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191A -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191A
KR20210050191A KR1020190134522A KR20190134522A KR20210050191A KR 20210050191 A KR20210050191 A KR 20210050191A KR 1020190134522 A KR1020190134522 A KR 1020190134522A KR 20190134522 A KR20190134522 A KR 20190134522A KR 20210050191 A KR20210050191 A KR 20210050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tetrahydropiperine
day
acid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원
김형준
손의동
조시영
최현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13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0191A/ko
Publication of KR20210050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피부에서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피부에서 티로시나제 활성을 감소시켜 멜라닌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우수한 미백 효능을 가지므로, 미백 효과를 위한 원료로서 다양한 화장품, 식품 등에 활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피부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본 명세서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멜라닌은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색소로 이 멜라닌의 양과 분포에 의해 피부색이 결정된다. 멜라닌을 만드는 세포는 피부 표피 밑에 멜라닌 형성 세포(Melanocyte)라고 불리는 세포에서 만들어져서 피부의 신진대사로 각질 표면으로 이동하여 떨어져 나간다. 피부색에 관계없이 멜라닌 형성 세포의 수는 거의 동일하다. 단지 멜라닌이 생성되는 양과 종류, 분포가 다르기 때문에 피부색이 차이가 나는 것이다.
피부에서 티로신(Tyrosine)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인체 효소에 의해 도파(DOPA)로 전환되고, 계속되는 일련의 산화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흑갈색의 중합체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멜라닌 형성 과정은 산화과정이므로 산화를 촉진하는 물질인 인체 내 활성산소나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에 의해서 더욱 촉진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은 효과적으로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모색하던 중, 테트라히드로피페린(tetrahydropiperine)이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공개특허공보 10-2018-0045728호 KR 공개특허공보 10-2019-0007704호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목적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거나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흑색종, 자외선에 의한 색소 침착,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염증 후 색소 침착, 및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색소 침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피부에서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피부에서 티로시나제 활성을 감소시켜 멜라닌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우수한 미백 효능을 가지므로, 미백 효과를 위한 원료로서 다양한 화장품, 식품 등에 활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처리에 따른 멜라닌 생성 억제를 통한 미백 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처리에 따른 멜라닌 생성 억제를 통한 미백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처리에 따른 티노시나제 활성 억제를 통한 미백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처리에 따른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tetrahydropiperine)은 코스모페린(cosmoperine)으로도 지칭되며, 분자량이 289.4 g/mol인 화합물이다.
일 측면에서 있어서,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학물이다.
Figure pat00001
일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시판되는 물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이들을 합성하는 등을 방식으로 수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염'은 개체에게 비교적 비독성이고 무해한 유효작용을 갖는 농도로서 테트라히드로피페린의 염으로부터 기인한 부작용이 테트라히드로피페린의 이로운 효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임의의 모든 유기 또는 무기 부가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테트라히드로피페린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group)의 염을 모두 포함한다. 일례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 또는 염기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염이 있다.
일례로 상기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브롬산, 황산, 염산, 황산, 아황산, 질산 또는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아세트산, 프로파이옹산, 헥사노산, 시클로펜테인프로피온산, 글라이콜산, 피루브산, 락트산, 말론산, 숙신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3-(4-히드록시벤조일)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테인설폰산, 에테인설폰산, 2-에테인-디설폰산 2-히드록시에테인설폰산, 벤젠설폰산, 4-클로로벤젠설폰산, 2-나프탈렌설폰산, 4-툴루엔설폰산, 캄퍼설폰산, 4-메틸바이시클로[2,2,2]-oct-2-엔-1-카르복실산, 글루코햄톤산, 3-페닐프로파이온산, 트리메틸아세트산, tert-7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히드록시나프토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뮤콘산, 후마산 또는 구연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금속염으로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이성질체'는 광학 이성질체(optical isomers), 즉 본래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essentially pure enantiomers), 본래 순수한 부분 입체 이성질체(essentially pure diastereomers) 또는 이들의 혼합물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화학 결합의 그 각도만 다른 이성질체인 형태 이성질체(conformation isomers)와 위치 이성질체(position isomers))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상기 위치 이성질체는 호변이성체(tautomers)) 또는 시스-트랜스 이성질체와 같은 기하 이성질체(geometric isomers)를 포함한다. 