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976A -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가 구성된 면상발열체 - Google Patents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가 구성된 면상발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976A
KR20210044976A KR1020190128123A KR20190128123A KR20210044976A KR 20210044976 A KR20210044976 A KR 20210044976A KR 1020190128123 A KR1020190128123 A KR 1020190128123A KR 20190128123 A KR20190128123 A KR 20190128123A KR 20210044976 A KR20210044976 A KR 20210044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nductive fabric
heating element
conductiv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966B1 (ko
Inventor
신석균
Original Assignee
지유엠아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유엠아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유엠아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8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9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05B3/345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knitted fabr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05B3/347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woven fabr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6Heaters using particular conn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 재질로 직조된 도전성원단(10)과 상기 도전성원단(10)의 상부 또는 하부 양측에 비신축성과 신축성이 적층된 도전체(20)로 구성되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작이 편리하고, 도전성을 갖는 원단으로 제조되어, 어느 한 부분이 단락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에 전혀 지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으로 선택적인 제작을 통해 사용하려는 위치에 대응할 수 있고, 부착 또는 구성하려는 매트 등에 박음질 등으로 손쉽게 결합이 가능하며, 사용하려는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손쉽게 제작이 가능하고, 도전체가 면상발열체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고 외측에 선택적으로 탈, 부착 또는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부분적인 교체를 통한 경제적 효율성이 높으며, 누구나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고, 도전체의 이중구조를 통해 전체적인 내구성과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가 구성된 면상발열체{Planar heating element in which a conductor having a double structure and a conductor having a double structure are formed in a conductive fabric that realizes a heat generating function}
본 발명은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일측면에 도전성을 갖는 탄소원단의 양측에 도전체를 부착, 박음질, 결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하여, 간편 제작이 가능하고, 사용상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제작 및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을 갖도록 하며, 나아가 도전체의 내구성과 전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가 구성된 면상발열체에 관한 기술이다.
통상적으로 면상발열체는 다양한 분야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먼저, 차량 및 사용자들의 엉덩이 부분이 직접적으로 닿는 매트 또는 매트릭스에 부착 구성되어 온열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병원, 침대 등에 치료의 목적 또는 기타 목적으로 매트릭스에 부착 구성되어서 온열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겨울철 및 수중속에서 체온 유지를 위하여 다양한 발열조끼들을 입기 마련인데 그 발열조끼 내부에도 발열체를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면상발열체의 구조층을 보면, 상, 하부원단이 상하부에 배치 구성되고, 그 사이에 탄소사, 점착제, 도전체가 구성되어 상기 상, 하부원단에 양측끝단을 접은 후,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매트, 매트릭스, 의류(발열조끼 등)등에 부착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면상발열체는 비교적 그 높이(두께)가 두꺼워 사용 시 배김 현상 등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탄소사가 끊어질 경우 발열량이 줄어들어 A/S를 하거나 새로 구매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따랐다.
이에 근래에는 상기한 문제점들로 인해 도전성을 갖는 원단을 발열체의 주 구성품으로 하여 제조되는 면상발열체를 대체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면상발열체는 도전성을 갖는 원단이 직조, 편직,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용도에 맞춰 다양하게 제작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20-0435898호(실) 도전성 탄화섬유(탄소섬유, 흑연섬유, 중온탄화섬유, 활성탄소섬유 등)를 10 내지 90%와 비전도성 섬유 10 내지 90%의 비율로 혼방하여 만든 혼방 방적사(絲)(즉, 도전사)를 중심으로 양 쪽에 일반 섬유사(絲)를 이용하여 금속사(絲)고정하고, 금속사(絲)와 도전사(絲)를 병렬직조하여 중심부는 상기 도전사(絲)로 직조하는하면서 도전사(絲)와 일반 섬유사(絲)를 교
대로 직조하는 직조섬유; 상기 병렬직조하면서 도전사(絲)와 일반 섬유사(絲)를 교대로 직조하고, 일반 섬유사(絲)가 도전사(絲)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1차 보호코팅 후 코팅된 직조 섬유의 상하에 PVC계, TPE계 또는 TPU계 Sheet를 적층하여 열융착으로 1 내지 10㎏/㎡의 압력을 가하고, 상온에서 탄소 내지 200℃까지의 온도를 상승시켜 열 압착한 후 급냉으로 절연코팅한 면상발열체; 상기 제조된 면상발열체의 일측에 일반 전선과 연결하도록 전극 부분에 펀칭홈을 내는 전극처리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사를 이용한 면상발열체에 관한 기술이다.
