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532A -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532A
KR20210040532A KR1020190122849A KR20190122849A KR20210040532A KR 20210040532 A KR20210040532 A KR 20210040532A KR 1020190122849 A KR1020190122849 A KR 1020190122849A KR 20190122849 A KR20190122849 A KR 20190122849A KR 20210040532 A KR20210040532 A KR 20210040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rotating
unit
magnetic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741B1 (ko
Inventor
박근호
박계정
Original Assignee
박근호
주식회사 데이탐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호, 주식회사 데이탐코리아 filed Critical 박근호
Priority to KR1020190122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7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22Dynamic electric resistor braking, combined with 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2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e.g. by calculations involving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60Regenerative braking
    • B60T2270/604Merging friction therewith; Adjusting their repart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조작부에 의해 기계식제동부와 재충전식제동부를 함께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고 신속한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이 가능하고, 간단하고 저렴한 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며, 제동거리의 단축과 함께 미끄러짐이 없는 부드러운 제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브레이크조작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A Controller System of Brak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조작부에 의해 기계식제동부와 재충전식제동부를 함께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고 신속한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이 가능하고, 간단하고 저렴한 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며, 제동거리의 단축과 함께 미끄러짐이 없는 부드러운 제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브레이크조작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모터의 구동력을 전체 또는 일부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전기차는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만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순수 전기차와 내연기관 엔진을 구비하여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배터리의 충전 및/또는 차량의 구동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차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에서 전기차란 이러한 순수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차를 포함한 개념으로, 자동차, 오토바이, 스쿠터, 자전거, 킥보드, 기타 운송수단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포함하는 전기차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기차에 사용되는 제동부로는 기계식 제동부와 재충전(에너지 회수) 없이 회생제동력만을 이용하는 제동부, 재충전식으로 에너지를 회수하는 재충전식 제동부가 있는데, 먼저 기계식 제동부의 경우 마찰력으로 제동하므로 전기차의 운동에너지를 마찰열에너지로 바꾸어 그것을 대기중으로 방출시켜 제동을 하게 되며, 그 기본적인 구조는 운전자의 조작력을 링크로 드럼이나 유압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조작기구와 그 힘을 받아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디스크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바퀴의 회전에너지를 소멸시켜 제동을 걸게 되므로 100% 에너지를 마찰로 일어나는 열로써 태우는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용 디스크와 디스크를 홀딩시키는 패드면은 마찰로 인한 열과 마모에 따라 보수를 위해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100% 버려지는 에너지를 재활용 함으로써, 제동시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모두 열로 소멸시키는 것과 달리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제동시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회생시키는 제동부가 바로 재충전식 제동(regenerative braking)부, 다른 용어로는 회생 제동부이다. 상기 재충전식 제동부는 제동시에 제동력을 제외하고는 100%를 발전에 사용하고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의 충전에 사용하는바,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의한 관성모멘트 운동에너지의 대부분을 높은 효율로 발전기에서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로 제 사용함으로써 제동과 전기에너지의 발전을 동시에 구현하게 되고, 제동거리 또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대부분의 전기차는 재충전식 제동부의 작동을 위해 별도의 조작장치를 필요로 하는바, 재충전식 제동부의 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0873537호(2008.12.04. 등록)"양륜 이동체 및 이를 가지는 오토바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브레이크조작부에 의해 기계식제동부와 재충전식제동부를 함께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고 신속한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이 가능하고, 간단하고 저렴한 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며, 제동거리의 단축과 함께 미끄러짐이 없는 부드러운 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조작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 초기에는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정도를 서서히 가변 증가시키도록 하고, 브레이크조작부의 일정 범위 회전 후에는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정도를 최대로 유지시키면서 기계식제동부와의 동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부드럽고 효과적인 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조작부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수단, 회전수단의 회전을 감지하여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수단을 마련하여, 전압 또는 전류 신호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정도를 높이도록 함으로써, 재충전식 제동부의 작동 조절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은 전기차 운전자의 손 또는 발에 의해 회전되어 기계식제동부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조작부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를 작동시키는 리젠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정도를 조절하는 리젠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젠조절부는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의 초기 일정 정도의 회전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정도를 가변 증가시키도록 하고, 일정 정도의 회전 후에는 재충전식제동부의 최대 작동 정도로 유지되며, 기계식제동부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젠조절부는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에 고정되어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을 감지하여 재충전식제어부의 작동 정도를 조절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수단과, 리젠조절부를 전기차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회전도그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회전도그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에 따라 재충전식제어부의 작동 정도를 조절하는 가변되는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변위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변위센서모듈을 전기차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모듈과,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자력발생모듈의 이동에 의해 변화되는 자력에 따라 재충전식제어부의 작동 정도를 조절하도록 가변되는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홀센서와, 상기 자력발생모듈 및 홀센서를 내부에 수용하는 센싱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모듈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홀센서 상을 직선 이동하여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리젠자석부재와; 상기 리젠자석부재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센서본체 내를 직선 이동하는 자석하우징과;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와 자석하우징을 연결하여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자석하우징이 직선 이동하도록 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상에 삽입되어 센서본체 내측과 자석하우징 사이에 압착·지지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모듈은 상기 리젠자석부재와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자석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자력선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리젠자석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함께 직선 이동하는 자력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에 고정되어 회전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재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도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도그는 상하 방향을 따라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부재가 끼워지는 끼움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여, 회전도그의 상하 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 및 걸림고리는 접촉되는 일측면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서로 좌우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에 고정되어 회전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재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도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도그는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와 연결되며, 회전도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회전도그 상에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가 삽입되는 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홈은 타원형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삽입공을 따라 이동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은 센싱본체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삽입돌기가 삽입공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회전도그의 위치를 센싱본체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에 지지되어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지지회전부와; 상기 지지회전부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지지회전축의 회전축이 되는 힌지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힌지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일정 경로 내에서 회전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회전체와, 상기 자력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수단이 지지되며, 전기차 본체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하우징과; 상기 상부고정하우징의 하측에 결합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자력회전체 및 센서모듈을 수용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은 상기 회전수단과 센싱수단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연결수단은 회전수단의 회전시 초기 일정 범위 내에서만 상기 자력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자력회전체에 대한 영향 없이 회전수단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수단은 상기 회전힌지부와 맞물리도록 접촉되어 회전힌지부의 회전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기어체와; 상기 회전기어체가 지지되며, 상기 회전기어체의 초기 일정 범위에서만 회전기어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자력회전체와 맞물려 자력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연결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력회전체는 상기 연결회전체에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기어와, 상기 자력회전체 내의 일측 둘레를 따라 삽입되어 자력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센서모듈에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발생시키는 자성부재와, 자력회전체와 하부하우징 사이에 형성되어 자력회전체를 당기는 당김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센서모듈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센서홈과; 