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948A -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7948A KR20210037948A KR1020190120491A KR20190120491A KR20210037948A KR 20210037948 A KR20210037948 A KR 20210037948A KR 1020190120491 A KR1020190120491 A KR 1020190120491A KR 20190120491 A KR20190120491 A KR 20190120491A KR 20210037948 A KR20210037948 A KR 202100379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joint
- coupled
- rotation
- rotation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2—Image signal generator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e.g. multi-view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in combination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s for illuminating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 되는 복수의 지지 포스트와, 복수의 지지 포스트에 결합 되는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 본체; 지지 프레임에 결합 되어 촬영 대상물을 지지하는 투명 지지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회전 지지부; 및 회전 지지부 및 베이스 플레이트가 접하는 바닥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 되는 다관절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다관절 카메라부는 복수의 관절 및 복수의 관절에 결합 되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투명 지지부의 상하부에서 촬영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고, 투명 지지부에 놓여지는 촬영 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 회전 지지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다관절 카메라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관절로 이루어진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물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촬영할 수 있고 촬영 대상물의 위치나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이라 함은 렌즈를 사용하여 필름 또는 건판에 사람이나 물체를 찍는 사진기의 물체의 화상(畵像)을 찍어 내는 기술 또는 인화지에 나타낸 그 화상을 의미하며, 이는 기억하고자 하는 순간이나, 풍경(風景), 각종 물체를 영구적인 보관과 전시 및 감상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종 기능을 갖는 부품과 조작레버로 이루어진 사진기와 이에 삽입되어 물체의 화상이 기록되는 필름과 촬영시 물체의 뚜렷한 윤곽을 나타내기 위한 조명수단(사진기용 후레쉬) 등(이하, 촬영수단이라 함)이 필요하고, 촬영수단이 구비되더라도 이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작할 수 있는 전문기술이 요구된다.
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진기는 누구라도 간편·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지만, 상업용으로 사용되는 사진(귀금속, 광고사진 등)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촬영수단 외에 별도의 특수장비와 전문기술이 필요하다.
상업용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촬영 대상물을 다양한 각도로 찍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로 인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현재의 촬영 장치로는 효율성 및 상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사무실 등의 원하는 장소에서 조립식 사진 촬영대를 설치하여 필요시마다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선행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4780호(2005.08.30.)에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은 촬영 대상물을 정적 상태에서 촬영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다양한 각도의 촬영이 불가능다. 즉 촬영 대상물을 촬영하여 동적 이미지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사시도와 육면도는 물론 촬영 대상물을 전체적인 각도에서 촬영해야 하는 데 종래의 기술로는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관절로 이루어진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물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촬영할 수 있고 촬영 대상물의 위치나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 되는 복수의 지지 포스트와, 상기 복수의 지지 포스트에 결합 되는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 본체;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 되어 촬영 대상물을 지지하는 투명 지지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기 회전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접하는 바닥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 되는 다관절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관절 카메라부는 복수의 관절 및 상기 복수의 관절에 결합 되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투명 지지부의 상하부에서 상기 촬영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고, 상기 투명 지지부에 놓여지는 촬영 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다관절 카메라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하는 다방향 촬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관절 카메라부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결합 되는 제1 관절; 상기 제1 관절에 연결되는 제2 관절; 상기 제2 관절에 연결되는 제3 관절; 상기 제3 관절에 연결되는 제4 관절; 및 상기 제4 관절에 마련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각각 결합 되는 한 쌍의 베이스 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암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가 결합 되는 제1 회전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암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제2 회전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암에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암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지지부에 마련되는 조명부; 및 상기 제2 회전지지부에 마련되는 배경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투명 부재에 안착되는 촬영 대상물을 투명 부재의 회전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 회전 지지부나 바닥 플레이트가 접하는 바닥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다관절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 대상물을 전체적인 각도에서 자유롭게 촬영할 수 있으므로 촬영 작업을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투명 지지부에 놓여지는 촬영 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 회전 지지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다관절 카메라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제3 센서에 의해 촬영 대상물의 위치나 작동 상태를 센싱하여 촬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명 지지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다관절 카메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암이 길이 조절하게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투명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복수의 센서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명 지지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다관절 카메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암이 길이 조절하게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투명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복수의 센서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명 지지부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2은 도 1에 도시된 다관절 카메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암이 길이 조절하게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의 투명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복수의 센서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1)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결합 되어 촬영 대상물(P)을 지지하는 투명 지지부(200)와,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회전 지지부(300)와, 회전 지지부(300) 및 본체(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접하는 바닥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 되는 다관절 카메라부(400)와, 회전 지지부(300)에 마련되는 조명부(500)와, 회전 지지부(300)에 다관절 카메라부(400)와 대향 되도록 마련되는 배경판(600)을 구비한다.
