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764B1 -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764B1
KR100557764B1 KR1020030081560A KR20030081560A KR100557764B1 KR 100557764 B1 KR100557764 B1 KR 100557764B1 KR 1020030081560 A KR1020030081560 A KR 1020030081560A KR 20030081560 A KR20030081560 A KR 20030081560A KR 100557764 B1 KR100557764 B1 KR 10055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mode
driv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772A (en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76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이빙 모터의 회전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이빙동작과 수평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장치의 오동작을 줄이고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얼음을 제빙용기에서 분리하는 이빙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빙용기의 회전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빙용기의 회전이 시작된 후 미리 설정된 제1구동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구동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제빙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빙용기 구동장치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A ice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빙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빙장치에서 이빙동작 또는 수평동작시에 제빙장치를 구성하는 각 장치의 동작여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가 부착된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에서 이빙동작 또는 수평동작시에 제빙장치를 구성하는 각 장치의 동작여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a,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160:이빙모터 35:제빙용기
36:구동부              37:얼음이송장치
38:만빙레버 40:온도센서
60:제어부 61:모터 구동정보 저장부
62:이빙모터 회전 제어부       63:전압감지부
본 발명은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빙모터의 회전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이빙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수평스위치 없이 이빙동작과 수평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장치는 냉장고의 냉동실에 설치되어 물을 제빙용기에 자동으로 공급받고 제빙상태를 체크하여 제빙이 완료되면 제빙된 얼음을 제빙용기로부터 자동으로 이탈시켜 얼음보관용기에 적재하도록 한 장치로서, 제빙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별도 조작이 없이 얼음을 얻을 수 있어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제빙장치에 대하여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제빙장치의 구동부는 케이스(10)내에 이빙모터(16)가 장착되어 있고, 이빙모터(16)로부터 연장된 축상에 웜기어(11)가 설치되어 있다. 
웜기어(11)에는 제1 내지 제3기어(12~14)가 순차적으로 맞물림되어 웜기어(11)의 회전력이 제1기어(12)로부터 제3기어(14)까지 순차적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3기어(14)에는 캠기어(15)가 맞물림되어 제3기어(14)의 회전력에 따라 캠기어(15)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캠기어(15)의 외주면 일측에는 제빙용기가 과회전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손방지돌기(17)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제빙용기가 초기수평상태로 복귀되었을 때 파손방지돌기(17)와 접촉되도록 케이스(10)의 소정위치에 수평 스토퍼(18)가 형성되어 파손방지돌기(17)와 수평스토퍼(18)가 접촉함으로써 캠기어(15)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빙용기가 대략 160°만큼 회전되었을 때 캠기어(15)의 외주면에 부착된 파손방지돌기(17)와 접촉되도록 이빙모터(16)의 일측에 이빙 스토퍼(19)가 부착되어 파손방지돌기(17)와 이빙스토퍼(19)가 접촉함으로써 캠기어(15)가 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캠기어(15)의 하측에는 제빙용기의 초기 수평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수평스위치(2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수평스위치(20)는 캠기어(15)에 부착된 수평스위치 조정리브(21)에 의해 스위칭 상태가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스위치(20)로부터 인접된 지점에 만빙스위치(22)가 장착되어, 캠기어(15)에 부착된 만빙레버 조정리브(23)에 의해 레버커넥터(24)가 눌러지면 만빙스위치(22)를 턴-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만빙레버(25)는 제빙장치의 하부에 수납된 얼음보관용기(미도시)의 얼음 적재량에 따라 회전위치가 제어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제빙장치의  이빙동작을 설명한다.
도 2의 X축은 시간, Y축은 하이 또는 로우 신호를 나타낸다.
