순차 적층된 형태의 것으로 구비되는 경우, 교량의 상부구조물로부터 수직하중이 작용하면 중간 지지부재(400) 내부의 고무가 팽출되고 내부 보강판은 고무의 팽출을 방해하면서 고무의 내하력을 증대시켜 수직하중을 수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이 수평변위를 일으키는 경우, 고무가 전단변형하여 변위를 흡수하게 되고, 회전변위를 일으키는 경우 고무의 탄성에 의해 회전력을 수용하게 된다.
앵커 조립체(100)는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매립된 상태에서 앵커볼트(140)와 볼트체결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3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앵커소켓(110), 외부앵커소켓(120) 및 내부앵커소켓(130)으로 이루어진다.
지지앵커소켓(110)은 원기둥 형상의 매립체(111)와, 매립체(11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고 매립체(111)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단에 안착면(112g)이 형성되고 측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체(112)로 구성되며, 하부구조물에 매립된다.
여기서, 지지앵커소켓(110)의 지지체(112)에는 외부앵커소켓(120)이 나사결합되며, 지지체(112)의 안착면(112g)에는 내부앵커소켓(130)이 안착될 수 있다.
외부앵커소켓(120)은, 지지체(112)에 나사결합되되 상면이 하부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하부구조물에 매립되고,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승강홀(120a, 120b)이 형성된다.
외부앵커소켓(120)의 승강홀(120a, 120b)은 외부앵커소켓(12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된 상부 승강홀(120a)과, 상부 승강홀(120a)보다 더 넓은 폭을 갖고 상부 승강홀(120a)로부터 단차진 형태로 외부앵커소켓(120)의 하부까지 연장 형성된 하부 승강홀(120b)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부 승강홀(120a)에는 내부앵커소켓(130)의 몸체부(131)가 승강 가능하게 위치하며, 하부 승강홀(120b)에는 내부앵커소켓(130)의 머리부(132)가 승강 가능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내부앵커소켓(130)은 앵커볼트(140)와 직접적으로 체결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외부앵커소켓(120)의 승강홀(120a, 120b)에 삽입되되 승강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이를 위해 내부앵커소켓(130)은 몸체부(131)와 머리부(132)로 이루어지는데, 내부앵커소켓(130)의 몸체부(131)는 외부앵커소켓(120)의 상부 승강홀(120a)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도록 위치하며 앵커볼트(140)가 볼트체결되는 볼트공(130h)이 중심부에 형성된다.
또한, 내부앵커소켓(130)의 머리부(132)는 몸체부(13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몸체부(131)보다 더 넓은 크기로 형성되어 몸체부(131)와 함께 내부앵커소켓(130)의 하부 승강홀(120b) 내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위치하며 앵커볼트(140)가 볼트체결되는 볼트공(130h)이 중심부에 형성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몸체부(131)의 측부에는 끼움홈(131c)이 형성되고, 외부앵커소켓(120)의 상부 승강홀(120a) 일측에는 회전방지홈(120c)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10)은 끼움홈(131c)에 끼워지고 회전방지홈(120c)에 삽입되어 내부앵커소켓(130)이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회전방지핀(150);을 더 포함한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내부앵커소켓(130)이 외부앵커소켓(120)의 승강홀(120a, 120b)에 삽입될 때, 회전방지핀(150)은 회전방지홈(120c)에 삽입되며, 회전방지핀(150)은 회전방지홈(120c)에 걸려 내부앵커소켓(130)이 승강홀(120a, 120b) 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한다.
따라서, 볼트체결을 위해 앵커볼트(140)를 회전시킬 때, 회전방지핀(150)은 내부앵커소켓(130)이 불필요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이같은 내부앵커소켓(130)의 구성에 따르면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앵커볼트(140)가 하부 플레이트(300)의 상측에서 체결공(300h)을 통해 삽입되어 내부앵커소켓(130)의 상단부에 형성된 볼트공(130h)에 볼트체결될 때 내부앵커소켓(130)의 상단부가 외부앵커소켓(120)의 승강홀(120a, 120b)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돌출된 내부앵커소켓(130)의 상단부는 하부 플레이트(300)의 체결공(300h)에 인입된 상태가 되어 교량받침(10)의 하부 플레이트(300)를 수평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이후, 내부앵커소켓(130)과 앵커볼트(140) 간 체결이 해제되면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내부앵커소켓(130)이 자연스럽게 하강하면서 그 상단부가 하부 플레이트(300)의 체결공(300h)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인출되어 하부 플레이트(30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게 되며, 내부앵커소켓(130)은 지지체(112)의 안착면(112g)에 안착하게 된다.
