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782A -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782A
KR20210040782A KR1020200121230A KR20200121230A KR20210040782A KR 20210040782 A KR20210040782 A KR 20210040782A KR 1020200121230 A KR1020200121230 A KR 1020200121230A KR 20200121230 A KR20200121230 A KR 20200121230A KR 20210040782 A KR20210040782 A KR 20210040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axial cable
housing
wire
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이치 히사다
아키히토 스케가와
신이치 타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0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in or to a panel or structure
    • H01R24/525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in or to a pane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01R24/542Adap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과제)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과 세선 동축 케이블 사이의 접속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1)는 커넥터 하우징(11)과, 외부 동축 케이블(2)과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 사이의 동축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세선 동축 케이블(17)과, 커넥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 내에 설치되어,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셸(17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실드 부재(12)를 포함한다. 실드 부재(12)는 세선 동축 케이블(17)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구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과 상대측 동축 케이블 사이의 동축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과 외부 케이블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서, 회로 기판을 수납하는 하우징과는 별개의 커넥터 하우징을 가지는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가 사용되는 전형적인 디바이스로서 차재(車載) 카메라를 들 수 있다.
차재 카메라는 통상적으로 카메라 하우징과, 카메라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과,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된 CCD나 CMOS 센서 등의 촬상 소자와, 촬상 소자의 전방에 설치된 촬상 광학계를 포함한다. 촬상 광학계에 의해 광학상이 촬상 소자의 촬상면 상에 형성되고, 이 촬상 소자가 광학상을 촬영함으로써, 차재 카메라의 촬영 동작이 실행된다. 이와 같은 차재 카메라는 자동차의 다양한 개소(예를 들면 프론트 범퍼, 리어 범퍼)에 부착되며, 자동차의 동작을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접속되어, ECU로 촬상한 화상을 송신하고, 또한 ECU로부터 전력 공급이나 명령을 수신한다.
차재 카메라와 ECU를 접속하기 위해서, 차재 카메라의 회로 기판의 접속부에, ECU로부터 연신되는 접속 케이블을 접속할 필요가 있다. 이 때, EMI 실드에 의한 내노이즈 성능의 향상, 접속의 신뢰성의 향상, 접속의 방수화 및 방진화, 내충격 성능의 향상 등의 차재 카메라에 요구되는 내환경 성능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여, 차재 카메라의 회로 기판의 접속부와 ECU의 접속 케이블의 접속을 중계하는 커넥터가 사용되는 일이 많다.
또 최근의 차재 카메라의 고화소화에 따라, 차재 카메라로부터 ECU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양이 증대하고 있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짧은 시간에 송신하기 위해서는, 고주파 신호를 차재 카메라와 ECU 사이에서 주고받을 필요가 있어, 차재 카메라와 ECU 사이의 접속의 전기적 특성, 특히 고주파 대역에서의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니즈가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니즈에 대하여, 특허문헌 1은, 차재 카메라의 접속 케이블로서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고, 차재 카메라와 ECU 사이를 동축 접속에 의해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동축 접속은, 복수의 단자를 사용한 접속과 비교하여, 고주파 대역에서의 높은 전송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동축 접속에 의해 차재 카메라와 ECU를 접속함으로써, 차재 카메라와 ECU 사이의 접속의 고주파 대역에서의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재 카메라의 회로 기판의 접속부와 ECU의 접속 케이블 사이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차재 카메라의 회로 기판과 커넥터를 접속하기 위해서, 세선 케이블이 사용되는 일이 많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700)를 개시하고 있다. 커넥터(700)는 자동차의 ECU로부터 연신되는 외부 케이블(800)과, 차재 카메라(900)의 카메라 하우징(910)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920) 사이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커넥터(700)는 전방측(차재 카메라(900)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상자 형상의 커넥터 하우징(710)과, 커넥터 하우징(710) 내에 설치된 배선 기판(720)과, 배선 기판(720)과 외부 케이블(800) 사이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단자(730)와, 배선 기판(720)과 차재 카메라(900)의 회로 기판(920) 사이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세선 케이블(740)을 포함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710)의 후방면측에는 끼워맞춤부(750)가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 하우징(710)의 끼워맞춤부(750)에 외부 케이블(800)이 끼워맞춰진다. 또 커넥터 하우징(710)의 전방측(차재 카메라(900)측)을 카메라 하우징(910)의 후방측에 부착함으로써, 차재 카메라(900)의 회로 기판(920) 및 커넥터(700)의 컴포넌트가, 커넥터 하우징(710)의 전방측과 카메라 하우징(910)의 후방측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 내에 수납된다.
