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186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186A
KR20210038186A KR1020190121004A KR20190121004A KR20210038186A KR 20210038186 A KR20210038186 A KR 20210038186A KR 1020190121004 A KR1020190121004 A KR 1020190121004A KR 20190121004 A KR20190121004 A KR 20190121004A KR 20210038186 A KR20210038186 A KR 20210038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ata
optical axis
camera module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074B1 (ko
Inventor
김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1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074B1/ko
Priority to US16/736,031 priority patent/US11531210B2/en
Priority to CN202010235916.0A priority patent/CN112584007B/zh
Priority to CN202310262561.8A priority patent/CN116320683A/zh
Publication of KR2021003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18Motion-picture cameras
    • G03B19/22Double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257
    • H04N5/23258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5Blur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흔들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이로 센서; 상기 흔들림 데이터에 따라, 제1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드라이버 IC; 및 상기 흔들림 데이터에 따라 제2 렌즈 배럴을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드라이버 IC;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라이버 IC는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흔들림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상기 흔들림 데이터는 상기 제2 드라이버 IC로 전달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 통신단말기는 최근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화상 데이터 전송이나 화상 채팅 등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최근에 휴대 통신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과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은 고정된 초점에 의해 사물을 촬영하는 단초점 방식의 카메라 모듈을 채용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기술 개발에 따라 자동초점(AF: Autofocus) 조정이 가능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은 흔들림에 따른 해상도 저하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흔들림 보정기능(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을 위한 액츄에이터를 채용한다.
최근 고성능의 카메라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렌즈 배럴을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이 전자기기에 탑재되고 있다. 복수의 렌즈 배럴 각각의 자동 초점 기능의 향상 및 해상도 저하 현상의 경감을 위하여는 복수의 렌즈 배럴 각각에 서로 다른 액츄에이터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서로 다른 액츄에이터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는, 서로 다른 액츄에이터 각각에 흔들림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로 다른 자이로 센서 및 서로 다른 액츄에이터 각각에 펌웨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로 다른 메모리가 구비될 필요가 있으나, 카메라 모듈이 다수의 자이로 센서 및 다수의 메모리를 구비하는 경우,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77216호
본 발명의 과제는 서로 다른 드라이버 IC가 흔들림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이로 센서 및 펌웨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공유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흔들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이로 센서; 상기 흔들림 데이터에 따라, 제1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드라이버 IC; 및 상기 흔들림 데이터에 따라 제2 렌즈 배럴을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드라이버 IC;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라이버 IC는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흔들림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상기 흔들림 데이터는 상기 제2 드라이버 IC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드라이버 IC가 흔들림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이로 센서 및 펌웨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공유하여, 카메라 모듈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데이터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1 드라이버 IC, 제2 드라이버 IC, 및 자이로 센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드라이버 IC의 슬레이브 포트의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웨어 데이터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1 드라이버 IC 및 제2 드라이버 IC의 블록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웨어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1 드라이버 IC, 제2 드라이버 IC, 및 외부 메모리의 블록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드라이버 IC의 제2 펌웨어 데이터의 독출 및 기입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예로,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제1 렌즈 배럴(100a), 제1 렌즈 배럴(100a)을 수용하는 제1 하우징(200a), 및 제1 하우징(200a)과 결합되는 제1 케이스(300a)를 포함하는 제1 카메라 모듈(10a) 및 제2 렌즈 배럴(100b), 제2 렌즈 배럴(100b)을 수용하는 제2 하우징(200b), 및 제2 하우징(200b)과 결합되는 제2 케이스(300b)를 포함하는 제2 카메라 모듈(10b)을 포함한다.
제1 카메라 모듈(10a) 및 제2 카메라 모듈(10b)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a) 및 제2 카메라 모듈(10b)의 구성은 유사하므로, 제1 카메라 모듈(10a)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렌즈 배럴(100a)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는 광축 방향을 따라 제1 렌즈 배럴(100a)에 장착된다. 복수의 렌즈는 제1 렌즈 배럴(100a)의 설계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배치되고, 각각의 렌즈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제1 카메라 모듈(10a)은 제1 렌즈 배럴(100a)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제1 하우징(200a)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미지 센서는 제1 렌즈 배럴(100a)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며, 와이어 본딩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이미지 센서의 상부에는 적외선 필터가 마련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제1 렌즈 배럴(100a)을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한다.