상기 자력회전체의 회전축이 되는 지지축과; 상기 당김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단과; 상기 자력회전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돌기와;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회전체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회전체의 회전축이 되는 삽입축과;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회전체에 삽입되며, 연결회전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체는 상기 회전힌지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접촉기어와, 하측 일 지점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회전체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회전체는 상기 삽입축이 삽입되는 축관통공과, 상기 제한턱이 삽입되는 삽입지지공과,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연결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턱은 상기 삽입돌기가 가이드홈 끝단에 걸려 연결회전체가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기어체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자력회전체가 제한돌기에 걸릴 때 삽입지지공에 걸려 연결회전체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회전기어체의 회전에 따른 삽입돌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한턱에 의해 연결회전체의 회전이 제한된 후에도 회전기어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지회전부는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와 접촉되는 레버접촉부재와; 상기 레버접촉부재와 결합하여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레버접촉부재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을 포함하여, 레버접촉부재가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결합홈 상에 관통되는 복수개의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접촉부재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공 중 하나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타원으로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회전부재의 회전 경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전힌지부는 상기 지지회전부와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기어체와 맞물리는 힌지기어와; 상기 힌지기어에 삽입되어 양 끝단이 하부하우징 및 힌지기어에 고정되며, 회전힌지부를 당겨 제위치시키는 힌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젠작동부는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에 의한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시 가속에 우선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리젠우선작동모듈과, 가속이 재충전식제동부에 우선하여 작동하는 속도 범위를 설정하는 가속우선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조작부에 의해 기계식제동부와 재충전식제동부를 함께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고 신속한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이 가능하고, 간단하고 저렴한 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며, 제동거리의 단축과 함께 미끄러짐이 없는 부드러운 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조작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 초기에는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정도를 서서히 증가시키도록 하고, 브레이크조작부의 일정 범위 회전 후에는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정도를 최대로 유지시키면서 기계식제동부와의 동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부드럽고 효과적인 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조작부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수단, 회전수단의 회전을 감지하여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수단을 마련하여, 전압 또는 전류신호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정도를 높이도록 함으로써, 재충전식 제동부의 작동 조절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계식제동부와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 제동 조작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 제동 조작 시스템이 풋브레이크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 제동 조작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 제동 조작 시스템이 풋브레이크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 제동 조작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 제동 조작 시스템이 풋브레이크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8은 도 7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9는 도 6 내지 도 8의 리젠조절부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0은 도 6 내지 도 8의 리젠조절부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6 내지 도 8의 리젠조절부의 회전도그를 나타내는 사시도(a) 및 단면도(b)
도 12는 도 6 내지 도 8의 리젠조절부의 조절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6 내지 도 8의 리젠조절부의 연결부재의 측면도
도 14는 도 6 내지 도 8의 리젠조절부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5는 도 6 내지 도 8의 리젠조절부에 의한 전압 또는 전류 신호의 발생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 제동 조작 시스템이 드럼식 브레이크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사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 제동 조작 시스템의 리젠조절부의 분해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레버접촉부재의 사시도 및 저면도
도 19는 도 17의 회전부재의 사시도
도 20은 도 17의 회전힌지부의 사시도
도 21은 도 17의 자력회전체의 상측사시도(a) 및 하측사시도(b)
도 22은 도 17의 자력회전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23은 도 17의 하부하우징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하부하우징 내에서 자력회전체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5는 도 17의 회전기어체의 사시도(a) 및 측면도
도 26은 도 17의 연결회전체의 상측사시도(a) 및 하측사시도(b)
도 27은 도 17의 회전기어체 및 연결회전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8 내지 도 29는 도 17의 리젠조절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및 참고도
도 30은 리젠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은 전기차 운전자의 손 또는 발에 의해 회전되어 기계식제동부(10)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조작부(1)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20)를 작동시키는 리젠작동부(5)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를 조절하는 리젠조절부(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은 브레이크조작부(1)가 손잡이(H)에 형성되는 전기오토바이, 전기스쿠터,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또는 브레이크조작부(1)가 운전자의 발에 의해 눌려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전기자동차 등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전기오토바이, 전기스쿠터,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전기자동차, 기타 운송수단 등을 통칭하여 '전기차'라 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은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기계식제동부(10)와 재충전식제동부(20)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여 용이하고 효과적인 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은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면서, 특히 브레이크조작부(1)의 초기 회전시부터 서서히 작동 정도가 증가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최대 작동 정도로 유지되며 기계식제동부(10)와 함께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전기차의 부드러운 제동과 함께 제동거리를 단축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기계식제동부(10)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바퀴의 운동에너지를 소멸시켜 제동을 가하는 원리를 구현하는 장치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기차의 바퀴 내에 장착되는 회전자(212)의 일측에 부착되어 회전자(212)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는 디스크(120)의 양측에 각각 브레이크패드(110)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브레이크패드(110)는 기계식조작장치(30)의 작동 제어에 의해 가속상황에서는 상기 디스크(12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동을 위해 기계식조작장치(30)를 당기게 되면 유압장치(미도시)의 유압에 의해 브레이크패드(110)가 디스크(120)의 양측에서 각각 디스크(120)를 잡아주게 되고, 이에 의해 디스크(120)-브레이크패드(110) 간의 마찰력을 통해 회전자(212) 및 그에 부착된 림(50)과 바퀴(60)의 운동에너지는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운동에너지가 소멸된 후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재충전식제동부(20)는 차량이 가지는 관성모멘트 에너지인 바퀴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 흡수하면서 운동에너지를 소멸시켜 제동을 가하는 원리(이를 '회생제동' 또는 '재충전식 제동' 이라 함)를 구현하는 장치로, 통상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화시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210)는 반대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흡수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면서 제동을 가하는 재충전식제동부(20)로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인 전기모터(210)는 전기자코일(211a)이 권선되어 있는 고정자(211)와, 영구자석(212a)이 부착되어 있는 회전자(212)로 구성되어, 상기 전기자코일(211a)에 전기를 통전시키게 되면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212a) 및 회전자(212)가 회전하게 되면서 구동력을 제공하는 원리로 작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원리를 반대로 이용하여 상기 회전자(212)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게 되면(즉, 회전하는 영구자석(212a)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자코일(211a)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는 발전을 하게 되면), 운동에너지가 소멸되어 회전자(212) 및 그에 부착된 림(50)과 바퀴(60)의 회전을 정지시켜 제동을 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재충전식제동부(20)란 이와 같이 회전자(212) 및 영구자석(212a)의 회전하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자코일(211a)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는 발전을 함으로써 운동에너지를 소멸시켜 회전자(212) 및 그에 부착된 림(50)과 바퀴(60)의 회전을 정지시켜 제동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발전량의 크기는 속도와 관성의 크기에 비례하며 그 크기에 따른 배터리의 재충전량, 즉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동력이 발생된다. 상기 재충전식제동부(2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별도의 배터리(미도시)에 충전되어 추후 전기모터(210)를 작동시키는 전기에너지로 활용되게 된다. 상기 재충전식제동부(20)는 종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재충전식조작장치(40)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도록 하였으나, 그 조작이 불편하고, 제동 정도의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크조작부(1)를 통한 기계식제동부(10)와 재충전식제동부(20)의 동시 조작과 작동 정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제동력도 획기적으로 증가하여 제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브레이크조작부(1)는 운전자가 손 또는 발로 회전시킴에 따라 전기차를 제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오토바이 등에 형성되어 운전자의 손으로 작동가능한 핸드브레이크(11)와 전기자동차 등에 형성되어 운전자의 발로 작동가능한 풋브레이크(13)를 모두 포함한다. 