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885Y1 -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 Google Patents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885Y1
KR200342885Y1 KR20-2003-0035689U KR20030035689U KR200342885Y1 KR 200342885 Y1 KR200342885 Y1 KR 200342885Y1 KR 20030035689 U KR20030035689 U KR 20030035689U KR 200342885 Y1 KR200342885 Y1 KR 200342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cover
camera
photographing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선명
Original Assignee
(주) 유쾌한생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쾌한생각 filed Critical (주) 유쾌한생각
Priority to KR20-2003-0035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8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8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석이나 시계 또는 유리나 비닐재질로 이루어진 소형 피사체에서 부터 골프채, 전자제품, 운동기구, 자전거 등과 같은 큰 피사체까지 모두 촬영이 가능하며, 구조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며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는 사면이 봉제되고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부를 끈으로 매듭하는 매듭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촬영구가 형성된 일정 크기의 직물지; 상기 직물지의 하부에 재봉하여 설치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매듭부 사이에 재봉하여 설치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끈을 연결하여 상기 직물지를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CAMERA PHOTOGRAPHING COVER OF FIEID}
본 고안은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석류와 같은 작은 피사체 뿐만 아니라 골프채와 같은 큰 피사체의 촬영도 가능하며, 촬영시 커버의 재봉선이나 커버본체의 프레임이 카메라에 나타나지 않은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빛의 반사율이 높은 보석류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그 외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반사율을 최소화함으로서 높은 선명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석이나 시계, 꽃 등 작은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에는 카메라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30㎝ 이하로 근접하여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촬영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와 피사체를 근접하여 촬영하는 기법을 접사(macro)촬영이라고 하며, 접사촬영 시 특히 주의해야 할 것으로는 촬영에 따른 조명상태와 피사체의 빛 반사율이다.
이에 상기 언급된 보석이나 시계 또는 유리나 비닐재질로 이루어진 소형 피사체에 대해서 접사촬영을 행할 경우, 조명이나 카메라에 내장된 플래시에 의하여 사진의 피사체가 하얗게 뜬 상태로 인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피사체의 외면에 스프레이나 파우더 형태로 빛의 반사율을 저감시키기 위한 특수물질을 바르거나 기름종이 등을 이용하여 조명등을 커버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전자의 경우 상기 물질들에 의하여 피사체 본래의 색상이나 질감이 정확하게 표현되지 않는 맹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 후에는 피사체에 도포된 물질들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며, 후자의 경우 기름종이로 매번 조명등을 커버해야 되는 불편한 문제점 및 조명등으로부터 완전하게 커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보석이나 시계 또는 유리나 비닐재질로 이루어진 소형 피사체에 대해서 접사촬영을 행할 경우 피사체의 외부를 간편하게 커버하여 촬영함으로서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반사율을 최소화하여 피사체의 촬영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b는 도 1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는 상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커버본체(10)와 다수개의 간살(20)과 간살지지체(30)와 상부커버체(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본체(10)는 일정량의 빛이 투과되는 일정크기의 직물지로서 상협하광이 되도록 사면이 봉제 형성되며, 그 상단에는 각 면의 직물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호 중첩되도록 하되, 상기 각 중첩부에는 상호 대응되는 벨크로테이프(B)가 형성되어 부착된 상태에서 그 중앙에 일정크기의 통공(16)이 형성되는 상면마감부(12)가 일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10)의 사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카메라의 렌즈가 삽입되도록 일정크기의 측면촬영공(14)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촬영공(14)이 형성된 커버본체(10)의 내면 하측에는 횡방향의 벨크로테이프(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본체(10)의 상단 내주면에는 벨크로테이프(B)가 횡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간살(20)은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커버본체(10)의 각 모서리에 결합됨으로서 커버본체(1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살(20)이 커버본체(10)의 각 모서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일정길이 노출되어 후술되는 간살지지체(30)의 결합공(32)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간살지지체(30)는 일정두께의 환형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간살(20)이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결합공(32)이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바, 상기 커버본체(10)의 상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면마감부(12)에 의하여 커버된다.