커넥터 하우징(710)의 끼워맞춤부(750)에 외부 케이블(800)이 끼워맞춰지면, 커넥터(700)의 단자(730)와 외부 케이블(8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커넥터(700)의 배선 기판(720)과 외부 케이블(8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커넥터(700)의 배선 기판(720)과 차재 카메라(900)의 회로 기판(920) 사이는 세선 케이블(74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커넥터(700)는 외부 케이블(800)과, 커넥터(700)의 커넥터 하우징(710)과는 별개의 카메라 하우징(910) 내에 수납된 차재 카메라(900)의 회로 기판(920) 사이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선 케이블(740)을 사용한 커넥터(700)의 배선 기판(720)과 차재 카메라(900)의 회로 기판(920) 사이의 접속은 구성이 심플하며, 또 이 접속을 수동으로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선 케이블(740)을 사용한 접속에는, 자동차의 주행시의 진동이나 충격이 커넥터(700)에 가해져, 세선 케이블(740)이 격하게 요동쳤을 때, 세선 케이블(740)이 커넥터(700)의 배선 기판(720) 및/또는 차재 카메라(900)의 회로 기판(920)으로부터 빠져버려, 커넥터(700)의 배선 기판(720)과 차재 카메라(900)의 회로 기판(920) 사이의 접속이 의도치 않게 빠져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개 2016-162556호 공보 일본 특개 2007-2236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과 세선 동축 케이블 사이의 접속의 의도치 않은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이하의 (1)~(8)의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1)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과 외부 동축 케이블 사이의 동축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신되는 벽부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의 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동축 케이블과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전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른 하우징에 부착되는 상자 형상의 커넥터 하우징과,
심선과, 상기 심선과 동심에 설치된 금속제의 셸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끼워맞춤부와 끼워맞춰진 상기 외부 동축 케이블과 상기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상기 회로 기판 사이의 상기 동축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세선 동축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리어 플레이트 및 상기 벽부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실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은, 상기 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부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부착부를 상기 실드 부재의 상기 유지 기구로 유지했을 때, 상기 실드 부재와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셸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1)에 기재된 커넥터.
(3)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평판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유지 기구를 가지고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커넥터.
(4)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본체부의 일부를 상기 전방측으로 절곡(折曲)함으로써 형성된 한 쌍의 연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연신부로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부착부를 협지함으로써,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을 유지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커넥터.
(5) 상기 외부 동축 케이블과,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심선 사이를 접속하는 콘택트 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심선은, 상기 콘택트 핀에 땜납 접속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
(6) 상기 콘택트 핀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리어 플레이트를 삽입통과하여, 일방의 단부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전방측에 위치하고, 타방의 단부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후방측에 위치하며,
상기 콘택트 핀의 상기 일방의 단부는,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심선에 땜납 접속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 핀의 상기 타방의 단부는, 상기 외부 동축 케이블에 접속되는 상기 (5)에 기재된 커넥터.
(7) 상기 콘택트 핀의 상기 일방의 단부와,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심선 사이의 접속 부분은, 절연성의 보호 부재에 의해 덮여 있는 상기 (6)에 기재된 커넥터.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과는 상이한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본 발명에 의하면, 세선 동축 케이블이 실드 부재의 유지 기구에 의해 유지되므로, 자동차의 주행시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한 세선 동축 케이블의 요동이 방지된다. 그 때문에, 세선 동축 케이블의 요동에 의한 세선 동축 케이블과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 사이의 접속의 의도치 않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세선 동축 케이블과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 사이의 접속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외부 동축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커넥터와 외부 동축 케이블을 다른 각도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커넥터 하우징을 전방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실드 부재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실드 부재의 유지 기구의 주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내는 세선 동축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나타내는 커넥터와 외부 동축 케이블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YZ평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를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적합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준비된 모식적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각 구성 요소의 치수(길이, 폭, 두께 등)는 반드시 실제의 치수를 반영한 것은 아니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붙여져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도면의 Z축의 정방향을 「전방측」이라고 하고, Z축의 부방향을 「후방측」이라고 하며, Y축의 정방향을 「상측」이라고 하고, Y축의 부방향을 「하측」이라고 하며, X축의 정방향을 「앞측」이라고 하고, X축의 부방향을 「안측」이라고 하는 일이 있다.