특히 상기 브레이크조작부(1)는 기존 기계식제동부(10)만을 작동시키는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나 상기 리젠조절부(3) 및 리젠작동부(5)에 의해 기계식제동부(10) 및 재충전식제동부(20)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브레이크조작부(1)는 운전자에 의해 당겨지거나 누름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20) 및 기계식제동부(10)를 동시에 작동시키도록 하며, 운전자의 당김 또는 누름정도(이하 '회전정도'라 함)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20)의 제동 정도가 증가하도록 하고, 일정 범위까지 회전하면 재충전식제동부(20)를 최대 제동 정도로 유지하면서 기계식제동부(10)와 함께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조작부(1)는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이 매우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초기 브레이크의 작동이 재충전식제동부(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종래와 같은 브레이크조작부(1)의 작동을 통해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재충전식제동부(20)에 대한 작동 정도의 조절이 매우 편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를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제동과 함께 부드러운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조작부(1)의 일정 범위 회전 후에는 재충전식제동부(20)와 기계식제동부(10)가 자동으로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젠조절부(3)는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작동 정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여기서,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라 함은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을 통해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의미하며, 리젠조절부(3)에 의해 전달되는 전압신호에 따라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제동 정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리젠조절부(3)는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 정도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증가시켜 제동 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이 증가할수록 전압 또는 전류를 서서히 증가시켜 부드러운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리젠조절부(3)는 초기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시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가 증가하면서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부드러운 제동이 이루이지도록 하고, 일정 정도의 회전 후에는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가 최대치를 유지하며 종래의 기계식제동부(10)와 함께 작동하도록 하여 효과적인 제동 또한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젠조절부(3)는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수단(31), 상기 회전수단(31)의 회전을 인지하여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수단(33), 리젠조절부(3)를 전기차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젠조절부(3)는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이 증가함에 따라 센싱수단(33)에서도 일정 범위까지 증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일정 범위를 넘어 브레이크조작부(1)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최대치의 전압 또는 전류 신호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도록 하고 재충전식제동부(20)의 최대 제동 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센싱수단(33)은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변되는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상기 회전수단(31), 센싱수단(33), 고정수단(35)은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손잡이(H)에 형성되어 핸드브레이크(11)의 작동에 의해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가 조절되는 경우와, 운전자가 발로 눌러 회전시킬 수 있는 풋브레이크(13)에 의해 작동 정도가 조절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현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젠조절부(3')의 첫번째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회전수단(31')은 브레이크조작부(1)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도그(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도그(311')는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브레이크조작부(1)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조작부(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도그(311')는 브레이크조작부(1)의 미작동시 상기 센싱수단(33')의 변위센서모듈(331')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변위센서모듈(331')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싱수단(33'')은 회전도그(311')와의 거리에 따라 가변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발생시키는 변위센서모듈(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센서모듈(331')은 회전도그(311')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모듈이 적용될 수 있고,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센서모듈로 형성되거나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센서모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작동원리는 동일하다. 상기 변위센서모듈(331')은 브레이크조작부(1)의 미작동시 회전도그(311')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회전도그(311')가 점점 멀어지면서 증가하는 전압신호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 변위센서모듈(331')은 회전도그(311')가 일정 범위로 멀어질 때까지 0~5V, 0~10V, 4~10mA 등 다양한 범위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서서히 증가하도록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일정 범위 이상에서는 최대치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도록 하여 재충전식제동부(20)의 최대 작동 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35')은 전기차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5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변위센서모듈(331')을 전기차본체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351')은 상기 변위센서모듈(331')을 전기차의 손잡이(H)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손잡이(H)에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젠조절부(3')의 작동에 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도그(311')가 핸드브레이크(11)와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핸드브레이크(11)의 회전에 따라 회전도그(311')는 변위센서모듈(331')로부터 멀어지게 되며, 핸드브레이크(11)의 미작동시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센서모듈(33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핸드브레이크(11)의 회전에 따라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센서모듈(331')로부터 멀어지게 되며, 회전도그(311')가 제1위치(ⓐ)까지 멀어질 때에는 변위센서모듈(331')이 점차 증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발생시키며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정도를 증가시키도록 하고, 제1위치(ⓐ)에서 제2위치(ⓑ)까지는 재충전식제동부(20)가 최대의 작동 정도를 유지하며 기계식제동부(10)와 함께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의 모든 실시예에서 제1위치(ⓐ)는 브레이크조작부(1)가 회전하여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를 의미하며, 제2위치(ⓑ)는 브레이크조작부(1)가 최대로 회전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도 3의 경우는 회전도그(311')가 풋브레이크(13)에 장착된 경우로 작동원리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도 4의 경우는 사각의 변위센서모듈(311')이 적용된 경우로 역시 도 2의 작동원리와 같다. 다만, 도 5의 경우는 회전도그(311')가 풋브레이크(13)에 장착된 경우이나, 도 3과는 다르게 회전도그(311')가 풋브레이크(13)의 측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도그(311')는 풋브레이크(13)의 미작동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센서모듈(331')과 평행하게 마주본 상태를 유지하며, 풋브레이크(13)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변위센서모듈(331')과 이루는 각도가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변위센서모듈(331')은 일정 범위까지 증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켜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젠조절부(3'')의 두 번째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회전수단(31'') 및 센싱수단(33'')은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게 회전도그(311'') 및 고정브라켓(351'')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센싱수단(33'')은 회전도그(311'')의 회전에 따라 변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더욱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회전도그(311'')와 직접 연결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도록 하고, 자성체의 이동에 따라 변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켜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젠조절부(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브레이크(11)에 형성되거나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풋브레이크(13)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도 8의 실시예는 회전도그(311'')가 풋브레이크(13)의 측면에 형성되어 풋브레이크(13)의 회전에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원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도그(311'')의 회전에 따라 센싱수단(33'')의 후술할 연결부재(333d'')가 당겨지거나 밀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젠조절부(3'')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식 브레이크에 적용되도록 하여, 바퀴의 일측에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와이어(W)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경우 모두 일 실시예와 동일한 작동원리로 제1위치(ⓐ)까지는 센싱수단(33'')이 서서히 증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켜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를 서서히 증가시키도록 하고, 제1위치(ⓐ)에서 제2위치(ⓑ)까지는 최대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유지하여 재충전식제동부(20)가 최대의 작동 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수단(31'')은 일 실시예와 같이 회전도그(311'')를 포함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도그(311'')가 후술할 자력발생모듈(333'')을 이동시켜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을 조절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므로, 정확한 신호의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끼움홈(311a''), 지지홈(311b''), 조절부재(311c'') 등의 구성을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끼움홈(311a'')은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도그(311'')가 연결부재(333d'')와 연결되는 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311a'')에는 연결부재(333d'')의 후술할 걸림고리(333d-1'')가 삽입되어 끼움홈(311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도그(311'')의 상하 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레이크조작부(1)의 종류와 센싱본체(331'')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회전도그(311'')의 상하 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정확한 원점 셋팅을 통해 센싱수단(33'')에 의한 정확한 신호의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311a'')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입구에 걸림고리(333d-1'')가 걸리는 접촉면(311a-1'')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하고, 내부에 걸림고리(333d-1'')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회전도그(311'')의 좌우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회전도그(311'')가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원을 그리며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도그(311'')의 회전을 센싱수단(33'')의 직선 이동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회전도그(311'')의 회전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전도그(311'')의 회전에 따라 자력발생모듈(333'')이 자연스럽게 직선 이동하여 정확한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홈(311b'') 및 조절부재(311c'')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도그(311'')의 전후 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홈(311b'')은 회전도그(311'')의 일 측면, 바람직하게는 회전도그(311'')의 상면에 일정 깊이 함입되는 원형의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311b'')에는 조절부재(311c'')가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지지홈(311b'') 상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타원형의 삽입공(311b-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311b-1'')에는 조절부재(311c'')의 삽입돌기(311c-1'')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적절한 위치에서 조절부재(311c'')가 회전도그(311'')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부재(311c'')는 삽입돌기(311c-1'')가 삽입공(311b-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도그(311'')에 고정되며, 조절부재(311c'')에는 브레이크조작부(1)가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도그(311'')는 