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066A -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066A
KR20210046066A KR1020217009611A KR20217009611A KR20210046066A KR 20210046066 A KR20210046066 A KR 20210046066A KR 1020217009611 A KR1020217009611 A KR 1020217009611A KR 20217009611 A KR20217009611 A KR 20217009611A KR 20210046066 A KR20210046066 A KR 20210046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otine
carbon dioxide
composition
solv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585B1 (ko
Inventor
아쇼크. 에스. 나라시만
레이몬드 맥카그
니콜라스 하이드
윌리엄 잭슨
Original Assignee
자노프리마 라이프사이언시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노프리마 라이프사이언시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자노프리마 라이프사이언시스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17040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4875A/ko
Publication of KR2021004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4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extraction; Tobacco extracts
    • A24B15/241Extraction of specific substances
    • A24B15/243Nicotin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281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the ac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being delayed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287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inorganic substances only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된 적어도 1 g/L의 니코틴 및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전자 담배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흡입성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조성물
본 발명은 전자 담배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흡입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니코틴 (3-[1-메틸피롤리딘-2-일]피리딘)은 니코티아나의 잎, 즉 담배 식물에서 얻거나, 화학적 합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담배 산업 전반에 걸쳐, 니코틴의 중독성 때문에 전통 담배 제품 (예: 전통 궐련, 시가 또는 파이프 필링)에 대한 수요가 남아있다. 그러나, 전통 담배 제품이 소비자 건강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대체 담배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대체 담배 제품은 그렇지 않으면 유해한 발암 효과를 초래할 수 있는 (예컨대: 피리딘 알칼로이드, 다환 방향족, 페놀 및 N- 니트로사민의 존재로 인해) 전통 담배 제품의 대체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대체 제품은 오락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니코틴 의존을 치료하기 위해 제약 분야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약 분야에서, 니코틴의 가능한 치료적 응용에 관심이 있다. 대체 담배 제품이 많이 존재하지만, 전자 담배 장치에 대한 특별한 수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담배 장치는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될 때 기화되고 사용자에 의해 흡입되는 니코틴 용액 또는 분산액을 포함한다.
전자 담배 장치와 전통 담배 제품 모두에서 소비자는 기분 좋은 사용자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니코틴은 기도 (예: 입, 목 및 폐)에서 기분 좋은 느낌과 불쾌한 느낌을 모두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은 목에서 근육 수축을 유발하는 니코틴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는, “목 때림 (throat hit)”이라고도 불리는 목에 기분 좋은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니코틴에 의한 생리적 효과로 인해 기분 좋은 느낌도 있으며, 이는 경미한 어지럼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니코틴은 기도에 불쾌한 느낌을 유발할 수도 있다. 특히, 일부 사용자는 목에 불쾌한 거칠거나 떫은(astringent) 느낌을 전한다. 기분 좋은 사용자 경험을 위해서, 니코틴은 그 기분 좋은 영향은 유지하고 불쾌한 영향은 최소화하도록 제형화 되어야 한다.
전자 담배 분야에, 최대 20 mg/25 ml의 니코틴 (최대 0.8 g/l 또는 0.08 중량%/부피에 해당)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대한민국 특허 KR 10-1208473이 있다. 니코틴 함량이 현저히 낮은 이러한 조성물은 금연을 장려한다. KR 10-1208473은 용액의 원자화를 돕기 위해 저 니코틴 조성물 내에 용해된 이산화탄소의 존재를 보고한다. 그러나, 이 문서에서는 조성물 중 이산화탄소의 용해도가 낮다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KR 10-1208473은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식품 등급 알코올”, 특히 에탄올, 및 특정 양의 물의 필요성을 보고한다. KR 10-1208473에서 니코틴 함유 제제의 생산은 관련 용매에 용해/분산된 이산화탄소 용액을 생산하고, 그 후에 니코틴을 용액에 첨가하는 것 (즉, 이산화탄소로 충전된 후에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당 업계에는 니코틴으로 인한 가혹하고, 자극적이거나, 또는 “숨 막히는” 느낌을 피하기 위해 US 3,878,580 및 US 4,830,028에 개시된 전통 담배 제품이 있다. 전자 담배 분야에는 니코틴 염 제제를 사용하여 개인에게 사용자 만족도를 제공하려는 전자 담배 제제에 관한 WO 2014/182736이 있다.
그러나, 전자 담배에 대한 기분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야하는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기분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야하는 과제 외에도, 전자 담배는 니코틴 제형에 대해 전통 담배 제품이 직면한 과제보다 더 많은 과제를 제기한다. 예를 들어, 기분 좋은 사용자 경험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만족스러운 외관, 양호한 보관 수명, 건강에 미치는 낮은 부정적 영향, 및 전자 담배 장치 자체와의 우수한 호환성과 같은 액체 니코틴 제제에 대한 다른 바람직한 특성이 있다.
본 발명은 충분히 만족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니코틴을 함유하는 흡입성 조성물, 즉 적어도 1g/L의 니코틴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자 담배에서 증기를 흡입할 때 기도의 니코틴으로 인한 불쾌한 거칠거나 떫은 느낌은 그 알칼리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흡입 시, 흡입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성분이 기도의 조직에 존재하는 물에 용해되어, 이산화탄소가 가역적으로 탄산을 형성할 수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이는 니코틴의 알칼리성을 중화시켜, 떫은 느낌을 감소시킨다.