사용자에 의해 자동제빙기능이 선택되면 제어부(미도시)는 급수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제빙용기(미도시)에 설정량만큼 물을 공급한다. 이때, 제빙용기는 초기수평상태(A)를 유지하게 되므로, 수평스위치(20)는 캠기어(15)에 부착된 수평스위치 조정리브(21)의 오목부에 위치하여 '오프(Off)'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레버커넥터(24)는 캠기어(15)에 부착된 만빙레버 조정리브(23)의 오목부에 위치하므로 레버커넥터(24)가 눌려지지 않고, 이에 따라, 만빙레버(25)가 회전되지 않아 만빙스위치(22)는 '오프(Off)'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수평스위치(20)와 만빙스위치(22)가 각각 오프상태임을 체크하여 제빙용기의 현재위치가 초기수평상태임을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는 제빙이 완료되었는가를 체크한 후, 제빙이 완료되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빙모터(1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빙모터(16)가 회전됨에 따라 캠기어(15)에 부착된 수평스위치 조정리브(21)가 회전되고, 수평스위치(20)는 수평스위치 조정리브(21)의 볼록부에 위치하므로 '온(On)'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또한, 레버커넥터(24)는 캠기어(15)에 부착된 만빙레버 조정리브(23)의 볼록부에 위치하므로 레버커넥터(24)가 눌려지고, 이에 따라 만빙레버 조정리브(23)가 회전되어 만빙스위치(22)는 '온(On)'상태로 전환하게 된다(B).  이때, 제어부는 수평스위치(20)와 만빙스위치(22)가 각각 '온(On)'상태임을 체크하여, 자동제빙기가 이빙준비상태(B)로 세팅되었다고 판단한다.
이후, 이빙모터(16)가 이빙준비상태로부터 더 회전함에 따라 캠기어(15)에 부착된 수평스위치 조정리브(21)가 회전하게 되고, 수평스위치(20)는 수평스위치 조정리브(21)의 오목부에 위치하므로 '오프(Off)'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또한, 레버커넥터(24)는 여전히 만빙레버 조정리브(23)의 볼록부에 위치하므로 레버커넥터(24)가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만빙스위치(22)는 '온(On)'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수평스위치(20)가 '오프(Off)'상태임을 체크하고 만빙스위치(22)가 '온(On)'상태임을 체크하여 제빙장치가 이빙상태(C)로 되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이빙모터(16)를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제빙된 얼음은 제빙용기로부터 분리되어 얼음보관용기에 적재되고, 이빙동작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이빙모터(16)를 초기 회전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수평스위치(20)는 캠기어(15)에 장착된 수평스위치 조정리브(21)의 볼록부에 위치하게 되어 '온(On)'상태로 전환되고, 레버커넥터(24)는 만빙레버 조정리브(23)의 볼록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온(On)'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9)는 수평스위치(20)와 만빙스위치(22)가 각각 '온(On)'상태임을 체크하여 제빙장치가 수평 복귀 진행상태(D)로 세팅되었다고 판단한다.
