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657A -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657A
KR20210039657A KR1020190122149A KR20190122149A KR20210039657A KR 20210039657 A KR20210039657 A KR 20210039657A KR 1020190122149 A KR1020190122149 A KR 1020190122149A KR 20190122149 A KR20190122149 A KR 20190122149A KR 20210039657 A KR20210039657 A KR 20210039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ellobiose
present
autophagy
autophagy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범호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2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9657A/ko
Publication of KR20210039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셀로비오스에 의해 자식포(autophagosome) 마커인 LC3-II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은 노화관련 대사 질환, 아토피, 건선 등의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뿐만 아니라,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ducing Autophagy Activity Comprising Cellobiose}
본 발명은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가포식(autophagy)은 세포 내 에너지원이 고갈되거나 세포 내 스트레스 요인이 과도하게 발생했을 때 노후 혹은 손상된 세포 내 물질 및 기관을 분해함으로 에너지 재생산 및 손상 물질을 제거하는 기작을 말하며, 정상적인 세포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해 노화가 진행될수록 또는 노화를 가속화 시킬수록 세포 내 자가포식 활성이 급격히 감소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자가포식을 억제시킨 경우 세포 내에 노후 미토콘드리아나 잘못 접힌 단백질 등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세포 내 자유 라디칼 및 산화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결국에 세포의 사멸이 증가하고 노화가 촉진되는 결과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세포 내 노화된 물질 및 기관을 분해하고 그 분해산물을 재활용하는 자가포식 기작의 활성화를 통해 변형된 단백질, 지질 및 미토콘드리아 등을 빠르게 제거하고, 이를 통해 세포가 좀 더 건강한 상태로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자가포식은 세포 내 항상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면역세포 반응과 염증 경로에도 관련되어 있다. 세포 내 미생물들의 제거를 위한 메커니즘을 자가포식 어뎁터들을 통해 제공한다.
이러한 자가포식의 활성화가 알츠하이머병, 헌팅턴병, 파킨슨씨병등의 신경퇴행성 질환뿐만 아니라 제2형 당뇨의 치료 및 예방에 주요하게 작용하며, 피부염증을 완화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보고에 따르면 피부의 색이 자가포식의 활성에 의해서 조절된다고 하며, 자가포식이 활성화됨에 따라 인공피부의 색이 밝아지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자가포식 활성을 유도하는 물질을 선별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셀로비오스에 의해 자식포(autophagosome) 마커인 LC3-II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셀로비오스는 자식포(autophagosome)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피부 질환은 아토피 또는 건선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셀로비오스에 의해 자식포(autophagosome) 마커인 LC3-II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은 노화관련 대사 질환, 아토피, 건선 등의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뿐만 아니라,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셀로비오스에 의한 자가포식 활성 유도 정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관점에서,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자가포식"은 리소좀을 사용하여 필요없거나 또는 이상기능을 나타내는 세포내 소기관의 분해에 관여하는 기본적인 이화작용기작을 의미한다. 영양결핍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는 세포내 소기관을 파괴하여 세포내 에너지 수준을 유지함으로써 세포 생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자가포식은 진화적으로 보존적인 과정으로, 모든 진핵세포에서 나타난다.
상기 자가포식은 크게 3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는 자가포식이 유도되는 단계로, 영양 또는 성장인자의 결핍, 또는 저산소 조건에서 mTOR(mechanistic target of rapamycin)이 불활성화되고 ATG1(autophage related 1)이 활성화되어 자가포식이 유도된다. 2단계는 자식포(autophagosome)가 형성되는 단계로, 세포질성 LC3(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3 alpha)-I가 절단되고 지질화되어 LC3-II로 전환되게 되고 자식포 막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LC3-II는 자식포 마커로 알려져 있다. 3단계는 상기 자식포와 라이소솜의 융합(fusion) 단계로, 상기 라이소솜에 의해 세포내 소기관이 분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자가포식 유도용"은 세포내 소기관의 분해를 유도하는 활성으로, (ⅰ) ATG1을 활성화 시키거나; (ⅱ) 자식포 형성을 촉진하거나; (ⅲ) 자식포와 라이소솜의 융합을 촉진하는 활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로비오스는 자식포(autophagosome)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셀로비오스에 의해 LC3-II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세포 내 자가포식 활성화는 젊은 사람의 조직 및 세포에서는 활발이 일어나지만, 노화가 진행되면서 세포 내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자가포식 활성도가 급격히 저하되게 되어, 세포 내 노후 단백질, 지질 및 미토콘드리아가 시의적절하게 제거되지못해 세포 노화 현상이 급속도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자가포식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각 세포, 조직 및 개체의 노화를 억제하고 노화로 인해 야기되는 각종 질환의 치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가포식의 활성화는 세포 내 해로운 단백질 및 기관의 제거를 통해 노화된 세포의 생존률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각 개체의 수명 증가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자가포식의 활성화는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인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을 감소시켜 이로 인한 세포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여 신경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하며(Hung et al Autophagy, 2009, 5, 4, 502-510), 헌팅턴병의 주요 원인인 돌연변이 헌팅틴(huntingtin)을 분해 및 제거하여 헌팅턴병의 증세 완화 및 치료 효능을 제공하고(Qi et al PLOS one, 2012, 7, 10, e46834), 파킨슨씨병의 주요 원인인 알파-시누클레인의 축적을 억제하여 알파-시누클레인에 의한 신경퇴행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Xilouri et al Brain, 2013, 136, 2130-2146), 췌장 베타세포를 파괴하여 2형 당뇨병을 유발하는 인간 췌장 아밀로이드 폴리펩타이드의 독성 올리고머 형성체를 제거하여 2형 당뇨의 발생을 차단하고, 인간 췌장 아밀로이드 폴리펩타이드의 독성 올리고머 형성체로 인해 발생한 2형 당뇨의 증세 완화 및 치료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Kim et al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2014, 124, 8, 3311-3324).
또한, 자가포식의 활성화는 인종에 따른 피부색을 조절하는 데에도 중요하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자가포식 활성화를 통해 멜라노좀 분해를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8033호).
최근에는 자가포식 활성화 유도를 통해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각종 질환 및 현상을 개선,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선, 아토피피부염, 신경퇴행성 질환 또는 제2당뇨의 치료 및 예방 효능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6479호).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은 자가포식 활성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증대시키고, 자가포식을 활성화시키는 효능을 가짐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노화 용도,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알츠하이머병, 헌팅턴병, 파킨슨씨병 등) 또는 제2형당뇨, 또는 건선 및 아토피 피부염 등의 피부염증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으며, 멜라노좀의 분해 유도 및 멜라노좀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색소 침착(과색소침착, 기미, 일광 흑색점 등)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피부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백내장,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폐혈증, 위궤양, 위염, 크론병, 치질, 강직성 척추염, 루푸스, 섬유근통, 건선, 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 피부경화증, 통풍, 퇴행성 신경변성질환, 규폐증, 죽상동맥경화증 및 허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아토피 또는 건선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겔제 또는 에어로졸제 등의 피부외용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구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해당 부위에 국부적으로 사용되는 피부외용제인 경우에는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보존제, 의약 침투를 보조하는 용매, 연고 및 크림의 경우 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탄올 또는 올레일 알코올과 같은 통상적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제제화나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약학 조성물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 즉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인 치료상 유효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구강, 심장내, 골수내, 경막내, 경피, 장관, 피하, 설하 또는 국소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10,000㎎/㎏/일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마스크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은 노화로 야기되는 질병 또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식품 첨가제 또는 식이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 게는 0.01~0.1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셀로비오스의 자가포식 활성 유도능 확인
본 발명에서는 셀로비오스 처리에 의해 자식포(autophagosome) 형성이 촉진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LC3(light chain 3; 자가포식 마커)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인간 피부세포 섬유아세포는 우태아혈청이 10% 들어간 최소 필수 배지(Minimum Essential Medium)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으며, 세포수가 1×105개가 되도록 60Ø디쉬에 분주하고 하룻밤 동안 배양한 다음, 셀로비오스(Cellobiose)가 10g/L 첨가된 동일한 배지로 교환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는 군과 글루코오스를 처리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글루코오스 처리는 상기 셀로비오스 처리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3일 동안 셀로비오스 또는 글루코오스가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세포 관찰용 슬라이드로 옮긴 후, 현광 현미경 관찰을 위해, 4% 포름알데하이드에 세포를 고정하였다. 그 다음, 3% 소 유래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으로 1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을 한 후, PBS(Phosphate-buffered saline) : LC3 단백질에 대한 항체(anti-LC3 antibody, Cell signaling사) 200:1 하여, 5000:1 (PBS:DAPI) 한 DAPI 함께 상에 24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그 후, 형광접합 2차 항체 Alexa Fluor 488(Alexa Fluor 488-conjugated goat anti-mouse IgG, Life Technology사, 미국) Alexa Fluor 594(Alexa Fluor 594-conjugated goat anti-rabbit IgG)로 상온에 1시간 동안 추가 염색 후, 세포를 공초점 현미경(confocal laser-scanning microscope, LSM 700, Carl Zeiss, 독일)으로 관찰하였다. 활성화된 LC3-II 증가를 보기 위하여, LC3항체를 활용하여 웨스턴 블랏팅 방법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글루코오스에 비해 셀로비오스를 처리한 군에서 자가포식 활성화로 인한 자식포의 증가가 현광현미경상에서 관측되었고, LC3-II 단백질량이 증가하는 것 또한 관측되었다.

