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338A -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338A
KR20090123338A KR1020080049346A KR20080049346A KR20090123338A KR 20090123338 A KR20090123338 A KR 20090123338A KR 1020080049346 A KR1020080049346 A KR 1020080049346A KR 20080049346 A KR20080049346 A KR 20080049346A KR 20090123338 A KR20090123338 A KR 20090123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sensor
transmitter
full
senso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572B1 (ko
Inventor
김용수
이동훈
정경한
서광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572B1/ko
Priority to MX2010012929A priority patent/MX2010012929A/es
Priority to US12/471,048 priority patent/US8616013B2/en
Priority to CN200980119669XA priority patent/CN102047049B/zh
Priority to EP09754993.5A priority patent/EP2304351B1/en
Priority to PCT/KR2009/002733 priority patent/WO2009145528A2/en
Priority to BRPI0912726-7A priority patent/BRPI0912726B1/pt
Publication of KR20090123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338A/ko
Priority to US12/708,073 priority patent/US2010013929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은 제빙기 및 만빙 감지 센서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만빙 감지 센서에 의해 얼음 수용 용기 내의 만빙 여부를 복수 회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회의 만빙 여부 판단 중에, 상기 만빙 감지 센서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센서 히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에 의하면, 만빙 판단을 1차적으로 수행하고, 센서 히터를 작동시켜 만빙 감지 센서에 생성될 수 있는 습기, 서리 등을 제거한 후, 만빙 판단을 2차적으로 재수행함으로써, 만빙의 여부가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고, 만빙 여부 등에 따라 센서 히터를 온/오프시킴으로써 만빙 감지 장치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센서 히터, 히터 제어, 만빙 여부 감지, 이빙

Description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Sensor heater controlling method of full ice detect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 등을 냉장 또는 냉동시켜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에는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인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이 수용되는 아이스 뱅크가 설치될 수 있다.
최근에는 수요 증가에 따라 냉장고에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설치되는 예가 많다. 이러한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이 아이스 뱅크로 낙하되어, 아이스 뱅크 내에 쌓이게 된다.
종래의 냉장고 제빙기에 있어서는, 제빙기의 제어부에 연결된 만빙 감지 레버를 이용하여, 아이스 뱅크 내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였다. 즉, 종래에는 기구적인 구조물에 의하여, 아이스 뱅크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였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는 그에 연결된 스프링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고, 얼음이 아이스 뱅크 내에 차오르는 만큼 상승하는 구조였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가 얼음에 의해 소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만빙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만빙 감지 방식에 의하면, 만빙 감지 레버의 회동부가 얼어버리는 경우 등 만빙 감지 레버의 기구적인 동작이 수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만빙 감지 레버가 제대로 동작되지 아니하므로, 아이스 뱅크 내의 만빙 여부가 제대로 감지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아이스 뱅크 내가 만빙된 후에도 얼음이 계속 공급되어, 아이스 뱅크 외부로 얼음이 넘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면서, 만빙 감지를 위한 장치의 작동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제빙기에서 이빙된 얼음의 만빙 여부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감지하면서, 작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은 제빙기 및 만빙 감지 센서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만빙 감지 센서에 의해 얼음 수용 용기 내의 만빙 여부를 복수 회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회의 만빙 여부 판단 중에, 상기 만빙 감지 센서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센서 히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은 상기 센서 히터의 작동 후, 상기 센서 히터의 작동 시간이 소정의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센서 히터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에 의하면, 만빙 판단을 1차적으로 수행하고, 센서 히터를 작동시켜 만빙 감지 센서에 생성될 수 있는 습기, 서리 등을 제거한 후, 만빙 판단을 2차적으로 재수행함으로써, 만빙의 여부가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고, 만빙 여부 등에 따라 센 서 히터를 온/오프시킴으로써 만빙 감지 장치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에 의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센서 히터의 작동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센서 히터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만빙 감지 장치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센서 히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 히터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면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냉장고(10)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기기로서, 영상의 온도에서 음식물이 차게 보관되는 냉장실(11)과, 영하의 온도에서 얼음 등과 같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냉동실(12)과, 상기 냉동실(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기(100)와, 상기 제빙기(100)에서 제조되는 얼음이 축적 보관되는 얼음 수용 용기(180)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에 보관되는 얼음이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적절히 공급되도록 하는 디스펜서(190)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냉장고(10)에는 냉동 사이클을 이루기 위한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 등의 부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11) 및 상기 냉동실(12)은 각각 냉장실 도어(13) 및 냉동 실 도어(14)에 의해 외부에 대하여 개폐된다.
상기 제빙기(100)와 관련되는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제빙기(100)로 적절한 양의 물이 급수된 뒤에, 상기 제빙기(100)로 냉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된 냉기에 의해서 상기 제빙기(100)에서 얼음이 제조된 뒤에는, 상기 제빙기(100)의 자체적인 동작에 의해서 얼음이 분리되어 얼음 수용 용기(180)로 낙하되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에 수용된 얼음이 사용자가 요구할 때마다, 원하는 양만큼 디스펜서(190)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 제빙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 제빙기에 대한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얼음이 제조되는 물품으로서, 외부로부터 물이 급수되는 급수부(107)와, 얼음이 제빙되는 제빙실(104)과, 상기 제빙실(104)의 내부에서 제조된 얼음이 분리되는 이젝터(105)와, 상기 이젝터(105)가 회전되도록 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제빙기 몸체(101)가 포함된다.
상기 제빙실(104)의 후방에는 제빙기(100)가 냉장고의 내부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102)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도면번호 103은 상기 안착부(102)가 냉장고 내부에 안착되도록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홀이다.
