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457A -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457A
KR20210042457A KR1020190125023A KR20190125023A KR20210042457A KR 20210042457 A KR20210042457 A KR 20210042457A KR 1020190125023 A KR1020190125023 A KR 1020190125023A KR 20190125023 A KR20190125023 A KR 20190125023A KR 20210042457 A KR20210042457 A KR 20210042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ice
ice maker
wat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7947B1 (ko
Inventor
지준동
신계영
유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유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유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90125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79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42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7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7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제빙 트레이와, 제빙수를 수용하는 제빙 트레이와, 제빙 트레이의 제빙수를 감지하는 물 감지 센서부와, 제빙 트레이에 연결된 접지를 포함하는 제빙기에서 물 감지 센서부가 제빙 트레이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물 감지 센싱 신호를 전달받고, 제빙 트레이에 부착된 피드백 연결선을 통해 트레이의 정전용량값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빙기 트레이의 접지를 통해 트레이의 급수 여부를 진단할 수 있으며, 트레이를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는 경우에도 오류없이 정전용량 변화를 정확히 감지하여 급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빙기의 급수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빙 트레이의 급수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가 압축 → 응축 → 팽창 → 증발하는 냉동 사이클 반복을 통해 냉장실과 냉동실 내부를 저온화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유지시켜 주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에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외기에 의해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감압시키는 팽창밸브와,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저압상태에서 증발됨에 따라 냉장고 내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냉장고는 내부에 냉장실과 냉동실로 분리된 수납공간을 본체의 전방에서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냉장고에는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급수 → 제빙 → 이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조된 얼음이 일정량이 되면 보관으로 전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100)는 하부에 냉동실(120)이 형성되고, 상부에 냉장실(110)이 형성된다.
이때, 냉장실(110)은 좌우에 병립하여 형성된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냉장고(100)는 냉동실(120)에 제빙기를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 몸을 숙여 제빙기 내의 얼음을 꺼내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에, 냉동실(120)이 아닌 냉장실(110)의 일측에 제빙기(13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제빙기(130)는 얼음의 제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 탱크와, 급수 탱크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어 얼음이 제조되는 트레이와, 트레이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뱅크로 구성된다. 그리고 또한, 트레이에서 제빙이 완료된 얼음은 이빙히터의 히팅에 의해 분리되거나 트레이가 트위스트되며 얼음을 이빙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제빙기는 급수 과정 중에 단수, 지역/건물 별 수압 차이 및 수도 미설치 등에 의해 미급수 상황이 발생하여도 제빙모드가 반복됨에 따라 에너지 낭비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제빙기는 미급수조건(급수 이상)을 판단하는 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되지 않아 미급수 상황에서 보관모드로 전환하지 못하고 제빙모드로 운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제빙기 트레이의 물 급수 여부를 정확히 진단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빙기 트레이의 접지를 통해 트레이의 물 급수 여부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빙기 트레이의 접지를 통해 트레이에 물을 급수한 후의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수를 수용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제빙수를 감지하는 물 감지 센싱부와, 상기 물 감지 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연결된 접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물 감지 센싱부는, 상기 트레이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물 감지 센싱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트레이에 부착된 피드백 연결선으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트레이의 정전용량값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피드백 연결선은, 상기 트레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접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수를 수용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제빙수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AC 전원부 접지와 상기 센싱부의 그라운드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수를 수용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구비된 정전용량 센서와, 제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용량 센서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센서 케이싱부는, 상기 제어부의 정전용량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정전용량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빙기 AC전원부 접속부와 DC 그라운드부가 각각 상기 트레이에 접속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AC 전원부와 DC 전원부는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 바닥면을 가열하는 히터를 제어하는 히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제어부는 양단을 단락한다.
그리고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센서 케이싱부는 별도의 절연물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접지 보상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제빙수를 수용하는 트레이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트레이의 제빙수를 감지하는 물 감지 센싱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물 감지 센싱부는, 상기 트레이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물 감지 센싱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트레이에 부착된 피드백 연결선으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트레이의 정전용량값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기는, 온도 센서, 수위 감지 센서, 만빙 감지 센서 및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냉장고로 전달한다.