가장 먼저, 도 2~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외부 동축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커넥터와 외부 동축 케이블을 다른 각도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커넥터 하우징을 전방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실드 부재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실드 부재의 유지 기구의 주변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내는 세선 동축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나타내는 커넥터와 외부 동축 케이블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YZ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와, 커넥터(1)에 접속되는 외부 동축 케이블(2)이 나타나 있다. 커넥터(1)는 도시하지 않는 별개의 하우징 내에 설치된 외부 기기의 회로 기판과 외부 동축 케이블(2) 사이의 동축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전형적으로는, 커넥터(1)를 통하여 외부 동축 케이블(2)에 동축 접속되는 외부 기기(도시 생략)는 차재 카메라이다. 차재 카메라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다양한 개소(예를 들면 프론트 범퍼나 리어 범퍼)에 설치되어,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고,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의 자동차의 제어 디바이스에 촬영한 화상을 송신한다. 외부 동축 케이블(2)은 ECU 등의 자동차의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연신되어, 커넥터(1)를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의 회로 기판과 동축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는, 전방측(+Z방향측)으로 개구하는 상자 형상의 커넥터 하우징(11)과, 커넥터 하우징(11) 내에 설치된 실드 부재(12)와, 커넥터 하우징(11) 및 실드 부재(12)를 전방측(+Z방향측)으로부터 후방측(-Z방향측)으로 관통하는 금속제의 원통 형상 셸(13)과, 셸(13)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절연성 하우징(14)과, 선단부(151)가 커넥터 하우징(11)의 후방측(-Z방향측)에 노출되고, 기단부(152)가 커넥터 하우징(11)의 전방측(+Z방향측)에 노출되도록 하우징(14)에 유지되는 콘택트 핀(15)과, 커넥터 하우징(11)을 액밀하게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16)와, 콘택트 핀(15)을 통하여 외부 동축 케이블(2)과 별개의 하우징 내에 설치된 외부 기기의 회로 기판 사이의 동축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세선 동축 케이블(17)과, 콘택트 핀(15)과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접속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18)를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11)은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고, 그 내부에 있어서, 커넥터(1)의 컴포넌트를 수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1)은, 외부 동축 케이블(2)과 대향하는 리어 플레이트(111)와, 리어 플레이트(11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측(+Z방향측)으로 연신되는 벽부(112)와, 리어 플레이트(111)의 후방측(-Z방향측)의 면 상에 형성된 끼워맞춤부(113)와, 리어 플레이트(111)에 형성된 관통 구멍(114)과, 리어 플레이트(111)의 전방측(+Z방향측)의 면 상에 형성된 4개의 보스(115)와, 리어 플레이트(111)의 전방측(+Z방향측)의 면 상에 있어서, 관통 구멍(114)을 사이에 끼우고 형성된 압입 홈(116)을 가지고 있다.
리어 플레이트(111)는 커넥터(1)의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평판 부재이다. 외부 동축 케이블(2)을 커넥터(1)에 접속할 때, 외부 동축 케이블(2)이 리어 플레이트(111)와 대향한다. 벽부(112)는 리어 플레이트(11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측(+Z방향측)으로 연신되어 있고, 리어 플레이트(111)의 전방측(+Z방향측)의 면과 벽부(112)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이 규정되어, 이 내부 공간 내에 커넥터(1)의 컴포넌트가 수납된다. 또 벽부(112)의 전방측(+Z방향측) 부분에는, 외경이 작게 되어 있는 걸어맞춤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벽부(112)의 걸어맞춤부(117)를, 전방측(+Z방향측)에 위치하는 외부 기기의 하우징의 대응하는 개구에 걸어맞춤으로써, 커넥터(1)를 외부 기기에 부착할 수 있다.
끼워맞춤부(113)는 리어 플레이트(111)의 후방측(-Z방향측)의 면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외부 동축 케이블(2)의 커넥터 부분(21)(도 3 참조)이 부착되는 부분이다. 끼워맞춤부(113)는, 리어 플레이트(111)에 형성된 관통 구멍(114)보다 직경이 크고 관통 구멍(114)과 동심의 개구(1131)와, 개구(1131)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끼워맞춤 볼록부(1132)를 가지고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동축 케이블(2)의 커넥터 부분(21)의 전방측(+Z방향측)의 면이 끼워맞춤부(113)와 대향하도록 외부 동축 케이블(2)을 끼워맞춤부(113)에 접촉시키고, 외부 동축 케이블(2)의 커넥터 부분(21)에 형성된 끼워맞춤 오목부(211) 내에 커넥터(1)의 끼워맞춤부(113)의 끼워맞춤 볼록부(1132)를 삽입함으로써, 외부 동축 케이블(2)이 끼워맞춤부(113)와 끼워맞춰진다. 외부 동축 케이블(2)이 끼워맞춤부(113)와 끼워맞춰지면, 외부 동축 케이블(2)의 단자부(22)와, 커넥터(1)의 셸(13) 및 콘택트 핀(15)이 접촉하고, 커넥터(1)와 외부 동축 케이블(2)이 동축 접속된다.
도 5로 되돌아가, 관통 구멍(114)은 셸(13), 하우징(14) 및 콘택트 핀(15)을 리어 플레이트(111)의 전방측(+Z방향측)으로부터 후방측(-Z방향측)으로 삽입통과시키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보스(115)는 리어 플레이트(111)의 전방측(+Z방향측)의 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실드 부재(12)를 리어 플레이트(111)와 벽부(112)에 의해 규정되는 커넥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한 쌍의 압입 홈(116)은 리어 플레이트(111)의 전방측(+Z방향측)의 면 상에 관통 구멍(114)을 사이에 끼우고 형성되어 있다. 셸(13)의 한 쌍의 돌출부(133)(도 4 참조)가 한 쌍의 압입 홈(116) 내에 각각 압입되어, 셸(13)이 커넥터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실드 부재(12)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고, 커넥터 하우징(11)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실드 부재(12)는, EMI 실드에 의해, 커넥터(1)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동축 케이블(2)과 별개의 하우징 내에 설치된 외부 기기의 회로 기판 사이의 접속의 내노이즈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실드 부재(12)는 한 장의 금속 평판에 대하여 타발(打拔) 가공 및 절곡 가공을 시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드 부재(12)는 리어 플레이트(111)의 전방측(+Z방향측)의 면 상에 설치되는 평판부(121)와, 평판부(12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측(+Z방향측)으로 연신되는 벽부(122)와, 커넥터 하우징(11)의 관통 구멍(114)과 대응하도록 평판부(121)에 형성된 관통 구멍(123)과, 관통 구멍(123)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측(-Z방향측)으로 연신되는 연신부(124)와, 커넥터 하우징(11)의 4개의 보스(115)와 대응하도록 평판부(121)에 형성된 보스 삽입통과 구멍(125)과, 커넥터 하우징(11)의 한 쌍의 압입 홈(116)과 대응하도록 평판부(121)에 형성된 한 쌍의 슬릿(126)과, 세선 동축 케이블(17)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구(127)를 가지고 있다.