상기 제빙기 몸체(101)의 외측으로는 회전운동되는 축이 연장된다. 상기 축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이젝터(105)가 연장되어, 상기 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이젝터(105)가 회전되면서, 얼음을 퍼 올린다.
상기 제빙실(104)의 상측에는 상기 이젝터(105)에 의해서 퍼 올려진 얼음이 얼음 수용 용기(180)로 안내되어 낙하되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06)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부(107), 상기 제빙실(104), 상기 이젝터(105) 등은 상기 제빙기(100) 내에서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구성들로, 얼음 제조 유닛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얼음 제조 유닛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구성에 다른 구성 요소가 더 부가될 수도 있고, 상기 구성 요소 중 일부가 삭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빙실(104)의 하측에는 얼음과 제빙실(104) 내부면의 계면이 상호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열이 인가되는 제빙 히터(140)가 설치된다. 상기 제빙 히터(140)는 상기 제빙기 몸체(11) 내에서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빙 히터(140)의 하측에는 히터 받침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 받침부(130)는 상기 제빙기 몸체(101)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터 받침부(130)는 상기 제빙기 몸체(101)와 함께 성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빙기 몸체(101)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길이로 센서 배치부(110)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 받침부(130)는 그 일부가 상기 센서 배치부(110)와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센서 배치부(110)에는 발신부(121)가 설치되고, 상기 센 서 배치부(110)에 대응되도록 상기 히터 받침부(130)의 연장된 부분에는 수신부(123)가 설치된다. 상기 발신부(121)와, 상기 수신부(123)에는 서로 대면되어, 신호를 수발신하는 발신기(122)와, 수신기(124)가 배치된다.
상기 발신부(121)와, 상기 수신부(123)는 서로 신호를 수발신하면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므로, 만빙 감지 센서(120)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만빙 감지 센서(120)로는 적외선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는 상기 제빙기 몸체(101)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기(100)에서 이빙되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에 쌓인 얼음의 만빙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만빙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발신부(121)는 하방으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발신부(121)의 하부에 상기 발신기(122)가 설치된다. 상기 발신기(122)의 설치 높이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만빙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여기서는 상기 발신기(122)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수신부(123) 및 상기 수신기(124)의 높이도 상기 발신부(121) 및 상기 발신기(122)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감지 높이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상단(181)과 소정의 높이차(h)를 가지는 상기 얼음 수용 용 기(180)의 만빙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에 의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만빙 여부가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발신부(121) 및 수신부(123)는 상기 제빙기 몸체(101)에서 얼음이 이빙되는 통로인 이빙 출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그러면,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는 상기 이빙 출구를 가로질러 적외선을 수발신하면서,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는 그 내부에 상기 제빙기(100)로부터 이빙된 얼음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하부에는 이송부(15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부(150)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에 수용된 얼음을 순차적으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에서 이송시키고, 요구되는 적절한 크기로 분쇄시킨다.
상세히, 상기 이송부(150)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에 고정되는 고정 블레이드(155)와, 상기 고정 블레이드(15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되는 회전 블레이드(151)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가 연결되는 회전축(153)과, 상기 회전축(153)과 연결되는 모터(154)와, 얼음을 이송시키는 이송 블레이드(15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53)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가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축(15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 및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로는 나선 형상의 오거(auger)가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도면번호 160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에서 얼음이 취출되는 출구이고, 도면번호 170은 상기 출구(160)를 통해 취출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90)로 안내되는 안내로이다.
이하에서 상기 제빙기(100), 상기 이송부(150) 등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소정 형상의 급수관에 의해서 안내되어 물이 상기 급수부(107)로 공급된다. 급수된 물은 제빙실(104)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빙실(104)에 영하의 냉기가 공급되어 제빙실(104) 내부에 수용된 물이 얼려진다.
상기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제빙실(104) 내부의 물이 완전히 얼려진 뒤에는 제빙기 몸체(101) 내부에 놓이는 소정의 구동기구에 의해서 이젝터(105)가 동작된다. 그러면, 상기 제빙실(104)의 내부에 얼려진 얼음이 제빙실(104)의 내주면을 따라서 퍼 올려진다.
여기서, 상기 이젝터(105)가 동작되기 전에 제빙 히터(140)에 의해서 상기 제빙실(104) 쪽으로 열이 가하여져서 얼음과 제빙실(104)의 접면이 상호 박리되도록 한다.
상기 이젝터(105)에 의해서 얼음이 퍼 올려진 뒤에는, 얼음이 상기 세퍼레이터(106)에 의해서 안내되어 얼음 수용 용기(180)의 내부로 낙하되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에 축적된다.
상기되는 동작은 계속해서 반복 수행되는데, 반복 수행되는 동작 중에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내부에 얼음이 만 수용된 뒤에는,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에 의해서 얼음이 만 수용된 것이 감지되어 제빙기(100)의 동작이 정지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1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얼음 공급이 요구되면, 상기 모터(154)가 구동되면서, 상기 모터(154)에 연결된 상기 회전축(153)이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 및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가 함께 회전된다.
상기 이송 블레이드(152)가 회전되면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하부의 얼음이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 쪽으로 이송된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 쪽으로 안내된 얼음이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와 고정 블레이드(155) 사이에 물리게 되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151)의 미는 동작에 의해서 얼음이 분쇄된다.