제1 카메라 모듈(10a)은 제1 렌즈 배럴(100a)을 광축 방향 및 광축 방향에 수직한 두 개의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1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제1 액츄에이터는 초점을 조정하는 AF 액츄에이터 및 흔들림을 보정하는 OIS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일 예로, AF 액츄에이터는 제1 렌즈 배럴(100a)을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점을 조정할 수 있고, OIS 액츄에이터는 제1 렌즈 배럴(100a)을 광축 방향에 수직한 두 개의 방향(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촬영시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00a)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하우징(200a)의 내부 공간에 제1 렌즈 배럴(100a)과 제1 액츄에이터가 수용될 수 있다. 제1 케이스(300a)는 제1 하우징(200a)의 상부를 감싸도록 제1 하우징(200a)과 결합하며, 제1 카메라 모듈(10a)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300a)는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전자기기 내의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300a)는 다른 전자부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카메라 모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제1 렌즈 배럴(100a)과 제1 렌즈 배럴(100a)을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1 액츄에이터(400a)를 포함하는 제1 카메라 모듈(10a) 및 제2 렌즈 배럴(100b)과 제2 렌즈 배럴(100b)을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2 액츄에이터(400b)를 포함하는 제2 카메라 모듈(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400a)는 제1 드라이버 IC(401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액츄에이터(400b)는 제2 드라이버 IC(40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블록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동 방식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400)는 도 2에 도시된 제1 액츄에이터(400a) 및 제2 액츄에이터(400b) 중 하나에 대응된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400)는 AF 액츄에이터(410) 및 OIS 액츄에이터(420)를 포함한다.
AF 액츄에이터(410)는 AF 드라이버 IC(411), AF 코일(412), AF 마그네트(413), 및 AF 위치 센서(414)를 포함하고, OIS 액츄에이터(420)는 OIS 드라이버 IC(421), OIS 코일(422), 및 OIS 마그네트(423), 및 OIS 위치 센서(424)를 포함한다.
드라이버 IC(401)는 AF 액츄에이터(410)의 AF 드라이버 IC(411) 및 OIS 액츄에이터(420)의 OIS 드라이버 IC(421)를 포함할 수 있고, 드라이버 IC(401)는 도 2에 도시된 제1 드라이버 IC(401a), 및 제2 액츄에이터(400b)에 대응된다.
AF 드라이버 IC(411)는 입력 신호(Sin) 및 피드백 신호(Sf)에 따라 구동 신호(Sdr)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Sdr)를 AF 코일(412)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 신호(Sin)는 카메라 모듈을 채용하는 전자 기기 내부에 배치되어, 전자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AF 드라이버 IC(411)로 제공되는 입력 신호(Sin)는 렌즈 배럴의 광축 방향의 목표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신호(Sf)는 렌즈 배럴의 광축 방향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AF 위치 센서(414)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AF 위치 센서(414)는 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AF 위치 센서(414)는 AF 마그네트(413)의 현재 위치를 통해, 렌즈 배럴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AF 드라이버 IC(411)는 입력 신호(Sin)와 피드백 신호(Sf)를 비교하는 클로즈 루프(Close Loop) 타입으로 구동될 수 있다. 클로즈 루프 타입의 AF 드라이버 IC(411)는 입력 신호(Sin)에 포함되는 목표 위치와 피드백 신호(Sf)에서 검출되는 현재 위치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클로즈 루프 방식의 구동은 오픈 루프(Open Loop System) 방식과 비교하여, 선형성(Linearity), 정확도(Accuracy), 및 반복성(Repeatability)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F 드라이버 IC(411)는 양 방향 구동이 가능한 H 브리지(Bridge) 회로를 내부에 구비하여 보이스 구동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방식으로 AF 코일(412)에 구동 신호(Sdr)를 제공할 수 있다. 구동 신호(Sdr)는 전류 또는 전압 형태로 AF 코일(412)에 제공될 수 있다.
