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740A -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740A
KR20060036740A KR1020040085843A KR20040085843A KR20060036740A KR 20060036740 A KR20060036740 A KR 20060036740A KR 1020040085843 A KR1020040085843 A KR 1020040085843A KR 20040085843 A KR20040085843 A KR 20040085843A KR 20060036740 A KR20060036740 A KR 20060036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ow
input
output
in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9334B1 (ko
Inventor
김의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334B1/ko
Priority to RU2005132414/09A priority patent/RU2321189C2/ru
Priority to US11/257,072 priority patent/US7176424B2/en
Priority to CNB2005101180125A priority patent/CN100525551C/zh
Priority to EP05292267A priority patent/EP1667491B1/en
Priority to DE602005003310T priority patent/DE602005003310T2/de
Priority to ES05292267T priority patent/ES2297646T3/es
Publication of KR20060036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 조리용기의 재질에 따라 고출력 상태에서 저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인버터가 ZVS 동작영역 밖에서 동작되는 경우 출력레벨을 제한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회로로 입력되는 입력전압(Vin)이 저전압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저전압 판단신호를 로우로 출력하는 저전압 감지부와, 상기 저전압 판단신호가 로우인 경우에만 출력파워 레벨을 제한하기 위한 블록킹 전압(V_block)을 출력하는 파워레벨 제한부와, 상기 블록킹 전압과 마이컴이 출력한 출력 제어신호(V_c) 중 작은 전압을 상기 입력전압(Vin)의 변동에 따라 보상하는 입력전압 보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저전압 입력시 ZVS 동작영역 밖에서 동작되는 경우 과도한 스위칭 손실과, 스위치 소자에 큰 순간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자 파손의 위험을 줄이고, 조리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유도가열 조리기기, 인터버 회로, 스위치, IGBT, 동작 주파수

Description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Induction heating cooker to limit the power level when input voltage is low and its operating method therefor}
도 1 은 종래 발명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회로 구성도,
도 2 는 가열용기 재질에 따른 파워출력 특성 그래프,
도 3 는 본 발명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회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저전압 감지부 및 파워레벨 제한부의 상세 회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회로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출력파형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교류전원부 20: 정류부
30: 필터부 40: 인버터부
50: 입력전압 감지부 60: 입력전압 보상부
70: 출력 제어부 80: 펄스 생성부
90: 스위치 구동부 100: 저전압 감지부
110: 파워레벨 제한부
본 발명은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회로 구성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출력 상태에서 저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가열용기 재질에 따른 공진주파수 이하 영역에서 인버터 회로가 동작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전류 내량이 크지 않은 스위치 소자의 파손을 방지하고, 제품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조리기기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전원 인가여부가 결정되는 제어 기판이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 안착되어 조리물이 담기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에 담긴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상기 조리용기의 하부 또는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는 취사히터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는 상기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본체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코일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으로 인해, 자성체로 구성된 조리용기에 와전류가 발생되도록 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유도가열 조리기기는 밥솥, 쿡탑 등의 종류가 있다.
종래 발명에 의한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인버터 회로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도 가열 조리기기에 적용되는 인버터 회로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로 이루어진 스위치 소자를 스위칭 구동시킴으로써 고출력 고주파 전류를 상기 코일로 인가하여 상기 코일에 안착된 조리용기를 가열한다.
이러한 인버터 회로는 통상의 교류전원이 공급되는 교류 전원부(1)와, 상기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2)와,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원을 필터링하는 필터부(3)와,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된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스위치 소자를 구동하여 상기 코일에 고출력의 전원을 인가하는 인버터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입력전압 감지부(5)는 상기 교류전원부(1)와 연결되어 인버터 회로로 입력되는 전압을 감지하며, 입력전압 보상부(6)는 마이컴이 출력하는 출력 제어신호를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보상한다.
즉, 상기 입력전압 보상부(6)는 기준이 되는 정격 입력전압보다 입력전압이 높은 경우 마이컴이 출력한 인버터 출력 제어신호의 전압값을 낮게 하며, 반대로 상기 정격 입력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출력 제어신호의 전압값을 크게 하여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인버터 출력 제어신호를 보상한다.