상기와 같이 분쇄된 얼음은 상기 고정 블레이드(155)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출구(160)를 통하여 취출된다. 취출된 얼음은 상기 안내로(170)를 통해 낙하된다. 낙하된 얼음은 상기 디스펜서(19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만빙 전 상태를 감지하는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만빙 상태를 감지하는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빙기(100)에서 제빙된 얼음은 이빙되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로 낙하된다. 낙하된 얼음은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에서 축적된다.
이러한 얼음 축적이 계속되는 과정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빙 전이므로, 상기 발신기(122)에서 발신된 적외선이 상기 수신기(124)로 도달되고,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가 만빙 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얼음 축적이 계속되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의 만빙 높이까지 얼음이 차 오르게 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신기(122)에서 발신된 적외선이 상기 얼음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수신기(124)로 도달되지 못하고, 제어부에서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가 만빙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가 상기 제빙기 몸체(101)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기(100)에서 이빙되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에 쌓인 얼음의 만빙을 감지한다.
상기와 같이 만빙 감지 센서(120)에 의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의 얼음의 만빙 여부가 감지되므로, 기구적인 만빙 감지 레버 등에 의해 만빙 여부를 감지할 때 그러한 만빙 감지 레버의 회동부가 얼어서 만빙 여부가 제대로 감지되지 아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의 만빙 여부가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 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100)의 만빙 감지 장치는 상기 제빙기 몸체(101)에 배치되어,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부의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만빙 감지 센서(120)와,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센서 히터(128)를 포함한다.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는 발신부(121)와 수신부(123)로 구성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발신부(12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발신부(121)에 대한 설명은 상기 수신부(123)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발신부(121)에 대한 설명만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부(123)에 대한 설명은 그에 갈음하도록 한다.
상기 발신부(121)에는 상기 발신기(122)가 삽입될 수 있는 발신기 삽입 홀(1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신기 삽입 홀(126)에 근접하여, 그 일측에는 상기 센서 히터(128)가 놓일 수 있는 센서 히터 안착 홈(125)이 형성된다.
상기 발신기 삽입 홀(126)은 상기 발신부(121)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을 이루고, 상기 센서 히터 안착 홈(125)은 상기 발신부(121)의 배면, 즉 회로부(127)와 대면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히터 안착 홈(125)은 상기 발신부(121)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신부(121)는 상기 발신기(122) 및 상기 센서 히터(128)를 지지하고, 상기 센서 히터(128)의 열을 상기 발신기(122)로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신부(121)는 상기 발신기(122)의 감지 신호가 투과되고, 상기 발신기(122)를 외부 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발신부(121)는 센서 커버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가 컴팩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센서 히터(128)는 얇은 면상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센서 히터(128)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발신부(121) 및/또는 상기 회로부(127)를 통해 상기 발신기(122)로 전달되어, 상기 발신기(122)에 형성될 수 있는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가 정확하게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히터(128)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발신부(121)를 통해서만 상기 발신기(122)로 전달될 수도 있고,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신부(121) 및 상기 회로부(127) 모두를 통해 상기 발신기(122)로 전달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 히터(128)는 상기 발신기(122)가 연결된 상기 회로부(127)를 통해 상기 제빙기 몸체(101) 내의 제빙 회로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회로부(127)와 별도로 상기 제빙 회로부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100)의 만빙 감지 장치는 발신부(221)를 포함하는 만빙 감지 센서(220)와, 상기 만빙 감지 센서(220)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센서 히터(228)를 포함한다.
상기 발신부(221)에는 회로부(227)를 향하는 측면으로 연장관(223)이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관(223)에는 발신기(222)가 관통될 수 있는 발신기 삽입 홀(226)이 형성된다. 상기 발신기 삽입 홀(226)은 상기 발신부(221)의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223)에 근접한 상기 발신부(221)의 부분에는 상기 센서 히터(228)가 결합된다. 상기 센서 히터(228)는 상기 발신부(221)에 테이핑 또는 그 밖의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223)은 상기 발신기(222)에서 발신되는 감지 신호가 경유하도록 하고, 상기 발신기(222)를 감싼다. 이러한 연장관(223) 외측에 상기 센서 히터(228)가 설치되므로, 상기 센서 히터(228)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발신부(221) 및 상기 연장관(223)을 통해 상기 발신기(222)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신 기(222)에 형성될 수 있는 성에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만빙 감지 센서(220)가 정확하게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번호 224는 밀폐 케이스로서, 상기 발신부(221)와 결합됨으로써,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밀폐 공간에 상기 발신기(222) 및 상기 센서 히터(228)가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발신기(222) 및 상기 센서 히터(228)가 보호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100)의 만빙 감지 장치는 발신부(321)를 포함하는 만빙 감지 센서(320)와, 상기 만빙 감지 센서(320)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센서 히터(328)를 포함한다.
도시된 도면번호 324는 밀폐 케이스로서, 상기 발신부(221)와 결합됨으로써,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발신부(321)에는 회로부(327)를 향하는 측면으로 연장관(323)이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관(323)에는 발신기(322)의 전면부가 삽입될 수 있는 발신기 삽입 홀(326)이 형성된다. 상기 발신기 삽입 홀(326)은 상기 발신부(321)의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신기(322)의 후면부는 상기 회로부(327)를 관통한다.
상기 연장관(323)의 말단과, 상기 회로부(327) 사이에는 센서 히터 수용체(33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히터(328)가 코일 형식으로 상기 발신기(322) 주변을 감싸게 되는데, 상기 센서 히터 수용체(330)는 상기 센서 히터(328)가 감기는 부분이다.
상세히, 상기 센서 히터 수용체(330)는 플랜지(331)와, 발신기 관통 홀(332)과, 피권취부(333)로 구성된다.