AF 코일(412)에 구동 신호(Sdr)가 인가되면, AF 마그네트(413)와 AF 코일(412)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렌즈 배럴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AF 마그네트(413)는 렌즈 배럴의 일 측에 장착되고, AF 코일(412)은 하우징에 장착되어, AF 마그네트(413)와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AF 마그네트(413)와 AF 코일(412)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OIS 드라이버 IC(421)는 입력 신호(Sin), 자이로 신호(Sgy), 및 피드백 신호(Sf)에 따라 구동 신호(Sdr)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Sdr)를 OIS 코일(422)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 신호(Sin)는 카메라 모듈을 채용하는 전자 기기 내부에 배치되어, 전자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OIS 드라이버 IC(412)로 제공되는 입력 신호(Sin)는 렌즈 배럴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의 목표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신호(Sgy)는 카메라 모듈에 배치되어, 카메라 모듈 또는 전자 기기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자이로 신호(Sgy)는 흔들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흔들림 데이터는 카메라 모듈 또는 전자 기기의 흔들림으로부터 검출되는 가속도 데이터 및 각속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신호(Sf)는 렌즈 배럴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OIS 위치 센서(424)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OIS 위치 센서(424)는 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OIS 위치 센서(424)는 OIS 마그네트(423)의 현재 위치를 통해, 렌즈 배럴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OIS 드라이버 IC(421)는 입력 신호(Sin), 자이로 신호(Sgy), 및 피드백 신호(Sf)를 비교하는 클로즈 루프(Close Loop) 타입으로 구동될 수 있다. 클로즈 루프 타입의 AF 드라이버 IC(411)는 입력 신호(Sin)에 포함되는 목표 위치, 자이로 신호(Sgy)에 포함되는 흔들림 정보, 및 피드백 신호(Sf)에서 검출되는 현재 위치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클로즈 루프 방식의 구동은 오픈 루프(Open Loop System) 방식과 비교하여, 선형성(Linearity), 정확도(Accuracy), 및 반복성(Repeatability)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OIS 드라이버 IC(421)는 양 방향 구동이 가능한 H 브리지(Bridge) 회로를 내부에 구비하여 보이스 구동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방식으로 OIS 코일(422)에 구동 신호(Sdr)를 제공할 수 있다. 구동 신호(Sdr)는 전류 또는 전압 형태로 OIS 코일(422)에 제공될 수 있다.
OIS 코일(422)에 구동 신호(Sdr)가 인가되면, OIS 마그네트(423)와 OIS 코일(422)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렌즈 배럴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OIS 마그네트(423)는 두 개 마련되어, 하나의 OIS 마그네트는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에서, 렌즈 배럴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OIS 마그네트는 광축에 수직한 제2 방향에서, 렌즈 배럴에 장착된다. 또한, OIS 코일(422)은 두 개 마련되어, 두 개의 OIS 코일 각각은 두 개의 OIS 마그네트 각각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OIS 마그네트(423)와 OIS 코일(422)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의 제1 액츄에이터(400a) 및 제2 액츄에이터(400b)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하여는, 제1 드라이버 IC(401a) 및 제2 드라이버 IC(401b) 각각의 펌웨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두 개의 메모리가 필요하고, 제1 드라이버 IC(401a) 및 제2 드라이버 IC(401b) 각각에 흔들림 데이터를 제공하는 두 개의 자이로 센서가 필요하다.
다만, 카메라 모듈 또는 전자기기의 제조 비용를 감소시키고, 사이즈를 줄이기 위하여, 펌웨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수 및 흔들림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이로 센서의 수는 제한될 필요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데이터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1 드라이버 IC, 제2 드라이버 IC, 및 자이로 센서의 블록도이다.
제1 드라이버 IC(401a) 및 제2 드라이버 IC(401b) 각각은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제1 드라이버 IC(401a) 및 제2 드라이버 IC(401b)의 동작은 제1 드라이버 IC(401a) 및 제2 드라이버 IC(401b) 각각에 구비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드라이버 IC(401a)는 자이로 센서(20)와 연결되고, 제1 드라이버 IC(401a)는 제2 드라이버 IC(401b)와 연결된다. 자이로 센서(20)는 카메라 모듈의 일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자이로 센서(20)에서 생성되는 흔들림 데이터는 제1 드라이버 IC(401a)로 전달되고, 제2 드라이버 IC(401b)는 제1 드라이버 IC(401a)를 통해, 자이로 센서(20)에서 생성되는 흔들림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1 드라이버 IC(401a) 및 제2 드라이버 IC(401b) 각각은 흔들림 데이터를 이용하여, 흔들림 보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0)와 제1 드라이버 IC(401a)는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자이로 센서(20)와 제1 드라이버 IC(401a)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Bus)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SP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0)와 제1 드라이버 IC(401a)의 흔들림 데이터의 통신에서, 제1 드라이버 IC(401a)는 SPI 통신의 마스터로 동작하고, 자이로 센서(20)는 SPI 통신의 슬레이브로 동작한다. 따라서, 제1 드라이버 IC(401a)에는 마스터 포트(M)가 배치되고, 자이로 센서(20)에는 슬레이브 포트(S)가 배치된다.