센싱수단(33'')의 설치 상태에 따라 전후 방향의 위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확한 원점 셋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재충전식제동부(20)를 작동시키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의 정확한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싱수단(33'')은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른 회전도그(311'')의 회전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을 조절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본체(331''), 자력발생모듈(333''), 홀센서(335'')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싱본체(331'')는 센싱수단(33'')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자력발생모듈(333'') 및 홀센서(335'')를 수용하고, 고정수단(35'')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자력발생모듈(333'')은 브레이크조작부(1)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도그(311'')의 회전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자력을 변화시킴으로써, 홀센서(335'')를 통해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의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자력발생모듈(333'')은 자석하우징(333a''), 리젠자석부재(333b''), 자력유지부재(333c''), 연결부재(333d''), 탄성체(333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하우징(333a'')은 상기 리젠자석부재(333b''), 자력유지부재(333c'')를 수용하며, 회전도그(311'')와 연결되어 회전도그(311'')의 회전에 따라 센싱본체(331'') 내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자석하우징(333a'')은 연결부재(333d'')에 의해 회전도그(311'')와 연결되며, 연결부재(333d'')에 삽입된 탄성체(333e'')에 의해 지지되어 센싱본체(331'') 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자석하우징(333a'')은 브레이크조작부(1)의 작동시 회전도그(311'')가 센싱본체(33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당겨지게 되며, 자석하우징(333a'')에 수용된 리젠자석부재(333b'') 및 자력유지부재(333c'')가 홀센서(335'')와 접촉되는 위치가 변경되어 홀센서(335'')를 통해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젠자석부재(333b'')는 자석하우징(333a'') 내에 수용되어 자석하우징(333a'')과 함께 이동하는 구성으로, N,S극을 갖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홀센서(335'')를 통과하는 위치에 따라 홀센서(335'')를 통해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력유지부재(333c'')는 리젠자석부재(333b'')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자석하우징(333a'') 내에 수용되며, 상기 리젠자석부재(333b'')와 동일한 극성이 마주도록 수용되고, 리젠자석부재(333b'')와 충분한 거리가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력유지부재(333c'')는 자석하우징(333a'')과 함께 이동하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젠자석부재(333b'')가 홀센서(335'')를 통과하는 동안 홀센서(335'')를 통해서는 서서히 증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가 발생되는데, 리젠자석부재(333b'')가 홀센서(335'')를 통과한 후에도 최대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유지하여 재충전식제동부(20)의 최대 작동 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자력유지부재(333c'')는 리젠자석부재(333b'')와 마주보는 극, 바람직하게는 S극이 리젠자석부재(333b'')를 향하도록 자석하우징(333a'')에 삽입되며, 이를 통해 S극의 자력선구간을 길게 확보하여 최대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333d'')는 상기 자석하우징(333a'')과 회전도그(311'')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회전도그(311'')가 센싱본체(33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회전도그(311'')에 의해 당겨져 자석하우징(333a'')을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333d'')에는 탄성체(333e'')가 삽입되어 브레이크조작부(1)의 미작동시 자동으로 자석하우징(333a'')이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도그(311'')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상기 연결부재(333d'')가 회전도그(311'')의 회전에 따라 자연스럽게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석하우징(333a'')의 이동에 따른 전압 또는 전류신호의 발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연결부재(333d'')의 끝단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걸림고리(333d-1'')가 형성되어 회전도그(311'')의 끼움홈(311a'')에 끼워지게 되며, 걸림고리(333d-1'')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끼움홈(311a'')의 라운드진 접촉면(311a-1'')과 접촉되고 끼움홈(311a'') 내에서 좌우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회전도그(311'')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재(333d'')의 자연스러운 직선 이동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체(333e'')는 연결부재(333d'')에 삽입되며 센싱본체(331'')의 내측과 자석하우징(333a'') 사이에 삽입되어 압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333e'')는 브레이크조작부(1)의 미작동시 자석하우징(333a'')이 센싱본체(331'') 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브레이크조작부(1)의 작동시에만 압축되어 자석하우징(333a'')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홀센서(335'')는 상기 리젠자석부재(333b'') 및 자력유지부재(333c'')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에 따라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젠자석부재(333b'')가 자석하우징(333a'')을 따라 이동하면서 홀센서(335'')와 접촉되는 위치가 변경되므로 홀센서(335'')를 통해서는 리젠자석부재(333b'')의 이동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리젠자석부재(333b'')의 이동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홀센서(335'')는 리젠자석부재(333b'')가 통과한 후에는 최대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제2위치(ⓑ)까지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홀센서(335'')는 발생된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센싱라인(335a'')을 통해 리젠작동부(5)로 전달하며, 발생된 전압 또는 전류신호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젠조절부(3'')의 작동에 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레이크조작부(1)의 미조작시에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도그(311'')가 센싱본체(33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브레이크조작부(1)를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1위치(ⓐ)까지 회전시키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하우징(333a'')이 회전도그(311'')를 따라 이동하며 자석하우징(333a'') 내의 리젠자석부재(333b'')가 홀센서(335'')를 통과하게 되고, 홀센서(335'')는 브레이크조작부(1)가 제1위치(ⓐ)를 통과할 때까지 서서히 증가하여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브레이크조작부(1)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까지 회전시키면,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하우징(333a'')이 더욱 당겨지고, 홀센서(335'')는 제1위치(ⓐ)에서 발생된 최대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재충전식제동부(20)가 제2위치(ⓑ)까지 최대의 작동 정도를 연속적으로 유지하면서 기계식제동부(10)와 함께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리젠조절부(3''')의 세번째 실시예를 도 17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리젠조절부(3''')도 회전수단(31'''), 센싱수단(33'''), 고정수단(35''')을 포함하나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상이한 구성을 가지며, 회전연결수단(37''')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리젠조절부(3''')는 첫번째 및 두번째 실시예와 같은 작동원리로 제1위치(ⓐ)까지는 센싱수단(33''')의 증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통해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가 서서히 증가하도록 하고, 제1위치(ⓐ)에서 제2위치(ⓑ)까지는 재충전식제동부(20)의 최대 작동 정도가 유지되며, 기계식제동부(10)와 함께 작동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리젠조절부(3''')는 회전수단(31'''), 센싱수단(33'''), 고정수단(35'''), 회전연결수단(37''')이 일체로 결합된 형태를 형성하도록 하여 더욱 안정적이고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수단(31''')은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성으로, 도 28(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의 손잡이(H)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수단(31''')은 손잡이(H)와 맞닿아 회전하는 지지회전부(311'''); 지지회전부(311''')와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며, 상기 회전연결수단(37''')을 회전시키는 회전힌지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회전부(311''')는 손잡이(H)와 맞닿아 회전하는 구성으로, 손잡이(H)의 형태와 회전각도 등에 따라 회전정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손잡이(H) 형태에 관계없이 리젠조절부(3''')의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회전부(311''')는 레버접촉부재(311a''')와 회전부재(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접촉부재(311a''')는 손잡이(H)와 맞닿는 구성으로, 회전부재(311b''')와 결합하며, 회전부재(311b''')의 후술할 결합홈(311b-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레버접촉부재(311a''')는 복수의 결합홈(311b-1''')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레버접촉부재(311a''')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면(311a-1''')이 타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접촉부재(311a''')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면(311a-1''')이 손잡이(H)와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하는데, 둘레면(311a-1''')을 타원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지지회전부(311''')의 회전 정도가 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레버접촉부재(311a''')는 회전부재(311b''')에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둘레면(311a-1''')이 손잡이(H)와 접촉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회전 정도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손잡이(H)의 형태와 회전각도 등에 맞게 정확한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레버접촉부재(311a''')는 상기 회전부재(311b''')에 삽입되는 결합돌기(311a-2''')와, 회전부재(311b''')와의 결합·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결합공(311a-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311a-2''')는 각 결합홈(311b-1''')마다 복수개로 형성되는 삽입공(311b-2''') 중 하나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손잡이(H)와 접촉되는 둘레면(311a-1''')의 위치를 조절하여 레버접촉부재(311a''')를 회전시키며 삽입돌기(371b''')를 적절한 위치의 삽입공(311b-2''')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레버접촉부재(311a''')의 삽입돌기(371b''')를 회전부재(311b''')의 삽입공(311b-2''')에 삽입하면, 회전부재(311b''')와 결합공(311a-3''')을 관통하도록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삽입하여 레버접촉부재(311a''')와 회전부재(311b''')의 결합을 완료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재(311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단이 레버접촉부재(311a''')와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며, 타단이 회전힌지부(313''')와 결합하여 회전힌지부(31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부재(311b''')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311b-1'''), 삽입공(311b-2'''), 끼움홈(311b-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11b-1''')은 레버접촉부재(311a''')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레버접촉부재(311a''')의 삽입 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311b-2''')은 결합홈(311b-1''') 상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멍으로, 각 결합홈(311b-1''')마다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311b-2''')은 레버접촉부재(311a''')의 결합돌기(311a-2''')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손잡이(H)와 접촉시키고자 하는 둘레면(311a-1''')의 위치에 따라 레버접촉부재(311a''')를 회전시키며 적절한 삽입공(311b-2''')의 위치에 결합돌기(311a-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삽입공(311b-2''')을 통해서는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이 삽입되어 레버접촉부재(311a''')와 회전부재(311b''')를 고정시킨다.
