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798A - 디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798A
KR20210045798A KR1020190129255A KR20190129255A KR20210045798A KR 20210045798 A KR20210045798 A KR 20210045798A KR 1020190129255 A KR1020190129255 A KR 1020190129255A KR 20190129255 A KR20190129255 A KR 20190129255A KR 20210045798 A KR20210045798 A KR 20210045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lycol
weight
dipropylene glycol
distillation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109B1 (ko
Inventor
오동엽
강대성
박수현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피아이씨글로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피아이씨글로벌(주)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피아이씨글로벌(주)
Priority to KR1020190129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109B1/ko
Priority to PCT/KR2020/014192 priority patent/WO2021075923A1/ko
Publication of KR20210045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상기 구현예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모노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99.5 중량% 이상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냄새가 저감되어 냄새에 민감한 용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장품에 적용할 경우 화장품의 사용감 및 발림성이 우수하고 끈적임과 번들거림이 없으며, 자연스러운 화장막의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DIPROPYLENE GLYCOL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구현예는 디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은 화장품, 연고 등의 의약품, 부동액, 계면 활성제, 고급 극성 용제의 원료 등 그 응용 분야가 광범위한 원료이다.
이러한 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와 물을 반응시켜 제조된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의 분류에 의해 모노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에는 프로필렌옥사이드로부터 유입되어 후속 공정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불순물이 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의 물성 또는 냄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냄새 정도에 따라 냄새에 민감한 용도, 예를 들어 화장품 또는 연고 등의 의약품에 사용하는 경우 사용감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을 냄새에 민감한 용도, 예를 들어, 화장품, 식품, 의약품 및 담배 등의 다양한 제품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조성물의 물성 및 냄새제거가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 3,574,772 호
구현예는 특정 함량 범위의 디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함으로써, 냄새가 저감되어 사용감이 좋으며, 특히 화장품에 적용할 경우 화장품의 발림성이 우수하고 끈적임과 번들거림이 없으며, 자연스러운 화장막의 외관을 구현할 수 있어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 구현예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모노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99.5 중량% 이상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물을 반응시키는 제1 공정; 상기 제1 공정에서 얻은 생성물을 제1 증류탑으로 공급하고 증류하여 모노프로필렌글리콜을 분리하는 제2 공정; 상기 제1 증류탑에 잔존하는 혼합액을 제2 증류탑으로 공급하고 증류하여 디프로필렌글리콜을 분리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된 디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은 99.5 중량% 이상인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을 제공한다.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특정 함량 범위의 디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함으로써, 냄새가 저감된 고순도 및 고품질의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냄새에 민감한 용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성물을 화장품에 적용할 경우 화장품의 사용감 및 발림성이 우수하고 끈적임과 번들거림이 없으며, 자연스러운 화장막의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구현예를 통해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현예는 이하에서 개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성분의 양, 반응 조건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숫자 및 표현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써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조성물>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은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모노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99.5 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디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을 99.5 중량% 이상으로 조절함으로써, 냄새가 제어된 고순도 및 고품질의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냄새에 민감한 용도, 예를 들면, 화장품, 식품, 의학 및 담배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조성물을 화장품에 적용할 경우 화장품의 사용감 및 발림성이 우수하고 끈적임과 번들거림이 없으며, 자연스러운 화장막의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99.5 중량% 이상, 99.6 중량% 이상, 99.7 중량% 이상, 99.8 중량% 이상 또는 99.9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각 성분의 함량, 특히 디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에 따라 냄새가 달라지므로 조성물 내에 포함된 각 성분의 함량은 본 조성물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99.5 중량% 미만인 경우 냄새가 발생할 수 있으며, 디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이 낮을수록 숙련자는 물론, 누구에게나 감지되는 맡기 싫은 냄새 또는 비린냄새 등이 발생할 수 있고, 화장품의 사용감 및 발림성에 악영향을 끼치거나 끈적임 정도가 심할 수 있다.