도 4에서, 마스터 포트(M)와 슬레이브 포트(S)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마스터 포트(M)와 슬레이브 포트(S)는 MISO(Master In Slave Out) 핀, MOSI(Master Out Slave In) 핀, SCLK(Serial Clock) 핀, SS(Slave Select) 핀을 포함할 수 있다.
SPI 통신에서, SPI 통신의 슬레이브의 특정 데이터가, SPI 통신의 마스터로 전달되는 동작은, SPI 통신의 마스터가 SPI 통신의 슬레이브에서 특정 데이터를 독출(read)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 IC(401a)와 제2 드라이버 IC(401b)는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드라이버 IC(401a)와 제2 드라이버 IC(401b)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Bus)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SP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 IC(401a)와 제2 드라이버 IC(401b)의 흔들림 데이터의 통신에서, 제2 드라이버 IC(401b)는 SPI 통신의 마스터로 동작하고, 제1 드라이버 IC(401a)는 SPI 통신의 슬레이브로 동작한다. 제2 드라이버 IC(401b) 는 마스터 포트(M)를 구비하고, 제1 드라이버 IC(401a)는 슬레이브 포트(S)를 구비한다.
제1 드라이버 IC(401a)는 자이로 센서(20)로부터 전달되는 흔들림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부(rg)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레지스터부(rg)는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저장하는 제1 레지스터(rg1) 및 가공 데이터(Modified Data)를 저장하는 제2 레지스터(rg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시 데이터(Raw Data)는 자이로 센서(20)로부터 전달되는 흔들림 데이터의 원본에 해당하고, 가공 데이터(Modified Data)는 제1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위하여, 제1 드라이버 IC(401a)에 의해 가공된 흔들림 데이터의 가공본에 해당할 수 있다.
레지스터(rg)에 저장된 원시 데이터(Raw Data) 및 가공 데이터(Modified Data) 중 하나는 제2 드라이버 IC(401b)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드라이버 IC의 슬레이브 포트의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드라이버 IC(401a)의 슬레이브 포트(S)의 프레임은 커맨드(Command), 데이터(Data), 및 상태(Status)를 포함할 수 있다.
커맨드(Command)는 독출/기입(Read/Write), 제어 주체(Control entity), 주소(Address) 정보를 포함하고, 데이터(Data)는 원시 데이터(Raw Data), 및 가공 데이터(Modified Data)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커맨드(Command)의 제어 주체(Control entity)에 따라, 제1 드라이버 IC(401a)에 구비되는 슬레이브 포트(S)에서, 제2 드라이버 IC(401b)에 구비되는 마스터 포트(M)로 전달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주체(Control entity)가 제1 드라이버 IC(401a)인 경우, 가공 데이터(Modified Data)가 제2 드라이버 IC(401b)로 전달될 수 있고, 제어 주체(Control entity)가 제2 드라이버 IC(401b)인 경우, 원시 데이터(Raw Data)가 제2 드라이버 IC(401b)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커맨드(Command)의 제어 주체(Control entity)는 전자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맨드(Command)의 제어 주체(Control entity) 정보에 따라, 제1 드라이버 IC(401a)에서 제2 드라이버 IC(401b)로 전달되는 흔들림 데이터가 결정되어, 전달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 IC(401a)는 레지스터부(rg)에 저장된 흔들림 데이터의 변경을 기록하는 상태 레지스터부(srg)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지스터부(rg)에 저장된 흔들림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상태 레지스터부(srg)의 상태값이 변경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 IC(401a)는 상태 레지스터부(srg)의 상태값이 변경되는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터럽트 신호를 제2 드라이버 IC(401b)로 제공할 수 있다.
