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052A - 생검용 니들셋 - Google Patents

생검용 니들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052A
KR20210049052A KR1020210051031A KR20210051031A KR20210049052A KR 20210049052 A KR20210049052 A KR 20210049052A KR 1020210051031 A KR1020210051031 A KR 1020210051031A KR 20210051031 A KR20210051031 A KR 20210051031A KR 20210049052 A KR20210049052 A KR 20210049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needle
biopsy
region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813B1 (ko
Inventor
고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0650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4450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Priority to KR1020210051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8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속침부 및 겉침부를 포함하는 생검용 니들셋으로서, 상기 겉침부는, 겉침 본체 및 상기 겉침 본체와 연결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경사진 형태를 갖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침부는 상기 겉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속침 본체, 상기 속침 본체의 일 영역에 형성된 채취 그루브 및 상기 속침 본체와 연결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고 상기 절단부의 경사진 형태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서 경사진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 영역의 경사진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겉침부의 절단부의 단부로 덮이지 않고 노출되는 노출 영역을 포함하는 생검용 니들셋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생검용 니들셋{Needle set for biopsy}
본 발명은 생검용 니들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 조직의 검사를 위해서는, 생체 조직 내에 생체 조직을 검체할 수 있는 기구를 주입하고, 생체 조직 중 검체 대상이 되는 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들면 채취하고자 하는 조직을 바늘의 형태에 의하여 절단하여 조직학적 형태를 온전히 유지한 상태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체 조직을 채취하기 위해 기수를 삽입 시 검사를 위한 피막조직 또는 단단한 석회화조직 등을 관통 시 제대로 침투하지 못하거나 휘어질 수도 있고, 이러한 침투 시 검사 대상에 대한 통증으로 인하여 생체 조직에 대한 조직 채취의 정확성와 안정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표피를 용이하게 뚫고 들어가서 조직을 용이하게 채취하는 생검용 니들셋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속침부 및 겉침부를 포함하는 생검용 니들셋으로서, 상기 겉침부는, 겉침 본체 및 상기 겉침 본체와 연결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경사진 형태를 갖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침부는 상기 겉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속침 본체, 상기 속침 본체의 일 영역에 형성된 채취 그루브 및 상기 속침 본체와 연결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고 상기 절단부의 경사진 형태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서 경사진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 영역의 경사진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겉침부의 절단부의 단부로 덮이지 않고 노출되는 노출 영역을 포함하는 생검용 니들셋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경사진 영역은 예각을 이루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의 경사진 영역은 예각을 이루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의 예각의 크기는 상기 삽입부의 예각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겉침부의 상기 삽입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외면에 커팅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겉침부는 상기 속침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겉침부의 길이는 상기 속침부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속침부 및 겉침부를 포함하는 생검용 니들셋으로서, 상기 속침부는 상기 겉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속침 본체, 상기 속침 본체의 일 영역에 형성된 채취 그루브 및 상기 속침 본체와 연결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고 상기 절단부의 경사진 형태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서 경사진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겉침부는, 겉침 본체, 상기 겉침 본체와 연결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경사진 형태를 갖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외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커팅 영역이 형성된 생검용 니들셋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팅 영역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팅 영역의 가장자리는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생검용 니들셋은 표피를 용이하게 뚫고 들어가서 조직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검용 니들셋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일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검용 니들셋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일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검용 니들셋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일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하부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12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A 영역에 대하여 S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 생검용 니들셋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K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B 방향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검용 니들셋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검용 니들셋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검용 니들셋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일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100)는 속침부(110) 및 겉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생검용 니들셋(100, 이하 "니들셋"이라고도 언급)은 생체, 예를들면 인체에 대한 생검을 위하여, 생체의 조직을 떼어내어 적어도 일 영역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생검용 니들셋(100)은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의 생검 방향(D)를 기준으로 검사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검용 니들셋(100)을 전진 방향(D1)으로 생체, 예를들면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운동하여 표피의 일 영역을 뚫고 표피 내로 삽입되고 생검을 원하는 생체의 내부 영역에까지 이르고, 원하는 조직을 떼어내어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여 표피의 외부로 나와서 생검용 니들셋(100)이 떼어낸 조직에 대한 생검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겉침부(120)는 겉침 본체(122) 및 삽입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겉침 본체(122)는 속이 빈 형태의 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속침부(110)가 겉침부(120)에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 본체(122)의 적어도 일 영역은 속이 빈 원기둥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삽입부(121)는 겉침 본체(12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삽입부(121)는 인체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기 시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21)는 속이 빈 형태로서, 예를들면 겉침 본체(122)과 같이 일체로 연장된 기둥과 같은 형태를 갖고 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삽입부(121)는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고, 예를들면 삽입부(121)의 단부를 포함한 영역에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인체의 표피를 용이하게 뚫고 들어가기 시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부(121)의 경사진 영역은 30도 이하의 각을 갖고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또한, 구체적 예로서 20도 이하의 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인체의 표피를 뚫을 때 고통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부(121)의 일 단부의 영역은 예각을 갖는 팁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가장 하부, 즉 인체의 표피를 가장먼저 뚫기 시작하는 영역에 예각으로 날카롭게 팁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삽입부(121)의 경사진 영역의 하부에 팁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삽입부(121)로부터 인체의 표피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생검용 니들셋(100)이 용이하게 원하는 생체의 조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부(121)의 외면, 즉 속침부(110)를 향하는 내면의 반대면에는 커팅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부(121)의 하부, 즉, 삽입부(121)의 경사진 영역의 시작점을 포함하고 인체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기 시작하는 영역의 일 영역에 하나 이상의 커팅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21)의 경사진 형태 및 이에 대응하는 영역의 외면에서의 커팅 영역을 통하여 겉침부(120)가 인체의 표피를 뚫고 들어갈 때 더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삽입되어 조직 채취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21)이 팁 영역의 변형을 감소할 수 있고, 생검 대상자에 대한 고통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20)는 속침부(110)에 대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겉침부(120)는 겉침 본체(122)로부터 삽입부(121)까지 속이 빈 형태로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속침부(110)가 이러한 겉침부(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겉침부(120)의 내부의 최소 폭은 적어도 속침부(110)의 최대 폭보다 클 수 있다.
