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313A - 복합체 - Google Patents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313A
KR20210042313A KR1020217003153A KR20217003153A KR20210042313A KR 20210042313 A KR20210042313 A KR 20210042313A KR 1020217003153 A KR1020217003153 A KR 1020217003153A KR 20217003153 A KR20217003153 A KR 20217003153A KR 20210042313 A KR20210042313 A KR 20210042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mposite
linear
adhesive body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다카시마
긴지 미즈하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2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8Several wires or the like stranded in the form of a rope
    • H01B5/10Several wires or the like stranded in the form of a rope stranded around a space, insulating material, or dissimilar conduct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척상의 점착체와, 복수의 선상 부재를 구비하고, 복수의 선상 부재가 점착체의 주위에 첩착되어 있는,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체
본 발명은, 장척상의 점착체와 복수의 선상 부재를 구비하는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각종 케이블이나 전선, 광파이버 등의 선상 부재를 묶는 양태로는, 여러 가지의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점착 코팅을 구비하는 실 (絲) 을 광파이버 케이블에 있어서의 파이버의 군에 감음으로써 파이버를 묶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코드류를 유지하기 위한 커버 띠를 구비하는 코드류 고정구에 의해, 각종 코드를 묶어 정위치에 유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909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37088호
특허문헌 1 또는 2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모두 광파이버나 코드 등의 선상 부재를 외부로부터 구속한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는, 예를 들어, 단선 등의 이유에 의해 선상 부재를 1 개만 교환하는 경우, 한 번 모든 선상 부재의 구속을 풀어, 교환해야 할 선상 부재를 교환하고, 다시 모든 선상 부재를 구속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낮다.
또, 특허문헌 1 또는 2 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선상 부재를 외부로부터 단단히 죄이기 때문에, 선상 부재가 열화되기 쉽다. 또한 굴곡되었을 때에 선상 부재끼리의 또는 선상 부재와 구속구의 마찰이나, 선상 부재의 휨이 생기기 쉬운 것 등으로부터도, 선상 부재가 열화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완성된 것으로, 선상 부재의 열화가 적고, 또, 선상 부재를 교환할 때의 작업 효율도 우수한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복합체는, 장척상의 점착체와, 복수의 선상 부재를 구비하고, 복수의 선상 부재가 점착체의 주위에 첩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체의 일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선상 부재가 점착체를 중심축으로 하여 점착체의 주위에 첩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의 일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선상 부재 전부가 점착체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점착체의 주위에 첩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의 일 양태에 있어서, 선상 부재는 점착체의 둘레 방향에 간극없이 첩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의 일 양태에 있어서, 점착체는 선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의 일 양태에 있어서, 점착체는, 선상의 심재와, 상기 심재의 길이 방향의 표면을 피복하는 점착제층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의 일 양태에 있어서, 점착체는, 감압형 점착체여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의 일 양태에 있어서, 선상 부재는, 광파이버 및 전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일방을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체에 있어서는, 선상 부재의 열화가 적고, 또, 선상 부재의 교환시의 작업 효율도 우수하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체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 는 개략 사시도, (B) 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체의 일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 는 개략 사시도, (B) 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체의 일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부재·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 도면에 기재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모식화되어 있고, 실제의 제품 사이즈나 축척을 반드시 정확하게 나타낸 것은 아니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체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A) 는 개략 사시도, (B) 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복합체 (10) 는, 장척상의 점착체 (11) 와, 복수의 선상 부재 (12) 를 구비하고, 복수의 선상 부재 (12) 는 점착체 (11) 의 주위에 첩착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장척상」이란, 소정 방향 (길이 방향) 의 길이가, 다른 방향 (예를 들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 의 길이에 대해 충분히 긴 (예를 들어, 5 배 이상인) 형상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선상」이란, 직선상, 곡선상, 꺾은 선상 등 이외에도, 실과 같이 다양한 방향,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는 상태 (이하,「사상 (絲狀)」이라고도 한다) 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실시형태의 복합체 (10) 에 있어서는, 복수의 선상 부재 (12) 가 종래 기술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구속에 의하지 않고 묶여 있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점에 있어서 우수하다.
먼저, 본 실시형태의 복합체 (10) 에 있어서는, 복수의 선상 부재 (12) 는 각각이 장척상의 점착체 (11) 의 주위에 첩착됨으로써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선상 부재를, 다른 선상 부재의 고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복합체 (10) 에 있어서는, 선상 부재 (12) 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복합체 (10) 에 있어서, 선상 부재 (12) 는 외부로부터의 조임을 받지 않고, 굴곡되었을 때에도 마찰이나 굴곡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열화되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의 복합체 (10) 에 있어서, 선상 부재 (12) 는 점착체 (11) 를 중심축으로 하여 점착체 (11) 의 주위에 첩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합체 (10) 를 가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절약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복합체 (10) 에 있어서, 선상 부재 (12) 는 전부가 점착체 (11) 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점착체 (11) 의 주위에 첩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선상 부재의 첩부나 박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복합체 (10) 를 제조할 때나 선상 부재 (12) 를 교환할 때의 작업 효율이 특히 우수하다.