인터럽트 신호는 MISO(Master In Slave Out) 핀을 통해 제1 드라이버 IC(401a)에서 제2 드라이버 IC(401b)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 IC(401b)는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1 드라이버 IC(401a)의 레지스터부(rg)로부터 흔들림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태 레지스터부(srg)는 제1 레지스터(rg1)에 저장된 원시 데이터(Raw Data)의 변경을 기록하는 제1 상태 레지스터(srg1) 및 제2 레지스터(rg2)에 저장된 가공 데이터(Modified Data)의 변경을 기록하는 제2 상태 레지스터(srg2)를 포함할 수 있다.
원시 데이터(Raw Data)가 변경되는 경우, 제1 상태 레지스터(srg1)의 상태값이 변경되고, 가공 데이터(Modified Data)가 변경되는 경우, 제2 상태 레지스터(srg2)의 상태값이 변경될 수 있다.
제1 레지스터(rg1)는 복수의 비트로 구성되고, 제1 상태 레지스터(srg1)는 제1 레지스터(rg1)의 복수의 비트에 대응되는 복수의 비트로 구성된다. 또한, 제2 레지스터(rg2)는 복수의 비트로 구성되고, 제2 상태 레지스터(srg2)는 제2 레지스터(rg2)의 복수의 비트에 대응되는 복수의 비트로 구성된다.
제1 레지스터(rg1)의 복수의 비트 중 특정 비트의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제1 레지스터(rg1)의 특정 비트에 대응되는 제1 상태 레지스터(srg1)의 특정 비트의 상태값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레지스터(rg2)의 복수의 비트 중 특정 비트의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제2 레지스터(rg2)의 특정 비트에 대응되는 제2 상태 레지스터(srg2)의 특정 비트의 상태값이 변경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 IC(401a)는 제1 상태 레지스터(srg1)의 상태값 및 제2 상태 레지스터(srg2)의 상태값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터럽트 신호를 제2 드라이버 IC(401b)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럽트 신호는 MISO(Master In Slave Out) 핀을 통해 제1 드라이버 IC(401a)에서 제2 드라이버 IC(401b)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 IC(401b)는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1 드라이버 IC(401a)의 제1 레지스터(rg1) 및 제2 레지스터(rg2) 중 데이터가 변경된 레지스터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드라이버 IC(401b)는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1 드라이버 IC(401a)의 레지스터부(rg)로부터 흔들림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흔들림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식에 비하여, 시간 소비(time loss)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제2 드라이버 IC(401b)가 레지스터부(rg)로부터 흔들림 데이터를 독출한 경우, 상태 레지스터부(srg)의 상태값은 초기화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드라이버 IC(401b)가 레지스터부(rg)의 복수의 비트 중 임의의 비트로부터 흔들림 데이터를 독출하는 경우, 레지스터부(rg)의 임의의 비트에 대응하는 상태 레지스터부(srg)의 임의의 비트가 초기화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드라이버 IC(401b)가 상태값이 변경된 상태 레지스터부(srg)의 특정 비트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부(rg)의 특정 비트로부터 흔들림 데이터를 독출하는 경우, 상태 레지스터부(srg)의 전체 비트가 초기화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 드라이버 IC(401b)의 마스터 포트(M)의 프레임의 종단에서, 상태 레지스터부(srg)의 전체 비트가 초기화 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웨어 데이터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1 드라이버 IC 및 제2 드라이버 IC의 블록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제1 드라이버 IC(401a)는 통신 라인을 통해, 제2 드라이버 IC(401b)와 연결된다. 일 예로, 제1 드라이버 IC(401a)와 제2 드라이버 IC(401b)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Bus)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SP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 IC(401a)와 제2 드라이버 IC(401b)의 펌웨어 데이터의 통신에서, 제2 드라이버 IC(401b)는 SPI 통신의 마스터로 동작하고, 제1 드라이버 IC(401a)는 SPI 통신의 슬레이브로 동작한다. 제2 드라이버 IC(401b)에는 마스터 포트(M)가 배치되고, 제1 드라이버 IC(401a)에는 슬레이브 포트(S)가 배치된다.