Claims (6)

  1.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로비오스는 자식포(autophagosome) 형성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피부 질환은 아토피 또는 건선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의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의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90122149A 2019-10-02 2019-10-02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KR20210039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149A KR20210039657A (ko) 2019-10-02 2019-10-02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149A KR20210039657A (ko) 2019-10-02 2019-10-02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657A true KR20210039657A (ko) 2021-04-12

Family

ID=7543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149A KR20210039657A (ko) 2019-10-02 2019-10-02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96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05775A (zh) * 2022-03-31 2022-07-05 广东省结核病控制中心 一种肺结核评价的血清代谢标志物及其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05775A (zh) * 2022-03-31 2022-07-05 广东省结核病控制中心 一种肺结核评价的血清代谢标志物及其应用
CN114705775B (zh) * 2022-03-31 2023-09-12 广东省结核病控制中心 一种肺结核评价的血清代谢标志物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270B1 (ko) 피부 재생, 주름 개선,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60128964A (ko) 마카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0773856B1 (ko)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CN111053716A (zh) 一种茯茶提取物在制备皮肤调节产品中的用途
KR102302304B1 (ko) 2-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KR20200138870A (ko) 찹쌀떡버섯으로 발효한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40675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20131065A (ko)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10039657A (ko) 셀로비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WO2010150612A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20150050995A (ko) 아마란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68626B1 (ko) 홍화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10097239A (ko) 기능성 펩타이드, 아미노산, 캘러스 추출물 및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KR10238612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20014372A (ko) 엘라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1273027B1 (ko)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및항비만용 조성물
KR101551106B1 (ko) 참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47461B1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83896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244585B1 (ko)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1598A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4185610A1 (ko) 밀기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조성물
KR20190132705A (ko) 철갑상어 알 및 철갑상어 양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을 위한 조성물
KR20170025363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90130543A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