등록번호 10-1269195호(특) PET 섬유재질의 심선과, 상기 심선의 표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나선형태로 권취되며, 심선보다 용융점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 본딩선, 및 상기 심선의 표면에 권취된 본딩선의 위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선형태로 권취되며, 상기 본딩선의 나선형태와 역방향과 정방향의 순으로 교번되게 순차 권취되어 본딩선과 교차되는 하나 이상의 도전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열에 의해 본딩선이 용융되어, 본딩선과 도전선이 교차되는 부분에서 도전선이 심선의 표면에 점 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사에 관한 기술이다.
등록번호 10-1541651호(특) 직조된 면상발열체 원단에 의한 면상발열체는, 카본사로 구성된 발열부에 위사로 공급된 구리도전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구리도전사를 경사로 공급하여 직조된 전극부의 양쪽 비도전부에 위사로 공급된 구리도전사를 선택적으로 절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에 관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탄소섬유원단을 이용한 면상발열체는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접속수단으로 사용되는 도전이 가능한 도전체 등이 면상발열체의 내부에 포함되게 구성되어 있어, 한번 제작한 면상발열체의 형상 변경이 불가능한 구조임에 따라, 사용 용도에 맞춰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기술들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면상발열체를 사용하려는 용도에 맞춰 선택적으로 그 현상을 자유롭게 구성 및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으로 구성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부분적인 교체를 통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누구나 손쉽게 교체 가능한 간단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상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편직 또는 직조로 이루어져 매트 등에 구성할 시 위치제약 없이 손쉽게 박음질 처리 할 수 있고, 나아가 도전체의 전체적인 내구성과 더불어 도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탄소섬유의 면상발열체용 도전성원단(10)의 양측에 구성되는 도전체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원단(10)의 도전성(11)이 있는 상부 또는 하부 양측에 각각 부착 구성되되, 알루미늄, 구리, 금속, SUS, 니켈, 은, 금 중 어느 하나의 비신축성 재질로 구성되고, 내, 외측에 각각 도전성을 갖는 점착제(21)가 구성되는 제1도전체(20a)와, 상기 제1도전체(20a)의 상부에 부착 구성되되, 직조된 섬유원단으로 신축성을 가지며, 내측에 도전성을 갖는 점착제(21a)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절연성 또는 도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전력수단과 연결 되는 도전체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도전체(20b)는 상기 제1도전체(20a)의 폭과 동일 또는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사용목적에 따라 임의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도전성(11)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으로 구성되는 도전성원단(10); 상기 도전체(2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성원단(10)은 상, 하측면에 각각 도전성(11)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성원단(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전도성액체를 도금 형태로 코팅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성원단(10)의 신축성은 편직제작 또는 니트직조, 나일롱, 스판텍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성원단(10)의 비신축성은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성원단(10)의 양측에는 도전성(11)을 가지며 양측면에 슬라이드홀(31)이 형성되는 연결수단(30)이 구성되고, 상기 도전체(20)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홀(31)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부(23)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전체(20)는 도전성원단(10)에 박음질(40)되어 고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작이 편리하고, 도전성을 갖는 원단으로 제조되어, 어느 한 부분이 단락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에 전혀 지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으로 선택적인 제작을 통해 사용하려는 위치에 대응할 수 있고, 부착 또는 구성하려는 매트 등에 박음질 등으로 손쉽게 결합이 가능하며, 사용하려는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손쉽게 제작이 가능하고, 도전체가 면상발열체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고 외측에 선택적으로 탈, 부착 또는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부분적인 교체를 통한 경제적 효율성이 높으며, 누구나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고, 도전체의 이중구조를 통해 전체적인 내구성과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단면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일측면에 도전성을 갖는 탄소원단의 양측에 도전체를 부착, 박음질, 결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하여, 간편 제작이 가능하고, 사용상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제작 및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을 갖도록 하며, 나아가 도전체의 내구성과 전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가 구성된 면상발열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섬유의 면상발열체용 도전성원단(10)의 양측에 구성되는 도전체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원단(10)의 도전성(11)이 있는 상부 또는 하부 양측에 각각 부착 구성되되, 알루미늄, 구리, 금속, SUS, 니켈, 은, 금 중 어느 하나의 비신축성 재질로 구성되고, 내, 외측에 각각 도전성을 갖는 점착제(21)가 구성되는 제1도전체(20a)와, 상기 제1도전체(20a)의 상부에 부착 구성되되, 직조된 섬유원단으로 신축성을 가지며, 내측에 도전성을 갖는 점착제(21a)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절연성 또는 도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전력수단과 연결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도전체(20a)는 통상적으로 일반적인 강성을 가져야 하는 재질로 구성되며 전도성이 높으나 굳힘 등에 취약하고, 상기 제2도전체(20b)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나 