제1 드라이버 IC(401a)는 펌웨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IM1)를 포함한다. 비휘발성 메모리(IM1)에 저장되는 펌웨어 데이터는 제1 드라이버 IC(401a)를 구동하는 제1 펌웨어 데이터 및 제2 드라이버 IC(401b)를 구동하는 제2 펌웨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펌웨어 데이터 및 제2 펌웨어 데이터 각각은 자동 초점 조정(AF) 및 광학식 흔들림 보정(OIS)을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드라이버 IC(401a)의 비휘발성 메모리(IM1)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 IC(401a)의 비휘발성 메모리(IM1)가 플래쉬 메모리로 구현되어, 제1 드라이버 IC(401a)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펌웨어 데이터는 유지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 IC(401b)는 휘발성 메모리(IM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 IC(401a)의 비휘발성 메모리(IM1)에 저장된 제2 펌웨어 데이터는 제2 드라이버 IC(401b)로 전달되어, 휘발성 메모리(IM2)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드라이버 IC(401b)는 제1 드라이버 IC(401a)의 비휘발성 메모리(IM1)에 저장된 제2 펌웨어 데이터를 독출하여, 휘발성 메모리(IM2)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드라이버 IC(401b)의 휘발성 메모리(IM2)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 IC(401b)의 휘발성 메모리(IM2)가 SRAM으로 구현되어, 메모리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휘발성 메모리(IM2)가 빠른 속도로 동작하여, 제2 펌웨어 데이터에 의해 제2 드라이버 IC(401b)가 신속히 구동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웨어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1 드라이버 IC, 제2 드라이버 IC, 및 외부 메모리의 블록도이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드라이버 IC(401a) 및 제2 드라이버 IC(401b)는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드라이버 IC(401a) 및 제2 드라이버 IC(401b)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 메모리(EM)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메모리(EM)는 카메라 모듈의 일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제1 드라이버 IC(401a)는 비휘발성 메모리(IM1)를 포함한다. 제1 드라이버 IC(401a)의 비휘발성 메모리(IM1)에는 제1 드라이버 IC(401a)를 구동하는 제1 펌웨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제2 드라이버 IC(401b)를 구동하는 제2 펌웨어 데이터는 제1 드라이버 IC(401a)의 비휘발성 메모리(IM1) 및 외부 메모리(EM) 중 하나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 IC(401b)는 제1 드라이버 IC(401a)의 비휘발성 메모리(IM1) 및 외부 메모리(EM) 중 어느 메모리에 제2 펌웨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하고, 판별된 메모리로부터 제2 펌웨어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 IC(401b)는 독출된 제2 펌웨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IM2)를 포함한다.
도 7를 참조하면, 제1 드라이버 IC(401a)와 제2 드라이버 IC(401b)는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드라이버 IC(401a)와 제2 드라이버 IC(401b)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Bus)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SP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드라이버 IC(401a)와 제2 드라이버 IC(401b)의 펌웨어 데이터의 통신에서, 제2 드라이버 IC(401b)는 SPI 통신의 마스터로 동작하고, 제1 드라이버 IC(401a)는 SPI 통신의 슬레이브로 동작한다. 제2 드라이버 IC(401b)는 마스터 포트(M)를 구비하고, 제1 드라이버 IC(401a)는 슬레이브 포트(S)를 구비한다.
제2 드라이버 IC(401b)와 외부 메모리(EM)는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드라이버 IC(401b)와 외부 메모리(EM)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Bus)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SP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 IC(401b)와 외부 메모리(EM)의 펌웨어 데이터의 통신에서, 제2 드라이버 IC(401b)는 SPI 통신의 마스터로 동작하고, 외부 메모리(EM)는 SPI 통신의 슬레이브로 동작한다. 제2 드라이버 IC(401b)는 마스터 포트(M)를 구비하고, 외부 메모리(EM)는 슬레이브 포트(S)를 구비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드라이버 IC의 제2 펌웨어 데이터의 독출 및 기입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제2 드라이버 IC(401b)는 제1 드라이버 IC(401a)의 비휘발성 메모리(IM1) 및 외부 메모리(EM)의 헤더 정보를 독출한다(S810).
제2 드라이버 IC(401b)는 제1 드라이버 IC(401a)의 비휘발성 메모리(IM1) 및 외부 메모리(EM)의 헤더 정보로부터 제2 펌웨이 데이터가 비휘발성 메모리(IM1) 및 외부 메모리(EM) 중 어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S820). 일 예로, 헤더 정보는 커맨드 코드(Command Code), 및 어드레스 사이즈(Address Size)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드라이버 IC(401b)는 비휘발성 메모리(IM1) 및 외부 메모리(EM) 중 제2 펌웨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에 대응하여, 마스터 포트(M)의 프레임의 구조를 변경한다(S830).
