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351A - 조리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351A
KR20210048351A KR1020190132527A KR20190132527A KR20210048351A KR 20210048351 A KR20210048351 A KR 20210048351A KR 1020190132527 A KR1020190132527 A KR 1020190132527A KR 20190132527 A KR20190132527 A KR 20190132527A KR 20210048351 A KR20210048351 A KR 20210048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induction coil
intensity
controlling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웅
강홍주
박남주
이세민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2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8351A/ko
Priority to US17/079,351 priority patent/US20210127460A1/en
Priority to EP20878292.0A priority patent/EP4000349A4/en
Priority to PCT/KR2020/014566 priority patent/WO2021080371A1/en
Publication of KR2021004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조리 기기가 개시된다. 조리 기기는, 복수의 히팅 영역을 포함하는 쿠킹 플레이트, 쿠킹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복수의 히팅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도 코일, 복수의 유도 코일 각각에 전류를 공급하는 드라이버 및 복수의 히팅 영역 중 제1 히팅 영역이 턴 온된 상태에서 복수의 히팅 영역 중 제2 히팅 영역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유도 코일 중 제1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임계 시간 동안 중단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 COOK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조리 기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의 가스나 기름 등의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 가열 조리 기기에서 미세 먼지, 유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며 화재 발생의 위험이 거의 없는 다양한 유도 가열 조리 기기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 기기는 유도 가열의 원리를 이용하여 조리 용기 자체의 저항 성분에 의해 줄 열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줄 열을 이용하여 용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유도 가열 조리 기기는 유도 가열의 원리를 이용하므로, 2 개 이상의 워킹 코일을 동시에 구동시킬 경우에는 워킹 코일 간 출력 주파수가 상이하므로 자계 간섭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유도 코일 각각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리 기기는, 복수의 히팅 영역을 포함하는 쿠킹 플레이트, 상기 쿠킹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복수의 히팅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도 코일, 상기 복수의 유도 코일 각각에 전류를 공급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복수의 히팅 영역 중 제1 히팅 영역이 턴 온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히팅 영역 중 제2 히팅 영역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유도 코일 중 상기 제1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임계 시간 동안 중단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히팅 영역 및 상기 제2 히팅 영역이 모두 턴 온 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1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제1 전류의 세기 및 상기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제2 전류의 세기 간 차이가 임계 범위 내에 속하도록 상기 제1 전류 또는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를 조정하도록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류 또는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가 조정되면, 상기 조정된 전류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류 또는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전류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세기가 증가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라이버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유도 코일에 대응되는 히팅 영역의 평균 출력 파워가 상기 조정되기 전 출력 파워와 동일하도록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2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4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제3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4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전류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상기 드라이버로 전송한 후, 상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PWM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히팅 영역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유도 코일 중 상기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 시간은, 상기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세기의 전류와 동일해지는데 요구되는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유도 코일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1 유도 코일의 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출력 신호의 크기 중 최대 크기에 기초하여 임계 크기 이상이면, 상기 제1 유도 코일의 상기 출력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 크기를 유지하도록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쿠킹 플레이트, 상기 쿠킹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도 코일 및 상기 복수의 유도 코일 각각에 전류를 공급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구동 방법은, 상기 쿠킹 플레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히팅 영역 중 제1 히팅 영역이 턴 온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히팅 영역 중 제2 히팅 영역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유도 코일 중 상기 제1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임계 시간 동안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히팅 영역 및 상기 제2 히팅 영역이 모두 턴 온 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1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제1 전류의 세기 및 상기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제2 전류의 세기 간 차이가 임계 범위 내에 속하도록 상기 제1 전류 또는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를 조정하도록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류 또는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가 조정되면, 상기 조정된 전류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류 또는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전류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세기가 증가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유도 코일에 대응되는 히팅 영역의 평균 출력 파워가 상기 조정되기 전 출력 파워와 