상기 피권취부(333)는 상기 센서 히터(328)가 복수 회 감기는 부분이다. 상기 플랜지(331)는 상기 피권취부(333)의 양단에 상기 피권취부(333)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권취부(333)에 감긴 상기 센서 히터(328)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상기 발신기 관통 홀(332)은 상기 발신기(322)가 관통되는 것으로, 상기 발신기 관통 홀(332)을 관통한 상기 발신기(322)의 전면부는 상기 연장관(323)의 발신기 삽입 홀(326)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발신기(322)가 관통된 상기 센서 히터 수용체(330)에 코일 형식의 상기 센서 히터(328)가 감김으로써, 상기 센서 히터(328)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발신기(322) 전 표면에 대하여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신기(322)에 형성될 수 있는 성에가 제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만빙 감지 센서(320)가 정확하게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100)의 만빙 감지 장치는 발신부(421)를 포함하는 만빙 감지 센서(420)와, 상기 만빙 감지 센서(420)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센서 히터(440)를 포함한다.
도시된 도면번호 424는 밀폐 케이스로서, 상기 발신부(421)와 결합됨으로써,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발신부(421)에는 회로부(427)를 향하는 측면으로 연장관(423)이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관(423)에는 발신기(422)의 전면부가 삽입될 수 있는 발신기 삽입 홀(426)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관(423)의 말단과, 상기 회로부(427) 사이에는 상기 센서 히터(440)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 히터(440)는 전기 전도성 발열 물질, 예를 들어 전기와 열이 동시에 전달될 수 있는 고분자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히터(440)에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 히터(44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발신기(422)로 전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센서 히터(440)는 몸체(441)와, 상기 몸체(441)에서 연장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 연결 단자(442)와, 상기 몸체(441)를 관통하여 형성된 발신기 관통 홀(443)로 구성된다.
상기 발신기 관통 홀(443)은 상기 발신기(422)가 관통되는 것으로, 상기 발신기 관통 홀(432)을 관통한 상기 발신기(422)의 전면부는 상기 연장관(423)의 발 신기 삽입 홀(426)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센서 히터(440)가 자체 발열할 수 있는 전기 전도성 발열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발신기(422)의 성에 제거를 위한 별도의 히터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만빙 감지 장치의 구성이 간단해질 수 있고, 그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히터(440)가 상기 발신기(422)를 감싸게 되므로, 상기 센서 히터(44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발신기(422) 전 표면에 대하여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신기(422)에 형성될 수 있는 성에가 제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만빙 감지 센서(420)가 정확하게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100)의 만빙 감지 장치는 발신부(521)를 포함하는 만빙 감지 센서(520)와, 상기 만빙 감지 센서(520)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센서 히터(528)를 포함한다. 도시된 도면번호 524는 밀폐 케이스이다.
상기 센서 히터(528)는 전기 전도성 발열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히터(528)에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 히터(528)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발신기(522)로 전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센서 히터(528)에는 발신기 삽입 홀(529)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 히터(528)는 상기 발신기(522)의 길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더 길게 연장된 관 형상을 이루고, 상기 발신기 삽입 홀(529)에는 상기 발신기(522)가 삽입된다. 상기 발신기(522)는 전체적으로 상기 발신기 삽입 홀(529)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센서 히터(528)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센서 히터(528)가 상기 발신기(522)가 삽입되어 보호되는 연장관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상기 발신기(522)에 형성된 성에 제거를 위한 열 공급원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연장관은 물론, 상기 발신기(522)의 성에 제거를 위한 별도의 히터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만빙 감지 장치의 구성이 더욱 간단해질 수 있고, 그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히터(528)가 상기 발신기(522)를 감싸게 되므로, 상기 센서 히터(528)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발신기(522) 전 표면에 대하여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신기(522)에 형성될 수 있는 성에가 제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만빙 감지 센서(520)가 정확하게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 히터(528)는 상기 회로부(527)를 통해 상기 제빙기 몸체(101) 내의 제빙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회로부(527)와 별도로 상기 제빙 회로부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100)의 만빙 감지 장치는 발신부(621)를 포함하는 만빙 감지 센서(620)와, 상기 만빙 감지 센서(620)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센서 히터(628)를 포함한다.
도시된 도면번호 624는 밀폐 케이스이다. 이러한 밀폐 케이스(624)가 상기 발신부(621)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발신기(622) 및 상기 센서 히터(628)이 배치되는 공간을 밀폐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히터(628)로는 면상 히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발신부(621)에는 회로부(627)를 향하는 측면으로 연장관(623)이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관(623)에는 발신기(622)의 전면부가 삽입될 수 있는 발신기 삽입 홀(626)이 형성된다. 상기 발신기 삽입 홀(626)은 상기 발신부(621)의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신기(622)의 후면부는 상기 회로부(627)를 관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밀폐 케이스(624)에 의해 상기 발신기(622) 및 상기 센서 히터(628)이 밀폐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발신기(622)의 전면부만이 상기 연장관(623)에 삽입되고, 그 몸체는 상기 밀폐 공간에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히터(628)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밀폐 공간 내의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통해 상기 발신기(622)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상기 센서 히터(628)에서 상기 발신기(622)로의 열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면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서 스위치가 가압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스위치가 가압 해제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냉동실 도어(14)에 설치되는 제빙기(100), 얼음 수용 용기(180) 및 디스펜서(19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제빙기(100), 얼음 수용 용기(180) 및 상기 디스펜서(190)가 내부에 수용되고, 외부에 대하여 밀폐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 및 제빙 공간 도어(720)를 포함한다.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는 상기 냉동실 도어(14)에 설치된 상기 제빙기(100),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및 상기 디스펜서(190)를 감싸도록 상기 냉동실 도어(14)에 설치된다.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는 그 내부로 외부에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그 일부가 개방된다.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는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시킨다.