속침부(110)는 속침 본체(112), 채취 그루브(113) 및 헤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속침 본체(112)는 겉침부(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채취 그루브(113)는 겉침부(120)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생검용 니들셋(100)을 이용하여 생검을 위한 조직이 수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채취 그루브(113)는 길게 연장된 형태로서, 예를들면 속침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채취 그루브(113)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채취 그루브(113)의 폭은 속침 본체(112)의 최대 폭에 대응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채취 그루브(113)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보다 중심에서의 깊이가 클 수 있다. 예를들면 채취 그루브(113)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깊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채취 그루브(113)에 효과적으로 많은 조직이 수용될 수 있다.
채취 그루브(113)는 헤드부(111)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채취 그루브(113)는 속침부(110)의 헤드부(111)의 경사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서 경사진 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헤드부(111)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채취 그루브(113)는 겉침부(120)의 삽입부(121)의 일 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삽입부(121)의 경사진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생검용 니들셋(100)의 표피로 삽입하여 조직 채취 시 삽입되는 깊이를 감소하여 조직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헤드부(111)는 속침 본체(11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헤드부(111)는 삽입부(121)와 함께 인체의 표피를 통하여 들어가기 시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11)는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고, 예를들면 삽입부(121)의 경사진 형태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겉침부(120)는 속침부(110)를 수용한 채로 인체의 표피를 뚫고 채취할 조직에 근접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헤드부(111)의 경사진 영역은 30도 이하의 각을 갖고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또한, 구체적 예로서 20도 이하의 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20)는 속침부(110)에 대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겉침부(120)는 겉침 본체(122)로부터 삽입부(121)까지 속이 빈 형태로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속침부(110)가 이러한 겉침부(1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겉침부(120)의 내부의 최소 폭은 적어도 속침부(110)의 최대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생검용 니들셋(100)을 전진 방향(D1)으로 조직을 채취할 영역, 예를들면 인체의 조직을 향하여 표피를 뚫고 삽입된 후, 도 2에 도시한 대로 겉침부(120)가 덮고 있는 속침부(110)의 채취 그루브(113)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속침부(110)의 외면은 겉침부(120)의 내면과 가능하면 가깝게 또는 틈이 적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속침부(110)와 겉침부(120)가 일체로 표피를 뚫고 진입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속침부(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겉침부(120)가 후진 방향(D2)로 운동하여 채취 그루브(113)가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채취 그루브(113)에 원하는 조직이 수용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20)의 내부에 음압이 형성될 수 있어 채취 그루브(113)에 많은 조직이 효과적으로 올려진 채 유지될 수 있다.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조직을 채취한 후에 겉침부(120)는 다시 전진 방향(D1)으로 전진하여 도 1과 같은 상태로서 채취 그루브(113)는 겉침부(120)으로 덮인 후에, 생검용 니들셋(100)은 표피로부터 나와서 채취 그루브(113)에 수용된 조직을 생검에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일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도 1의 영역 중 겉침부(120)의 삽입부(121)를 포함하는 영역 및 속침부(110)의 헤드부(111)를 포함하는 영역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100)의 속침부(110)는 노출 영역(115)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영역(115)은 헤드부(111)의 경사진 영역의 경사가 시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노출 영역(115)은 헤드부(111)의 상단부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출 영역(115)은 헤드부(111)의 경사진 영역의 둔각을 이루는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노출 영역(115)은 겉침부(120)의 단부로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노출 영역(115)은 속침부(110)의 영역 중 채취 그루브(113)가 형성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노출 영역(115)은 굴곡부(116) 및 노출면(117)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영역(115)의 노출면(117)은 겉침부(120)의 단부에 덮인 속침부(110)의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겉침부(120)로 덮이지 않은 영역이고, 굴곡부(116)를 통하여 속침부(110)의 헤드부(111)의 경사진 영역과 연결되고, 예를들면 굴곡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속침부(110)는 헤드부(111)의 경사진 영역의 넓은 평면 및 이와 연결되는 노출 영역(115)이 겉침부(120)의 단부, 예를들면 삽입부(121)의 단부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노출 영역(115)의 노출면(117)은 평탄면을 포함할 수 있고, 겉침부(120)의 단부의 내측면과 나란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은 속침부와 겉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검용 니들셋을 이용하여 생검을 위한 조직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와 속침부가 경사진 형태의 단부를 포함하여 채취를 위한 대상, 예를들면 인체의 표피에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고 생검 대상자에 대한 통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속침부는 상면, 즉 경사가 시작하는 부분이고 채취 그루브의 반대 영역을 향하는 방향에 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노출 영역은 속침부에 대하여 겉침부가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최대로 전진시에 노출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출 영역을 통하여 니들셋이 표피를 뚫고 들어갈 때 점진적 각도 변화를 통하여 통증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니들셋이 조직에 인접한 후 겉침부를 이동하여 속침부의 채취 그루브가 조직에 노출될 수 있고, 이 때 노출 영역을 통하여 겉침부와 속침부의 압력 차이로 인하여 걸림이나 방해등을 감소하여 겉침부가 용이하게 후진할 수 있다.