동일하도록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2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4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3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2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상기 드라이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PWM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히팅 영역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유도 코일 중 상기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 시간은, 상기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세기의 전류와 동일해지는데 요구되는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도 코일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1 유도 코일의 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출력 신호의 크기 중 최대 크기에 기초하여 임계 크기 이상이면, 상기 제1 유도 코일의 상기 출력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 크기를 유지하도록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히팅 영역의 턴 온 시에 턴 온 상태인 타 히팅 영역으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유도 코일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여 자계 간섭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임계 전압이 감지되면 보호 제어를 통하여 조리 기기의 파손을 보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싱글 엔디드(Single ended) 방식의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줄 열을 발생시키고, 조리 용기를 소음의 발생 없이 원활히 가열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 및 유도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류의 세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진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쿠킹 플레이트(110), 복수의 유도 코일(120), 드라이버(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조리 기기(100)는 조리물을 조리하는 가전 장치로서, 가스를 연소시켜 조리물을 가열하여 가스 오븐,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전기 오븐, 조리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전자 레인지, 가스를 연소시켜 조리물이 담기 용기를 가열하는 가스 레인지, 자기장을 발생시켜 조리물이 담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장치, 인덕션 장치, 하이라이트 장치 등 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리 기기(100)를 인덕션 장치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조리 기기(100)의 상부에는 조리 용기가 놓여질 수 있는 평판 형상을 갖는 쿠킹 플레이트(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쿠킹 플레이트(110)는 쉽게 파손되지 않기 위해 세라믹 글라스(ceramic glass) 등의 강화 유리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킹 플레이트(110)의 일 영역에는 조리 기기(100)의 제어와 관련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 패널(미도시)을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입력 패널은 조리 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조리 기기(100) 자체의 턴 온 / 턴 오프 명령, 쿠킹 플레이트(110)에 구비된 복수의 히팅 영역 각각의 턴 온 / 턴 오프 명령, 출력 파워의 세기 조절 명령, 타이머 설정 명령 등 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킹 플레이트(110)의 일 영역에는 조리 기기(100)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 패널 및 디스플레이의 위치는 쿠킹 플레이트(110) 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리 기기(100)의 정면 및/또는 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패널은 조리 기기(100)의 측면에 마련되고, 디스플레이는 조리 기기(100)의 정면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쿠킹 플레이트(110)는 복수의 히팅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히팅 영역 각각에는 조리 용기가 놓일 수 있고, 조리 기기(100)는 조리 용기가 놓여지는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유도 코일(120)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유도 코일(120) 각각은 조리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유도 코일(120) 각각은 쿠킹 플레이트(110)의 하부에서 복수의 히팅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도 코일은 복수의 히팅 영역 중 제1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유도 코일은 제1 히팅 영역에 자기장을 생성하여 제1 히팅 영역에 놓여진 조리 용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유도 코일은 하나의 유도 코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서브 유도 코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복수의 서브 유도 코일은 히팅 영역의 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현된 유도 코일들의 그룹(또는, 어레이)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유도 코일(120)은 유도 가열 코일, 워킹 코일(Working coil) 등으로 불릴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도 코일(120)로 통칭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130)는 복수의 유도 각각에 전류를 공급할수 있다. 일 예로, 드라이버(130)가 유도 코일(120)에 전류를 공급하면, 유도 코일(120)의 주변에 자기장이 유도될 수 있다. 드라이버(130)는 유도 코일(120)에 교류 전류를 공급하고, 유도 코일(120)의 주변에는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변화하는 자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유도 코일(120) 주변에 생성된 자기장은 쿠킹 플레이트(110)를 통과할 수 있으며, 쿠킹 플레이트(110) 위에 놓여진 조리 용기에 도달할 수 있다.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변화하는 자기장으로 인하여 조리 용기에는 자기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와전류(eddy current) (EI)가 발생할 수 있다.
와전류(EI)로 인하여 조리 용기에는 전기 저항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저항 열은 저항체에 전류가 흐를 때 저항체에 발생하는 열로써, 줄 열(Joule Heat)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전기 저항 열에 의하여 저항체 즉, 조리 용기가 가열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 각각은 전자기 유도 현상과 전기 저항 열을 이용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복수의 드라이버(130)를 포함하고, 복수의 드라이버(130) 각각은 유도 코일(12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드라이버는 제1 유도 코일로 전류를 공급하고, 제2 드라이버는 제2 유도 코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조리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GPU(graphics-processing unit)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드라이버(130)가 유도 코일(120)에 공급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드라이버(130)가 유도 코일(120)에 공급하는 전류의 세기가 증가하면, 유도 코일(120)의 주변에 생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도 증가한다. 이어서, 자기장의 세기에 증가함에 따라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도 증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드라이버(130)가 유도 코일(120)에 공급하는 전류의 세기가 감소하면, 유도 코일(120)의 주변에 생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로 감소한다. 