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061A -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061A
KR20210038061A KR1020190120710A KR20190120710A KR20210038061A KR 20210038061 A KR20210038061 A KR 20210038061A KR 1020190120710 A KR1020190120710 A KR 1020190120710A KR 20190120710 A KR20190120710 A KR 20190120710A KR 20210038061 A KR20210038061 A KR 20210038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excitation
exciter
modu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1837B1 (ko
Inventor
이선욱
주홍은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8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fixed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glass)를 가진하여 공기의 소밀파를 생성하는 가진 모듈, 가진 모듈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기 회로 모듈, 가진 모듈 및 자기 회로 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유리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서스펜션 모듈을 포함하여, 독립 음장 역할을 수행하거나, 종래 익사이터의 부족한 음역을 보충하여 넓은 대역에서 우수한 음질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THE EXCITER MOUNTED ON A GLASS AND THE VEHICLE THEREOF}
본 발명은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독립 음장 또는 부족한 음역대를 보충하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익사이터는 스피커의 일종이다. 스피커란 음 신호를 포함한 전기적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기기이다. 스피커는 영구자석과 보이스코일의 상호 작용에 따른 진동을 진동판을 통해 방사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익사이터는 플라스틱 같은 고분자 재료의 패널을 가진한다. 플라스틱 재료는 다소 연성의 재질이어서, 익사이터가 생성하는 음질이 일정 대역에서 저조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주파수 대역 중 부족한 음역대의 음질을 보충할 수 있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는, 유리(glass)를 가진하여 공기의 소밀파를 생성하는 가진 모듈, 가진 모듈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기 회로 모듈, 가진 모듈 및 자기 회로 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유리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서스펜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리는 차량의 창문, 사이드 미러(side mirror) 및 룸 미러(room mirror)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 대역 중 일부 대역에서 부족한 음질을 보충하여 전 대역에서 우수한 음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유리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고, 차량의 전후좌우 특정 위치에 배치하여 다양한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의 유리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의 일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댐퍼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서스펜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스펜션 모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의 다양한 유리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의 일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는 유리(11)를 가진하여 공기의 소밀파를 생성하기 위해 가진 모듈(100), 자기 회로 모듈(200), 프레임(300) 및 서스펜션 모듈(400)을 포함한다. 가진 모듈(100)은 유리(11)를 가진하여 공기의 소밀파를 생성하여 음압을 발생시킨다. 자기 회로 모듈(200)은 가진 모듈과 전자기적으로 연동되어 가진 모듈을 진동시킨다. 프레임(300)은 가진 모듈(100) 및 자기 회로 모듈(200)을 지지한다. 서스펜션 모듈(400)은 유리(11)와 프레임(300)을 연결한다. 즉, 서스펜션 모듈(400)은 유리(11)를 진동하는 가진 모듈(100)을 진동하는 유리(11)에 설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는 진동체인 유리(11)에 직접 설치되므로, 별도의 지지 부재가 필요없다.
유리는 규샤(SiO2), 소다회(탄산 소다, Na2CO3), 석회(산화칼슘, CaO) 등의 혼합물을 섭씨 3000도의 고온에서 녹인 후 냉각한 투명도가 높은 물질을 말한다. 초자(硝子)라고도 한다. 다양한 천연 광물을 넣어 색을 다양하게 낼 수 있다. 유리는 규샤, 탄산 소다, 석회를 포함하는 소다 유리, 칼륨 유리, 납유리, 석영 유리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유리는 플라스틱 같은 고분자 재료 보다 탄성계수가 더 크다. 탄성계수는 응력과 변형율에 관계된다. 응력은 외부의 물리적 힘에 의해 물체의 내부에 발생하는 힘을 말한다. 응력이 특정 값 이상이면 소재는 파손(소성변형)된다. 이 파손되는 응력을 강도라고 한다. 응력은 변형율과 비례한다. 이때의 비례 상수가 탄성계수이다. 이러한 관계는 [계산식 1]로 나타낸다.
[계산식 1]
응력 = 탄성계수 * 변형율
여기서, 변형율은 무차원수이고, 탄성계수와 응력은 동일한 단위(MPa)를 가진다.