일 예로, 제2 드라이버 IC(401b)는 비휘발성 메모리(IM1) 및 외부 메모리(EM) 중 제2 펌웨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가 비휘발성 메모리(IM1)인 경우, 커맨드(command), 어드레스(Address), 유휴(IDLE), 데이터(Data)와 같은 형식으로, 마스터 포트(M)의 프레임 구조를 변경한다. 또한, 제2 드라이버 IC(401b)는 비휘발성 메모리(IM1) 및 외부 메모리(EM) 중 제2 펌웨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가 외부 메모리(EM)인 경우, 커맨드(command), 어드레스(Address), 데이터(Data)와 같은 형식으로, 마스터 포트(M)의 프레임 구조를 변경한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IM1)의 프레임 구조에서, 유휴(IDLE) 구간은 비휘발성 메모리(IM1)로부터 제2 펌웨어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필요한 구간에 해당한다.
제2 드라이버 IC(401b)는 제2 펌웨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에 대응하여, 마스터 포트(M)의 프레임의 구조를 변경한 후, 제2 펌웨어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제2 펌웨어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EM2)에 저장할 수 있다(S840).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카메라 모듈
10a: 제1 카메라 모듈
100a: 제1 렌즈 배럴
200a: 제1 하우징
300a: 제1 케이스
400a: 제1 액츄에이터
401a: 제1 드라이버 IC
10b: 제2 카메라 모듈
100b: 제2 렌즈 배럴
200b: 제2 하우징
300b: 제2 케이스
400b: 제2 액츄에이터
401b: 제2 드라이버 IC

Claims (16)

  1. 흔들림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이로 센서;
    상기 흔들림 데이터에 따라, 제1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드라이버 IC; 및
    상기 흔들림 데이터에 따라 제2 렌즈 배럴을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드라이버 IC;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라이버 IC는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흔들림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상기 흔들림 데이터는 상기 제2 드라이버 IC로 전달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버 IC 및 상기 제2 드라이버 IC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Bus) 통신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버 IC는 상기 SPI 통신의 슬레이브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드라이버 IC는 상기 SPI 통신의 마스터 포트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부는 원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레지스터 및 가공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시 데이터는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흔들림 데이터의 원본에 해당하고, 상기 가공 데이터는 상기 제1 드라이버 IC에 의해 가공된 상기 흔들림 데이터의 가공본에 해당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 데이터 및 상기 가공 데이터 중 하나는 상기 제2 드라이버 IC로 전달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포트의 프레임의 커맨드 정보에 따라, 상기 원시 데이터 및 상기 가공 데이터 중 상기 제2 드라이버 IC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결정되는 카메라 모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버 IC는 상기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상기 흔들림 데이터의 변경을 기록하는 상태 레지스터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버 IC는 상기 레지스터부의 상태값이 변경되는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라이버 IC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슬레이브 포트의 MISO(Master In Slave Out) 핀을 통해, 상기 제2 드라이버 IC로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라이버 IC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상기 레지스터부에 저장된 흔들림 데이터를 독출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 및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드라이버 IC; 및
    제2 렌즈 배럴을 상기 광축 방향 및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드라이버 IC;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라이버 IC는 상기 제1 드라이버 IC를 구동하는 제1 펌웨어 데이터 및 상기 제2 드라이버 IC를 구동하는 제2 펌웨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제2 펌웨어 데이터는 상기 제2 드라이버 IC로 전달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라이버 IC는 상기 제2 펌웨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외부 메모리;
    제1 렌즈 배럴을 광축 방향 및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드라이버 IC; 및
    제2 렌즈 배럴을 상기 광축 방향 및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드라이버 IC;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드라이버 IC는 상기 제1 드라이버 IC를 구동하는 제1 펌웨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드라이버 IC를 구동하는 제2 펌웨어 데이터는 상기 외부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중 하나에 저장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메모리는 SPI 통신의 슬레이브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드라이버 IC는 SPI 통신의 슬레이브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드라이버 IC는 SPI 통신의 마스터 포트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라이버 IC는 상기 외부 메모리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헤더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중 상기 제2 펌웨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판별하는 카메라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드라이버 IC는 상기 외부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중 상기 제2 펌웨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터 포트의 프레임의 구조를 변경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90121004A 2019-09-30 2019-09-30 카메라 모듈 KR102586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04A KR102586074B1 (ko) 2019-09-30 2019-09-30 카메라 모듈
US16/736,031 US11531210B2 (en) 2019-09-30 2020-01-07 Camera module