상기 냄새는 고순도의 디프로필렌글리콜 제조시 사용된 원료물질인 프로필렌옥사이드에서 발생하는 냄새 유발물질, 또는 디프로필렌글리콜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순물로부터 발생할 수 있으며, 디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이 높을수록 불순물(냄새 유발물질)의 함량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냄새가 저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냄새 유발물질은 알데하이드류 화합물, 케톤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아세트알데하이드,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모노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노프로필렌글리콜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하, 구체적으로 0.3 중량%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0.2 중량% 이하 또는 0.1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프로필렌글리콜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중량% 이하, 0.02 중량% 이하, 또는 0.0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하, 구체적으로 0.4 중량%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0.3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25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0.05 중량% 이하, 0.02 중량% 이하 또는 0.0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모노프로필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혼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0.5 중량%, 구체적으로 0.001 중량% 내지 0.45 중량%, 0.001 중량% 내지 0.4 중량%, 0.001 중량% 내지 0.3 중량%, 0.001 중량% 내지 0.2 중량% 또는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 따르면,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각 성분의 함량비가 중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상기 모노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비는 1 : 0.0001 내지 0.005 중량비, 1 : 0.0001 내지 0.004 중량비 또는 1 : 0.0001 내지 0.003 중량비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모노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비해 많은 경우 냄새가 증가하고, 상기 조성물을 화장품에 적용시 화장품의 사용감 및 발림성 효과가 저조하며, 끈적임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상기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비는 1 : 0.0001 내지 0.005 중량비, 1 : 0.0001 내지 0.004 중량비 또는 1 : 0.0001 내지 0.003 중량비일 수 있다. 만일 상기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비해 많은 경우 냄새가 증가하고, 상기 조성물을 화장품에 적용시 화장품의 사용감 및 발림성 효과가 저조하며, 끈적임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노프로필렌글리콜 및 상기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비는 1 : 10 내지 10 : 1 중량비, 1 : 8 내지 8 : 1 중량비, 1 : 5 내지 5 : 1 중량비, 또는 1 : 3 내지 3 : 1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모노프로필렌글리콜 및 상기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냄새 저감 효과가 더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노프로필렌글리콜 및 상기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비가 1 : 3 내지 3 : 1 중량비를 만족하는 경우 냄새 저감 효과는 물론, 상기 조성물을 화장품에 적용시 화장품의 사용감 및 발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을 0.1 중량% 이하의 양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펜타프로필렌글리콜 및 헥사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0.1 중량% 이하의 양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비해 많은 경우 냄새가 증가하고, 화장품의 사용감 및 발림성 효과가 저조할 수 있으며, 끈적임이 증가할 수 있다.
<조성물의 제조방법>
한편, 본 발명은 구현예에 따라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물을 반응시키는 제1 공정; 상기 제1 공정에서 얻은 생성물을 제1 증류탑으로 공급하고 증류하여 모노프로필렌글리콜을 분리하는 제2 공정; 상기 제1 증류탑에 잔존하는 혼합액을 제2 증류탑으로 공급하고 증류하여 디프로필렌글리콜을 분리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된 디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은 99.5 중량% 이상인,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모노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노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증류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증류 또는 다단증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증류탑은 탑정구역 및 탑저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탑정구역 및 상기 탑저구역에 구비되는 각각의 단수는 증류곡선에 의해 산출되어지는 이론단수의 80 % 내지 200 % 범위, 100 % 내지 170 %, 또는 120 % 내지 140 %일 수 있다.
여기서 얻어진 탑의 단수는 이론단수로서, 이상적인 단수이기 때문에 실제 탑에서 단수는 통상의 설계기준에 따라 이론단수의 80 내지 20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출되어진 이론단수의 80 % 미만일 경우 예비분리영역에서 저비점과 고비점 성분의 분리가 잘되지 않을 수 있고, 200 % 초과일 경우 최소환류비 영역이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더 이상 증가되지 않고, 투자비만 증가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Fenske-Underwood식을 이용하여 이론단수를 구하였다(Fenske-Underwood식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식이다).
