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423A -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및 회전 전기 기기 - Google Patents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및 회전 전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423A
KR20210039423A KR1020217006081A KR20217006081A KR20210039423A KR 20210039423 A KR20210039423 A KR 20210039423A KR 1020217006081 A KR1020217006081 A KR 1020217006081A KR 20217006081 A KR20217006081 A KR 20217006081A KR 20210039423 A KR20210039423 A KR 20210039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stator core
mixture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쯔야 히라따
겐조 이와끼
가즈오 니시하마
아쯔시 아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산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산키시스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산키시스템
Publication of KR2021003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mounting into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2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8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in slots
    • H02K3/487Slot-closing devices
    • H02K3/493Slot-closing devices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자성 쐐기의 내주면을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에 대하여 동일한 원통 측면이 되도록 용이하게 고르게 하여, 회전 전기 기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및 회전 전기 기기를 제공한다.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3)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자성 분말(15) 및 미경화 상태 또는 반경화 상태의 수지(16)를 포함하는 혼합물(17)을, 스테이터 코어(7)의 슬롯(8)의 개구부(11)에 충전하는 제1 수순과,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된 유연성을 갖는 시트(18)를 사용하여, 혼합물(17)의 내주면을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에 대하여 동일한 원통 측면이 되도록 고르게 하는 제2 수순과, 혼합물(17)의 내주면이 고르게 된 상태에서, 수지(16)를 경화하여 자성 쐐기(14)를 성형하는 제3 수순을 갖는다.

Description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및 회전 전기 기기
본 발명은,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및 회전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회전 전기 기기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외주측에 고정된 로터와, 로터의 외주측에 이격하여 배치된 스테이터를 구비한다.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측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에 삽입된 코일을 구비한다. 각 슬롯은, 크게 구별하여, 코일을 수납하는 저장부와,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에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는다. 종래, 각 슬롯의 개구부에, 자성 분말 및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자성 쐐기를 마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 및 자성 쐐기의 내주면을 따라서 고주파 자속이 흐르므로, 스테이터측으로부터 로터측으로 고주파 자속이 누설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회전 전기 기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상술한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이 제조 방법에서는, 스테이터 코어의 내경 치수보다 약간 작은 외경 치수를 갖는 주입 실린더를 사용하여, 자성 분말 및 반경화 상태의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복수의 슬롯의 개구부에 충전한다. 그 후, 수지를 경화하여 자성 쐐기를 성형한다.
일본 특허 공개 소61-026453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1의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스테이터 코어의 내경 치수와 주입 실린더의 외경 치수의 차분이 있기 때문에, 자성 쐐기의 내주면은,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에 대하여 동일 원주면으로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측으로부터 로터측으로 고주파 자속이 누설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의 내경 치수에 따라서 주입 실린더의 외경 치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항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자성 쐐기의 내주면을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에 대하여 동일한 원통 측면이 되도록 용이하게 고르게 하여, 회전 전기 기기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구성을 적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복수 포함하고 있지만, 그 일례를 들면,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측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에 삽입된 코일과,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에 개구되는 상기 복수의 슬롯의 개구부에 각각 마련되며, 자성 분말 및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수의 자성 쐐기를 구비한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분말 및 미경화 상태 또는 반경화 상태의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혼합물을, 상기 복수의 슬롯의 개구부에 충전하는 제1 수순과,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된 유연성을 갖는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슬롯의 개구부에 충전되어 상기 자성 분말 및 미경화 상태 또는 반경화 상태의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혼합물의 내주면을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에 대하여 동일한 원통 측면이 되도록 고르게 하는 제2 수순과, 상기 혼합물의 내주면이 고르게 된 상태에서, 상기 수지를 경화하여 상기 자성 쐐기를 성형하는 제3 수순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성 쐐기의 내주면을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에 대하여 동일한 원통 측면이 되도록 용이하게 고르게 하여, 회전 전기 기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직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의 수순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슬롯에 절연재 및 코일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된 시트를 도시하는 직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트의 감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트를 사용하여 스테이터 코어의 슬롯에 충전된 혼합물의 내주면이 고르게 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시트를 사용하여 스테이터 코어의 슬롯에 충전된 혼합물의 내주면이 고르게 된 상태 또한 자성 분말이 혼합물의 내주면측으로 끌어당겨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된 시트를 도시하는 직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된 시트를 도시하는 직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된 시트를 도시하는 직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된 시트를 도시하는 직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시트의 감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변형예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의 수순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 일방측 및 타방측에 배치된 지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 기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직경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는, 바구니형 유도 전동기이며, 회전축(1)과, 회전축(1)의 외주측에 고정된 로터(2)와, 로터(2)의 외주측에 이격하여 배치된 스테이터(3)를 구비한다.