종래 기술 (한국 특허 KR 10-1208473 등)에서 흡입성 조성물에서 이산화탄소의 적절한 용해도를 달성하는 것은 특정 용매, 즉 물과 에탄올의 존재를 요구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용매가 존재하더라도,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는 최대 18.1 mg/25ml; 즉, 0.724 g/L (약 0.07 중량%)로 개시되며, 이는 니코틴 함량이 높은 전자 담배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를 흡입성 조성물에 혼입시키는 보다 효과적인 방식을 발견함으로써 가능한, 기분 좋은 사용자 경험을 달성하는 놀라운 새로운 수단으로서 신규한 흡입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서, 전자 담배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된 적어도 1 g/L의 니코틴 및 적어도 2 g/L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며, 이산화탄소와 니코틴의 몰비는 적어도 0.1:1인 것인, 흡입성 조성물이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은 니코틴의 향상된 중화를 가능하게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증가된 이산화탄소 함량을 갖는 흡입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놀랄 만큼 증가된 이산화탄소 함량은, 이산화탄소가 이미 니코틴과 용매를 모두 포함하는 조성물에 첨가될 때 이산화탄소의 용해도가 향상된다는 발견에 의해 가능하다. 이는 니코틴을 첨가하기 전에 이산화탄소가 용매에 첨가되는 KR 10-1208473과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해 가능한 조성물에 비해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를 증가시킨다.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산화탄소 용해 시 조성물 내 니코틴의 존재라고 생각된다. 이미 니코틴을 함유한 용매에서 이산화탄소의 증가된 용해도는, 니코틴 단독 내에서 이산화탄소의 용해도가 낮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특히 놀랍다. 이러한 이산화탄소의 증가된 용해도는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조성물에 부여할 수 있는 용매 시스템, 특히 가연성 용매이며 증발 시 잠재적인 폭발 위험이 있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용매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도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다양한 상이한 용매 시스템과 양립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양한 수준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성물은 다양한 수분 함량과 양립 가능하지만, 이산화탄소 용해를 위해 높은 수분 함량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에서, 전자 담배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된 적어도 1 g/L의 니코틴 및 적어도 0.027 g/L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며,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적어도 0.025:1이고, 용매는 용매의 총 부피에 대해 최대 5 부피%의 물을 포함하는 것인, 흡입성 조성물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은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흡입성 조성물을 제공하고, 특히 용매가 용매의 총 부피에 대해 5 부피% 초과의 물을 포함하는 시나리오를 제외한다. 이것은 이산화탄소의 용해가 상당히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한다고 교시하는 KR 10-1208473에 있는 것과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해 가능한 조성물과 놀랍게 대조된다. 이러한 낮은 (또는 0) 수분 함량에서 놀랄 만큼 효과적인 이산화탄소의 용해는 첫 번째 측면과 관련하여 명시된 바와 같이 이미 니코틴과 용매를 모두 포함하는 조성물에 이산화탄소를 첨가할 때 조성물에서 이산화탄소의 용해도가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가능하다. 두 번째 측면은 더 낮은 수분 함량으로 인해, 조성물은 저장 시 변색이 감소되고, 소비자에게 보다 만족스러운 외관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추가 개선을 제공한다. 이러한 착색은 분해를 나타내며, 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이 향상된 안정성 및 더 긴 저장 수명을 보유함을 나타낸다. 그 다음, 본 명세서에 개시된 흡입성 조성물에 대해, 예를 들어 포장을 사용하여, 착색을 모호하게 하는 방법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측면에 따른 흡입성 조성물은 이산화탄소의 포함으로 인해 양호한 부드러움을 가지며, 이는 떫은 느낌을 감소시키면서, 기분 좋은 “목 때림” 느낌을 유지한다. 불쾌한 떫은 느낌을 가리기 위해 바람직하지 않은 용매 (예: 에탄올) 또는 과도한 향료에 의존하지 않고도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얻을 수 있다. 과도한 향료에 의존하지 않는 것은, 과도한 향료가 사용자에게 장기적인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익하다. 흡입성 조성물은 또한 전자 담배 장치와의 우수한 호환성을 나타내며, 이는 이산화탄소의 특성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산화탄소의 특성은, 흡입성 조성물이 수렴성(astringency)을 극복하기 위한 관점에서 포함된 대체 첨가제를 포함하는 흡입성 용액에 비해, 전자 담배 장치와의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적되어 잠재적으로 장치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전자 담배 장치에 불리한 잔류물을 남기지 않는다. 또한, 불쾌한 수렴성을 가려서보다 기분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대체 수단과 비교하여, 이산화탄소의 사용은 흡입성 조성물에 존재하는 다른 성분들 (예: 알려지지 않은 특성을 가진 특성화되지 않은 화합물로 이어질 수 있는 용매)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 작용의 위험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첫 번째 및 두 번째 측면에 따른 흡입성 조성물은 사용자 건강에 대한 영향 측면에서 더 안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세 번째 측면에서, 전자 담배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카트리지가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는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따른 흡입성 조성물을 함유한다.
네 번째 측면에서, 세 번째 측면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전자 담배 장치가 있다.
다섯 번째 측면에서, 전자 담배 장치에서 첫 번째 측면 또는 두 번째 측면에 따른 흡입성 조성물의 용도가 있다.
여섯 번째 측면에서, 첫 번째 측면 또는 두 번째 측면에 따른 흡입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있다.
일곱 번째 측면에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된 적어도 60 g/L의 니코틴 및 이산화탄소를 포함하고,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적어도 0.1:1인 것인, 전자 담배 장치용 흡입성 조성물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농축물이 있다. 농축물은 보관 및 운송 목적, 시장에 다양한 농도 범위 또는 상이한 향료를 갖는 전자 담배 용액을 생산하기 위한 공급 원료를 제공하거나, 강렬한 사용자 경험을 위한 강력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흡입성 조성물”은 사용자의 흡입에 적합한 조성물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흡입성 조성물은 전자 담배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이는 조성물이 이러한 장치의 가열 요소에 의해 기화될 수 있어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흡입성 조성물” 또는 “흡입성 조성물들”이라는 문구는 본 발명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측면 모두의 흡입성 조성물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니코틴”은 담배 식물 또는 화학적 합성으로부터 수득한 니코틴을 지칭하고, (R)-니코틴, (S)-니코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사용자 경험의 향상은 모든 형태의 니코틴에 적용되지만, 니코틴은 바람직하게는 주로 (S)-니코틴, 즉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율(enantiomeric excess)이 50%를 넘는 (S)-니코틴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니코틴은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율이 적어도 60%, 적어도 70%, 적어도 80%, 적어도 90% 또는 적어도 95%인 (S)-니코틴이다. (S)-니코틴 (즉, [(S)-3-(1-메틸피롤리딘-2-일)피리딘])은 (R)-니코틴보다 훨씬 더 활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적 합성으로 만들어진 니코틴보다 담배에서 추출한 니코틴을 사용했을 때 사용자 경험의 향상이 더 확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산화탄소가 특히 니코틴 자체뿐만 아니라, 담배에 존재하는 니코틴 불순물을 중화시켜, 이러한 불순물이 유발할 수 있는 불쾌한 느낌을 방지하는 데 특히 효과적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담배에 포함된 불순물의 양은 그 양이 지리적 출처, 담배 수확 시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일관성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불순물의 영향을 중화시키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포함시키면 사용자 경험의 측면에서 보다 일관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학적 합성으로 만들어진 니코틴에 대해서도 사용자 경험의 일관성이 향상되었다. 합성 니코틴은 또한 함량이 다양하여 사용자 경험을 변경할 수 있는 소량의 공정 관련 불순물로 오염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산화탄소의 포함은 이러한 불순물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는 변경된 사용자 경험의 가능성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흡입성 조성물은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통해 사용자가 전통 담배 흡연에서 벗어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다. 담배 흡연에서 전자 담배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담배 흡연으로부터 익숙한 경험과 연관되는 베이핑(vaping)으로 기분 좋은 느낌을 찾는다. 담배 연기는 사용자가 담배 흡연에서 얻는 느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담배 물질의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한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전자 장치용 액체의 제형에 이산화탄소를 도입하면, 이산화탄소가 기분 좋은 경험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친숙한 느낌을 부분적으로 줄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담배 연기의 조성을 더 잘 모방함으로써, 담배 흡연으로부터의 전환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다.