상기 제빙기(100)에는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센서(120)와,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에 형성된 성에가 제거되도록 열을 가할 수 있는 센서 히터(128)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상기 제빙기(100)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 및 상기 센서 히터(128)가 적용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만빙 감지 센서 및 센서 히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감지 유닛(720)은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에 대한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가 열린 경우, 상대적으로 고온의 외부 공기에 의해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에 성에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 유닛(730)에 의해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의 개폐 여부가 감지되어,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 유닛(73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센서 히터(128)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가 열린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히터(128)를 작동시켜, 상기 센서 히터(128)에 발생된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가 닫힌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히터(128)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센서 히터(128)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에 발생된 성에를 제거하여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감지 성능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그러한 성에 제거를 위한 작동에 소요되는 전력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감지 유닛(7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감지 유닛(730)은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와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의 상대 운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735)와, 상기 스위치(735)를 가압하여 온오프시키는 걸림 후크(7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치(735)는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 후크(731)는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에 배치된다.
상기 스위치(735)는 상기 걸림 후크(731)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될 수 있는 피가압부(737)와, 상기 피가압부(737)의 이동 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회로가 형성되는 스위치 몸체(736)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 후크(731)는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를 관통하여 형성된 홀(723)을 따라 형성되는 연결부(733)와, 상기 연결부(733)의 말단에 형성되는 머리부(732)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부(732)는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의 일부에 걸리면서, 상기 피가압부(737)를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 후크(731)와, 상기 걸림 후크(731)가 걸리는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의 일부는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서로 맞물리는 것으로, 걸림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가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 상기 스위치(735)가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스위치(735)가 온오프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번호 722는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와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 부재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감지 유닛(73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후크(731)가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의 일부에 걸리면,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가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에 의해 닫힌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걸림 후크(731)에 의해 상기 스위치(735)의 피가압부(737)가 가압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위치(735)는 오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히터(128)를 작동시키지 아니하거나, 작동 중이면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 후,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가 회동되어,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의 개방된 부분이 열리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후크(731)와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 일부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 때, 상기 걸림 후크(731)의 상기 피가압부(737)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므로, 상기 피가압부(737)는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 등의 작용에 의해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위치(735)는 온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히터(128)를 작동시킨다.
상기 스위치(735)의 온오프 작동 상태는 상기와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10)의 케이스 및 도어(13, 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별도의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 및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가 배치되고, 상기 감지 유닛(720)은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가 상기 제빙 공 간 도어(720)에 의해 개폐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제시되나, 본 발명이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감지 유닛(720)이 상기 냉장고(10)의 케이스가 도어(13, 14)에 의해 개폐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센서 히터(128)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감지 유닛(720)이 상기 냉장고(10)의 케이스가 도어(13, 14)에 의해 개폐되는지 여부와,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가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에 의해 개폐되는지 여부를 모두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고(10)의 케이스 및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는 그 일부가 개방되는 것이고, 상기 냉장고(10)의 도어(13, 14) 및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는 상기 냉장고(10)의 케이스 및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냉장고(10)의 케이스 및 상기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710)는 외부 케이스로, 상기 도어(13, 14) 및 상기 제빙 공간 도어(720)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시키는 도어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센서(820)는 발신부(821)와, 발신기(822)와, 회로부(827)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신부(821)에 대한 설명은 상기 만빙 감지 센서(820)의 수신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발신부(821)는 박스 형상을 이루고, 일 측에 발신기 삽입 홀(829)이 형성된다. 상기 발신기 삽입 홀(829)은 상기 발신부(821)의 배면에서 전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이루고, 상기 발신부(821)를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그 전면이 막힌 형상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발신기 삽입 홀(829)에는 상기 회로부(827)에 연결된 상기 발신기(822)가 삽입된다.
상기 발신부(821)에서 상기 발신기 삽입 홀(829)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은 상기 발신부(821)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함몰된 형상을 이룬다. 역시 상기 발신부(821)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하고 함몰된 부분도 상기 발신부(821)를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그 전면이 막힌 형상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발신부(821)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하고 함몰된 부분에는 센서 히터(828)가 설치된다. 이러한 센서 히터(828)는 상기 발신기 삽입 홀(829)의 전면부에 해당되는 상기 발신부(821)의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신기(822)에서 발신되는 신호의 전달이 상기 발신부(821) 표면에 존재하는 습기에 의해 방해되지 아니할 수 있어, 정확한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된 부분에 상기 센서 히터(828)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센서 히터(828)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신부(821)에서 그 테두리 부분을 제외하고 함몰된 부분, 즉 상기 센서 히터(828)가 설치된 부분에는 몰딩액이 투여된다. 상기 몰딩액은 상기 회로부(827), 상기 발신기(822) 등에 외부의 습기가 침투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만빙 감지 센서(820) 내부를 밀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신기(822)가 상기 발신기 삽입 홀(829)에 삽입되므로, 상기 센서 히터(828)가 부착된 부분에 몰딩액이 투여되더라도, 상기 발신기(822)로는 상기 몰딩액이 침투되지 아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신기 삽입 홀(829)이 막혀 있으므로, 상기 발신기(822)의 전면부에 상기 몰딩액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몰딩액 침투에 따른 상기 발신기(822)에서의 광 산란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신기(822)가 상기 발신기 삽입 홀(829)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발신기(822)가 커버됨과 함께, 별도의 공정없이도 상기 발신기(822)와 상기 발신부(821)의 위치 관계가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만빙 감지 센서(820)의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발신부(821)에는 다수 개의 결합 후크(823, 824)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부(827)에는 상기 다수 개의 결합 후크(823, 824)가 각각 결합되는 후크 결합 홀(825, 826)이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 결합 홀(825, 826)에 상기 결합 후크(823, 824)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발신부(821)와 상기 회로부(827)가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발신기(822)와 상기 발신부(821)의 위치 관계가 보다 용이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적용된 센서 히터(120)에 대한 제어 방법으로 설명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 히터에도 그러한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먼저, 제빙이 개시되면, 상기 제빙기(100) 및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가 온된다(S100).