출력 제어부(7)는 상기 입력전압 보상부(6)에서 출력한 전압레벨에 따라 상기 인버터부(2)의 동작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입력전압의 변동에도 정출력을 낼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출력 제어부는(7) 기준이 되는 출력 제어신호보다 입력전압이 높은 경우 동작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하며, 반대로 상기 출력 제어신호보다 낮은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동작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펄스 생성부(8)는 상기 인버터부(4)의 스위치 소자가 상기 동작 주파수를 가지고 스위치 구동을 하도록 구동펄스를 생성하며, 스위치 구동부(9)는 상기 구동펄스를 스위치 소자의 게이트에 인가함으로써 스위칭 동작을 구동시켜 일정한 출력을 내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인버터부(4)의 동작 주파수는 상기 출력 제어부(7)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코일에 안착된 가열용기의 재질에 따라서 자성 정도가 상이해지고, 공진 주파수 또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출력 제어부(7)는 가열용기 재질에 의한 소정의 공진 주파수 이하의 영역에서는 상기 인버터부(4)가 구동하지 않도록 동작 주파수를 설정함으로써 파워출력 효율을 높이고, 인버터가 ZVS(Zero Voltage Switching)동작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발명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에서 가열용기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다르고, 입력전압 보상에 따른 정출력 제어로 인해 저전압의 입력전압이 인가된 경우 인버터의 ZVS 동작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도 2에 도시하였다.
재질 A의 가열용기에 대한 공진 주파수 f1을 인터버의 동작제한 주파수로 설정하면 공진주파수 f2를 갖는 재질 B의 가열용기(f2일 때 최대파워 P2를 가진다)가 안착되었을 경우 인버터는 ZVS동작영역을 벗어날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만일, 인버터에 정격 입력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면 입력전압 보상부(6)에 의해 인버터 출력 제어신호가 커지게 되고, 출력 제어부(7)는 스위칭 동작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주파수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인터버의 ZVS 동작영역을 벗어나게 된다.
만약 재질 B의 가열용기가 최대 파워(P2)를 출력할 수 있는 공진 주파수 f2로 동작하는 중에 정격입력전압보다 낮은 입력전압이 입력되면 상기 출력 제어부(7)는 스위칭 동작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주파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펄스 생성부는 낮아진 주파수의 구동펄스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ZVS 동작영역을 벗어나면 스위치 소자에는 턴온(turn on)시 과도한 스위칭 손실과 큰 순간전류가 발생하게 되어 IGBT 소자의 파손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결국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고장 원인이 되어 수리비용의 부담을 가져오며, 기기의 내구성을 악화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저전압 감지부와 출력레벨 제한부를 이용하여 고출력 상태에서 저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인버터부의 ZVS의 동작 영역을 확보하고자 한다. 즉, 실제 조리용기의 재질에 맞지 않는 인버터 동작 주파수가 설정됨에 따라 고출력 상태에서 저전압이 입력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출력레벨을 제한함으로써 인버터부의 ZVS 동작영역의 이탈을 방지하여 소자 파손의 위험을 줄이고, 조리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특징에 따르면, 구동펄스가 인가됨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코일로 전류를 인가하는 인버터부와, 회로로 입력되는 입력전압(Vin)이 저전압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저전압 판단신호를 로우로 출력하는 저전압 감지부와, 상기 저전압 판단신호가 로우인 경우에만 출력파워 레벨을 제한하기 위한 블록킹 전압(V_block)을 출력하는 파워레벨 제한부와, 상기 인버터부가 각 출력레벨에 맞는 출력을 내도록 출력 제어신호(V_c)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출력 제어신호와 상기 블록킹 전압(V_block) 중 낮은 전압을 상기 입력전압(Vin)의 변동에 따라 보상하는 입력전압 보상부와, 상기 입력전압 보상부의 보상분에 따라 출력파워가 보상되도록 상기 인버터부의 스위칭 동작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신호(V_freq)를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와,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된 구동펄스를 생성 및 출력하는 펄스 생성부와, 상기 펄스 생성부에서 생성된 구동펄스를 상기 인버터부의 스위치 소자 게이트로 인가하는 스위치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동작방법은 회로내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in)이 검출되는 제 1 단계와, 상기 입력전압(Vin)이 저전압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에 저전압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제 2 단계와, 저전압이 입력되었으면 마이컴이 발령한 출력 제어신호가 블록킹 전압을 초과하는지가 판단되는 제 3 단계 와,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블록킹 전압을 초과하면 블록킹 전압을 입력전압(Vin)의 변동에 따라 보상하고, 상기 블록킹 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이 발령한 출력 제어신호(V_c)를 입력전압(Vin)의 변동에 따라 보상하여 출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 4 단계와, 입력전압 보상분에 따라 동작 주파수가 제어되어 인터버가 구동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버터 회로는 내부에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조작한 출력레벨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50)에 의해 스위치 소자를 구동시킴으로써 코일에 고주파/고전류를 인가하여 코일에 안착되는 용기가 가열되도록 하는 회로이며, 조리용기의 재질에 따라 최대 출력을 낼 수 있는 인버터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상이해진다.