그러면, 하부 플레이트(300)를 곧바로 상부 구조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인상할 필요가 전혀 없다.
따라서, 유지보수를 위해 교량받침(10)을 분리할 경우, 앵커볼트(140)를 해제하면 내부앵커소켓(130)이 하강하므로, 하부구조물에 대하여 하부 플레이트(300)를 측방으로 간단히 끌어내어 분리할 수 있어, 분리작업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도 4와 같이 내부앵커소켓(130)이 상승하여 그 몸체부(131)가 하부 플레이트(300)의 체결공(300h)에 인입된 상태가 되었을 때 내부앵커소켓(130)의 몸체부(131)와 앵커볼트(14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함께 전단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전단하중에 저항하는 강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하부플레이트의 체결공(300h)은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하부는 상부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내부앵커소켓(130)의 상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게 하고, 상부는 하부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앵커볼트(140)가 삽입되도록 다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체결공(300h)은 상부에서 하부 전체를 내부앵커소켓(130)의 크기에 맞추어 일정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체결공(300h)에 대한 가공이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앵커볼트(140)를 내부앵커소켓(130)으로부터 풀어주기만 하면 내부앵커소켓(130)이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하여 내부앵커소켓(130) 전체가 승강홀(120a, 120b) 내부로 삽입되는데, 이같은 상태가 되면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인상하지 않아도 하부 플레이트(300)를 하부구조물로부터 곧바로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앵커볼트(140) 체결시에는 상승하고 앵커볼트(140)의 체결이 해제되면 하강하도록 한 내부앵커소켓(130)에 의해 전단하중에 저항하는 강성을 증가시키면서도 하부구조물과 하부 플레이트(300) 간 분리작업도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은 내부앵커소켓(130)의 승강동작시 하부 플레이트(300)의 체결공(300h) 내주면, 외부앵커소켓(120)의 상부 승강홀(120a)에 대한 내부앵커소켓(130)의 마찰을 피할 수 없는데, 이때 일어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부앵커의 몸체부(131) 외주면에 테프론 피막(131d)을 형성시켜준다.
이에 더해 내부앵커소켓(130)의 몸체부(131) 외주면뿐만 아니라 하부 플레이트(300)의 체결공(300h) 내주면과 외부앵커소켓(120)의 상부 승강홀(120a)의 내주면에도 테프론 피막을 형성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내부앵커소켓(130)의 승강으로 인한 마찰저항과 이물질의 개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앵커소켓(130)은 도 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몸체부(131)의 둘레부를 따라 고무 소재의 심재(131j)가 수직하게 다수 내장된다.
이로써 내부앵커소켓(130)의 몸체부(131)가 전단하중을 받고 파단되더라도 고무 소재의 심재(131j)가 파단되지 않은 상태로 그 파단된 개체들이 완전히 분리되어 떨어지지 않도록 해준다.
이로써 파단된 내부앵커소켓(130)의 상단부가 하부 플레이트(300)의 체결공(300h)로부터 빠져나와 앵커볼트(140)와 함께 낙하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앵커볼트(140)는 하부 플레이트(300)의 상측에서 하부 플레이트(300)의 체결공(300h)을 통해 삽입되어 내부앵커소켓(130)의 중심부에 형성된 볼트공(130h)에 볼트체결된다.
앵커볼트(140)가 내부앵커소켓(130)과 볼트체결되면 이에 의해 내부앵커소켓(130)의 몸체부(131)가 자연스럽게 상승하면서 하부 플레이트(300)의 체결공(300h)에 인입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볼트(140)를 전용의 것으로 제작할 필요없이 간단히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규격화된 것을 사용하면 된다.
부가적으로, 앵커볼트(140)의 머리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링 형태의 자석(140m)이 내장되어 내부앵커소켓(130)에 볼트체결된 상태에서 진동으로 인한 풀림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앵커볼트(140)의 머리와 하부 플레이트(300) 사이에는 와셔(W)가 설치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10)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10)의 시공방법은, 먼저 앵커 조립체(100)를 결합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 내부앵커소켓(130)의 끼움홈(131c)에 회전방지핀(150)을 끼우는 제1단계(S100)를 실시한다.