흡입성 조성물은 적어도 1 g/L의 니코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g/L의 니코틴,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g/L의 니코틴을 포함한다. 흡입성 조성물은 최대 60 g/L의 니코틴,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g/L 또는 최대 40 g/L의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의 니코틴은 흡입성 조성물에 첨가된 니코틴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르면, 흡입성 조성물은 적어도 2 g/L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에 따르면, 흡입성 조성물은 적어도 0.027 g/L의 이산화탄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g/L,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g/L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어느 한 측면에 따르면, 흡입성 조성물은 적어도 3 g/L,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g/L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한다. 흡입성 조성물은 최대 40 g/L의 이산화탄소, 바람직하게는 최대 34 g/L의 이산화탄소,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g/L 또는 최대 10 g/L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의 이산화탄소는 흡입성 조성물에 초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러한 양에서, 이산화탄소 자체는 기도에 독성 또는 자극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산화탄소가 처음에 흡입성 조성물에 포함된 후, 이산화탄소의 일부는 용매 조건에 따라, 흡입 전에 조성물에서 탄산 유도체 및 이로부터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당업자는 흡입성 조성물에 초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양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첫 번째 측면에 따른 흡입성 조성물에서,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적어도 0.1:1이다. 두 번째 측면에 따른 흡입성 조성물에서,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적어도 0.025: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1이다. 이 비율은 조성물에 첨가된 니코틴과 이산화탄소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조성물에 첨가된 이산화탄소와 니코틴의 질량(g)과, 이산화탄소와 니코틴의 상대적 분자량을 고려함으로써, 당업자는 이 두 성분 간의 몰비를 추론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어느 한 측면에 따르면, 흡입성 조성물에서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적어도 0.25: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4:1,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1이다.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적어도 0.75:1, 적어도 1:1 또는 적어도 7.5:1일 수 있다.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최대 10:1, 최대 7.5:1, 최대 5:1, 또는 최대 2.5:1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니코틴의 범위 내에서, 조성물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양의 니코틴을 함유하는지에 따라, 특히 선호되는 상응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있다. 이러한 비율은 따라서 조성물의 니코틴 함량이 더 높거나 낮은지 여부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성 조성물이 1-30 g/L, 또는 1-25 g/L의 니코틴을 포함하는 경우,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0.75:1 내지 10:1, 더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9:1의 범위에 있다. 한편, 흡입성 조성물이 30-60 g/L, 또는 30-50 g/L의 니코틴을 포함하는 경우,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0.1:1 내지 2:1, 더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2:1의 범위에 있다.
흡입성 조성물은 용매,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용매는 글리세롤 (프로판-1,2,3-트리올),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판-1,2-다이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그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의 원하는 용해를 여전히 달성하면서 흡입성 조성물에 다양한 상이한 용매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용매 시스템의 정확한 특성은 따라서 제형 선호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용매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은 흡입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5 중량%의 양으로 흡입성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프로필렌 글리콜의 존재는, 주로 사용자가 사용할 때 장치에서 증기 기둥의 형성을 장려함으로써, 몇 가지 제형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흡입성 조성물의 경우, 사용자 건강에 대한 잠재적 영향 때문에 프로필렌 글리콜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것이 선호된다. 예를 들어, 일부 사용자는 흡입성 조성물 내의 프로필렌 글리콜의 존재는 두통을 야기한다고 보고한다. 또한 흡입성 조성물 내의 프로필렌 글리콜의 존재는 다양한 자극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프로필렌 글리콜을 함유한 제제의 장기 흡입 위험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프로필렌 글리콜은 흡입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부 양태에서, 흡입성 조성물에는 프로필렌 글리콜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용매는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글리세롤은 프로필렌 글리콜에 비해 장기적인 건강 위험을 적게 가져오는 것으로 생각되어, 사용자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위험이 낮기 때문에 더 안전한 것으로 생각되는 구성이다. 이전에는 이산화탄소가 프로필렌 글리콜에 비해 글리세롤에서 더 낮은 용해도를 가질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놀랍게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흡입성 조성물은 용매 시스템에 관계없이 놀랄 만큼 높은 이산화탄소 용해도를 달성했으며, 이는 이산화탄소가 이미 니코틴과 용매를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에 첨가될 때 이산화탄소의 용해도가 향상된다는 발견에 의해 가능했다. 일반적으로, 글리세롤은 흡입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95 중량%의 양으로 흡입성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글리세롤은 흡입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용매가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경우, 용매에 존재하는 글리세롤 대 프로필렌 글리콜의 비율은 부피 기준으로 95:5 내지 5:95, 바람직하게는 부피 기준으로 80:20 내지 20:80 또는 부피 기준으로 70:30 내지 30:7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글리세롤 대 프로필렌 글리콜의 증가된 비율에 대한 선호도 때문에,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용매에 존재하는 글리세롤 대 프로필렌 글리콜의 비율은 부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3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2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10이다.