로터(2)는, 로터 코어(4)와, 로터 코어(4)의 외주측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5)에 각각 삽입되어, 로터 코어(4)의 축 방향(도 1 중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도체 바(6)와, 로터 코어(4)의 축 방향 일방측에 배치되어 복수의 도체 바(6)의 일방측 단부를 연결하는 엔드 링(도시하지 않음)과, 로터 코어(4)의 축 방향 타방측에 배치되어 복수의 도체 바(6)의 타방측 단부를 연결하는 엔드 링(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로터 코어(4)는,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 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3)는, 스테이터 코어(7)와,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측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8)에 삽입된 코일(9)을 구비한다. 스테이터 코어(7)는, 축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자 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9)은, 슬롯(8)에 삽입된 부분과, 슬롯(8)으로부터 스테이터 코어(7)의 축 방향 일방측 및 타방측으로 돌출된 부분(후술하는 도 15 참조)을 갖는다. 그리고, 코일(9)에 전력이 공급되면, 스테이터(3)가 회전 자계를 발생시켜, 로터(2) 및 회전축(1)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각 슬롯(8)은, 크게 구별하여, 코일(9)을 수납하는 저장부(10)와,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에 개구되는 개구부(11)를 갖는다. 각 슬롯(8)은, 세미오픈형이며, 스테이터 코어(7)의 둘레 방향(도 2 중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부(11)의 폭 치수가 저장부(10)의 폭 치수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슬롯(8)의 저장부(10)의 내벽에는 절연재(12A)(슬롯 라이너)가 마련되고, 이 절연재(12A)와 함께 절연재(12B)(슬라이스(slice))가 코일(9)을 덮도록 되어 있다.
스테이터 코어(7)의 복수의 슬롯(8)의 사이에는 복수의 티스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슬롯(8)의 개구부(11)에 후술하는 자성 쐐기(14)가 마련되지 않으면, 슬롯(8)의 개구부(11)에 존재하는 공기와 티스부(13)의 투자율의 차이로부터, 자속 밀도의 변동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3)측으로부터 로터(2)측으로 고주파 자속이 누설되어, 손실이 된다. 그래서, 이와 같은 손실을 억제하여 회전 전기 기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각 슬롯(8)의 개구부(11)에는 자성 쐐기(14)가 마련되어 있다. 자성 쐐기(14)는, 자성 분말(15)(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철분) 및 수지(16)를 포함하는 혼합물(17)을 포함하고, 자성 분말(15)의 체적률이 예를 들어 60%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성 쐐기(14)는, 각 슬롯(8)의 개구부(11) 및 저장부(10)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자성 쐐기(14)는, 개구부(11)의 내벽, 저장부(10)의 내벽, 및 절연재(12A, 12B)에 접촉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터(2)의 자기 흡인력이 작용해도, 자성 쐐기(14)가 스테이터 코어(7)의 슬롯(8)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의 수순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1에서, 스테이터 코어(7)의 각 슬롯(8)에 절연재(12A), 코일(9), 및 절연재(12B)를 그 순서로 삽입하고, 그것들을 바니시 등으로 고정한다(도 4 참조).
그 후, 스텝 S2에서, 유연성 및 내수성을 갖는 수지제의 시트(18)를,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의 전체를 따라서 배치한다(도 5 참조). 시트(18)는, 사각 형상이며, 원통상으로 감은 상태(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2개의 변이 접촉함과 함께, 제1 코너와 제2 코너가 접촉하고, 또한 제3 코너와 제4 코너가 접촉하도록 감은 상태)로 배치된다.
그 후, 스텝 S3에서, 자성 분말(15) 및 미경화 상태 또는 반경화 상태의 수지(16)를 포함하는 혼합물(17)을, 스테이터 코어(7)의 축 방향 일방측으로부터 각 슬롯(8)의 개구부(11) 및 저장부(10)의 일부에 충전한다. 이때, 각 슬롯(8)으로부터 스테이터 코어(7)의 축 방향 타방측으로 혼합물(17)이 비어져 나오면, 이 비어져 나온 혼합물(17)을 제거한다.