이어서, 자기장의 세기가 감소함에 따라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도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출력 레벨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드라이버(13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출력 레벨에 대응되는 세기의 전류를 유도 코일(12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어서, 유도 코일(120)은 전류의 세기에 대응되는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는 유도 코일(12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세기에 비례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파워는 저항체(예를 들어, 조리 용기) 에 발생하는 전기 저항 열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명령에 따른 출력 레벨이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의 절대적인 값은 아닐 수 있으며, 출력 레벨은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는 대표하는 상대적인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5 레벨’에 대응되는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는 ‘3 레벨’에 대응되는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드라이버(130)를 제어하여 유도 코일(120)에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 및 유도 코일(120)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히팅 영역 중 제1 히팅 영역이 턴 온된 상태에서 제2 히팅 영역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유도 코일 중 제1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임계 시간 동안 중단 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에 구비된 쿠킹 플레이스(110)는 복수의 히팅 영역(110-1, 110-2, 110-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히팅 영역(110-1, 110-2, 110-3)는 서로 다른 모양 또는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히팅 영역(110-1) 및 제2 히팅 영역(110-2)은 원형 모형이고, 제1 히팅 영역(110-1)은 상측, 제2 히팅 영역(110-2)은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히팅 영역(110-3)은 사각형 모형일 수 있고, 사각형 모형의 모든 영역에 자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즉, 사각형 모형의 모든 영역이 가열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복수의 히팅 영역(110-1, 110-2, 110-3) 각각에 대응되는 입력 패널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패널은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패널은 출력 레벨을 높이거나(예를 들어, 출력 레벨 업 버튼) 또는 출력 레벨을 낮추는(예를 들어, 출력 레벨 다운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설정된 히팅 영역의 출력 레벨, 히팅 영역의 상태 정보, 에러 코드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히팅 영역(110-1, 110-2, 110-3) 중 제1 히팅 영역(110-1)을 턴 온시키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드라이버(130)를 제어하여 제1 히팅 영역(110-1)에 대응되는 제1 유도 코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출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 및 유도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13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유도 코일(12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130)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필터, 정류 회로 및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EMI 필터는 외부 전원(ES)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에 포함된 고주파 잡음(예를 들어, 교류 전력의 고조파)을 차단하고, 기 설정된 주파수(예를 들어, 50Hz 또는 60Hz)의 교류 전압과 교류 전류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EMI 필터(151)는 필터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마련된 인덕터(L1)와 필터의 양의 출력과 음의 출력 사이에 마련된 캐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터(L1)는 고주파 잡음의 통과를 차단하고, 캐패시터(C1)는 고주파 잡음을 외부 전원(ES)으로 바이패스 시킬 수 있다.
EMI 필터에 의하여 고주파 잡음이 차단된 교류 전력은 정류 회로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정류 회로는 브리지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 회로는 4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는 2개씩 직렬 연결된 다이오드 쌍을 형성하고, 2개의 다이오드 쌍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브리지 다이오드는 시간에 따라 극성이 변화하는 교류 전압을 극성이 일정한 양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시간에 따라 방향이 변화하는 교류 전류를 방향이 일정한 양의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정류 회로는 EMI 필터(151)로부터 입력된 교류 전압과 교류 전류을 직류 전압과 직류 전류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 회로는 유도 코일(120)로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및 유도 코일(120)과 함께 공진을 일으키는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는 Half Bridge 방식 대비 상대적으로 회로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낮은 싱글-엔디드(Signe-Ended) 공진형 인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싱글-엔디드(Signe-Ended) 공진형 인버터에 구비된 스위치는 23kHz (kilohertz) 내지 35kHz로 턴 온/턴 오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싱글-엔디드(Signe-Ended) 공진형 인버터에 구비된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유도 코일(120)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유도 코일(120)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에 따라 유도 코일(120)이 출력하는 자기장의 세기 및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가 변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가 감소하면 유도 코일(120)의 출력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하고,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가 증가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에 따른 출력 레벨로부터 유도 코일(120)이 출력하는 자기장의 세기(또는,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조리 기기(100)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메모리는 출력 레벨 및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자기장의 세기(또는,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에 따른 출력 레벨로부터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6 레벨"의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유도 코일(120)이 1200W(watt)의 파워에 해당하는 자기장을 출력하도록 드라이버(1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9 레벨"의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유도 코일(120)이 1800W(watt)의 파워에 해당하는 자기장을 출력하도록 드라이버(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가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가 25kHz가 되도록 드라이버(130)를 제어하면, 드라이버(130)는 스위칭 주파수 25kHz에 대응되는 교류 전류를 제1 유도 코일(120-1)에 공급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유도 코일(120-1)에 대응되는 제1 히팅 영역(110-1)은 공급된 전류의 주파수 즉, 전류의 세기에 따라 1500W의 