그리고 냉장고는 이러한 제빙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의하면, 냉장고 내 제빙기에서 트레이의 물 급수 여부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특히, 제빙기 트레이의 접지를 통해 트레이의 급수 여부를 진단할 수 있으며, 트레이를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는 경우 또는 외부충격에도 오류 없이 정전용량 변화를 정확히 감지하여 급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전용량값의 리미트값이 아닌 변화값을 이용하여 제빙기의 급수 및 만수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내 제빙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와 연결된 물 감지 센싱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전정용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전정용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빙기의 트레이 내 급수 여부를 정확히 진단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내 제빙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와 연결된 물 감지 센싱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트레이의 측면 단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제빙기(200)는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이 형성된 트레이(210)와, 트레이(210)내에 얼려진 얼음이 보관되는 아이스뱅크(220)와, 제빙기(200)의 각 구성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빙기제어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빙기(200)는 트레이(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얼음이 트레이(210)의 바닥면에서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도록 가열하는 히터(235)와 제빙 센싱부(265)를 구비한다. 히터(235)는 이젝터(240)가 작동되기 전에 트레이(210)의 바닥면을 가열하여 얼음이 이젝터(240)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빙기제어부(230)에서 히터(235)의 구동을 제어하며, 히터(235)의 양단을 단락하여 히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빙 센싱부(265)는 트레이(210)의 온도를 감지한다.
만빙감지센싱부(280)는 만빙레버(245)와 만빙감지센서(미도시)로 구성되는데, 만빙레버(245)는 아이스뱅크(220)에 채워진 얼음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빙기(20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회전되도록 힌지 고정되며, 만빙감지센서는 만빙레버(245)에 설치되어 아이스뱅크(220)의 만빙 여부를 감지한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만빙 감지 센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에서 빛을 방출하고 아이스 뱅크(220)의 얼음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부에서 수신하여 얼음의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빙기(200)의 상부에는 트레이(210)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관(250)이 설치되며, 제빙기(200)의 하부에는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뱅크(220)가 설치된다.
제빙기제어부(230)는 제빙기(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트레이(210)의 일측에 PCB 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빙기제어부(230)는 AC전원부와, DC전원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전원부들은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제빙기(200)의 AC 전원부 접속부와 DC 그라운드는 트레이(210)에 접속 고정될 수 있다.
트레이(210)는 내부에 제빙수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다. 트레이(2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수용부를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트레이(210)에는 트레이(210)의 온도 또는 제빙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싱부(27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10)에는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제빙수를 감지하기 위한 물감지 센싱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빙기제어부(230)는 물감지 센싱부(260)가 감지하는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급수관(25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물감지 센싱부(260)는 트레이(210)에 급수되는 제빙수에 의한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제빙기제어부(230)로 입력할 수 있고, 제빙기제어부(230)는 물감지 센싱부(260)로부터 입력되는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트레이(210)에 급수하거나 급수를 중단하도록 급수관(250)을 제어할 수 있다.
제빙기제어부(230)는 물감지 센싱부(260)가 감지하는 정전용량값의 리미트값을 설정하지 않고, 트레이(210)에 급수를 시작하여 설정시간까지의 물감지 센싱부(260)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과 비교하기 위한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제빙기제어부(230)가 상기 설정된 리미트값을 이용하여 트레이(210) 에 급수되는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면, 제빙수의 출렁임 또는 제빙수의 튕김 현상으로 인해 정전용량센서(300)에 제빙수가 유입되는 경우, 정전용량센서(300)는 트레이(210)의 수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빙기제어부(230)는 급수관(250) 제어를 통해 트레이(210)에 급수를 시작하여 설정시간까지의 물감지 센싱부(260)가 감지한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을 이용하여 트레이(210)에 제빙수의 만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빙기(200)는 냉장고(100)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고, 제빙기제어부(230)로부터 감지정보를 냉장고(100)로 송신할 수 있다.