용매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성 조성물은 다양한 농도의 물과 양립할 수 있다. 이것은 점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조정하기 위해 주어진 조성물에 대해 수분 함량을 조정할 수 있다는 부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흡입성 조성물은 다양한 농도의 물과 양립할 수 있지만, 이산화탄소의 충분한 용해를 달성하기 위해 물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실제로,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은 물이 특정 양 이상으로 존재하는 시나리오를 구체적으로 배제하는데, 이는 종래 기술과 놀라운 대조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에 따르면, 물은, 존재하는 경우, 용매의 총 부피에 대해 최대 5 부피%의 양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르면, 물은 흡입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은 또한 흡입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하의 물과 양립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소된 수준의 물에서 이산화탄소의 충분한 용해가 여전히 달성되며, 흡입성 조성물이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포드(pod)에 포함될 때 누출을 최소화하는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적절한 이산화탄소 용해를 위해 물의 존재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소량의 물은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흡입 후 기화된 물이 사용자의 기도 조직 표면에 추가적인 습윤을 제공하여, 이산화탄소가 용해될 수 있는 더 큰 매질을 생성하고, 따라서 니코틴의 알칼리도를 중화(counteract)시키기 위해 사용 가능한 탄산의 양을 증가시켜 불쾌한 떫은 느낌을 해소하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한 소량의 물이 존재하면 일반적으로 용매 시스템의 평균 휘발성이 니코틴의 휘발성에 가까워지고, 이는 단일 흡입 과정을 통해 보다 일정한 수준의 니코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물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 또는 두 번째 측면에서 흡입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용매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의 물을 포함하는 경우, 용매는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입성 조성물은 에탄올과 같은 가연성 용매를 10 g/L 미만으로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흡입성 조성물에는 에탄올과 같은 가연성 용매가 없다. 휘발성 가연성 용매, 특히 에탄올의 존재는 장치의 초기 증기에서 높은 농도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고, 잠재적인 폭발 위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향료 화합물 또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선택적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과 관련된 향상된 사용자 경험은 불쾌한 떫은 효과를 가리기 위해 과도한 풍미가 포함될 필요가 없도록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최대 15 부피% 또는 최대 10 부피%로 포함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항료 화합물의 첨가와 양립할 수 있다.
흡입성 조성물은 전자 담배 장치에 삽입하기에 적합한 카트리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트리지는 전자 담배 장치에 삽입하기 전에 흡입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밀봉된 카트리지로 제공된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성 용액의 부피는 해당되는 특정 전자 담배 장치 및 관련 카트리지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입성 용액의 부피는 0.2 ml 내지 10 ml 사이, 또는 0.25 ml 내지 7 ml 사이로 다양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흡입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밀봉 가능한 용기 내부의 용매에 니코틴 분산액 또는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용기 내부의 압력이 20℃에서 측정했을 때 1 내지 15 기압,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기압,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기압,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 기압의 범위에 있도록 하고, 이산화탄소가 니코틴 분산액 또는 용액으로 용해되거나 분산되도록 용기에 이산화탄소를 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된 이산화탄소 및 적어도 60 g/L의 니코틴을 포함하는 전자 담배 장치용 흡입성 조성물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농축물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며, 여기서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적어도 0.1:1이다. 농축물은 적어도 80 g/L 또는 적어도 100 g/L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농축물은 최대 500 g/L의 니코틴,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300 g/L의 니코틴을 포함한다. 이러한 농축물에서 이산화탄소의 용해는 특히 농축된 성질의 조성물을 보상하기 위해 증가된 이산화탄소 압력으로 용기를 충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장 바람직한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니코틴 함량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농축액의 특히 높은 니코틴 함량의 경우,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0.1:1 내지 2:1, 더 바람직하게는 0.1:1 내지 1:1의 범위에 있다.
다음의 비 제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합성 니코틴 사용)
합성 니코틴 용액은 글리세롤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80:20 혼합물에서 2.5% w/w (즉, 100g 당 2.5g)의 농도로 만들어졌다. 용액을 절반으로 나누고, 절반에 1.0% 물 (w/w)을 첨가하였다. 각각의 용액의 일부(20ml)를 용량 520ml의 스크류 캡 플라스틱 병에 도입하고 각각에 4-5 bar의 압력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4-5g의 고체 이산화탄소 (드라이 아이스)를 첨가하였다. 뚜껑을 덮은 병은 평형을 이루어 그 안에 압력이 쌓였다. 이산화탄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위와 같이 대조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샘플이 형성되었다.
샘플 1: 2.5% (w/w) 합성 니코틴
샘플 2: 이산화탄소와 2.5% (w/w) 합성 니코틴
샘플 3: 1% (w/w) 물과 2.5% (w/w) 합성 니코틴
샘플 4: 이산화탄소 및 1% (w/w) 물과 2.5% (w/w) 합성 니코틴
언급된 바와 같이 각 샘플의 니코틴 양은 2.5% (w/w), 각 샘플의 용매 시스템의 밀도는 100 ml 당 약 3.0g 또는 3.0% w/v였다.
각 샘플의 pH는 각 샘플의 일부를 취하여, 동일한 부피의 물로 희석하고, pH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되었다. 대조군 용액 (CO2 없음)은 9.3의 pH를 나타냈다. 이산화탄소와 혼합된 용액은 6.9 - 7.0의 pH를 나타냈다.