평판부(121)는 리어 플레이트(111)의 전방측(+Z방향측)의 면 상에 설치된다. 도 6 중의 평판부(121)의 우상측 모서리부와 좌하측 모서리부는 절결되어 있고, 평판부(121)는 리어 플레이트(111)의 전방측(+Z방향측)의 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평판부(121)는 리어 플레이트(111)의 전방측(+Z방향측)의 면에 피트된다. 벽부(122)는 평판부(121)의 절결된 부분을 제외하는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측(+Z방향측)을 향하여 연신되어 있다. 벽부(122)의 외측 형상은 커넥터 하우징(11)의 벽부(112)의 내측 형상과 대략 동일하다. 그 때문에, 실드 부재(12)의 벽부(122)는 커넥터 하우징(11)의 벽부(112)의 내면에 피트된다에, 평판부(121)는 리어 플레이트(111)의 전방측(+Z방향측)의 면에 피트된다. 벽부(122)는 평판부(121)의 절결된 부분을 제외하는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측(+Z방향측)을 향하여 연신되어 있다. 벽부(122)의 외측 형상은 커넥터 하우징(11)의 벽부(112)의 내측 형상과 대략 동일하다. 그 때문에, 실드 부재(12)의 벽부(122)는 커넥터 하우징(11)의 벽부(112)의 내면에 피트된다.
관통 구멍(123)은, 실드 부재(12)를 커넥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 내에 고정했을 때, 커넥터 하우징(11)의 관통 구멍(114)에 대응하도록 평판부(121)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 연신부(124)가 관통 구멍(123)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측(-Z방향측)으로 연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드 부재(12)를 커넥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 내에 고정했을 때, 연신부(124)가 커넥터 하우징(11)의 관통 구멍(114)의 내측면과 맞닿는다.
4개의 보스 삽입통과 구멍(125)은, 실드 부재(12)를 커넥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 내에 고정했을 때, 커넥터 하우징(11)의 4개의 보스(115)에 각각 대응하도록 평판부(121)상에 형성되어 있다. 실드 부재(12)를 전방측(+Z방향측)으로부터 커넥터 하우징(11)에 누름으로써, 커넥터 하우징(11)의 4개의 보스(115)가 실드 부재(12)의 4개의 보스 삽입통과 구멍(125) 내에 각각 압입되어, 실드 부재(12)가 커넥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 내에서 고정된다.
한 쌍의 슬릿(126)은, 실드 부재(12)를 커넥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 내에 고정했을 때, 커넥터 하우징(11)의 한 쌍의 압입 홈(116)에 대응하도록 평판부(12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셸(13)의 한 쌍의 돌출부(133)가 실드 부재(12)의 한 쌍의 슬릿(126)을 통하여 커넥터 하우징(11)의 한 쌍의 압입 홈(116) 내에 압입되어, 셸(13)이 커넥터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유지 기구(127)는 세선 동축 케이블(17)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7에는 유지 기구(127)의 주변 영역이 확대되어 나타나 있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지 기구(127)는 평판부(121)의 일부를 전방측(+Z방향측)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한 쌍의 협지부(1271)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협지부(1271)의 각각은 평판부(121)와 일체로 되어 있는 기단부(1272)와, 기단부(1272)로부터 전방측(+Z방향측)으로 연신되는 연신부(1273)와, 연신부(1273)의 전방단에 형성된 직경축소부(1274)와, 직경축소부(1274)의 전방단에 형성된 가이드부(1275)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협지부(1271)의 각각은 평판부(121)로부터 전방측(+Z방향측)으로 연신되어 있다. 한 쌍의 협지부(1271)의 직경축소부(1274) 사이의 이간 거리는 후술하는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부착부(175)(도 8 참조)의 직경보다 작다. 한 쌍의 협지부(1271)의 기단부(1272) 사이의 이간 거리는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부착부(175)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다. 또 한 쌍의 협지부(1271)의 가이드부(1275) 사이의 이간 거리는 한 쌍의 협지부(1271)의 직경축소부(1274) 사이의 이간 거리보다 크다.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부착부(175)를, 한 쌍의 협지부(1271)의 가이드부(1275) 사이에 밀어넣음으로써,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부착부(175)가 한 쌍의 협지부(1271)의 기단부(1272) 사이에서 협지된다. 이 때, 한 쌍의 협지부(1271)의 직경축소부(1274) 사이의 이간 거리는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부착부(175)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한 쌍의 협지부(1271)에 의해,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부착부(175)가 로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세선 동축 케이블(17)을 유지 기구(127)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지 기구(127)에 의해 세선 동축 케이블(17)이 유지되어, 진동이나 충격이 커넥터(1)에 가해졌을 때의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요동이 방지된다.