서로 다른 물체의 내부에 동일한 응력이 발생된다면, 탄성계수가 큰 물체는 변형율이 작다. 반대로, 탄성계수가 작은 물체는 변형율이 크다. 따라서, 유리와 플라스틱에 동일한 외력이 가해지면, 상대적으로 큰 탄성계수를 가지는 유리는 플라스틱 보다 변형율이 작다. 즉, 가진 모듈(100)에 의한 진동 발생 시, 유리와 플라스틱 같은 고분자 재료의 주파수 응답 특성은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는 유리를 가진하여 종래 플라스틱 또는 기타 다른 재료의 패널을 가진한 경우에 대비해 상이한 주파수 응답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진동체 자체에 설치됨에 따른 별도의 지지 부재가 필요 없음은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다.
일 실시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는 차량에 배치되는 유리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는 차량의 전방, 후방, 좌우 창문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는 사이드 미러, 룸 미러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가진 모듈(100)이 유리(11)에 진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서스펜션 모듈(400)이 가진 모듈(100)을 유리(11)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는 차량의 유리 면에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스펜션 모듈(400)은 접착 부재(47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470)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를 유리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특히, 접착 부재(470)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를 차량의 유리(11)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전후좌우 등 특정 위치에서 유리(11)를 가진하여 음압을 생성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는 플라스틱 재질에 설치된 익사이터(미도시)의 부족한 음질(음역)을 보충하여 더욱 풍부한 음질을 생성할 수 있다. 접착 부재(470)는 접착 필름, 도포된 접착제, 진공 흡착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470)는 볼트, 나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리(11)는 볼트, 나사 등과 결합하는 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는 룸 미러(room mirror)와 사이드 미러(side mirror)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는 룸 미러의 후면에 설치되어 룸 미러 케이스(미도시)에 의해 보호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는 사이드 미러의 후면에 설치되어 사이드 미러 케이스(미도시)에 의해 보호되게 설치될 수 있다.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가 룸 미러에 설치된 경우, 네비게이션 안내음, ADAS(Advanced Drive Assistance System) 관련 정보음 및 비상 시 E-Call음 등을 재생할 수 있다.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가 룸 미러에 설치된 경우, 센터 스피커 장착이 어려운 구조의 차량에서 더욱 유용하다. 한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가 사이드 미러에 설치된 경우, 측면 차량 감지음 및 차량 Touch 경고음을 재생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가진 모듈(200)은 보이스코일부(110)와 커플러(130)를 포함한다. 또한, 가진 모듈(200)은 접착 부재(150) 및 댐퍼(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이스코일부(110)는 자기 회로 모듈(20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진동축(a)을 따라 상하 수직 운동을 한다. 보이스코일부(110)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이스코일부(110)는 보빈(111)과 보이스코일(113)을 포함한다. 보이스코일(113)은 보빈(111)의 하단에 권취될 수 있다. 커플러(130)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보이스코일부(1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보이스코일부(113)는 자기 회로 모듈(200)의 자기 갭(gap)에 배치되며, 보이스코일부(113)에 인가된 전류 방향에 따라 진동축(a)을 따라 진동한다.
보이스코일부(110)의 상단은 커플러(130)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커플러(130)는 원형 홈을 가진다. 보이스코일부(110)는 커플러(130)에 삽입되어 본딩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딩 물질이 커플러(130)의 원형 홈에 채워진다. 접착 부재(150)는 커플러(130)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착 부재(150)는 커플러(130)와 유리(11)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진 모듈(100)을 유리(11)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이에 의해, 가진 모듈(100)이 유리(11)를 가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스펜션 모듈(400)과 함께 유리 가진형 익사이터(10)를 유리(11)에 부착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댐퍼(170)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댐퍼(170)는 프레임(300)과 보이스코일부(110)에 연결되며, 보이스코일부(110)를 지지한다. 댐퍼(170)는 중심축(a)과 수직한 평면상으로 보이스코일부(110)의 진동을 방지한다. 즉, 댐퍼(170)는 보이스코일부(110)를 중심축(a) 방향으로 선형 진동을 지지한다. 이에 의해, 음향 왜곡이 방지된다.