상기 '본래 순수(essentially pure)'는, 예컨대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 이성질체와 관련하여 사용한 경우,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 이성질체를 예로 들 수 있는 구체적인 화합물이 약 90%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99% 이상, 또는 99.5% 이상(w/w)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수화물'은 물이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물과 화합물 사이에 화학적인 결합력이 없는 내포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용매화물'은 용질의 분자나 이온과 용매의 분자나 이온 사이에 생긴 고차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조성물은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이미 생성된 멜라닌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멜라닌이 과잉 생산되는 경우 멜라닌이 피부에 침착되어 기미, 주근깨 등이 형성되고 피부 노화도 촉진되며, 피부암도 유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멜라닌 과다 생성으로 인한 질환 또는 증상은 기미, 주근깨, 검버섯, 잡티, 표피 멜라닌세포성 병변(Epidermal melanocytic lesion), 밀크커피 반점(Cafe's au lait macules), 모반, 베커 모반(Becker's Nevus), 반문상 모반(Nevus Spilus), 흑자(Lentigines), 흑색점, 진피 멜라닌세포성 병변(Dermal melanocytic lesions), 몽고반(Mongolian spot), 오타 모반(Nevus of Ota), 후천성 양측성 오타 모반양 반(Acquired bilateral nevus of Ota-like macules), 이토 모반(Nevus of Ito), 청색 모반(Blue nevus), 멜라닌형성세포성 모반(Melanocytic nevus), 경계 모반(Junctional nevus), 복합 모반(Compound nevus), 진피내 모반(Intradermal nevus), 운륜모반(Halo nevus), 선천성 멜라닌세포성 모반(Congenital nevocytic nevus), 스피츠 모반(Spitz nevus), 이형성 모반(Dysplastic nevus), 흑색종(Melanoma), 악성 흑자 흑색종(Lentigo maligna melanoma), 표재 확장성 흑색종(Superficial spreading melanoma), 선단 흑자성 흑색종(Acral lentiginous melanoma), 결절성 흑생종(Nodular melanoma), 색소성 기저세포암(pigment basal cell carcinoma), 색소성 피부섬유종(dermatofibromas), 색소성 피부낭종(dermoid cyst), 색소성 켈로이드(keloid), 자외선에 의한 색소(특히, 멜라닌) 침착, 약물에 의한 색소(특히, 멜라닌) 침착, 염증 후 색소(특히, 멜라닌) 침착, 및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색소(특히, 멜라닌) 침착, 및 색소성 각질극세포종(keratoacanthoma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 이에,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각 질환들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여량'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처리량'으로도 지칭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고, 상기 투여는 광의로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처리량은 1 μM 이상, 2 μM 이상, 3 μM 이상, 4 μM 이상, 5 μM 이상, 6 μM 이상, 7 μM 이상, 8 μM 이상, 9 μM 이상, 10 μM 이상, 20 μM 이상, 30 μM 이상, 40 μM 이상, 50 μM 이상, 60 μM 이상, 70 μM 이상, 80 μM 이상, 90 μM 이상, 100 μM 이상, 110 μM 이하, 120 μM 이하, 130 μM 이하, 140 μM 이하, 150 μM 이하, 160 μM 이하, 170 μM 이하, 180 μM 이하, 190 μM 이하, 200 μM 이하, 210 μM 이하, 220 μM 이하, 230 μM 이하, 240 μM 이하, 250 μM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μM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량은 1 mg/kg/일 이상, 2 mg/kg/일 이상, 3 mg/kg/일 이상, 4 mg/kg/일 이상, 5 mg/kg/일 이상, 6 mg/kg/일 이상, 7 mg/kg/일 이상, 8 mg/kg/일 이상, 9 mg/kg/일 이상, 10 mg/kg/일 이상, 11 mg/kg/일 이상, 12 mg/kg/일 이상, 13 mg/kg/일 이상, 14 mg/kg/일 이상, 15 mg/kg/일 이상, 16 mg/kg/일 이상, 17 mg/kg/일 이상, 18 mg/kg/일 이상, 19 mg/kg/일 이상, 20 mg/kg/일 이상, 21 mg/kg/일 이상, 22 mg/kg/일 이상, 23 mg/kg/일 이상, 24 mg/kg/일 이상, 25 mg/kg/일 이상, 26 mg/kg/일 이상, 27 mg/kg/일 이상, 28 mg/kg/일 이상, 29 mg/kg/일 이상, 30 mg/kg/일 이상, 31 mg/kg/일 이하, 32 mg/kg/일 이하, 33 mg/kg/일 이하, 34 mg/kg/일 이하, 35 mg/kg/일 이하, 36 mg/kg/일 이하, 37 mg/kg/일 이하, 38 mg/kg/일 이하, 39 mg/kg/일 이하, 40 mg/kg/일 이하, 41 mg/kg/일 이하, 42 mg/kg/일 이하, 43 mg/kg/일 이하, 44 mg/kg/일 이하, 45 mg/kg/일 이하, 46 mg/kg/일 이하, 47 mg/kg/일 이하, 48 mg/kg/일 이하, 49 mg/kg/일 이하, 50 mg/kg/일 이하, 51 mg/kg/일 이하, 52 mg/kg/일 이하, 53 mg/kg/일 이하, 54 mg/kg/일 이하, 55 mg/kg/일 이하, 56 mg/kg/일 이하, 57 mg/kg/일 이하, 58 mg/kg/일 이하, 59 mg/kg/일 이하, 50 mg/kg/일 이하, 60 mg/kg/일이고,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58 mg/kg/일일 수 있다. 일례로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량이 1 mg/kg/day 미만이면 이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60 mg/kg/day 초과이면 독성으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입체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4 이상, 1 이상, 2 이상, 3 이상, 4 이상, 5 이상, 6 이상, 7 이상, 8 이상, 9 이상, 10 이상, 11 이상, 12 이상, 13 이하, 14 이하, 15 이하, 16 이하, 17 이하, 18 이하, 19 이하, 20 이하, 21 이하, 22 이하, 23 이하, 24 이하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5.4 이하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입체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이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4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이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24 중량% 초과로 포함되면 독성으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의 외관을 아름답게 하는 모든 물건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본 개시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생체리듬에 따른 생리적인 현상으로서 피부에서의 악영향을 억제하여 인체의 외관을 아름답게 하는 물건을 지칭하는 개념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입체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 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의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 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으로, 장기적으로 복용하였을 때 인체에 