도 4로 되돌아가, 셸(13)은 금속 재료로 구성된 중공 원통 형상 부재이다. 셸(13)은, 외부 동축 케이블(2)을 커넥터(1)에 접속했을 때, 외부 동축 케이블(2)의 셸(25)(도 11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셸(13)은 원통 형상의 본체부(131)와, 본체부(131)의 전방측(+Z방향측)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132)와, 플랜지부(132)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측(-Z방향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출부(133)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31)는 커넥터 하우징(11)의 리어 플레이트(111)의 전방측(+Z방향측)으로부터 실드 부재(12)의 관통 구멍(123) 및 커넥터 하우징(11)의 관통 구멍(114) 내에 삽입통과된다. 본체부(131)의 선단측은 리어 플레이트(111)의 관통 구멍(114)으로부터 후방측(-Z방향측)으로 돌출되고, 커넥터 하우징(11)의 끼워맞춤부(113)의 개구(1131) 내에 위치한다. 이 때, 본체부(131)의 외주가 실드 부재(12)의 연신부(124)와 접촉한다.
플랜지부(132)는 본체부(131)의 기단 또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가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플랜지부(132)는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금속제의 셸(173)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셸(13)을 통하여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셸(173)과 실드 부재(1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본체부(131)를 실드 부재(12)의 관통 구멍(123) 및 커넥터 하우징(11)의 관통 구멍(114) 내에 삽입통과시켰을 때, 플랜지부(132)는 실드 부재(12)의 평판부(121)와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셸(13)이 실드 부재(12)의 관통 구멍(123) 및 커넥터 하우징(11)의 관통 구멍(114)을 통하여 후방측(-Z방향측)으로 빠져버리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가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플랜지부(132)는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금속제의 셸(173)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셸(13)을 통하여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셸(173)과 실드 부재(1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 쌍의 돌출부(133)는 플랜지부(132)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측(-Z방향측)으로 연신되어 있다. 본체부(131)를 실드 부재(12)의 관통 구멍(123) 및 커넥터 하우징(11)의 관통 구멍(114) 내에 삽입통과시켰을 때, 한 쌍의 돌출부(133)가 실드 부재(12)의 한 쌍의 슬릿(126)을 통하여 커넥터 하우징(11)의 한 쌍의 압입 홈(116) 내에 압입된다. 이것에 의해, 셸(13)이 커넥터 하우징(11)에 고정된다.
하우징(14)은 셸(13) 내에 설치되고, 셸(13)과 콘택트 핀(15)을 절연한 상태에서, 셸(13) 내부에 있어서 콘택트 핀(15)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14)은 절연성 재료로 구성된 원통 형상 부재이며, 셸(13) 내부에 압입됨으로써, 셸(13) 내부에서 유지된다. 하우징(14)은 원통 형상의 본체부(141)와, 본체부(141)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 구멍(142)과, 본체부(141)의 외주부의 기단측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143)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돌기(143)가 압축변형되도록 하우징(14)을 셸(13) 내부에 압입함으로써, 하우징(14)이 셸(13) 내부에서 고정된다.
관통 구멍(142)은 콘택트 핀(15)을 삽입통과시키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42) 내에 콘택트 핀(15)을 삽입통과시켜, 콘택트 핀(15)의 선단부를 하우징(14)의 본체부(141)보다 후방측(-Z방향측)에서 노출시키고, 콘택트 핀(15)의 기단부를 하우징(14)의 본체부(141)보다 전방측(+Z방향측)에서 노출시킨다.
콘택트 핀(15)은 금속 재료로 구성된 봉 형상 부재이며, 셸(13)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14)의 관통 구멍(142) 내에 삽입통과된다. 콘택트 핀(15)은, 외부 동축 케이블(2)을 커넥터(1)에 접속했을 때, 외부 동축 케이블(2)의 심선(23)(도 11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콘택트 핀(15)은 선단부(151)와 기단부(152)를 가지고 있다. 선단부(151)는 하우징(14)의 관통 구멍(142)을 통하여 셸(13)의 본체부(131) 내부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11)의 리어 플레이트(111)의 후방측(-Z방향측)에서 노출되어 있다. 한편, 기단부(152)는 커넥터 하우징(11)의 리어 플레이트(111)의 전방측(+Z방향측)에서 노출되어 있다. 선단부(151)의 직경은 하우징(14)의 관통 구멍(14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며, 기단부(152)의 직경은 하우징(14)의 관통 구멍(142)의 직경보다 크다. 그 때문에, 하우징(14)의 관통 구멍(142)으로부터 후방측(-Z방향측)으로의 콘택트 핀(15)의 이탈이 방지되고 있다.