일 실시 예로, 댐퍼(170)는 댐핑부(171), 댐핑 고정부(173) 및 댐핑 연결부(175)를 포함한다. 댐핑부(171)는 보이스코일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댐핑부(171)는 상하 방향을 따라 교대로 돌출된 주름을 가진다. 댐핑 고정부(173)는 프레임(30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댐핑 연결부(175)는 댐핑 고정부(173)와 댐핑부(171)를 연결하며, 댐핑 고정부(173)로부터 댐핑부(171)를 보이스코일부(110)의 진동축(a)을 따라 상부로 이격시킨다. 즉, 댐핑 연결부(175)는 진동축(a)을 따라 상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보이스코일부(110)의 진동 폭이 향상된다. 이에 의해, 강한 구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자기 회로 모듈(200)은 요크(210), 마그넷(230) 및 폴피스(250)를 포함한다. 요크(210)는 프레임(300)에 배치된다. 마그넷(230)은 요크(210)에 배치된다. 폴피스(250)는 마그넷(230) 상에 배치된다. 자기 회로 모듈(200)은 자기장을 형성한다. 마그넷(230)과 폴피스(250)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요크(210)는 바닥부(211)와 측벽부(213)를 포함한다. 마그넷(213)은 바닥부(211)에 배치된다. 또한, 마그넷(213)과 폴피스(215)는 측벽부(213)와 이격되어, 자기갭이 형성된다. 후술하는 보이스코일부(110)의 일부는 자기갭에 배치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서스펜션 모듈(400)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스펜션 모듈(400)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 4, 6 및 7을 참조하면, 서스펜션 모듈(400)은 서스펜션 모듈(400)은 패널(100)의 일면에 프레임(300)을 부착한다. 프레임(300)도 서스펜션 모듈(400)에 진동축(a)을 따라 진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서스펜션 모듈(400)의 일측은 패널(100)의 일면에 연결되고, 서스펜션 모듈(400)의 타측은 프레임(300)에 연결된다. 서스펜션 모듈(400)은 프레임(300)과 가진 모듈(200)을 패널(100)에 고정한다. 또한, 서스펜션 모듈(400)은 가진 모듈(200)에 의한 패널(100)의 진동을 흡수하여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모듈(400)은 탄성을 가진다. 서스펜션 모듈(400)은 탄성을 가지는 고분자 소재, 금속 및 섬유 소재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서스펜션 모듈(400)은 가진 모듈(200)과 프레임(300)을 하나의 패널(1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300) 등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패널이 불필요하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서스펜션 모듈(400)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스펜션 모듈(400)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서스펜션 모듈(400)은 유리 결합부(410), 프레임 결합부(430) 및 서스펜션부(450)를 포함한다. 유리 결합부(410)는 유리(11)에 연결된다. 유리 결합부(4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 부재(470)를 통해 유리(11)에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430)는 프레임(300)에 연결된다. 프레임 결합부(430)는 프레임(33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프레임(330)의 하면 및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 지지한다.
서스펜션부(450)는 유리 결합부(410)와 프레임 결합부(430)를 연결한다. 서스펜션부(450)는 평면상 또는 단면상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스펜션부(450)의 형상은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서스펜션부(450)의 형상에 따라 소리의 공진대역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 대역이 다양해 질 수 있다.
유리 가진형 익사이터(10)가 유리(11)에 설치되는 경우, 유리(11)가 가진 모듈(100)에 의해 진동하기 때문에 유리(11)에 익사이터를 고정하는 고정력에 의해 유리(11)의 진동력이 상쇄되어 음향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서스펜션부(450)는 그 탄성 및 형상으로 인해 유리 결합부(410)와 유리(11)의 고정력이 가진 모듈(100)의 진동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부(450)는 유리(11)의 진동이 유리 결합부(410)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완충한다. 따라서, 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서스펜션부(450)는 프레임 결합부(430)와 유리 결합부(410)의 사이를 소정 폭과 두께로 연장되며, 서스펜션부(450)의 측면에서 서스펜션부(450)의 내측을 향하여 파여진 복수의 홈으로 정의되는 지그재그 형상을 가진다. 이에 의해, 유리(1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고, 가진 모듈(100)과 자기 회로 모듈(200)의 진동을 견고히 지지하여 강한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댐퍼(170)만 배치된 경우, 고출력 시에 가진 모듈(100)의 선형 진동을 지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서스펜션 모듈(400)은 댐퍼(170)와 함께 진동을 제어하므로, 고출력 등에 경우 가진 모듈(100)의 비선형적 움직임을 개선하여 음질의 왜곡을 방지하고 음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서스펜션 모듈(400)은 복수의 서스펜션부(450)를 포함한다. 복수의 서스펜션부(450)는 프레임 결합부(430) 또는 중심축(a)을 기준으로 등각도(α)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서스펜션 모듈(400)은 4개의 서스펜션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서스펜션부(450)는 진동축(a)을 중심으로 90도 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진동축(a)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서스펜션부(450)는 가진 모듈(100)을 평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서스펜션 모듈(400)은 가진 모듈(100)의 선형 진동을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유리(11)의 곡면 형상 및 유리(11)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유리(11) 면과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스펜션 모듈(400)은 스페이서(4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490)는 유리 결합부(410)에 결합하며, 유리(11)로부터 유리 결합부(410)를 진동축(a) 방향으로 이격시킨다. 이에 의해, 가진 모듈(100)과 유리(11)의 진동 폭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 유리(11)의 곡면 및 기울기 등에 대응하여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부(450)가 스페이서(490)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진동 원점을 가지므로, 서스펜션부(450)의 안정적인 선형 진동이 가능하다.