이후, 이빙모터(16)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수평스위치(20)와 만빙스위치(22)는 각각 수평스위치 조정리브(21)와 만빙레버 조정리브(23)의 오목부에 위치하게 되어 수평스위치(20)와 만빙스위치(22)는 '오프(Off)'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수평스위치(20)와 만빙스위치(22)가 각각 '턴-오프(Turn-Off)'되었는가를 체크하여 제빙장치가 초기상태로 복귀되었다고 판단한 후, 이빙모터(16)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제빙장치는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는 제빙장치가 초기상태로 복귀되었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제빙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제빙장치에 있어서, 캠기어(15)에 부착된 복수개의 리브(21, 23)가 수평스위치(20)와 만빙스위치(22)에 접촉됨에 따라 그 스위칭 상태 를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기구적인 접촉불량율이 높으며, 그에 따라 제빙장치가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얼음보관용기의 초기수평상태 및 이빙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평스위치(20), 만빙스위치(22) 및 이들의 스위칭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리브(21, 23)를 갖는 캠기어(15)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이빙 모터의 회전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이빙동작과 수평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장치의 오동작을 줄이고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얼음을 제빙용기에서 분리하는 이빙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빙용기의 회전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빙용기의 회전이 시작된 후 미리 설정된 제1구동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구동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제빙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빙용기 구동장치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구동시간은 상기 제빙용기를 완전하게 뒤집을 수 있는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빙장치 제어방법은 상기 이빙모드가 수행된 후 상기 제빙용기의 상태를 회복시키기 위해 상기 제빙용기를 다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빙용기의 상태가 회복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제빙용기의 상태가 회복된 경우 상기 제빙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빙용기 구동장치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빙모드가 수행된 후 상기 제빙용기의 상태를 회복시키는 복귀모드가 수행되기 전에 미리 설정된 제1대기시간 동안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의 구동을 중지하는 제1대기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의 이빙모드시의 회전방향과 상기 복귀모드시의 회전방향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귀모드가 수행된 후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를 상기 이빙모드시의 회전방향으로 제2구동시간 동안 회전시켜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기어의 맞물림을 풀어주기 위한 응력완화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귀모드가 수행된 후 상기 응력완화모드를 수행하기 전에 미리 설정된 제2대기시간동안 상기 제빙용기 회전모터의 구동을 중지하는 제2대기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빙용기의 상태가 회복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에서 이상전압이 발생되는지를 감지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빙용기와, 상기 제빙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빙용기 구동장치와,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의 구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정보에 부합하도록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상기 구동시간에 대한 정보는 이빙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의 구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가 부착된 냉장고는  본체(30)의 내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냉동실(31)이 마련되고, 냉동실(31)의 전면에는 이를 개폐하는 도어(32)가 설치된다. 이때 도어(32)는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본체(3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본체(30)의 후면 벽체에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34)가 설치되고, 본체(30)의 하측 후방에는 압축기(48)가 설치된다.
냉동실(31)의 내부 상부에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용기(35) 및 이빙동작과 수평동작을 위해 제빙용기(35)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6)가 마련된다. 제빙용기(35)의 하부에는 제조된 얼음을 보관하는 얼음보관용기(37)가 마련된다. 그리고 구동부(36)의 일측에는 제빙용기(35)에 적재된 얼음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만빙 스위치(38)가 설치된다.
제빙용기(35)의 상부에는 외부 급수원의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급수관(39)이 외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급수관(39)의 일지점에는 급수관(39)에 흐르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33)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빙용기의 하단 소정위치에는 제빙용기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제빙상태 및 이빙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온도센서(40)가 장착되어 있다.
그 밖에 냉동실(31) 내부에는 냉동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선반(41)과 다수의 보관상자(42)가 구비된다.
또한, 도어(32)에는 도어(32)를 열지 않고서도 얼음보관용기(37) 내부의 얼음을 꺼낼 수 있도록 냉동실(31) 내부와 연통되어 얼음의 배출을 안내하는 토출관(43)이 설치되고, 냉동실(31)의 내부에는 얼음보관용기(37)의 얼음을 토출관(43) 쪽으로 이송시키는 얼음이송장치(44)가 마련된다. 이때 도어(32)의 전면에는 토출관(43)으로 배출되는 얼음을 받기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얼음 수납공간(45)이 형성되고, 이 수납공간(45)에는 토출관(43)의 출구를 개폐하는 동시에 냉동실(31) 내부의 이송장치(44)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46) 및 배출되는 얼음의 비산을 방지하는 안내부재(47)가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구동부를 설명한다.
케이스(100)내에 이빙모터(160)가 장착되어 있고, 이빙모터(160)로부터 연장된 축상에 웜기어(110)가 설치되어 있다. 