찢어짐 및 전도성이 낮은 것을 상호, 상호 적층(이중구조)되는 구성을 통해, 접힘 시 상기 제1도전체(20a)의 훼손, 단락 등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2도전체(20b)에 의해 도전 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그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제2도전체(20b)의 찢어짐 등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도전체(20a)에 의해 도전 기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도전체(20)는 제1도전체(20a)와 제2도전체(20b)의 장, 단점을 상호 보완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동시에 극복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도전체(20b)는 상기 제1도전체(20a)의 폭과 동일 또는 더 넓게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2도전체(20b)의 크기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가 있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도전체(20b)가 제1도전체(20a)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더 넓게 형성되는 목적으로는 상기 제1도전체(20a)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굳힘 등에 의해 훼손될 시 도전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러한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가 구성된 면상발열체의 구성을 보면,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통상적으로 면상발열체의 경우 전력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도전체로 각각의 배선 등으로 연결되어 발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선 등은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목적에 따라 임의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는 도전성(11)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으로 구성되는 도전성원단(10); 상기 도전체(20); 로 구성된다.
상기 도전성원단(10)은 통상적으로 저항이 높도록 구성되는데, 도전성원단(10)을 제작 방법으로는 편직, 니트 직조 등의 방식으로 매우 촘촘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도전성원단(10)의 장점은 종래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대체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탄소사들의 단락 등이 발생할 경우, 최적의 발열효율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가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도전성원단(10)은 매우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어 어느 한 부분이 단락된다고 하더라도 발열효율성이 사용자들이 느끼지 못할 정도임으로써, 최조 제작된 탄소섬유원단과 어느 한 부분이 단락된 원단과 그 차이가 아주 미미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전성원단(10)은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또는 하측에 도전성(11)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상기 도전성(11)의 경우 실질적으로 상기 도전체(20)와 연결된 전력수단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발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도전성원단(10)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전성원단(10)는 상, 하측면에 각각 도전성(11)을 갖도록 구성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선택은 제작 및 기타 상황에 따라서 다양하게 가변시켜 구성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도전성원단(10)은 상면 또는 하면 어느 한쪽에는 도전성(11)을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원단(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도전성(11)을 가지도록 구성하거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도전성(11)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또는 하면에 도전성(11)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도전성(11)을 가지지 않은 상면 또는 하면에 절연성(13)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예시 모두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도전성원단(10)의 구성되는 전도성(11)은 전도성액체를 도금 형태로 코팅되어 구성되고, 상기 코팅의 방법으로는 통상의 코팅방법과 유사하게 전도성액체를 분사형태로 도전성원단(10)의 일면에 도포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전체(2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전성원단(10)의 양측에 각각 구성된다.
상기 도전체(20)의 경우 종래에는 면상발열체를 구성할 시, 면상발열체의 내부에 포함되게 편직 또는 직조되게 구성되어 하나의 형태로 면상발열체가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전성원단(10)의 외부 양측에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가 있게 되어, 제작이 간편한 장점을 갖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예로써, 도전성원단(10)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도전성(11)을 가지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일측면에 도전성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그 도전성을 가진 부분이 상기 도전성원단(10)의 도전성(11)을 가지진 부분과 접촉되도록 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전체(20)의 내측면에는 상기 도전성원단(10)과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점착제(21)가 구성되는데, 상기 점착제(21)는 도전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도전체(20)는 상기 도전성원단(10)과 접촉되는 일면(내측면)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측에는 도전성 또는 절연성으로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가 있고, 상기 도전체(20)의 내측에 점착제(21)를 구성할 시, 상기 점착제(21)도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전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전성원단(10)의 상부 양측에만 구성할 수도 있고, 접촉력 또는 부착력 등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도전성원단(10)의 양측에 구성되되 양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가 있다.
