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599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599A
KR20210047599A KR1020190131405A KR20190131405A KR20210047599A KR 20210047599 A KR20210047599 A KR 20210047599A KR 1020190131405 A KR1020190131405 A KR 1020190131405A KR 20190131405 A KR20190131405 A KR 20190131405A KR 20210047599 A KR20210047599 A KR 20210047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vehicle lamp
lens unit
bezel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희
박석호
조왕래
전현욱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1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7599A/ko
Publication of KR2021004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7Attach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의 내면에 연결되는 베젤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부는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된 투과부 및 상기 투과부에 연결되고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렌즈 끝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부는 상기 렌즈 끝단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 면에 부착되어 접합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 부분 중 일부인 제1 부분에서 반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곡면에서 전반사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광 투과부에 곡률을 형성하여 렌즈부와 베젤부의 접합 부분에서 반사된 광이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주로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차량용 램프는 조명을 조사하기 위한 수단 또는 외부에 신호를 알리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였으나, 최근에는 다자인 측면에서 차량용 램프가 차지하는 비중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즉, 차량용 램프는 기본적인 역할인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통해 안전운행을 돕는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디자인 향상을 통해 소비자가 느끼는 심미적 측면 또한 차량 구매 결정 여부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헤드 램프나 테일 램프 등의 경우에는 야간 주행 시 차량의 외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광원의 단순 점등을 통한 정적인 이미지 구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빔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디자인적으로 보다 향상된 시각적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가 요구되고 있다.
다만, 렌즈부와 베젤부를 사출 성형할 경우, 렌즈부와 베젤부의 접합 부분에 울퉁불퉁한 부분이 발생하고, 이 부분에 광이 난반사되어 렌즈부에서 출사될 경우, 사용자는 렌즈부에 불필요한 반짝거림 인식함에 따라, 차량용 램프의 심미감을 떨어트릴 수 있다.
한국공개공보 10-2009-0026389(공개일.2009.03.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렌즈 끝단부의 외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제1 부분에서 반사된 광이 곡면에 의해 전반사 되도록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의 내면에 연결되는 베젤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부는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된 투과부 및 상기 투과부에 연결되고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렌즈 끝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부는 상기 렌즈 끝단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 면에 부착되어 접합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 부분 중 일부인 제1 부분에서 반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곡면에서 전반사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접합 부분 중 상기 렌즈부의 광축을 기준으로 가장 먼 부분에서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곡면은 곡률 중심이 상기 렌즈부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곡면의 곡률은 상기 렌즈부의 재질의 전반사 임계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곡면의 곡률은 R3.0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은 투과부의 외면에 연결되는 접점부 및 곡면 중 렌즈부의 광축에서 가장 멀리 이격되어 형성된 끝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끝단은 상기 베젤부보다 상기 렌즈부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 끝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점부로 입사되어 상기 접합 부분으로 전달되는 외부광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접점부를 지나는 제1선 및 상기 렌즈부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끝단을 지나가는 제2선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제1선에서 제2선까지의 거리는 상기 외부광 중 제1 각도 범위로 상기 접점부로 입사되는 외부광이 상기 접합 부분 중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서 반사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 범위는 0도에서 9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끝단부는 상기 곡면의 끝단과 상기 렌즈 끝단부의 내면에 연결되고 상기 렌즈부의 광축에 근접할수록 상기 베젤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사이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면의 기울기는 상기 렌즈부 재질의 전반사 임계각에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면의 기울기는 상기 렌즈부의 광축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39도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 부분 중 제1 부분의 위치는 다른 위치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렌즈 끝단부와 상기 베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렌즈부 및 베젤부를 사출 성형함에 따라 울퉁불퉁하게 형성되고, 광이 제1 