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792A -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792A
KR20210037792A KR1020190119638A KR20190119638A KR20210037792A KR 20210037792 A KR20210037792 A KR 20210037792A KR 1020190119638 A KR1020190119638 A KR 1020190119638A KR 20190119638 A KR20190119638 A KR 20190119638A KR 20210037792 A KR20210037792 A KR 20210037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unit
temperature
alarm
temperatur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7792A/ko
Publication of KR2021003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60H1/00657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4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using electromagneticwaves, e.g. infra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여 각 좌석에 있는 객체의 위치, 크기, 및 형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촬영한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부의 객체의 검출, 및 상기 객체의 온도 변화와 차량 내부에서의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상기 객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지정된 경보와 알림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내의 승객의 탑승 유무를 감지하여 이상 발생 시 경보 및 대응 조치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학차량은 어린이를 교육 대상으로 하는 교육시설에서 어린이의 통학 등에 이용되는 자동차를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통학차량은 유치원, 초등학교 및 특수학교, 보육시설, 학원 및 체육시설 등에서 통학에 이용되는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통학차량은 일정하게 정해지 코스를 이동하면서 약속된 장소에서 어린이들을 승차 또는 하차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으로, 보통 승합차 또는 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차량으로 운행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러한 통학차량으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상기 통학차량 뿐만 아니라 일반 자가용 차량에서도 뒷좌석에 있는 어린이는 잊고 운전자 혼자 내리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보통, 이러한 어린이 안전사고는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될 수 있어 통학차량 안전운행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이를 통해 어린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고 있으나, 실상 통학차량에 의한 안전사고는 법률적 기준으로만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차량에 다양한 안전장치를 구비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어린이 통학차량에 승하차 모니터링장치와 주변차량 통제장치 및 승하차 알림장치를 구비하여, 운전자가 승하차 모니터링장치를 통하여 어린이의 승하차를 확인할 수 있고, 주변차량 통제장치를 통하여 주변 차량에게 어린이의 승하차시 추월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승하차 알림장치를 통하여 주변 차량에게 어린이의 승하차를 고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내에서 어린이가 잠이 들어 하차하지 못했는데도, 운전자가 이를 확인하지 않고 차량문을 잠근채로 하차해버린 경우, 어린이는 전혀 구조 도움을 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어린이뿐만 아니라 심신 미약 상태에 있는 성인이 차량내에 남아 있을 경우에도 구조 도움을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8674호(2019.02.27. 등록, 차량 갇힘 사고 방지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차량내의 승객의 탑승 유무를 감지하여 이상 발생 시 경보 및 대응 조치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여 각 좌석에 있는 객체의 위치, 크기, 및 형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촬영한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부의 객체의 검출, 및 상기 객체의 온도 변화와 차량 내부에서의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상기 객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지정된 경보와 알림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 어레이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어레이 센서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가 배열된 것으로서, 차량 내부의 적어도 일 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에서 객체에 대응하는 지정된 온도 이상을 나타내는 픽셀의 개수와 형태를 바탕으로 객체가 어린이 승객인지 성인 승객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외선 어레이 센서의 해상도에 따라, 객체를 분석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을 별도로 생성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을 바탕으로 객체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에 지정된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기 제어부의 명령을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차량 내부의 전자제어장치(ECU)와 통신하여 차량의 상태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거나, 상기 제어부의 명령을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며,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지정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연결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며,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인터넷이나 지정된 앱(APP)으로서 차량 원격 제어 앱(APP)에 접속하여 지정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지정된 앱(APP)을 통해 단순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상기 지정된 앱(APP)에 차량 원격 제어를 위한 정보 메시지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 내외부에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부는, 차량의 비상등이나 차량의 사운드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사이렌이나 이에 대응하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미리 저장된 메시지의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차량 내부의 공조기의 온오프와 온도를 원격 제어하여, 미리 지정된 온도까지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에서 운전자가 하차할 경우, 센서부를 통해 촬영한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에 대한 감지 픽셀을 분석하며, 상기 감지 픽셀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객체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어린이가 차량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객체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성인이 차량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운전자가 하차한 후에도 차량 내부에 어린이나 성인이 탑승하고 있는 경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인지 체크하며, 상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이면,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객체가 어린이인지 성인인지에 따라 지정된 경보와 알림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하차한 후에도 차량 내부에 어린이나 성인이 탑승하고 있는 경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차량 내부에 승객은 있으나 움직임이 