그리고, 내부앵커소켓(130)을 외부앵커소켓(120)의 승강홀(120a, 120b)에 하측으로부터 삽입하는 제2단계(S200)를 실시한다.
또한, 내부앵커소켓(130)이 승강홀(120a, 12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앵커소켓(120)의 하부에 지지앵커소켓(110)을 나사결합시키는 제3단계(S300)를 실시함으로써, 앵커 조립체(100)를 결합한다.
그리고, 지지앵커소켓(110), 외부앵커소켓(120) 및 내부앵커소켓(1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앵커 조립체(100)를 하부 플레이트(300)에 형성된 체결공(300h)에 대응하는 개수로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매립하되 외부앵커소켓(120)의 상면이 하부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매립하는 제4단계(S400)를 실시한다.
이후, 교량의 하부 플레이트(300)를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내려놓고 앵커볼트(140)를 하부 플레이트(300)의 체결공(300h)을 통해 내부앵커소켓(130)과 볼트체결함으로써 내부앵커소켓(130)의 몸체부(131)가 상승한 후 하부 플레이트(300)의 체결공(300h)에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제5단계(S500)를 실시한다.
이처럼 앵커볼트(140)와 내부앵커소켓(130) 간 볼트체결이 이루어지면 내부앵커소켓(130)이 상승하게 되며, 내부앵커소켓(130)의 몸체부(131)는 하부 플레이트(300)의 체결공(300h)에 인입된다.
이로써 내부앵커소켓(130)과 앵커볼트(140)가 한 몸으로 체결된 상태가 되어 전단저항을 저항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앵커볼트(140) 단독으로 하부 플레이트(300)를 고정할 때보다 전단저항에 저항할 수 있는 단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전단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강도를 비약적으로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교량받침(10)에 대한 보수가 필요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로부터 교량받침(1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교량의 하부구조물로부터 하부 플레이트(300)를 분리하는 경우 내부앵커소켓(130)으로부터 앵커볼트(140)를 풀어주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앵커볼트(140)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내부앵커소켓(130)이 하강하면서 그 상단부가 하부 플레이트(300)의 체결공(300h)으로부터 하방으로 완전히 인출되어 외부앵커소켓(120)의 승강홀(120a, 120b)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인상하지 않고서도 교량받침(10)을 측방으로 간단히 끌어내어 교량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10)은 반복적인 활하중 및 지진 발생시 작용하는 전단하중을 앵커볼트(140)와 내부앵커소켓(130)이 동시에 저항하므로, 하부구조물과 하부 플레이트(300) 간 체결부위가 쉽게 파단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보수를 위해 교량받침(10)을 분리할 경우, 앵커볼트(140)를 해제하면 내부앵커소켓(130)이 하강하므로, 하부구조물에 대하여 하부 플레이트(300)를 측방으로 간단히 끌어내어 분리할 수 있어, 분리작업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100 : 앵커 조립체 110 : 지지앵커소켓 111 : 매립체 112 : 지지체
120 : 외부앵커소켓 120a : 상부 승강홀 120b : 하부 승강홀
120c : 회전방지홈 130 : 내부앵커소켓 131 : 몸체부 131c : 끼움홈
131d : 테프론 피막 132 : 머리부 140 : 앵커볼트 150 : 회전방지핀
200 : 상부 플레이트 300 : 하부 플레이트 400 : 중간 지지부재

Claims (4)

  1.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면서 상부 플레이트의 변위를 수용하는 중간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에 있어서,
    원기둥 형상의 매립체와, 상기 매립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매립체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단에 안착면이 형성되고 측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체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구조물에 매립되는 지지앵커소켓;
    하단부가 상기 지지체에 나사결합되되 상면이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구조물에 매립되고,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승강홀이 형성된 외부앵커소켓;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승강홀에 삽입되되 승강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고,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승강홀에서 상승하면 상단부가 승강홀의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에 인입된 상태가 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도록 구속하며, 하강하면 상기 지지체의 안착면에 안착되고 상단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으로부터 하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내부앵커소켓;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중심부에 형성된 볼트공에 볼트체결되며, 상기 내부앵커소켓과의 볼트체결에 의해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상단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에 인입되도록 상승시켜주는 앵커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승강홀은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된 상부 승강홀과, 상기 상부 승강홀보다 더 넓은 폭을 갖고 상기 상부 승강홀로부터 단차진 형태로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하부까지 형성된 하부 승강홀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앵커소켓은 상기 상부 승강홀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앵커볼트가 볼트체결되는 볼트공이 중심부에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보다 더 넓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함께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하부 승강홀 내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앵커볼트가 볼트체결되는 볼트공이 중심부에 형성된 머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의 측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상부 승강홀 