부분에서 반사될 경우, 난반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의 렌즈 끝단부의 외면을 곡면으로 형성할 경우, 렌즈 끝단부 및 베젤부가 접합됨에 따라 형성되는 접합 부분 중 제1부분에서 반사되는 광이 곡면에 의해 전반사될 수 있으므로, 접합 부분에서 난반사되는 광이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 끝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끝단부에 입사된 외부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끝단부의 사이드면 미 형성 시 발생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렌즈부 및 베젤부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베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베터리 관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 끝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끝단부에 입사된 외부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고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부(미도시), 렌즈부(100) 및 베젤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테일 램프나 브레이크 램프 등과 같이 차량의 주행 상태를 후방에 위치한 차량에게 알리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테일 램프나 브레이크 램프뿐만 아니라 차량에 설치되는 포지션 램프나 주간주행용 램프 등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부(미도시)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여 광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광원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LED(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D(Laser Diode), 벌브 타입의 램프가 광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벌브 타입의 램프로는 할로겐 램프,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 광원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100)는 광원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되어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부의 광은 렌즈부의 내면으로 입사되어 렌즈부의 외면에서 출사될 수 있다. 이외에도 외부에서 외부광이 렌즈부(100)의 외면으로 입사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100)는 투과부(110) 및 렌즈 끝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투과부(110)는 렌즈부(100)의 광축(Ax)이 형성되고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렌즈 끝단부(120)는 투과부(110)에 연결되고, 렌즈 끝단부(120)의 외면(122)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 끝단부(120)는 투과부(110)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렌즈 끝단부(120)와 투과부(1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곡면(122)은 렌즈부(100)의 광축(Ax)에 수직한 방향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곡률 중심이 렌즈부(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젤부(200)는 렌즈부(100)의 내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렌즈부(100)와 차량용 램프에 구비된 다른 부품과 연결하거나 렌즈부(100)를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젤부(200)는 렌즈 끝단부(120)의 내면(124) 중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젤부(200)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광원부에서 형성된 광이 관통홀을 통과하여 투과부(110)에 입사될 수 있는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베젤부(200)가 렌즈 끝단부(120)에 내면(124) 중 적어도 일부 면에 부착됨에 따라 베젤부(200)와 렌즈 끝단부(120) 사이에 접합 부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접합 부분 중 일부인 제1 부분(10)에서 반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렌즈 끝단부(120)의 곡면(122)에서 전반사될 수 있다. 제1 부분(10)은 접합 부분 중 렌즈부(100)의 광축(Ax)을 기준으로 가장 먼 부분에서 형성된 부분이다.
베젤부(200)와 렌즈부(100)는 통상 사출 성형을 통하여 형성되는데, 사출 성형이 진행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부분 중 제1 부분(10)은 울퉁불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렌즈 끝단부(120) 및 렌즈 끝단부(120)에 연결되는 베젤부(200)의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울퉁불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부에서 렌즈부(100)로 입사된 광이 또는 렌즈부(100)의 외면에서 입사된 외부광이 제1 부분(10)에서 난반사되어 렌즈 끝단부(120)의 외면(122)에서 출사되거나, 투과부(110)에서 투과되어 불필요한 반짝임을 렌즈부(100) 상에서 형성하여 사용자가 식별함에 따라 차량용 램프의 심미감을 떨어트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 끝단부(120)의 외면(122)을 곡면으로 형성하고 제1 부분(10)에서 반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를 곡면(122)에서 전반사되도록 형성할 경우, 불필요한 반짝임을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렌즈 끝단부(120)의 곡면(122)의 곡률은 렌즈부(100)의 재질의 임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광은 재질에 따라 전반사될 수 있는 임계각이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일 경우, 전반사되는 임계각은 약 39도가 되며, 아크릴일 경우, 전반사되는 임계각은 약 42도이고, 유리일 경우, 전반사되는 임계각은 약42도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렌즈 끝단부(120)의 재질이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고, 곡면(122)의 곡률에 의해 곡면으로 전달되는 광의 각도가 39도 이하로 될 경우, 광이 곡면을 투과될 수 있다. 즉, 재질을 고려하지 않고 곡면(122)의 곡률을 결정하면 제1 부분(10)에서 반사된 광이 곡면(122)에서 투과되어 렌즈 끝단부(100) 상에 불필요한 이미지 혹은 반짝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부(100) 및 베젤부(200)의 재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렌즈부(100)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부(100)의 전반사 임계각은 39도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곡면의 곡률은 R3.0이상으로 형성할 경우, 광이 곡면(122)에서 전반사 될 수 있다.