작동신호는 모터(255)를 구동시키는 작동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255)는 이젝터(24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될 수 있으나, 히터 타입이 아닌 트위스터 제빙기의 경우 이빙을 위해 트위스트 시키는 모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모터(255)는 어거모터일 수 있다. 아이스뱅크(220)에 저장된 얼음이 배출되기 위해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회전되는 어거모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모터(255)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정보는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서로 개별적인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정보에는 모터의 회전속도, 회전각도 및 회전토크 등의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는 얼음을 분쇄하거나 트레이(210)에 얼면서 고착된 얼음을 이빙 시키기 위해 트위스트 시킬 때는 토크가 우선되고 이젝터의 회전시에는 회전속도가 우선시되기 때문에 작동신호가 포함하는 정보는 각각 다를 수 있다.
또한, 작동신호는 히터(235)의 구동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235)는 모터(255)가 위치한 아이스 뱅크(220) 측에 위치된 응결 등으로 형성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얼음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를 해동하는 히터가 될 수 있다.
다양한 예로써, 제빙기(200)는 물감지 센싱부(260), 제빙센싱부(265), 온도센싱부(270), 만빙 감지 센싱부(280) 및 위치 센싱부(285)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센싱부가 감지한 감지정보를 제빙기제어부(230)로 전달하면 제빙기제어부(230)는 냉장고(100)로 전달하여 냉장고(100)로부터 각 감지 정보에 대응되는 피드백 정보를 되돌려 받을 수 있다. 되돌려 받은 피드백 정보는 다양한 위치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를 분별하여 물감지 센싱부(260), 제빙센싱부(265), 온도센싱부(270), 만빙 감지 센싱부(280) 및 위치 센싱부(285)에 대응되도록 이를 전달 할 수 있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물 감지 센싱부(260)는 트레이(210)에 급수 여부 및 수위 감지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트레이(2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트레이(21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트레이(210)에는 정전용량센서(300)가 구비되어 있고, 정전용량센서(300)의 센서 케이싱부(330)는 정전용량 센싱 제어부 역할을 수행하는 물 감지 센싱부(2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나, 트레이(210)와는 별도의 절연물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물 감지 센싱부(260)는 제빙기제어부(2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물감지 센싱부(260)는 트레이(210)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관(250)의 말단 급수부는 트레이(210)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물감지 센싱부(260)는 복수개의 제빙홈 중 급수부로부터 가장 먼 곳에 위치하는 제빙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배치되어, 제빙홈 내에 수용된 제빙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물감지 센싱부(260)는 센서 케이싱부(330) 및 정전용량센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케이싱부(330)의 상면에는 센서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정전용량센서(300)는 센서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센서삽입홈 및 정전용량센서(30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센서삽입홈의 상하 길이는 정전용량센서(300)의 상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정전용량센서(300)가 센서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일 때, 정전용량센서(300)의 상단은 센서삽입홈의 상단으로부터 돌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210)에 부착된 정전용량센서(300)에서 물 감지 센싱부(260)로 물감지 센싱 신호 연결선(A)을 통해 주기적 또는 이벤트성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예컨대, 트레이(210)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일정 높이로 물이 감지된 경우, 해당 센싱 신호를 물 감지 센싱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물감지 센싱 신호 연결선(A)은 커넥터 전선으로서, 물 감지 센싱부(206)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루프선, 즉 피드백 신호 연결선(B)의 경우 트레이(210)에 부착되어 트레이(210)로부터 주기적인 피드백 신호를 물 감지 센싱부(260)로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게 된다. 예컨대, 트레이(210)에 부착된 루프선에서 급수된 물을 감지하는 경우, 이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물 감지 센싱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10)에는 접지(310)가 추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210)의 피드백 신호 연결 부위에 접지(310)를 맞물려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레이(210)에 급수가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트레이(210)에 접촉하는 경우라도 접지(310)에 의해 정전용량 측정 값의 변화는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210)에 대한 접지(310)를 통해 오동작을 일으키는 노이즈 등을 대지로 방전시킴으로써, 더욱 정확한 정전용량 센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10)에 AC 전원부 접지와 물 감지 센싱부(260)의 그라운드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제빙기제어부(230)는 직류 또는 교류 측의 한 단자와 커패시터가 연결된 구조로 개시될 수 있다. 