이러한 인버터 회로는 통상의 교류전원이 공급되는 교류전원부(10)와, 상기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20),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원을 필터링하는 필터부(30)를 거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교류 전원부(10)는 국가, 주(state) 마다 상이할 수 있겠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230V-50Hz의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예시한다. 상기 정류부(20)는 교 류전원을 정류 다이오드를 거쳐 230V-100Hz으로 정류하여 맥류전원을 생성한다. 상기 필터부(30)는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맥류전원을 필터링하여 상기 인버터부(40)로 출력한다.
상기 인버터부(40)는 상기 맥류전원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용기를 가열한다.
이와 같은 인버터부(40)의 동작을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입력전압 감지부(50), 입력전압 보상부(60), 출력 제어부(70), 펄스 생성부(80), 그리고 스위치 구동부(90)가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력전압 감지부(50)에서 감지된 입력전압(Vin)이 저전압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저전압 감지부(100)와, 저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출력파워 레벨을 제한하기 위한 블록킹 전압(V_block)을 상기 입력전압 보상부(60)로 출력하는 파워레벨 제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입력전압 보상부(60)는 마이컴(M)에서 출력한 출력 제어신호(Vc)와 상기 파워레벨 제한부(110)에서 출력한 블록킹 전압(V_block) 중 낮은 전압을 상기 입력전압(Vin) 변동에 따라 보상하므로, 출력 제어신호(V_c)만 입력전압 변동에 따라 보상했던 종래 입력전압 보상부(6)와는 차별된다.
개략적으로 살펴본 본 발명의 각 구성부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입력전압 감지부(50)는 상기 교류전원의 플러스/마이너스 단자와 직접 연결되어 전파 정류한 후 회로 내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in)을 출력한다.
저전압 감지부(100)는 상기 입력전압 감지부(50)에 의해 감지된 입력전압(Vin)이 (+)단자로 입력되고, 회로 설계자에 의해 설정된 Vcc가 저항에 의해 분배된 저전압 기준전압이 (-)단자로 입력되는 비교기(comparat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전압 감지부(100)는 상기 입력전압(Vin)이 저전압 기준전압 이상이면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전압이 저전압 기준전압 미만이면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저전압 감지부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저전압 판단신호(V_low)라 하며, 이 신호가 로우일 때 저전압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저전압 판단신호(V_low)가 입력되는 파워레벨 제한부(120)는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D1)와, 정방향으로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D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저전압 판단신호가 하이인 경우에는 상기 다이오드(D1)가 도통되지 않으므로 파워레벨 제한부(120)의 출력신호는 상기 입력전압 보상부(60)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상기 마이컴(M)이 출력한 출력 제어신호가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보상된다.
그러나, 상기 저전압 판단신호가 로우인 경우, 즉 저전압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이오드(D1)가 도통되어 상기 제너 다이오드(D2) 양단에 걸리는 전압(V_D2 = V_block)을 상기 입력전압 보상부(60)로 전달한다. 상기 제너 다이오드(D2)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상기 마이컴(M)의 출력 제어신호를 제한하기 위한 블록킹 전압으로서, 최대 출력을 내는 중에 가열용기 재질에 따라 입력전압(Vin)이 낮아질 때 인버터가 공진 주파수 이하의 영역(ZVS영역)에서 동작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블록킹 전압(V_block)과, 마이컴(M)이 출력하는 출력 제어신호(V_c)는 입력전압(Vin)의 변동에 따라 보상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입력전압 보상부(60)는 상기 입력전압 감지부(50)에서 감지된 입력전압(V_in)과 블록킹 전압(V_block) 또는 출력 제어신호(V_c)가 입력된다.