샘플 1-4는 기화 장치에서 흡입 경험에 대해 테스트되었다. 테스트에 사용된 기화 장치에는 재건 가능한 물방울 분무기 (RDA), 특히 “geek vape” 모델 Tsumani 24 RDA가 있으며, 저항이 약 1.1 옴인 0.4 mm Kanthal 와이어의 8 회전 코일로 채워진 두 개의 물방울 분무기로 구성된다. 기화는 24 와트의 전력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동일한 Nakamichi (일본) Cotton을 사용하여 각 RDA에 심지를 제공하였다. 심지를 교체하고 테스트된 각 전자담배 액상(eLiquid) 사이에 분무기를 세척하였다. 모드 (mod, 분무기에 전력을 공급하는)는 Vaporshark rDNA 장치 또는 Aspire NX75 장치 중 하나였다. 이 두 모드는 디자인과 성능면에서 충분히 가까워서 비교 의미가 있다. 이 모드들에는 온도 및 전력 제어가 모두 있다. 모드는 전원 모드(power mode)에서 사용되었으며, 각 모드는 분무기에 24 와트를 전달하도록 설정되었다. 이 전력 수준에서 이 코일을 사용하면, 사용 중인 코일의 온도는, 전자담배 액상의 주요 구성 요소인 글리세린의 끓는점보다 훨씬 낮은 약 200℃이다. 초기 테스트에서, 두 개의 Vaporshark 모드만 사용할 수 있었으므로 초기 테스트는 쌍(paired) 비교를 사용하여 실행되었다. 이후 테스트에서, 한 번의 테스트 실행에서 5개의 액체를 비교할 수 있었다. 더 확장된 테스트를 통해 아래에 명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른 결과를 벤치마킹 할 수 있는 일정한 “표준”을 사용할 수 있었다. 표준을 사용함으로써 표준 및 두 쌍의 전자담배 액상을 5개의 테스트의 각 배치(batch)에서 테스트할 수 있었다. 2개의 모드를 사용한 초기 테스트 결과는 확장된 5개의 모드 설정을 사용하여 확인되었다.
사용자는 CO2가 존재하지 않는 혼합물은 흡입 시 입과 목에 가혹한 느낌의 떫은 느낌을 준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CO2와의 혼합물은 입과 목에 부드러운 느낌을 주었다. 사용자는 결과를 표 1에 표로 작성하였다.
샘플 샘플 설명 베이핑(vaping) 경험 요약
1 2.5% (w/w) 합성 니코틴 이 샘플은 담배에서 추출한 2.5% 니코틴 샘플 중 최고, 즉 실시예 2; 샘플 13만큼 좋았다 (부드러움과 목 때림이 비슷했다). 이것은 베이프(vape)에 매우 강력한 전자담배 액상이며, 분무기로 소량만 베이프할 수 있다.
2 이산화탄소와 2.5% (w/w) 합성 니코틴 샘플 1보다 부드러움.
3 1% (w/w) 물과 2.5% (w/w) 합성 니코틴 샘플 2만큼 좋고, 1보다 유사한 차이로 나음.
4 이산화탄소 및 1% (w/w) 물과 2.5% (w/w) 합성 니코틴 2와 3만큼 부드럽지만, 목 때림이 더 강함.
실시예 2 (담배 니코틴 사용)
담배에서 추출한 니코틴과 1.0% w/w (즉, 100g 당 1g) 및 2.5% 니코틴 w/w (즉, 100g 당 2.5g)의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이 용액을 제조하였다. 기화 장치의 세부 사항은 실시예 1에 설명되어 있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샘플의 니코틴 양은, 2.5% (w/w), 각 샘플의 용매 시스템의 밀도는 100 ml 당 약 3.0 g 또는 3.0% w/v; 또는 1% (w/w), 각 샘플의 용매 시스템의 밀도는 약 1.2% w/v였다.
샘플 샘플 설명 베이핑(vaping) 경험 요약
5 1% (w/w) 니코틴 수증기는 입안에서 매우 강한(harsh) 맛이 나고 목 때림이 제한적이었다.
6 이산화탄소와 1% (w/w) 니코틴 샘플 5에서 향상; 5보다 부드러우며, 더 나은 목 때림과 함께 더 강한 '니코틴' 효과가 있다.
7 이산화탄소 및 1% 물 (w/w)과 1% (w/w) 니코틴 샘플 6에 비해 향상이 적지만, 샘플 5와 6 모두보다 나은 경험. 니코틴 효과는 샘플 5보다 눈에 띄게 강했다. 베이프(vape)는 6보다 덜 강하고 목 때림이 더 있다. 베이퍼(vaper)는 아마도 샘플 6 또는 7에 익숙해질 수 있으며, 7이 약간 선호된다.
8 1% 물 (w/w)과 1% (w/w) 니코틴 물만 첨가하면 대조군 샘플 5보다 더 부드러워져 효과가 부드러움 관점에서 이산화탄소를 추가하는 것과 유사하므로 이 샘플은 샘플 6과 비슷하지만 샘플 7 (이산화탄소 및 물)만큼 좋지는 않다; 샘플 7은 더 나은 목 때림이 있다.
9 2.5% (w/w) 니코틴 입안의 매우 강한 맛, 강함으로 인한 입 때림이 목 때림을 압도함.
10 1% 물 (w/w)과 2.5% (w/w) 니코틴 매우 강한, 거의 9에 가깝고, 입에 강한 타격
11 2% 물 (w/w)과 2.5% (w/w) 니코틴 여전히 강하고, 1% 물만 포함하는 샘플 10보다 미세하게 부드럽고, 차이는 작음.
12 이산화탄소 및 1% 물 (w/w)과 2.5% (w/w) 니코틴 매우 강한 맛, 입과 목에 강한 타격
13 이산화탄소 및 2% 물 (w/w)과 2.5% (w/w) 니코틴 2.5% 니코틴 샘플 중 최고, 여전히 입과 목에 강한 타격을 주지만 1% 물을 포함하는 샘플 12보다 부드러움.샘플 11보다 목 때림이 낫고 상당히 부드러움.
1% 니코틴 대조군 (샘플 5)과 비교할 때, 더 높은 니코틴 함량이 빠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이 샘플은 샘플 5보다 거의 강하지 않고, 똑같이 부드러우며 목 때림이 더 낫다.
1% 니코틴 샘플 중 최고 (샘플 7)와 비교할 때, 13과 7은 모두 상당히 부드러우며 "베이프할만(vapable)"하지만, 샘플 13이 니코틴 측면에서 훨씬 더 강하다는 것이 금방 분명해진다. 훨씬 더 큰 타격.
14 이산화탄소와 2.5% (w/w) 니코틴 여전히 매우 강하지만 2.5% 니코틴 (샘플 9)보다 부드러움. 소량의 증기로 강한 목 때림.샘플 14는 2.5% 니코틴과 이산화탄소에 물이 첨가된 샘플 12 및 13만큼 부드럽 지 않다.