콘택트 핀(15)의 선단부(151)는, 외부 동축 케이블(2)이 커넥터(1)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외부 동축 케이블(2)의 단자부(22)와 접촉하고, 외부 동축 케이블(2)의 심선(23)(도 11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콘택트 핀(15)의 기단부(152)는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심선(171)(도 11 참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콘택트 핀(15)은 외부 동축 케이블(2)과 세선 동축 케이블(17)을 접속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 핀(15)은 셸(13) 내에 설치된 하우징(14)의 관통 구멍(142) 내에 삽입통과되므로, 셸(13), 하우징(14) 및 콘택트 핀(15)에 의해 동축 케이블 구조가 형성된다.
밀봉 부재(16)는 후방측(-Z방향측)으로부터 커넥터 하우징(11)을 액밀하게 밀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밀봉 부재(16)는 절연성 재료로 구성된 원반 형상의 부재이며, 그 중심에 형성된 관통 구멍(161)과, 관통 구멍(161)과 동심의 원직경 슬릿(162)을 가지고 있다. 밀봉 부재(16)는 리어 플레이트(111)의 후방측(-Z방향측)으로부터 커넥터 하우징(11)의 끼워맞춤부(113)의 개구(1131) 내에 삽입되고, 관통 구멍(161)에는 콘택트 핀(15)이 삽입통과되며, 원직경 슬릿(162)에는 셸(13)의 본체부(131)가 삽입통과된다. 이와 같은 밀봉 부재(16)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11)의 끼워맞춤부(113)의 개구(1131) 내에 있어서, 후방측(-Z방향측)으로부터 전방측(+Z방향측)으로의 물의 침입 경로가 차단되어, 커넥터 하우징(11)의 개구(1131)가 액밀하게 밀봉된다.
세선 동축 케이블(17)은 외부 동축 케이블(2)과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외부 기기의 회로 기판 사이의 동축 접속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세선 동축 케이블(17)은 심선(171)과, 심선(171)의 외측을 덮는 내측 절연층(172)과, 내측 절연층(172)의 외측을 덮는 금속제의 셸(173)과, 셸(173)의 외측을 덮는 외측 절연층(174)과, 실드 부재(12)의 유지 기구(127)에 의해 유지되는 부착부(175)와, 심선(171)의 일방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176)를 가지고 있다.
심선(171)은 구리 등의 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료로 구성된 배선이다. 심선(171)의 일방의 단부는 커넥터(176)에 접속되어 있고, 타방의 단부는 땜납부(177)에 의해 콘택트 핀(15)의 기단부(152)에 땜납 접속되어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내측 절연층(172)은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심선(171)의 외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셸(173)은 금속 재료로 구성된 원통 형상 부재이며, 내측 절연층(172)의 외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외측 절연층(174)은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셸(173)의 외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심선(171), 내측 절연층(172) 및 셸(173)에 의해 동축 케이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175)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고, 셸(173)의 외측에 설치된 원통 형상 부재이다. 세선 동축 케이블(17)에 있어서, 부착부(175)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외측 절연층(174)이 생략되어 있고, 부착부(175)와 셸(173)이 접촉하고 있다. 즉, 부착부(175)는 셸(17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실드 부재(12)의 유지 기구(127)의 한 쌍의 협지부(1271)의 기단부(1272)는, 실드 부재(12)의 평판부(121)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부착부(175)가 실드 부재(12)의 유지 기구(127)의 한 쌍의 협지부(1271) 사이에서 유지되면,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셸(173)과 실드 부재(1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176)는 심선(171)의 일방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외부 기기의 회로 기판의 대응하는 커넥터에 접속된다. 커넥터(176)가 외부 기기의 회로 기판의 대응하는 커넥터에 접속되면, 외부 동축 케이블(2)과 외부 기기의 회로 기판 사이의 동축 접속이 제공된다.
도 4로 되돌아가, 보호 부재(18)는 절연성 재료로 구성된 필름 형상의 부재이며,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심선(171)의 타방의 단부와 콘택트 핀(15)의 기단부(152) 사이의 땜납부(177)에 의한 땜납 접속을 덮어 보호한다(도 11 참조). 보호 부재(18)는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심선(171)의 타방의 단부와 콘택트 핀(15)의 기단부(152)가 땜납부(177)에 의해 땜납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심선(171)의 타방의 단부와 콘택트 핀(15)의 기단부(152)의 접속 부분을 덮도록, 셸(13)의 플랜지부(132) 상에 붙여져 있다. 보호 부재(18)에 의해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심선(171)의 타방의 단부와 콘택트 핀(15)의 기단부(152)의 접속 부분이 보호됨과 아울러, 보호 부재(18)에 의해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심선(171)의 타방의 단부와 콘택트 핀(15)의 기단부(152)의 땜납 접속의 이탈이 방지되고 있다.
도 9에는 상기 서술한 컴포넌트를 가지는 커넥터(1)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0에는 상기 서술한 컴포넌트를 가지는 커넥터(1)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동축 케이블(2)과 대향하는 측의 면에 있어서, 콘택트 핀(15)의 선단부(151) 및 셸(13)의 본체부(131)가 끼워맞춤부(113)의 개구(1131) 내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다. 외부 동축 케이블(2)이 커넥터(1)의 끼워맞춤부(113)와 끼워맞춰졌을 때, 외부 동축 케이블(2)의 단자부(22)와 커넥터(1)의 콘택트 핀(15) 및 셸(13)이 접촉하여, 외부 동축 케이블(2)과 커넥터(1) 사이의 동축 접속이 제공된다.