또한, 채취 그루브가 경사진 영역의 끝쪽을 향하는 면, 즉 하면에 형성되어 채취 그루브를 속침부의 헤드부와 가깝게 배치하여 조직 채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검용 니들셋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일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의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200)는 속침부(210) 및 겉침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생검용 니들셋(200)은 생체, 예를들면 인체에 대한 생검을 위하여, 생체의 조직을 떼어내어 적어도 일 영역을 수용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의 차이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겉침부(220)는 겉침 본체(222) 및 삽입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겉침 본체(222)는 속이 빈 형태의 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속침부(210)가 겉침부(220)에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삽입부(221)는 겉침 본체(22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삽입부(221)는 인체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기 시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21)는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고, 예를들면 삽입부(221)의 단부를 포함한 영역에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인체의 표피를 용이하게 뚫고 들어가기 시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부(221)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도 7의 각 b)은 20도 이하의 각을 갖고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또한, 구체적 예로서 대략 17도의 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인체의 표피를 뚫을 때 고통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부(221)의 일 단부의 영역은 예각을 갖는 팁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220)는 속침부(210)에 대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겉침부(220)는 겉침 본체(222)로부터 삽입부(221)까지 속이 빈 형태로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속침부(210)가 이러한 겉침부(2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겉침부(220)의 내부의 최소 폭은 적어도 속침부(210)의 최대 폭보다 클 수 있다.
속침부(210)는 속침 본체(212), 채취 그루브(213) 및 헤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속침 본체(212)는 겉침부(2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채취 그루브(213)는 겉침부(220)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생검용 니들셋(200)을 이용하여 생검을 위한 조직이 수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채취 그루브(213)는 길게 연장된 형태로서, 예를들면 속침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채취 그루브(213)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채취 그루브(213)의 폭은 속침 본체(212)의 최대 폭에 대응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채취 그루브(213)는 헤드부(211)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채취 그루브(213)는 속침부(210)의 헤드부(211)의 경사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서 경사진 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헤드부(211)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헤드부(211)는 속침 본체(21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헤드부(211)는 삽입부(221)와 함께 인체의 표피를 통하여 들어가기 시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211)는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고, 예를들면 삽입부(221)의 경사진 형태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헤드부(211)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도 7의 각 a)은 20도 이하의 각을 갖고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헤드부(211)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도 7의 각 a)은 상기 겉침부(220)의 헤드부(211)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보다 큰 각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대략 18도의 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생검용 니들셋(200)을 전진 방향(D1)으로 조직을 채취할 영역, 예를들면 인체의 조직을 향하여 표피를 뚫고 삽입된 후, 도 6에 도시한 대로 겉침부(220)가 덮고 있는 속침부(210)의 채취 그루브(213)가 노출되도록 하여 노출된 채취 그루브(213)에 원하는 조직이 수용될 수 있고, 조직을 채취한 후에 겉침부(220)는 다시 전진 방향(D1)으로 전진하여 도 5와 같은 상태로서 채취 그루브(213)는 겉침부(220)으로 덮인 후에, 생검용 니들셋(200)은 표피로부터 나와서 채취 그루브(213)에 수용된 조직을 생검에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일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의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도 5의 영역 중 겉침부(220)의 삽입부(221)를 포함하는 영역 및 속침부(210)의 헤드부(211)를 포함하는 영역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200)의 속침부(210)는 노출 영역(215)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영역(215)은 헤드부(211)의 경사진 영역의 경사가 시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노출 영역(215)은 헤드부(211)의 상단부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노출 영역(215)은 겉침부(220)의 단부로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노출 영역(215)은 속침부(210)의 영역 중 채취 그루브(213)가 형성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노출 영역(215)은 굴곡부(216) 및 노출면(217)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영역(215)의 노출면(217)은 겉침부(220)의 단부에 덮인 속침부(210)의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겉침부(220)로 덮이지 않은 영역이고, 굴곡부(216)를 통하여 속침부(210)의 