상기 끼움홈(311b-3''')은 상기 회전부재(311b''')의 타단에 형성되어 회전힌지부(313''')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회전힌지부(313''')의 후술할 끼움돌기(313a-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311b-3''')은 지지회전부(311''')가 회전힌지부(31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지회전부(3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힌지부(313''')도 함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힌지부(313''')는 상기 지지회전부(311''')의 회전 중심이 되며, 지지회전부(311''')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회전힌지부(313''')와 센싱수단(33'''), 더욱 정확하게는 후술할 자력회전체(331''') 사이에는 회전연결수단(37''')이 형성되어 회전힌지부(313''')의 회전을 자력회전체(331''')의 회전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자력회전체(331''')의 회전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힌지부(313''')는 브레이크조작부(1)의 미작동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운전자가 브레이크조작부(1)를 회전시킬 때에만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힌지부(313''')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재(313a'''), 힌지기어(313b'''), 힌지스프링(31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재(313a''')는 상기 회전부재(311b''')와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는 구성으로, 지지회전부(311''')의 회전중심이 된다. 또한, 힌지부재(313a''')에는 일측에 힌지기어(313b''')가 돌출 형성되어 함께 회전하며, 힌지부재(313a''') 상에는 힌지스프링(313c''')이 삽입되어 브레이크조작부(1)의 미작동시 힌지부재(313a''')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힌지부재(313a''')는 그 둘레 일 지점에 이탈방지턱(313a-1''')이 돌출 형성되어 힌지부재(313a''')에 삽입되는 힌지스프링(313c''')이 힌지부재(313a''')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힌지부재(313a''')의 일단에는 둘레를 따라 끼움돌기(313a-2''')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311b''')의 끼움홈(311b-3''')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부재(311b''')의 회전에 따라 힌지부재(313a''')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힌지기어(313b''')은 힌지부재(313a''')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힌지부재(313a''')와 함께 회전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연결수단(37''')의 후술할 회전기어체(371''')와 맞물려 회전기어체(37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기어(313b''')는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회전기어체(371''')를 회전시키며, 회전기어체(371''')의 회전은 후술할 연결회전체(373''')를 거쳐 자력회전체(331''')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힌지기어(313b''') 상에는 스프링결합홈(313b-1''')이 형성되어 힌지스프링(313c''')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힌지스프링(313c''')은 힌지부재(313a''') 상에 삽입되며, 도 20(c)와 같은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도 2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스프링결합홈(313b-1''')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부고정하우징(351''')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스프링(313c''')은 브레이크조작부(1)의 미작동시 힌지부재(313a''')를 고정시키며,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시에만 힌지부재(313a''') 및 힌지기어(313b''')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가 브레이크조작부(1)를 놓는 경우 힌지부재(313a''') 및 힌지기어(313b''')가 자동으로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싱수단(33''')은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상이한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켜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이 회전수단(31''')과 회전연결수단(37''')을 거쳐 센싱수단(33''')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른 전압 또는 전류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센싱수단(33''')은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자력회전체(331''')와, 자력회전체(331''')의 회전에 따라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모듈(3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력회전체(331''')는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연결수단(37''')의 연결회전체(373''')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자력회전체(331''')는 내부에 자성체를 포함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며 자성체가 센서모듈(333''')과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센서모듈(333''')로부터 상이한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자력회전체(331''')의 초기 위치에서 전압 또는 전류신호는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자력회전체(331''')가 회전할 수록 높아지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른 제1위치(ⓐ)까지 자력회전체(331''')가 함께 회전하여 최대치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브레이크조작부(1)가 제1위치(ⓐ)를 지나 제2위치(ⓑ)로 회전하는 동안에는 자력회전체(331''')가 최대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를 최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자력회전체(331''')는 회전기어(331a'''), 자성부재(331b'''), 고정돌기(331c'''), 걸림홈(331d'''), 당김체(331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어(331a''')는 상기 연결회전체(373''')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연결회전체(373''')의 후술할 연결기어(373d''')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회전체(373''')의 회전에 따라 자력회전체(331''')가 회전하며 센서모듈(333''')을 통해 회전 정도에 따른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자성부재(331b''')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회전체(331''')의 일측 둘레를 따라 삽입되어 자력회전체(331''')와 함께 회전하며, N,S 극을 갖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센서모듈(333''')과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 자성부재(331b''')는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위치에서는 센서모듈(333''')을 통한 전압 또는 전류신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까지 회전하면서 점차 증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제1위치(ⓐ)에서 최대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돌기(331c''')는 자력회전체(331''')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당김체(331e''')의 일단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자력회전체(331''')가 하부하우징(353''')에 고정되는 당김체(331e''')에 의해 당겨지도록 한다.