그 후, 스텝 S4에서, 시트(18)를 사용하여(상세하게는,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시트(18)에 힘을 가하여), 각 슬롯(8)에 충전된 혼합물(17)의 내주면을,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에 대하여 동일한 원통 측면이 되도록 고르게 한다(도 7 참조). 이때, 각 슬롯(8)으로부터 스테이터 코어(7)의 축 방향 일방측 또는 타방측으로 혼합물(17)이 비어져 나오면, 이 비어져 나온 혼합물(17)을 제거한다.
그 후, 스텝 S5에서, 수지(16)를 가열에 의해 경화하여 자성 쐐기(14)를 성형한다. 또한, 시트(18)가 내열성을 갖는 것이 아니면, 수지(16)의 경화 전에 시트(18)를 분리한다. 한편, 시트(18)가 내열성을 갖는 것이면, 수지(16)의 경화 후에 시트(18)를 분리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자성 쐐기(14)의 내주면을,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에 대하여 동일한 원통 측면이 되도록 고르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3)측으로부터 로터(2)측으로 고주파 자속이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여, 회전 전기 기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을 갖는 시트(18)를 사용함으로써, 자성 쐐기(14)의 내주면을 용이하게 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7)의 내경 치수가 변화되어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지(16)가 가열 경화형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지(16)가 열 용융형(즉, 냉각에 의해 경화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자성 쐐기(14)가 슬롯(8)의 개구부(11) 및 저장부(10)의 일부에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성 쐐기(14)가 슬롯(8)의 개구부(11)에만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슬롯(8)이 세미오픈형이며, 개구부(11)의 폭 치수가 저장부(10)의 폭 치수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슬롯(8)이 오픈형이며, 개구부(11)의 폭 치수가 저장부(10)의 폭 치수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각 슬롯(8)의 개구부(11)에 혼합물(17)을 충전하기 전에,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 (바꿔 말하면, 티스부(13)의 내주면)에 이형제를 도포해도 된다. 그 후, 점착제를 사용하여,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에 수지제의 시트(18)를 첩부해도 된다. 이 경우, 시트(18)를 분리함으로써,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에 부착된 혼합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지제의 시트(18)를 사용하여, 복수의 슬롯(8)의 개구부(11)에 충전된 혼합물(17)의 내주면을 고르게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도시한 제1 변형예와 같이, 유연성을 갖는 마그네트 시트(18A)를 사용하여, 복수의 슬롯(8)의 개구부(11)에 충전된 혼합물(17)의 내주면을 고르게 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점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에 마그네트 시트(18A)를 첩부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 시트(18A)의 자력에 의해, 자성 분말(15)을 혼합물(17)의 내주면측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17)의 내주면이 고르게 되고 또한 자성 분말(15)이 혼합물(17)의 내주면측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수지(16)를 경화하여 자성 쐐기(14)를 성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성 쐐기(14)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투자율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3)측으로부터 로터(2)측으로 고주파 자속이 누설되는 것을 더욱 억제하여, 회전 전기 기기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수지제의 시트(18)를 사용하지만, 상술한 제1 변형예와 마찬가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트(18)의 내측에 전자석 등을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의 전체를 따라서 시트(18)를 배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적어도 1개의 슬롯(8)을 덮도록, 즉, 적어도 2개의 티스부(13)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시트(18 또는 18A)를 배치할 수 있으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9에서 도시한 제2 변형예와 같이, 2개의 슬롯(8)을 덮도록, 즉, 3개의 티스부(13)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시트(18 또는 18A)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에서 도시한 제3 변형예와 같이,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의 4분의 1을 따르도록 시트(18 또는 18A)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1에서 도시한 제4 변형예와 같이,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의 절반을 따르도록 시트(18 또는 18A)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2에서 도시한 제5 변형예와 같이,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의 4분의 3을 따르도록 시트(18 또는 18A)를 배치해도 된다. 그리고, 시트(18 또는 18A)를 이동시키면서, 각 슬롯(8)의 개구부(11)에 충전된 혼합물(17)의 내주면을 고르게 하면 된다. 이들 변형예에서는, 스테이터 코어(7)의 내경 치수가 변화되어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사각 형상의 시트(18)의 감는 방법으로서, 대향하는 2개의 변이 접촉함과 함께, 제1 코너와 제2 코너가 접촉하고, 또한 제3 코너와 제4 코너가 접촉하도록 감은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 도시한 제6 변형예와 같이, 대향하는 2개의 변이 접촉하지만, 제1 코너와 제2 코너가 접촉하지 않고, 또한 제3 코너와 제4 코너가 접촉하지 않도록, 시트(18 또는 18A)를 비스듬히 감아도 된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7)의 내경 치수가 변화되어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을 따라서 시트(18)를 배치한 후, 스테이터 코어(7)의 축 방향 일방측으로부터 각 슬롯(8)에 혼합물(17)을 충전하고, 각 슬롯(8)으로부터 스테이터 코어(7)의 축 방향 타방측으로 비어져 나온 혼합물(17)을 제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 및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변형예를 도 14 및 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의 수순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1에서, 스테이터 코어(7)의 각 슬롯(8)에 절연재(12A), 코일(9), 및 절연재(12B)를 그 순서로 삽입하고, 그것들을 바니시 등으로 고정한다. 그 후, 스텝 S6에서, 스테이터 코어(7)의 축 방향 일방측 및 타방측에 예를 들어 원통형 지그(19)를 배치하고, 이들 지그(19)로 슬롯(8)을 덮는다(도 15 참조).