상기 상부커버체(40)는 커버본체(10)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일정넓이로 형성하되, 그 상면 외주연에는 벨크로 테이프(B)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본체(1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B)와 상호 부착되며, 상기 상부커버체(40)의 중앙에는 카메라가 삽입되도록 일정크기의 상부촬영공(42)이 형성 된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체(40) 외주연의 한면 일측선단에는 상기 측면촬영공(14) 또는 상부촬영공(42)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개폐부(44)가 봉제 형성되는 바, 상기 개폐부(44)의 타측 양면 각각에는 벨크로테이프(B)가 형성되어 상부커버체(40)의 타측선단 하면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B) 또는 커버본체(10)의 측면촬영공(14) 하측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B)와 선택적으로 부착됨으로서 상부촬영공(42) 또는 측면촬영공(14)을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는 우선 커버본체(10)의 각 모서리에 간살(20)을 끼워 결합한 후, 커버본체(10)의 상측으로 노출된 각 간살(20)의 끝단을 간살지지체(30)의 결합공(32)에 끼워 결합함으로서커버본체(1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 상기 커버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마감부(12)를 각각 부착하여 중앙에 일정크기의 통공(16)이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커버본체(10)의 내측으로 상부커버체(40)를 부착하여 간살지지체(30)가 상면마감부(12)와 상부커버체(4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은 상기 상부커버체(40)의 하측에 부착된 개폐부(44)의 타측선단을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측면촬영공(14) 또는 상부촬영공(42)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됨으로서 결합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는 보석이나 시계, 꽃 등 작은 피사체는 촬영할 수 있지만 골프채, 전자제품, 운동기구, 자전거 등과 같은 큰 피사체는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측면촬영공(14)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할 때 상기 피사체커버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간살(20)이나 커버의 재봉선이 카메라에 잡히기 때문에 피사체를 촬영하는 각도가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는 상기 커버본체(10)와 상기 다수개의 간살(20)과 상기 간살지지체(30)와 상기 상부커버체(40) 등의 많은 부속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석류와 같은 작은 피사체 뿐만 아니라 골프채와 같은 큰 피사체의촬영도 가능하며, 촬영시 커버의 재봉선이나 커버본체의 간살(프레임)이 카메라에 나타나지 않은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줄인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고 설치가 간편한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측 또는 측면 등 다각도에서 피사체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2b는 도 1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110A, 210A : 상부 프레임 110B, 210B : 하부 프레임
120, 220 : 직물지 122, 222 : 촬영구
124, 224 : 커버 지붕 126, 226 : 매듭부
128, 228 : 끈 130a, 230a : 고정구
130b, 230b : 결합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는,
사면이 봉제되고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부를 끈으로 매듭하는 매듭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촬영구가 형성된 일정 크기의 직물지;
상기 직물지의 하부에 재봉하여 설치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매듭부 사이에 재봉하여 설치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끈을 연결하여 상기 직물지를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은 원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끈에 연결된 자석으로 구성된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의 자석에 의해 결합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100)는 사면이 봉제되고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부를 끈(128)으로 매듭하는 매듭부(126)가 형성된 일정 크기의 직물지(120)와, 상기 직물지(120)의 하부에 재봉하여 설치된 하부 프레임(110B)과,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매듭부 사이에 재봉하여 설치된 상부 프레임(110A)과, 상기 끈(128)을 연결하여 상기 직물지(120)를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끈(128)에 연결된 자석으로 구성된 결합구(130b)와, 상기 결합구(130b)의 자석에 의해 결합하는 고정구(13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130a)는 상기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100)가 설치되는 장소의 천정에 설치한다. 상기 결합구(130b)는 자석으로 구성하여 상기 고정구(130a)와 결합한다. 한편, 상기 고정구(130a) 및 상기 결합구(130b)는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하부프레임(110B)을 상기 상부프레임(110A) 쪽으로 올려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직물지(120)의 측면에 형성된 촬영구(122)는 상기 직물지(120)를 소정 부분 절개한 다음 재봉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구(122)는 절개된 부분에 지퍼나 접착성 테이프(일명 '찍찍이')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200)의 사시도로서, 상기 상부 프레임(210A) 및 상기 하부 프레임(210B)을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된 부호 220은 직물지, 222는 촬영구, 224는 커버 지붕, 226은 매듭부, 228은 끈, 230a는 고정구, 230b는 결합구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100)(200)는 설치 장소에 따라 그 크기를 작게 또는 크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보석류와 같은 작은 피사체 뿐만 아니라 골프채와 같은 큰 피사체의 촬영도 가능하다.