그 후, 제어부에서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만빙 여부를 판단한다(S110).
상기 판단(S110) 결과, 만빙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서 히터(128)를 온시킨다(S120). 상기와 같이 센서 히터(128)를 작동시켜,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에 생성될 수 있는 습기, 서리 등을 제거한다. 한편, 상기 판단(S110) 결과,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서 히터(128)를 오프시킨다(S140).
한편, 상기 센서 히터(128) 온(S120) 후,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만빙 여부를 재판단한다(S130).
상기 판단(S130) 결과, 만빙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빙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판단(S130) 결과,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온된 상태인 센서 히터(128)를 오프시킨다(S140).
상기와 같이 센서 히터(128)가 오프되는 경우들(S140)에는, 상기 제빙기(100)에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로의 이빙이 수행된다(S150). 이러한 이빙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S160), 이빙이 완료되지 아니하였으면 이빙을 계속한다.
한편, 상기 판단(S160) 결과, 상기 이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만빙 여부를 판단한다(S110).
상기 판단(S110) 결과, 만빙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서 히터 온 과정(S120) 및 상기 만빙 여부 재판단 과정(S130)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만빙 판단을 1차적으로 수행하고, 센서 히터(128)를 작동시켜 만빙 감지 센서(120)에 생성될 수 있는 습기, 서리 등을 제거한 후, 만빙 판단을 2차적으로 재수행함으로써, 만빙의 여부가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고, 만빙 여부 등에 따라 상기 센서 히터(128)를 온/오프시킴으로써 만빙 감지 장치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먼저, 제빙이 개시되면, 상기 제빙기(100) 및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가 온된다(S200).
그 후, 제어부에서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만빙 여부를 판단한다(S210).
상기 판단(S210) 결과, 만빙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서 히터(128)를 온시킨다(S220). 상기와 같이 센서 히터(128)를 작동시켜,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에 생성될 수 있는 습기, 서리 등을 제거한다. 한편, 상기 판단(S210) 결과,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서 히터(128)를 오프시킨다(S240).
한편, 상기 센서 히터(128) 온(S220) 후, 상기 센서 히터(128)의 작동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70).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센서 히터(128)의 내구성 및 요구되는 작동 효율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전체 제빙 시간 미만의 값이 될 것이다.
상기 판단(S270) 결과, 상기 센서 히터(128)의 작동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서 히터(128)를 오프시킨다(S280). 한편, 상기 판단(S270) 결과, 상기 센서 히터(128)의 작동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시간에 도달될 때까지 기다린다.
한편, 상기 센서 히터(128) 오프(S280) 후,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만빙 여부를 재판단한다(S230).
상기 판단(S230) 결과, 만빙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빙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판단(S230) 결과,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온된 상태인 센서 히터(128)를 오프시킨다(S240).
상기 센서 히터(128)가 오프되는 경우(S240)에는, 상기 제빙기(100)에서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로의 이빙이 수행된다(S250). 이러한 이빙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S260), 이빙이 완료되지 아니하였으면 이빙을 계속한다.
한편, 상기 판단(S260) 결과, 상기 이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만빙 감지 센서(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얼음 수용 용기(180) 내의 만빙 여부를 판단한다(S210).
상기 판단(S210) 결과, 만빙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서 히터 온 과정(S220), 상기 센서 히터 작동 시간 판단 과정(S230) 및 상기 만빙 여부 재판단 과정(S230)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만빙 판단을 1차적으로 수행하고, 센서 히터(128)를 작동시켜 만빙 감지 센서(120)에 생성될 수 있는 습기, 서리 등을 제거한 후, 만빙 판단을 2차적으로 재수행함으로써, 만빙의 여부가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고, 만빙 여부 등에 따라 상기 센서 히터(128)를 온/오프시킴으로써 만빙 감지 장치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상기 센서 히터(128)의 작동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센서 히터(128)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상기 만빙 감지 장치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상기 센서 히터(128)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빙기에서 이빙된 얼음의 만빙 여부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감지하면서, 작동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면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 제빙기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 제빙기에 대한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만빙 전 상태를 감지하는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만빙 상태를 감지하는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면을 보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서 스위치가 가압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스위치가 가압 해제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에 적용되는 만빙 감지 센서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장고 100 : 제빙기
101 : 제빙기 몸체 110 : 센서 배치부
120, 220, 320, 420, 520, 620 : 만빙 감지 센서
121, 221, 321, 421, 521, 621 : 발신부
122, 222, 322, 422, 522, 622 : 발신기
123 : 수신부 124 : 수신기
128, 228, 328, 440, 528, 628 : 센서 히터
140 : 제빙 히터 150 : 이송부
180 : 얼음 수용 용기 190 : 디스펜서
223 : 연장관 224 : 밀폐 케이스
330 : 센서 히터 수용체 331 : 플랜지
333 : 피권취부 710 : 제빙 공간 형성 케이스
720 : 제빙 공간 도어 730 : 감지 유닛

Claims (8)

  1. 제빙기 및 만빙 감지 센서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만빙 감지 센서에 의해 얼음 수용 용기 내의 만빙 여부를 복수 회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회의 만빙 여부 판단 중에, 상기 만빙 감지 센서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센서 히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히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만빙 여부의 1차적인 판단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회의 만빙 여부 판단 단계에서 모두 만빙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빙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회의 만빙 여부 판단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가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서 히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히터의 작동 중지 후, 상기 제빙기에서 상기 얼음 수용 용기 내로 이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히터의 작동 후, 상기 센서 히터의 작동 시간이 소정의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센서 히터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히터의 작동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센서 히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히터의 작동 중지 후, 상기 얼음 수용 용기 내의 만빙 여부를 재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KR1020080049346A 2008-04-15 2008-05-27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KR101456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346A KR101456572B1 (ko) 2008-05-27 2008-05-27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MX2010012929A MX2010012929A (es) 2008-05-27 2009-05-22 Metodo y aparato de deteccion de hielo para un refrigerador.