이때, 상기 출력 제어신호(V_c)가 상기 블록킹 전압(V_block)보다 작으면 상기 출력 제어신호(V_c)가 입력전압 보상부(60)에 입력되고, 블록킹 전압보다 크면 블록킹 전압이 입력전압 보상부에 입력되어 입력전압 변동에 따라 보상된다.
즉, 저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고출력 상태에서 출력 제어신호를 블록킹 전압으로 제한함으로써 입력전압 보상에 의해 ZVS 영역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출력 제어부(70)는 상기 입력전압 보상부(60)에서 보상된 전압레벨만큼 출력파워가 보상되도록 상기 인버터부(40)의 스위칭 동작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신호(V_freq)를 출력한다.
저전압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전압 보상부(60)에서 출력하는 전압레벨만큼 동작 주파수가 낮아지도록 제어하여 출력파워를 높이고, 고전압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 주파수가 높아지도록 제어하여 출력파워를 낮춤으로써 상기 인버터부(40)가 정출력을 내도록 한다.
펄스 생성부(80)는 상기 정출력 발생부(70)에서 출력한 주파수 제어신호(V_freq)에 따라 트랜지스터를 구동하여 오실레이터(OSC)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주파수를 가변시킨 후 구동펄스를 출력한다.
상기 펄스 생성부(80)에서 주파수가 제어된 구동펄스는 스위치 구동부(gate driver, 90)에 의해 인버터부(40)의 스위치 소자 게이트로 인가되며, 스위칭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코일에 전류가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에서 저전압이 감지되는 경우 파워레벨을 제한하여 스위치 소자로의 큰 순간전류와 과도한 스위칭 손실을 방지하는 동작방법을 도 5 및 도 6a, 도 6b를 참조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회로내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in)이 검출된다.(S1)
상기 입력전압(Vin)과 저전압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저전압 감지신호(V_low)를 출력한다.(S2)
하이인 저전압 감지신호가 출력되면(S3) 상기 마이컴이 발령한 출력 제어신호(V_c)에 의해서만 출력 제어가 이루어지며(S6), 로우인 저전압 감지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저전압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3), 마이컴이 발령한 출력 제어신호(V_c)가 파워레벨 제한부에서 출력된 블록킹 전압(V_block)을 초과하는지를 비교한다.(S4)
비교결과, 상기 출력 제어신호(Vc)가 블록킹 전압(V_block)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파워레벨 제한부에서 출력한 블록킹 전압이 입력전압(Vin)에 따라 보상되도록 하여 출력 파워레벨을 제한한다.(S5) 이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입력전압(Vin)이 낮아져 저전압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T1 시점에서 저전압 감지신호(V_low)가 로우로 떨어지고, T2 시점에서 마이컴이 출력한 출력 제어신호(V_c) 가 아닌 블록킹 전압(V_block)이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보상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블록킹 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이 발령한 출력 제어신호(V_c)를 입력전압(Vin) 변동에 따라 보상한다.(S6) 이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입력전압(Vin)이 낮아져 저전압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T1 시점에서 저전압 감지신호(V_low)가 로우로 떨어지더라도, 상기 출력 제어신호(V_c)가 블록킹 전압(V_block)보다 작으므로 블록킹 전압이 아닌 출력 제어신호가 입력전압 변동에 따라 보상된다.