이는 커패시터를 통해 간접적인 접지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즉, 트레이(210)에 별도의 접지(310)를 하지 않더라도, 제빙기제어부(230)에 연동된 커패시터를 통해 트레이(210) 급수 시 정전용량 감지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빙기제어부(230)에 부착된 커패시터를 통해 정전용량 값 감지 시 노이즈 및 전자파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간접적인 접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빙기(200)에 직간접적인 접지를 통해 정확한 정전용량 변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험결과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4c, 도 5a 내지 5c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트레이 전정용량 값의 변화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전정용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물 감지 센싱부 물 감지 센싱부(260)에 센서 피드백 신호 수신을 차단하거나, 연결선을 제거한 상태 및 트레이(210)에 접지(310)가 없는 상태에서 트레이(210)를 사람이 만지는 경우, 정전용량 값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b를 참조하면, 물 감지 센싱부(260)에 센서 피드백 신호 전달 및 트레이(210)에 접지(310)가 없는 상태에서 트레이(210)에 급수를 수행하는 경우, 정전용량 값은 거의 변화가 없다.
도 4c를 참조하면, 물 감지 센싱부(260)에 센서 피드백 신호 전달은 없는 상태이나, 트레이(210)에 접지(310)를 수행한 상태에서 급수를 수행하는 경우, 정전용량 값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도 4a와, 도4c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센서 피드백 신호 전달이 상황에서는 급수되거나, 사람이 트레이를 만지는 상황을 정전용량 값만으로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전정용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물 감지 센싱부(260)에 센서 피드백 신호 수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트레이 접지를 연결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람이 트레이를 만지더라도 정전용량 값의 변화가 없다. 이에 도 5b를 참조하면, 물 감지 센싱부(260)에 센서 피드백 신호 수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트레이(210)의 접지(310)는 없는 상태로 급수를 수행하는 경우 정전용량 값의 급격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 동안에 트레이(210)를 사용자가 만지는 경우에 따른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없다. 다만, 급수가 종료된 뒤에도 일정 시간 동안 정전용량 값이 변화된 상태에서 복구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에 도 5c를 참조하면, 물 감지 센싱부(260)에 센서 피드백 신호 수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트레이(210)에 접지(310)를 수행한 후, 급수를 수행하는 경우 정전용량 값의 급격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 동안에 트레이(210)를 사용자가 만지는 경우에 따른 정전용량 값에도 변화가 없다. 이때, 급수를 중단한 뒤에는 정전용량 값도 바로 기존 설정값으로 복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5b에 비해 급수 전후의 정전용량 값의 변화가 정확하게 측정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전용량값의 리미트값을 이용하지 않고, 급수를 시작한 후 설정시간까지의 정전용량값의 변화값을 이용함으로써, 급수되는 제빙수의 만수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방법은, 제빙기 트레이의 접지를 통해 트레이의 급수 여부를 진단할 수 있으며, 트레이를 사용자가 손으로 접촉하는 경우에도 오류없이 정전용량 변화를 정확히 감지하여 급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냉장고 110: 냉장실
120: 냉동실 130, 200: 제빙기
210: 트레이 220: 아이스뱅크
230: 제빙기제어부 235: 히터
240: 이젝터 245: 만빙레버
250: 급수관 255: 모터
260: 물감지센싱부 265: 제빙센싱부
270: 온도센싱부 280: 만빙감지센싱부
285: 위치센싱부 300: 정전용량센서

Claims (13)

  1. 제빙수를 수용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제빙수를 감지하는 물 감지 센싱부와,
    상기 물 감지 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연결된 접지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감지 센싱부는,
    상기 트레이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물 감지 센싱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트레이에 부착된 피드백 연결선으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트레이의 정전용량값을 감지하는 제빙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연결선은,
    상기 트레이에 부착된 상태에서 접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빙수를 수용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제빙수를 감지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AC 전원부 접지와 상기 센싱부의 그라운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빙기.