웜기어(110)에는 제1 내지 제3기어(120~140)가 순차적으로 맞물림되어 웜기어(12)의 회전력이 제1기어(120)로부터 제3기어(140)까지 순차적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3기어(140)에는 캠기어(150)가 맞물림되어 제3기어(140)의 회전력에 따라 캠기어(150)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캠기어(150)의 외주면 일측에는 제빙용기가 과회전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손방지돌기(17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제빙용기가 초기 수평상태로 복귀되었을 때 파손방지돌기(170)와 접촉되도록 케이스(100)의 소정위치에 수평스토퍼(180)가 형성되어 파손방지돌기(170)와 수평 스토퍼(180)가 접촉함으로써 캠기어(150)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빙용기가 대략 160°만큼 회전되었을 때 캠기어(150)의 외주면에 부착된 파손방지돌기(170)와 접촉되도록 이빙모터(160)의 일측에 이빙 스토퍼(190)가 부착되어 파손방지돌기(170)와 이빙스토퍼(190)가 접촉함으로 인하여 캠기어(150)가 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빙용기 연결축(50)의 우측하부에 만빙스위치(220)가 장착되어, 캠기어(150)에 부착된 만빙레버 조정리브(230)에 의해 레버커넥터(240)가 눌러지면 만빙스위치(220)를 턴-온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만빙레버(250)는 제빙장치의 하부에 수납된 얼음보관용기(37)의 얼음 적재량에 따라 회전위치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에서는 제빙용기가 수평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종래와 같은 수평 스위치(도 1의 20)를 쓰지 않고 있다.
도 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의 X축은 시간, Y축은 하이 신호 또는 로우 신호를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는 모터 구동정보 저장부(61)에 이빙모터(160)의 구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70). 이빙모터(160)의 구동시간에 대한 정보는 제1구동시간, 제2구동 시간, 제3구동시간, 제1대기시간, 제2대기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1구동시간은 제빙모드의 종료 후 이빙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되는 시간으로 제빙용기(35)의 회전이 시작된 시점부터 제빙용기(35)가 약 180°로 회전될때 까지 이빙모터(160)를 정회전(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시간이다. 여기에서 제빙모드는 얼음이 생성되는 모드이고 이빙모드는 제빙용기에 있는 얼음을 이탈시켜 얼음보관용기(37)에 담는 모드이다. 또한 제1구동시간은 해당 시간동안 이빙모터(160)를 정회전시켜 제빙용기(35)가 얼음을 분리하기 적합한 위치가 되도록 설정한다.
제2구동시간은 이빙모드를 수행한 후에 복귀모드를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이빙모터(160)와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응력을 완화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이다. 이렇게 응력을 완화하기 위해 이빙모터(160)를 정회전시켜 주는 모드를 응력완화모드라 하며 복귀모드는 제빙용기(35)를 역회전시켜 수평상태로 회복시키는 모드이다.
제3구동시간은 복귀모드를 수행할 때 이빙모터(160)를 역회전(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시간이다. 제3구동시간은 해당 시간동안 이빙모터(160)를 역회전시켜 제빙용기(35)를 수평상태로 완전하게 회복시킬 수 있도록 설정된다.
제1대기시간은 이빙모드를 위한 이빙모터(160)의 정회전 후 복귀모드를 수행하기 전에 이빙모터(160)의 구동을 일시 정지하는 시간이다.
제2대기시간은 복귀모드를 위한 이빙모터(160)의 역회전 후 응력완화모드를 수행하기 전에 이빙모터(160)의 구동을 일시 정지하는 시간이다.
이빙모터(160)의 구동시간에 대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입력부(64)를 통해 얼음을 생성하라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빙장치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모 드를 수행한다. 제빙모드를 수행하면서 제어부(60)는 제빙모드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72). 제빙모드의 완료 여부는 제빙용기의 밑면에 부착된 온도센서(40)를 이용한다. 즉, 온도센서(40)에서 감지된 제빙용기(35)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이면 얼음이 완전하게 생성된 것으로 보고 제빙모드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제빙모드가 완료되고 이빙모드가 수행되기 전까지 제빙용기(35)는 초기 수평상태(A')를 유지한다. 초기 수평상태에서 제어부(60)는 이빙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모터 구동정보 저장부(61)에 저장되어 있는 제1구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제1구동시간이 얼마인지를 파악한 후 제어부(60)는 이빙모터 회전 제어부(62)가 제1구동시간동안  이빙모터(160)를 정회전(시계방향으로 회전함) 시키도록 한다(74). 이빙동작을 위해 이빙모터(160) 가 정회전하는 동안 제빙장치는 이빙 준비상태(B')가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60)는 설정된 제1구동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한다(76). 제1구동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계속 이빙모터(160)를 정회전시키고 제1구동시간이 경과되었다면 제어부(60)는 이빙동작을 위해 이빙모터(160)의 정회전을 중단한다.
