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235A - 비고정식 검사 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비고정식 검사 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235A
KR20210041235A KR1020190123645A KR20190123645A KR20210041235A KR 20210041235 A KR20210041235 A KR 20210041235A KR 1020190123645 A KR1020190123645 A KR 1020190123645A KR 20190123645 A KR20190123645 A KR 20190123645A KR 20210041235 A KR20210041235 A KR 20210041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le
connector
pogo pin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23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235A/ko
Publication of KR20210041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6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related to manufacture, e.g. testing afte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은 보호회로모듈 또는 전지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케이스(110) 외측으로 소정길이 도출한 연결부(300); 및 전지셀의 기능 검사부(400)와 접촉하며, 상기 연결부(300) 타측과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고정식 검사 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 검사방법{Non-fixed inspectionable battery and battery inspection methods}
본 발명은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셀 검사시 정확한 검사와 측정결과의 높은 신뢰성, 그리고 검사장비의 유지 보수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노트북,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에 관한 기술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이차 전지는 대기오염 물질을 유발하는 화석 연료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전기 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 등에 적용되고 있어, 이차 전지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며,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조립을 완료한 이차 전지는 설계상 용량과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는지 검사과정을 거치게 되며, 일반적인 검사항목으로는 배터리 셀의 충방전 전압과 전류, 온도 변화, 그리고 저항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검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배터리 검사방법은 배터리 출력단의 커텍터(200)와 상대물 접속단자(220)를 결합한 후 장비의 배선을 용접하여 검사를 진행한다.
이 때,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커넥터(200)를 꽂아서 검사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위치가 제대로 잡혀 있지 않거나 체결이 올바르지 않을 시에는 커넥터(200)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부정확한 용접으로 인해 접촉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중첩된 용접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저항값이 얻어져 측정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게다가 접속단자(220)는 반복적인 체결로 인해 저항 수치가 변하기 때문에 빈번한 교체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44852호는 이차전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이차전지가 집단으로 연결된 이차 전지팩에 설치되며, 복수의 이차전지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도성 패드가 복수개 일면에 형성되며, 이차 전지팩의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어부 연결부가 형성된 연성회로기판, 및 연성회로기판의 이차전지 단자 반대측에 결합되며, 전도성 패드가 형성된 부위에 개구가 형성된 프로텍터를 포함하고, 연성회로기판에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와 제어부 연결부를 연결하는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이차 전지팩의 이차전지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판 형태의 패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검사장비 제작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신속한 검사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11565호에는 하나의 배터리 팩이 안착되는 하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와 대향되게 마련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부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측정 부재, 및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배터리 팩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검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작업자를 대신하여 상부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기능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선행문헌들에는 배터리 검사 시 정확한 검사와 설비 비용에 직결되는 출력단의 커텍터와 접속단자와의 체결 구조에 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4485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0115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 검사 시 커넥터의 파손을 방지하고, 또 온도, 전압, 전류, 저항 및 제품정보 등 검사 결과의 오차를 줄임으로써 신뢰성이 높은 비고정식으로 검사가 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검사장비 배선과 용접하지 않고도 커넥터와 검사부를 간단하게 탈부착시켜 검사장비의 교체 빈도를 줄일 수 있는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고정식 검사 가능한 배터리는, 일측은 보호회로모듈 또는 전지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케이스(110) 외측으로 소정길이 도출한 연결부(300) 및 전지셀의 기능검사부(400)와 접촉하며, 상기 연결부(300) 타측과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에서,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연결부(300) 타측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몸체(210) 및 상기 몸체(210) 일측면의 접속단자(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에 따른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에서, 상기 접속단자(220)의 가장자리에는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제1 날개부(221)와 제2 날개부(22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에서,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연결부(300) 타측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몸체(210) 및 상기 몸체(210) 일측면의 보호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에서, 상기 보호부재(23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에서, 상기 커넥터 몸체(210)에는 1개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에서, 상기 커넥터 몸체(210)의 관통홀은 제1 관통홀(211), 제2 관통홀(212), 제3 관통홀(213) 및 제4 관통홀(214)로 이루어진 4개이며, 소정 간격 이격된 채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에서, 상기 보호부재(230)에는 상기 커넥터 몸체(210)의 4개의 관통홀과 소정 부위가 중첩되도록 제5 관통홀(231), 제6 관통홀(232), 제7 관통홀(233) 및 제8 관통홀(2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에서, 상기 보호부재(330)의 관통홀이 상기 커넥터(200)의 관통홀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에서, 상기 연결부(30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검사방법은,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배터리를 지그에 위치시키는 제1 단계 및 상기 접속단자(220)에 포고 핀을 접촉시키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검사방법에서, 