  5. 제빙수를 수용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구비된 정전용량 센서와,
    제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용량 센서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센서 케이싱부는, 상기 제어부의 정전용량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정전용량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빙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빙기 AC전원부 접속부와 DC 그라운드부가 각각 상기 트레이에 접속 고정되는 제빙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AC 전원부와 DC 전원부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빙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 바닥면을 가열하는 히터를 제어하는 히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제어부는 양단을 단락하는 제빙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 센서의 센서 케이싱부는 별도의 절연물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빙기.
  10. 접지 보상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제빙수를 수용하는 트레이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트레이의 제빙수를 감지하는 물 감지 센싱부
    를 포함하는 제빙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물 감지 센싱부는,
    상기 트레이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물 감지 센싱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트레이에 부착된 피드백 연결선으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트레이의 정전용량값을 감지하는 제빙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온도 센서, 만빙 감지 센서 및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냉장고로 전달하는, 제빙기.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한 항에 기재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90125023A 2019-10-10 2019-10-10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687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023A KR102687947B1 (ko) 2019-10-10 2019-10-10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023A KR102687947B1 (ko) 2019-10-10 2019-10-10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457A true KR20210042457A (ko) 2021-04-20
KR102687947B1 KR102687947B1 (ko) 2024-07-24

Family

ID=7574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023A KR102687947B1 (ko) 2019-10-10 2019-10-10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7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778A1 (ko) * 2022-11-18 202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096A (ko) * 2001-07-16 2003-01-2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의 접지구조
KR20100093063A (ko) * 2007-10-31 2010-08-24 더 트러스티즈 오브 다트마우스 칼리지 펄스 전자열 및 열-저장 얼음 분리 장치 및 방법
JP2014066460A (ja) * 2012-09-26 2014-04-17 Sharp Corp 製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KR101455392B1 (ko) * 2008-02-27 2014-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및 제빙 어셈블리의 수위 감지방법
KR20170032142A (ko) *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096A (ko) * 2001-07-16 2003-01-2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의 접지구조
KR20100093063A (ko) * 2007-10-31 2010-08-24 더 트러스티즈 오브 다트마우스 칼리지 펄스 전자열 및 열-저장 얼음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1455392B1 (ko) * 2008-02-27 2014-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및 제빙 어셈블리의 수위 감지방법
JP2014066460A (ja) * 2012-09-26 2014-04-17 Sharp Corp 製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KR20170032142A (ko) *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778A1 (ko) * 2022-11-18 202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7947B1 (ko) 202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287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772688B1 (en) Detector for determining a complete filling of ice-cubes
KR101658667B1 (ko) 냉장고
EP2304350B1 (en) Ice amount detecting method of ice detect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20090115307A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만빙 감지 방법
KR20090123338A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EP2297533B1 (en) Refrigerator
KR101622601B1 (ko) 냉장고 및 그의 만빙감지장치
KR100756994B1 (ko) 냉장고용 제빙기
KR102687947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758325B1 (ko) 냉장고
EP3587967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09775B1 (ko) 제빙기
KR102407257B1 (ko) 만빙 감지 장치를 구비하는 제빙기
KR20050026635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090099908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693095B1 (ko) 제빙기
CN111664625A (zh) 冰箱
KR20210013993A (ko) 제빙기,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278449B1 (ko) 제빙기의 제어장치
KR101473892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제어장치
KR100661831B1 (ko) 제빙기의 급수감지방법
KR20090006518A (ko) 결빙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80108188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57764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