또한, 피사체커버의 상하부에만 프레임이 형성되고 그 측면에는 직물지(120)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촬영시 커버의 재봉선이나 프레임이 카메라에 나타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10A)(210A)과 하부프레임(110B)(210B), 직물지(120)(220)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단순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제조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는 보석이나 시계 또는 유리나 비닐재질로 이루어진 소형 피사체에서 부터 골프채, 전자제품, 운동기구, 자전거 등과 같은 큰 피사체까지 모두 촬영이 가능하며, 구조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며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면이 봉제되고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부를 끈으로 매듭하는 매듭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촬영구가 형성된 일정 크기의 직물지;
    상기 직물지의 하부에 재봉하여 설치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매듭부 사이에 재봉하여 설치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끈을 연결하여 상기 직물지를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은 원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끈에 연결된 자석으로 구성된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의 자석에 의해 결합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KR20-2003-0035689U 2003-11-14 2003-11-14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KR200342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689U KR200342885Y1 (ko) 2003-11-14 2003-11-14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689U KR200342885Y1 (ko) 2003-11-14 2003-11-14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885Y1 true KR200342885Y1 (ko) 2004-02-19

Family

ID=4934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689U KR200342885Y1 (ko) 2003-11-14 2003-11-14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88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818A (ko) 2017-01-11 2018-07-19 한창엽 다관절 카메라부가 구비된 촬영 장치
WO2019213737A1 (en) * 2018-05-09 2019-11-14 Moleculight Inc. Imaging drapes, packaging for drapes, methods of use of imaging drapes, and methods for deploying drape
USD903863S1 (en) 2019-01-15 2020-12-01 Moleculight Inc. Adapter for supporting a darkening drape
USD912255S1 (en) 2018-05-09 2021-03-02 Moleculight, Inc. Darkening drape
KR20210037948A (ko) 2019-09-30 2021-04-07 한준민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818A (ko) 2017-01-11 2018-07-19 한창엽 다관절 카메라부가 구비된 촬영 장치
WO2019213737A1 (en) * 2018-05-09 2019-11-14 Moleculight Inc. Imaging drapes, packaging for drapes, methods of use of imaging drapes, and methods for deploying drape
USD912255S1 (en) 2018-05-09 2021-03-02 Moleculight, Inc. Darkening drape
USD945630S1 (en) 2018-05-09 2022-03-08 Moleculight, Inc. Darkening drape
USD903863S1 (en) 2019-01-15 2020-12-01 Moleculight Inc. Adapter for supporting a darkening drape
KR20210037948A (ko) 2019-09-30 2021-04-07 한준민 3d 입체물의 다방향 촬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0401B1 (en) Portable photography studio and method of assembly
US8678601B2 (en) Collapsible light modifier for portable flash
KR101086553B1 (ko) 숨겨진 스트랩 홀더를 포함한 전자 장치
KR200342885Y1 (ko)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US20030044180A1 (en) Wrist mounted camera support
US20090129046A1 (en) Photographic Diffuser
KR102144219B1 (ko)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
WO2004072724A2 (en) Photography shooting tent
US9470959B2 (en) Photo booth with indirect lighting system
KR200394780Y1 (ko) 소형 물품용 조립식 사진 촬영대
US6264379B1 (en) Camera with carry strap having ornamental figure
US200902385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liciting attention for photography
JP2008546000A (ja) ビデオおよび写真カメラなどの写真機器の小型支持体
US6609803B2 (en) Lighting extension for photographic equipment
KR200320485Y1 (ko)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JP2015180274A (ja) カメラバッグ
US7941046B2 (en) Photographic and videographic camera accessory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110039038A (ko) 사진 촬영을 위한 광확산용 덮개
KR200271800Y1 (ko) 디지털 카메라의 후레쉬 설치 구조
KR200359830Y1 (ko) 카메라폰 또는 디지털 카메라를 위한 악세사리형 복합광학 필터
FR2792148B1 (fr) Camera video avec viseur a ecran plat
JPH03163965A (ja) 電子カメラ
KR200462083Y1 (ko) 카메라 케이스
KR200282837Y1 (ko) 일회용 카메라
KR20210001427U (ko) 사진촬영용 포토박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