없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지정된 운전자에게 알림만 수행하거나, 미리 지정된 옵션에 따라 지정된 경보와 운전자에게 알림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센서부를 통해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여 각 좌석에 있는 객체의 위치, 크기, 및 형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촬영한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부의 객체의 검출, 및 상기 객체의 온도 변화와 차량 내부에서의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상기 객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지정된 경보와 알림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에서 객체에 대응하는 지정된 온도 이상을 나타내는 픽셀의 개수와 형태를 바탕으로 객체가 어린이 승객인지 성인 승객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적외선 어레이 센서의 해상도에 따라, 객체를 분석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을 별도로 생성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을 바탕으로 객체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앱(APP)을 통해 단순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상기 지정된 앱(APP)에 차량 원격 제어를 위한 정보 메시지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경보부를 통해 차량 내외부에 경보를 출력하되, 사이렌이나 이에 대응하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미리 저장된 메시지의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부의 공조기의 온오프와 온도를 원격 제어하여, 미리 지정된 온도까지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차량에서 운전자가 하차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센서부를 통해 촬영한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에 대한 감지 픽셀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감지 픽셀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가 객체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어린이가 차량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객체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성인이 차량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가 하차한 후에도 차량 내부에 어린이나 성인이 탑승하고 있는 경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인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이면, 상기 제어부가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시간 이상 유지되면, 객체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객체가 어린이인지 성인인지에 따라 지정된 경보와 알림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하차한 후에도 차량 내부에 어린이나 성인이 탑승하고 있는 경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차량 내부에 승객은 있으나 움직임이 없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지정된 운전자에게 알림만 수행하거나, 미리 지정된 옵션에 따라 지정된 경보와 운전자에게 알림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내의 승객의 탑승 유무를 감지하여 이상 발생 시 경보 및 대응 조치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10)의 적외선 어레이 센서가 장착되는 위치를 예시적으로 보인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객체를 촬영한 적외선 영상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이상 발생 시 지정된 앱(APP)을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를 예시적으로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센서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경보부(140), 및 공조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10)는 적외선 어레이 센서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적외선 어레이 센서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가 배열된 것으로서, 차량 내부의 적어도 일 측(예 : 룸미러부, 천장부, 측면 필러부, 측면 독서등부 등)에 장착되어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 영상(또는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여 각 좌석에 있는 객체(예 : 승객)의 위치, 크기, 및 형태를 감지한다(도 3 참조).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10)의 적외선 어레이 센서가 장착되는 위치를 예시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센서부(110)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 영상(또는 적외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촬영한 상기 차량 내부의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부의 객체(예 : 어린이, 성인, 동식물 등)의 검출, 상기 객체의 온도 변화와 차량 내부에서의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객체의 온도 영상(또는 적외선 영상)에서 객체에 대응하는 픽셀(즉, 지정된 온도 이상을 나타내는 픽셀)의 개수와 형태를 바탕으로 객체의 종류(예 : 어린이, 성인, 동식물 등)를 판단할 수 있다(도 3, 도 4 참조).
도 4 및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객체를 촬영한 적외선 영상을 보인 예시도로서, 지정된 온도 이상을 나타내는 픽셀의 개수와 형태를 분석하여 객체의 종류(예 : 어린이, 성인, 동식물 등)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외선 어레이 센서의 구성(또는 해상도)에 따라 상기 적외선 영상은 일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적외선 어레이 센서의 구성에 따라 객체의 종류를 분석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을 별도로 생성하고, 이 룩업 테이블을 바탕으로 객체의 종류(예 : 어린이, 성인, 동식물 등)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는 차량 내부에 디폴트로 장착된 센서(예 : 카메라 센서, 초음파 센서, 좌석별 무게 감지 센서, 안전벨트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센서부(110)의 적외선 어레이 센서 이외에 상기 차량 내부에 디폴트로 장착된 센서들을 조합하여 차량 내부의 객체의 검출, 및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차량 내부의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와 통신하여 차량의 상태를 상기 제어부(120)에 전달하거나, 상기 제어부(120)의 명령을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지정된 전화번호(예 : 응급센터, 운전자 등)로 전화를 연결하거나, 지정된 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인터넷이나 지정된 앱(APP)(예 : 차량 원격 제어 앱)에 접속하여 지정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등록할 수 있다(도 6 참조).
도 6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이상 발생 시 지정된 앱(APP)을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를 예시적으로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지정된 앱(APP)(예 : 차량 원격 제어 앱)은 사용자(또는 운전자)의 스마트폰(또는 휴대폰)에 설치되는 앱(APP)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차량 내부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정된 앱(APP)(예 : 차량 원격 제어 앱)을 통해 단순한 안내 메시지(예 : 1. 차량 내에 탑승객이 있습니다. 2. 차량 내 탑승객의 움직임이 없습니다. 3. 차량 내에 탑승객 있으며, 차량 내부가 과열된 상태입니다. 등)를 제공하거나, 차량 원격 제어를 위한 정보 메시지(4. 차량 원격 공조제어 가능 체크, 5. 차량 원격 공조제어 수행 등)를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경보부(14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지정된 특정 상황(예 : 차량 내부에 어린이가 갇힌 상황, 차량 내부에 심신 미약자가 갇힌 상황 등)이 발생할 경우, 차량 내외부에 경보를 출력한다.