또한, 상기 탑정구역은 증류탑의 최상단부를 의미하고, 상기 탑저구역은 증류탑의 최하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은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물을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프로필렌옥사이드 조성물 및 물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물의 혼합비는 1 : 1 내지 5 중량비, 구체적으로 1: 2 내지 5 중량비, 1 : 2 내지 4 중량비 또는 1 : 2.5 내지 3.5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반응은 10 kg/㎠G 내지 30 kg/㎠G, 13 내지 25 kg/㎠G, 10 kg/㎠G 내지 20 kg/㎠G, 15 kg/㎠G 내지 20 kg/㎠G, 또는 10 kg/㎠G 내지 15 kg/㎠G 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반응 온도는 100 ℃ 내지 250 ℃, 100 ℃ 내지 200 ℃, 110 내지 190 ℃, 또는 120 내지 180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반응 시간은 0.2 시간 내지 3 시간, 0.5 시간 내지 2.5 시간 또는 1 시간 내지 2 시간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정에서 얻은 생성물을 제1 증류탑으로 공급(제2 공정)하기 이전에 미반응 물질 및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공정에서 얻은 생성물 중 미반응 프로필렌옥사이드, 물 및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1 공정에 얻은 생성물을 증류탑 A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은 상기 제1 공정에서 얻은 생성물을 제1 증류탑으로 공급하고 증류하여 모노프로필렌글리콜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공정에서 얻은 생성물 중 미반응 프로필렌옥사이드, 물 및 기타 불순물을 상기 증류탑 A에서 제거한 경우, 상기 증류탑 A의 탑저액을 제1 증류탑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모노프로필렌글리콜의 분리는 제1 증류탑의 탑정구역에서 50 Torr 내지 200 Torr의 압력 및 100 ℃ 내지 200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증류탑의 탑저구역의 온도는 100 ℃ 내지 300 ℃, 100 ℃ 내지 200 ℃, 200 ℃ 초과 내지 300 ℃ 이하, 또는 150 ℃ 내지 250 ℃일 수 있다. 상기 제1 증류탑의 상부에서 고순도의 모노프로필렌글리콜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공정은 상기 제1 증류탑에 잔존하는 혼합액을 제2 증류탑으로 공급하고 증류하여 디프로필렌글리콜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3 공정에서, 상기 제1 증류탑에 잔존하는 혼합액,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증류탑의 탑저액은 제2 증류탑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의 분리는 제2 증류탑의 탑정구역에서 20 Torr 내지 100 Torr의 압력 및 130 ℃ 내지 180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의 분리는 제2 증류탑의 탑정구역에서 50 Torr 내지 100 Torr의 압력 및 140 ℃ 내지 175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3 공정에서, 상기 혼합액은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증류탑의 탑저구역에서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상기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비점을 낮추기 위해 고진공하에서 운전될 수 있으며, 탑저구역의 온도는 150 ℃ 내지 300 ℃, 160 ℃ 내지 280 ℃, 180 ℃ 내지 240 ℃, 또는 150 ℃ 내지 25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상기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비점은 각각 130 내지 180 ℃ 및 150 내지 250 ℃일 수 있다. 상기 제2 증류탑의 상부에서 고순도의 디프로필렌글리콜을 분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분리된 디프로필렌글리콜을 혼합할 수 있도록 제2 증류탑은 직렬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디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 분리된 디프로필렌글리콜 외에도 모노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펜타프로필렌글리콜 및 헥사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99.5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 분석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STM E (Standard Test Methods for Analysis of Ethylene Glycols and Propylene Glycols) 실험법에 의거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량분석할 수 있다.