상기 포고 핀은 제1 포고 핀(410), 제2 포고 핀(420), 제3 포고 핀(430) 및 제4 포고 핀(4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부재(230)의 관통홀과 상기 커넥터 몸체(210)의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접속단자(220)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검사방법에서, 검사항목은 온도, 전압, 전류, 저항 및 제품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고정식 검사가능한 배터리 및 검사방법에 의하면, 배터리 커넥터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기능검사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있어 배터리셀의 검사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배터리 및 검사방법에 의하면, 기능검사부의 포고핀이 커넥터 관통홀을 경유한 후 접속단자와 접촉하기 때문에 포고핀과 접속단자가 정확하게 일치할 수 있고 따라서 측정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배터리 및 검사방법에 의하면, 포고핀과 접속단자를 단순히 접촉과정과 분리과정만을 반복하면서 검사할 수 있어, 검사 장비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검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넥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커넥터를 아래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넥터를 A-A
Figure pat00001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커넥터와 연결부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터리 커넥터와 포고 핀을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 본 발명의 배터리 커넥터와 포고 핀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위한 개념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커넥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커넥터를 아래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는 배터리 본체(100), 커넥터(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배터리 본체(100)에 관해 설명하면, 전극 조립체, 전해액 및 케이스(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극 조립체는 전극과 분리막의 조립체로서,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하나 이상의 음극판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의 각 전극판에는 전극 탭이 구비되어 전극 리드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경우, 하나 이상의 전극 탭이 전극 리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전극 리드는, 파우치 케이스(110) 사이에 개재되어 일단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전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여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납하며, 밀폐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캔형 이차 전지의 경우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경우 외부 절연층, 금속층 및 내부 접착층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케이스(110) 내부의 전극 리드 또는 보호회로모듈(미도시)은 연결부(300)와 접속되어 있고, 또 연결부(300)는 커넥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 케이스(110) 외부로 돌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배터리 검사 시에는 검사 기능부(400)와 일시적으로 접촉하고, 스마트폰 등 각종 장치에 적용시에는 회로기판, 보드 등에 접속되어 전원 공급과 신호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커넥터(200)에 관해 설명하면, 커넥터 몸체(210), 접속단자(220) 및 보호부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터 몸체(210) 일측은 연결부(300)와 이어져 있으며 대략 편평한 판상체일 수 있다. 일 예로, 커넥터 몸체(210)와 연결부(300)는 하나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전극 리드나 보호회로모듈로부터 전원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성회로기판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위 또는 아래에서 바라본 커넥터 몸체(210)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얼마든지 형상이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계속해서, 커넥터 몸체(210)에는 소정 간격 이격된 채 서로 마주보는 4개의 관통홀, 상세하게는 제1 관통홀(211), 제2 관통홀(212), 제3 관통홀(213) 및 제4 관통홀(214)이 구비되어 있고, 이들 관통홀은 후술할 포고핀의 일측 단부가 통과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커넥터 몸체(210)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관통홀들을 분할하는 모양으로 접속단자(220)가 위치하며, 접속단자(220)는 전지셀의 전압, 전류 및 저항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포고핀(pogo pin)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즉, 커넥터 몸체(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지셀의 입출력단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연성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연성회로기판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인 접속단자(220)는 가장 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날개부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긴 변을 따라 형성되는 날개부는 커넥터 몸체(210)의 관통홀과 중첩되는 않는 위치에 서로 마주 보면서 두 쌍의 제1 날개부(221)가 위치하고, 인근하는 제1 날개부(221)들 사이에는 제2 관통홀(212)과 제4 관통홀(214)을 가로 지르는 두 쌍의 제2 날개부(222)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중, 제1 날개부(221)는 접속단자(220)를 커넥터 몸체(210)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제2 날개부(222)는 포고핀과 접촉하여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것이다. 물론 별도의 날개부는 없지만 제1 관통홀(211)과 제3 관통홀(213) 일부와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접속단자(222) 부분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커넥터 몸체(210) 하면에는 보호부재(23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커넥터를 A-A
Figure pat00002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인 도 5를 참조하면 보호부재(230)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능검사 진행 시에는 포고핀이 커넥터 몸체(210)의 관통홀을 통과하게 되며, 이후 접속단자(220)와 소정의 힘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때 포고핀과 관통홀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 포고핀이 커넥터 몸체(210)의 하면을 압착하게 되어 커넥터 몸체(210)가 손상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보호부재(230)가 구비되면, 포고핀과 관통홀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커넥터 몸체(210)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접속단자(220)와 포고핀이 접촉할 수 있도록 보호부재(230)에는 다수개의 관통홀, 구체적으로 접속단자(220)의 제1 관통홀(211), 제2 관통홀(212), 제3 관통홀(213) 및 제4 관통홀(214)에 각각 대응되는 제5 관통홀(231), 제6 관통홀(232), 제7 관통홀(233) 및 제8 관통홀(23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포고핀이 보호부재(230)의 관통홀과 커넥터 몸체(210)의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완전히 통과하고, 또 포고핀의 위치 오류로 인해 쇼트(short)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부재(230) 관통홀의 단면적이 커넥터 몸체(210)의 관통홀 단면적보다 조금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포고핀이 접속단자(22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커넥터 몸체(210)의 관통홀은 접속단자(220)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내경 또는 단면적을 가져야 함은 자명하다.