상기 도전체(20)가 도전성원단(10)의 양측에 별도로 구성됨에 따라서 최초 상기 도전성원단(10)의 형태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가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전성원단(10)을 대량생산한 후, 고객들의 요청 또는 사용하려는 목적에 따라 상기 도전성원단(10)의 형태 및 크기를 결정한 후 양측에 도전체(20)를 연결 구성시킴으로써 제작의 편리성을 가질 수가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면상발열체는 최초 제작 시에 도전체가 면상발열체의 내부에 포함되어 하나의 모듈화된 형태로 구성되어, 한번 제작된 면상발열체는 특정위치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그 크기만 달리지고 제작 시에 편직 또는 직조에 의해 도전체가 구성됨으로써, 제작이 불편하였던 것을, 완벽하게 극복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 도전성원단(10)을 구성할 시,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도전성(11)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도전성원단(10)의 양측에 도전체(20)만 부착 구성하게 되면 손쉽게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상기 도전성원단(10)은 제작하려는 그 형상에 맞춰서 다양한 형상(원형, 사다리꼴, 다각형 등)으로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는 통상적으로 침대, 매트, 차량용 매트, 발열조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도전성원단(10)과 도전체(20)는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상기 도전성원단(10)의 신축성은 편직제작 또는 니트 직조, 나일론, 스판덱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신축이 필요한 옷의 경우 무릎등과 같은 부위에 배치될 시, 착용자들의 불편함을 해소해줄 수가 있게 되고, 그에 맞는 별도의 면상발열체를 구비할 필요가 전혀 없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다.
즉, 신축성은 도전성원단(10)일 경우 신체활동이 많거나 무게하중 등의 압력이 가해지는 옷, 매트 등의 분야에 적용 시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도전성원단(10)은 필요에 따라서 비신축성으로 구성할 수가 있으며 그 비신축성은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재질로 구성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전성원단(10)의 양측에는 도전성(11)을 가지며 양측면에 슬라이드홀(31)이 형성되는 연결수단(30)이 구성되고, 상기 도전체(20)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홀(31)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부(23)가 형성되어, 손쉽게 상기 도전체(20)와 연결수단(30)을 교체할 수 있게 되어 도전성원단(10) 또는 도전체(20) 또는 연결수단(30)이 훼손 또는 파손 등 사용이 어려운 경우 그 구성품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슬라이드방식과는 별개로 도전체(20)를 고정할 시 점착제(21)를 구성하거나 구성하지 않을 경우 박음질(40)을 통해 도전성원단(10)과 고정할 수가 있다.
종래에는 박음질을 할 시, 탄소사들의 단락 등의 문제로 탄소사가 배치되지 않을 곳으로 박음질을 하여야 함으로써, 박음질의 위치에 많은 제약이 따랐고, 구김등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었으나, 본 발명의 도전성원단(10)을 적용하게 됨으로서, 편리하게 박음질(40)을 하여 도전체(20)와의 결합 및 기타 적용하려는 매트, 옷 등에 손쉽게 결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작이 편리하고, 도전성을 갖는 원단으로 제조되어, 어느 한 부분이 단락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에 전혀 지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으로 선택적인 제작을 통해 사용하려는 위치에 대응할 수 있고, 부착 또는 구성하려는 매트 등에 박음질 등으로 손쉽게 결합이 가능하며, 사용하려는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손쉽게 제작이 가능하고, 도전체가 면상발열체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고 외측에 선택적으로 탈, 부착 또는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부분적인 교체를 통한 경제적 효율성이 높으며, 누구나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고, 도전체의 이중구조를 통해 전체적인 내구성과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 : 도전성원단 11 : 도전성 13 : 절연성
20 : 도전체
20a : 제1도전체 20b : 제2도전체
21, 21a : 점착제 23 : 슬라이드부
30 : 연결수단 31 : 슬라이드홀
40 : 박음질

Claims (8)

  1. 탄소섬유의 면상발열체용 도전성원단(10)의 양측에 구성되는 도전체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원단(10)의 도전성(11)이 있는 상부 또는 하부 양측에 각각 부착 구성되되, 알루미늄, 구리, 금속, SUS, 니켈, 은, 금 중 어느 하나의 비신축성 재질로 구성되고, 내, 외측에 각각 도전성을 갖는 점착제(21)가 구성되는 제1도전체(20a)와,
    상기 제1도전체(20a)의 상부에 부착 구성되되, 직조된 섬유원단으로 신축성을 가지며, 내측에 도전성을 갖는 점착제(21a)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절연성 또는 도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전력수단과 연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체(20b)는 상기 제1도전체(20a)의 폭과 동일 또는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
  3. 탄소섬유 면상발열체에 있어서,
    사용목적에 따라 임의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도전성(11)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으로 구성되는 도전성원단(10);