US12/471,048 US8616013B2 (en) 2008-05-27 2009-05-22 Ice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CN200980119669XA CN102047049B (zh) 2008-05-27 2009-05-22 用于冰箱的冰检测方法和装置
EP09754993.5A EP2304351B1 (en) 2008-05-27 2009-05-22 Ice detecting method
PCT/KR2009/002733 WO2009145528A2 (en) 2008-05-27 2009-05-22 Ice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BRPI0912726-7A BRPI0912726B1 (pt) 2008-05-27 2009-05-22 Método para determinar uma quantidade de gelo coletado em um recipiente de armazenagem de um refrigerador
US12/708,073 US20100139299A1 (en) 2008-04-15 2010-02-18 Refrigerator and full ice level sensing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346A KR101456572B1 (ko) 2008-05-27 2008-05-27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338A true KR20090123338A (ko) 2009-12-02
KR101456572B1 KR101456572B1 (ko) 2014-10-31

Family

ID=4137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346A KR101456572B1 (ko) 2008-04-15 2008-05-27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16013B2 (ko)
EP (1) EP2304351B1 (ko)
KR (1) KR101456572B1 (ko)
CN (1) CN102047049B (ko)
BR (1) BRPI0912726B1 (ko)
MX (1) MX2010012929A (ko)
WO (1) WO200914552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747B1 (ko) * 2011-09-29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023282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506680B2 (en) 2011-05-03 2016-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6448B (zh) * 2010-08-03 2014-11-12 曼尼托沃食品服务有限公司 用于通知制冰周期启动时延的低压控制
KR20120100210A (ko) * 2011-03-03 2012-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290284A1 (en) * 2013-04-01 2014-10-02 Spinnaker Process Instruments Proximity detection in networked freezer stocking management
US9243833B2 (en) * 2013-11-05 2016-01-26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making system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n ice level within an ice bucket
US20170089629A1 (en) * 2014-06-20 2017-03-30 Dae Chang Co., Ltd. Ice maker,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ce maker heater
US10731908B2 (en) 2017-04-26 2020-08-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cold air supply for ice maker and ice level sensor
CN108253676B (zh) * 2017-12-14 2020-03-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制冰机的控制方法
CN108151385B (zh) 2017-12-15 2019-06-2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节能控制方法、装置
CN110617657B (zh) * 2018-06-20 2021-08-03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满冰检测方法及装置、制冰机、存储介质
CN111219915A (zh) * 2018-11-26 2020-06-0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制冰装置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EP3663683A1 (en) * 2018-12-03 2020-06-10 Industria Tecnica Valenciana, S.A. Stop sensor for an ice machine
US11629902B2 (en) * 2019-05-21 2023-04-1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n ice storage bin
KR20200144915A (ko) * 2019-06-19 2020-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US11953253B2 (en) 2019-09-02 2024-04-09 Bsh Hausgeraete Gmbh Household ice maker and method of operating a household ice maker
DE102019213227A1 (de) 2019-09-02 2021-03-04 BSH Hausgeräte GmbH Optoelektronisches Modul für eine Lichtschranke zur Verwendung in einem Haushaltseisbereiter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0169A (en) 1973-11-07 1975-01-14 Powers Regulators Company Ambient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4044348A (en) 1975-09-22 1977-08-23 Gould Inc. Circuit energization indicator with thermal timing means to maintain the indic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de-energization
US4201910A (en) 1978-03-27 1980-05-06 Innovation Industries, Inc. Photosensor assembly
US4237366A (en) 1979-03-19 1980-12-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eated automobile mirror
US4756165A (en) 1987-08-03 1988-07-12 Whirlpool Corporation Single revolution ice maker
JPH0393379A (ja) 1989-09-05 1991-04-18 Fujitsu General Ltd カメラ監視システム
US5060484A (en) 1990-06-12 1991-10-29 Scotsman Group, Inc. Bin level control circuit and transducer mounting system for an ice making machine
IT1244433B (it) 1990-09-12 1994-07-15 Castel Mac Spa Dispositivo elettronico di controllo del livello del ghiaccio in un contenitore di raccolta per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ghiaccio in scaglie
JPH0599877A (ja) 1991-06-25 1993-04-23 Yamatake Honeywell Co Ltd 感湿装置
US5361990A (en) 1991-12-20 1994-11-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uel injector heater
US5160094A (en) 1992-02-24 1992-11-03 Whirlpool Corporation Recoverable domestic ice maker
JPH05280848A (ja) * 1992-04-01 1993-10-29 Sharp Corp 自動製氷装置
US5376785A (en) 1992-10-02 1994-12-27 Chin; Philip K. Optical displacement sensor utilizing optical diffusion
IT1282275B1 (it) 1995-12-06 1998-03-16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Lavabiancheria con cicli di risciacquo a basso consumo
JPH10169982A (ja) 1996-12-11 1998-06-26 Isuzu Ceramics Kenkyusho:Kk セラミック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192693B1 (en) 1998-04-10 2001-02-27 Howe Corporation Ice system having sensor pocket
US6050097A (en) * 1998-12-28 2000-04-18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and storage system for a refrigerator
US6286324B1 (en) 1998-12-28 2001-09-11 Whirlpool Corporation Ice level sensing system for an ice maker
US6148624A (en) * 1998-12-28 2000-11-21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system for a refrigerator