샘플 10 및 11 (니코틴 + 물)과 비교하여, 샘플 14는 10보다 현저하게 좋고 11보다 조금 더 맛이 좋았다. 샘플 14는 더 부드러운 반면 샘플 10과 11은 입에 더 강한 느낌을 유지한다.
실시예 3: 니코틴 용액에서 이산화탄소의 용해도
표 3에 따라 글리세롤/프로필렌 글리콜 중 약 50g의 니코틴 용액을 함유하는 중량을 잰 플라스틱 500ml 병에, 압력을 4-5 bar로 높이기에 충분한 4-5g의 고체 이산화탄소 (드라이 아이스)를 첨가하였다. 압력이 방출되기 전에, 혼합물을 3일동안 압력 하에 유지하고,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48시간동안 방치한 다음 용액의 새로운 중량을 측정하였다. CO2 첨가 전후의 중량 변화는 용액에 포함된 CO2의 양뿐만 아니라, CO2 대 니코틴의 몰비를 유도 가능하게 한다. 결과는 표 3에 나와있다.
비교 실험에서, 순수한 니코틴 20 g을 포함하는 병에 이산화탄소를 비슷하게 충전했다; 이것은 중량 증가를 전혀 일으키지 않았으며, 이는 용액에 CO2가 포함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용매 니코틴 니코틴 CO2 전 용액 CO2 후 용액 첨가된 CO2 CO2 용해도 추정 밀도 CO2 용해도 CO2/니코틴 몰 비 노트
g/kg 중량% g g g g/kg kg/L g/L mol/mol
70:30 글리세롤:프로필렌 글리콜 0 0.0% 50.00 50.19 0.19 3.8 1.19 4.5 n/a
70:30 글리세롤:프로필렌 글리콜 4 0.4% 49.96 50.44 0.48 9.5 1.19 11.3 8.77 [1]
70:30 글리세롤:프로필렌 글리콜 15 1.5% 49.99 50.73 0.74 14.6 1.19 17.4 3.58 [1]
70:30 글리세롤:프로필렌 글리콜 45 4.5% 50.00 51.03 1.03 20.2 1.19 24.0 1.65 [1]
70:30 글리세롤:프로필렌 글리콜 200 20.0% 50.45 52.05 1.60 30.7 1.16 35.7 0.57
프로필렌 글리콜 200 20.0% 49.97 51.23 1.26 24.6 1.03 25.3 0.45
글리세롤 200 20.0% 50.03 51.80 1.77 34.2 1.21 41.3 0.63
70:30 글리세롤:프로필렌 글리콜 400 40.0% 49.96 51.22 1.26 24.6 1.12 27.6 0.23
노트
[1] 두 결과의 평균
실시예 4: 비교예
KR 10-1208473에서 활성화된 흡입성 조성물을 형성하는 절차에 따라 실험이 수행되었다. 다음 실험은 보다 정확한 중량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KR 10-1208473에 표시된 것과 비교하여 이중 눈금(double scale)으로 수행되었다. 다음 실험에서 채택된 실내 온도는 약 16℃로, KR 10-1208473의 실험실 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 실험에서 달성된 CO2 수준은 따라서 KR 10-1208473에서 실제로 달성된 것보다 더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65 부피% 프로필렌 글리콜, 23 부피% 식물성 글리세린, 2 부피% 에틸 알코올, 7 부피% 물 및 멘톨(menthol)을 사용하여 액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멘톨 (고체 물질)을 프로필렌 글리콜/식물성 글리세린/에틸 알코올/물 혼합물 97ml에 3g으로 첨가하여 총 부피 100ml를 이루고, 멘톨이 100ml 당 3 g으로 존재하도록 하였다. 액체 조성물 100ml와 드라이 아이스 2 g을 500ml 병에 첨가하여 실온 및 대기압에서 액체 조성물을 이산화탄소로 포화시켰다. 그 다음 병을 밀봉한 다음 액체 조성물에 이산화탄소를 용해시키기 위해 몇 분 동안 흔들었다. 약 1시간 후에, 병을 감압하였다. 그 후 병을 개봉하고 약 1분 동안 다시 흔들었다. 액체 조성물을 이산화탄소로 포화시키기 위해 실온 및 대기압에서 약 30분 동안 방치하였다.
CO2 포화 전후의 조성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샘플 1: 106.772g의 혼합물은 1.5mg/g (40mg/25ml)의 CO2를 가졌다.
샘플 2: 106.465g의 혼합물은 1.62mg/g (43mg/25ml)의 CO2를 가졌다.
그 후, 80mg의 니코틴이 첨가되었다. 48시간 후, CO2의 양은 다음과 같다:
샘플 1: 0.9mg/g 즉, 0.96mg/ml의 CO2
샘플 2: 1.06mg/g, 즉, 1.13mg/ml의 CO2
따라서, KR 10-1208473의 방법론은 실시예 3에서 사용된 방법론에 비해 훨씬 더 적은 양의 CO2를 포함시킨다.
실시예 5: 프로필렌 글리콜이 낮은 니코틴 용액에서 이산화탄소의 용해도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글리세롤, 니코틴, 물 및 프로필렌 글리콜 (존재하는 경우) 중의 니코틴 용액을 표 4에 상세히 설명된 대로 제조하였다. 표 4에서, 프로필렌 글리콜은 “PG”로 지칭된다. 프로필렌 글리콜은, 존재하는 경우, 담배 향료 조성물의 첨가에서 비롯되었다. 표 4에서 “TF”로 지칭되는 담배 향료 조성물 (프로필렌 글리콜에 용해/분산된 담배 향료로 구성됨)은 65 중량%로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였다. 따라서 8%의 향료 조성물을 첨가하면 아래 표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흡입성 조성물에 5.2 중량%의 프로필렌 글리콜이 첨가되었다. 각 실험에서, 사용한 용액은 50.0g의 0.2g 이내였다. 실시예 3에서와 같이, CO2 첨가 전후에 용액의 무게를 쟀고, CO2 첨가 전후의 중량 변화로 용액에 포함된 CO2의 양을 유도할 수 있었다. 용액에 포함된 것으로 보고된 이산화탄소의 양은 두 실험에서 얻은 평균 결과이다.