상기 입력전압의 보상분에 따라 동작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동작 주파수가 저감되는 정도를 제한하며, 상기 동작 주파수에 맞는 구동펄스를 생성 출력한다.(S7)
상기 주파수 가변제어가 된 구동펄스가 인버터로 인가됨에 따라(S8) 고출력 저전압 입력시에도 과도한 스위칭 손실과 스위치 소자로 큰 순간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자 파손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은 실제 조리용기의 재질에 따라 고출력 상태에서 저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인버터가 ZVS 동작영역 밖에서 동작되는 경우 출력레벨을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스위칭 손실과, 스위치 소자에 큰 순간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자 파손의 위험을 줄이고, 조리기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구동펄스가 인가됨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코일로 전류를 인가하는 인버터부와; 회로로 입력되는 입력전압(Vin)이 저전압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저전압 판단신호를 로우로 출력하는 저전압 감지부와; 상기 저전압 판단신호가 로우인 경우에만 출력파워 레벨을 제한하기 위한 블록킹 전압(V_block)을 출력하는 파워레벨 제한부와; 상기 인버터부가 각 출력레벨에 맞는 출력을 내도록 출력 제어신호(V_c)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출력 제어신호와 상기 블록킹 전압(V_block) 중 낮은 전압을 상기 입력전압(Vin)의 변동에 따라 보상하는 입력전압 보상부와; 상기 입력전압 보상부의 보상분에 따라 출력파워가 보상되도록 상기 인버터부의 스위칭 동작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신호(V_freq)를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와; 상기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가 가변된 구동펄스를 생성 및 출력하는 펄스 생성부와; 상기 펄스 생성부에서 생성된 구동펄스를 상기 인버터부의 스위치 소자 게이트로 인가하는 스위치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로 교류전원을 인가하는 교류 전원부와; 상기 교류 전원부에서 인가된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맥류전원을 생성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맥류전원을 필터링하여 인버터 회로로 출력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부와 연결되어, 회로로 입력되는 입력전압(Vin)을 감지하는 입력전압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압 감지부는 상기 입력전압(Vin)이 (+)단자로 입력되고, 기설정된 저전압 기준전압이 (-)단자로 입력되며; 상기 입력전압이 저전압 기준전압 미만이면 로우인 저전압 판단신호(V_low)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레벨 제한부는 상기 저전압 감지부의 출력단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상기 저전압 판단신호(V_low)가 로우인 경우에만 도통되는 역방향 다이오드(D1)와; 애노드가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와 연결되어, 상기 역방향 다이오드가 도통됨에 따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양단에 블록킹 전압(V_block)이 걸리는 제너 다이오드(D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입력전압 보상부에서 출력된 보상분에 비례하여 상기 인버터부의 동작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7. 회로내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in)이 검출되는 제 1 단계와; 상기 입력전압이 저전압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에 저전압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제 2 단계와; 저전압이 입력되었으면 마이컴이 발령한 출력 제어신호(V_c)가 블록킹 전압(V_block)을 초과하는지가 판단되는 제 3 단계와; 상기 출력 제어신호가 블록킹 전압을 초과하면 블록킹 전압을 입력전압(Vin)의 변동에 따라 보상하고, 상기 블록킹 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이 발령한 출력 제어신호를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보상하여 출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 4 단계와; 입력전압 보상분에 따라 동작 주파수가 제어되어 인터버가 구동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동작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저전압이 입력되지 않았으면 상기 마이컴이 발령한 출력 제어신호(V_c) 그대로를 입력전압(Vin) 변동에 따라 보상하여 출력 제어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동작방법.
KR1020040085843A 2004-10-26 2004-10-26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629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843A KR100629334B1 (ko) 2004-10-26 2004-10-26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RU2005132414/09A RU2321189C2 (ru) 2004-10-26 2005-10-20 В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с индуктивным нагревом и способ его работы
US11/257,072 US7176424B2 (en) 2004-10-26 2005-10-25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B2005101180125A CN100525551C (zh) 2004-10-26 2005-10-26 逆变器电路和感应加热式烹调装置及它们的操作方法
EP05292267A EP1667491B1 (en) 2004-10-26 2005-10-26 Inverter circuit for a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cooking appliance having such circuit, and operating method
DE602005003310T DE602005003310T2 (de) 2004-10-26 2005-10-26 Umrichterschaltung für Induktionsheizvorrichtung, Kochgerät mit einer solchen Schaltung und Betriebsverfahren
ES05292267T ES2297646T3 (es) 2004-10-26 2005-10-26 Circuito inversor para un aparato de calentamiento por induccion, electrodomestico de coccion que tiene tal circuito y metodo de funcionamien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843A KR100629334B1 (ko) 2004-10-26 2004-10-26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740A true KR20060036740A (ko) 2006-05-02
KR100629334B1 KR100629334B1 (ko) 2006-09-29

Family

ID=3620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843A KR100629334B1 (ko) 2004-10-26 2004-10-26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76424B2 (ko)
EP (1) EP1667491B1 (ko)
KR (1) KR100629334B1 (ko)
CN (1) CN100525551C (ko)
DE (1) DE602005003310T2 (ko)
ES (1) ES2297646T3 (ko)
RU (1) RU2321189C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609B1 (ko) * 2016-10-12 2018-06-07 주식회사 하영테크놀로지 유도 가열 장치
KR20200009991A (ko) * 2018-07-18 2020-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진 전류를 이용한 용기 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2336B1 (en) 2007-08-08 2018-08-01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Single triphenylene chromophores in phosphorescent light emitting diodes
GB0910476D0 (en) * 2009-06-18 2009-07-29 Rolls Royce Plc Temperature activatable actuator
ES2388028B1 (es) * 2010-03-03 2013-08-23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Encimera de cocción con al menos una zona de cocción y procedimiento para accionar una encimera de cocción.