또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부착부(175)가 실드 부재(12)의 유지 기구(127)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1)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의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요동이 방지되어, 세선 동축 케이블(17)과 외부 동축 케이블(2) 사이의 접속 및 세선 동축 케이블(17)과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외부 기기의 회로 기판 사이의 접속이 의도치 않게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부착부(175)를 실드 부재(12)의 유지 기구(127)에 의해 유지함으로써,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셸(173)과 실드 부재(1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커넥터(1)에 의한 동축 접속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심선(171)의 타방의 단부는, 땜납부(177)에 의해 콘택트 핀(15)의 기단부(152)에 땜납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심선(171)의 타방의 단부와 콘택트 핀(15)의 기단부(152)를 임의의 종류의 커넥터를 통하여 접속한 경우보다,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심선(171)의 타방의 단부와 콘택트 핀(15)의 기단부(152) 사이의 접속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심선(171)의 타방의 단부와 콘택트 핀(15)의 기단부(152) 사이의 접속 부분은 보호 부재(18)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심선(171)의 타방의 단부와 콘택트 핀(15)의 기단부(152) 사이의 접속이 더욱 강고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커넥터(1)에 의한 접속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커넥터(1)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동축 케이블(2)과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외부 기기의 회로 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동축 접속이다. 종래 기술의 란에 있어서 서술한 바와 같이, 동축 접속은 복수의 단자를 사용한 접속과 비교하여, 고주파 대역에서의 높은 전송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1)에 의해, 외부 동축 케이블(2)과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외부 기기의 회로 기판 사이의 동축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노이즈 또한 단시간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에는 외부 동축 케이블(2)을 커넥터(1)에 부착한 상태의 외부 동축 케이블(2) 및 커넥터(1)를 나타내는 YZ평면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동축 케이블(2)은 심선(23)과, 심선(23)의 외측을 덮는 내측 절연층(24)과, 내측 절연층(24)의 외측을 덮는 금속제의 셸(25)과, 셸(25)의 외측을 덮는 외측 절연층(26)을 가지고 있다. 심선(23)과, 내측 절연층(24)과, 셸(25)에 의해, 외부 동축 케이블(2)의 동축 케이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심선(23) 및 셸(25)은 단자부(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동축 케이블(2)을 커넥터(1)의 커넥터 하우징(11)의 끼워맞춤부(113)에 끼워맞추면, 커넥터(1)의 콘택트 핀(15)의 선단부(151) 및 셸(13)의 본체부(131)가 외부 동축 케이블(2)의 단자부(22)에 접촉한다. 외부 동축 케이블(2)의 단자부(22)를 통하여 커넥터(1)의 콘택트 핀(15)이 외부 동축 케이블(2)의 심선(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커넥터(1)의 셸(13)이 외부 동축 케이블(2)의 셸(2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커넥터(1)와 외부 동축 케이블(2) 사이의 동축 접속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1)의 세선 동축 케이블(17)의 커넥터(176)가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외부 기기의 회로 기판에 동축 접속되면, 커넥터(1)에 의해, 외부 동축 케이블(2)과 외부 기기의 회로 기판 사이의 동축 접속이 제공된다.
이상, 본 발명의 커넥터(1)를 도시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는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커넥터(1)와, 커넥터(1)의 커넥터 하우징(11)과는 상이한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커넥터(1)에 접속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이상, 본 발명의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구성은 마찬가지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것과 치환할 수 있고,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임의의 구성의 것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 및 기술에 있어서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 사고방식 및 범위로부터 유의하게 일탈하는 일 없이, 기술된 본 발명의 커넥터의 구성의 변경을 실행 가능할 것이며, 변경된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또 도 2~도 11에 나타낸 커넥터의 구성 요소의 수나 종류는 설명을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원리 및 의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 요소가 추가 혹은 조합되거나, 또는 임의의 구성 요소가 삭제된 태양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1…커넥터
11…커넥터 하우징
111…리어 플레이트
112…벽부
113…끼워맞춤부
1131…개구
1132…끼워맞춤 볼록부
114…관통 구멍
115…보스
116…압입 홈
117…걸어맞춤부
12…실드 부재
121…평판부
122…벽부
123…관통 구멍
124…연신부
125…보스 삽입통과 구멍
126…슬릿
127…유지 기구
1271…협지부
1272…기단부
1273…연신부
1274…직경축소부
1275…가이드부
13…셸
131…본체부
132…플랜지부
133…돌출부
14…하우징
141…본체부
142…관통 구멍
143…돌기
15…콘택트 핀
151…선단부
152…기단부
16…밀봉 부재
161…관통 구멍
162…원직경 슬릿
17…세선 동축 케이블
171…심선
172…내측 절연층
173…셸
174…외측 절연층
175…부착부
176…커넥터
177…땜납부
18…보호 부재
2…외부 동축 케이블
21…커넥터 부분
211…끼워맞춤 오목부
22…단자부
23…심선
24…내측 절연층
25…셸
26…외측 절연층
700…커넥터
710…커넥터 하우징
720…배선 기판
730…단자
740…세선 케이블
750…끼워맞춤부
800…외부 케이블
900…차재 카메라
910…카메라 하우징
920…회로 기판

Claims (8)

  1. 전방측에 위치하는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과 외부 동축 케이블 사이의 동축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전방측으로 연신되는 벽부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의 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 동축 케이블과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전방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른 하우징에 부착되는 상자 형상의 커넥터 하우징과,