글리세롤 중량% 니코틴 중량% 물 중량% TF 중량% PG 중량% 첨가된 CO2 (g) CO2의 용해도 (g/kg) 추정 밀도(kg/l) CO2의 용해도 (g/L)
93.1 2 4.9 0 0 0.51 10 1.25 13
90.25 5 4.75 0 0 0.91 18 1.24 23
88.2 2 9.8 0 0 0.56 11 1.23 14
85.5 5 9.5 0 0 0.82 16 1.22 20
85.5 2 4.5 8 5.2 0.54 11 1.23 13
82.65 5 4.35 8 5.2 0.79 16 1.22 19
81 2 9 8 5.2 0.58 12 1.21 14
78.3 5 8.7 8 5.2 0.66 13 1.21 16

Claims (18)

  1.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된 적어도 1 g/L의 니코틴 및 적어도 2 g/L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며,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적어도 0.1:1인 것인, 전자 담배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흡입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1-60 g/L의 니코틴, 바람직하게는 5-60 g/L의 니코틴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40 g/L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0.1:1 내지 10:1,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7.5:1, 더 바람직하게는 0.4:1 내지 5:1의 범위에 있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글리세롤,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흡입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흡입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글리세롤을 포함하고, 상기 글리세롤은 상기 흡입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4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상기 흡입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을 포함하고, 상기 물은 상기 흡입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1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탄올과 같은 가연성 용매를 10 g/L 미만으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에는 에탄올과 같은 가연성 용매가 없는,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향료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3. 전자 담배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카트리지로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흡입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카트리지.
  14. 제10항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전자 담배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흡입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밀봉 가능한 용기 내부의 용매에 적어도 1 g/L의 니코틴을 첨가하여 니코틴 용액 또는 분산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 내부의 압력이 20℃에서 측정했을 때 1 내지 15 기압의 범위에 있도록 하고, 적어도 2 g/L의 이산화탄소가 상기 용매에 용해되거나 분산되도록 하고,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가 적어도 0.1:1이 되도록, 상기 용기에 이산화탄소를 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전자 담배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흡입성 조성물로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된 적어도 1 g/L의 니코틴 및 적어도 0.027 g/L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고,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적어도 0.025:1이며, 상기 용매는 용매의 총 부피에 대해 최대 5 부피%의 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7. 제16항에 따른 흡입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밀봉 가능한 용기 내부의 용매에 적어도 1 g/L의 니코틴을 첨가하여 니코틴 용액 또는 분산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 내부의 압력이 20℃에서 측정했을 때 1 내지 15 기압의 범위에 있도록 하고, 적어도 0.027 g/L의 이산화탄소가 상기 용매에 용해되거나 분산되도록 하고,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가 적어도 0.025:1이 되도록, 상기 용기에 이산화탄소를 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된 이산화탄소 및 적어도 60 g/L의 니코틴을 포함하고, 니코틴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몰비는 적어도 0.1:1인 것인, 전자 담배 장치용 흡입성 조성물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농축물.
KR1020217009611A 2018-10-24 2019-10-23 조성물 KR102350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40597A KR20210154875A (ko) 2018-10-24 2019-10-23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02355 2018-10-24
EP18202355.6 2018-10-24
EP19175946 2019-05-22
EP19175946.3 2019-05-22
PCT/EP2019/078957 WO2020084024A1 (en) 2018-10-24 2019-10-23 Composi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597A Division KR20210154875A (ko) 2018-10-24 2019-10-23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066A true KR20210046066A (ko) 2021-04-27
KR102350585B1 KR102350585B1 (ko) 2022-01-13

Family

ID=683429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597A KR20210154875A (ko) 2018-10-24 2019-10-23 조성물
KR1020217009611A KR102350585B1 (ko) 2018-10-24 2019-10-23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597A KR20210154875A (ko) 2018-10-24 2019-10-23 조성물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11684080B2 (ko)
EP (1) EP3840596B1 (ko)
JP (2) JP7177926B2 (ko)
KR (2) KR20210154875A (ko)
CN (1) CN112739223B (ko)
AU (1) AU2019365396B2 (ko)
BR (1) BR122022014023B1 (ko)
CA (1) CA3111709C (ko)
DK (1) DK3840596T3 (ko)
ES (1) ES2943840T3 (ko)
FI (1) FI3840596T3 (ko)
GB (2) GB2583657B (ko)
HR (1) HRP20230420T1 (ko)
HU (1) HUE061610T2 (ko)
LT (1) LT3840596T (ko)
MX (1) MX2021004564A (ko)
PL (1) PL3840596T3 (ko)
RS (1) RS64142B1 (ko)
SI (1) SI3840596T1 (ko)
WO (1) WO2020084024A1 (ko)
ZA (1) ZA2021026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43840T3 (es) 2018-10-24 2023-06-16 Zanoprima Lifesciences Ltd Composición
US11690396B2 (en) 2018-10-24 2023-07-04 Zanoprima Lifesciences Limited Electronic cigarette composition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029A (ko) * 2007-06-25 2010-03-31 카인드 컨슈머 리미티드 니코틴을 포함하는 흡입성 조성물
KR101208473B1 (ko) * 2011-07-25 2012-12-05 장남숙 전자 담배용 무화용액 조성물
KR20160008271A (ko) * 2014-07-14 2016-01-22 김한기 무화기용 액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97425A (ko) * 2015-02-06 2016-08-18 홍종국 전자담배용 액상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8580A (en) 1969-02-06 1975-04-22 Rayette Faberge Brush