<조성물의 물성>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의 냄새 강도 지수(odor index)는 3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냄새 강도 지수는 1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의 냄새 강도 지수는 0 내지 3 미만, 0 내지 2, 0 내지 1 또는 0 내지 0.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냄새 강도 지수(odor index)는 상기 조성물을 60 ℃ 물과 약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냄새 확인 시, 무취인 경우를 0, 숙련인에게만 감지된 경우를 1.0, 누구에게나 감지되면서, 맡기 싫은 냄새는 아닌 경우를 1.5~2.0, 및 누구에게나 감지되며서, 비릿한 냄새가 난 경우를 2.5~3.0으로 기준을 정하여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99.5 중량% 이상의 함량을 갖는 디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냄새가 저감되어 냄새에 민감한 용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현예에 따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며, 상기 제품은 구체적으로 화장품, 식품, 의약품, 또는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실시예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제1 공정
단열 반응기에 프로필렌옥사이드 0.5 kg 및 물 1.5 kg을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기의 압력은 15 kg/㎠G 이었고, 온도는 150 ℃로 유지하였다. 상기 반응기 유출물 중 미반응 프로필렌글리콜, 물 및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제2 공정
상기 제1 공정에서 얻은 생성물을 제1 증류탑으로 공급하고, 진공하에서 탑정온도 130 ℃에서 증류하여 탑정구역에서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모노프로필렌글리콜을 분리하였다. 이때, 제1 증류탑의 탑저온도는 200 ℃였다.
제3 공정
상기 제1 증류탑의 탑저구역에서 잔존하는 혼합액을 제2 증류탑으로 공급하고 증류하여 디프로필렌글리콜을 분리하였다. 상기 제2 증류탑의 탑정구역에서 80 Torr의 압력의 고진공하에서 160 ℃의 온도에서 수행하여 고순도의 디프로필렌글리콜을 분리하여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었다. 이때, 상기 제2 증류탑의 탑저온도는 200 ℃였다.
상기 조성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를 통해 상기 조성물 내에 포함된 각 성분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하기 표 1과 같이 MPG, DPG 및 TPG의 함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디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과 같이 MPG, DPG 및 TPG의 함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디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었다.
평가예
<평가예 1: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 측정>
ASTM E (Standard Test Methods for Analysis of Ethylene Glycols and Propylene Glycols) 실험법에 의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조성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 방법을 통해 정량 분석하였다.
<평가예 2: 냄새 강도 지수(odor index)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조성물을 60 ℃의 물과 1:1로 혼합하여 하기 기준에 의하여, 각각 조성물의 냄새 강도 지수를 측정하였다.
0: 무취
1.0: 숙련인에게만 감지된다.
1.5~2.0: 누구에게나 감지되나, 맡기 싫은 냄새는 아니다.
2.5~3.0: 누구에게나 감지되며, 비릿한 냄새가 난다.
상기 측정된 강도지수를 하기 기준에 따라 O 및 X로 기재한 냄새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O: 냄새 강도 지수 2.0 이하
X: 냄새 강도 지수 2.5 내지 3.0
단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MPG 0.00 0.10 0.05 0.10 0.01 0.20 0.50 0.40
DPG 99.99 99.80 99.70 99.60 99.99 99.40 99.20 99.20
TPG 0.01 0.10 0.25 0.30 0 0.40 0.30 0.40
냄새
테스트
O O O O O X X X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에서 얻은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은 조성물에 비해 냄새가 현저히 저감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5에서 얻은 조성물은 디프로필렌글리콜 함량이 모두 99.5 중량% 이상이었고, 디프로필렌글리콜 함량이 모두 99.5 중량% 미만인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은 조성물에 비해 냄새 강도 지수가 현저히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에서 얻은 조성물은 냄새에 민감한 용도인, 화장품, 식품, 의약품 및 담배 등의 제품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모노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99.5 중량% 이상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0.5 중량%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상기 모노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비가 1 : 0.0001 내지 0.005 중량비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상기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비가 1 : 0.0001 내지 0.005 중량비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프로필렌글리콜 및 상기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비가 1 : 10 내지 10 : 1 중량비인,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을 0.1 중량% 이하의 양으로 더 포함하는, 조성물.