    제 1항의 도전체(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가 구성된 면상발열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원단(10)은 상, 하측면에 각각 도전성(11)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원단(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전도성액체를 도금 형태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원단(10)의 신축성은 편직제작 또는 니트직조, 나일롱, 스판텍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성원단(10)의 비신축성은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원단(10)의 양측에는 도전성(11)을 가지며 양측면에 슬라이드홀(31)이 형성되는 연결수단(30)이 구성되고,
    상기 도전체(20)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홀(31)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20)는 도전성원단(10)에 박음질(40)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


KR1020190128123A 2019-10-16 2019-10-16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가 구성된 면상발열체 KR10226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123A KR102265966B1 (ko) 2019-10-16 2019-10-16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가 구성된 면상발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123A KR102265966B1 (ko) 2019-10-16 2019-10-16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가 구성된 면상발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976A true KR20210044976A (ko) 2021-04-26
KR102265966B1 KR102265966B1 (ko) 2021-06-17

Family

ID=7573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123A KR102265966B1 (ko) 2019-10-16 2019-10-16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가 구성된 면상발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96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6239A (ja) * 2002-01-14 2004-01-08 Malden Mills Ind Inc 電気加熱/加温布製品
KR20100115762A (ko) * 2008-02-18 2010-10-28 파나소닉 주식회사 고분자 발열체
KR20130058033A (ko) * 2013-05-14 2013-06-03 박상구 신축성 온열 원단
KR20130123031A (ko) * 2012-05-02 2013-11-12 전찬익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575500B1 (ko) * 2014-07-01 2015-12-21 이지원 면상발열천
KR101753271B1 (ko) * 2016-08-19 2017-07-05 주식회사 히톨로지 유연성 면상 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66751B1 (ko) * 2017-11-08 2019-04-08 주식회사 서연이화 면상발열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6239A (ja) * 2002-01-14 2004-01-08 Malden Mills Ind Inc 電気加熱/加温布製品
KR20100115762A (ko) * 2008-02-18 2010-10-28 파나소닉 주식회사 고분자 발열체
KR20130123031A (ko) * 2012-05-02 2013-11-12 전찬익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8033A (ko) * 2013-05-14 2013-06-03 박상구 신축성 온열 원단
KR101575500B1 (ko) * 2014-07-01 2015-12-21 이지원 면상발열천
KR101753271B1 (ko) * 2016-08-19 2017-07-05 주식회사 히톨로지 유연성 면상 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66751B1 (ko) * 2017-11-08 2019-04-08 주식회사 서연이화 면상발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966B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1775B2 (en) Tubular knit fabric and system
JP5347022B2 (ja) 導電性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EP1633429A1 (en) Embroidered electrode
WO2017104596A1 (ja) 衣料
CN105931909A (zh) 一种柔性织物开关
WO2018173749A1 (ja) 導電性複合シート
US7759264B2 (en) Textile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use
TW202020245A (zh) 附電極配線的布材
CN109661049A (zh) 一种有源柔性发热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4851235B2 (ja) 導電性布帛およびこれを用いた平面電極
KR20100124962A (ko) 도전성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4976A (ko)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이중구조를 갖는 도전체가 구성된 면상발열체
KR102116632B1 (ko)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도전성원단에 양극 도전체로 구성된 면상발열체
JP2021044134A (ja) 電気中継部材
JP2017025418A (ja) 導電編地
KR20130134928A (ko) 발열부/선로부 일체형 발열섬유제품
CN113907464A (zh) 一种电热护膝的制作工艺
TWI482892B (zh) 立體織物與電熱織物
EP2775018B1 (en) Fabric pressure switch
CN217509942U (zh) 一种电热护膝
JP7021820B2 (ja) シート状電気信号伝達生地及びシート状電気信号伝達生地の製造方法
KR20140104718A (ko) 도전성 면상체
IT201800010666A1 (it) Coprimaterasso termico o coperta termica
WO2021100532A1 (ja) 発熱体
CN216853840U (zh) 一种电热袜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