상기 걸림홈(331d''')은 자력회전체(331''')의 일측에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하부하우징(353''')의 후술할 제한돌기(353e''')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홈(331d''')은 상기 자력회전체(331''')가 제1위치(ⓐ)까지 회전된 위치에서 제한돌기(353e''')에 지지된 상태가 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자력회전체(331''')가 최대의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위치(ⓐ)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당김체(331e''')는 일단이 상기 고정돌기(331c''')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부하우징(353''')의 후술할 고정단(353d''')에 고정되어 자력회전체(331''')를 당기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당김체(331e''')는 탄성을 가진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력회전체(331''')가 초기 위치에서 제1위치(ⓐ)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자력회전체(331''')는 브레이크조작부(1)의 미작동시 초기 위치에서 고정되는데 이는 상기 힌지스프링(313c''')에 의해 상기 회전힌지부(313''')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이후 운전자가 브레이크조작부(1)를 회전시키게 되면 지지회전부(311'''), 회전힌지부(313'''), 회전연결수단(37''')을 거쳐 자력회전체(331''')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자력회전체(331''')는 당김체(331e''')를 통해 제1위치(ⓐ)로 회전하는 방향의 힘을 제공받음으로써 제1위치(ⓐ)로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회전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각 기어들이 정확하게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자력회전체(331''')의 회전을 통한 전압 또는 전류 신호의 발생이 회전 정도에 따라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333''')은 상기 자력회전체(331''')의 자성부재(331b''')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부하우징(353''')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센서모듈(333''')은 상기 자성부재(331b''')의 회전에 따라 상이한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홀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자성부재(331b''')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33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력회전체(331''')가 초기 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할수록 증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서모듈(333''')은 센서라인(333a)과 연결되어 전압 또는 전류신호가 리젠작동부(5)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35''')은 상기 회전수단(31''') 및 회전연결수단(37''')을 밀폐된 공간에 수용하며, 리젠조절부(3''')가 전기차 손잡이(H)에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35''')은 상부고정하우징(351''')과 하부하우징(353''')이 결합하여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부고정하우징(351''')과 하부하우징(353''') 사이에는 방수부재(355''')가 삽입되어 고정수단(35''')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고정하우징(351''')은 하부하우징(353''')과 결합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전기차 손잡이(H)에 고정된다. 또한, 상부고정하우징(351''')은 상기 회전부재(311b''') 및 힌지부재(313a''')가 관통공(351a''')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하도록 하고, 삽입된 회전부재(311b''')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351a''') 둘레를 따라 돌출턱(351b''')이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부재(311b''')를 지지하도록 하고, 돌출턱(351b''')의 외측으로는 보호커버(351c''')가 추가로 설치되어 회전부재(311b''')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하우징(353''')은 상부고정하우징(351''')과 결합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자력회전체(331''')가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하고, 센서모듈(333''')과 센서라인(333a)이 삽입·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353''')은 상기 당김체(331e''')를 고정시켜 자력회전체(331''')를 당기도록 하고, 자력회전체(331''')의 회전을 제한하며, 상기 회전연결수단(37''')의 연결회전체(373''')를 지지하여 연결회전체(373''')의 회전을 제한하며, 연결회전체(373''') 및 회전기어체(37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하우징(353''')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홈(353a'''), 라인삽입홈(353b'''), 지지축(353c'''), 고정단(353d'''), 제한돌기(353e'''), 삽입축(353f'''), 제한턱(353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홈(353a''')은 센서모듈(333''')이 삽입되도록 일정 위치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자성부재(331b''')의 회전경로 일측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라인삽입홈(353b''')은 센서라인(333a)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센서라인(333a)이 외부로 연결되어 리젠작동부(5)로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축(353c''')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자력회전체(331''')에 끼워지며, 자력회전체(331''')의 회전 중심이 된다.
상기 고정단(353d''')은 상기 당김체(331e''')의 타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당김체(331e''')의 탄성에 의해 자력회전체(331''')를 당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한돌기(353e''')는 자력회전체(331''')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성으로, 상기 브레이크조작부(1)가 제1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 자력회전체(331''')의 걸림홈(331d''')에 밀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자력회전체(331''')가 제1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재충전식제동부(20)의 최대 작동 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축(353f''')은 상기 연결회전체(373''')에 삽입되어 연결회전체(373''')의 회전 중심이 되는 구성으로, 연결회전체(373''')의 후술할 축관통공(373a''')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한턱(353g''')은 상기 연결회전체(373''') 및 회전기어체(371''')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연결회전체(373''')의 일정 범위 이상, 즉 제1위치(ⓐ)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며, 회전기어체(37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연결수단(37''')은 상기 회전수단(31''')과 센싱수단(33''')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수단(31''')의 회전력이 센싱수단(33''')에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회전힌지부(313''')의 회전이 자력회전체(331''')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회전연결수단(37''')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1)가 초기 위치에서 제1위치(ⓐ)까지 회전하는 동안에는 회전힌지부(313''')의 회전과 함께 자력회전체(331''')가 회전되어 제1위치(ⓐ)까지 증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며, 브레이크조작부(1)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까지 회전하는 동안에는 자력회전체(331''')는 회전하지 않으며 브레이크조작부(1) 만이 회전할 수 있는 특유의 구조를 갖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연결수단(37''')은 상기 회전힌지부(313''')의 힌지기어(313b''')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기어체(371''')와; 상기 회전기어체(371''')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자력회전체(331''')의 회전기어(331a''')와 맞물려 자력회전체(331''')를 회전시키는 연결회전체(3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어체(371''')는 힌지기어(313b''')와 맞물려 회전하는 구성으로, 힌지기어(313b''')의 회전에 따라 연결회전체(37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회전기어체(371''')는 브레이크조작부(1)가 제1위치(ⓐ)까지 회전할 때에만 연결회전체(373''')를 회전시키도록 하며, 제1위치(ⓐ)를 통과하여 제2위치(ⓑ)로 회전하는 동안에는 회전기어체(371''')는 연결회전체(373''')를 회전시키지 않고 회전기어체(371''')만이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기어체(371''')는 제1위치(ⓐ)까지는 연결회전체(373''')를 회전시켜 이에 따라 자력회전체(331''')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제1위치(ⓐ)를 지나면 자력회전체(331''')는 제1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브레이크조작부(1)는 제2위치(ⓑ)까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재충전식제동부(20)의 최대 작동 정도가 제2위치(ⓑ)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기어체(371''')는 힌지기어(313b''')와 맞물리는 접촉기어(371a''')와 연결회전체(373''')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7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기어(371a''')는 힌지기어(313b''')와 맞물려 회전하는 구성으로, 힌지기어(313b''')의 회전에 따라 연결회전체(373''')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삽입돌기(371b''')의 회전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촉기어(371a''')는 상기 제한턱(353g''')에 삽입되어 제한턱(353g''')을 중심으로 회전기어체(37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돌기(371b''')는 상기 접촉기어(371a''')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연결회전체(373''')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연결회전체(373''')의 후술할 가이드홈(373c''')에 삽입되어 가이드홈(373c''')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삽입돌기(371b''')는 브레이크조작부(1)의 미작동시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373c''')에 밀착되어 연결회전체(373''')를 일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힌지스프링(313c''')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브레이크조작부(1)를 서서히 회전시키게 되면 삽입돌기(371b''')가 함께 회전하면서 삽입돌기(371b''')의 회전과 함께 연결회전체(373''')도 당김체(331e''')의 탄성에 의해 복원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이 자력회전체(331''')로 전달되어 제1위치(ⓐ)까지 센서모듈(333''')에 의해 서서히 증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가 발생된다. 그리고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가 되면 자력회전체(331''')의 회전은 상기 제한돌기(353e''')에 의해 멈추고, 상기 연결회전체(373''')의 회전도 상기 제한턱(353g''')에 걸려 멈추게 된다. 