한편, 프레임 결합부(430)는 그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진동축(a)을 따라 돌출된 체결 돌기(431)를 가진다. 프레임(300)은 체결 돌기(431)에 대응하는 삽입부(310)를 가진다. 체결 돌기(431)는 삽입부(310)에 삽입된다. 체결 수단은 삽입부(310)에 형성된 나사 결합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레임(300)과 서스펜션 모듈(400)의 결합이 용이하고, 서스펜션 모듈(400)이 프레임(300)의 진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를 구비한 차량은 상술한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를 포함하는 차량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를 구비한 차량은 차량의 유리 창문, 룸 미러 및 사이드 미러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플라스틱에 설치된 익사이터와 별도로 독립된 음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에 설치된 익사이터의 부족한 음질(음역)을 보충하여 풍부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전후좌우 등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독립 음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은 실선으로 표시된다. 또한, 플라스틱 같은 고분자 재료에 설치된 익사이터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세로축은 SPL(sound pressure level)이고, 가로축은 주파수이다. 플라스틱 등에 설치된 익사이터(점선)의 경우, 저주파와 고주파에서 음질이 저조하다. 반면에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실선)의 경우, 저주파와 고주파에서 상대적으로 음질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10)는 독립 음장 역할을 할 수도 있고, 플라스틱 등에 설치된 익사이터의 부족한 음역을 보충하여 넓은 대역에서 우수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100 : 가진 모듈
200 : 자기 회로 모듈
300 : 프레임
400 : 서스펜션 모듈
a : 진동축
α: 등각도

Claims (13)

  1. 유리(glass)를 가진하여 공기의 소밀파를 생성하는 가진 모듈;
    가진 모듈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자기 회로 모듈;
    가진 모듈 및 자기 회로 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유리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서스펜션 모듈을 포함하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유리는 차량의 창문, 사이드 미러(side mirror) 및 룸 미러(room mirror)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서스펜션 모듈은 탄성을 가지며, 고분자 소재, 금속 및 섬유 소재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서스펜션 모듈은,
    유리에 연결되는 유리 결합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프레임 결합부; 및
    유리 결합부와 프레임 결합부를 연결하는 서스펜션부를 포함하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서스펜션부는 평면상 또는 단면상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서스펜션부는 복수로 배치되며,
    복수의 서스펜션부는 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각도로 이격된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서스펜션 모듈은,
    유리 결합부를 유리에 연결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8. 제 4 항에 있어서,
    프레임 결합부는 그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체결 돌기를 가지며,
    프레임은 체결 돌기에 대응하는 삽입부를 가지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자기 회로 모듈은
    프레임에 배치된 요크;
    요크에 배치된 마그넷; 및
    마그넷 상에 배치된 폴피스를 포함하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가진 모듈은,
    자기 회로 모듈과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으로 진동하는 보이스코일부; 및
    보이스코일부의 상단에 배치된 커플러를 포함하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가진 모듈은,
    보이스 코일부를 지지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댐퍼는,
    보이스코일부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댐핑부;
    프레임에 연결된 댐핑 고정부; 및
    댐핑 고정부와 댐핑부를 연결하며, 댐핑 고정부로부터 댐핑부를 보이스코일부의 진동축을 따라 이격시키는 댐핑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13. 제 1 항의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90120710A 2019-09-30 2019-09-30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261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10A KR102261837B1 (ko) 2019-09-30 2019-09-30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10A KR102261837B1 (ko) 2019-09-30 2019-09-30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061A true KR20210038061A (ko) 2021-04-07