무해하여야 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의 예로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 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된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약학적'은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을 연구하는 분야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예방'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선'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이 완화되거나 증상이 나아지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치료'는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을 낫게 하는 행위를 모두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입체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유효성분으로서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입체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눈 점막,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또는 피하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멜라닌 과잉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식이요법, 물리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락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된 '또는'은 명확하게 반대하는 내용을 명시하고 있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는 본 개시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테트라히드로피페린(tetrahyropiperine)의 수득
테트라히드로피페린은 Sabina corporation사로부터 공급받은 생물실험레벨 시약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멜라닌 생성 억제를 통한 미백 효과 확인
멜라닌 생성이 과도한 MNT-1 세포(Human melanoma cell line, Lonza, SWISS)를 1*106 셀/웰로 100cm2 플레이트에 시딩한 후 37℃, 5% CO2 조건에서 최소 필수 배지(Gibco 사, Grand Island, NY), 10% DMEM, 20 mM HEPES (Sigma사), 20% 소태아혈청, 100 U/ml 페니실린 G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으로 이루어진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수득한 테트라히드로피페린을 각각 50, 100, 200 μM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때, 대조군(control)에 대해서는 테트라히드로피페린을 처리하지 않았다. 48시간이 경과한 후 세포 용해질을 13,000 rpm 속도로 원심분리(eppendorf, centrifuge 5415R, Germany)하여 색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이어서, 수산화나트륨으로 상기 펠렛 속의 내용물을 용해시키고, 멜라닌 색소에 특이적인 OD490에서 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각 대조군, 실험군들에 대한 흡광도를 측정한 후, 전체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 = p < 0.05)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테트라히드로피페린의 처리에 따라 멜라닌 양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를 통한 미백 효과 확인
MNT-1 세포(Human melanoma cell line, Lonza, SWISS)를 1*106 세포/웰로 100cm2 플레이트에 시딩한 후 37°C, 5% CO2 조건에서 최소 필수 배지(Gibco 사, Grand Island, NY), 10% DMEM, 20 mM HEPES (Sigma사), 20% 소태아혈청, 100 U/ml 페니실린 G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으로 이루어진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수득한 테트라히드로피페린을 각각 50, 200 μM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때, 대조군에 대해서는 테트라히드로피페린을 처리하지 않았다. 48시간이 경과한 후 세포 용해물에 DOPA(dihydroxyphenylalanine)를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도파크롬(dopachrome)의 생성량 측정을 위하여 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를 이용하여 도파크롬의 OD490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파크롬은 멜라닌 합성의 핵심 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작용으로 생성되는 물질이다. 이후, 측정된 흡광도 값을 비교하여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능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도 3(* = p < 0.05)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트라히드로피페린의 처리에 따라 티로시나제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개시의 테트라히드로피페린이 티로시나제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켜 이미 생성된 멜라닌을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험예 3. 세포 독성 확인
MNT-1 세포(Human melanoma cell line, Lonza, SWISS)를 1*106 세포/웰로 100cm2 플레이트에 시딩한 후 37°C, 5% CO2 조건에서 최소 필수 배지(Gibco 사, Grand Island, NY), 10% DMEM, 20 mM HEPES (Sigma사), 20% 소태아혈청, 100 U/ml 페니실린 G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으로 이루어진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수득한 테트라히드로피페린을 각각 50, 100, 200 μM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때, 대조군에 대해서는 테트라히드로피페린을 처리하지 않았다. 48시간이 경과한 후 cell counting kit-8 (Dojindo, Japan)를 이용하여 cell viabilit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트라히드로피페린을 50, 100, 200 μM으로 처리하여도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제제예 1. 화장료 제제의 제조
1-1. 유연화장수 제조
테트라히드로피페린 0.5중량%, 1,3-부틸렌글리콜 5.2중량%, 올레일알코올 1.5중량%, 에탄올 3.2중량%, 폴리솔베이트 20 3.2중량%, 벤조페논-9 2.0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글리세린 3.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1-2. 밀크로션 제조
테트라히드로피페린 0.5중량%, 글리세린 5.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2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중량%, 유동파라핀 4.6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0중량%, 스쿠알란 3.1중량%,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6중량%,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중량%, 프로필파라벤 0.6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밀크로션을 제조하였다.