일측에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방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앵커소켓이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회전방지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 내주면,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상부 승강홀,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몸체부 외주면에는 각각 테프론 피막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승강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 내주면과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상부 승강홀의 내주면에 대한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몸체부 외주면의 마찰저항과 이물질의 개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의 머리에는 링 형태의 자석이 내장되어 상기 내부앵커소켓에 볼트체결된 상태에서 진동으로 인한 풀림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몸체부에는 그 둘레부를 따라 고무 소재의 심재가 수직하게 다수 내장되어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몸체부가 전단하중에 의해 파단되더라도 파단된 일부가 완전히 분리되어 떨어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4. 청구항1에 의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끼움홈에 상기 회전방지핀을 끼우는 제1단계;
    상기 내부앵커소켓을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승강홀에 하측으로부터 삽입하는 제2단계;
    상기 내부앵커소켓이 승강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하부에 상기 지지앵커소켓을 나사결합시키는 제3단계;
    상기 외부앵커소켓, 내부앵커소켓 및 지지앵커소켓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앵커 조립체를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에 대응하는 개수로 상기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매립하되 상기 외부앵커소켓의 상면이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매립하는 제4단계;
    상기 교량의 하부 플레이트를 상기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내려놓고 상기 앵커볼트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을 통해 삽입한 후 상기 내부앵커소켓과 볼트체결함으로써 상기 내부앵커소켓의 몸체부가 상승한 후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체결공에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의 시공방법.
KR1020190138678A 2019-11-01 2019-11-01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360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678A KR102360307B1 (ko) 2019-11-01 2019-11-01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678A KR102360307B1 (ko) 2019-11-01 2019-11-01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977A true KR20210052977A (ko) 2021-05-11
KR102360307B1 KR102360307B1 (ko) 2022-02-09

Family

ID=7591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678A KR102360307B1 (ko) 2019-11-01 2019-11-01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5462A (zh) * 2022-05-09 2022-07-22 山东舜林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市政桥梁工程的桥梁加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747B1 (ko) * 2010-09-01 2011-04-26 안창모 보수가 편리한 교좌장치용 앵커
KR101955477B1 (ko) * 2018-07-10 2019-03-11 구동길 전단 보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747B1 (ko) * 2010-09-01 2011-04-26 안창모 보수가 편리한 교좌장치용 앵커
KR101955477B1 (ko) * 2018-07-10 2019-03-11 구동길 전단 보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5462A (zh) * 2022-05-09 2022-07-22 山东舜林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市政桥梁工程的桥梁加固装置
CN114775462B (zh) * 2022-05-09 2024-04-09 山东舜林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市政桥梁工程的桥梁加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307B1 (ko)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4643B (zh) 塔架建筑
KR101230599B1 (ko) 앵커소켓 수용관을 이용한 교량받침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 교체방법
US10024074B1 (en) Seismic damping systems and methods
CN111278725B (zh) 转塔轴承的就地检修方法和组件
KR100731514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량용 탄성받침
JP6198702B2 (ja) 乗客コンベアの脱落抑制装置
KR20210052977A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51069B1 (ko) 볼트체결에 의한 분리형 앵커복합체를 구비한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AU2016365744B2 (en) Shallow undercut concrete anchor
KR101955477B1 (ko) 전단 보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JP3181060U (ja) タンクの滑動防止装置
CN209800998U (zh) 一种地脚装置
KR102029014B1 (ko) 전단보강 분리형 앵커링부재를 구비한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81604B1 (ko) 고 안정성 부반력 포트받침
US7090207B2 (en) Single-end-mount seismic isolator
KR102598169B1 (ko) 앵커의 매립 위치 조절용 리버서블 위치 변환부재를 구비한 교량받침
JP7386735B2 (ja) 建物本体の支持構造
CN110397095B (zh) 一种桩基承载力检测系统及方法
KR102624682B1 (ko) 세굴방지장치
KR102174860B1 (ko) 보강형 받침 구조
JP7382867B2 (ja) 建物本体の支持構造
JP7386734B2 (ja) 上部構造物の支持構造
KR200149830Y1 (ko) 면진 베어링
CN216839417U (zh) 一种用于锚杆预应力损失预测及动态调节的锚具
JP2005232724A (ja) 建物の基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