여기서, 선상 부재 (12) 가 점착체 (11) 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란, 선상 부재 (12) 가 점착체 (11) 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 상태를 말하고, 선상 부재 (12) 와 점착체 (11) 가 이루는 각이, 예를 들어 -10° ∼ 10°인 상태를 말한다.
또, 선상 부재 (12) 는, 점착체 (11) 의 주위에 나선상으로 첩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복합체 (10) 의 굽힘 특성이 향상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복합체 (10) 에 있어서, 선상 부재 (12) 는 점착체 (11) 의 둘레 방향에 간극을 형성하여 첩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간극 부분에 있어서는 점착체 (11) 가 노출되게 되지만, 당해 노출된 점착체 (11) 는 복합체 (10) 의 고정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된 점착체 (11) 를 벽에 첩착함으로써, 복합체 (10) 를 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복합체 (10) 에 있어서, 선상 부재 (12) 는 점착체 (11) 의 둘레 방향에, 간극없이 첩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복합체 (10) 를 가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절약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점착체 (11) 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도 우수하고, 또한 먼지 등의 의도하지 않은 것이 점착체 (11) 에 부착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이 점에 있어서도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복합체 (10) 에 있어서의 선상 부재 (12), 즉, 점착체 (11) 에 의해 묶이는 부재는, 선상이면 그 굵기, 길이, 단면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선상 부재 (12) 로는, 예를 들어, 광파이버나, 전선, 각종 케이블이나 와이어, LED 파이버라이트, 섬유, 모발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복합체 (10) 에 있어서의 복수의 선상 부재 (12) 는, 모두 동종의 부재여도 되고, 상이한 종류의 부재여도 된다.
선상 부재 (12) 의 수도 복수, 즉 2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종류나 복합체의 용도에 따라 적절한 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상 부재 (12) 가 광파이버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4 ∼ 40 개 정도를 장척상의 점착체 (11) 에 의해 묶어, 복합체 (10) 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체 (11) 는, 장척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체 (11) 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 (이하, 간단히「단면 형상」이라고도 한다) 은 도 1 에 있어서는 원형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이외에도,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등, 여러 가지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점착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선상 부재를 묶을 때에는 가늘게 묶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고,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복합체 (10) 는 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는, 점착체 (11) 의 단면 형상은 원에 가까운 듯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점착체 (11) 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단축 (단면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축 중 가장 짧은 축) 의 길이에 대한 장축 (단면의 무게 중심을 지나는 축 중 가장 긴 축) 의 길이의 비율 (장축/단축) 은,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비율이 클수록 점착체 (11) 는 편평한 형상이 된다. 한편, 당해 비율이 작을수록 점착체의 단면 형상은 원형에 가까워지고, 당해 비율은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 최소값인 1 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체 (11) 의 굵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첩부되는 선상 부재 (12) 의 수나, 용도에 따라 적합한 굵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체 (11) 의 길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적합한 길이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복합체 (10) 의 변형예를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다.
복합체 (10) 는, 도 2(A) 에 개략 사시도를, 도 2(B) 에 개략 단면도를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직경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점착체 (11) 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의 복수의 점착체 (11) 는 동종이어도 되고, 종류가 상이해도 된다. 점착체 (11) 의 개수는, 예를 들어, 선상 부재 (12) 의 수에 따라 적절히 증감시키면 된다.
또, 복합체 (10) 는, 도 3 에 개략 사시도를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점착체 (11) 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도 복수의 점착체 (11) 는 동종이어도 되고 종류가 상이해도 된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점착체 (11) 는 간극을 형성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간극을 형성하지 않고 배치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체 (11) 는, 심재와 심재를 피복하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층 (점착제층) 을 구비해도 된다. 또, 심재를 구비하지 않고, 점착제만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체 (11) 를 구성하는 점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접착성의 점에서, 고무계 점착제나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는, 1 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이소옥틸, 아크릴산이소노닐 등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들에 필요에 따라 아크릴로니트릴, 아세트산비닐, 스티렌,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산, 무수 말레산, 비닐피롤리돈,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등의 개질용 단량체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단량체의 중합체를 주제로 한 점착제이다.
고무계 점착제는, 천연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계 폴리머를 주제로 한 점착제이다.