상기 경보부(140)는 차량의 비상등이나 차량의 사운드 출력장치(예 : 경적, 스피커 등)를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경보부(14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사이렌 등의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미리 저장된 메시지(예 : 도와주세요~ 차 내부에 사람이 있어요. 등)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공조부(15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차량 내부의 공조기(예 : 히터, 에어컨 등)(미도시)의 온오프와 온도를 원격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와 통신하여 상기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를 통해 상기 공조부(150)를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제어부(120)의 동작에 대해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서 운전자가 하차할 경우(또는 차량의 시동을 오프하고 운전자가 하차할 경우)(S101), 상기 제어부(120)는 센서부(110)를 통해 촬영한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에 대한 감지 픽셀(예 : 픽셀의 개수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을 체크(또는 분석)한다(S102).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감지 픽셀(예 : 픽셀의 개수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을 체크(또는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크기(즉, 감지 픽셀의 개수에 대응하는 크기)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S103의 예) 어린이가 차량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S104), 상기 크기(즉, 감지 픽셀의 개수에 대응하는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S103의 아니오) 성인이 차량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105).
이에 따라 운전자가 하차한 후에도 차량 내부에 어린이나 성인이 탑승하고 있는 경우(S104, S105), 상기 제어부(120)는 차량 내부(또는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감지되면(S106의 예), 상기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인지 체크한다(S107).
상기 체크(S107) 결과, 상기 차량 내부(또는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이면(S107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시간을 카운트하고(S108),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시간 이상 유지되면(S109의 예), 상기 객체가 어린이일 경우 지정된 경보 및 운전자와 응급센터에 알림을 수행한다(S110). 또한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시간 이상 유지되고(S109의 예), 상기 객체가 성인일 경우 지정된 경보와 운전자에게 알림을 수행한다(S111).
물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객체가 성인일 경우에도 지정된 경보 및 운전자와 응급센터에 알림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보와 알림은 옵션 설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전자가 하차한 후에도 차량 내부에 어린이나 성인이 탑승하고 있는 경우(S104, S105), 상기 제어부(120)는 차량 내부(또는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S106의 아니오)(예 : 차량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온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지 않으면)(즉, 차량 내부에 탑승객은 있으나 움직임이 없으면), 단순히 성인이 차량 내부에서 수면하고 있으며 이상이 발생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알림만 수행할 수 있다(S112).
이때 상기 차량 내부(또는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S106의 아니오)(예 : 차량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온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지 않으면)(즉, 차량 내부에 탑승객은 있으나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운전자에게 알림만 수행하거나(S112), 또는 지정된 경보와 운전자에게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S111).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S109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차량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상태인 경우, 공조부(150)를 원격 제어하여, 차량 내부(또는 차량 내부에 있는 객체)의 온도를 미리 지정된 온도까지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차량내의 승객의 탑승 유무를 감지하여 이상 발생 시 경보 및 대응 조치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갇혀 있거나 남아있는 승객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센서부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140 : 경보부
150 : 공조부

Claims (19)

  1.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여 각 좌석에 있는 객체의 위치, 크기, 및 형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촬영한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부의 객체의 검출, 및 상기 객체의 온도 변화와 차량 내부에서의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상기 객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지정된 경보와 알림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 어레이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어레이 센서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가 배열된 것으로서,
    차량 내부의 적어도 일 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에서 객체에 대응하는 지정된 온도 이상을 나타내는 픽셀의 개수와 형태를 바탕으로 객체가 어린이 승객인지 성인 승객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외선 어레이 센서의 해상도에 따라,
    객체를 분석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을 별도로 생성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을 바탕으로 객체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지정된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기 제어부의 명령을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차량 내부의 전자제어장치(ECU)와 통신하여 차량의 상태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거나, 상기 제어부의 명령을 전자제어장치(ECU)에 전달하며,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지정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연결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며,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인터넷이나 지정된 앱(APP)으로서 차량 원격 제어 앱(APP)에 접속하여 지정된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지정된 앱(APP)을 통해 단순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상기 지정된 앱(APP)에 차량 원격 제어를 위한 정보 메시지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 내외부에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부는,
    차량의 비상등이나 차량의 사운드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사이렌이나 이에 대응하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미리 저장된 메시지의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차량 내부의 공조기의 온오프와 온도를 원격 제어하여, 미리 지정된 온도까지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에서 운전자가 하차할 경우, 센서부를 통해 촬영한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에 대한 감지 픽셀을 분석하며,