이빙모터(160)의 구동이 중단되면 제빙용기(35)는 개구부가 아래로 향하게 되는 이빙상태(C')가 되고 따라서 제빙용기(35)에 있던 얼음은 분리되어 얼음보관용기(37)로 떨어져 저장된다.
제어부(60)는 이빙모터(160)의 정회전이 중단된 후 모터 구동정보 저장부(61)에 저장되어 있는 제1대기시간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78). 제1대기시 간의 계속 중에 제어부(60)는 제1대기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한다(80).
제1대기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계속 이빙모터(160)의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제1대기시간이 경과되었다면 제어부(60)는 이빙모드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복귀모드를 수행한다. 복귀모드에서는 이빙모터 회전 제어부(62)가 이빙모터(160)를 역회전시키도록 제어하며(82) 제빙장치는 수평 복귀 진행상태(D')가 된다.
수평 복귀 진행상태(D')에서 전압감지부(63)는 이빙모터(160)에서 이상전압이 발생되는지를 감지한다(84). 만약 이빙모터(160)에서 이상전압이 발생하였다면 제빙용기(35)는 수평상태로 완전하게 회복된 것으로 보아 이빙모터(160)의 역회전을 중지시킨다(86).
이빙모터(160)가 역회전할 경우 이빙모터(160)의 회전력은 제1내지 제3기어(120내지 140)를 거쳐 캠기어(150)에 전달되어 캠기어(150)도 회전한다. 캠기어(1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하다가 제빙용기(35)가 수평하게 되면 캠기어(150)의 외주 일측에 설치된 파손방지돌기(17)가 수평 스토퍼(150)와 접촉하게 되고 그 순간 제빙용기(35)의 회전이 정지되어 이빙모터(160)에 이상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빙모터(160)에 이상전압이 발생한 경우 제빙용기(35)가 수평상태가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빙모터(160)에서 이상전압이 발생하면 제어부(60)는 이빙모터(160)의 역회전을 중지시킨 후 모터 구동정보 저장부(61)에 저장되어 있는 제2대기시간이 얼마인지를 파악하고 이빙모터(160)의 오프상태를 제2대기시간 동안 유지한다(E').
다음으로 제어부(60)는 제2대기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여(88) 제2대기시 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계속 대기하고 제2대기시간이 경과되었다면 응력완화모드(F')를 수행한다. 응력완화모드(F')에서 제어부(60)는 이빙모터 회전제어부(62)를 제어하여 설정된 제2구동시간동안 이빙모터(160)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이빙모터(160)와 제1내지 제3기어(120내지 140) 사이에 존재하는 응력을 완화시켜 준다(90). 응력완화모드(F')에서 제2구동시간은 응력을 풀 수 있을 정도이면 되고 제1구동시간에 비해 짧은 시간이 되도록 설정된다.