  7.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물을 반응시키는 제1 공정;
    상기 제1 공정에서 얻은 생성물을 제1 증류탑으로 공급하고 증류하여 모노프로필렌글리콜을 분리하는 제2 공정;
    상기 제1 증류탑에 잔존하는 혼합액을 제2 증류탑으로 공급하고 증류하여 디프로필렌글리콜을 분리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된 디프로필렌글리콜의 함량은 99.5 중량% 이상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모노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증류탑이 탑정구역 및 탑저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탑정구역 및 상기 탑저구역에 구비되는 각각의 단수는 증류곡선에 의해 산출되어지는 이론단수의 80 % 내지 200 % 범위 이내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 상기 반응은 10 kg/㎠G 내지 30 kg/㎠G의 압력 및 10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 상기 모노프로필렌글리콜의 분리는 제1 증류탑의 탑정구역에서 50 Torr 내지 200 Torr의 압력 및 100 ℃ 내지 20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정에서,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의 분리는 제2 증류탑의 탑정구역에서 20 Torr 내지 100 Torr의 압력 및 130 ℃ 내지 18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정에서, 상기 혼합액이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 얻은 생성물을 제1 증류탑으로 공급하기 이전에 미반응 물질 및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 1 항의 조성물을 이용한 제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 화장품, 식품, 의약품, 또는 담배인, 제품.
KR1020190129255A 2019-10-17 2019-10-17 디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3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255A KR102263109B1 (ko) 2019-10-17 2019-10-17 디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20/014192 WO2021075923A1 (ko) 2019-10-17 2020-10-16 디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255A KR102263109B1 (ko) 2019-10-17 2019-10-17 디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798A true KR20210045798A (ko) 2021-04-27
KR102263109B1 KR102263109B1 (ko) 2021-06-09

Family

ID=75725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255A KR102263109B1 (ko) 2019-10-17 2019-10-17 디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1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4772B2 (ja) 1999-12-28 2004-10-06 Necトーキン株式会社 円筒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4772B2 (ja) 1999-12-28 2004-10-06 Necトーキン株式会社 円筒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ow introduces Dipropylene Glycol LO+", Cosmetics design.com 인터넷 기사(인터넷 URL: https://www.cosmeticsdesign.com/Article/2003/04/14/Dow- introduces- Dipropylene- Glycol-LO), (기사 최종 수정일: 2008.07.18.)* *
Shinjiro Ishihara 외 4명, "Development of New Dipropylene Glycol / Tripropylene Glycol Process", SUMITOMO KAGAKU, Published 201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109B1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7770A (en) Separation of ethanol from isopropanol by azeotropic distillation
US5993610A (en) Separation of ethyl acetate from ethanol by azeotropic distillation
US7695595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purified hydrofluoroalkane, purified hydrofluoroalkane, use of the hydrofluoroalkane and method for the analysis of a hydrofluoroalkane
EP2660230B1 (en) Method for producing high-purity neopentyl glycol using a dividing wall column
DE3426359A1 (de) Verfahren zur gewinnung von hochreinem 1-buten
EP4083002A1 (en) Method for producing 1,3-butylene glycol, and 1,3-butylene glycol product
US5425853A (en) Separation of propylene glycol from ethylene glycol by azeotropic distillation
DE10309367A1 (de) Verfahren zur Dehydratisierung von Alkoholen zu a-Olefinen
JPH11500437A (ja) アルコールの蒸留法
KR102263109B1 (ko) 디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2051954B1 (en) Azeotropic or azeotropic-like compositions of 1,1,1-trifluoroethane and 1-chloro-2,2,2-trifluoroethane
KR102295635B1 (ko) 디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의 탈취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조성물
KR102263116B1 (ko) 디프로필렌글리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7077960B2 (en) Method for obtaining a purified hydrofluoroalkane, purified hydrofluoroalkane, use of same and method for analysing same
US5417813A (en) Separation of 1-butanol from 2-pentanol by azeotropic distillation
EP2985338B1 (en) Fragranc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5439561A (en) Separation of 3-methyl-2-butanol from 2-pentanol by azeotropic
US3245884A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polyethlene glycols
CN109796320B (zh) 一种以山苍子油为原料制备柠檬醛的方法
US5407541A (en) Separation of 3-methyl-2-butanol from 2-pentanol by azeotropic distillation
EP1999102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n-dimethylaminoethoxyethanol
JP4126512B2 (ja) ジアルキルカーボネートとアルキルカーバメートの分離方法
US5580427A (en) Separation of butyraldehyde from ethanol by azeotropic distillation
US2717233A (en) Separation of gamma benzene hexachloride by distillation
US3817842A (en) Process for purifying bromochloro-trifluoroethane by azeotropic disti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