또, 이들 점착제에는 로진계, 테르펜계, 스티렌계, 지방족 석유계, 방향족 석유계, 자일렌계, 페놀계, 쿠마론인덴계, 그들의 수소 첨가물 등의 점착 부여 수지나, 가교제, 점도 조정제 (증점제 등), 레벨링제, 박리 조정제, 가소제, 연화제, 충전제, 착색제 (안료, 염료 등),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방부제, 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로는, 용제형의 점착제와 수분산형의 점착제 중 어느 타입도 사용할 수 있다. 고속 도공이 가능하고, 친환경이며, 용제에 의한 심재로의 영향 (팽윤, 용해) 이 적다는 점에서는, 수분산형의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체 (11) 는 감압형 점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체 (11) 를 구성하는 점착제는, 감압형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형 점착제는, 상온에서 점착성을 갖고, 피착체인 것과의 접촉시에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피착체를 그 표면에 첩부할 수 있는 점착제로서, 박리 및 재접착이 가능한 점착제이다. 점착체 (11) 를 구성하는 점착제로서 감압형 점착제를 사용한 경우, 선상 부재 (12) 를 점착체 (11) 에 첩부할 때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 선상 부재 (12) 의 박리 및 재첩부가 가능하기 때문에, 선상 부재의 교환을 특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핫멜트 점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선상 부재 (12) 를 점착체 (11) 에 첩부할 때에 가열이 필요하고, 이 때에 선상 부재 (12) 가 열화될 우려가 있지만, 감압형 점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와 같은 열화의 우려가 없는 점에 있어서도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체 (11) 가 심재를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심재의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강도, 중량, 경도 등의 성질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고무, 발포체, 무기 섬유, 이들의 복합체 등을 심재의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수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 염화비닐 수지 ; 아세트산비닐 수지 ; 폴리이미드 수지 ; 폴리아미드 수지 ; 불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고무의 예로는, 천연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의 합성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발포체의 예로는,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섬유의 예로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금속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 심재의 단면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체 (11) 는 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복합체 (10) 를 구성하는 선상 부재 (12) 가 가요성 (가곡성) 을 갖고, 복합체 (10) 에 구부러짐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사상의 점착체 (11) 이면 당해 변형에 추종하여 변형될 수 있다.
사상의 점착체 (11) 에 이용될 수 있는 사상의 심재의 재질로는, 레이온, 큐프라, 아세테이트, 프로믹스, 나일론, 아라미드, 비닐론, 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클랄, 폴리락트산 등의 각종 고분자 재료, 유리, 탄소 섬유, 천연 고무나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고무 등의 각종 고무, 면, 울 등의 천연 재료,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사상의 심재의 형태로는, 예를 들어, 모노 필라멘트 이외에, 멀티 필라멘트, 스펀 얀, 권축 가공이나 벌크 가공 등을 실시한 일반적으로 텍스처드 얀, 벌키 얀, 스트레치 얀으로 칭해지는 가공사, 혹은 이들을 합쳐서 꼬거나 하여 조합한 실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단면 형상도,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형상 등의 단형상의 실이나, 성형 (星型) 형상, 타원 형상, 중공 등일 수 있다.
또한, 심재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등),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활제, 가소제, 착색제 (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심재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하도제의 도포 등의, 공지 또는 관용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체 (11) 가 심재와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첩착되는 부재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되는데, 점착성의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5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심재의 굵기 (섬도) 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첩착되는 부재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사상의 심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도의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25 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dtex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유연성의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1500 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dtex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체 (11) 가 심재와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심재 표면 (길이 방향의 표면) 의 전부를 피복하고 있어도 되는데, 심재 표면의 일부만을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또, 점착제층은 전형적으로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점상, 스트라이프상 등의 규칙적 혹은 랜덤인 패턴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심재의 단면은 점착제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도 되고 피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점착체가 제조 과정이나 사용시에 절단되는 경우에는, 심재의 단면은 점착제층에 의해 피복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체 (11) 및 복합체 (10) 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지만, 이것들의 제조 방법은 이하에 예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심재를 구비하지 않고 점착제만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체 (11) 는, 예를 들어, 점착체 (11) 를 구성하는 점착제를 준비하고, 세퍼레이터 위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선상으로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심재와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점착체 (11) 는, 예를 들어, 심재의 표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딥핑, 침지, 도포 등에 의해 도공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의 관용의 코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복합체 (10) 는, 점착체 (11) 의 주위에 복수의 선상 부재 (12) 를 직접적으로 첩부함으로써 얻어진다. 첩부시에는, 예를 들어, 점착체 (11) 를 형성하는 점착제가 감압형 점착제인 경우에는 선상 부재 (12) 를 점착체 (11) 에 눌러 대거나, 핫멜트 점착제인 경우에는 선상 부재 (12) 를 점착체 (11) 에 고정시켜 가열하거나 하는 적절한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을 특정한 양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또한, 본 출원은, 2018년 8월 7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일본 특허출원 2018-148790) 에 기초하고,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또, 여기에 인용되는 모든 참조는 전체로서 받아들인다.