US4830028A (en) 1987-02-10 1989-05-16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alts provided from nicotine and organic acid as cigarette additives
US20040013752A1 (en) * 2002-07-05 2004-01-22 Wolfson Philip E. Buccal and sublingual mucosally absorbed herbal compositions for relieving nicotine withdrawal symptoms and craving for nicotine and nicotine containing substances
CN1206946C (zh) * 2003-02-11 2005-06-22 中国科学技术大学 无烟香烟及其制备方法
US9282772B2 (en) 2012-01-31 2016-03-15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device
CN103371430A (zh) * 2012-04-26 2013-10-30 北京创业恒基国际贸易有限公司 香烟吸入剂及其制备、应用
CN104955508A (zh) * 2012-11-28 2015-09-30 艾尼科提恩科技公司 用于化合物递送的方法和设备
US10034988B2 (en) * 2012-11-28 2018-07-31 Fontem Holdings I B.V. Methods and devices for compound delivery
US20140216237A1 (en) * 2013-02-05 2014-08-07 David Larry Butler Suppressor For Firearm
CN105263345A (zh) 2013-05-06 2016-01-20 派克斯实验公司 用于气溶胶装置的烟碱盐调配物及其方法
EP4268640A3 (en) * 2013-05-22 2023-12-06 Njoy, Inc. Compositions, devices, and methods for nicotine aerosol delivery
CN110367592B (zh) * 2013-07-19 2022-12-02 奥驰亚客户服务有限责任公司 电子吸烟器具的液体气溶胶制剂
CN103720030B (zh) * 2013-12-13 2015-08-05 浙江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利用烟末提取物制备的电子烟烟液及其制备方法
CN103989245B (zh) * 2014-06-06 2015-08-05 山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有效降低口腔甜腻感的中式烤烟香型电子烟烟液
CN103989244B (zh) * 2014-06-06 2016-10-05 山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中式电子烟烟液及其制备方法
GB2528673B (en) * 2014-07-25 2020-07-01 Nicoventures Holdings Ltd Aerosol provision system
RU2687759C2 (ru) 2014-09-30 2019-05-16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Извлечение табач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при обработке
US10251426B2 (en) * 2014-10-03 2019-04-09 Fertin Pharma A/S Electronic nicotine delivery system
PT3232839T (pt) * 2014-12-15 2019-05-16 Philip Morris Products Sa Conjunto de aquecedor de modo continuo para sistema gerador de aerossol
KR20160119549A (ko) * 2015-04-06 2016-10-14 주식회사 모바일컨버전스 네트워크 vpn 기반의 네트워크 가상화 시스템
KR20160119459A (ko) 2015-04-06 2016-10-14 (주)에스제이바이오텍 전자담배액 조성물
GB201521626D0 (en) * 2015-12-08 2016-01-20 British American Tobacco Co Tobacco composition
CN105581378B (zh) 2016-03-17 2018-05-18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自生气体超声雾化电子烟气传输系统
US20190116863A1 (en) 2017-10-24 2019-04-25 Rai Strategic Holdings, Inc. Method for formulating aerosol precursor for aerosol delivery device
US11388924B2 (en) * 2018-02-02 2022-07-19 10150703 Canada Inc. Nicotine ion pair formulation neutralized with CO2 and process therefor
ES2943840T3 (es) 2018-10-24 2023-06-16 Zanoprima Lifesciences Ltd Composició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029A (ko) * 2007-06-25 2010-03-31 카인드 컨슈머 리미티드 니코틴을 포함하는 흡입성 조성물
KR101208473B1 (ko) * 2011-07-25 2012-12-05 장남숙 전자 담배용 무화용액 조성물
KR20160008271A (ko) * 2014-07-14 2016-01-22 김한기 무화기용 액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97425A (ko) * 2015-02-06 2016-08-18 홍종국 전자담배용 액상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365396A1 (en) 2021-05-20
JP7457069B2 (ja) 2024-03-27
SI3840596T1 (sl) 2023-06-30
EP3840596B1 (en) 2023-02-08
GB202010926D0 (en) 2020-08-26
HUE061610T2 (hu) 2023-07-28
GB202010902D0 (en) 2020-08-26
AU2019365396B2 (en) 2022-02-03
GB2583851B (en) 2021-05-19
DK3840596T3 (da) 2023-05-01
WO2020084024A1 (en) 2020-04-30
KR102350585B1 (ko) 2022-01-13
GB2583657B (en) 2021-03-24
BR122022014023B1 (pt) 2023-02-07
US11684080B2 (en) 2023-06-27
ZA202102675B (en) 2023-12-20
JP7177926B2 (ja) 2022-11-24
BR112021007733A2 (pt) 2021-07-27
LT3840596T (lt) 2023-05-10
MX2021004564A (es) 2021-07-16
CA3111709A1 (en) 2020-04-30
JP2022160540A (ja) 2022-10-19
FI3840596T3 (fi) 2023-04-26
CN112739223A (zh) 2021-04-30
JP2021534812A (ja) 2021-12-16
CN112739223B (zh) 2022-12-02
GB2583851A (en) 2020-11-11
US20210315261A1 (en) 2021-10-14
GB2583657A (en) 2020-11-04
CA3111709C (en) 2022-01-18
EP3840596A1 (en) 2021-06-30
PL3840596T3 (pl) 2023-07-31
ES2943840T3 (es) 2023-06-16
RS64142B1 (sr) 2023-05-31
KR20210154875A (ko) 2021-12-21
HRP20230420T1 (hr)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31124T3 (es) Solución que comprende nicotina en forma no protonada y en forma protonada
RU2671775C1 (ru) Жид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электронных сигарет
JP7457069B2 (ja) 組成物
KR101208473B1 (ko) 전자 담배용 무화용액 조성물
US20160366927A1 (en) A solvent for electronic cigarette liquid and an electronic cigarette liquid
US20160366928A1 (en) Solvent for electronic cigarette liquid and an electronic cigarette liquid
JP2022506073A (ja) エアロゾル化可能な配合物
US20220142227A1 (en) Vaping compositions
JP2022506094A (ja) エアロゾル化可能な配合物
JP2022506068A (ja) エアロゾル化可能な配合物
JP2022534009A (ja) ニコチン液体製剤
KR20220143077A (ko) 니코틴 및/또는 니코틴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니코틴 및/또는 니코틴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초음파 에어로졸화
JP2022505851A (ja) エアロゾル化可能な配合物
EP3446577B1 (en) Tobacco filling for non-combustion-type heating smoking article
CN105361238A (zh) 一种含pH调节剂的电子烟烟液及提高电子烟烟液抽吸感的方法
US11690396B2 (en) Electronic cigarette composition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R3089761A1 (fr) Composition liquide de cigarette électronique
CN114745973B (zh) 包含电子烟液组合物的按重量计低于50%的1,3-丙二醇的该组合物
BR112021007733B1 (pt) Composição inalável e método para fabricar a referida composição
TWI627910B (zh) 非燃燒型加熱吸煙物品
TW201740823A (zh) 非燃燒型加熱吸煙物品用的煙草填充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