본체(100)는, 본 실시 예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결합 되는 복수의 지지 포스트(120)와, 이 복수의 지지 포스트(120)에 결합 되는 지지 프레임(130)과, 지지 프레임(130)의 내부에 마련되어 투명 부재(21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140)를 포함한다.
본체(100)의 복수의 지지 포스트(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 될 수도 있고, 끼워 맞춤 결합 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지지 포스트(120)는 도 4에 도시된 베이스 암(310)의 방식을 적용하여 높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0)의 지지 프레임(130)은, 복수의 지지 포스트(120)의 상부에 결합 되어 투명 부재(210)를 지지함과 아울러 한 쌍의 베이스 암(31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된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지지 프레임(130)은 지지 포스트(120)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 되거나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부재(210)를 향하는 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0)의 복수의 가이드 롤러(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외주면이 투명 부재(210)의 벽부에 접촉되어 투명 부재(210)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투명 지지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30)에 지지되며, 촬영 대상물(P)을 지지함과 아울러 촬영 대상물(P)을 360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투명 지지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30)에 가장자리가 지지 되는 투명 부재(210)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부재(210)의 하측부에 배치되어 투명 부재(210)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투명부재 회전부(220)를 포함한다.
투명 지지부(200)의 투명 부재(210)는, 투명하게 마련되는 데, 이는 투명 부재(210)의 하부에서 촬영 대상물(P)을 촬영 시(도 6 참고) 투명 부재(210)에 영향을 받지 않고 촬영 대상물(P)을 촬영하기 위해서다.
본 실시 예에서 투명 부재(210)는 유리를 포함한다.
투명 지지부(200)의 투명부재 회전부(220)는, 투명 부재(2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하나씩 한 쌍으로 마련되어 투명 부재(2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촬영 대상물(P)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투명부재 회전부(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모터(221)와, 회전 모터(221)에 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며 외주면이 투명 부재(210)의 저면과 접촉되는 회전 롤러(22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 모터(221)는 지지 프레임(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전기 에너지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 모터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도 6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되는 회전 모터(221)의 회전 방향은 투명 부재(210)의 회전을 위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배치되는 회전 롤러(22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우측에 배치되는 회전 롤러(222)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 예를 들어 사용자의 회전 입력 각도를 제어부에 입력시켜 회전 모터(2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의 제어는 리모컨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미 도시되었지만, 투명 부재(210)의 측벽에 제1 기어이를 마련하고, 회전 모터(221)에 제1 기어이와 서로 맞물리는 제2 기어이를 마련하여 투명 부재(210)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회전 롤러(222)의 외주면에는 투명 부재(210)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마찰 패드를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회전 지지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30)에 결합 되며 다관절 카메라부(400)와 조명부(500)와 배경판(600)의 결합 장소로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회전 지지부(300)는 지지 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촬영 대상물(P)을 바닥부터 최상단부의 평면까지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회전 지지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30)에 각각 결합 되는 한 쌍의 베이스 암(310)과, 이 한 쌍의 베이스 암(310)의 좌측부에 마련되며 다관절 카메라부(400)와 조명부(500)가 결합 되는 제1 회전지지부(320)와, 한 쌍의 베이스 암(310)의 우측부에 마련되며 배경판(600)이 결합 되는 제2 회전지지부(330)와, 베이스 암(310)을 지지 프레임(130)에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부재(340)를 포함한다.