그 후, 스텝 S3에서, 자성 분말(15) 및 미경화 상태 또는 반경화 상태의 수지(16)를 포함하는 혼합물(17)을,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측으로부터 각 슬롯(8)에 충전한다. 이때, 각 슬롯(8)으로부터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측으로 혼합물(17)이 비어져 나오면, 비어져 나온 혼합물(17)을 제거한다.
그 후, 스텝 S2에서,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을 따라서 시트(18 또는 18A)를 배치한다. 그 후, 스텝 S4에서, 시트(18 또는 18A)를 사용하여, 각 슬롯(8)에 충전된 혼합물(17)의 내주면을,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에 대하여 동일한 원통 측면이 되도록 고르게 한다. 그 후, 수지(16)를 가열에 의해 경화하여 자성 쐐기(14)를 성형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자성 쐐기(14)의 내주면을, 스테이터 코어(7)의 내주면에 대하여 동일한 원통 측면이 되도록 고르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테이터(3)측으로부터 로터(2)측으로 고주파 자속이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여, 회전 전기 기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을 갖는 시트(18 또는 18A)를 사용함으로써, 자성 쐐기(14)의 내주면을 용이하게 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7)의 내경 치수가 변화되어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의 회전 전기 기기로서, 바구니형 유도 전동기(상세하게는, 도체 바(6) 및 엔드 링을 갖는 로터(2)를 구비한 것)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영구 자석 동기 전동기(상세하게는, 영구 자석을 갖는 로터를 구비한 것)에 적용해도 되고, 혹은, 발전기에 적용해도 된다.
1: 회전축
2: 로터
3: 스테이터
7: 스테이터 코어
8: 슬롯
9: 코일
10: 저장부
11: 개구부
14: 자성 쐐기
15: 자성 분말
16: 수지
17: 혼합물
18: 시트
18A: 마그네트 시트

Claims (6)

  1.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측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에 삽입된 코일과,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에 개구되는 상기 복수의 슬롯의 개구부에 각각 마련되며, 자성 분말 및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수의 자성 쐐기를 구비한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성 분말 및 미경화 상태 또는 반경화 상태의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혼합물을, 상기 복수의 슬롯의 개구부에 충전하는 제1 수순과,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된 유연성을 갖는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슬롯의 개구부에 충전되어 상기 자성 분말 및 미경화 상태 또는 반경화 상태의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혼합물의 내주면을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에 대하여 동일한 원통 측면이 되도록 고르게 하는 제2 수순과,
    상기 혼합물의 내주면이 고르게 된 상태에서, 상기 수지를 경화하여 상기 자성 쐐기를 성형하는 제3 수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순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된 유연성을 갖는 마그네트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슬롯의 개구부에 충전되어 상기 자성 분말 및 미경화 상태 또는 반경화 상태의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혼합물의 내주면을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에 대하여 동일한 원통 측면이 되도록 고르게 함과 함께 상기 자성 분말을 상기 혼합물의 내주면측으로 끌어당기고 있고,
    상기 제3 수순은, 상기 혼합물의 내주면이 고르게 되고 또한 상기 자성 분말이 상기 혼합물의 내주면측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수지를 경화하여 상기 자성 쐐기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따라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에 첩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5.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측에 고정된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주측에 이격하여 배치된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측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에 삽입된 코일과,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에 개구되는 상기 복수의 슬롯의 개구부에 각각 마련되며, 자성 분말 및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수의 자성 쐐기를 구비한 회전 전기 기기에 있어서,
    상기 자성 쐐기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된 유연성을 갖는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슬롯의 개구부에 충전되어 상기 자성 분말 및 미경화 상태 또는 반경화 상태의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혼합물의 내주면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에 대하여 동일한 원통 측면이 되도록 고르게 된 상태에서, 상기 수지가 경화되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쐐기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된 유연성을 갖는 마그네트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슬롯의 개구부에 충전되어 상기 자성 분말 및 미경화 상태 또는 반경화 상태의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혼합물의 내주면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에 대하여 동일한 원통 측면이 되도록 고르게 되고 또한 상기 자성 분말이 상기 혼합물의 내주면측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수지가 경화되어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기.