그리고 다시 브레이크조작부(1)를 도 2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까지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회전체(373''')는 이에 영향을 받지않고 제1위치(ⓐ)에서 고정되어 재충전식제동부(20)의 최대 작동 정도를 유지하며, 상기 삽입돌기(371b''')는 연결회전체(373''')의 가이드홈(373c''')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연결수단(37''')은 브레이크조작부(1)의 제1위치(ⓐ)까지는 자력회전체(331''')의 회전에 의해 증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제1위치(ⓐ)부터 제2위치(ⓑ)까지는 재충전식제동부(20)의 최대 작동 정도가 유지되며,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을 통해 기계식제동부(10)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회전체(373''')는 상기 회전기어체(371''')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자력회전체(331''')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관통공(373a'''), 삽입지지공(373b'''), 가이드홈(373c'''), 연결기어(37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관통공(373a''')은 상기 삽입축(353f''')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연결회전체(373''')가 삽입축(353f''')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지지공(373b''')은 상기 제한턱(353g''')이 삽입되는 구성으로, 삽입돌기(371b''')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던 연결회전체(373''')가 제1위치(ⓐ)에서 제한턱(353g''')에 걸려 더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홈(373c''')은 상기 삽입돌기(371b''')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조작부(1)의 미작동시에는 일단에 삽입돌기(371b''')가 밀착되어 연결회전체(373''')를 일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며,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에 따라 삽입돌기(371b''')가 회전할 때 제1위치(ⓐ)까지는 가이드홈(373c''')의 일단에 삽입돌기(371b''')가 밀착된 상태에서 삽입돌기(371b''')와 함께 연결회전체(373''')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위치(ⓐ)에서 제2위치(ⓑ)까지는 연결회전체(373''')의 회전이 제한되며, 상기 가이드홈(373c''')은 연결회전체(373''')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삽입돌기(371b''')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회전기어체(371''')의 회전에 따른 삽입돌기(371b''')의 회전 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기어(373d''')는 연결회전체(373''')의 하측에 형성되어 자력회전체(331''')의 회전기어(331a''')와 맞물리는 구성으로, 연결회전체(373''')의 회전에 따라 자력회전체(331''')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젠조절부(3''')의 작동과정에 관하여 도 28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접촉부재(311a''')가 핸드브레이크(11)에 밀착된 상태에서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브레이크(11)를 회전시키면 회전부재(311b''')가 회전하고, 도 2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스프링(313c''')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던 힌지부재(313a''') 및 힌지기어(313b''')가 힌지스프링(313c''')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이기고 도 2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기어(313b''')에 맞물려있던 회전기어체(371''')의 접촉기어(371a''')도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기어(313b''')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회전기어체(371''')에 연결된 연결회전체(373''')도 제1위치(ⓐ)까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서 센서모듈(333''')을 통해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던 자력회전체(331''')가 도 2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까지 회전하면서 서서히 증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켜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가 최대치까지 증가하도록 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까지는 도 27(b)의 제1위치(ⓐ)에서 도23(c)의 제2위치(ⓑ)로 브레이크조작부(1)가 회전하는 동안 연결회전체(373''') 및 자력회전체(331''')의 회전은 고정되며, 회전기어체(371''')의 삽입돌기(371b''')가 연결회전체(373''')의 가이드홈(373c''')을 따라 이동하면서 브레이크조작부(1)만이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리젠작동부(5)는 리젠조절부(3)에 의해 전달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20)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브레이크조작부(1)의 회전시 가속에 우선하여 재충전식제동부(20)가 작동하도록 한다. 다만, 재충전식제동부(20)는 항상 가속에 우선하여 작동하도록 할 경우 전기차의 초기 출발시에 가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경사지 등에서 뒤로 밀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리젠작동부(1)는 일정 속도 범위에서 재충전식제동부(20)에 우선하여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젠작동부(5)는 전압값수신모듈(51), 회생제동모듈(53), 리젠우선작동모듈(55), 가속우선설정모듈(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값수신모듈(51)은 리젠조절부(3)의 센싱수단(33)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가변되는 크기의 전류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0~5V, 0~10V, 4~20mA 등 다양한 범위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가 수신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제한은 없다.
상기 회생제동모듈(53)은 상기 전압값수신모듈(51)에 의해 수신되는 전압값 또는 전류값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전압값 또는 전류값이 높을수록 전기모터로부터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늘려 재충전식제동부(20)의 작동 정도를 높이도록 한다.
상기 리젠우선작동모듈(55)은 브레이크조작부(1)의 작동시 재충전식제동부(20)가 가속에 우선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다시 말해 전기모터에 전기를 공급하여 전기차의 가속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도 브레이크조작부(1)의 조작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20)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전기모터에 대한 전기의 공급을 멈추고 전기모터가 발전기로 전환되어 바퀴의 운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전환되어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재충전식제동부(20)의 효과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만, 일정 속도 범위에서는 상기 가속우선설정모듈(57)에 의해 가속을 우선 작동시켜 전기차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속우선설정모듈(57)은 재충전식제동부(20)에 우선하여 가속이 작동되는 속도 범위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설정된 속도범위에서는 재충전식제동부(20)가 작동중인 경우에도 가속장치(미도시)가 조작되는 경우 전기모터에 전기를 공급하여 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속우선설정모듈(57)은 전기차의 속도 또는 전기모터의 회전속도(RPM) 등에 따라 가속우선의 속도 범위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0~200km/h 또는 0~100000RPM의 범위 등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속우선설정모듈(57)은 전기차의 정지상태가 포함된 0에서 일정 속도 내의 범위에서 가속이 우선하여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차의 출발시, 특히 경사지에서 전기차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브레이크조작부 11: 핸드브레이크 13: 풋브레이크
3,3',3'',3''': 리젠조절부 31',31'',31''': 회전수단
311',311'': 회전도그 311a'': 끼움홈 311a-1'': 접촉면
311b'': 지지홈 311b-1'': 삽입공 311c'': 조절체
311c-1'': 삽입돌기 33',33'',33''': 센싱수단 331': 변위센서모듈
331'': 센싱본체 333''자력발생모듈 333a'': 자석하우징
333b'': 리젠자석부재 333c'': 자력유지부재 333d'': 연결부재
333d-1'': 걸림고리
333e'': 탄성체 335'': 홀센서 335a'': 센싱라인
35',35'',35''': 고정수단 351',351'': 고정브라켓
311''': 지지회전부 311a''': 레버접촉부재 311a-1''': 둘레면
311a-2''': 결합돌기 311a-3''': 결합공
311b''': 회전부재 311b-1''': 결합홈 311b-2''': 삽입공
311b-3''': 끼움홈 313''': 회전힌지부 313a''': 힌지부재
313a-1''': 이탈방지턱 313a-2''': 끼움돌기
313b''': 힌지기어 313b-1''': 스프링결합홈 313c''': 힌지스프링
331''': 자력회전체 331a''': 회전기어 331b''': 자성부재
331c''': 고정돌기 331d''': 걸림홈 331e''': 당김체
333''': 센서모듈 333a''': 센서라인
351''': 상부고정하우징 351a''': 관통공 351b''': 돌출턱
351c''': 보호커버 353''': 하부하우징 353a''': 센서홈
353b''': 라인삽입홈 353c''': 지지축 353d''': 고정단
353e''': 제한돌기 353f''': 삽입축 353g''': 제한턱
371''': 회전기어체 371a''': 접촉기어 371b''': 삽입돌기
373''': 연결회전체 373a''': 축관통공 373b''': 삽입지지공
373c''': 가이드홈 373d''': 연결기어
5: 리젠작동부 51: 전압값수신모듈 53: 회생제동모듈
55: 리젠우선작동모듈 57: 가속우선설정모듈

Claims (20)

  1. 기계식제동부 및 재충전식제동부를 갖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차 운전자의 손 또는 발에 의해 회전되어 기계식제동부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조작부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를 작동시키는 리젠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정도를 조절하는 리젠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젠조절부는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의 초기 일정 정도의 회전에 따라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 정도를 가변 증가시키도록 하고, 일정 정도의 회전 후에는 재충전식제동부의 최대 작동 정도로 유지되며, 기계식제동부와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젠조절부는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에 고정되어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을 감지하여 재충전식제어부의 작동 정도를 조절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수단과, 리젠조절부를 전기차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회전도그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회전도그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에 따라 재충전식제어부의 작동 정도를 조절하는 가변되는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변위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변위센서모듈을 전기차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모듈과,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자력발생모듈의 이동에 의해 변화되는 자력에 따라 재충전식제어부의 작동 정도를 조절하도록 가변되는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홀센서와, 상기 자력발생모듈 및 홀센서를 내부에 수용하는 센싱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모듈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홀센서 상을 직선 이동하여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리젠자석부재와; 상기 리젠자석부재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센서본체 내를 직선 이동하는 자석하우징과;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와 자석하우징을 연결하여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자석하우징이 직선 이동하도록 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상에 삽입되어 센서본체 내측과 자석하우징 사이에 압착·지지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발생모듈은