복귀모드에서는 이와 같이 이빙모터(160)의 이상전압 발생여부를 감지하여 제빙용기(35)가 수평상태를 회복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지만 미리 이빙모터(160)의 역회전 시간을 설정하여 그 시간동안 이빙모터(160)를 구동시킴으로써 제빙용기(35)를 수평상태로 만들 수도 있다. 즉, 모터 구동정보 저장부(61)에 미리 제3구동시간을 입력해 놓고 저장되어 있는 제3구동시간 동안 이빙모터(160)를 구동시켜 제빙용기(35)를 수평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미리 이빙모터의 구동시간을 설정하여 이빙모드와 복귀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수평스위치를 쓰지 않고도 이빙모드와 복귀모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동작은 모두 종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 스위치 없이 미리 설정된 이빙모터의 구동시간에 따라 이빙모터를 구동하여 이빙동작과 수평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장치의 오동작을 줄이고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Claims (10)

  1. 얼음을 제빙용기에서 분리하는 이빙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빙용기의 회전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빙용기의 회전이 시작된 후 미리 설정된 제1구동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구동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제빙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빙용기 구동장치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빙모드가 수행된 후 상기 제빙용기의 상태를 회복시키기 위해 상기 제빙용기를 다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에서 이상전압이 발생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제빙용기의 상태가 회복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빙용기의 상태가 회복된 경우 상기 제빙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빙용기 구동장치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시간은 상기 제빙용기를 완전하게 뒤집을 수 있는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3. 삭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빙모드가 수행된 후 상기 제빙용기의 상태를 회복시키는 복귀모드가 수행되기 전에 미리 설정된 제1대기시간 동안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의 구동을 중지하는 제1대기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의 이빙모드시의 회전방향과 상기 복귀모드시의 회전방향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모드가 수행된 후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를 상기 이빙모드시의 회전방향으로 제2구동시간 동안 회전시켜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기어의 맞물림을 풀어주기 위한 응력완화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모드가 수행된 후 상기 응력완화모드를 수행하기 전에 미리 설정된 제2대기시간동안 상기 제빙용기 회전모터의 구동을 중지하는 제2대기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8. 삭제
  9. 제빙용기와,
    상기 제빙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빙용기 구동장치와,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에서 이상전압이 발생되는지를 감지하는 전압감지부와,
    상기 제빙용기 구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전압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이상전압에 따라 상기 이빙모드 수행 후 상기 제빙용기의 상태가 회복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정보와 판단에 부합하도록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시간에 대한 정보는 이빙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빙용기 구동장치의 구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
KR1020030081560A 2003-11-18 2003-11-18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5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560A KR100557764B1 (ko) 2003-11-18 2003-11-18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560A KR100557764B1 (ko) 2003-11-18 2003-11-18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772A KR20050047772A (en) 2005-05-23
KR100557764B1 true KR100557764B1 (ko) 2006-03-07

Family

ID=3724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560A KR100557764B1 (ko) 2003-11-18 2003-11-18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365B1 (ko) * 2007-11-23 2009-10-30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의 이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772A (en)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736B1 (ko) 냉장고용 자동제빙기
KR20050102993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273051B1 (ko) 자동제빙장치
KR100557764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56994B1 (ko) 냉장고용 제빙기
KR100276738B1 (ko) 냉장고의 얼음투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34649A (ko) 얼음공급기가 설치된 냉장고
CN112789471B (zh) 冰箱及其控制方法
KR100531290B1 (ko)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및 자동제빙기 제어방법
KR20220035676A (ko) 제빙 어셈블리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346401B1 (ko) 냉장고의 얼음저장량 조절구조 및 조절방법
KR100820148B1 (ko) 자동 제빙기의 이빙제어방법
KR100631561B1 (ko) 냉장고의 제빙기의 만빙운전 제어방법
KR100215073B1 (ko) 제빙기의 초기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42457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661831B1 (ko) 제빙기의 급수감지방법
KR20050110211A (ko) 제빙기
KR102490301B1 (ko)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KR19990013142A (ko) 제빙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81801B1 (ko) 제빙기의 이빙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27914A (ko) 냉장고 및 제빙장치 고장판단방법
JP3038312B2 (ja) 冷蔵庫
JP4855094B2 (ja) 製氷機
KR100241461B1 (ko) 제빙기의 제어방법
KR20050048393A (ko) 만빙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