CN202010235916.0A CN112584007B (zh) 2019-09-30 2020-03-30 相机模块
CN202310262561.8A CN116320683A (zh) 2019-09-30 2020-03-30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04A KR102586074B1 (ko) 2019-09-30 2019-09-30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186A true KR20210038186A (ko) 2021-04-07
KR102586074B1 KR102586074B1 (ko) 2023-10-05

Family

ID=7511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004A KR102586074B1 (ko) 2019-09-30 2019-09-30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31210B2 (ko)
KR (1) KR102586074B1 (ko)
CN (2) CN1125840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566A (ko) * 2020-01-20 2021-07-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979659B2 (en) 2020-05-14 2024-05-07 Cirrus Logic, Inc. Multi-chip camera controller system with inter-chip communication
KR20210152203A (ko) * 2020-06-08 2021-12-15 삼성전기주식회사 데이터 공유를 위한 ois 회로, ois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7273127B1 (ja) 2021-11-15 2023-05-12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ポータブル電子機器、および、位置制御システ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7216A (ko) 2011-12-29 2013-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KR20150053495A (ko) * 2013-11-08 2015-05-18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영 장치의 이미지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160093299A (ko) * 2015-01-29 2016-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KR20180019729A (ko) * 2015-06-30 2018-02-26 오시아 인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핸드오프 및 부하 밸런싱을 위한 기술
KR20180060230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및 구동 장치
KR20180098142A (ko) * 2017-02-24 2018-09-03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액추에이터 드라이버, 촬상 장치, 캘리브레이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251A (ko) 2007-08-08 2009-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1888967B1 (ko) 2011-12-16 2018-08-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3차원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싱 방법
US9628713B2 (en) 2014-03-17 2017-04-18 Invensen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using a digital interface
KR102184564B1 (ko) 2015-08-12 2020-12-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397034B1 (ko) * 2015-11-02 2022-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손떨림 보정 방법
KR102462711B1 (ko) 2016-01-08 2022-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센서 동작 방법 및 장치
US10382687B1 (en) 2016-08-17 2019-08-13 Apple Inc. Nested disturbance rejection controller integrated within camera module
CN108337381B (zh) 2018-03-14 2019-11-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镜头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102561934B1 (ko) 2018-03-14 2023-08-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20210093565A (ko) * 2020-01-20 2021-07-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7216A (ko) 2011-12-29 2013-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싱 방법
KR20150053495A (ko) * 2013-11-08 2015-05-18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영 장치의 이미지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160093299A (ko) * 2015-01-29 2016-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KR20180019729A (ko) * 2015-06-30 2018-02-26 오시아 인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핸드오프 및 부하 밸런싱을 위한 기술
KR20180060230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및 구동 장치
KR20180098142A (ko) * 2017-02-24 2018-09-03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액추에이터 드라이버, 촬상 장치, 캘리브레이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074B1 (ko) 2023-10-05
CN112584007B (zh) 2023-06-16
US20210096389A1 (en) 2021-04-01
CN116320683A (zh) 2023-06-23
US11531210B2 (en) 2022-12-20
CN112584007A (zh)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6074B1 (ko) 카메라 모듈
KR102620533B1 (ko) 카메라 모듈
US11237405B2 (en) Camera module having stabilizer providing stabilizat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camera module
US11425284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plural driving units having different magnetic field directions
US20180067335A1 (e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or folded optics camera modules
KR20210093565A (ko) 카메라 모듈
JP5556429B2 (ja) 像ぶ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KR102551220B1 (ko) 카메라 모듈
CN101526718B (zh) 图像模糊校正单元、透镜筒装置、以及相机设备
KR20190129799A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093566A (ko) 카메라 모듈
US11971604B2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32589B1 (ko) 카메라 모듈, 포터블 전자 기기, 및 위치 제어 시스템
JP3382323B2 (ja) ビデオカメラ
KR20220120947A (ko) 카메라 모듈
KR20210129608A (ko) 카메라 모듈
JP2018036503A (ja) アクセサリ装置、撮像装置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