KR102261837B1 KR102261837B1 (ko) 2021-06-07

Family

ID=7546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710A KR102261837B1 (ko) 2019-09-30 2019-09-30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8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423A1 (ja) * 2021-07-30 2023-02-02 Agc株式会社 振動板、エキサイタ付振動板、及び車両用振動板
WO2024019100A1 (ja) * 2022-07-19 2024-01-25 Agc株式会社 ガラス振動板及び振動子付きガラス振動板
WO2024024599A1 (ja) * 2022-07-29 2024-02-01 Agc株式会社 ガラス振動板及び振動子付きガラス振動板
WO2024057893A1 (ja) * 2022-09-14 2024-03-21 Agc株式会社 ガラス振動板及び振動子付きガラス振動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075B2 (ja) * 1992-09-18 2001-04-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用サスペンションおよびスピーカ
KR20020021869A (ko) * 2000-09-18 2002-03-23 김충지 진동기능을 가지는 2채널 일체형 박형 스피커
JP2006281966A (ja) * 2005-03-31 2006-10-19 Fujitsu Ten Ltd 車載用装着部品の取付構造
KR20070116751A (ko) * 2006-06-06 2007-12-11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덴시 동전형 엑사이터
JP2008017461A (ja) * 2006-06-06 2008-01-24 Citizen Electronics Co Ltd 動電型エキサイ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075B2 (ja) * 1992-09-18 2001-04-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用サスペンションおよびスピーカ
KR20020021869A (ko) * 2000-09-18 2002-03-23 김충지 진동기능을 가지는 2채널 일체형 박형 스피커
JP2006281966A (ja) * 2005-03-31 2006-10-19 Fujitsu Ten Ltd 車載用装着部品の取付構造
KR20070116751A (ko) * 2006-06-06 2007-12-11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덴시 동전형 엑사이터
JP2008017461A (ja) * 2006-06-06 2008-01-24 Citizen Electronics Co Ltd 動電型エキサイ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423A1 (ja) * 2021-07-30 2023-02-02 Agc株式会社 振動板、エキサイタ付振動板、及び車両用振動板
WO2024019100A1 (ja) * 2022-07-19 2024-01-25 Agc株式会社 ガラス振動板及び振動子付きガラス振動板
WO2024024599A1 (ja) * 2022-07-29 2024-02-01 Agc株式会社 ガラス振動板及び振動子付きガラス振動板
WO2024057893A1 (ja) * 2022-09-14 2024-03-21 Agc株式会社 ガラス振動板及び振動子付きガラス振動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837B1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1837B1 (ko) 유리 가진용 익사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7351330B2 (ja) 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および表示装置
EP1617703B1 (en) Speaker apparatus using display window
US7480392B2 (en) Plate type speaker using horizontal vibration voice coil
US20020125065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resonant panel-form loudspeaker
US9191747B2 (en) Loudspeaker with force cancelling configuration
US20070274556A1 (en) Speaker Device
JP2007318623A (ja) 音響加振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
JP2011130361A (ja) 複合スピーカ、音声画像表示装置、および車両用音響システム
JP2006500803A (ja) ラウドスピーカー
EP1135967A2 (en) Resonant bending wave panel-form loudspeaker
JP2008124738A (ja) スピーカ装置
KR102115383B1 (ko) 진동 패널 장착용 익사이터
KR102115387B1 (ko) 무빙 자기회로 타입 복합 스피커
CN210835571U (zh) 投影系统及投影屏幕
US7515724B2 (en) Loudspeaker driver
JP4298460B2 (ja) パネルスピーカ
WO2022193716A1 (zh) 投影设备及显示装置
JP4226453B2 (ja) 音響再生装置
JP4190938B2 (ja) パネル型スピーカ
JP4226458B2 (ja) 音響再生装置
CN213586248U (zh) 一种激励器及电子设备
KR102290244B1 (ko) 진동자
CN214675388U (zh) 显示模组和电子设备
CN107404693B (zh) 辐射器及双悬边扬声器和音箱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