    상기 감지 픽셀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객체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어린이가 차량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객체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성인이 차량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운전자가 하차한 후에도 차량 내부에 어린이나 성인이 탑승하고 있는 경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인지 체크하며,
    상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이면,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객체가 어린이인지 성인인지에 따라 지정된 경보와 알림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가 하차한 후에도 차량 내부에 어린이나 성인이 탑승하고 있는 경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차량 내부에 승객은 있으나 움직임이 없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지정된 운전자에게 알림만 수행하거나, 미리 지정된 옵션에 따라 지정된 경보와 운전자에게 알림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2. 센서부를 통해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여 각 좌석에 있는 객체의 위치, 크기, 및 형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촬영한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내부의 객체의 검출, 및 상기 객체의 온도 변화와 차량 내부에서의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상기 객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지정된 경보와 알림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에서 객체에 대응하는 지정된 온도 이상을 나타내는 픽셀의 개수와 형태를 바탕으로 객체가 어린이 승객인지 성인 승객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영상이나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적외선 어레이 센서의 해상도에 따라,
    객체를 분석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을 별도로 생성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을 바탕으로 객체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앱(APP)을 통해 단순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상기 지정된 앱(APP)에 차량 원격 제어를 위한 정보 메시지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경보부를 통해 차량 내외부에 경보를 출력하되,
    사이렌이나 이에 대응하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미리 저장된 메시지의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부의 공조기의 온오프와 온도를 원격 제어하여, 미리 지정된 온도까지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차량에서 운전자가 하차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센서부를 통해 촬영한 적외선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에 대한 감지 픽셀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감지 픽셀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가 객체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어린이가 차량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객체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성인이 차량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가 하차한 후에도 차량 내부에 어린이나 성인이 탑승하고 있는 경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인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이면, 상기 제어부가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지정된 임계값 이상의 온도변화가 지정된 임계시간 이상 유지되면, 객체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객체가 어린이인지 성인인지에 따라 지정된 경보와 알림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하차한 후에도 차량 내부에 어린이나 성인이 탑승하고 있는 경우,
    차량 내부나 차량 내부의 객체의 온도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차량 내부에 승객은 있으나 움직임이 없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지정된 운전자에게 알림만 수행하거나, 미리 지정된 옵션에 따라 지정된 경보와 운전자에게 알림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190119638A 2019-09-27 2019-09-27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10037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38A KR20210037792A (ko) 2019-09-27 2019-09-27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38A KR20210037792A (ko) 2019-09-27 2019-09-27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792A true KR20210037792A (ko) 2021-04-07

Family

ID=7546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638A KR20210037792A (ko) 2019-09-27 2019-09-27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77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148A (ko) * 2021-10-07 2023-04-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움직임 경향성을 이용한 유동체 감지 시스템 및 유동체 감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148A (ko) * 2021-10-07 2023-04-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움직임 경향성을 이용한 유동체 감지 시스템 및 유동체 감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187B1 (ko) 차량의 탑승자 보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US109889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wareness of emergency vehicles
US9955326B2 (en) Responding to in-vehicle environmental conditions
US10115029B1 (en) Automobile video camera for the detection of children, people or pets left in a vehicle
US20160049061A1 (en) Integrated vehicle sensing and warning system
KR101768847B1 (ko) 차량 내부 모니터링 및 알림기능이 구비된 블랙박스
US20140297133A1 (en) Automatic child lock device
KR102589052B1 (ko) 차량 탑승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20160082923A1 (en) An alarm system
KR101792949B1 (ko) 차량 탑승자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180059052A (ko) 자동차 뒷좌석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132605A (ko)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JP2016175552A (ja) 降車通知装置
US20220176779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tect The Health Of Occupants Of A Vehicle
US11040700B2 (en) Apparatus for managing vehicle intrusion,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101482189B1 (ko) 운송차량용 안전시스템
KR20210037792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54378A (ko) 차량 내 승객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77135A (ko) 자동 잠든 아이 확인 장치
KR101919143B1 (ko) 차량 잔류인원 보호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시스템
KR101807213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량 탑승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535517B1 (ko) 통학 차량 안전 경보 시스템
US2023035671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on and prevention of unattended vehicle deaths
KR20220122814A (ko) 어린이 사고 예방 안전 장치 및 방법
JP2019192069A (ja) 報知装置、及び、報知方法