KR1020217006081A 2018-12-13 2019-05-24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및 회전 전기 기기 KR202100394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33745 2018-12-13
JP2018233745A JP7057745B6 (ja) 2018-12-13 2018-12-13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回転電機
PCT/JP2019/020620 WO2020121555A1 (ja) 2018-12-13 2019-05-24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回転電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423A true KR20210039423A (ko) 2021-04-09

Family

ID=7107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081A KR20210039423A (ko) 2018-12-13 2019-05-24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및 회전 전기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57745B6 (ko)
KR (1) KR20210039423A (ko)
CN (1) CN112840540A (ko)
TW (1) TWI739145B (ko)
WO (1) WO2020121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68051A (ja) * 2020-10-21 2022-05-09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453A (ja) 1984-07-13 1986-02-05 Toshiba Corp 磁性楔の成形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3538A (ja) * 1986-08-06 1988-02-24 Matsushita Seiko Co Ltd モ−タの固定子
JP3058996B2 (ja) * 1992-08-20 2000-07-04 株式会社東芝 回転電機用固定子の製造方法
JPH06253509A (ja) * 1993-02-25 1994-09-09 Toshiba Corp 回転電機の絶縁処理方法
JP2004104986A (ja) * 2002-07-16 2004-04-02 Japan Servo Co Ltd 永久磁石形回転電機
JP6129966B2 (ja) * 2013-07-01 2017-05-17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回転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6253509B2 (ja) 2014-05-21 2017-12-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制御装置、顕微鏡システム
EP3484022A4 (en) 2016-07-08 2020-01-15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TATING ELECTRIC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453A (ja) 1984-07-13 1986-02-05 Toshiba Corp 磁性楔の成形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57745B2 (ja) 2022-04-20
TW202023148A (zh) 2020-06-16
JP7057745B6 (ja) 2022-05-16
TWI739145B (zh) 2021-09-11
CN112840540A (zh) 2021-05-25
JP2020096468A (ja) 2020-06-18
WO2020121555A1 (ja)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6414B2 (en) Motor and method of molding resin casing
US20140015349A1 (en) Interlocking coil isolators for resin retention in a segmented stator assembly
JP5267091B2 (ja) 回転電機用ステータ
JP6661939B2 (ja) ロータ
JP6179396B2 (ja) 回転電機のロ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ロータ
KR20120004969A (ko) 전기 기계
KR20210039423A (ko) 회전 전기 기기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및 회전 전기 기기
JP2009284626A (ja) 回転機器のステータ及びモータ
US20200076251A1 (en) Stator assembly with heat recovery for electric machines
JP2013009542A (ja) 磁石モータを用いたドラム式洗濯機
JP6424615B2 (ja) ロ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備えた回転電気機械
JP2017192221A (ja) 回転子、回転電機、および、回転子の製造方法
JP6627520B2 (ja) ロータの製造方法、及びロータ
JP2007074844A (ja) ステータコア、モータ
JP2018143049A (ja) モ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モータ
JP2012105543A (ja) 電動機の固定子
JP2018143048A (ja) 樹脂ケーシングの成型方法およびモータ
JP7149497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の製造方法
KR101348636B1 (ko) 원주방향 다상 분포를 가지는 횡자속 전기기기의 고정자
JP7038527B2 (ja) 回転電機用磁性くさび、回転電機用磁性くさび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
JP2017079575A (ja) ロータの製造方法
WO2017212867A1 (ja) 回転電機
JP2020096468A5 (ko)
JP5311877B2 (ja) ステータのコイル及び回転機器のステータコア
JP2015159648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