회전 지지부(300)의 한 쌍의 베이스 암(310)은, 지지 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도록 볼트 결합 될 수 있고, 볼트의 체결 강도를 조절하여 한 쌍의 베이스 암(310)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 볼트는 나비 볼트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볼트의 조임과 풀림을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베이스 암(310)은, 서로 직경을 다르게 마련하고 일측이 타측에 삽입되도록 마련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큰 베이스 암(310)에 결합홈(311)을 복수로 마련하고, 직경이 작은 베이스 암(310)에 결합볼(312)과 스프링(313)을 마련하여 베이스 암(310)의 이동 시 결합볼(312)이 스프링(313)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홈(311)에 삽입 결합 되어 이동된 위치를 스토핑(stopping)시키는 방법으로 베이스 암(3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베이스 암(310)은 길이 조절은 물론 높이 조절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지지부(320) 또는 제2 회전지지부(330)에 인접된 베이스 암(310)에 수직 연결바(미도시)를 마련하고, 수직 연결바의 양측에 베이스 암(310)을 결합시키되 제1 회전지지부(320) 또는 제2 회전지지부(330)에 근접된 베이스 암(310)을 수직 연결바에 승강 되도록 마련하여 베이스 암(3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수직 연결바에서 승강되는 베이스 암(310)의 위치 고정은 수직 연결바와 베이스 암(310)을 관통하는 핀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고, 공지된 래칫 기어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회전 지지부(300)의 제1 회전지지부(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지지암(321)을 서로 볼트 결합, 끼워 맞춤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시켜 마련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300)의 제2 회전지지부(3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지지암(331)을 서로 볼트 결합, 끼워 맞춤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시켜 마련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300)의 위치 고정 부재(3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암(310)을 관통하여 지지 프레임의 측면(130)에 결합 되는 볼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동으로 위치 고정 부재(340)를 조여서 베이스 암(310)이 지지 프레임(130)에 마찰에 의해 세팅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관절 카메라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300)에 마련되어 촬영 대상물(P)을 촬영하며, 촬영 대상물(P)이 안착 되는 투명 부재(210)의 회전에 의해 촬영 대상물(P)의 측면을 360도로 촬영할 수 있고, 회전 지지부(300)의 회전에 의해 촬영 대상물(P)의 바닥부터 최상단 평면까지 촬영할 수 있으므로 촬영 대상물(P)의 전체면을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다관절 카메라부(4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접하는 바닥부에 마련되어 투명 부재(21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촬영 대상물(P)을 촬영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다관절 카메라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암(321)에 마련되는 제1 관절(410)과, 제1 관절(410)에 연결되는 제2 관절(420)과, 제2 관절(420)에 연결되는 제3 관절(430)과, 제3 관절(430)에 연결되는 제4 관절(440)과, 제4 관절(440)에 마련되는 카메라(45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다관절 카메라부(400)는 제1 관절(410) 내지 제4 관절(440) 중 2 이상의 관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 관절(410) 내지 제4 관절(440)은 공지된 로봇팔의 암과 같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관절(410) 내지 제4 관절(440)은 유압이나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다관절 카메라부(400)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접하는 바닥부에 결합 될 수 있고, 전술한 바닥부에 세워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조명부(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지지부(320)에 다관절 카메라부(400)와 같이 결합 되어 촬영 대상물(P)로 조명을 비추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조명부(500)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제1 지지암(321)에 끼워 맞춤 또는 볼트 결합 될 수 있다.
배경판(6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관절 카메라부(400)와 조명부(500)에 대향되는 방향인 제2 회전지지부(330)에 마련되어 촬영 시 촬영 대상물(P)의 배경을 이룰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배경판(600)은 브래킷을 이용하여 제2 지지암(331)에 끼워 맞춤 또는 볼트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지지부(200)에 놓여지는 촬영 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S1)와, 회전 지지부(300)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 센서(S2)와, 다관절 카메라부(400)의 작동을 감지하는 제3 센서(S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S1)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제2 센서(S2)는 회전 센서를 포함하고, 제3 센서(S3)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투명 부재에 안착되는 촬영 대상물을 투명 부재의 회전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 회전 지지부나 바닥 플레이트가 접하는 바닥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다관절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 대상물을 전체적인 각도에서 자유롭게 촬영할 수 있으므로 촬영 작업을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
100 : 본체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지지 포스트 130 : 지지 프레임
140 : 가이드 롤러 200 : 투명 지지부
210 : 투명 부재 220 : 투명부재 회전부
221 : 회전 모터 222 : 회전 롤러
300 : 회전 지지부 310 : 베이스 암
311 : 결합홈 312 : 결합볼
313 : 스프링 320 : 제1 회전지지부
321 : 제1 지지암 330 : 제2 회전지지부
331 : 제2 지지암 340 : 위치 고정 부재
400 : 다관절 카메라부 410 : 제1 관절
420 : 제2 관절 430 : 제3 관절
440 : 제4 관절 450 : 카메라