헤드부(211)의 경사진 영역과 연결되고, 예를들면 굴곡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속침부(210)는 헤드부(211)의 경사진 영역의 넓은 평면 및 이와 연결되는 노출 영역(215)이 겉침부(220)의 단부, 예를들면 삽입부(221)의 단부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노출 영역(215)의 노출면(217)은 평탄면을 포함할 수 있고, 겉침부(220)의 단부의 내측면과 나란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노출 영역(215)은 속침부(210)의 헤드부(211)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이 겉침부(220)의 삽입부(221)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보다 큰 각을 갖도록 하여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은 속침부와 겉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검용 니들셋을 이용하여 생검을 위한 조직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와 속침부가 경사진 형태의 단부를 포함하여 채취를 위한 대상, 예를들면 인체의 표피에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고 생검 대상자에 대한 통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속침부는 상면, 즉 경사가 시작하는 부분이고 채취 그루브의 반대 영역을 향하는 방향에 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노출 영역은 속침부에 대하여 겉침부가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최대로 전진시에 노출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출 영역을 통하여 니들셋이 표피를 뚫고 들어갈 때 점진적 각도 변화를 통하여 통증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속침부의 헤드부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의 크기가 겉침부의 삽입부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의 크기보다 크도록, 예를들면 0.5 내지 2도, 구체적으로 1도 정도 크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단차진 형태의 노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니들셋이 조직에 인접한 후 겉침부를 이동하여 속침부의 채취 그루브가 조직에 노출될 수 있고, 이 때 노출 영역을 통하여 겉침부와 속침부의 압력 차이로 인하여 걸림이나 방해등을 감소하여 겉침부가 용이하게 후진할 수 있다.
또한, 채취 그루브가 경사진 영역의 끝쪽을 향하는 면, 즉 하면에 형성되어 채취 그루브를 속침부의 헤드부와 가깝게 배치하여 조직 채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검용 니들셋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일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하부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300)는 속침부(310) 및 겉침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생검용 니들셋(300)은 생체, 예를들면 인체에 대한 생검을 위하여, 생체의 조직을 떼어내어 적어도 일 영역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생검용 니들셋(300)은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의 생검 방향(D)를 기준으로 검사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의 차이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겉침부(320)는 겉침 본체(322) 및 삽입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겉침 본체(322)는 속이 빈 형태의 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속침부(310)가 겉침부(320)에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삽입부(321)는 겉침 본체(32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삽입부(321)는 인체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기 시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321)는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고, 예를들면 삽입부(321)의 단부를 포함한 영역에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인체의 표피를 용이하게 뚫고 들어가기 시작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부(321)의 경사진 영역은 20도 이하의 각을 갖고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구체적 예로서 대략 17도의 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인체의 표피를 뚫을 때 고통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부(321)의 일 단부의 영역은 예각을 갖는 팁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가장 하부, 즉 인체의 표피를 가장먼저 뚫기 시작하는 영역에 예각으로 날카롭게 팁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삽입부(321)의 경사진 영역의 하부에 팁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삽입부(321)로부터 인체의 표피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생검용 니들셋(300)이 용이하게 원하는 생체의 조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321)의 외면, 즉 속침부(310)를 향하는 내면의 반대면에는 커팅 영역(327)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부(321)의 하부, 즉, 삽입부(321)의 예각의 경사진 영역의 시작점을 포함하고 인체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기 시작하는 영역의 일 영역에 하나 이상의 커팅 영역(327)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커팅 영역(327)을 통하여 삽입부(321)의 하부 영역, 즉 표피를 뚫고 들어가기 시작하는 일 영역에서의 커팅 영역(327)과 삽입부(321)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은 예각이 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부(321)의 하면의 영역에 전진 방향(D1)을 기준으로 양측에, 예를들면 대칭적으로 두 개의 커팅 영역(327)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321)의 경사진 형태 및 이에 대응하는 영역의 외면에서의 커팅 영역을 통하여 겉침부(320)가 인체의 표피를 뚫고 들어갈 때 더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삽입되어 조직 채취를 삽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3을 참조하면 두 개의 커팅 영역(327)은 삽입부(321)의 팁 영역으로부터 커팅된 영역일 수 있고, 적어도 팁 영역과 떨어진 영역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겉침부(320)가 표피를 뚫을 때의 표피를 통한 저항감을 감소하고 검사 대상에 대한 조직 채취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320)는 속침부(310)에 대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겉침부(320)는 겉침 본체(322)로부터 삽입부(321)까지 속이 빈 형태로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속침부(310)가 이러한 겉침부(3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겉침부(320)의 내부의 최소 폭은 적어도 속침부(310)의 최대 폭보다 클 수 있다.