한편, 보호부재(23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면서 절연성을 갖는 재질, 바람직하게는 절연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연결부(3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와 연결부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연결부(300) 일측은 케이스(110) 내부의 전극 리드 또는 보호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커넥터 몸체(210)와 이어져 있다.
여기서, 연결부(300)는 커넥터(200)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록 도면에서는 커넥터(200)와 연결부(300)가 일체화된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커넥터(200)와 연결부(300)가 분리된 채 별도의 연결수단으로 이어져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터리 커넥터와 포고 핀을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배터리 커넥터와 포고 핀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접속단자(220)와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전지셀의 온도, 전압, 전류, 저항 및 제품정보 등 전지셀의 각종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기능검사부(400)는 다수개의 포고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이러한 기능검사부(400)는 제1 포고 핀(410), 제2 포고 핀(420), 제3 포고 핀(430) 및 제4 포고 핀(440)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포고핀들은 보호부재(230)의 관통홀과 커넥터 몸체(210)의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접속단자(220)와 접촉하여 검사를 실시한다.
일예로, 상기 4개의 포고핀 중 두개는 양극(+)과 음극(-) 단자, 나머지 2개는 온도, 전압, 전류, 저항 및 제품정보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포고핀에 관해 간단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는 반도체 측정장비의 탐침용으로 사용되며, 구조적인 특성상 접촉 정확도가 높아 안정적인 전류 공급이 가능하여, 충방전용의 전류 공급장치나 휴대용 단말기에 부설된 카메라 모듈 등에 폭넓게 적용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 포고핀 일측에는 검사를 위한 배선(미도시)이 연결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또 4개의 포고핀이 서로 분리된 상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접속단자(220)와의 접촉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검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별도의 하나의 몸체에 이들 4개의 포고핀이 관통홀에 대응되도록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포고핀을 포함한 기능검사부(400)를 사용하여 커넥터(200)와 연결부(300)를 구비한 배터리의 성능을 검사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예시에 따른 본 발명의 배터리 검사방법은,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배터리를 지그에 위치시키는 제1 단계 및 접속단자(220)에 포고 핀을 접촉시키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계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배터리를 소정 형상의 지그에 위치시키며, 이때 지그는 배터리 케이스(110)와 커넥터(200)가 안착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의 지그일 수 있다.
여기서, 미리 프로그램에 입력된 지정좌표로 배터리가 이동되고, 센서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제2 단계는, 지그에 안착된 커넥터(200)의 접속단자(220), 구체적으로 커넥터 몸체(210)와 보호부재(230)의 관통홀을 경유하여 접속단자(220)에 포고핀을 접촉시키는 단계로서, 접촉과 동시에 또는 이후에는 전지셀의 온도, 전압, 전류, 저항 및 제품정보 등을 측정한다.