500 : 조명부 600 : 배경판
P : 촬영 대상물 S1 : 제1 센서
S2 : 제2 센서 S3 : 제3 센서
100 : 본체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지지 포스트 130 : 지지 프레임
140 : 가이드 롤러 200 : 투명 지지부
210 : 투명 부재 220 : 투명부재 회전부
221 : 회전 모터 222 : 회전 롤러
300 : 회전 지지부 310 : 베이스 암
311 : 결합홈 312 : 결합볼
313 : 스프링 320 : 제1 회전지지부
321 : 제1 지지암 330 : 제2 회전지지부
331 : 제2 지지암 340 : 위치 고정 부재
400 : 다관절 카메라부 410 : 제1 관절
420 : 제2 관절 430 : 제3 관절
440 : 제4 관절 450 : 카메라
500 : 조명부 600 : 배경판
P : 촬영 대상물 S1 : 제1 센서
S2 : 제2 센서 S3 : 제3 센서
Claims (5)
-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 되는 복수의 지지 포스트와, 상기 복수의 지지 포스트에 결합 되는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 본체;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 되어 촬영 대상물을 지지하는 투명 지지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기 회전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접하는 바닥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 되는 다관절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관절 카메라부는 복수의 관절 및 상기 복수의 관절에 결합 되는 카메라를 구비하여 상기 투명 지지부의 상하부에서 상기 촬영 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고,
상기 투명 지지부에 놓여지는 촬영 대상물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회전 지지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다관절 카메라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하는 다방향 촬영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카메라부는,
상기 회전 지지부에 결합 되는 제1 관절;
상기 제1 관절에 연결되는 제2 관절;
상기 제2 관절에 연결되는 제3 관절;
상기 제3 관절에 연결되는 제4 관절; 및
상기 제4 관절에 마련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각각 결합 되는 한 쌍의 베이스 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암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카메라가 결합 되는 제1 회전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암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제2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다방향 촬영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암에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암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촬영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지지부에 마련되는 조명부; 및
상기 제2 회전지지부에 마련되는 배경판을 더 포함하는 다방향 촬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0491A KR20210037948A (ko) | 2019-09-30 | 2019-09-30 |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0491A KR20210037948A (ko) | 2019-09-30 | 2019-09-30 |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7948A true KR20210037948A (ko) | 2021-04-07 |
Family
ID=7546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0491A KR20210037948A (ko) | 2019-09-30 | 2019-09-30 |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37948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2885Y1 (ko) | 2003-11-14 | 2004-02-19 | (주) 유쾌한생각 |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
KR101444355B1 (ko) | 2011-06-03 | 2014-09-24 | 오테리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 턴테이블 구동 메카니즘을 갖는 사진촬영 스튜디오 |
-
2019
- 2019-09-30 KR KR1020190120491A patent/KR20210037948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2885Y1 (ko) | 2003-11-14 | 2004-02-19 | (주) 유쾌한생각 |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
KR101444355B1 (ko) | 2011-06-03 | 2014-09-24 | 오테리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 턴테이블 구동 메카니즘을 갖는 사진촬영 스튜디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63006A1 (en) | Image magnifier for the visually impaired | |
ITTO20110410A1 (it) | Apparato per la cattura di immagini con correzione e gestione delle inclinazioni | |
KR101668834B1 (ko) | 다중 카메라 촬영용 리그 | |
KR20180082818A (ko) | 다관절 카메라부가 구비된 촬영 장치 | |
KR20180010170A (ko) | 촬영 장치 | |
KR20210037948A (ko) |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 | |
KR20110084577A (ko) | 엑스레이 촬영기용 디텍터 스탠드 | |
KR101240819B1 (ko) | 자세 유지가 가능한 고고도 원격 촬영장치 | |
CN210196884U (zh) | 一种手柄与三脚架为一体的运动相机、手机、微单稳定器 | |
KR200214661Y1 (ko) | 3차원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피사체 고정장치 | |
JP2016151734A (ja) | 撮影装置 | |
KR101971541B1 (ko) | 접이식 촬영 장치 | |
ES1061088U (es) | Dispositivo de elevacion y retraccion de una pantalla plana incluyendo una camara de captacion de imagen. | |
KR20060069387A (ko) | 영상촬영장치 | |
KR20020013034A (ko) | 3차원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및 피사체 고정장치 | |
JP3795187B2 (ja) | 壁面埋め込み式テレビカメラ用雲台 | |
CN216792650U (zh) | 一种平面摄影装置 | |
CN110213561A (zh) | 一种双目相机用可定位调节双目间距的安装外框 | |
CN220994480U (zh) | 一种服务机器人 | |
JPS61258108A (ja) | リモ−トコントロ−ル式室内用レベル | |
CN211525967U (zh) | 一种便携式教学视频展台 | |
TWI795814B (zh) | 適用於顯示器之實物投影裝置 | |
JP3096342U (ja) | 回転可能な装置基部を備えた、対象物を光学的に撮影するための装置 | |
US11792521B1 (en) | Imaging apparatus | |
JPS5925361Y2 (ja) | 体位写込み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