속침부(310)는 속침 본체(312), 채취 그루브(313) 및 헤드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속침 본체(312)는 겉침부(3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채취 그루브(313)는 겉침부(320)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생검용 니들셋(300)을 이용하여 생검을 위한 조직이 수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채취 그루브(313)는 길게 연장된 형태로서, 예를들면 속침부(310)의 길이 방향으로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채취 그루브(313)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채취 그루브(313)의 폭은 속침 본체(312)의 최대 폭에 대응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채취 그루브(313)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보다 중심에서의 깊이가 클 수 있다. 예를들면 채취 그루브(313)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깊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채취 그루브(313)에 효과적으로 많은 조직이 수용될 수 있다.
채취 그루브(313)는 헤드부(311)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채취 그루브(313)는 속침부(310)의 헤드부(311)의 경사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서 경사진 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헤드부(311)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채취 그루브(313)는 겉침부(320)의 삽입부(321)의 일 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삽입부(321)의 경사진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생검용 니들셋(300)의 표피로 삽입하여 조직 채취 시 삽입되는 깊이를 감소하여 조직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고, 조직 채취 대상에 대한 고통을 감소할 수 있다.
헤드부(311)는 속침 본체(31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헤드부(311)는 삽입부(321)와 함께 인체의 표피를 통하여 들어가기 시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311)는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고, 예를들면 삽입부(321)의 경사진 형태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겉침부(320)는 속침부(310)를 수용한 채로 인체의 표피를 뚫고 채취할 조직에 근접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헤드부(311)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은 20도 이하의 각을 갖고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또한, 헤드부(311)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은 상기 겉침부(320)의 헤드부(311)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보다 큰 각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대략 18도의 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320)는 속침부(310)에 대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겉침부(320)는 겉침 본체(322)로부터 삽입부(321)까지 속이 빈 형태로서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속침부(310)가 이러한 겉침부(3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겉침부(320)의 내부의 최소 폭은 적어도 속침부(310)의 최대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러한 동작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도 11은 도 9의 영역 중 겉침부(320)의 삽입부(321)를 포함하는 영역 및 속침부(310)의 헤드부(311)를 포함하는 영역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300)의 속침부(310)는 노출 영역(315)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영역(315)은 헤드부(311)의 경사진 영역의 경사가 시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노출 영역(315)은 헤드부(311)의 상단부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출 영역(315)은 헤드부(311)의 경사진 영역의 둔각을 이루는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노출 영역(315)은 겉침부(320)의 단부로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노출 영역(315)은 속침부(310)의 영역 중 채취 그루브(313)가 형성되는 영역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노출 영역(315)은 굴곡부(316) 및 노출면(317)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영역(315)의 노출면(317)은 겉침부(320)의 단부에 덮인 속침부(310)의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겉침부(320)로 덮이지 않은 영역이고, 굴곡부(316)를 통하여 속침부(310)의 헤드부(311)의 경사진 영역과 연결되고, 예를들면 굴곡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속침부(310)는 헤드부(311)의 경사진 영역의 넓은 평면 및 이와 연결되는 노출 영역(315)이 겉침부(320)의 단부, 예를들면 삽입부(321)의 단부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노출 영역(315)의 노출면(317)은 평탄면을 포함할 수 있고, 겉침부(320)의 단부의 내측면과 나란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노출 영역(315)은 속침부(310)의 헤드부(311)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이 겉침부(320)의 삽입부(321)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보다 큰 각을 갖도록 하여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은 속침부와 겉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검용 니들셋을 이용하여 생검을 위한 조직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와 속침부가 경사진 형태의 단부를 포함하여 채취를 위한 대상, 예를들면 인체의 표피에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고 생검 대상자에 대한 통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속침부는 상면, 즉 경사가 시작하는 부분이고 채취 그루브의 반대 영역을 향하는 방향에 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노출 영역은 속침부에 대하여 겉침부가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최대로 전진시에 노출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출 영역을 통하여 니들셋이 표피를 뚫고 들어갈 때 점진적 각도 변화를 통하여 통증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겉침부의 외면에 커팅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경사가 시작하는 영역, 표피를 뚫고 들어가기 시작하는 팁 영역의 외면에 커팅 영역을 형성하여 겉침부가 표피를 용이하게 뚫고 들어갈 수 있고 검사 대상의 통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니들셋이 조직에 인접한 후 겉침부를 이동하여 속침부의 채취 그루브가 조직에 노출될 수 있고, 이 때 노출 영역을 통하여 겉침부와 속침부의 압력 차이로 인하여 걸림이나 방해등을 감소하여 겉침부가 용이하게 후진할 수 있다.