파워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40)가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가 28kHz가 되도록 드라이버(130)를 제어하면, 드라이버(130)는 스위칭 주파수 28kHz에 대응되는 교류 전류를 제1 유도 코일(120-1)에 공급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유도 코일(120-1)에 대응되는 제1 히팅 영역(110-1)은 공급된 전류의 주파수 즉, 전류의 세기에 따라 1000W의 파워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제1 히팅 영역(110-1)을 턴 온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유도 코일 중 제1 히팅 영역(110-1)에 대응되는 제1 유도 코일(120-1)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류의 세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제1 히팅 영역(110-1)을 턴 온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제1 히팅 영역(110-1)에 대응되는 제1 유도 코일(120-1)에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를 드라이버(130)에 구비된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35kHz에서 23kHz로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제1 유도 코일(120-1)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위치의 가변 스위칭 주파수가 23kHz 내지 35kHz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40)는 드라이버(130)에 구비된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 주파수 범위 내에서 고주파에서 저주파로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기기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 방식으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유도 코일(120)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히팅 영역을 턴 온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제1 유도 코일(120-1)이 출력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설정된 출력 레벨에 대응되면, 제1 유도 코일(120-1)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히팅 영역(110-1, 110-2, 110-3) 중 제1 히팅 영역(110-1)이 턴 온된 상태에서 제2 히팅 영역(110-2)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유도 코일(120) 중 제1 히팅 영역(110-1)에 대응되는 제1 유도 코일(120-1)로의 전류 공급을 임계 시간 동안 중단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2 히팅 영역(110-2)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제2 히팅 영역(110-2)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120-2)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2 유도 코일(120-2)로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유도 코일(120-2)로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변경시키기 위해 드라이버(130)에 구비된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는 35kHz에서 23kHz로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도 코일(120-1) 및 제2 유도 코일(120-2)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 간 차이만큼 자계 간섭 소음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도 코일(120-1)에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와 제2 유도 코일(120-2)에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 간 차이가 약 2kHz 내지 18kHz 내에 포함되면, 조리 기기(100)는 인간이 인지 가능한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소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은 조리 기기(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140)는 제1 유도 코일(120-1)에 전류가 공급 중인 상태에서 제2 유도 코일(120-2)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제1 유도 코일(120-1)로의 전류 공급을 임계 시간 동안 중단시킬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 명령에 따른 출력 레벨에 대응되는 세기의 전류를 제2 유도 코일(120-2)에 공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임계 시간, 예를 들어 6sec 동안 제1 유도 코일(120-1)로의 전류 공급을 중단시키고, 제2 유도 코일(120-2)로의 전류 공급을 시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2 유도 코일(120-2)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제2 유도 코일(120-2)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또는, 제2 유도 코일(120-2)이 출력하는 자기장의 세기)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설정된 출력 레벨에 대응되면, 제2 유도 코일(120-1)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시간은 제2 히팅 영역(110-2)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120-2)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가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세기의 전류와 동일해지는데 요구되는 시간일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중단되었던 제1 유도 코일(120-1)로의 전류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제1 히팅 영역(110-1) 및 제2 히팅 영역(110-2)이 모두 턴 온 되어 있는 동안, 제1 유도 코일(120-1)로 공급되는 제1 전류의 세기 및 제2 히팅 영역(110-2)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120-2)로 공급되는 제2 전류의 세기 간 차이가 임계 범위 내에 속하도록 제1 전류 또는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를 조정하도록 드라이버(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제1 유도 코일(120-1)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1 드라이버(130-1) 및 제2 유도 코일(120-2)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2 드라이버(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드라이버(130-1, 130-2) 각각은 유도 코일(120)로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130)에 구비된 스위치의 가변 스위칭 주파수가 약 23kHz (kilohertz) 내지 35kHz 이므로, 유도 코일(120)이 출력하는 자기장의 세기 즉, 유도 코일(120)에 대응되는 히팅 영역이 출력하는 출력 파워가 약 1000W 내지 2200W로 제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싱글-엔디드(Signe-Ended) 공진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100)는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유도 코일 또는 히팅 영역 자체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명령에 따른 출력 레벨에 대응되는 출력 파워가 1000W 미만이면, 프로세서(140)는 별도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유도 코일(120) 자체의 턴 온/턴 오프 여부 또는 히팅 영역의 파워 출력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명령에 따른 출력 레벨이 ‘3 레벨’이고, ‘3 레벨’에 대응되는 출력 파워가 약 600W 인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히팅 영역의 가변 출력 파워가 1000W 내지 2200W 이므로, 프로세서(14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히팅 영역의 평균 출력 파워가 600W가 되도록 일정 주기로 히팅 영역의 파워 출력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히팅 영역의 1분 동안의 평균 출력 파워가 600W가 되도록 유도 코일(120) 또는 히팅 영역 자체를 0.1 초 주기로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에 구비된 메모리는 출력 레벨,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자기장의 세기(또는,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 및 히팅 영역의 턴 온/턴 오프 주기에 따른 평균 출력 파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저장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은 하기 표 1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제1 히팅 영역의 출력 레벨