US6082130A (en) 1998-12-28 2000-07-04 Whirlpool Corporation Ice delivery system for a refrigerator
US6314745B1 (en) * 1998-12-28 2001-11-1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er and a control system therefor
US6351958B1 (en) * 2000-01-12 2002-03-05 Whirlpool Corporation Optic level sensing system for use in a refrigerator
US6348678B1 (en) 2000-10-24 2002-02-19 Patrick V. Loyd, Sr. Flexible heater assembly
US6637217B2 (en) * 2000-12-30 2003-10-28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37388B1 (ko) 2001-08-14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 및 검사방법
KR100437390B1 (ko) * 2001-09-06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의 만빙감지장치
KR100412948B1 (ko) 2001-11-20 2003-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의 급수량 표시장치 및 방법
CN1243208C (zh) 2002-01-31 2006-02-2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制冰机储冰室满冰检测装置
JP2003332027A (ja) 2002-05-08 2003-11-21 Kinmirai Technos:Kk 発熱体
US7318323B2 (en) * 2003-03-11 2008-01-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ce-making device
KR100565624B1 (ko) * 2003-09-25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제빙기용 이젝터의 회전 제어장치
KR100565496B1 (ko) 2003-10-07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기의 급속 제빙 제어 방법
KR20050033729A (ko) * 2003-10-07 2005-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565497B1 (ko) * 2003-10-07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KR100611489B1 (ko) 2004-12-02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식 제빙기
CN2769791Y (zh) * 2004-12-20 2006-04-05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小型注水式制冰机
EP1705438B1 (en) 2005-03-25 2017-02-22 LG Electronics Inc. Ice bank of refrigerator
US7337620B2 (en) * 2005-05-18 2008-03-04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ed ice compartment for bottom mount refrigerator
KR100786075B1 (ko) 2005-12-16 2007-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KR20080026385A (ko) 2006-09-20 2008-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08030023A1 (en) 2006-09-04 2008-03-13 Lg Electronics Inc. Control apparatus for taking out ice of refrigerator and method thereof
KR100900287B1 (ko) 2006-12-29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182162B2 (en) 2006-12-29 2015-11-10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turning off an actuator in a refrigeration device upon detection of an unwanted condition
US8156748B2 (en) 2007-04-27 2012-04-17 Whirlpool Corporation Ice quality sensing system employing digital imaging
US8713949B2 (en) 2007-04-27 2014-05-06 Whirlpool Corporation Ice level and quality sensing system employing digital imaging
US7930893B2 (en) * 2007-05-01 2011-04-26 Restaurant Technology, Inc. Automated ice transport device and method
KR101423332B1 (ko) 2007-10-23 2014-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기의 구동 방법
US7841192B2 (en) 2007-12-27 2010-11-30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in bucket detection for an icemaker
US8109112B2 (en) 2008-02-25 2012-02-07 Whirlpool Corporation Variable ice storage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101535481B1 (ko) 2008-04-15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US8424323B2 (en) 2009-11-13 2013-04-23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level sensing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6680B2 (en) 2011-05-03 2016-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308747B1 (ko) * 2011-09-29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023282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378322B2 (en) 2014-08-22 202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93510A1 (en) 2009-12-03
EP2304351A2 (en) 2011-04-06
WO2009145528A2 (en) 2009-12-03
BRPI0912726A2 (pt) 2015-10-13
US8616013B2 (en) 2013-12-31
MX2010012929A (es) 2011-02-25
CN102047049A (zh) 2011-05-04
BRPI0912726B1 (pt) 2020-06-02
CN102047049B (zh) 2013-07-24
EP2304351A4 (en) 2015-01-21
KR101456572B1 (ko) 2014-10-31
EP2304351B1 (en) 2019-10-23
WO2009145528A3 (en)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3338A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KR20090109417A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20090123337A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KR20090109422A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20090109421A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535481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962139B1 (ko) 아이스메이커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5307A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만빙 감지 방법
MX2011004116A (es) Refrigerador.
KR20150036752A (ko) 제빙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0183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KR20110135124A (ko) 아이스 메이커 및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된 냉장고
KR20100094880A (ko) 냉장고 및 그의 만빙감지장치
US20100018239A1 (en) Refrigerator
KR101637349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451658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483028B1 (ko) 냉장고 제빙기의 제어 방법
KR20050063871A (ko) 냉장고용 아이스 메이커 및 아이스 메이커의 이빙 제어방법
KR101787913B1 (ko) 아이스 메이커 및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된 냉장고
KR20110096873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얼음 공급 방법
KR20100002901A (ko) 제빙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09420A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0827785B1 (ko) 냉장고 제빙기의 급수튜브
KR20090006518A (ko) 결빙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82539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