    심선과, 상기 심선과 동심에 설치된 금속제의 셸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끼워맞춤부와 끼워맞춰진 상기 외부 동축 케이블과 상기 다른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상기 회로 기판 사이의 상기 동축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세선 동축 케이블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리어 플레이트 및 상기 벽부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실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은, 상기 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부착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부착부를 상기 실드 부재의 상기 유지 기구로 유지했을 때, 상기 실드 부재와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셸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평판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유지 기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본체부의 일부를 상기 전방측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한 쌍의 연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연신부로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부착부를 협지함으로써,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동축 케이블과,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심선 사이를 접속하는 콘택트 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심선은, 상기 콘택트 핀에 땜납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핀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기 리어 플레이트를 삽입통과하여, 일방의 단부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전방측에 위치하고, 타방의 단부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후방측에 위치하며,
    상기 콘택트 핀의 상기 일방의 단부는,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심선에 땜납 접속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 핀의 상기 타방의 단부는, 상기 외부 동축 케이블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핀의 상기 일방의 단부와, 상기 세선 동축 케이블의 상기 심선 사이의 접속 부분은, 절연성의 보호 부재에 의해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과는 상이한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200121230A 2019-10-04 2020-09-21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 KR202100407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84067 2019-10-04
JP2019184067A JP7315842B2 (ja) 2019-10-04 2019-10-04 コネクタおよび電子デバイ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782A true KR20210040782A (ko) 2021-04-14

Family

ID=7252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230A KR20210040782A (ko) 2019-10-04 2020-09-21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28150B2 (ko)
EP (1) EP3800741B1 (ko)
JP (1) JP7315842B2 (ko)
KR (1) KR20210040782A (ko)
CN (1) CN11261517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2364A (ja) 2005-07-19 2007-02-0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カメラ
JP2016162556A (ja) 2015-02-27 2016-09-0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カメ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41237Y2 (ko) * 1984-12-27 1989-12-06
JP3775139B2 (ja) 1999-11-05 2006-05-17 松下電工株式会社 テレビコンセント
JP2008159342A (ja) 2006-12-22 2008-07-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テレビコンセント
JP5220818B2 (ja) * 2010-08-26 2013-06-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合成分波回路内蔵コネクタおよび信号経路システム
US9033731B2 (en) 2012-07-05 2015-05-19 Apple Inc. Grounding clamp
US9609757B2 (en) * 2013-06-24 2017-03-28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vision system camera assembly with coaxial connector
US9621769B2 (en) * 2014-06-11 2017-04-11 Magna Electronics Inc. Camera module for vehicle vision system
US10484587B2 (en) * 2015-03-09 2019-11-19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amera with connector system for high speed transmission
US10128595B2 (en) * 2015-03-09 2018-11-13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amera with connector system for high speed transmission
US10926714B2 (en) 2017-11-10 2021-02-23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amera with EMI shielding
CN209389298U (zh) 2019-03-04 2019-09-13 深圳市昂星科技有限公司 一种同轴摄像头的传输及连接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2364A (ja) 2005-07-19 2007-02-0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カメラ
JP2016162556A (ja) 2015-02-27 2016-09-0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カメ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04848A1 (en) 2021-04-08
CN112615177A (zh) 2021-04-06
EP3800741A1 (en) 2021-04-07
JP2021061144A (ja) 2021-04-15
EP3800741B1 (en) 2022-08-17
JP7315842B2 (ja) 2023-07-27
US11228150B2 (en)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6416B1 (en) Connector
US11569611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ntermediate insulating member and a potting material that fills a portion in an outer conductor more on the front side tha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insulating member
EP3333986B1 (en) Electronic component and imaging device
CN111628353B (zh) 屏蔽端子及屏蔽连接器
KR20090050005A (ko) 기판 어셈블리
CN111628325B (zh) 外导体端子及屏蔽连接器
JP2007022364A (ja) 車載カメラ
JP6464693B2 (ja)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JP4601485B2 (ja) 電気機器
US10403995B2 (en) Electrical connector, electronic component, and assembly method
WO2023008035A1 (ja) 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機器
JP6601539B2 (ja)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JP2017092020A (ja)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KR20210040782A (ko)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
WO2023286578A1 (ja) 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機器
JP2016024862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取付方法
JP2016024863A (ja) コネクタ
EP3846293A1 (en) Circuit board shield connector
US6166892A (en) Connector with built-in resettable power regulation
JP2004079375A (ja) 基板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WO2017082080A1 (ja)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CN118283389A (zh) 车用摄像头装置
CN118156923A (zh) 电连接器
JP2004139795A (ja) 基板コネクタ
JP2015198051A (ja) コネクタのシールド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