Off 1 2 3 4 5 6 7 8 9 P
제2
히팅
영역의
출력
레벨
Off 5 / 5 6 / 5 7 / 7 8 / 7 9 / 7 9 / 7
1
2
3
4
5
6 5 / 6 6 / 6
7 7 / 7 7 / 7 8 / 7 9 / 7 N/A
8 7 / 8 7 / 8 8 / 8 8 / 9 N/A
9 7 / 9 7 / 9 8 / 9 9 / 9 N/A
P 7 / 9 N/A N/A N/A N/A
여기서, 각 셀의 값은 (제1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 / (제2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일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에 따른 제1 히팅 영역(110-1)의 출력 레벨이 5 이하이면, 프로세서(140)는 제1 히팅 영역(110-1)의 출력 파워가 5가 되도록 제1 히팅 영역(110-1)에 대응되는 제1 유도 코일(120-1)의 자기장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명령에 따른 제1 히팅 영역(110-1)의 출력 레벨이 3이면, 프로세서(140)는 제1 유도 코일(120-1)에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가 출력 파워 5에 대응되도록 드라이버(130)를 제어하고, 제1 히팅 영역(110-1)의 평균 출력 파워가 ‘출력 레벨 3’에 대응되도록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유도 코일(120-1) 자체를 일정 주기로 턴 온/턴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유도 코일(120-1, 120-2, 120-3)이 동시에 구동되는 경우에 복수의 유도 코일(120-1, 120-2, 120-3)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 간 차이가 가청 주파수 범위 내에 속하지 않도록 전류의 주파수 및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130)는 유도 코일(120)에 공급되는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는 스위치 및 유도 코일(120)에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도 코일(120-1)에 제1 전류를 공급하는 제1 드라이버(130-1)는 제1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스위치 및 제1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도 코일(120-2)에 제2 전류를 공급하는 제1 드라이버(130-1)는 제2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3 스위치 및 제2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3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유도 코일(120-1)에 공급되는 제1 전류의 주파수가 출력 레벨 5에 대응되고, 제2 유도 코일(120-2)에 공급되는 제2 전류의 주파수가 출력 레벨 9에 대응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도 코일(120-1)에 공급되는 제1 전류의 주파수와 제2 유도 코일(120-2)에 공급되는 제2 전류의 주파수 간 차이가 2kHz 내지 18kHz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주파수 차이가 인간의 가청 주파수 범위 내에 속하므로, 조리 기기(100)의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킬 수 있는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제1 전류의 주파수 및 제2 전류의 주파수 간 차이가 가청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2kHz 내지 18kHz)에 속하지 않도록 제1 유도 코일(120-1)에 공급되는 제1 전류의 주파수(또는, 세기) 또는 제2 유도 코일(120-2)에 공급되는 제2 전류의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도 코일(120-1)에 공급되는 제1 전류의 주파수가 출력 레벨 5에 대응되고, 제2 유도 코일(120-2)에 공급되는 제2 전류의 주파수가 출력 레벨 9에 대응되면, 프로세서(140)는 제1 드라이버(130-1)에 포함된 제2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제1 유도 코일(120-1)에 공급되는 제1 전류의 주파수를 출력 레벨 7에 대응되도록 조정하고, 제2 유도 코일(120-2)에 공급되는 제2 전류의 주파수는 유지시킬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제1 전류 또는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가 조정되면, 조정된 전류의 세기에 기초하여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제1 전류가 조정되면, 제1 드라이버(130)에 포함된 제1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제1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1 유도 코일(120-1)에 대응되는 제1 히팅 영역(120-1)의 평균 출력 파워가 ‘출력 레벨 5’에 대응되는 1000W가 되도록 제1 히팅 영역 자체를 일정 주기로 턴 온/턴 오프 시킬 수 있다.
여기서, 히팅 영역 자체의 턴 오프는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유도 코일(120)에 전류의 공급을 중단시키고,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드라이버(130)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히팅 영역(110-1, 110-2, 110-3)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히팅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출력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히팅 영역에 인접한 타 히팅 영역이 턴 온 상태이면, 식별된 출력 레벨과 타 히팅 영역의 출력 레벨을 비교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식별된 출력 레벨과 타 영역의 출력 레벨이 2 레벨을 초과하여 차이가 나면,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히팅 영역 또는 타 히팅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유도 코일(120)이 출력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히팅 영역(110-1, 110-2, 110-3)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히팅 영역(110-1)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히팅 영역(110-1, 110-2, 110-3) 중 제1 히팅 영역(110-1)에 인접한 제2 히팅 영역(110-2)이 턴 온 상태이면, 제2 히팅 영역(110-2)의 출력 레벨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에 따른 제1 히팅 영역(110-1)의 출력 레벨과 식별된 제2 히팅 영역(110-2)의 출력 레벨을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히팅 영역(110-1)의 출력 레벨과 식별된 제2 히팅 영역(110-2)의 출력 레벨 간의 차이가 2 레벨을 초과하면, 제1 히팅 영역(110-1)의 출력 레벨 또는 제2 히팅 영역(110-2)의 출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제1 및 제2 히팅 영역(110-1, 110-2) 중 적은 출력 레벨에 대응되는 히팅 영역을 식별하고, 식별된 히팅 영역의 출력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히팅 영역(110-1)의 출력 레벨이 9이고, 제2 히팅 영역(110-2)의 출력 레벨이 5이면, 프로세서(140)는 제1 히팅 영역(110-1)의 출력 레벨 또는 제2 히팅 영역(110-2)의 출력 레벨 중 제2 히팅 영역(110-2)의 출력 레벨을 5에서 7로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제2 히팅 영역(110-2)의 파워 출력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2 히팅 영역(110-2)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120-2)로의 전류 공급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40)는 제1 히팅 영역(110-1)의 출력 레벨 또는 제2 히팅 영역(110-2)의 출력 레벨 중 제2 히팅 영역(110-2)의 출력 레벨을 5에서 8 또는 9로 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40)는 제2 히팅 영역(110-2)의 출력 레벨이 5에서 8로 조정되었으면, 제2 히팅 영역(110-2)의 평균 출력 파워가 조정 전 출력 파워(예를 들어, 출력 레벨 5에 대응되는 출력 파워)와 동일하도록 제2 유도 코일(120-2)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제1 히팅 영역(110-1) 및 제2 히팅 영역(110-2)이 동시에 턴 온 상태이면, 제1 히팅 영역(110-1)의 출력 레벨과 제2 히팅 영역(110-2)의 출력 레벨 간 차이가 2 레벨 이내가 되도록, 제1 히팅 영역(110-1)의 