또한, 곡면(122)은 투과부(110)의 외면에 연결되는 접점부(122a)와 곡면(122) 중 렌즈부(100)의 광축(Ax)에서 가장 멀리 이격 되어 형성된 끝단(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곡면(122)은 접점부(122a)에서 끝단(122b)까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분(10)에서 반사된 광이 렌즈부(100)를 투과하여 외부에 있는 사람이 식별되지 않기 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접점부를 통해 렌즈부(100)로 입사된 외부광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부분(10)으로 전달되지 않아야 함으로 렌즈 끝단부(120)의 크기는 렌즈부(10)에 내부에 입사된 외부광의 경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결국, 렌즈 끝단부(120)의 크기가 렌즈부(100)의 광축(Ax)에 수직한 방향으로 커질 경우, 외부광이 제1 부분(10)으로 전달되는 비율이 줄어들어 반짝임 발생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외부광은 접점부에 입사시 렌즈부(100)의 재질에 의하여 굴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00)의 광축(Ax)에 평행한 방향으로 접점부를 지나는 제1선 및 렌즈부(100)의 광축(Ax)에 평행한 방향으로 끝단을 지나가는 제2선이 형성될 경우, 제1선에서 제2선까지의 거리(l)가 길어질 수록, 접점부(122a)를 통해 외부광이 입사되어 접합 부분으로 전달되더라도 제1 부분(10)에서 반사되는 비율이 적어지므로 외부에서 반짝임을 식별할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제2 선은 제1 선에서 렌즈부(100)의 광축(Ax)에 수직한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렌즈 끝단부(120)의 크기가 커질수록, 베젤부(200)의 크기도 커지고 렌즈부(100) 전체의 크기가 커져 차량용 램프 전체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끝단부(120)의 크기를 적절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즉, 렌즈부(100)에 입사된 외부광이 제1 부분(10)에서 반사되더라도 외부에서 제1 부분(10)에서 난반사되는 광이 사람에 의해 식별되는 정도가 희미할 정도로 제1선에서 제2 선까지의 거리(l)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선에서 제2선까지의 거리(l)는 외부광 중 제1 각도 범위 이하로 접점부(122a)로 입사되는 외부광이 접합 부분 중 상기 제1 부분(10)을 제외한 부분에서 반사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부분(10)으로 전달되는 외부광의 입사각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제1 각도 범위(a)는 제1 선과 투과부의 외면에 의해 0도에서 90도이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해보면, 제1 각도 범위(a)로 접점부(122a)로 입사된 외부광은 렌즈부(100) 내부에서 제1 선을 기준으로 제2 각도 범위(b)로 형성되고, 제1 각도 범위(a) 이상인 제3 각도 범위(c)에서 입사된 외부광은 렌즈부(100) 내부에서 제4 각도 범위(d)로 접합부분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각도 범위(a)는 0도에서 85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4 각도 범위(b)로 접합 부분으로 전달되는 외부광은 제1 부분(10)에서 반사될 수 있다. 제3 각도 범위(c)에서만 반짝임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제1 부분에서 난반사 된 광이 투과부에 투과되더라도, 이광을 사람이 외부에서 제3 각도 범위에서 식별하지 않는 이상, 반짝임을 관찰할 수 없으므로 렌즈 끝단부(120)의 크기 증가를 제한함과 동시에 심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만약, 제1 각도 범위를 0도에서 90도로 형성함에 따라 제1선에서 제2선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경우, 제4 각도 범위가 0도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접점부에서 입사된 외부광이 제1 부분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끝단부(120)의 크기는 렌즈부(100)의 재질에 따른 전반사 임계각 및 접점부(122a)로 입사되는 외부광의 제1 각도 범위(a)를 통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끝단부의 사이드면 미 형성 시 발생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선 및 제2선의 거리(l)를 결정함에 따라 렌즈 끝단부(120)의 끝단(122b)의 위치가 베젤부(200)보다 렌즈부(100)의 광축(Ax)에 수직한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고, 렌즈 끝단부(120)는 사이드면(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면(126)는 곡면(122)의 끝단(122b)과 렌즈 끝단부(120)의 내면(124)에 연결되고 렌즈부(100)의 광축(Ax)에 근접할수록 베젤부(200)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면 없이 끝단(122b)의 위치가 베젤부(200)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될 경우, 렌즈 끝단부(120)의 내면(124) 중 끝단 위치에 근접한 내면에서 광이 반사되어 곡면(122)을 통하여 투과되어 사람이 반짝임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면(126)을 기울어지도록 형성할 경우, 곡면(122)으로 투과되는 광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부(100)의 재질에 따른 전반사 임계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렌즈부(100)의 광축(Ax)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형성된 사이드면(126)의 기울기(e)는 39도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끝단부의 사이드면 미 형성 시 발생되는 광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렌즈부 및 베젤부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부(100) 및 베젤부(200)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어 플레이트(310)와 제2 코어 플레이트(32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유용된 수지를 주입하여 곡면(122)이 형성된 렌즈 끝단부(120)를 포함하는 렌즈부(100)를 형성하고, 이후, 제3 코어 플레이트(330) 및 제4 코어 플레이트(340) 공간을 통해 베젤부(200)를 형성하여 렌즈 끝단부(120)에 부착하되, 제4 코어 플레이트(340)가 렌즈 끝단부(120)를 누름으로써 사이드면(126)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접합 부분 중 제1 부분(10)의 위치는 다른 위치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렌즈 끝단부(120)와 베젤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렌즈부 110: 투과부
120: 렌즈 끝단부 122: 렌즈 끝단부의 외면