상기 제1 단계에서와 유사하게,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서 포고핀이 이동한 뒤 접속단자(220)에 접촉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1 단계 및 제2 단계 모두에서 정해진 프로그램이 아닌 수작업을 통해 배터리를 이동시키며, 또 포고핀과 접속단자(220)와 접촉시킴으로써 검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배터리는 관통홀이 형성된 커넥터 일측면에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접속단자에 포고핀을 단순히 접촉시킴으로써 배터리셀의 각종 성능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암수 결합 커넥터로 검사할 경우 빈번히 발생하던 커넥터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배터리 본체
110 : 배터리 케이스
200 : 커넥터
210 : 커넥터 몸체
211 : 제1 관통홀 212 : 제2 관통홀
213 : 제3 관통홀 214 : 제4 관통홀
220 : 접속단자
221 : 제1 날개부 222 : 제2 날개부
230 : 보호부재
231 : 제5 관통홀 232 : 제6 관통홀
233 : 제7 관통홀 234 : 제8 관통홀
300 : 연결부
400 : 기능검사부
410 : 제1 포고 핀
420 : 제2 포고 핀
430 : 제3 포고 핀
440 : 제4 포고 핀

Claims (13)

  1. 일측은 보호회로모듈 또는 전지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케이스(110) 외측으로 소정길이 도출한 연결부(300); 및
    전지셀의 기능 검사부(400)와 접촉하며, 상기 연결부(300) 타측과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연결부(300) 타측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몸체(210), 및 상기 몸체(210) 일측면의 접속단자(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220)의 가장자리에는 서로 마주보는 두 쌍의 제1 날개부(221)와 제2 날개부(22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연결부(300) 타측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몸체(210), 및 상기 몸체(210) 일측면의 보호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23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210)에는 1개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210)의 관통홀은 제1 관통홀(211), 제2 관통홀(212), 제3 관통홀(213) 및 제4 관통홀(214)로 이루어진 4개이며, 소정 간격 이격된 채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230)에는, 상기 커넥터 몸체(210)의 4개의 관통홀과 소정 부위가 중첩되도록 제5 관통홀(231), 제6 관통홀(232), 제7 관통홀(233) 및 제8 관통홀(2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330)의 관통홀이 상기 커넥터의 관통홀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0)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배터리를 검사하는 방법으로서,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배터리를 지그에 위치시키는 제1 단계; 및
    상기 접속단자(220)에 포고 핀을 접촉시키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검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고 핀은 제1 포고 핀(410), 제2 포고 핀(420), 제3 포고 핀(430) 및 제4 포고 핀(4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부재(230)의 관통홀과 상기 커넥터 몸체(210)의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접속단자(220)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배터리 검사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검사항목은 배터리의 온도, 전압, 전류, 저항 및 제품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검사방법.
KR1020190123645A 2019-10-07 2019-10-07 비고정식 검사 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 검사방법 KR20210041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645A KR20210041235A (ko) 2019-10-07 2019-10-07 비고정식 검사 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645A KR20210041235A (ko) 2019-10-07 2019-10-07 비고정식 검사 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235A true KR20210041235A (ko) 2021-04-15

Family

ID=7544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645A KR20210041235A (ko) 2019-10-07 2019-10-07 비고정식 검사 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23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852A (ko) 2014-06-17 2015-12-2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이차전지팩의 이차전지 연결장치
KR20190011565A (ko) 2017-07-25 2019-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검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852A (ko) 2014-06-17 2015-12-2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이차전지팩의 이차전지 연결장치
KR20190011565A (ko) 2017-07-25 2019-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검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1824C (zh) 用于测量电池组中的电池电压和温度的部件
KR102291536B1 (ko) 배터리 팩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798688B1 (ko) 전지셀의 기능 검사 지그
US201600699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battery tab electrical connection quality
JP2021526303A (ja) バッテリセル連結用バスバー、バッテリパック及びこの製造方法
KR101681968B1 (ko) 이차 전지 평가 장치
KR20200059483A (ko) 저전압 불량 전지셀 검출을 위한 가압단락 검사장치
KR101802926B1 (ko) 셀의 신호 처리를 위한 센싱 어셈블리를 가지는 배터리
KR20140002846A (ko)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의 검사 방법
US9880207B2 (en) Precise detector of charge current for charge-discharge device
KR20170034675A (ko) 바이폴라셀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KR101877304B1 (ko) 배터리모듈 검사 방법 및 장치
CN114846347A (zh) 电池检查装置
US20170285090A1 (en) System for evaluating battery connection quality
CN114556124A (zh) 用于圆柱形电池单体的振动测试夹具和振动测试装置
KR101057881B1 (ko) 셀 모듈 어셈블리의 절연성 검사를 위한 지그 장치
KR20210041235A (ko) 비고정식 검사 가능한 배터리 및 배터리 검사방법
KR20040022004A (ko) 이차전지 테스트용 프로브
JP7346789B2 (ja) バッテリースウェリング検査装置及び方法
KR20200109040A (ko) 쇼트측정기 및 상기 쇼트측정기를 이용한 전극탭의 변형 발생 검사방법
JP7409596B2 (ja) 圧力測定ユニット、圧力測定パッド、バッテリー検査装置及びバッテリー製造装置
KR102550979B1 (ko) 2채널 2차 전지의 보호 회로 모듈 검사기
KR102544388B1 (ko) 원형 배터리 절연 검사장치
KR101877309B1 (ko) 배터리모듈 검사 방법 및 장치
KR20240058623A (ko) 모듈 검사기의 정상 작동 확인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