출력 레벨과 제2 히팅 영역(110-2)의 출력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제1 유도 코일(120-1)에 공급되는 제1 전류 또는 제2 유도 코일(120-2)에 공급되는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전류의 세기에 기초하여 세기가 증가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생성하여 드라이버(13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1 유도 코일(120-1)이 출력하는 자기장의 세기와 제2 유도 코일(120-2)이 출력하는 자기장의 세기 간 차이가 임계 범위 내에 속하도록 제1 유도 코일(120-1)에 공급되는 제1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제1 유도 코일(120-1)에 대응되는 제1 히팅 영역(110-1)의 평균 출력 파워가 전류의 세기가 조정되기 전 제1 히팅 영역(110-1)의 출력 파워와 동일하도록 전류의 공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증가된 전류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유도 코일(120-1)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1 드라이버(130-1)의 구동을 턴 온/턴 오프시키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제1 스위치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PWM 신호의 주파수는 제1 스위치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공진 전압의 피크(Peak) 지점을 측정하고, 피크 지점의 공진 전압이 임계 전압(예를 들어, 1,200V)이면, 유도 코일의 자기장의 세기가 유지되도록 드라이버(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진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130)에 구비된 싱글 엔디드(Single ended) 인버터는 전압공진에 의해 높은 공진전압이 발생할 수 있다. 있다. 스위치의 턴 온 시 유도코일(120)에 흐르는 전류 에너지가, 스위치 오프 시 공진커패시터의 전압에너지로 축적되고, 스위치에 높은 전압스트레스를 인가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는 1,200V 이상의 고 내압을 갖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는 스위치 양단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감지 센서(예를 들어, Volt Sensor)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압 감지 센서의 센싱 값에 기초하여 유도 코일(120)의 자기장의 세기,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센싱 값이 임계 값을 초과하면, 히팅 영역의 출력 파워가 사용자 명령에 따른 출력 레벨에 대응되지 않더라도 현재의 출력 파워가 유지되도록 드라이버(1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드라이버(130)에서 유도 코일(120)로 공급하는 전류의 주파수(예를 들어, 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유도 코일의 출력 신호 또는 유도 코일이 출력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전류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일정 주기 간격으로 스위치 양단 전압을 감지하도록 전압 감지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공진 전압의 피크 지점은 주기의 절반(T/2) 지점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므로, 프로세서(140)는 모든 주기에 걸쳐서 스위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하도록 전압 감지 센서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피크 지점으로 예상되는 주기의 절반 지점에서 스위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감지하도록 전압 감지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드라이버(130)의 동작 또는 제1 유도 코일(120-1)로의 전류의 공급 유무를 제어하기 위한 PWM 신호를 드라이버(130)로 전송한 후, 드라이버(130)로부터 PWM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드라이버(130)에 구비된 제1 스위치를 제어하여 제1 유도 코일(120-1)로의 전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드라이버(130)에 구비된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전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드라이버(130)를 동작시켜 제1 유도 코일(120-1)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PWM 신호를 드라이버(130)로 전송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드라이버(130)로부터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전류 센서로부터 전류 값이 센싱되지 않으면 제1 유도 코일(120-1)로의 전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것은 조리 기기(100)의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이므로, 프로세서(140)는 드라이버(130)의 동작을 중단시키거나 유도 코일(120)의 자기장 출력을 중단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PWM 신호를 드라이버(130)로 전송한 후 드라이버(130)로부터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에러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쿠킹 플레이트(110), 복수의 유도 코일(120), 드라이버(130), 프로세서(140) 및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쿠킹 플레이트(110)는 제1 내지 제n 히팅 영역(110-1, … 110-n)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도 코일(120) 각각은 히팅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드라이버(130)는 복수의 유도 코일(120) 각각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드라이버(130-1)는 제1 유도 코일(120-1)에 전류를 공급하고, 제2 드라이버(130-2)는 제2 유도 코일(120-2)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드라이버(130-1)는 제1 유도 코일(120-1)에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스위치 및 제1 유도 코일(120-1)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130-2)는 제2 유도 코일(120-2)에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제3 스위치 및 제2 유도 코일(120-2)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4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또는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Seven-segment display)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용기 검출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용기 검출 센서는 쿠킹 플레이트(110)에 위치한 조리 용기를 감지하고, 프로세서(14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용기 검출 센서는 조리 용기와 중첩된 유도 코일(120)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유도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의 크기와 기준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조리 용기와 중첩된 유도 코일(120)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조리 용기와 중첩된 유도 코일(120)의 면적 또는 개수가 증가할수록 저항체의 저항 값이 증가하므로, 동일 출력 파워에서 조리 용기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전류의 세기가 감소(또는, 전류의 주파수가 증가)하게 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130)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드라이버(130)에 구비된 인버터는 Half Bridg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드라이버(130)에 구비된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턴 온되거나 턴 오프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의 턴 온/턴 오프에 따라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를 거쳐 유도 코일(120)로 전류가 흘러 나가거나,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를 거쳐 유도 코일(120)로부터 전류가 흘러 들어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가 폐쇄(온)되고 제2 스위치가 개방(오프)되면, 전류가 제1 스위치를 거쳐 유도 코일(120)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제1 스위치가 개방(오프)되고 제2 스위치가 폐쇄(온)되면, 전류가 유도 코일(120)로부터 제2 스위치를 거쳐 흐를 수 있다.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는 20kHz 내지 70kHz의 고속으로 턴 온/턴 오프되므로,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는 응답속도가 빠른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사이리스터(thyris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동 방법은 우선, 쿠킹 플레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히팅 영역 중 제1 히팅 영역이 턴 온된 상태에서 복수의 히팅 영역 중 제2 히팅 영역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S1010)..