또한, 채취 그루브가 경사진 영역의 끝쪽을 향하는 면, 즉 하면에 형성되어 채취 그루브를 속침부의 헤드부와 가깝게 배치하여 조직 채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도12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A 영역에 대하여 S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4 및 도 15의 ⅩⅤ-ⅩⅤ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300')의 속침부는 노출 영역(315')을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영역(315')은 선택적 실시예로서 굴곡부(316') 및 노출면(317')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속침부는 헤드부(311')의 경사진 영역의 넓은 평면 및 이와 연결되는 노출 영역(315')이 겉침부의 단부, 예를들면 삽입부(321')의 단부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321')의 외면, 즉 속침부를 향하는 내면의 반대면에는 커팅 영역(328')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부(321')의 단부, 속침부의 헤드부(311')를 향하는 면을 향하도록 커팅 영역(328')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팅 영역(328')은 헤드부(311')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커팅 영역(328')은 삽입부(321')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커팅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커팅 영역(328')은 헤드부(311')의 평면의 연장선과 이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이격각(c)을 갖도록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커팅 영역(328')은 헤드부(31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헤드부(311')의 평면의 연장선과 이격각(c)을 갖도록 이격되도록 형성되므로 조직 에 대한 절단을 하는 칼날과 유사한 영역이 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 생검용 니들셋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K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B 방향에서 본 저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속침부는 헤드부(311")의 경사진 영역의 넓은 평면 및 이와 연결되는 노출 영역(315")이 겉침부의 단부, 예를들면 삽입부의 단부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의 외면의 일 영역에는 커팅 영역(328")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겉침부의 삽입부의 외면의 영역 중 속침부를 향하는 내면의 반대면에 커팅 영역(328")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부의 단부, 예를들면 속침부의 헤드부(311")를 향하는 면을 향하도록 커팅 영역(328")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팅 영역(328")은 헤드부(311")에 대응되는 삽입부의 영역 중 하부, 즉 표피를 뚫고 들어가기 시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커팅 영역(328")은 라운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커팅 영역(328")은 급격한 굴곡없이 자연스럽게 이어진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8에 예시한 것과 같이 커팅 영역(328")의 가장자리는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커팅 영역(328")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헤드부의 가장자리의 외부로부터 안쪽을 향하도록 커팅될 수 있다. 예를들면 커팅 영역(328")은 곡선의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도 19와 같이 저면에서 볼 때 곡선의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겉침부가 조직 채취를 위하여 검사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갈 때,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표피에 삽입되어 검사 대상의 통증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팅 영역(328")은 겉침부의 삽입부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헤드부(311')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커팅 영역(328')은 삽입부의 가장자리에서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라운드된 커팅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운동 방향(D)을 기준으로 운동 방향(D)과 평행한 중심축이 니들셋(300")에 존재한다고 할 때, 커팅 영역(328")은 이러한 중심축에까지 이를 수 있다. 즉, 도 18을 기준으로 니들셋(300")의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50 퍼센트에 이를 때가지 커팅 영역(328')이 올라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커팅 영역은 이러한 중심축을 넘어서까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도 18을 기준으로 니들셋(300")의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60 퍼센트 이상이 될 때가지 커팅 영역(328')이 올라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8을 기준으로 니들셋(300")의 전체 두께를 기준으로 3분의 2 이상이 될 때가지 커팅 영역(328')이 올라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겉침부가 조직 채취를 위하여 검사 대상의 표피를 뚫고 들어갈 때,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표피에 삽입되어 검사 대상의 통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겉침부와 속침부의 이동 시 겉침부의 하면, 즉 삽입부의 저면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검사 대상의 조직에 대한 불필요한 씹힘을 감소하여 통증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생검용 니들셋(300")의 속침부는 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검용 니들셋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생검용 니들셋(1000)은 생체, 예를들면 인체에 대한 생검을 위하여, 생체의 조직을 떼어내어 적어도 일 영역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생검용 니들셋(1000)은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의 생검 방향(D)를 기준으로 검사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검용 니들셋(100)을 전진 방향(D1)으로 생체, 예를들면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운동하여 표피의 일 영역을 뚫고 표피 내로 삽입되고 생검을 원하는 생체의 내부 영역에까지 이르고, 원하는 조직을 떼어내어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여 표피의 외부로 나와서 생검용 니들셋(1000)이 떼어낸 조직에 대한 생검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1000)는 속침부(1410) 및 겉침부(1420)를 포함할 수 있다.