124: 렌즈 끝단부의 내면 126: 사이드부
200: 베젤부

Claims (15)

  1. 광이 투과될 수 있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의 내면에 연결되는 베젤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부는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된 투과부; 및
    상기 투과부에 연결되고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렌즈 끝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부는 상기 렌즈 끝단부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 면에 부착되어 접합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접합 부분 중 일부인 제1 부분에서 반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곡면에서 전반사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접합 부분 중 상기 렌즈부의 광축을 기준으로 가장 먼 부분에서 형성된 부분인 차량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곡률 중심이 상기 렌즈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의 곡률은
    상기 렌즈부의 재질의 전반사 임계각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용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의 곡률은 R3.0이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투과부의 외면에 연결되는 접점부; 및
    곡면 중 렌즈부의 광축에서 가장 멀리 이격되어 형성된 끝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은 상기 베젤부보다 상기 렌즈부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 끝단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로 입사되어 상기 접합 부분으로 전달되는 외부광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부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접점부를 지나는 제1선 및 상기 렌즈부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끝단을 지나가는 제2선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제1선에서 제2선까지의 거리는 상기 외부광 중 제1 각도 범위로 상기 접점부로 입사되는 외부광이 상기 접합 부분 중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서 반사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용 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 범위는 0도에서 90도 이하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끝단부는
    상기 곡면의 끝단과 상기 렌즈 끝단부의 내면에 연결되고 상기 렌즈부의 광축에 근접할수록 상기 베젤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사이드면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면의 기울기는
    상기 렌즈부 재질의 전반사 임계각에 따라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면의 기울기는
    상기 렌즈부의 광축에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39도 이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분 중 제1 부분의 위치는 다른 위치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렌즈 끝단부와 상기 베젤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렌즈부 및 베젤부를 사출 성형함에 따라 울퉁불퉁하게 형성되고, 광이 제1 부분에서 반사될 경우, 난반사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190131405A 2019-10-22 2019-10-22 차량용 램프 KR20210047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05A KR20210047599A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05A KR20210047599A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599A true KR20210047599A (ko) 2021-04-30

Family

ID=7574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405A KR20210047599A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75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389A (ko) 2007-09-10 2009-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용 베젤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389A (ko) 2007-09-10 2009-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용 베젤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0089B2 (en) Vehicle lighting unit
JP4460966B2 (ja) カットオフを有する照明ビームを発生する、シールドのない楕円照明モジュールおよびかかるモジュールを備えたヘッドライト
US10520155B2 (en) Light guide and vehicle lamp
JP7011443B2 (ja) 車両用灯具
US3969621A (en) Motor vehicle light assembly utiliz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KR200483320Y1 (ko) 차량용 램프
US10240742B2 (en) Vehicle lighting and signaling device having a lens with at least one coupler
KR102145189B1 (ko) 차량용 램프
CN104296067A (zh) 导光透镜
KR20210047599A (ko) 차량용 램프
US10906461B2 (en) Compact optical system for a motor-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US20150098236A1 (en) Optical structure for headlight
KR101987295B1 (ko) 차량용 램프
KR102002029B1 (ko) 차량용 램프
KR20200113443A (ko) 차량용 램프
KR102328515B1 (ko) 차량용 램프
KR20200058127A (ko) 차량용 램프
JP2019139932A (ja) 車両用灯具
EP3838564B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US20230008568A1 (en) Lighting and/or signal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a light guide therefor
KR102470449B1 (ko) 차량용 램프
KR20210067080A (ko) 차량용 램프
JP7390249B2 (ja) 車両用灯具
KR102446507B1 (ko) 차량용 램프
KR20220042799A (ko) 차량용 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