10 : 복합체
11 : 점착체
12 : 선상 부재

Claims (8)

  1. 장척상의 점착체와, 복수의 선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선상 부재가 상기 점착체의 주위에 첩착되어 있는, 복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상 부재가 상기 점착체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점착체의 주위에 첩착되어 있는, 복합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상 부재 전부가 상기 점착체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점착체의 주위에 첩착되어 있는, 복합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 부재는 상기 점착체의 둘레 방향에 간극없이 첩착되어 있는, 복합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는 선상인, 복합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는, 선상의 심재와, 상기 심재의 길이 방향의 표면을 피복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복합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체는, 감압형 점착체인, 복합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상 부재는, 광파이버 및 전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일방을 포함하는, 복합체.
KR1020217003153A 2018-08-07 2019-08-06 복합체 KR202100423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48790 2018-08-07
JP2018148790A JP7290403B2 (ja) 2018-08-07 2018-08-07 複合体
PCT/JP2019/030836 WO2020032000A1 (ja) 2018-08-07 2019-08-06 複合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313A true KR20210042313A (ko) 2021-04-19

Family

ID=6941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153A KR20210042313A (ko) 2018-08-07 2019-08-06 복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13095A1 (ko)
EP (1) EP3836166A4 (ko)
JP (2) JP7290403B2 (ko)
KR (1) KR20210042313A (ko)
CN (1) CN112543980A (ko)
TW (1) TW202017836A (ko)
WO (1) WO20200320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2539A1 (en) 2020-12-14 2022-06-15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86032A1 (en) * 2021-03-30 2024-06-06 Nitto Denko Corporation Composi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7088A (ja) 2004-02-18 2005-09-02 Nichiban Co Ltd コード類固定具
JP2017090913A (ja) 2015-11-13 2017-05-25 オーエフエス ファイテル,エルエルシー ファイバ束及びその束を結束するための糸を含む光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200126A (nl) * 1982-01-14 1983-08-01 Nkf Groep Bv Optisch kabelelement.
JPS59193059A (ja) * 1983-03-28 1984-11-01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1186638A (ja) * 1997-09-03 1999-03-30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
US7212715B2 (en) * 2004-06-25 2007-05-01 Draka Comteq B.V. Cable element having reposition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o couple buffer tubes to a central strength member
US8525033B2 (en) * 2008-08-15 2013-09-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anded composite cabl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JP2012234640A (ja) * 2011-04-28 2012-11-2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ワイヤーハーネス
WO2014078047A1 (en) * 2012-11-16 2014-05-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backed cabling system
EP2977804B1 (en) * 2014-07-25 2017-09-06 CCS Technology, Inc. Optical cable
JP6628831B2 (ja) 2018-04-17 2020-01-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スケジュール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7088A (ja) 2004-02-18 2005-09-02 Nichiban Co Ltd コード類固定具
JP2017090913A (ja) 2015-11-13 2017-05-25 オーエフエス ファイテル,エルエルシー ファイバ束及びその束を結束するための糸を含む光ケーブ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12539A1 (en) 2020-12-14 2022-06-15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6166A4 (en) 2022-04-06
US20210313095A1 (en) 2021-10-07
CN112543980A (zh) 2021-03-23
TW202017836A (zh) 2020-05-16
EP3836166A1 (en) 2021-06-16
JP7290403B2 (ja) 2023-06-13
JP2022167925A (ja) 2022-11-04
WO2020032000A1 (ja) 2020-02-13
JP2020024855A (ja)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4802B1 (ko) 점착성 물품
WO2020071508A1 (ja) 粘着性物品
KR20210042313A (ko) 복합체
US20240186032A1 (en) Composite
WO2020071509A1 (ja) 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接合体
WO2021065838A1 (ja) 糸状粘着体及び糸状粘着体の製造方法
WO2021065837A1 (ja) 糸状粘着体及び糸状粘着体の製造方法
EP4039761A1 (en) Filamentous adhesive body
JP7376302B2 (ja) 糸状粘着体
TWI822874B (zh) 黏著性物品
WO2021060299A1 (ja) 糸状粘着体の貼付方法および仮支持体付き糸状粘着体
WO2021065635A1 (ja) 隙間閉塞方法、隙間閉塞構造体、及び隙間閉塞構造体の製造方法
KR20220156846A (ko) 세퍼레이터를 갖는 점착체
EP3904252A1 (en) Adhesive delivery device and adhesive deliver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