US8420986B2 (en) * 2010-03-09 2013-04-16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Frequency-modulated electric element control
CN101888169B (zh) * 2010-06-24 2013-12-04 深圳市海一电器有限公司 半桥驱动电磁灶的过零自激同步触发电路
KR101981671B1 (ko) * 2012-07-27 2019-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가열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850165B (zh) * 2015-03-16 2017-06-20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电磁炉的控制电路、控制方法及其电磁炉
US10104912B2 (en) 2016-01-20 2018-10-23 Rai Strategic Holdings, Inc. Control for an induction-based aerosol delivery device
TWI625070B (zh) * 2016-12-22 2018-05-21 Prec Machinery Research&Development Center Induction heating frequency adjustment device
CN109548208B (zh) * 2017-09-22 2021-05-2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烹饪器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KR102373839B1 (ko) * 2017-11-23 2022-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403443B (zh) * 2018-04-28 2023-01-2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磁加热烹饪器具及其igbt的驱动控制装置和控制方法
CN114343438B (zh) * 2022-02-17 2023-05-02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蒸功能烹饪设备的水位检测系统、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62985B (en) 1979-11-12 1983-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mall load detection by comparison between input and output parameters of a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JPS6134884A (ja) 1984-07-26 1986-02-19 株式会社東芝 誘導加熱調理器
JPH0711985B2 (ja) 1985-09-20 1995-02-08 ソニー株式会社 高周波加熱装置
JPH04282595A (ja) * 1991-03-12 1992-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609B1 (ko) * 2016-10-12 2018-06-07 주식회사 하영테크놀로지 유도 가열 장치
KR20200009991A (ko) * 2018-07-18 2020-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진 전류를 이용한 용기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97646T3 (es) 2008-05-01
DE602005003310T2 (de) 2008-09-11
CN100525551C (zh) 2009-08-05
EP1667491B1 (en) 2007-11-14
RU2005132414A (ru) 2007-04-27
US20060086728A1 (en) 2006-04-27
EP1667491A1 (en) 2006-06-07
US7176424B2 (en) 2007-02-13
KR100629334B1 (ko) 2006-09-29
RU2321189C2 (ru) 2008-03-27
DE602005003310D1 (de) 2007-12-27
CN1767698A (zh)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6424B2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7801264B (zh)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US7075044B2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aratus, operation of which is interrupted by container eccentricity
JP2008119417A (ja) 誘導加熱式炊飯器
EP1592285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nverter circuit of induction heat cooker
KR101462093B1 (ko) 조리용기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기 레인지
KR102142412B1 (ko) Emi를 감소시킨 조리 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81053A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기 및 그의 구동 모듈
JP6779369B2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KR100712840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및 그의 전류 제어방법
EP4033858B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529900B1 (ko) 유도가열 전기밥솥의 인버터 회로 제어장치
KR102261568B1 (ko)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가열 장치
US20220256660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apparatus
KR100904236B1 (ko) 최소 스위칭 오프 시간을 보장하는 ih 회로 제어 장치
JPH08288059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505244B1 (ko) 유도가열 전기밥솥의 인버터 회로 구동장치
KR0141797B1 (ko) 복합조리기의 스위칭소자 보호장치
JPH08148266A (ja) 電磁調理器
KR100287737B1 (ko) 유도 가열 밥솥의 구동전원 제어 장치
JP3201150B2 (ja) ジャー炊飯器
CN114830823A (zh) 用于控制感应烹饪器具中的qr逆变器的方法和系统
KR20040056900A (ko) 유도가열 전기밥솥의 인버터 회로
KR20000012602U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인버터회로
JPH0574560A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