1-3. 영양크림 제조
테트라히드로피페린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2.1중량%, 유동파라핀 5.3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6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4중량%, 폴리솔베이트 60 3.2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식품 제제의 제조
2-1. 건강식품 제조
테트라히드로피페린 10㎎,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g, 비타민 E 1.0㎎,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g, 비타민 C 10㎎, 비오틴 10g,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g,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및 염화마그네슘 24.8㎎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2-2. 건강음료 제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테트라히드로피페린 10㎎, 비타민 C 15g, 비타민 E(분말) 100g, 젖산철 19.75g, 산화아연 3.5g, 니코틴산아미드 3.5g, 비타민 A 0.2g, 비타민 B1 0.25g, 비타민 B2 0.3g 및 정량의 물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정제 제조
테트라히드로피페린 1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2. 캡슐제 제조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테트라히드로피페린 10㎎, 결정성 셀룰로오스 3㎎, 락토오스 14.8㎎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3. 주사제 제조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mL) 테트라히드로피페린 10㎎, 만니톨 180㎎,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및 Na2HPO4 2H2O 26㎎으로 제조하였다.

Claims (10)

  1. 테트라히드로피페린(tetrahydropiperine),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흑색종, 자외선에 의한 색소 침착,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염증 후 색소 침착, 및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색소 침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처리량은 1 내지 250 μM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투여량은 1 내지 60 mg/kg/일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히드로피페린, 이의 염, 이성질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4 내지 24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190134522A 2019-10-28 2019-10-28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050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522A KR20210050191A (ko) 2019-10-28 2019-10-28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522A KR20210050191A (ko) 2019-10-28 2019-10-28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91A true KR20210050191A (ko) 2021-05-07

Family

ID=7591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522A KR20210050191A (ko) 2019-10-28 2019-10-28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01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067A (ko) 2021-06-09 2022-12-16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728A (ko) 2016-10-26 2018-05-04 (주)아모레퍼시픽 3,4,5-트리메톡시 신남산 에스테르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07704A (ko) 2017-07-13 2019-01-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4'-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728A (ko) 2016-10-26 2018-05-04 (주)아모레퍼시픽 3,4,5-트리메톡시 신남산 에스테르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07704A (ko) 2017-07-13 2019-01-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4'-o-메틸알피눔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067A (ko) 2021-06-09 2022-12-16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백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243B1 (ko) 말굽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0191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10913833B (zh) 包含槲皮素类化合物的美白组合物
CN109890383B (zh) 用于皮肤美白的组合物
KR101796286B1 (ko) 바위손 발효액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554091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elasticity or improving skin wrinkles comprising heptahydroxyflavan as an effective ingredient
KR102655943B1 (ko)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5275075B2 (ja) (2z,8z)―メトリカリア酸メチルエステル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皮膚美白用組成物
KR102173179B1 (ko) 아젤라익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근감소증 억제효과를 갖는 조성물
JP2020110143A (ja) 成分含量が変化した緑茶抽出物を含む皮膚美白用又は皮膚しわ予防又は改善用組成物
KR20160011299A (ko)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40122014A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8878B1 (ko) 네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670660B1 (ko) Hhdp 디메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메틸 갈레이트 산화 반응물의 제조방법
KR102430512B1 (ko) 릴린 및/또는 vegf-c의 생산 및/또는 활성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KR20230140430A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KR102239470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22164564A (ja) 皮膚美白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皮膚美白方法
KR102394640B1 (ko) 후발효차 유래의 신규한 캄페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40061413A (ko) 석시닉 애씨드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41973A (ko) 금강송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30130258A (ko) Hhdp 디메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메틸 갈레이트 산화 반응물의 제조방법
KR20230030256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115745A (ko) 이소린들레인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20055154A (ko) 비세닌-2을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