    상기 리젠자석부재와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자석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자력선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리젠자석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함께 직선 이동하는 자력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에 고정되어 회전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재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도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도그는 상하 방향을 따라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부재가 끼워지는 끼움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고리를 포함하여, 회전도그의 상하 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 및 걸림고리는
    접촉되는 일측면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서로 좌우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에 고정되어 회전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에 형성되어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재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도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도그는,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와 연결되며, 회전도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회전도그 상에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가 삽입되는 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홈은 타원형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삽입공을 따라 이동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은 센싱본체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삽입돌기가 삽입공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회전도그의 위치를 센싱본체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에 지지되어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지지회전부와; 상기 지지회전부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지지회전축의 회전축이 되는 힌지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힌지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일정 경로 내에서 회전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회전체와, 상기 자력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수단이 지지되며, 전기차 본체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하우징과; 상기 상부고정하우징의 하측에 결합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자력회전체 및 센서모듈을 수용하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은
    상기 회전수단과 센싱수단을 연결하는 회전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연결수단은,
    회전수단의 회전시 초기 일정 범위 내에서만 상기 자력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자력회전체에 대한 영향 없이 회전수단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수단은
    상기 회전힌지부와 맞물리도록 접촉되어 회전힌지부의 회전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기어체와; 상기 회전기어체가 지지되며, 상기 회전기어체의 초기 일정 범위에서만 회전기어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자력회전체와 맞물려 자력회전체를 회전시키는 연결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회전체는
    상기 연결회전체에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기어와, 상기 자력회전체 내의 일측 둘레를 따라 삽입되어 자력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센서모듈에 가변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발생시키는 자성부재와, 자력회전체와 하부하우징 사이에 형성되어 자력회전체를 당기는 당김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센서모듈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센서홈과; 상기 자력회전체의 회전축이 되는 지지축과; 상기 당김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단과; 상기 자력회전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돌기와;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회전체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회전체의 회전축이 되는 삽입축과;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회전체에 삽입되며, 연결회전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체는
    상기 회전힌지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접촉기어와, 하측 일 지점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회전체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회전체는,
    상기 삽입축이 삽입되는 축관통공과, 상기 제한턱이 삽입되는 삽입지지공과,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연결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턱은 상기 삽입돌기가 가이드홈 끝단에 걸려 연결회전체가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기어체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자력회전체가 제한돌기에 걸릴 때 삽입지지공에 걸려 연결회전체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회전기어체의 회전에 따른 삽입돌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한턱에 의해 연결회전체의 회전이 제한된 후에도 회전기어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회전부는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와 접촉되는 레버접촉부재와; 상기 레버접촉부재와 결합하여 브레이크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레버접촉부재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을 포함하여, 레버접촉부재가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결합홈 상에 관통되는 복수개의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접촉부재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공 중 하나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며, 타원으로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회전부재의 회전 경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힌지부는
    상기 지지회전부와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기어체와 맞물리는 힌지기어와; 상기 힌지기어에 삽입되어 양 끝단이 하부하우징 및 힌지기어에 고정되며, 회전힌지부를 당겨 제위치시키는 힌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젠작동부는
    상기 브레이크조작부에 의한 재충전식제동부의 작동시 가속에 우선하여 작동하도록 하는 리젠우선작동모듈과, 가속이 재충전식제동부에 우선하여 작동하는 속도 범위를 설정하는 가속우선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KR1020190122849A 2019-10-04 2019-10-04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KR102301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49A KR102301741B1 (ko) 2019-10-04 2019-10-04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49A KR102301741B1 (ko) 2019-10-04 2019-10-04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532A true KR20210040532A (ko) 2021-04-14
KR102301741B1 KR102301741B1 (ko) 2021-09-27

Family

ID=7547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849A KR102301741B1 (ko) 2019-10-04 2019-10-04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152A1 (ko) * 2021-04-01 2022-10-06 박근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304A (ja) * 1991-09-03 1993-03-12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の回生制動装置
KR20110108919A (ko) * 2010-03-30 2011-10-06 기술법인오엔 (주) 회생 제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회생 제동 방법
KR20130097335A (ko) * 2012-02-24 2013-09-03 자동차부품연구원 전기동력 이륜차 회생제동 브레이크 및 제어방법
JP2014176256A (ja) * 2013-03-12 2014-09-22 Suzuki Motor Corp 回生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304A (ja) * 1991-09-03 1993-03-12 Honda Motor Co Ltd 電動車両の回生制動装置
KR20110108919A (ko) * 2010-03-30 2011-10-06 기술법인오엔 (주) 회생 제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회생 제동 방법
KR20130097335A (ko) * 2012-02-24 2013-09-03 자동차부품연구원 전기동력 이륜차 회생제동 브레이크 및 제어방법
JP2014176256A (ja) * 2013-03-12 2014-09-22 Suzuki Motor Corp 回生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152A1 (ko) * 2021-04-01 2022-10-06 박근호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741B1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7173B1 (en) Disc for disc brakes and braking system comprising such disc
KR20210040532A (ko) 전기차 제동 조작 시스템
KR100913115B1 (ko) 전동 자전거
JP2018520945A5 (ko)
KR101490875B1 (ko) 제동 발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EP4094972A1 (en) Braking operat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
KR101921409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동 시스템
KR102227541B1 (ko) 제동부의 조작이 용이한 전기차
KR20210088783A (ko) 전기차 제동 조작시스템
KR20160107135A (ko) 자전거용 스마트 발전기
CN101920650B (zh) 装有无刷行驶制动蓄能同步发电机的机动车
KR101104988B1 (ko) 발전기능을 겸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KR20150088060A (ko) 전기자동차의 감속제동시 소멸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충전하여 재활용하는 전기자동차
CN201309424Y (zh) 电动机车、电动自行车刹车充电装置
KR100498690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전기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102227542B1 (ko) 음향조절이 가능한 전기차
JPH11222047A (ja) 回生ブレーキ装置
KR101678878B1 (ko) 인휠 회생제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한변속방법
JP2012117591A (ja) 車両用制動装置
JP3067250U (ja) 発電靴
JP2000152583A5 (ko)
KR20160115096A (ko) 태양광 전기자동차
KR20010019654A (ko) 차량용 감속 및 충전 장치
JP3154514B2 (ja) 車両のブレーキ装置
CN113067435B (zh) 电机和包括电机的电动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