겉침부(1420)의 길이는 속침부(141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겉침부(1420) 및 속침부(141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과 같이 겉침부(1420)가 전진 방향(D1)을 기준으로 최대 전진한 상태에서 니들셋(1000)을 전진하여 채취를 원하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난 후에 도 21과 같이 겉침부(1420)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하여 속침부(1410)의 채취 그루브가 노출되어 조직을 수용하여 채취하고,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1420)의 내부와 속침부(1410)간 음압 발생으로 조직 채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조직을 채취하고 나서 다시 도 20과 같이 겉침부(1420)가 이동하여 채취 그루브를 덮은 후에 조직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니들셋(1000)을 이동 한 후에 채취 그루브로부터 조직을 취득해 필요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생검용 니들셋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생검용 니들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생검용 니들셋(2000)은 생체, 예를들면 인체에 대한 생검을 위하여, 생체의 조직을 떼어내어 적어도 일 영역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생검용 니들셋(2000)은 전진 방향(D1) 또는 후진 방향(D2)의 생검 방향(D)를 기준으로 검사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검용 니들셋(200)을 전진 방향(D1)으로 생체, 예를들면 인체의 표피에 대하여 운동하여 표피의 일 영역을 뚫고 표피 내로 삽입되고 생검을 원하는 생체의 내부 영역에까지 이르고, 원하는 조직을 떼어내어 후진 방향(D2)으로 운동하여 표피의 외부로 나와서 생검용 니들셋(2000)이 떼어낸 조직에 대한 생검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2000)는 속침부(2410), 겉침부(2420) 및 이동 블럭(2500)을 포함할 수 있다.
겉침부(2420)의 길이는 속침부(241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겉침부(2420) 및 속침부(241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와 같이 겉침부(2420)가 전진 방향(D1)을 기준으로 최대 전진한 상태에서 니들셋(2000)을 전진하여 채취를 원하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난 후에 도 23과 같이 겉침부(2420)를 후진 방향(D2)으로 이동하여 속침부(2410)의 채취 그루브가 노출되어 조직을 수용하여 채취하고,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겉침부(2420)의 내부와 속침부(2410)간 음압 발생으로 조직 채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조직을 채취하고 나서 다시 도 22와 같이 겉침부(2420)가 이동하여 채취 그루브를 덮은 후에 조직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니들셋(2000)을 이동 한 후에 채취 그루브로부터 조직을 취득해 필요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겉침부(2420)의 속침부(2410)에 대한 이동은 이동 블럭(2500)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동 블럭(2500)은 고정점(HST)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겉침부(2420)가 전진 방향(D1)으로 최대 이동 시 속침부(2410)를 지나치지 않고, 속침부(2410)와 동일한 단부를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조직 채취할 대상, 예를들면 인체의 표피를 일체화되어 뚫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고정점(HST)은 니들셋(2000)의 적어도 일 영역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부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블럭(2500)의 후진 방향(D2)로의 이동을 통하여 겉침부(2420)를 용이하게 후진하여 속침부(2410)의 채취 그루브를 노출할 수 있고, 조직을 채취한 후에는 다시 이동 블럭(2500)이 전진 방향(D1)으로 이동하여 겉침부(2420)가 전진하도록 하여 채취 그루브를 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생검용 니들셋은 속침부와 겉침부를 포함할 수 있고, 겉침부를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생검용 니들셋을 이용하여 생검을 위한 조직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겉침부와 속침부가 경사진 형태의 단부를 포함하여 채취를 위한 대상, 예를들면 인체의 표피에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고 생검 대상자에 대한 통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속침부는 상면, 즉 경사가 시작하는 부분이고 채취 그루브의 반대 영역을 향하는 방향에 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노출 영역은 속침부에 대하여 겉침부가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최대로 전진시에 노출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출 영역을 통하여 니들셋이 표피를 뚫고 들어갈 때 점진적 각도 변화를 통하여 통증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속침부의 헤드부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의 크기가 겉침부의 삽입부의 경사진 영역의 예각의 크기보다 크로록, 예를들면 0.5 내지 2도, 구체적으로 1도 정도 크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단차진 형태의 노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채취 그루브가 경사진 영역의 끝쪽을 향하는 면, 즉 하면에 형성되어 채취 그루브를 속침부의 헤드부와 가깝게 배치하여 조직 채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1000, 2000: 생검용 니들셋
110, 210, 310, 1410, 2410: 속침부
120, 220, 320, 1420, 2420: 겉침부

Claims (2)

  1. 속침부 및 겉침부를 포함하는 생검용 니들셋으로서,
    상기 겉침부는,
    겉침 본체; 및
    상기 겉침 본체와 연결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경사진 형태를 갖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침부는 상기 겉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속침 본체;
    상기 속침 본체의 일 영역에 형성된 채취 그루브; 및
    상기 속침 본체와 연결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고 상기 겉침부의 상기 삽입부의 경사진 형태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서 경사진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 영역의 경사진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겉침부의 단부로 덮이지 않고 노출되는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속침부의 노출 영역은 상기 헤드부의 경사진 영역의 둔각을 이루는 굴곡부 및 상기 경사진 영역과 멀리 떨어진 노출면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면은 상기 채취 그루브와 중첩되고 상기 속침부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채취 그루브를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생검용 니들셋.