이어서, 복수의 유도 코일 중 제1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임계 시간 동안 중단시킨다(S102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방법은 제1 히팅 영역 및 제2 히팅 영역이 모두 턴 온 되어 있는 동안, 제1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제1 전류의 세기 및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제2 전류의 세기 간 차이가 임계 범위 내에 속하도록 제1 전류 또는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를 조정하도록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1 전류 또는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가 조정되면, 조정된 전류의 세기에 기초하여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1 전류 또는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전류의 세기에 기초하여 세기가 증가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생성하여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는,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유도 코일에 대응되는 히팅 영역의 평균 출력 파워가 조정되기 전 출력 파워와 동일하도록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버는,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 제1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 제2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 및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4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1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제1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 제3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제2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 제2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제1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제4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제2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방법은,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드라이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드라이버로부터 PWM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 스위치를 제어하여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방법은, 제2 히팅 영역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유도 코일 중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임계 시간은,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가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세기의 전류와 동일해지는데 요구되는 시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방법은, 제1 유도 코일의 출력 신호를 제1 유도 코일의 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는 단계 및 센싱된 출력 신호의 크기 중 최대 크기에 기초하여 임계 크기 이상이면, 제1 유도 코일의 출력 신호의 크기가 임계 크기를 유지하도록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조리 기기 110: 쿠킹 플레이트
120: 유도 코일 130: 드라이버
140: 프로세서

Claims (20)

  1. 복수의 히팅 영역을 포함하는 쿠킹 플레이트;
    상기 쿠킹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복수의 히팅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도 코일;
    상기 복수의 유도 코일 각각에 전류를 공급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복수의 히팅 영역 중 제1 히팅 영역이 턴 온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히팅 영역 중 제2 히팅 영역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유도 코일 중 상기 제1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임계 시간 동안 중단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히팅 영역 및 상기 제2 히팅 영역이 모두 턴 온 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1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제1 전류의 세기 및 상기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제2 전류의 세기 간 차이가 임계 범위 내에 속하도록 상기 제1 전류 또는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를 조정하도록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류 또는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가 조정되면, 상기 조정된 전류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는, 조리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류 또는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전류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세기가 증가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조리 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유도 코일에 대응되는 히팅 영역의 평균 출력 파워가 상기 조정되기 전 출력 파워와 동일하도록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는, 조리 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2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4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제3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4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상기 드라이버로 전송한 후, 상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PWM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중단하는, 조리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히팅 영역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유도 코일 중 상기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조리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시간은,
    상기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세기의 전류와 동일해지는데 요구되는 시간인, 조리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유도 코일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1 유도 코일의 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출력 신호의 크기 중 최대 크기에 기초하여 임계 크기 이상이면, 상기 제1 유도 코일의 상기 출력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 크기를 유지하도록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조리 기기.
  11. 쿠킹 플레이트, 상기 쿠킹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도 코일 및 상기 복수의 유도 코일 각각에 전류를 공급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쿠킹 플레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히팅 영역 중 제1 히팅 영역이 턴 온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히팅 영역 중 제2 히팅 영역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유도 코일 중 상기 제1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임계 시간 동안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팅 영역 및 상기 제2 히팅 영역이 모두 턴 온 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1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제1 전류의 세기 및 상기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제2 전류의 세기 간 차이가 임계 범위 내에 속하도록 상기 제1 전류 또는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를 조정하도록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류 또는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가 조정되면, 상기 조정된 전류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류 또는 상기 제2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세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전류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세기가 증가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라이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유도 코일에 대응되는 히팅 영역의 평균 출력 파워가 상기 조정되기 전 출력 파워와 동일하도록 상기 세기가 조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2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4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3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전류의 공급 시간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2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상기 드라이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PWM 신호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유도 코일로의 전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히팅 영역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유도 코일 중 상기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시간은,
    상기 제2 히팅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유도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세기의 전류와 동일해지는데 요구되는 시간인, 구동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 코일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1 유도 코일의 구동 주파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출력 신호의 크기 중 최대 크기에 기초하여 임계 크기 이상이면, 상기 제1 유도 코일의 상기 출력 신호의 크기가 상기 임계 크기를 유지하도록 상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방법.
KR1020190132527A 2019-10-23 2019-10-23 조리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048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527A KR20210048351A (ko) 2019-10-23 2019-10-23 조리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US17/079,351 US20210127460A1 (en) 2019-10-23 2020-10-23 Cook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20878292.0A EP4000349A4 (en) 2019-10-23 2020-10-23 COOKING APPLIANCE AND ITS CONTROL METHOD
PCT/KR2020/014566 WO2021080371A1 (en) 2019-10-23 2020-10-23 Cook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527A KR20210048351A (ko) 2019-10-23 2019-10-23 조리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351A true KR20210048351A (ko) 2021-05-03

Family

ID=7558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527A KR20210048351A (ko) 2019-10-23 2019-10-23 조리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127460A1 (ko)
EP (1) EP4000349A4 (ko)
KR (1) KR20210048351A (ko)
WO (1) WO20210803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2501A (ja) * 2002-06-20 2004-01-22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電磁誘導加熱装置
JP2011103225A (ja) * 2009-11-11 2011-05-26 Panasonic Corp 誘導加熱装置
JP5906441B2 (ja) 2011-12-19 2016-04-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ES2564888B1 (es) * 2014-09-24 2017-01-05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Dispositivo de aparato de cocción y procedimiento para la puesta en funcionamiento de un dispositivo de aparato de cocción
KR102382949B1 (ko) * 2015-12-23 2022-04-06 쿠쿠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
KR20180002247A (ko) * 2016-06-29 2018-01-08 (주)쿠첸 전기 레인지 및 전기 레인지의 제어 방법
US20190289678A1 (en) * 2018-03-16 2019-09-1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afe operating area control method for an induction cooking system
KR102607284B1 (ko) * 2018-08-30 2023-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0046070A1 (ko) * 2018-08-30 2020-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27266B1 (ko) * 2018-11-07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00349A1 (en) 2022-05-25
EP4000349A4 (en) 2022-09-14
WO2021080371A1 (en) 2021-04-29
US20210127460A1 (en)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3177B2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554425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CN108633118A (zh) 操作晶体管的方法、包括保护驱动器的电路和集成电路
JP2012532580A (ja) 調理器具用デジタル制御電源コンバータ
US20090167085A1 (en) Voltage Detection System for a Range
TWI565366B (zh) 具偵測食材容器位置功能之加熱裝置
US20200323048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JP2005085514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60036740A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WO2014090874A1 (en) An induction heating cooktop
EP2939499B1 (en) An induction heating cooktop
KR20210048351A (ko) 조리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WO2014090872A1 (en) An induction heating cooktop
CN108397799A (zh) 一种控制电磁炉的方法及装置
KR102142412B1 (ko) Emi를 감소시킨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99821A (ko) 유도 가열 장치
KR20210081053A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기 및 그의 구동 모듈
KR102211947B1 (ko)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256660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apparatus
US20230284347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apparatus
KR100712840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의 전류 제어방법
KR102418392B1 (ko) 전기레인지의 소음 저감 방법
KR20090005142U (ko) 유도가열 조리기
JPH11260539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662903B1 (ko) 조리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