  2. 속침부 및 겉침부를 포함하는 생검용 니들셋으로서,
    상기 속침부는 상기 겉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속침 본체;
    상기 속침 본체의 일 영역에 형성된 채취 그루브; 및
    상기 속침 본체와 연결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고 상기 겉침부의 경사진 형태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서 경사진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겉침부는,
    겉침 본체;
    상기 겉침 본체와 연결되고 생검을 위한 영역을 향하도록 경사진 형태를 갖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외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커팅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겉침부의 커팅 영역은 상기 겉침부의 상기 경사진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표피를 뚫고 들어가기 시작하는 영역에 곡선의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팅 영역의 상기 곡선의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겉침부의 상기 삽입부의 전방을 포함하는 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에 상기 커팅 영역의 곡선의 가장자리 영역과 인접한 상기 커팅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생검용 니들셋.
KR1020210051031A 2018-09-06 2021-04-20 생검용 니들셋 KR102384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031A KR102384813B1 (ko) 2018-09-06 2021-04-20 생검용 니들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509A KR102244503B1 (ko) 2018-09-06 2018-09-06 생검용 니들셋
KR1020210051031A KR102384813B1 (ko) 2018-09-06 2021-04-20 생검용 니들셋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509A Division KR102244503B1 (ko) 2018-09-06 2018-09-06 생검용 니들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052A true KR20210049052A (ko) 2021-05-04
KR102384813B1 KR102384813B1 (ko) 2022-04-08

Family

ID=8118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031A KR102384813B1 (ko) 2018-09-06 2021-04-20 생검용 니들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8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314A (ja) * 1999-10-07 2001-04-17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組織採取具
JP2001292999A (ja) * 2000-04-14 2001-10-23 B Braun Japan Co Ltd 生検用針
WO2017017936A1 (ja) * 2015-07-30 2017-02-02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の穿刺針及び穿刺針の製造方法
US20180008244A1 (en) * 2015-06-10 2018-01-11 Olympus Corporation Biopsy needle
KR20180079864A (ko) * 2017-01-03 2018-07-11 고형진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314A (ja) * 1999-10-07 2001-04-17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組織採取具
JP2001292999A (ja) * 2000-04-14 2001-10-23 B Braun Japan Co Ltd 生検用針
US20180008244A1 (en) * 2015-06-10 2018-01-11 Olympus Corporation Biopsy needle
WO2017017936A1 (ja) * 2015-07-30 2017-02-02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の穿刺針及び穿刺針の製造方法
KR20180079864A (ko) * 2017-01-03 2018-07-11 고형진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813B1 (ko)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58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orienting a tool for transplanting hairs using image-generated topological skin models
JP4648554B2 (ja) 骨髄生検アセンブリ及び骨髄生検の採取器
US85455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follicular unit harvesting
US6827692B2 (en) Needle of the biopsy type or for taking other samples from human or animal organs
US7018343B2 (en) Biopsy needle and biopsy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1399269B1 (ko) 자동화된 수술의 파라미터를 수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K2734249T3 (en) DEVICE FOR DESTRUCTION AND REMOVAL OF FAT
BRPI0616648A2 (pt) sistemas automatizados e métodos para colheita e implantação de unidades foliculares
US9301736B2 (en) Fine needle biopsy with adaptor
KR102244503B1 (ko) 생검용 니들셋
KR102065068B1 (ko)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KR20210049052A (ko) 생검용 니들셋
US20100280408A1 (en) Fine needle biopsy system and method of use
US10076352B2 (en) Implantation needle
US20180317895A1 (en) Endoscopic biopsy needle tip and methods of use
KR101862482B1 (ko) 세포 채취용 주사바늘이 구비된 주사기
US11172912B2 (en) Biopsy needle and medical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KR20240042891A (ko) 절단 생검 기구
US10231717B2 (en) Biopsy needle
DE112020001742T5 (de) Endoskop-punktionsnadel
CN221044978U (zh) 一种超声内窥镜组织取样针及取样器
KR102416512B1 (ko) 절단 생검장치의 바늘 구조
US11229423B2 (en) Tissue collecting instrument
KR20140075237A (ko) 병변조직 채취기구
KR20100045025A (ko) 피부 조직 채취용 펀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